KR20080092022A -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022A
KR20080092022A KR1020070035293A KR20070035293A KR20080092022A KR 20080092022 A KR20080092022 A KR 20080092022A KR 1020070035293 A KR1020070035293 A KR 1020070035293A KR 20070035293 A KR20070035293 A KR 20070035293A KR 20080092022 A KR20080092022 A KR 20080092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drm
drm content
detailed information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3117B1 (ko
Inventor
이경근
권용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5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117B1/ko
Priority to EP08153070A priority patent/EP1980969A3/en
Priority to US12/079,505 priority patent/US20080256482A1/en
Publication of KR20080092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0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ingle file or object, e.g. in a secure envelope, encrypted and accessed using a key, or with access control rules appended to the object itsel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1Access rights, e.g. capability lists, access control lists, access tables, access matr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04L2209/603Digital right managa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DRM 컨텐츠가 표시부 상에 리스트로 표시되는 동안 상기 DRM 컨텐츠의 상세 정보 예를 들면, DRM 컨텐츠의 크기, 생성일시, 파일 타입 등의 부가 정보, 권한 제한에 따른 라이센스 정보 및 라이센스 부가 정보 등을 리스트의 특정 영역에 텍스트 또는 특정 아이콘 등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 DRM, 상세 정보, 라이센스, 라이센스 정보

Description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DETAIL INFORMATION DISPLAY METHOD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CONTENTS AND POTABLE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컨텐츠 및 상세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텍스트 및 이미지를 복합적으로 나타낸 상세 정보 표시 방법에 따른 화면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상세 정보가 표시된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블 텍스트 방식에 의해 상세 정보가 표시된 화면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기적 표시 방식에 의해 상세 정보가 표시된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용 가능한 상세 정보 기능을 아이콘으로 표시한 화면 예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키입력부를 이용한 상세 정보 표시 방식에 따른 화면 예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콘 영역의 명도 및 채도의 차이를 이용한 상세 정보 표시 방식을 나타낸 화면 예시도.
본 발명은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RM 컨텐츠들을 리스트로 표시하는 화면상에서, 상기 DRM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텍스트나 기 설정된 아이콘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 이하 DRM) 기술은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지적 자산에 대한 권리를 지속적으로 관리 및 보호하기 위한 기술이다. 즉, DRM 기술은 다양한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CP)로부터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전달하고, 이를 전달받은 사용자가 불법적으로 컨텐츠를 유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다.
DRM 기술은 디지털 컨텐츠의 생성, 배포, 사용 및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정보 보호가 가능하며,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상에서 사용자의 권한에 따른 사용과 권리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휴대의 용이성과,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하며, 옵션기능에 부가된 활용도가 뛰어나 매우 많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 중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 중에 음성통화가 가능한 특성으로 인하여 이용자 및 서비스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상술한 휴대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 내에 저장된 정보의 표시 및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표시 등을 위하여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부는 휴대 단말기의 기본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기본 동작 예를 들면, 통화호 연결을 위한 번호 입력,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메시지 작성창 표시 등 다양한 휴대 단말기 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시켜주기 일정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표시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다양한 파일 예를 들면 다수개의 DRM 컨텐츠들을 표시할 경우, 각 DRM 컨텐츠들의 파일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파일의 색인들을 이용하여 리스트 형태 등으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종래 표시부는 단순히 어떠한 DRM 컨텐츠들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DRM 컨텐츠들의 목록뿐만 아니라, 상기 DRM 컨텐츠의 상세 정보 또한 직관적이고 직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 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DRM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리스트 상에서 시각적이고 효율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은, DRM 컨텐츠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DRM 컨텐츠 목록을 표시하는 목록 표시 과정; 및 상기 DRM 컨텐츠의 특성 및 상기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상세 정보를 해당 DRM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에 표시하는 상세 정보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DRM 컨텐츠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DRM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DRM 컨텐츠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DRM 컨텐츠의 특성 및 상기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상세 정보를 해당 DRM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DRM 컨텐츠 상세 정보는 라이센스 정보 및 부가 정보들 상기 DRM 컨텐츠의 재생 제한 항목, 상기 DRM 컨텐츠의 표시 제한 항목, 상기 DRM 컨텐츠의 실행 제한 항목, 상기 DRM 컨텐츠의 프린트 출력 제한 항목, 상기 DRM 컨텐츠의 외부 출력 제한 항목, 상기 DRM 컨텐츠의 근거리 통신 가능 제한 항목, 상기 DRM 컨텐츠를 설명하는 부가 정보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DRM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3G 단말기 예를 들면,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 구성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 이하RF)부(110), 표시부(120), 오디오처리부(130), 키입력부(140), 메모리(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부(11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단말기 간의 음성통화를 위하여 기지국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거나, 사용자 데이터를 외부 다른 휴대 단말기 등으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부(110)는 외부 웹 서버(Web Server)와의 연동을 통한 콘텐츠 및 상기 콘텐츠에 관련된 제어 신호 등의 송수신 등과 관련한 일련의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RF 처리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RF부(110)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DRM 컨텐츠(DRM_MO) 및 상기 DRM 컨텐츠(DRM_MO)를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라이센스(DRM_RO) 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상기 RF부(11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주변을 스캐닝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이용 가능한 기능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결과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RF부(110)는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등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표시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2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하기로 한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20)는 키입력수단과 같은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2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DRM 컨텐츠(DRM_MO)들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리스트 형태로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DRM 컨텐츠(DRM_MO)들의 상세 정보(Detail_Info)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으로 일정 영역 상에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20)의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메모리(150)는 상기 DRM 컨텐츠(DRM_MO) 및 상기 DRM 컨텐츠(DRM_MO)의 재생 권한을 제한하는 라이센스(DRM_RO)를 저장하며, 상기 DRM 컨텐츠(DRM_MO) 재생을 위한 재생 모듈을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150)는 상기 DRM 컨텐츠(DRM_MO) 재생 시 상기 재생 모듈을 상기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이러한 메모리(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상기 DRM 컨텐츠(DRM_MO) 재생 등에 필요한 재생 모듈,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 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DRM 컨텐츠(DRM_MO) 및 상기 DRM 컨텐츠(DRM_MO) 재생을 위한 라이센스(DRM_RO) 등이 저장되는 영역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 옵션 기능 예를 들면, 카메라 기능에 의한 촬영 이미지 또는 동영상, 폰 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콘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들 등을 저장할 수 도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DRM 컨텐츠(DRM_MO) 관련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상기 DRM 컨텐츠(DRM_MO) 또는 상기 라이센스(DRM_RO)의 상세 정보(Detail_Info)도 포함한다. 상기 상세 정보(Detail_Info)는 상기 DRM 컨텐츠(DRM_MO)를 정의하는 정보 및 상기 라이센스(DRM_RO)와 관련된 정보이다. 즉, 상기 상세 정보(Detail_Info)는 상기 DRM 컨텐츠(DRM_MO)의 전체 파일 크기, 파일 타입, 세부 파일 명, 파일 재생 시간, 컨텐츠 관련 정보, 상기 DRM 컨텐츠의 재생 권한 제한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세 정보(Detail_Info)는 상기 DRM 컨텐츠(DRM_MO)들을 리스트로 표시할 때, 상기 제어부(160)에 전달되어, 일부 또는 전부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상세 정보(Detail_Info)에 포함된 각 항목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저장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상 세 정보(Detail_Info) 항목에 대응되는 이미지 예를 들면 아이콘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아이콘은 상기 상세 정보(Detail_Info) 항목의 특성 및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가 가능한 이미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세 정보(Detail_Info)가 상기 DRM 컨텐츠(DRM_MO)의 재생 권한을 제한하는 재생 권한 제어 항목일 경우, 상기 이미지는 상기 DRM 컨텐츠(DRM_MO)의 전체 재생 권한과 현재 재생 권한을 비교하여 남은 만큼의 재생 권한을 그래프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통화에 필요한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부(130)는 DRM 컨텐츠(DRM_MO)에 포함된 오디오 성분을 재생한다.
상기 키입력부(14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4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특히, 상기 키입력부(140)는 표시부(120)에 표시된 DRM 컨텐츠(DRM_MO)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키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40)는 지정된 DRM 컨텐츠(DRM_MO)를 선택하는 키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지정"은 다수개의 리스트로 표 시된 DRM 컨텐츠(DRM_MO) 중 어느 하나를 지목하는 것으로, 지목된 DRM 컨텐츠(DRM_MO)는 주변 항목들과 구분되어지도록 표시될 수 있다. 즉, 지목된 DRM 컨텐츠(DRM_MO)는 하이라이트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택"은 상기 "지정"된 DRM 컨텐츠(DRM_MO)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을 의미한다. 즉, 상기 "선택"은 지정된 DRM 컨텐츠(DRM_MO) 실행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신호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지정은 방향키, 숫자 키 및 특수문자 키 등의 입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DRM 컨텐츠(DRM_MO)들 중 하나를 지정함에 있어서 이동을 위한 키입력은 하이라이트 된 항목을 변하게 한다.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데이터, 상기 RF부(110)가 수신하는 통화음 및 데이터 등을 처리하기 위하여 모뎀(Modem) 및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 정보(Detail_Info) 표시를 위하여 메뉴 화면 표시 및 선택에 따른 표시 제어와 관련한 기능을 제어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된 DRM 컨텐츠(DRM_MO)들의 리스트 보기에 해당하는 키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DRM 컨텐츠(DRM_MO)들의 리스트를 표시부(1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DRM 컨텐츠(DRM_MO)들의 상세 정보(Detail_Info)들을 읽고, 해당하는 DRM 컨텐츠(DRM_MO)의 상세 정보(Detail_Info)를 텍스트나 이미지 등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상세 정 보(Detail_Info)를 상기 키입력부(140)에 의해 지정된 DRM 컨텐츠(DRM_MO)에 대해서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상세 정보(Detail_Info) 표시에 있어서, 키입력부(140) 신호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Detail_Info)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다수의 정보를 가지는 상세 정보(Detail_Info)를 일정 항목 별로 표시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다른 항목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특정 DRM 컨텐츠(DRM_MO)가 지정될 경우, 지정된 DRM 컨텐츠(DRM_MO)에 대하여 상기 상세 정보(Detail_Info)를 버블 텍스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상세 정보(Detail_Info) 표시 방법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설명에 필요한 블록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카메라부 및/또는 디지털 방송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컨텐츠의 상세 정보 표시를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컨텐츠의 상세 정보 표시를 위한 표시부의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M 컨텐츠(DRM_MO) 리스트가 표시된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부(120)는 DRM 컨텐츠(DRM_MO)들을 리 스트 형태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DRM 컨텐츠(DRM_MO)들을 3개로 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표시부(120)는 DRM 컨텐츠(DRM_MO)들을 리스트 형태 또는 매트릭스 형태로 표현할 수 있으며, 키입력부(140)의 방향키 입력 또는 스크롤 입력에 따라 현재 표시부(120)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DRM 컨텐츠(DRM_MO)들을 표시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된 컨텐츠들 중 DRM 컨텐츠(DRM_MO)들은 각각 아이콘 영역(122)과,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 및 DRM 표시 영역(126)을 포함하여 표시된다.
상기 아이콘 영역(122)은 상기 DRM 컨텐츠(DRM_MO)의 특성 예를 들면, 오디오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또는 텍스트 컨텐츠 인지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상기 아이콘 영역(122)은 등재된 DRM 컨텐츠(DRM_MO)가 오디오 컨텐츠인 경우, 특정 이미지 예컨대 음계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 영역(122)은 등재된 DRM 컨텐츠(DRM_MO)가 비디오 컨텐츠인 경우, 특정 이미지 예컨대 컨텐츠의 대표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콘 영역은 등재된 DRM 컨텐츠(DRM_MO)가 텍스트 컨텐츠인 경우, 텍스트의 파일 타입을 지시하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텍스트 파일명이 표시될 수 도 있다.
상기 DRM 표시 영역(126)은 리스트에 등재된 컨텐츠가 DRM 컨텐츠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영역이다. 이를 위해 상기 DRM 표시 영역(126)에는 특정 아이콘 예를 들면 열쇠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은 DRM 컨텐츠(DRM_MO)의 상세 정 보(Detail_Info)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에 표시되는 상세 정보(Detail_Info)는 전체 표시 방식, 슬라이딩 방식, 버블 텍스트 방식, 주기적 표시 방식, 아이콘 표시 방식 및 키입력에 따른 표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각 표시 방식에 대하여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세 정보(Detail_Info)를 전체 표시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체 표시 방식에 따라 상기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은 상세 정보(Detail_Info)에 포함된 다수개의 상세 정보 항목들을 동시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상세 정보(Detail_Info)는 뷰(view) 보기 제한 항목, 재생 제한 항목, 실행 제한 항목, 프린트 제한 항목 및 외부 출력 제한 항목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상세 정보 항목에 각각 대응되는 이미지 즉, 아이콘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뷰 보기 제한 항목을 표시하기 위하여 뷰 파인더 이미지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메모리(150)에 저장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재생 제한 항목 표시를 위해서는 재생 이미지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실행 제한 항목 표시를 위해서는 실행 확장자에 해당하는 이미지 아이콘을, 프린트 출력은 프린터 아이콘을, 외부출력은 포트에 해당하는 이미지 아이콘을 각각 생성하여 메모리(150)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에 상기 각 항목들의 아이콘들을 정렬하여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 어부(160)는 각 아이콘에 해당하는 항목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 예컨대 막대기 형태로 표시함으로서, 제한 량이 얼마만큼 남았는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된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에서, 상기 막대기의 크기는 상기 상세 정보(Detail_Info) 각 항목의 권한 크기를 표시하는 것에 해당한다. 다시 말하여,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DRM 컨텐츠(DRM_MO)의 라이센스(DRM_RO) 권한을 막대기가 클수록 권한의 길이나 횟수 등이 크고, 막대기가 작을수록 권한의 길이나 횟수 등이 작은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세 정보(Detail_Info)를 슬라이딩 형태로 표시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 정보(Detail_Info) 슬라이딩 형태 표시 방식은 상세 정보(Detail_Info)의 각 항목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슬라이딩 방식에 따른 상세 정보(Detail_Info) 표시는 상기 각 항목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가능하며, 상에서 하로, 하에서 상으로 이동도 가능하다.
상기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표시 방식에서 상세 정보(Detail_Info)에 포함된 제 1 항목 예컨대 재생(Play) 항목은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의 중앙에 배치되다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세 정보(Detail_Info)의 제 2 항목 예컨대 표시(Display) 항목의 일부가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의 우측에 표시된다. 즉,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제1 항목이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2 항목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표시한다. 여기 서, 제 1 항목인 재생 항목은 재생 권한의 크기 즉,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을 가지는 DRM 컨텐츠(DRM_MO)의 재생 가능 기간 또는 재생 가능 횟수를 바 형태로 표시한다.
한편, 제 1 항목이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항목은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의 좌측 경계로 이동하게 되며, 제 2 항목은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의 중앙 부분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표시부(120)는 제 1 항목의 우측 일부를 상기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에 표시하며, 제 2 항목의 색인인 표시(Display)를 중앙 부분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 2 항목의 표시 권한 크기 즉, DRM 컨텐츠(DRM_MO)의 표시 가능 기간 또는 표시 가능 횟수를 표시한 바의 일부는 우측에 표시된다.
상기 상세 정보(Detail_Info)의 각 항목들의 슬라이딩 과정이 완료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항목인 표시(Display) 항목은 표시 권한을 나타내는 바와 함께 중앙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항목은 일정 시간 동안 표시 되었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 1 항목과 같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상세 정보(Detail_Info)에 포함된 제 3 항목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세 정보(Detail_Info)에 제 1 항목 및 제 2 항목만 있을 경우,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제 3 항목 대신 제 2 항목을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표시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방식으로 표시되는 상세 정보(Detail_Info)는 상기 표시부(120)에 리스트로 등재된 모든 DRM 컨텐츠(DRM_MO)들에서 동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 지정에 따라 지정된 DRM 컨텐 츠(DRM_MO)에서만 표시될 수 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표시 방식은 휴대 단말기(100)의 작은 크기로 할당된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에 다양한 상세 정보(Detail_Info)를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정 시간 주기로 각 상세 정보(Detail_Info) 항목들을 표시함으로, 단말기 사용자는 상세 정보(Detail_Info) 획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세 정보(Detail_Info)를 버블 텍스트 표시 방식으로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20)는 3개의 DRM 컨텐츠(DRM_MO) 리스트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중앙에 배치된 DRM 컨텐츠(DRM_MO) 리스트가 지정되어 하이라이트 된 것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20)는 지정된 DRM 컨텐츠(DRM_MO) 리스트를 인접하여 표시된 DRM 컨텐츠(DRM_MO)들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20)는 지정된 DRM 컨텐츠(DRM_MO)의 상세 정보(Detail_Info)를 버블 텍스트로 표시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버블 텍스트는 상기 DRM 컨텐츠(DRM_MO)의 상세 정보(Detail_Info) 중 설계자가 지정한 우선순위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각 항목들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버블 텍스트는 표시부(120) 크기를 고려하여 표시되지 못한 항목이 존재할 경우, 이를 표시하기 위한 점자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버블 텍스트는 파일크기, 장르, 생성일시 및 재생 횟수 등을 우선적으로 표시하고, 기타 상세 정보(Detail_Info)에 포함될 수 있는 항목 예컨대 프린트 가능 횟수, 전송 가능 횟 수 등은 점자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버블 텍스트 방식의 상세 정보(Detail_Info) 표시 방법은 리스트에 등재된 DRM 컨텐츠(DRM_MO)를 지정하는 과정만을 통하여 각 DRM 컨텐츠(DRM_MO)의 상세 정보(Detail_Info)를 파악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세 정보(Detail_Info)를 주기적 표시 방식으로 표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부(120)는 각각의 DRM 컨텐츠 리스트에 있어서 음표나 특정 이미지 등이 도시된 아이콘 영역(122)과, 상기 DRM 컨텐츠(DRM_MO)의 제목이 표시된 영역, 상기 DRM 컨텐츠(DRM_MO)의 상세 정보(Detail_Info) 중 특정 항목 예컨대 "파일 크기"가 표시된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 및 DRM 파일 여부를 아이콘으로 표시한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음표나 특정 이미지가 표시된 아이콘 영역(122)은 상기 DRM 컨텐츠(DRM_MO)의 특성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DRM 컨텐츠(DRM_MO)의 파일 타입과 관련 있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에는 상세 정보(Detail_Info)에 포함되는 특정 항목이 표시된다. 도 6a에서는 "파일 크기"로 표시하고 있으나, 기타 정보 예컨대 재생 가능 횟수, 표시 가능 횟수, 프린트 가능 횟수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 상기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에 표시된 상세 정보(Detail_Info) 항목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항목 예컨대 "재생 count"로 변경된다. 상기 일정 시간은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 다. 이후, 상기 일정 시간이 다시 경과되면, 다른 상세 정보(Detail_Info) 항목이 표시되거나, 상세 정보(Detail_Info) 항목이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2개의 항목만 존재할 경우 상기 "파일 크기"항목이 표시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기적 상세 정보 표시 방식은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모든 DRM 컨텐츠(DRM_MO) 리스트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기적 표시 방식은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지정하는 DRM 컨텐츠(DRM_MO)에만 한정적으로 적용할 수 도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상기 상세 정보(Detail_Info)를 텍스트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은 특정 이미지 또는 아이콘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세 정보(Detail_Info)를 이용 가능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방식을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이용 가능 아이콘 표시 방식에서는 상세 정보 표시 영역에 특정 이미지를 가지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으나, 아이콘뿐만 아니라, 아이콘에 대응되는 텍스트 등도 표시 가능하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부(120)는 음표와 같은 특정 이미지가 도시된 아이콘 영역(122)과, 상기 DRM 컨텐츠(DRM_MO)의 제목이 표시된 영역, 상기 DRM 컨텐츠(DRM_MO)의 상세 정보(Detail_Info) 중 특정 항목이 아이콘으로 표시된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 및 DRM 파일 여부를 아이콘으로 표시한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음표와 같은 특정 이미지가 표시된 아이콘 영역(122)은 음표 이미지뿐만 아니라 상기 DRM 컨텐츠(DRM_MO)의 특성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DRM 컨텐츠(DRM_MO)의 파일 타입과 관련 있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가용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정보가 표시된다. 예컨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주변을 스캐닝하여 프린트 출력이 가능한 경우, 상기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에는 프린트 출력이 가능한 것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은 상기 DRM 컨텐츠(DRM_MO)를 프린트 출력할 수 있는 프린트 권한에 대하여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은 프린트 아이콘의 인접 영역에 상기 DRM 컨텐츠(DRM_MO)의 프린트 가능 횟수를 지시하는 숫자나,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특정 오디오 장치에 연결된 경우, 상기 DRM 컨텐츠(DRM_MO)를 외부 장치를 이용해 출력할 수 있음을 특정 아이콘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DRM 컨텐츠(DRM_MO)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웍 상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경우, 그에 따른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상기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현재 가용한 서비스 및 상기 가용 서비스를 상기 DRM 컨텐츠(DRM_MO)가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특정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에 한번에 표시되지 못할 경우, 전술한 슬라이딩 방식, 버블 텍스트 방식 또는 주기적 표시 방식 등에 따라 상기 상세 정보(Detail_Info)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 정보 이용 가능 아이콘 표시 방식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 및 지정된 DRM 컨텐츠(DRM_MO)가 제공 가능한 기능을 이미지로 표시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DRM 컨텐츠(DRM_MO)를 지정하는 단순 과정을 통하여 DRM 컨텐츠(DRM_MO)의 이용 가능한 전체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키입력부(140)에 따른 상세 정보(Detail_Info) 표시 방법을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DRM 컨텐츠(DRM_MO) 리스트가 표시되는 표시부(120)와, 표시부(120)에 표시된 DRM 컨텐츠(DRM_MO)를 선택하고, 선택된 DRM 컨텐츠(DRM_MO)의 상세 정보(Detail_Info)를 지시할 수 있는 키입력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부(120)는 다수개의 DRM 컨텐츠(DRM_MO) 리스트가 표시되어 있으며, 그 중 중앙에 배치된 DRM 컨텐츠(DRM_MO)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지정된다. 지정된 DRM 컨텐츠(DRM_MO)는 인접한 DRM 컨텐츠(DRM_MO)과 구별되기 위하여 테두리에 색이 반전되는 등의 하이라이트된 효과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DRM 컨텐츠(DRM_MO)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RM 컨텐츠(DRM_MO)의 파일 특성을 나타내는 아이콘 영역(122), 상세 정보(Detail_Info)가 표시되는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 DRM 컨텐츠(DRM_MO)의 파일 명을 나타내는 영역 및 상기 표시부(120)에 등재된 리스트가 DRM 컨텐츠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영역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세 정보 표시 영역(124)에 표 시되는 상세 정보(Detail_Info)는 상기 키입력부(140) 중 특정 키에 맵핑된 상세 정보 항목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20)는 키입력부(140)의 키입력 예를 들면 문자"P"가 입력되면, 재생 제한 항목에 해당하는 상세 정보(Detail_Info)를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재생 제한 항목에 포함된 "Play" 텍스트를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Play"의 재생 제한 권한의 크기를 나타내는 "바(Bar)" 형태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8a에 도시된 표시부(120)는 상세 정보(Detail_Info)의 항목 중 재생 제한 항목을 디폴트(Default)로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20)는 키입력부(140)의 키입력 예를 들면 문자 "D"가 입력되면, 표시 제한 항목에 해당하는 상세 정보(Detail_Info)가 표시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상기 표시부(120)는 "D" 문자가 입력되면, 표시 제한 항목에 해당하는 "Display" 텍스트를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Display"의 권한의 크기를 나타내는 "바(Bar)" 형태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입력부(140) 입력에 따른 상세 정보(Detail_Info) 표시 방법은 상술한 재생 제한 항목과 표시 제한 항목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세 정보(Detail_Info) 항목 예를 들면, 실행 제한 항목 "exeCute", 프린트 제한 항목 "prinT" 및 외부 전송 항목 "eXport"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세 정보(Detail_Info) 항목 중 특정 항목을 지정하는 키입력부(140)는 상기 각 상세 정보(Detail_Info) 항목을 특정 문자나 단어와 맵핑될 수 있다. 즉, 상기 재생 제한 항목은 "P", 상기 표시 제한 항목은 "D", 상기 실행 제한 항목은 "C", 상기 프 린트 제한 항목은 "T", 상기 외부 전송 항목은 문자 "X"와 같이 다양한 문자에 맵핑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각 항목은 키입력부(140)의 각 키에 두개 이상의 문자가 맵핑된 경우, 키입력 활성화 시, 첫 번째로 입력되는 문자에 매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아이콘 영역을 이용한 상세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20)는 DRM 컨텐츠(DRM_MO)들을 리스트 형태로 표시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표시부(120)는 3개의 DRM 컨텐츠(DRM_MO) 리스트가 표시되며, 첫 번째 리스트에 등재된 DRM 컨텐츠는 음표 형태의 이미지가 표시된 아이콘 영역과, 제목 "미녀-이기찬.wmp" 및 DRM 컨텐츠 여부를 나타내는 이미지 영역을 포함한다. 그리고 두 번째 리스트에 등재된 DRM 컨텐츠는 산 형태의 이미지가 표시된 아이콘 영역(122)과 제목 "우아한 세계.CD" 및 DRM 컨텐츠 여부를 나타내는 이미지 영역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리스트에 등재된 DRM 컨텐츠는 음표 이미지가 표시된 아이콘 영역과, 제목 "마음의 소리.wmp"을 나타내는 영역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 영역을 이용한 상세 정보 표시 방법을 두 번째 리스트에 등재된 DRM 컨텐츠를 대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9b를 참조하면, 두 번째 DRM 컨텐츠는 아이콘 영역(122)이 도 9a에 도시된 영역에 비하여 흐리게 표시된다. 이는 상기 DRM 컨텐츠의 재생 또는 표시 제한 권한의 크기가 처음 설정 값에 비하여 작은 것을 의미한다. 즉, 예를 들어, DRM 컨텐츠의 재생 또는 표시 제한이 횟수로 100번의 가능 횟수를 가질 경우, 상기 흐릿한 상태 즉 명도나 채도 값에 따라, 대략적으로 100번의 권한 횟수 중 남은 권한 횟수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9a에 도시된 두 번째 DRM 컨텐츠의 아이콘 영역(122)의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가 100번의 권한 가능 횟수를 모두 포함하는 상태라면, 상기 도 9b에 도시된 아이콘 영역(122)의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은 약 50번의 권한 가능 횟수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가 등재되지 않은 아이콘 영역(122)의 명도 및 채도 상태는 해당 DRM 컨텐츠의 재생 또는 표시 가능 횟수가 0번의 권한 횟수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 영역(122)을 이용한 상세 정보 표시 방법은 특정 권한의 크기를 아이콘 영역(122)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흐림 및 짙음 즉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차이를 이용하여 대략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 정보 표시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 지정된 DRM 컨텐츠(DRM_MO)에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 예에서, 지정된 DRM 컨텐츠(DRM_MO)뿐만 아니라, 표시부(120)에 표시된 목록 전체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 정보 표시 방법은 상기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 잔량 여부에 따라, 진동을 이용한 알람 수행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표시부(120)에 표시된 특정 DRM 컨텐츠(DRM_MO)를 단말기 사용자가 지정하 는 경우, 상기 지정된 DRM 컨텐츠(DRM_MO)의 잔량을 검사하여, 기 설정된 값 이하일 경우, 진동을 통한 알람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전체 DRM 컨텐츠(DRM_MO) 재생 횟수가 20회일 경우, 1회 또는 2회의 재생 잔량이 남았을 경우, 진동 알람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전체 DRM 컨텐츠(DRM_MO)의 재생 기간이 100일일 경우, 1일 또는 2일의 재생 기간이 남았을 경우에도 동일하게 진동 알람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본 발명의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DRM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DRM 컨텐츠 리스트들이 표시되는 영역상에서 직관적이며, 직접적으로 표시하여 DRM 컨텐츠의 재생 권한 및 DRM 컨텐츠의 상세 정보에 대한 획득이 용이하다.

Claims (23)

  1. DRM 컨텐츠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DRM 컨텐츠 목록을 표시하는 목록 표시 과정; 및
    상기 DRM 컨텐츠의 특성 및 상기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상세 정보를 DRM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 상에 표시하는 상세 정보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DRM 컨텐츠의 재생 제한 항목, 상기 DRM 컨텐츠의 표시 제한 항목, 상기 DRM 컨텐츠의 실행 제한 항목, 상기 DRM 컨텐츠의 프린트 출력 제한 항목, 상기 DRM 컨텐츠의 외부 출력 제한 항목, 상기 DRM 컨텐츠의 근거리 통신 가능 제한 항목을 포함하는 라이센스 부가 정보 및 상기 DRM 컨텐츠를 설명하는 부가 정보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 표시 과정은
    상기 DRM 컨텐츠 목록 각각에 해당 상세 정보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표시하는 과정 또는
    상기 DRM 컨텐츠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DRM 컨텐츠의 상세 정보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표시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 표시 과정은
    상기 상세 정보 항목 중 제 1 항목을 표시하는 과정; 및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 1 항목을 삭제하고 상기 제 1 항목과 다른 제 2 항목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 표시 과정은
    상기 제 1 항목 또는 상기 제 2 항목에 해당하는 권한의 크기를 특정 이미지나 문자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 표시 과정은
    상기 상세 정보 항목 중 제 1 항목을 일정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 1 항목을 일정 영역 내에서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삭제시키고, 상기 상세 정보 항목 중 제 2 항목을 상기 제 1 항목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며 상기 일정 영역 상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 표시 과정은
    상기 제 1 항목 또는 상기 제 2 항목에 해당하는 권한의 크기를 특정 이미지나 문자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 표시 과정은
    상기 상세 정보 항목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상세 정보 항목에 해당하는 권한의 크기를 상기 아이콘과 인접한 영역 상에 특정 이미지나 문자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 표시 과정은
    상기 DRM 컨텐츠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과정; 및
    상기 지정된 DRM 컨텐츠를 지시하며 상기 상세 정보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버블 텍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 표시 과정은
    단말기 주변을 스캐닝하는 과정;
    현재 단말기가 이용 가능한 기능을 인식하는 과정; 및
    상기 인식된 기능에 해당하는 텍스트나 이미지를 상기 DRM 컨텐츠 목록 중 해당 DRM 컨텐츠의 일정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 표시 과정은
    상기 상세 정보 항목을 특정 키신호에 맵핑하는 과정;
    입력되는 키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키신호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 항목을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검출된 상세 정보 항목을 상기 DRM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 표시 과정은
    상기 상세 정보 항목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해당 상세 정보 항목의 권한의 크기를 검출하는 과정; 및
    상기 검출된 권한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에 포함된 상기 DRM 컨텐츠의 권한 크기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진동 알람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14. DRM 컨텐츠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DRM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DRM 컨텐츠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DRM 컨텐츠의 특성 및 상기 DRM 컨텐츠의 라이센스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정의하는 상세 정보를 해당 DRM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DRM 컨텐츠의 재생 제한 항목, 상기 DRM 컨텐츠의 표시 제한 항목, 상기 DRM 컨텐츠의 실행 제한 항목, 상기 DRM 컨텐츠의 프린트 출력 제한 항목, 상기 DRM 컨텐츠의 외부 출력 제한 항목, 상기 DRM 컨텐츠를 설명하는 부가 정보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 정보 항목들을 상기 표시된 DRM 컨텐츠 목록 전체에 표시하도록 제어거나,
    상기 목록 중 지정된 DRM 컨텐츠에만 표시하도록 제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 정보 항목들을 일정 영역 내에서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표시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 정보 항목들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이미지들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상세 정보 항목들의 권한 크기 정보에 해당하는 제 2 이미지들을 상기 제 1 이미지들의 인접 영역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 정보 항목에 해당하는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상세 정보 항목들의 권한 크기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DRM 컨텐츠 지정 시 상기 상세 정보 항목을 상기 표시된 DRM 컨텐츠의 일정 영역 상에 버블 텍스트 형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변을 스캐닝하여 현재 이용 가능한 기능을 검출하고, 검출된 기능에 해당하는 상세 정보 항목을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 정보 항목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되, 상기 상세 정보 항목의 권한 크기를 검출하고, 권한 크기에 따라 명도와 채도를 다르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 정보 항목에 포함되는 권한 크기를 검출하고, 권한 크기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일 경우, 진동 알람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035293A 2007-04-10 2007-04-10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KR100883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293A KR100883117B1 (ko) 2007-04-10 2007-04-10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EP08153070A EP1980969A3 (en) 2007-04-10 2008-03-20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DRM contents
US12/079,505 US20080256482A1 (en) 2007-04-10 2008-03-27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DRM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293A KR100883117B1 (ko) 2007-04-10 2007-04-10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022A true KR20080092022A (ko) 2008-10-15
KR100883117B1 KR100883117B1 (ko) 2009-02-11

Family

ID=3940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293A KR100883117B1 (ko) 2007-04-10 2007-04-10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256482A1 (ko)
EP (1) EP1980969A3 (ko)
KR (1) KR1008831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164B1 (ko) * 2008-12-04 2011-11-11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지원장치
US8326221B2 (en) * 2009-02-09 2012-12-0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proximity-based content synchronization
WO2012050251A1 (ko) * 2010-10-14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275198B2 (en) * 2011-12-06 2016-03-01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publishing content
US8805835B2 (en) * 2012-12-20 2014-08-12 Clipcar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large data sets
USD762723S1 (en) * 2013-06-21 2016-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9336332B2 (en) 2013-08-28 2016-05-10 Clipcard Inc. Programmatic data discovery platforms for computing applications
US9323906B2 (en) * 2013-09-04 2016-04-26 D2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enforcement
TW201539218A (zh) * 2014-02-17 2015-10-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與外部內容項目之間的編碼的關聯性
KR102642398B1 (ko) * 2015-06-22 2024-02-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786A (ja) 1999-09-01 2001-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著作権付き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AU2002249576A1 (en) * 2001-04-19 2002-11-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cense management system, license management device, relay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20040037070A (ko) * 2001-08-24 2004-05-04 버추얼 페이퍼 이미디어 솔루션즈 게엠베하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의 배포, 빌링, 지불 및 재생을 위한장치, 장비 및 방법
KR20030092964A (ko) * 2002-05-31 200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저작권 관련 표시방법
US7712034B2 (en) * 2003-03-24 2010-05-0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hell browser
US20050125405A1 (en) * 2003-04-18 2005-06-09 Kaleidescape, Inc. Distinct display of differentiated rights in property
JP4271483B2 (ja) * 2003-04-24 2009-06-03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処理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処理方法
US20040230806A1 (en) * 2003-05-14 2004-11-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gital content control includ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through dynamic instrumentation
KR100745995B1 (ko) * 2003-06-04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타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070100755A1 (en) * 2003-06-30 2007-05-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dentification of protected content items by means of icons
US20060008256A1 (en) * 2003-10-01 2006-01-12 Khedouri Robert K Audio visual player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of content distribution using the same
KR100643278B1 (ko) * 2003-10-22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저장 장치의 디지털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GB0413848D0 (en) * 2004-06-21 2004-07-21 British Broadcasting Corp Accessing broadcast media
US20060020904A1 (en) * 2004-07-09 2006-01-26 Antti Aaltonen Stripe user interface
US7559089B2 (en) * 2004-07-23 2009-07-07 Findaway World, Inc. Personal media player apparatus and method
US20060123360A1 (en) * 2004-12-03 2006-06-08 Picsel Research Limited User interfaces for data processing devices and systems
US7664081B2 (en) * 2004-12-22 2010-02-16 Nokia Corporation Wireless gateway for enabling wireless devices to discover and interact with various short-range services/devices
US7818350B2 (en) * 2005-02-28 2010-10-19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collaborative playlist
US20060224985A1 (en) * 2005-04-01 2006-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isplaying an event in a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20060224944A1 (en) * 2005-04-01 2006-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isplaying an event in a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7698223B2 (en) * 2005-04-21 2010-04-13 Microsoft Corporation Pluggable file-based digital rights management API layer for applications and engines
US7702590B2 (en) * 2005-09-19 2010-04-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rial access for media files from a media list
US7619999B2 (en) * 2005-10-03 2009-11-17 Sony Corporation Proximity based wireless network
US7620633B1 (en) * 2005-11-14 2009-11-17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ioritizing and sorting metadata to be displayed
JP4844365B2 (ja) * 2005-12-28 2011-12-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通信端末および情報通信方法、記録媒体、並びに、情報通信システム
US20070232269A1 (en) * 2006-03-31 2007-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urity device for digital content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9395905B2 (en) * 2006-04-05 2016-07-19 Synaptics Incorporated Graphical scroll wheel
US7421067B2 (en) * 2006-04-19 2008-09-02 Emotive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ology for peer-to-peer voice communication employing a pushed interactive multimedia announcement
US20070298840A1 (en) * 2006-06-02 2007-12-27 Findaway World, Inc. Personal media player apparatus and method
US20080071688A1 (en) * 2006-09-14 2008-03-20 Kevin Corbet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digital rights managed (DRM) licenses into a user interface
US7908219B2 (en) * 2006-11-03 2011-03-15 Microsoft Corporation Inbox management
US20080109911A1 (en) * 2006-11-03 2008-05-08 Microsoft Corporation Send/Lend Business Rights
US8806027B2 (en) * 2007-02-14 2014-08-12 Microsoft Corporation Nearby media device trac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117B1 (ko) 2009-02-11
EP1980969A3 (en) 2012-01-11
US20080256482A1 (en) 2008-10-16
EP1980969A2 (en)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117B1 (ko) Drm 컨텐츠 상세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US20240069689A1 (en) Method of dividing screen areas and mobile terminal employing the same
JP5356818B2 (ja) 電子機器用のグラフィカル・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US8984389B2 (en) Mobile terminal for setting bookmarking area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282259B1 (en) User interface method used in web browsing,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12029734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icons displayed by the electronic device
RU2630381C2 (ru) Перемещение функциональных возможностей приложения создания заметок
US9729691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multiple recording of data
CN106528252A (zh) 对象启动方法及装置
EP198125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according to call therein
CN106375874A (zh) 视频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服务器
KR20080093198A (ko)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컨텐츠 관리 방법
RU2603278C2 (ru) 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отображением,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контента и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KR20150009695A (ko)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101993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graphical effect in a mobile terminal
US7979093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preference item therein
KR100846101B1 (ko) 실시간 drm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휴대 단말기
CN106844717A (zh) 网页搜索显示方法及装置
KR101433146B1 (ko) 사용자 컨텐츠 업로드 방법 및 시스템
US20110234521A1 (en) Method for providing manual of portable terminal
CN107888781A (zh) 信息分享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06528182A (zh) 用户界面配置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0703437B1 (ko) 휴대단말기에서 대기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KR20060085072A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음악 파일 재생 방법
CN112462995A (zh) 界面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