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0720A -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 - Google Patents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0720A
KR20080090720A KR1020070033896A KR20070033896A KR20080090720A KR 20080090720 A KR20080090720 A KR 20080090720A KR 1020070033896 A KR1020070033896 A KR 1020070033896A KR 20070033896 A KR20070033896 A KR 20070033896A KR 20080090720 A KR20080090720 A KR 20080090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ound
contact
vibration unit
sk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식
Original Assignee
최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식 filed Critical 최성식
Priority to KR102007003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0720A/ko
Priority to PCT/KR2008/001711 priority patent/WO2008123667A1/en
Publication of KR20080090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04S3/004F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2Plurality of transducer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ound channels in each earpiece of headphones or in a singl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7Synergistic effects of band splitting and sub-band proces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서, 음향의 최종 전달판인 접촉판이 해당 음향을 전달받는 접촉부위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되며, 외부 음향 발생기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따라 자성을 가진 내부의 마그넷이 진동하여 해당 진동에 의한 음향을 직·간접적으로 접촉부위에 전달하는 진동 유닛; 및 상기 진동유닛의 진동을 두개골에 전달하는 진동 전달편을 포함하되, 상기 진동 전달편은 상기 진동 유닛의 접촉판과 접촉되며, 두개골에 밀착되어 접촉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두개골에 상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접촉판으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을 상기 두개골에 고루 전달하는 헤드 밴드부; 및 상기 헤드 밴드부의 양 말단부에 형성되며 귀 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헤드 밴드부를 따라 두개골에 전달되고 나머지 음향을 상기 귀 부위에 전달하는 귀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HEADPHONE WITH VIBRATION SPEAK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의 내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에 구비되는 간접형 진동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에 구비되는 간접형 진동유닛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유닛을 구비하여 다채널 출력이 가능하도록 실시된 헤드폰의 내부 단면도.
본 발명은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귀마개구조의 외피 내부에 진동 전달편 및 진동유닛인 진동스피커가 내설되도록 하여, 음향 발생기로부터 발생되어 진동유닛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진동이 귀마개의 뼈대로 이용되는 딱딱한 철심이나 플라스틱에 전달됨에 따라 해당 음향진동이 두부(頭部) 전체에 분산되어 고루 전달되도록 하며 또한, 음향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이 다채널로 음분리되어 출력되도록 함에 따라 영화감상시 출력되는 음향을 진동음향으로서 청각의 손실 없이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골도 진동 스피커는 일반 스피커와 달리 전기적 신호를 진동신호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진동신호를 달팽이관에 전달함으로써 음을 청취하는 것으로 현재까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공기 전도음의 경로인 외이와 중이에 장애가 있는 전음성 난청의 청각 장애인의 경우 뼈의 진동을 통해 음성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골도 청각을 이용할 수 있고, 일반 정상 청력인은 기도 청각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청취하게 되지만 정상인도 골도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을 청취하는 것은 장애인과 동일하다.
하지만, 종래의 진동형 헤드폰은 헤드밴드와 그 양 사이드에 구비된 진동 스피커로 구성되는데, 상기 진동 스피커가 접촉되는 부위에 음향 출력기에서 출력되는 음향 진동이 집중적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진동형 헤드폰의 장시간 사용시 진동 스피커가 접촉된 부위는 통증이 생기고 뇌에 자극이나 무리를 주게 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진동형 헤드폰은 다채널 구현이 불가능해 다채널로 출력되는 음향을 제대로 사용자에게 전달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귀마개구조의 외피 내부에 진동 전달편 및 진동유닛인 진동스피커가 내설되도록 하여, 음향 발생기로부터 발생되어 진동유닛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진동이 귀마개의 뼈대로 이용되는 딱딱한 철심이나 플라스틱에 전달됨에 따라 해당 음향진동이 두부(頭 部) 전체에 분산되어 고루 전달되도록 하며 또한, 음향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이 다채널로 음분리되어 출력되도록 함에 따라 영화감상시 출력되는 소리 및 음향 발생기가 발생하는 음향을 다채널의 진동음향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향의 최종 전달판인 접촉판(110)이 해당 음향을 전달받는 접촉부위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되며, 외부 음향 발생기(400)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따라 자성을 가진 내부의 마그넷(150)이 진동하여 해당 진동에 의한 음향을 직·간접적으로 접촉부위에 전달하는 진동 유닛(100); 및 상기 진동유닛(100)의 진동을 두개골에 전달하는 진동 전달편(210, 210`)을 포함하되, 상기 진동 전달편(210, 210`)은 상기 진동 유닛(100)의 접촉판(110)과 접촉되며, 두개골에 밀착되어 접촉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두개골에 상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접촉판(110)으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을 상기 두개골에 고루 전달하는 헤드 밴드부(210a, 210`a); 및 상기 헤드 밴드부(210a, 210`a)의 양 말단부에 형성되며 귀 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헤드 밴드부(210a, 210`a)를 따라 두개골에 전달되고 나머지 음향을 상기 귀 부위에 전달하는 귀 접촉부(210b, 21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귀접촉부(210b, 210`b)는 중앙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음향 발생기(400)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음향 이외의 외부 소리도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 전달편(210, 210`)은 좌측 진동 전달편(210) 및 우측 진동 전달편(210`)으로 분리되며, 각 좌우 진동 전달편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각각의 진동유닛에 접촉되어, 상이한 음향을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측 진동 전달편(21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독립된 진동 전달편(211, 212)으로 분리되고, 상기 우측 진동 전달편(21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독립된 진동 전달편(211`, 212`)으로 분리되며, 해당 전달편들이 각각의 진동유닛과 접촉함에 따라 다채널로 진동음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 전달편(210, 210`)에 접촉하는 상기 진동유닛(100)에 구비된 접촉판(110)의 접촉면적은 해당 진동음향의 전달범위와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간접형 진동 스피커를 일례로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직·간접스피커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종래 귀마개구조의 외피 내부에 진동 전달편 및 진동유닛인 진동스피커가 내설되도록 하여, 음향 발생기(400)로부터 발생되어 진동유닛(100)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진동이 귀마개의 뼈대로 이용되는 딱딱한 철심이나 플라스틱에 전달됨에 따라 해당 음향진동이 두부(頭部) 전체에 분산되어 고루 전달되도록 하며 또한, 음향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이 다채널로 음분리되어 출력되 도록 함에 따라 청각 장애인들도 영화감상시 출력되는 소리 및 음향 발생기가 발생하는 소리를 더욱 실감나게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접 진동형 헤드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은 진동유닛(100), 진동 전달편(210, 210`) 및 외피(300)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형 진동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접형 진동유닛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형 진동유닛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판(110), 내측 케이스(120), 제 1 텐션판(130), 음향 다이아프램(140), 마그넷(150), 마그넷 케이스(160), 마그넷 홀더(170), 제 2텐션판(180) 및 외측 케이스(19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측 케이스(120)와 외측 케이스(190)는 결합되어 해당 스피커의 전체외관을 이루게 되며, 해당 내측 케이스(120)의 개방된 내측면에는 상기 접촉판(110)이 구비되어 해당 케이스를 전체적으로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내측 케이스(120)는 기본적으로 내부음의 외부 유출을 차폐하는 구조로서 음원의 유출을 막고, 상기 외측 케이스(190)와 함께 스피커 유닛의 음상이 내부에서 가상의 무대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적 케이스로서 자석과 마그넷의 방자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구조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케이스(190)는 음의 반사판 기능을 하며 헤드폰 등에서의 적용시 외부로 돌출되는 스피커 유닛의 커버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내측 케이스(120)는 헤드셋의 헤드밴드와 연결되어, 해당 헤드밴드의 탄성에 의해 전체 스피커 몸체가 피부에 강하게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접촉판(110)은 인체 피부와의 접촉을 이루어 스피커의 음향을 피부로 전달해 주는 구조로서,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져 스피커 내부에서 진동되어 전달되는 음향을 피부에 부드럽게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접촉판(110)에는 상부에 넓은 면상의 피부 접촉 부위가 구비되어 해당 내측 케이스(120)의 개방된 상부면을 폐쇄시키게 되며, 하부의 중심부에는 길게 돌출된 관통핀(111)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접촉판(10)은 음원의 최종 전달판으로서 음의 구역별 강약을 조절하고 전달되는 음을 부드럽게 전달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제, 상기 스피커 유닛의 케이스(110, 190) 내부를 살펴보면, 상기 접촉판(10)에서 길게 돌출된 관통핀(111)은 해당 스피커 유닛의 내부에서 제 1 텐션판(130), 음향 다이아프램(140), 마그넷(150), 마그넷 케이스(160) 및 제 2 텐션판을 관통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음향 다이아프램(140)은 관통핀(111)에 의해 관통되어지며, 유닛 내부의 음향 진동을 해당 관통핀(111)에 전달해 접촉판(110)으로 유닛 내부의 음향이 전달되도록 한다. 해당 음향 다이아프램(140)은 더욱 가볍고 빠른 진동을 음향적으로는 무겁게 전달할 수 있도록 신소재인 마그네슘 계열의 재료로 제작도 수도 있다.
이러한 음향 다이아프램(140)의 하측에는 보이스코일(141)이 내열성 고무계열 강력 접착제에 의하여 하방으로 부착되게 되는데, 이러한 보이스코일(141)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인출선을 통해 인가받아 해당 진동유닛을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향 다이아프램(140)의 하부에서는 마그넷(150)과 마그넷 케이스(160)가 위치되며, 이러한 마그넷(150) 및 마그넷 케이스(160) 역시 그 중심 부위가 상기 접촉판(110)의 관통핀(111)에 의해 관통되어지게 된다.
이때, 중공된 형상으로서 자성을 가진 마그넷(150)은 금속 재질의 마그넷 케이스(160)의 하부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로 해당 마그넷 케이스(160)와 자력 및 본딩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네오디움(Neodymium) 마그넷이 사용되게 된다.
여기에서, 자기장 형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내부가 함몰된 함 형태의 상기 마그넷 케이스(160)에서 그 둘레면은 내부에 수용되는 마그넷(150)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해당 마그넷(150)이 수용되게 되며, 이러한 마그넷(150)과 마그넷 케이스(160)와의 이격된 공간에는 상기 보이스코일(141)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넷 케이스(160)의 원통 둘레에는 원통형상의 마그넷 홀더(170)가 접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마그넷 홀더(170)는 음의 일차적인 감쇄현상과 더불어 공기의 흐름을 한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구성되며 각 구성요소의 연 결을 결정짓는 본체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해당 마그넷(150)과 마그넷 케이스(160)와 마그넷 홀더(170)는 서로 접착되어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고정된 단일 유닛과 같이 내부에서 작용하게 된다.
여기에서 마그넷(150)과 마그넷 케이스(160)와 마그넷 홀더(170)는 초음파 진동 접착 및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그넷 홀더(170)의 개방된 상하부면에는 각각 제 1 텐션판(130)과 제 2 텐션판(180)이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 1 텐션판(130)과 제 2 텐션판(180) 역시 상기 접촉판(110)의 관통핀(111)에 의해 중앙이 관통되는 구조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텐션판(130)과 제 2 텐션판(180)은 얇은 판 형태로 제작되되, 관통핀(111)이 관통되는 중앙의 관통링(131, 181)을 중심으로 만곡 형상의 지지 가지(132, 182)들이 외주링(133, 183)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하 진동에 대하여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게 되어 구조의 텐션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은 상기 내피(300) 내부에 한 쌍의 진동 전달편(210, 210`)을 좌우대칭구조로 포함하는데, 해당 진동 전달편들(210, 210`) 각각은 사용자의 두부에 접촉하는 헤드 밴드부(210a, 210`b)와 귀 부위에 접촉하는 귀접촉부(210b, 210`b)로 형성되어 진다.
이하에서, 헤드폰의 좌측 부분에 구비된 전달편(210)과 해당 전달편(210)을 형성하는 헤드 밴드부(210a)와 귀 접촉부(210b)를 가지고 상세한 설명을 해나갈 것 이다.
한편, 상기 헤드 밴드부(210a)와 귀 접촉부(210b)는 일체형으로서 특히, 상기 헤드 밴드부(210a)는 사용자의 두부구조와 대응되는 구조이고, 상기 귀접촉부(220)는 원형의 철판으로서 그 중앙이 천공된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귀접촉부(210b)가 일부분이 개방된 원형의 철판으로 도시하였지만, 폐쇄된 완전한 원형으로 실시가능하다.
또한, 상기 헤드 밴드부(210a)는 상술한 진동유닛(100)과 접촉하여 진동음향의 일부를 두개골에 전달하고,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의 뼈대로서 헤드폰이 그 모양을 갖추도록 하며, 일정한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말단부에 형성된 귀접촉부(210b)를 귀 부위의 연골에 밀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귀접촉부(210b)의 중앙이 천공되어 있어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을 착용한 사용자는 음향발생기(400)로부터 발생된 음향을 진동음향으로 들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공기 중의 음파가 고막과 고실소골(鼓室小骨)을 통해 내이(內耳)로 전달되는 다른 소리도 들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귀접촉부(210b)의 중앙에 천공된 부분은 다수의 작은 구멍들이 형성된 천이나 철판 등으로 씌워져 귀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해당 헤드폰의 미관을 좋게 한다.
한편, 상기 외피(300)는 상술한 진동유닛(100)과 진동 전달편(210, 210`)을 내부에 포함하는 커버로서 외관을 깔끔하게 마무리하고 해당 진동유닛(100)과 진동 전달편(210, 21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제 1실시예로서, 도 1을 재참조하여 음향발생기(400)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의 전달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제 1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에 두 개의 진동 전달편(210, 210`)과 해당 진동 전달편(210, 210`) 각각에 진동유닛(100)이 구비된 대칭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진동유닛(100)은 좌우 대칭으로 상기 외피(300)에 삽입된 헤드 밴드부(210a)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음향발생기(400)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진동음향으로서 상기 진동 전달편(210)의 헤드 밴드부(210a)에 전달한다.
상기 진동 전달편(210)의 헤드 밴드부(210a)에 전달된 진동음향은 해당 헤드 밴드부(210a)에 일부 전달되며, 나머지 진동음향은 상기 헤드 밴드부(210a)를 경유하여 상기 귀접촉부(210b)에 전달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진동유닛(100)의 접촉판(110)이 상기 진동 전달편(210)의 헤드 밴드부(210a)와 직접 접촉하여 상기 음향 발생기(400)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상기 진동 전달편(210)에 전달하게 되는데, 상기 접촉판(110)은 음원의 최종 전달판으로서 음의 구역별 강약을 조절하고 전달되는 음을 부드럽게 철심으로 이루어진 딱딱한 상기 진동 전달편(210)의 헤드 밴드부(210a)로 전달한다.
상기 진동 전달편(210)이 딱딱한 철심인 이유는 해당 진동 전달편(210)이 상기 진동유닛(100)의 접촉판(110)으로부터 전달받은 진동음향을 흡수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자의 두부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헤드 밴드부(210a)로 전달된 진동음향은 다시 해당 헤드 밴드부(210a)를 통해 상기 귀접촉부(210b)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헤드 밴드부(210a)를 통해 상기 귀접촉부(210b)로 전달되는 동안 상기 진동음향은 상기 헤드 밴드부(210a)가 접촉하는 사용자의 두부에 대략 20%정도가 전달되고 나머지 80%정도가 상기 헤드 밴드부(210a)의 양 말단부에 형성된 귀접촉부(210b)를 통해 귀에 전달되게 된다.
상술한 설명은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진동 전달편(210, 210`)의 좌측에 위치한 진동 전달편(210) 만을 감안한 설명이며, 이러한 기능이 좌우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좌우에 균형적으로 진동음향이 전달되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제 2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헤드폰에 4 개의 진동 전달편(211, 212, 211`, 212`)과 각각의 진동 전달편(211, 212, 211`, 212`) 일단에 위치하는 4 개의 진동유닛(101, 102, 103, 104)으로 구비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 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진동 전달편(211, 212, 211`, 212`)과 진동유닛(101, 102, 103, 104)이 각각 2개씩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음향 발생기(400)로부터 발생하는 음향을 4채널로 헤드폰 착용자에게 전달하기 때문에 일측인 좌측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폰의 외피(300) 좌측 내부에는 두 개의 진동 전달편인 제 1진동 전달편(211) 및 제 2진동 전달편(212)이 구비되어 있고 각각의 두 진동 전달편(211, 212)에 접촉된 두 개의 진동유닛인 제 1 진동유닛(101) 과 제 2 진동유닛(102)이 구비되어 있다.
좌측에 구비된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 전달편(211, 222)은 서로 분리되어 상기 외피(300) 내부에 내설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 전달편(211, 212)의 일단으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유닛(101, 102)이 각각 위치한다.
이처럼 제 1실시예와는 다르게 진동 전달편과 진동유닛을 좌우측에 각각 두 개씩 내설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음향발생기(400)에서 음분리되어 나오는 음향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음향발생기(400)가 음향을 고음과 중저음으로 음분리시켜 발생시키면, 고음의 음향은 상기 제 1 진동유닛(101)을 통해 진동음향으로 제 1진동 전달편(211)에 전달됨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고음의 진동음향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중저음의 음향은 상기 제 2 진동유닛(102)을 통해 진동음향으로 제 2 진동 전달편(212)에 전달됨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중저음의 진동음향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은 상기 음향 발생기(400)로부터 음분리되어 발생되는 고음 및 중저음의 음향을 제 1 및 제 2 진동유닛(101, 102)과 제 1 진동 전달편 및 제 2 진동 전달편(211, 212)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함에 따라 다채널 구현이 가능하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좌측만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우측의 제 3 및 제 4 진동 전달편(211`, 212`)과 제 3 및 제 4 진동유닛(103, 104)에 대해서도 상기 음향 발생기(400)로부터 발생한 음향이 진동음향으로 사용자에 전달되는 과정이 동일 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접형 진동유닛이 구비된 헤드폰은 음향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진동음향으로 철심의 진동 전달편에 전달함으로써 두부와 귀부위에 고루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향 발생기로부터 고음 및 중저음으로 음분리된 진동음향이 각기 다른 진동 전달편에 전달됨에 따라 다채널의 구현이 가능해, 공기 중의 음파가 고막과 고실소골을 통해 내이로 전달되는 공기전도 방식으로는 음향을 듣지 못하는 청각 장애인들도 영화관에서의 다채널 음향을 들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음향의 최종 전달판인 접촉판(110)이 해당 음향을 전달받는 접촉부위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되며, 외부 음향 발생기(400)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따라 자성을 가진 내부의 마그넷(150)이 진동하여 해당 진동에 의한 음향을 직·간접적으로 접촉부위에 전달하는 진동 유닛(100); 및
    상기 진동유닛(100)의 진동을 두개골에 전달하는 진동 전달편(210, 210`)을 포함하되,
    상기 진동 전달편(210, 210`)은 상기 진동 유닛(100)의 접촉판(110)과 접촉되며, 두개골에 밀착되어 접촉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두개골에 상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접촉판(110)으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을 상기 두개골에 고루 전달하는 헤드 밴드부(210a, 210`a); 및
    상기 헤드 밴드부(210a, 210`a)의 양 말단부에 형성되며 귀 부위에 접촉되어 상기 헤드 밴드부(210a, 210`a)를 따라 두개골에 전달되고 나머지 음향을 상기 귀 부위에 전달하는 귀 접촉부(210b, 21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귀접촉부(210b, 210`b)는 중앙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음향 발생기(400)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음향 이외의 외부 소리도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편(210, 210`)은 좌측 진동 전달편(210) 및 우측 진동 전달편(210`)으로 분리되며, 각 좌우 진동 전달편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각각의 진동유닛에 접촉되어, 상이한 음향을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진동 전달편(21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독립된 진동 전달편(211, 212)으로 분리되고, 상기 우측 진동 전달편(21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독립된 진동 전달편(211`, 212`)으로 분리되며, 해당 전달편들이 각각의 진동유닛과 접촉함에 따라 다채널로 진동음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편(210, 210`)에 접촉하는 상기 진동유닛(100)에 구비된 접촉판(110)의 접촉면적은 해당 진동음향의 전달범위와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
KR1020070033896A 2007-04-05 2007-04-05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 KR20080090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896A KR20080090720A (ko) 2007-04-05 2007-04-05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
PCT/KR2008/001711 WO2008123667A1 (en) 2007-04-05 2008-03-27 Headphone with vibration 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896A KR20080090720A (ko) 2007-04-05 2007-04-05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720A true KR20080090720A (ko) 2008-10-09

Family

ID=3983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896A KR20080090720A (ko) 2007-04-05 2007-04-05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90720A (ko)
WO (1) WO20081236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349154U (en) * 2008-08-21 2009-01-11 Jetvox Acoustic Corp Dual frequency coaxial earphone with common magnet
US20130022220A1 (en) 2011-07-20 2013-01-24 Google Inc. Wearable Computing Device with Indirect Bone-Conduction Speaker
CN102497612B (zh) * 2011-12-23 2013-05-2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扬声器及其复合振动装置
US9288591B1 (en) 2012-03-14 2016-03-15 Google Inc. Bone-conduction anvil and diaphragm
US9185483B2 (en) 2013-11-19 2015-11-10 Marware, Inc. Headphones with removable headband pad
WO2016187867A1 (zh) * 2015-05-28 2016-12-01 苏州佑克骨传导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振子的耳罩式降噪耳机
US9973621B2 (en) 2015-11-23 2018-05-15 Google Llc Cross-device security scheme for tethered devices
US10289205B1 (en) 2015-11-24 2019-05-14 Google Llc Behind the ear gesture control for a head mountable device
US9998817B1 (en) 2015-12-04 2018-06-12 Google Llc On head detection by capacitive sensing BCT
US9936301B1 (en) 2016-06-07 2018-04-03 Google Llc Composite yoke for bone conduction transducer
US10178469B2 (en) 2016-06-07 2019-01-08 Google Llc Damping spring
US9998829B2 (en) 2016-06-27 2018-06-12 Google Llc Bone conduction transducer with increased low frequency performance
US9807490B1 (en) 2016-09-01 2017-10-31 Google Inc. Vibration transducer connector providing indication of worn state of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670B1 (ko) * 1994-10-07 1996-12-19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청각장애자용 골도 헤드폰
JP3207158B2 (ja) * 1998-05-11 2001-09-10 株式会社テムコジャパン 骨導スピ−カ−とマイクロホンを備えたヘッドセット
KR200321411Y1 (ko) * 2003-04-23 2003-07-31 (주)트윈 세이버 음향체감 진동 맛사지 헤드폰
KR200402566Y1 (ko) * 2005-01-31 2005-12-02 신광식 일반음향, 체감진동 및 골 전도기능, 진동모터 대체기능을 가지는 복합기능의 진동형 마이크로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23667A1 (en)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0720A (ko) 진동유닛을 구비한 헤드폰
KR101484650B1 (ko) 골전도 스피커 모듈 및 골전도 스피커 모듈이 구비된 골전도 이어폰
JP5473640B2 (ja) スピーカー装置
JP4548783B2 (ja) ヘッドホン
JP4940355B2 (ja) ドラムヘッドによるイヤホン
WO2017168903A1 (ja) 音響再生装置
US8213644B2 (en) Vibration speaker having comfortable contacting face plate and portable terminal
KR101537380B1 (ko) 골전도 스피커 모듈이 구비된 골전도 이어폰
US20020039427A1 (en) Audio apparatus
US10142735B2 (en) Dual mode headphone and method therefor
JP2003032768A (ja) ヘッドホン
JP7262850B2 (ja) 乳様突起及び耳介を同時に刺激する耳鳴り治療専用の骨伝導ヘッドセット
JP2007189673A (ja) 着用式導音装置
US11212610B2 (en) Hearing device
CN112911468A (zh) 一种骨传导发声装置及可穿戴设备
JPS5821267Y2 (ja) 受話器
KR100807787B1 (ko) 진동 스피커가 구비된 산모용 복대
CN112383865B (zh) 一种骨传导发声装置的使用方法
US20220264217A1 (en) Device for sound reproduction
JP2006174432A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これを用いたヘッドフォン、ヘッドレスト、枕
KR100769289B1 (ko) 귓바퀴를 진동시키는 진동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한 이어셋
KR100769290B1 (ko) 간접형 진동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JP7222352B2 (ja) 骨伝導音響伝達装置
CN111988696A (zh) 耳机
CN215379223U (zh) 一种骨传导发声装置及可穿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