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0029A -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0029A
KR20080090029A KR1020070032977A KR20070032977A KR20080090029A KR 20080090029 A KR20080090029 A KR 20080090029A KR 1020070032977 A KR1020070032977 A KR 1020070032977A KR 20070032977 A KR20070032977 A KR 20070032977A KR 20080090029 A KR20080090029 A KR 20080090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tation
state
data
neighbo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7009B1 (ko
Inventor
최진구
윤상보
박지현
고정하
김영용
손경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2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009B1/ko
Priority to US12/080,651 priority patent/US8514751B2/en
Publication of KR20080090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를 기설정하여 관리하는 중계국으로 송신하고, 데이터 송신시 수신할 중계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방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면 포함된 상기 수신할 중계국의 식별자를 상기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할 중계국에 따라 설정된 상태를 확인하여 설정된 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중계국을 포함하여 기지국의 셀 영역 내에 중계국 또는 이동국이 증가하여도 스케줄링을 위한 복잡도가 크게 증가하지 않고, 중계기에서 자체적으로 중계기의 상태를 판단하여 결정하기 때문에 기지국의 부하를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 동시전송 스케줄링, 중앙집중형 스케줄링

Description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PATIAL REUSE SCHEDULING IN MULTIHOP CELLULAR SYSTEM}
도 1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셀룰라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에서 이웃한 중계국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시전송 스케줄링이 가능한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중계국에서 동시전송 스케줄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중계국이 정지상태인 경우에 동시전송 스케줄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환경인 기지국과 중계국과 이동국의 위치분포를 도시한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동시전송 스케줄링 기법과 중앙집중형 스케줄링 기법의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수신측 중계국으로 데이터 송신시 상기 기지국에 속한 다른 중계국들은 수신측 중계국에 따라 기설정된 상태로 동작하며, 이때 기설정에 따른 상태가 정지상태인 중계국은 주변의 이웃 중계국의 상태를 추정하여 주변의 이웃 중계국의 상태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노트북 컴퓨터나, 핸드폰, PDA 및 MP3 등 수많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휴대한다. 대부분의 이러한 기기들은 상호연동 없이 독립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들이 중앙 제어 시스템의 도움 없이 스스로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할 경우, 각 기기들은 다양한 정보를 상호간에 손쉽게 공유하며, 그에 따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자들에게 새롭고 다양한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중앙 제어시스템의 도움 없이도 상기 휴개용 전자 기기들이 언제, 어디서나 각 기기들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무선 네트워크를 에드 혹(Ad hoc) 네트워크 또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네트워크라고 한다. 상기 에드 혹 네트워크는 1970년대부터 군사용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여 전쟁터 또는 재해/재난지역 등에서 응용되기도 했다.
한편, 최근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는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4세대(4G: 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속의 전송 속도를 가지면서도, 대용량의 다양한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을 가지는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4G 통신 시스템에는, 고속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많은 통화량을 수용하기 위해서 셀 반경이 매우 작은 셀들이 설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부각되고 있는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셀룰라 네트워크는,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통해 셀 서비스 영역을 넓히고 시스템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셀룰라 네트워크는, 고정된 기지국(BS: Base Station, 이하 'BS'라 칭하기로 한다)와 이동국(MS: Mobile station, 이하 ‘MS'로 칭하기로 한다) 간의 채널 상태가 열악할 경우, 상기 MS에게 중계국(RS: Relay Station, 이하 'RS'라 칭하기로 한다)를 통해 다중 홉 릴레이 경로를 구성함으로써, 채널 상태가 보다 우수한 무선 채널을 상기 MS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 등에 의해 차폐현상이 심한 음영지역에서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BS로부터 채널 상태가 열악한 셀 경계 지역에서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면 보다 고속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셀 서비스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셀룰라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다중 홉 셀룰라 시스템은 기지국(BS)(100), BS(100)에서 관리하는 중계국(RS)(110, 120)과, 이동국(MS)(112, 114, 122, 124, 126)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도 1과 같이 하나의 BS(100)는 다수의 RS(110, 120)를 관리하고 통신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포함된 하나의 RS(110)로 데이터 송신시 인접한 RS(120)는 그로 인해 간섭을 받게 된다. 즉, 상기 다중 홉 셀룰라 시스템에서 무선으로 통신하는 RS는 송/수신시 주변의 이웃한 RS로 간섭을 주게되고 또한 이웃한 RS로부터 간섭을 받는다. 이러한 간섭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처리량(처리량)을 높이는 방법으로 대표적으로 중앙집중형 스케줄링 기법이 존재한다.
상기 중앙집중형 스케줄링 기법은 모든 동시전송 경로 집합(link set)에 대하 용량(capacity)와 큐 길이(queue length)의 곱을 구해서 그 값이 가장 큰 동시전송 경로 집합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즉 가능한 모든 경우의 동시전송 경로 집합을 모두 검색하여 가장 용량이 크고 큐 길이가 긴 경로 셋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상기 중앙집중형 스케줄링 기법에 상세한 설명은 IEEE의 2005년도 논문(Viswanathan, H. and Mukherjee, S., "Performance of cellular networks with relays and centralized scheduling", Wireless Communications, IEEE Transactions on Sept. 2005)을 참조한다.
하지만, 상기 중앙집중형 스케줄링 기법은 MS의 수나 RS 수가 늘어남에 따라 복잡도(Complexity)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BS가 RS의 큐 길이(queue length) 를 알아야 하므로 추가적인 신호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제 용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각 링크의 SINR값이 필요한데 실제로는 BS가 각 링크의 SINR값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고, BS가 계산해서 얻은 동시전송 경로 집합대로 RS가 전송하려면 BS가 RS에게 그 결과를 알려줘야 하므로 그로 인한 시간지연이 있을 수밖에 없는 문제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에서 중계국 간의 간섭을 피하면서 링크를 최대한 활용하는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에서 수신 중계국에 따라 이웃 중계국의 상태를 기설정하여 저장하고, 기지국에서 데이터 전송시 각 중계국에서 수신하는 중계국을 확인하면 저장된 상기 기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중계국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에서 기설정에 따른 중계국의 상태가 정지상태이면 주변의 이웃 중계국의 상태를 추정하여 주변의 이웃 중계 국의 상태에 따른 간섭 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의 송신 여부를 결정하는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동시전송 스케줄링을 하는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은,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를 기설정하여 관리하는 중계국으로 송신하고, 데이터 송신시 수신할 중계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방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면 포함된 상기 수신할 중계국의 식별자를 상기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할 중계국에 따라 설정된 상태를 확인하여 설정된 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중계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동시전송 스케줄링을 하는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와, 이웃 중계기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면 포함된 수신할 중계국의 식별자를 상기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할 중계국에 따라 설정된 상태를 확인하여 설정된 상태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스케줄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중계국에서 동시전송 스케줄링하는 방법은, 동시전송이 가능한 중계 국들의 집합인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수신할 중계국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할 중계국의 정보와 저장된 상기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의 확인결과에 따라 설정된 상태에 상응하도록 동작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에서 수신 중계국에 따라 이웃 중계국의 상태를 기설정하여 저장하고, 기지국에서 데이터 전송시 각 중계국에서 수신하는 중계국을 확인하면 저장된 상기 기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중계국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에서 기지국(200)은 다수의 중계국(210 ~ 2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은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수신 중계국에 따른 간섭없이 동시전송이 가능한 중계국들을 확인하여 수신 중계국에 따른 다른 중계국들의 상태를 미 리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210)이 수신(Receive)상태의 중계국이면 간섭영향을 주지않는 중계국(230, 250)을 송신(Transmit)상태로 설정하고, 수신상태의 중계국 또는 송신상태의 중계국에 간섭을 줄 수 있는 나머지 중계국(220, 240, 260)을 정지(Shut down)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도 1에서와 같이 기설정에 의해 결정된 중계국의 설정된 수신상태를 이하의 설명에서 'R'로 표기하고, 설정된 송신상태를 'T'로 표기하고, 설정된 정지상태를 'S'로 표기한다. 한편 중계국의 상태는 설정된 상태와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실질적인 수신상태를 'r'로 표기하고, 실질적인 송신상태를 't'로 표기하고, 실질적인 정지상태를 's'로 표기한다.
본 발명에서 발생 가능한 설정된 상태와 실질적인 상태의 조합은 (R, r), (T, t), (T, s), (S, s), (S, t)이 가능하다. 즉, 기설정과 실질적인 동작이 같은 (R, r)는 수신상태로 설정되어 실질적으로 수신중인 경우이고, 기설정과 실질적인 동작이 다른 (T, s)는 송신상태로 설정되었으나 송신할 데이터가 없어 실질적으로 정지 상태인 경우이고, (S, t)는 정지상태로 설정되었으나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고 이웃 중계국에 간섭을 주지 않는 경우에 실질적으로 송신을 하는 상태이다.
그러면, 본 발명의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에서 중계국 간의 관계를 아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에서 이웃한 중계국 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에서 이웃한 중계국 간의 관계는 크게 2가 지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웃한 중계국 간의 관계 중에서 자신의 셀 영역 내에 속하는 이웃 중계국을 인접 이웃(C-NH : Close NeighborHood, 이하 ‘C-NH'로 칭하기로 한다.) 관계라 정의하고, 자신의 셀 영역 내에 속하지는 않지만 셀 영역끼리 중첩되는 이웃 중계국을 먼 이웃(f-NH : far NeighborHood, 이하 ‘f-NH'로 칭하기로 한다.) 관계라 정의한다. 그러면 상기 도 2의 참조하여 살펴보면, RS(310)의 셀 영역(312)에 RS(320, 330)이 속함으로 상기 RS(310)는 상기 RS(320, 330)와 각각 C-NH 관계이고, 상기 RS(320)의 셀 영역(322)와 상기 RS(330)의 셀 영역(332)이 중계국을 포함하지 않고 서로 중첩됨으로 상기 RS(320)와 상기 RS(330)는 서로 f-NH 관계이다.
그러면 이웃 중계국의 상태를 추정하여 동시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중계국을 아래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시전송 스케줄링이 가능한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계국은 제어부(400), 통신부(402), 메모리부(404), 버퍼부(406), 상태 기록부(408), 동시전송 판단부(410) 및, 스케줄링부(41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통신부(402)는 송신모뎀과 수신모뎀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기지국과 이동국과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과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이때, 상기 송신모뎀은 채널부호블록, 변조블록, RF송신블록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채널부호블럭은 채널 인코더(channel encoder), 인터리버(interleaver) 및 변조기(modulator) 등으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변조 블럭은 송신 데이터를 다수의 직교하는 부반송파들에 싣기 위한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연산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RF송신블럭은 필터(filter) 및 RF전처리기(front end unit)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수신모뎀은 RF수신블록, 복조블록, 채널복호블록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F수신블럭은 필터(filter) 및 RF전처리기(front end unit)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복조블럭은 FFT(Fast Fourier Transform)연산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채널복호블럭은 복조기(demodulato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채널 디코더(channel decod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404)는 상기 중계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응용 프로그램 및, 저장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중계국에 따른 인접 이웃(C-NH : Close NeighborHood) 중계국 리스트와 먼 이웃(f-NH : far NeighborHood) 중계국 리스트와 수신상태의 중계국에 따른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와 C-NH 중계국의 상태정보와, f-NH 중계국의 상태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C-NH 중계국의 상태정보는 상기 C-NH 중계국의 수신데이터량과 송신 데이터량의 기록정보이고, 상기 f-NH 중계국의 상태정보는 데이터프레임 수신시 확인 가능한 수신상태의 중계국에 따른 상기 f-NH 중계국의 기설정된 상태를 기록한 정보이다. 한편, 상기 메모리부(404)에 저장된 상기 수신상태의 중계국에 따른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정보는 기지국에 의해 통신 초기에 결정되어 수신한 정보로서 기지국은 통신 초기에 각 RS들의 C-NH의 중계국와 f-NH의 중계국을 확인 하고, 중계국들의 관계를 바탕으로 어떤 RS가 R상태이면 그 RS의 c-NH는 S상태, f-NH는 T상태로 하고, 어떤 RS가 T상태이면 그 RS의 c-NH는 S상태, f-NH도 S상태로 하는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를 기설정한다.
상기 버퍼부(406)는 상기 중계국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저장장소이다. 상기 상태 기록부(408)는 상기 C-NH 중계국의 상태정보와 상기 f-NH 중계국의 상태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모리부(404)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동시전송 판단부(410)는 상기 스케줄링부(412)의 확인에 따라 상기 중계국의 상태가 설정된 정지(S)상태이면, 이웃 중계국 설정된 상태를 확인하여 실질적인 송신상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간섭이 발생하는지 확인하여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동시전송 판단부(410)의 상세한 동작을 아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스케줄링부(412)는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퍼 프레임을 수신하면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수신상태의 중계국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부(404)에 저장된 상기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된 수신상태의 중계국에 따른 상기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설정된 상태가 수신상태(R)이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설정된 상태가 송신상태(T)이면 상기 버퍼부(406)에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면 데이터를 송신하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실질적인 정지상태(s)로 전환하고, 설정된 상태가 정지상태(S)이면 상기 동시전송 판단부(410)를 통해 동시전송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받고 가능하면 상기 설정된 정지상태(S)를 실질적인 송 신상태(t)로 전환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스케줄링부(412)에서 확인하는 수신상태의 중계국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퍼 프레임의 프리엠블 신호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태 기록부(408), 상기 동시전송 판단부(410), 상기 스케줄링부(412)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태 기록부(408), 상기 동시전송 판단부(410), 상기 스케줄링부(41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이들 모두를 제어부(4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을 상기 제어부(4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중계국 간의 간섭을 피하면서 링크를 최대한 활용하는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동시전송 스케줄링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중계국에서 동시전송 스케줄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계국은 500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동시전송이 가능한 중계국들의 집합인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5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면, 504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수신상태의 중계국을 확인하고, 506단계로 진행하여 저 장된 상기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상태의 중계국에 따른 상기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은 5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이 설정된 수신상태의 중계국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상기 중계국이 설정된 수신상태이면 5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하지만. 상기 508단계의 확인결과 상기 중계국이 설정된 수신상태가 아니면, 5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이 설정된 송신상태의 중계국인지 확인한다. 확인결과 상기 중계국이 설정된 송신상태의 중계국이면, 514단계로 진행하여 버퍼에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514단계의 확인결과 버퍼에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중계국은 51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의 상태를 설정된 송신상태와 같이 실질적인 송신상태로서 상기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신하고,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만약, 상기 514단계의 확인결과 버퍼에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면, 상기 중계국은 51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의 상태를 설정된 송신상태와 다르게 실질적인 정지상태로 전환하고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512단계의 확인결과 상기 중계국이 설정된 송신상태의 중계국이 아닌 정지상태의 중계국이면, 상기 중계국은 520단계로 진행하여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고 이웃 중계국에 간섭을 주지않는 실질적인 동시전송이 가능한 설정된 정지상태인지 확인한다. 상기 520단계의 상세한 설명은 아래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만약, 상기 520단계의 확인결과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실질적인 동시전송이 가능지 않은 설정된 정지상태이면, 상기 중계국은 522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정지상태를 실질적인 정지상태로서 유지하고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하지만, 상기 520단계의 확인결과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고 실질적인 동시전송이 가능한 설정된 정지상태이면, 상기 중계국은 52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의 상태를 설정된 정지상태와 다르게 실질적인 송신상태로 전환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중계국이 정지상태인 경우에 동시전송 스케줄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계국은 600단계에서 상기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가 정지상태임을 확인하면, 602단계로 진행하여 버퍼에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확인결과 버퍼에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중계국은 612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정지상태를 실질적인 정지상태로서 유지하고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하지만 상기 602단계의 확인결과 상기 버퍼에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면 604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수신상태의 인접 이웃(C-NH : Close NeighborHood) 중계국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확인결과 상기 수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이 존재하면, 상기 중계국은 612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정지상태를 실질적인 정지상태로서 유지 하고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이때, 상기 604단계에서 상기 수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이 존재하는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수신상태의 중계국 정보를 통신설정 초기에 기설정되어 저장된 인접 이웃 중계국의 리스트와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수신상태의 중계국 정보가 저장된 상기 인접 이웃 중계국의 리스트 내에 포함되면, 상기 수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604단계의 확인결과 상기 수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중계국은 606단계로 진행하여 송신할 데이터를 가진 설정된 송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확인결과 송신할 데이터를 가진 상기 설정된 송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이 존재하면, 상기 중계국은 612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정지상태를 실질적인 정지상태로서 유지하고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이때, 상기 606단계에서 송신할 데이터를 가진 송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이 존재하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우선 송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이 존재하지 여부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수신상태의 중계국 정보와 저장된 기설정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송신상태의 중계국을 확인하고 저장된 인접 이웃 중계국의 리스트와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의 송신할 데이터의 존재 유무는 상기 인접 이웃 중계국이라 함은 상기 중계국의 셀 영역내에 포함된 중계국이기 때문에 상기 중계국에서 상기 인접 이웃 중계국의 송/수신 데이터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으로, 송신할 데이터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중계국은 송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이 설정된 송신상태임에도 송신할 데이터가 없어서 실질적인 정지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606단계의 확인결과 송신할 데이터를 가진 상기 송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중계국은 608단계로 진행하여 송신할 데이터를 가진 설정된 송신상태의 먼 이웃(f-NH : far NeighborHood) 중계국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확인결과 송신할 데이터를 가진 상기 설정된 송신상태의 먼 이웃 중계국이 존재하면, 상기 중계국은 612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정지상태를 실질적인 정지상태로서 유지하고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이때, 상기 608단계에서 송신할 데이터를 가진 송신상태의 먼 이웃 중계국이 존재하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우선 송신상태의 먼 이웃 중계국이 존재하지 여부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수신상태의 중계국 정보와 저장된 기설정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송신상태의 중계국을 확인하고 저장된 먼 이웃 중계국의 리스트와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신상태의 먼 이웃 중계국의 송신할 데이터의 존재 유무는 상기 중계기에서 정확히 판단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정횟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동안에 상기 송신상태의 먼 이웃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의 변화를 저장하였다가 이를 이용하여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유무를 추정한다. 즉, 상기 먼 이웃 중계국의 설정된 수신상태를 +1이라 정하고 상기 먼 이웃 중계국의 설정된 송신상태 -1이라 정하여 일정횟수의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동안의 합을 구하여 그 합이 양수이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그 값이 0이거나 음수이면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한다.
상기 인접 이웃 중계국이라 함은 상기 중계국의 셀 영역내에 포함된 중계국이기 때문에 상기 중계국에서 상기 인접 이웃 중계국의 송/수신 데이터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으로, 송신할 데이터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중계국은 송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이 설정된 송신상태임에도 송신할 데이터가 없어서 실질적인 정지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608단계의 확인결과 상기 송신상태의 먼 이웃 중계국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중계국은 6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의 상태를 설정된 정지상태와 다르게 실질적인 송신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송신하고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아래에서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실질적인 예를 통해 기타 다른 스케줄링 기법인 중앙집중형 스케줄링 기법과 비교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기지국과 중계국과 이동국의 위치분포 환경은 아래 도 7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환경인 기지국과 중계국과 이동국의 위치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험 환경은 육각형으로 표현한 셀 영역내에 3개의 중계국이 존재할 때를 표현하고 있다. 이때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셀 반경의 1/2 지점에 위치한다. 셀 내에 이동국은 모두 30개로, 랜덤하게 분포하였고 각 이동국은 일정한 속도(3km/h)로 움직인다.
상기 도 7과 같은 실험 환경에서 채널은 경로 손실(path loss)과 log-normal slow fading을 고려하였다. 거리에 따른 신호의 감쇄 계수(alpha)는 4이고, log-normal fading의 standard deviation은 8dB로 실험하였다. 기지국과 중계국의 송신 세기 제약(transmit 신호세기 constraint)은 각각 40dB, 37dB로 설정하였다. 중계국이 추가되었으므로 발생(generate)해야 할 채널은 모두 4가지 종류로 BS-RS간 채널, BS-MS간 채널, RS-RS간 채널, RS-MS간 채널을 발생시켜서 SINR계산에 이용한다.
용량(Capacity) 계산은 아래 <수학식 1>과 같은 Shannon capacity 공식을 이용하였다.
C = log2(1+SINR)
여기서, C는 링크의 용량(Capacity)이고, SINR은 측정하는 링크의 신호대 간섭 및 잡음의 비(SINR : 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이다.
BS-RS 링크의 SINR계산은 BS로부터 오는 신호뿐만 아니라 다른 RS로부터 오는 간섭을 고려해야 하고, RS-MS간 링크의 SINR계산도 연결되어있는 RS로부터 오는 신호와 다른 RS, BS로부터 오는 간섭을 모두 고려해서 계산한다.
또한 상기 실험환경에서 처리량은 MS가 RS를 거쳐서 받은 slot당 평균 용량(capacity)값의 전체 이동국의 합으로 정의한다. BS-RS 링크로 전송되는 데이터와 RS-MS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중복해서 계산하지 않고, RS 버퍼에 그 이동국의 데이터가 쌓여있는 경우에만 RS가 MS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험에서 BS와 직접 연결된 MS는 스케줄링에서 제외하였다.)
그러면 상기 도 7과 같은 실험 환경에서 종래의 중앙집중형 스케줄링 기법(centralized)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동시전송 스케줄링 기법(SOSRS-proposed)을 아래 도 8의 통해 비교하겠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에서 이웃 RS 버퍼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경우를 SOSRS-accurate로서 표현하고 다음의 3가지의 성능을 비교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은 c-NH RS의 버퍼는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지만, f-NH RS의 버퍼값은 대략적으로 추정이 가능하다.제안하는 기술에서 정확한 이웃 RS 버퍼값을 사용할 경우 (SOSRS-acc)는 제안하는 기술(SOSRC-pro)이 f-NH RS의 버퍼값을 추정할 때 추정값이 틀렸을 경우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대조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동시전송 스케줄링 기법과 중앙집중형 스케줄링 기법의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3가지 기법의 처리량을 BS 신호세기변화에 따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 8은 RS 신호 세기를 37dB 고정하고 BS 신호 세기를 37,40,43dB로 변화시켜가면서 처리량을 비교하였다. BS 신호 세기를 증가하였을 경우 처리량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이 동시에 존재한다. BS 신호 세기의 증가는 BS-RS 링크 용량의 값의 증가를 가져오므로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면, RS-MS 링크에 미치는 간섭이 커지므로 이 링크의 용량(capacity)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제안한 기법을 1로 했을 때의 상기 도 8에서 비교한 3가지 기법에 처리량의 상대값은 아래 <표 1>과 같다.
37dB 40dB 43dB
Centralized (pro=1기준 상대값) 1.0412 1.0574 1.1071
SOSPS-acc (pro=1기준 상대값) 0.9817 0.9951 0.9812
SOSPS-pro 3.9345 3.9247 3.9633
그러면, 상기 도 8과 상기 <표 1>을 이용하여 종래의 중앙집중형 스케줄링 기법과 본 발명의 동시전송 스케줄링 기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첫번째로 BS 신호 세기가가 증가함에 따라 제안하는 기법의 처리량은 별로 변화하지 않는데에 반에, 중앙집중형 스케줄링 기법의 상대적 처리량은 BS 신호 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제안기법보다 4%, 5%, 10%의 이득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제안한 기법에서는 BS 신호세기의 증가로 인한 BS-RS 링크의 용량 증가가 간섭증가효과로 인해 상쇄되는데에 비해, 중앙집중형 스케줄링 기법에서는 간섭이 심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을 피함으로써 간섭을 제어할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두번째로 제안한 기법에서 처리량이 BS 신호 세기의 변화에 대해 크게 변화가 없는 것은 제안한 기법이 BS전송에서 신호 세기 제어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을 것이란 해석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SOSPS-acc기법에서 정확한 버퍼값을 사용하였는데도 불구하고 버퍼값을 추측해서 사용하는 제안기법보다 처리량이 덜 나오는 이유는 f-NH관계인 RS pair가 동시에 전송하더라도 무조건 충돌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으로 보인다. 수신 MS가 충돌지역에 위치해 있어야 충돌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MS가 다른 위치에 있을 경우 오히려 잘못된 추정으로 인한 전송이 처리량의 증가를 가져올 수도 있다. (역으로 이웃 RS의 버퍼가 비어있는데 잘못 추정을 해서 이웃 RS 버퍼가 차있는 경우로 추정하고 전송을 쉬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BS가 더 많은 신호세기를 쓰기 때문에 BS-RS link의 용량이 RS-MS link의 용량보다 평균적으로 좋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f-NH RS의 버퍼 추정의 정확성 여부는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 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수신측 중계국으로 데이터 송신시 상기 기지국에 속한 다른 중계국들은 수신측 중계국에 따라 기설정된 상태로 동작하며, 이때 기설정에 따른 상태가 정지상태인 중계국은 주변의 이웃 중계국의 상태를 추정하여 주변의 이웃 중계국의 상태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의 셀 영역 내에 중계국 또는 이동국이 증가하여도 스케줄링을 위한 복잡도가 크게 증가하지 않고, 중계기에서 자체적으로 중계기의 상태를 판단하여 결정하기 때문에 기지국의 부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동시전송 스케줄링을 하는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를 기설정하여 관리하는 중계국으로 송신하고, 데이터 송신시 수신할 중계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방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면 포함된 상기 수신할 중계국의 식별자를 상기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할 중계국에 따라 설정된 상태를 확인하여 설정된 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중계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를 위해 포함된 각각의 중계국들의 인접 이웃(C-NH : Close NeighborHood) 중계국들과 먼 이웃(f-NH : far NeighborHood) 중계국을 확인하고, 상기 중계국들의 관계를 바탕으로 어떤 중계국이 설정된 수신상태이면 그 중계국의 인접 이웃 중계국은 설정된 정지상태로 기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수신상태의 중계국의 먼 이웃 중계국은 설정된 송신상태로 기 설정하고, 어떤 중계국이 설정된 송신상태이면 상기 설정된 송신상태의 중계국의 인접 이웃 중계국과 먼 이웃 중계국을 모두 설정된 정지상태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은,
    상기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의 확인결과, 상기 설정된 상태가 설정된 정지상태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고 데이터 송신시 이웃 중계국으로의 간섭(interference) 여부를 확인하여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설정된 정지상태를 실질적인 송신상태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은,
    상기 중계국의 상기 설정된 상태가 상기 설정된 정지상태인 경우에, 설정된 수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이 존재하지 않고,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설정된 송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과 먼 이웃 중계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중계국이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여도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은,
    상기 인접 이웃 중계국으로의 송신데이터와 상기 인접 이웃 중계국으로부터의 송신데이터를 감청(overhearing)하여서 상기 송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에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은,
    상기 먼 이웃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변화를 기록하고 일정기간 동안의 기록을 확인하여 설정된 수신상태가 설정된 송신상태보다 많으면 상기 송신상태의 먼 이웃 중계국에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추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
  7. 동시전송 스케줄링을 하는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중계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와, 이웃 중계기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면 포함된 수신할 중계국의 식별자를 상기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할 중계국에 따라 설정된 상태를 확인하여 설정된 상태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스케줄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국.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이웃 중계국 정보는,
    상기 중계국의 셀 영역 내에 속하는 이웃 중계국들의 정보인 인접 이웃(C-NH : Close NeighborHood) 중계국 정보와, 상기 중계국의 셀 영역 내에 속하지는 않지만 셀 영역이 서로 중첩되는 이웃 중계국들의 정보인 먼 이웃(f-NH : far NeighborHood) 중계국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국.
  9. 제 8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시 이웃 중계국으로의 간섭(interference) 여부를 확인하여 동시전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 전송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러부는,
    상기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의 확인결과 상기 중계국의 상기 설정된 상태가 설정된 정지상태인 경우, 상기 동시 전송 판단부를 통해 동시전송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동시전송이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설정된 정지상태를 실질적인 송신상태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국.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전송 판단부는,
    상기 중계국의 상기 설정된 상태가 상기 설정된 정지상태인 경우에, 설정된 수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이 존재하지 않고,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설정된 송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과 먼 이웃 중계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중계국이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여도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국.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이웃 중계국으로의 송신데이터와 상기 인접 이웃 중계국으로부터의 송신데이터를 감청(overhearing)하여 기록하는 상태 기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시 전송 판단부는,
    상기 상태 기록부를 통해 기록된 상기 인접 이웃 중계국의 송수신 데이터량을 통해 상기 송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에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국.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기록부는 상기 먼 이웃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변화를 기록하고,
    상기 동시 전송 판단부는 상기 상태 기록부를 통해 기록된 상기 송신상태의 먼 이웃 중계국의 일정기간 동안의 기록을 확인하여 설정된 수신상태가 설정된 송신상태보다 많으면 상기 송신상태의 먼 이웃 중계국에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추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국.
  13.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중계국에서 동시전송 스케줄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시전송이 가능한 중계국들의 집합인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수신할 중계국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할 중계국의 정보와 저장된 상기 기설정된 동시전송 중계국 집합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의 확인결과에 따라 설정된 상태에 상응하도록 동작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전송 스케줄링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의 확인결과 상기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가 설정된 수신상태이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전송 스케줄링하는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의 확인결과 상기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가 설정된 송신상태이면,
    버퍼에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결과 상기 버퍼에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송신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전송 스케줄링하는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의 확인결과 상기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가 설정된 정지상태이면,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고 데이터 송신시 이웃 중계국으로의 간섭(interference)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결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설정된 정지상태를 실질적인 송신상태로 변환하여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 특징으로 하는 동시전송 스케줄링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시 이웃 중계국으로의 간섭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설정된 수신상태의 인접 이웃(C-NH : Close NeighborHood) 중계국이 존재하지 않고,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설정된 송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과 먼 이웃(f-NH : far NeighborHood) 중계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중계국이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여도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전송 스케줄링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송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에 상기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 유 무의 확인은,
    상기 인접 이웃 중계국으로의 송신데이터와 상기 인접 이웃 중계국으로부터의 송신데이터를 감청(overhearing)하여서 상기 송신상태의 인접 이웃 중계국에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전송 스케줄링하는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송신상태의 먼 이웃 중계국에 상기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 유무의 확인은,
    상기 먼 이웃 중계국의 설정된 상태변화를 기록하고 일정기간 동안의 기록을 확인하여 설정된 수신상태가 설정된 송신상태보다 많으면 상기 송신상태의 먼 이웃 중계국에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추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전송 스케줄링하는 방법.
KR1020070032977A 2007-04-03 2007-04-03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KR100957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977A KR100957009B1 (ko) 2007-04-03 2007-04-03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US12/080,651 US8514751B2 (en) 2007-04-03 2008-04-03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 scheduling in a multi-hop cellula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977A KR100957009B1 (ko) 2007-04-03 2007-04-03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029A true KR20080090029A (ko) 2008-10-08
KR100957009B1 KR100957009B1 (ko) 2010-05-13

Family

ID=4015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977A KR100957009B1 (ko) 2007-04-03 2007-04-03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14751B2 (ko)
KR (1) KR10095700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6065A3 (en) * 2010-06-10 2012-01-2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in communication systems
US8711787B2 (en) 2009-03-04 2014-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relay station and data frame for the communication system
KR101402490B1 (ko) * 2012-12-28 2014-06-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스케쥴링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476576B1 (ko) * 2009-04-23 2014-12-24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기지국 장치가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481249B1 (ko) * 2010-06-09 2015-01-09 다이나믹 인벤션 엘엘씨 시간지연에 민감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인지 다중 중계 시스템에서의 버퍼 이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6832B2 (en) * 2015-05-11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Introduction of powered relay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9010B1 (en) * 1995-10-05 2002-05-14 Intermec Ip Corp. Hierarchical data collection network supporting packetized voice communications among wireless terminals and telephones
US6956826B1 (en) * 1999-07-07 2005-10-18 Serconet Ltd. Local area network for distributing data communication, sensing and control signals
US6961595B2 (en) * 2002-08-08 2005-11-01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nodes in multiple states
US7218891B2 (en) * 2003-03-31 2007-05-15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hop intelligent relay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based wireless access network
JP4139758B2 (ja) * 2003-09-29 2008-08-27 関西電力株式会社 パス設定方法並びに該パス設定方法を採用するネットワーク、中継局及び親局
KR100695078B1 (ko) * 2004-06-09 2007-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복수의 중계기를 갖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중계기의 트래픽 구분을 통한 무선 자원 할당 시스템 및방법
KR100866334B1 (ko) * 2005-09-29 2008-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홉 릴레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다중 링크를 지원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US8689025B2 (en) * 2006-02-21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Reduced terminal power consumption via use of active hold state
US7593342B2 (en) * 2006-03-16 2009-09-22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ies, Inc. Route selection in cooperative relay networks
KR100956756B1 (ko) * 2006-05-19 201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중계국-단말 간 간섭 회피를 위한 주파수 재사용 장치 및 방법
KR20070117140A (ko) * 2006-06-07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WO2008036784A2 (en) * 2006-09-19 2008-03-27 Zte (Usa) Inc. Frame structure for multi-hop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080075029A1 (en) * 2006-09-22 2008-03-27 Sennet Communications Apparatus for opportunistic wireless mesh networks
US20080108312A1 (en) * 2006-11-06 2008-05-08 Fujitsu Limited Switchable transceiver for relay station
US20080107091A1 (en) * 2006-11-07 2008-05-08 Motorola, Inc. Broadcast efficiency in a multihop network
WO2008103965A1 (en) * 2007-02-22 2008-08-28 Zte (Usa) Inc. Signaling for multi-hop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717964B2 (en) * 2007-03-09 2014-05-06 Motorola Solutions, Inc. Wireless wide-area communication network multihop relay station management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1787B2 (en) 2009-03-04 2014-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relay station and data frame for the communication system
KR101476576B1 (ko) * 2009-04-23 2014-12-24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기지국 장치가 중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US9883448B2 (en) 2009-04-23 2018-01-30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NodeB broadcas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relay apparatus
US10051553B2 (en) 2009-04-23 2018-08-14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NodeB broadcas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relay apparatus
KR101481249B1 (ko) * 2010-06-09 2015-01-09 다이나믹 인벤션 엘엘씨 시간지연에 민감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인지 다중 중계 시스템에서의 버퍼 이용
WO2011156065A3 (en) * 2010-06-10 2012-01-2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in communication systems
CN103340004A (zh) * 2010-06-10 2013-10-02 新生组织网络有限公司 通信系统中调度传输的方法
US8611274B2 (en) 2010-06-10 2013-12-17 Cambium Networks, Ltd Method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in communication systems
CN103340004B (zh) * 2010-06-10 2016-09-14 新生组织网络有限公司 通信系统中调度传输的方法
KR101402490B1 (ko) * 2012-12-28 2014-06-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스케쥴링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009B1 (ko) 2010-05-13
US20100322139A1 (en) 2010-12-23
US8514751B2 (en)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8779B1 (en) Backhaul signaling for interference avoidance
US9918268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terminal device
de Oliveira Brante et al. Energy efficiency analysis of some cooperative and non-cooperative transmission schem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KR100810201B1 (ko) 다중 홉 릴레이 셀룰라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장치 및 방법
US87879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operative inter-cell interference control
US82898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 relay interference coordination
Cheng et al. Full/half duplex based resource allocations for statistical quality of service provisioning in wireless relay networks
US20090233544A1 (en) Resource management and interference mitigation techniques for relay-based wireless networks
KR100957009B1 (ko) 다중 홉 셀룰러 시스템의 동시전송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KR20070073107A (ko) 적응부호 변조를 이용하는 릴레이를 가지는 이동통신 장치및 방법
JPH11215534A (ja) 通信チャネル選択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US85040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1802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1005665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KR100725770B1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스캐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09066B1 (ko)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
KR101564462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 선택적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907361B1 (ko) 협력적 비직교 다중접속 시스템을 위한 적응적 증분 복호-전달 중계 방법
KR20080034263A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스캐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017652A (ko)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중계국에서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EP4059286B1 (en) Location-aware spatial reuse
KR101197613B1 (ko) 공유 중계기 및 이동통신 시스템
Wang et al. A novel multi-relay selection and power allocation scheme for cooperation in cognitive radio ad hoc networks based on principle-agent game
Zorzi et al. Packet access for cellular systems: the capacity of S-ALOHA and CDPA with slow shadowing
Kwak et al. The optimal power-allocation for OFDMA regenerative relaying downlink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