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1666A -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1666A
KR20080091666A KR1020070034807A KR20070034807A KR20080091666A KR 20080091666 A KR20080091666 A KR 20080091666A KR 1020070034807 A KR1020070034807 A KR 1020070034807A KR 20070034807 A KR20070034807 A KR 20070034807A KR 20080091666 A KR20080091666 A KR 20080091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ow frequency
frequency
receiv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5889B1 (ko
Inventor
송인환
Original Assignee
송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환 filed Critical 송인환
Priority to KR1020070034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889B1/ko
Publication of KR20080091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12Analysing solids by measuring frequency or resonance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34Generating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29/348Generating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frequency characteristics, e.g. single frequency signals, chirp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44Processing the detected response signal,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더 상세하게는 발신기와 수신기로 구성되며, 상기 발신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소정의 저주파를 발진하는 저주파발진부와, 상기 저주파발진부를 통해 발진 된 저주파를 가청 주파수 대역을 초과하는 대역의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주파수변환앰프와, 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주파수변환앰프부를 통해 변환된 저주파를 공중으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주파수변환앰프부를 통해 변환된 저주파를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변환시키는 출력변환부와, 상기 출력변환부에 연결되어 탐지하고자 하는 선로에 연결되는 출력단자와, 상기 주파수변환앰프부를 통해 변환된 저주파를 상기 송신부 또는 상기 출력변환부 중 원하는 한곳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선택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신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송신부에서 발신된 저주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저주파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저주파 신호의 일정영역을 통과시켜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통과필터부와, 상기 대역통과필터부를 통해 출력되는 주파수의 신호크기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시키는 A/D변환부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읽어들여 대응되는 수신감도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정보를 디스플레이부측에 출력하고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인 가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읽어들여 대응되는 수신감도를 표시하기 위한 음향 제어정보를 음향부측에 출력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스플레이 제어정보에 따라 수신감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음향신호정보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부로 구성되는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벽 내부의 각종 배관의 하자 위치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고, 수많은 전선이 설치된 선로 중 자신이 찾고자 하는 전선을 식별함에 있어 피복을 제거하거나 전선을 단락시키지 않고, 선로에 전기가 통하는 상태에서도 빠르고 간편하게 원하는 전선을 식별해 낼 수 있으며, 전선의 합선시 합선 위치를 찾을 수 있으며, 이 모든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써 구현할 수 있는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저주파발신기, 배관탐지, 선로탐지

Description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 {detecting device of pipe and electrical wi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와 수신기의 외부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기 회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기 회로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기 회로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 수신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발신기 11 : 전원공급부
12 : 스위치부 13 : 저주파발진부
14 : 주파수변환앰프부 15 : 케이블
16: 송신부 17 : 출력변환부
18 : 출력단자 19 : 기능선택부
200 : 수신기 21 : 전원공급부
22: 스위치부 23 : 수신부
24 : 증폭부 25 : 대역통과필터부
26 : A/D변환부 27 : 중앙제어부
28 : 디스플레이부 29 : 음향부
30 : 접촉부
본 발명은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더 상세하게는 건물 벽 내부의 각종 배관의 막힌 위치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고, 수많은 전선이 설치된 선로 중 자신이 찾고자 하는 전선을 식별함에 있어 피복을 제거하거나 전선을 단락시키지 않고, 선로에 전기가 통하는 상태에서도 빠르고 간편하게 원하는 전선을 식별해 낼 수 있으며, 전선의 합선시 합선 위치를 찾을 수 있는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물 구축시 전기, 소방, 통신 선로를 설치하기 위해 전선이 삽입될 배관을 천정이나 벽 또는 바닥면의 내부에 거푸집과 함께 설치,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충진하고 설치된 배관 내부로 전선을 삽입하는 공법을 사용하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 충진 압력과 무게에 의해 배관들이 이탈하거나 손상되어 하자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 하자를 보수하기 위하여는 하자 위치 부분의 콘크리트를 부수고 내부의 손상된 배관을 상호 연결해야 하나 도면을 참조하여 하자 위치를 예측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신뢰성이 낮으며 또한 고주파를 이용한 하자위치 탐지 시스템이 개발되어 시중에 사용되고 있으나 고주파의 특성상 배관 주변에 살아있는 선로가 있으면 주파수가 방해받기 쉬우므로 하자 위치를 정확히 찾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 이 있었다.
또한, 전선이 다량 설치된 장소에서 찾고자 하는 전선의 식별작업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소방, 전기, 통신 선로의 시공 및 보수 공사시 전선이 다량 설치된 상태에서 원하는 전선의 식별을 위해 테스터(tester)를 사용하게 된다.
테스터를 사용하여 여러 가닥의 전선 중 자신이 원하는 전선을 찾기 위해서는 전선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어 있어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거나 단락시키는 작업이 필요하여 전선에 손상을 주었다. 또한, 전선이 길게 분포되어 있을 경우 작업자 두 명이 배치되어 한 작업자는 일측선단에 다른 작업자는 타측선단에 위치하여 테스터기 저항측정기능을 이용하여 여러 가닥 중 하나씩 측정하여 찾아야만 했다.
이와 같은 작업은 전선의 수가 많을수록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효율적이지 못하며 일측작업자와 타측작업자의 거리가 멀 경우 별도의 무전기를 사용하여 통화하면서 작업을 하여야 했으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건물 벽 내부의 각종 배관의 막힌 위치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고, 수많은 전선이 설치된 선로 중 자신이 찾고자 하는 전선을 식별함에 있어 피복을 제거하거나 전선을 단락시키지 않고, 선로에 전기가 통하는 상태에서도 빠르고 간편하게 원하는 전선을 식별해 낼 수 있으며, 전선의 합선시 합선 위치를 찾을 수 있는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건물 벽 속에 매입 설치된 배관의 하자 부위를 찾거나 다수의 전선이 있는 곳에서 원하는 전선을 찾는 작업에 있어서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벽 내부의 각종 배관의 막힌 위치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고, 수많은 전선이 설치된 선로 중 자신이 찾고자 하는 전선을 식별함에 있어 피복을 제거하거나 전선을 단락시키지 않고, 선로에 전기가 통하는 상태에서도 빠르고 간편하게 원하는 전선을 식별해 낼 수 있으며, 전선의 합선시 합선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며 이 모든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써 구현할 수 있는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소정의 저주파를 발진하는 저주파발진부와, 상기 저주파 발진부를 통해 발진 된 저주파를 가청 주파수 대역을 초과하는 대역의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주파수변환앰프부와, 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주파수변환앰프부를 통해 변환된 저주파를 공중으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주파수변환앰프부를 통해 변환된 저주파를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변환시키는 출력변환부와, 상기 출력변환부에 연결되어 탐지하고자 하는 선로에 연결되는 출력단자와, 상기 주파수변환앰프부를 통해 변환된 저주파를 상기 송신부 또는 상기 출력변환부 중 원하는 한곳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선택부로 이루어진 발신기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송 신부에서 발신된 저주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저주파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저주파 신호의 일정영역을 통과시켜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통과필터부와, 상기 대역통과필터부를 통해 출력되는 주파수의 신호크기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시키는 A/D변환부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읽어들여 대응되는 수신감도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정보를 디스플레이부측에 출력하고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읽어들여 대응되는 수신감도를 표시하기 위한 음향 제어정보를 음향부측에 출력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스플레이 제어정보에 따라 수신감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음향신호정보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부로 이루어진 수신기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와 수신기의 외부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기 회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기 회로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기 회로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 수신기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발신기 모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신기 회로의 블록도이 나 도 2 및 도 3을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도 4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에서 도시하듯이, 본 발명은 발신기(100)와 수신기(200)로 구성된다.
발신기(100)의 일측에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블(15)에 연결된 송신부(16)와 출력단자(18)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블(15)에 연결된 송신부(16)는 벽 속에 매입 설치된 배관의 하자 부위를 찾는데 이용되며 케이블(15)이 배관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전진 되도록 케이블(15) 내부에 플렉시블한 강선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력단자(18)는 다수의 전선이 있는 곳에서 원하는 전선을 찾는 작업에 사용되며 찾고자 하는 전선의 끝단을 집을 수 있도록 집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발신기(100)에는 기능선택부(19)가 구비되어 벽 속에 매입 설치된 배관의 하자 부위를 찾거나 다수의 전선이 있는 곳에서 원하는 전선을 찾는 작업 중 하고자 하는 작업을 위한 기능을 선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에서 도시하듯이, 발신기(1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1)와,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부(12)와, 상기 전원공급부(11)에서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소정의 저주파를 발진하는 저주파발진부(13)와, 상기 저주파발진부(13)를 통해 발진 된 저주파를 가청 주파수 대역을 초과하는 대역의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주파수변환앰프부(14)와, 케이블(15)에 연결되어 상기 주파수변환앰프부(14)를 통해 변환된 저주파를 공중으로 송신하는 송신부(16)와, 상기 주파수변환앰프부(14)를 통해 변환된 저주파를 출력단자(18)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변환시키는 출력 변환부(17)와, 상기 출력변환부(17)에 연결되어 탐지하고자 하는 선로에 연결되는 출력단자(18)와, 상기 주파수변환앰프부(14)를 통해 변환된 저주파를 상기 송신부(16) 또는 상기 출력변환부(17) 중 원하는 한곳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선택부(19)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서 도시하듯이, 수신기(2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1)와,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부(22)와, 상기 송신부(16)에서 발신된 저주파를 수신하는 수신부(23)와, 상기 수신부(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30)와, 상기 수신부(23)에서 수신된 저주파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는 증폭부(24)와, 상기 증폭부(24)에서 증폭된 저주파 신호의 일정영역을 통과시켜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통과필터부(25)와, 상기 대역통과필터부(25)를 통해 출력되는 주파수의 신호크기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시키는 A/D변환부(26)와, 상기 A/D변환부(26)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읽어들여 대응되는 수신감도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정보를 디스플레이부(28)측에 출력하고 상기 A/D변환부(26)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읽어들여 대응되는 수신감도를 표시하기 위한 음향 제어정보를 음향부(29)측에 출력하는 중앙제어부(27)와, 상기 중앙제어부(27)로부터 인가되는 디스플레이 제어정보에 따라 수신감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8)와, 상기 중앙제어부(27)로부터 인가되는 음향신호정보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부(29)로 구성된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물 벽 속에 매입 설치된 배관의 하자 부위를 찾는 작업에 있어서,
배관에 본 발명의 케이블(15)이 연결된 송신부(16)를 삽입/전진 시킨다. 이와 같이 이동 전진 되는 송신부(16)는 배관의 하자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더 이상 이동/전진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발신기 본체(100)의 스위치부를 켜면, 상기 전원공급부(11)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어 저주파발진부(13)로부터 소정의 저주파가 발진 되며, 발진 된 저주파는 주파수변환앰프부(14)를 통해 가청대역을 넘는 대역의 저주파로 변환되어 송신부(16)를 통해 공중으로 송신된다.
이렇게 송신된 저주파는 수신기(200)에 의해 검출되는데, 그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수신기(200)의 스위치부(22)를 켜고 벽면의 배관위치에 근접시키면, 송신부(16)의 위치에 가까울수록 디스플레이부(28)와 음향부(29)의 출력 강도가 강해짐으로 정확한 배관의 하자 위치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신기(200)의 동작상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수신부(23)에서 상기 송신부(16)에서 송신되는 저주파를 수신하고, 증폭부(24)는 수신된 저주파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며, 대역통과필터부(25)는 증폭된 저주파 신호의 일정영역을 통과시켜 잡음을 제거한다.
상기 대역통과필터부(25)을 통과한 신호는 크기에 따라 A/D변환부(26)를 통해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되어 중앙제어부(27)로 인가되며, 중앙제어부(27)에서는 상기 A/D변환부(26)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읽어들여 대응되는 수신감도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제어신호와 음향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제어신호는 디스플레이부(28)로 음향제어신호는 음향부(29)로 각각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부(28)와 음향부(29)를 작동시킴으로써 정확한 배관의 하자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전선이 있는 곳에서 원하는 전선을 찾는 작업에 있어서,
전선 끝단의 단자부를 본 발명의 출력단자(18)에 부착된 집게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사용자가 발신기 본체(100) 기능선택부(19)를 해당 작업 위치로 조절 후 본체(100)의 스위치부를 켜면, 상기 전원공급부(11)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어 저주파발진부(13)로부터 소정의 저주파가 발진 되며, 발진 된 저주파는 주파수변환앰프부(14)를 통해 가청대역을 넘는 대역의 저주파로 변환되고, 출력변환부(17)를 통해 주파수변환앰프부(14)를 통해 변환된 저주파는 출력단자(18)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변환되어 출력단자(18)가 연결된 전선을 통해 송신된다.
이렇게 송신된 저주파는 수신기(200)에 의해 검출되는데, 그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수신기(200)의 스위치부(22)를 켜고 다수의 전선을 하나 하나씩 수신기에 가까이 접근시키다가 찾고자 하는 전선이 수신기(200)에 접근할 때 디스플레이부(28)와 음향부(29)의 출력 강도가 강해짐으로 찾고자 하는 전선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출력단자(18)를 이용하여 원하는 전선을 찾아내는 방법에 있어서 선로가 살아 있어 전선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라도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원하는 전선을 찾는 작업이 가능하며,
전선에 전류가 흐르지 않거나 인체에 해를 끼칠 정도의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면 수신기(200)의 접촉부(30)에 한 손의 일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다른 손을 이용 하여 여러 가닥의 전선을 하나하나 만져가며 원하는 전선을 찾고, 저주파가 발진 되는 전선을 손으로 잡게 되면 신체를 통해 전달된 저주파가 수신기(200)의 접촉부(30)를 통해 수신부(21)에 전달되므로 디스플레이부(28)와 음향부(29)에 출력이 감지되므로 편리하게 원하는 전선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두 가닥으로 이루어진 전선에 있어서 전선의 어느 부분에서 합선이 발생하였을 경우 발신기(100)의 출력단자(18)를 두 가닥의 전선에 각각 연결하고 저주파를 흘려넣을 경우, 수신기(200)를 전선에 가까이하고 전선을 따라 지나갈 때 수신기(200)가 합선된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부(28)와 음향부(29)의 출력 강도가 약해짐으로 이를 이용하여 합선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저항값이 작은 재료로 구성된 구조물 내에서 전기설비에 발신부(100)의 출력단자(18)를 연결하고 저항값이 작은 재료로 구성된 구조물에 수신기(200)를 가까이함으로 누전 여부를 확인하는데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종사하는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는 건물 벽 내부의 각종 배관의 막힌 위치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고, 수많은 전선이 설치된 선로 중 자신이 찾고자 하는 전선을 식별함에 있어 피복을 제거하거나 전선을 단락시키지 않고, 선로에 전기가 통하는 상태에서도 빠르고 간편하게 원하는 전선을 식별해 낼 수 있으므로 인력과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 모든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고 소형화하여 뛰어난 휴대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소정의 저주파를 발진하는 저주파발진부와,
    상기 저주파 발진부를 통해 발진된 저주파를 가청 주파수 대역을 초과하는 대역의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주파수변환앰프부와,
    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주파수변환앰프부를 통해 변환된 저주파를 공중으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주파수변환앰프부를 통해 변환된 저주파를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변환시키는 출력변환부와,
    상기 출력변환부에 연결되어 탐지하고자 하는 선로에 연결되는 출력단자와,
    상기 주파수변환앰프부를 통해 변환된 저주파를 상기 송신부 또는 상기 출력변환부 중 원하는 한곳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선택부로 이루어지는 발신기;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송신부에서 발신된 저주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저주파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저주파 신호의 일정영역을 통과시켜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통과필터부와,
    상기 대역통과필터부를 통해 출력되는 주파수의 신호크기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시키는 A/D변환부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읽어들여 대응되는 수신감도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제어신호와 음향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제어신호는 디스플레이부로 음향제어신호는 음향부로 각각 출력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스플레이 제어정보에 따라 수신감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음향신호정보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부로 이루어지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
  2.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소정의 저주파를 발진하는 저주파발진부와,
    상기 저주파 발진부를 통해 발진된 저주파를 가청 주파수 대역을 초과하는 대역의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주파수변환앰프부와,
    케이블에 연결되어 상기 주파수변환앰프부를 통해 변환된 저주파를 공중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로 이루어지는 발신기;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발신기의 송신부에서 발신된 저주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저주파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저주파 신호의 일정영역을 통과시켜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통과필터부와,
    상기 대역통과필터부를 통해 출력되는 주파수의 신호크기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시키는 A/D변환부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읽어들여 대응되는 수신감도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제어신호와 음향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제어신호는 디스플레이부로 음향제어신호는 음향부로 각각 출력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스플레이 제어정보에 따라 수신감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음향신호정보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부로 이루어지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
  3.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소정의 저주파를 발진하는 저주파발진부와,
    상기 저주파 발진부를 통해 발진된 저주파를 가청 주파수 대역을 초과하는 대역의 주파수로 변환시키는 주파수변환앰프부와,
    상기 주파수변환앰프부를 통해 변환된 저주파를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변환시키는 출력변환부와,
    상기 출력변환부에 연결되어 탐지하고자 하는 선로에 연결되는 출력단자로 이루어지는 발신기;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송신부에서 발신된 저주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저주파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저주파 신호의 일정영역을 통과시켜 잡음을 제거하는 대역통과필터부와,
    상기 대역통과필터부를 통해 출력되는 주파수의 신호크기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시키는 A/D변환부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읽어들여 대응되는 수신감도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제어신호와 음향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제어신호는 디스플레이부로 음향제어신호는 음향부로 각각 출력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디스플레이 제어정보에 따라 수신감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음향신호정보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부로 이루어지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
KR1020070034807A 2007-04-09 2007-04-09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 KR100885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807A KR100885889B1 (ko) 2007-04-09 2007-04-09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807A KR100885889B1 (ko) 2007-04-09 2007-04-09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666A true KR20080091666A (ko) 2008-10-14
KR100885889B1 KR100885889B1 (ko) 2009-02-26

Family

ID=4015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807A KR100885889B1 (ko) 2007-04-09 2007-04-09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5801A1 (ko) * 2016-12-09 2018-06-14 윤명섭 지하매설 배관의 피복손상 탐지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434B1 (ko) * 2014-10-29 2016-02-26 박후곤 휴대용 선로 식별 장치
KR200492001Y1 (ko) 2018-11-14 2020-07-21 정영섭 생산 제품 흡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0924A (ja) * 1992-06-08 1993-12-24 Ono Sokki Co Ltd 超音波探傷装置
JPH0627091A (ja) * 1992-07-07 1994-02-04 Nkk Corp 超音波探触子
KR100441757B1 (ko) * 2001-10-23 2004-07-30 한국산업안전공단 용접부에 대한 초음파 다중 스캐닝 탐상장치
JP2006184246A (ja) * 2004-12-28 2006-07-13 Togami Electric Mfg Co Ltd 配線路探査用受信器、それを使用した配線路探査器及び配線路探査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5801A1 (ko) * 2016-12-09 2018-06-14 윤명섭 지하매설 배관의 피복손상 탐지시스템
KR20180066525A (ko) * 2016-12-09 2018-06-19 윤명섭 지하매설 배관의 피복손상 탐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5889B1 (ko)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45571A1 (en) System for the standoff detection of power line hazards
KR100885889B1 (ko) 배관 및 선로 탐지 시스템
KR101903548B1 (ko) 스마트폰 기반의 청음식 누수탐지장치
JP5455745B2 (ja) 異常レール特定装置
CN104749489A (zh) 一种基于振动信号的高压gis设备击穿性放电定位系统
JP2007143074A (ja) 電力線搬送通信システム及び電力線搬送通信用信号結合器
KR102104101B1 (ko) 스피커 고장 진단 기능을 갖는 안내 방송 시스템 및 방법
EP4046147B1 (en) Fire detection system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CN204613315U (zh) 智能防静电检测装置
WO2008023404A1 (fr) Système d&#39;identification de tuyaux et procédé d&#39;identification de tuyaux
CN102570439A (zh) 一种浪涌保护器的内置检测装置
JP2001324530A (ja) ケーブルの探知装置
CN111565555B (zh) 用于在挖掘期间检测地下电力电缆的存在的电磁频率(emf)检测安全铲
CN104316789A (zh) 智能防静电检测装置
KR100660156B1 (ko) 가스배관을 도파체로 하는 무선 타공사 감시 시스템
JP2016058049A (ja) 無線測定システム、無線センサ端末及び機器故障の予兆測定方法
CN203037798U (zh) 一种基于无线收发的便携式护层故障监测装置
KR101616224B1 (ko) 결함부위의 시각적 확인이 가능한 초음파 결함 검출기
JP6649107B2 (ja) 電話回線試験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話回線試験方法
CN205353287U (zh) 一种基于无线传输信号的电力设备超声波检测装置
JP6803005B2 (ja) 事故点探査装置用試験器および事故点探査装置の試験方法
JP6185378B2 (ja) 火災報知設備用無線機器
RU1781504C (ru) Устройство обнаружени повреждений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сети с жидким наполнителем
KR101103162B1 (ko) 침입/화재 경보시스템의 무선 테스트 장치
KR101235593B1 (ko) 공조 시스템의 배관 거리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