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066B1 -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066B1
KR101409066B1 KR1020140022756A KR20140022756A KR101409066B1 KR 101409066 B1 KR101409066 B1 KR 101409066B1 KR 1020140022756 A KR1020140022756 A KR 1020140022756A KR 20140022756 A KR20140022756 A KR 20140022756A KR 101409066 B1 KR101409066 B1 KR 101409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mobile relay
mobile
base station
rh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7173A (ko
Inventor
정종문
김창현
남영훈
조형준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2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06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7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중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제한된 전원으로 작동되고, 송신할 때와 수신할 때 채널의 조건이 다른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을 중계 스테이션(RS)으로서 이용하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서비스 품질(QoS)을 지원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 스테이션(BS)을 중심으로 QoS를 충족하는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목적 스테이션(DS)이 상기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상기 QoS를 충족하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다른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 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베이스 스테이션(BS)과 목적 스테이션(DS)간의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접속되도록 하며, 상기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은 목적 스테이션(DS)에 할당되었던 기본 채널(primary channel)을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BS)과 접속되고, 동시에 상기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 인지무선통신(CR: Cognitive radio) 서브 채널을 통해 목적 스테이션(DS)에 접속되며, 아울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서비스 품질(QoS)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 {A minimun energy consuming mobile relay network with reliable QoS support and device therefor,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중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제한된 전원으로 작동되고, 송신할 때와 수신할 때 채널의 조건이 다른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을 중계 스테이션(RS)으로서 이용하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서비스 품질(QoS)을 지원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베이스 스테이션(기지국)과 모바일을 중계하는 기술은 다양한 구성을 기반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42426호의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노드 생존시간 증대를 위한 멀티홉 전송 방법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멀티홉 전송 방법에 있어서, 라우팅을 수행하여 멀티홉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라우팅 단계; 상기 결정된 멀티홉 전송 경로에 대한 스케쥴링을 수행하여 각 멀티홉 링크마다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스케쥴링 단계; 상기 스케쥴링을 수행한 결과를 이용하여 멀티홉 전송을 위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전송하되, 전력절감모드(PSM)로 동작하는 단계; 및 멀티홉 데이터 전송 중에 충돌이 발생하거나 간섭량이 제 1 임계치를 초과함에 따라 전송전력제어(TPC) 또는 재스케쥴링(rescheduling) 또는 재라우팅(rerouting)을 수행하여 간섭을 제어하는 간섭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대한 다른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2도에 도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8716호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자원 스케일링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액세스 포인트의 공급 부하는 연관된 단말들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부하 메트릭들, 처리량, 데이터 레이트, 서비스 품질(QoS) 등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액세스 포인트의 결정된 공급 부하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사용되는 자원들 및/또는 그러한 자원들을 통해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은 공칭 또는 디폴트 공급 부하와 액세스 포인트의 공급 부하의 비교에 기초하여 스케일링되며, 하나 이상의 중앙집중형 제어기들은 백홀 메시징을 통해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들과의 자원 스케일링을 조정하며, 인접 액세스 포인트들은 로컬 최적 자원 분배를 결정하기 위한 무선 메시징을 통해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3도에 도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7298호의 전 이중 릴레이를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릴레이 프레임(Relay Frame) 구성에 관한 것으로, 전 이중 방식의 릴레이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성 장치에 있어서 상향 링크 구간에서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억세스 존과 릴레이 존으로 구성하고, 하향 링크 구간에서 TDM(Time Divison Multiplexng) 방식으로 억세스 존과 릴레이 존으로 구성하여 프레임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전 이중 릴레이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수신 성능이 열악한 단말의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전체 시스템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 이중 릴레이를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KR 10-2013-0142426 A KR 10-2012-0048716 A KR 10-2010-0027298 A KR 10-2011-0033701 A KR 10-2012-0017087 A KR 10-1292578 B1 KR 10-1215958 B1 KR 10-1305585 B1 KR 10-2012-0027476 A KR 10-2013-0106888 A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Part 16: Air Interface for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s', IEEE Computer Society and the IEEE Microwave Theory and Techniques Society, 29 May 2009 3GPP TS 36.211 V9.1.0,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9)', 2010-03 Daquan Feng et. al., 'A Survey of Energy-Efficient Wireless Communications', IEEE COMMUNICATIONS SURVEYS & TUTORIALS, VOL. 15, NO. 1, FIRST QUARTER 2013
본 발명은 제한된 전원으로 작동되고, 송신할 때와 수신할 때 채널의 조건이 다른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을 중계 스테이션(RS)으로서 이용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품질(QoS)을 지원하는 동시에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스테이션(BS)을 중심으로 QoS를 충족하는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목적 스테이션(DS)이 상기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상기 QoS를 충족하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다른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 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베이스 스테이션(BS)과 목적 스테이션(DS)간의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접속되도록 하며, 상기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은 목적 스테이션(DS)에 할당되었던 기본 채널(primary channel)을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BS)과 접속되고, 동시에 상기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 인지무선통신(CR: Cognitive radio) 서브 채널을 통해 목적 스테이션(DS)에 접속되며, 아울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서비스 품질(QoS)을 지원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제한된 전원으로 작동되고, 송신할 때와 수신할 때 채널의 조건이 다른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을 중계 스테이션(RS)으로서 이용하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서비스 품질(QoS)을 지원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도면 제1도는 본 발명에 대한 배경 기술로서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노드 생존시간 증대를 위한 멀티홉 전송 방법 기술의 구성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대한 다른 배경 기술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자원 스케일링 기술의 구성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배경 기술로서 전 이중 릴레이를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 기술의 구성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다중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MMR : Multiple Mobile Relay) 구성의 개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다중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파라미터 구성
도면 제6도는 기본 채널(primary channel)과 인지무선통신(CR: Cognitive radio) 서브 채널의 주파수 자원 할당 관계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다운링크(DL) 프레임 구조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를 위한 디바이스의 구성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 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설정을 위한 메시지 포맷의 일례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 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를 위한 디바이스에 의한 구동 방법의 흐름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제1구동 방법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제2구동 방법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 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모바일 통신과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분야에 있어서 중계(relay) 기술은, 저전력으로써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범위를 확장하고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기존의 모바일 멀티홉 중계(MMR : Mobile Multihop Relay) 기술은 고정된 개소(fixed point)에 중계 스테이션들(RSs : Relay Stations)을 배치하고 시간 프레임이나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중계 스테이션(RS)이 없는 지역에서는 중계가 불가능하다는 제약을 받으며, 중계 스테이션(RS)이 구비된 지역에서는 중계를 위해 미리 시간 프레임이나 주파수 대역이 분할된 채널로서 할당되기 때문에 채널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여지가 없다.
본 발명은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을 중계 스테이션(RS)으로서 이용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이때,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은 매우 제한된 전원으로 작동되고, 송신할 때와 수신할 때 채널의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을 중계 시스템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서비스 품질(QoS)을 지원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단 간(end-to-end) 데이터 레이트(data rate)와 비트 에러율(BER : Bit Error Rate)의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동시에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을 선택하고 설정하는 것을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른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 : User Equipment)를 목적 스테이션(DS : Destination Station)으로 하여 다운링크(DL)되고, 베이스 스테이션(BS)에 대해 업링크(UL)를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은, 사용자 장치(UE)와 베이스 스테이션(BS) 간의 QoS를 충족시키면서 동시에 전력 소모가 최소화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은, 시간·공간적으로 주변의 전파환경을 인지하여 사용하지 않는 유휴 주파수를 찾아 같은 주파수를 서로 다른 무선 서비스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주파수 공유기술로서 인지무선통신 (Cognitive radio: CR)를 서브 채널로 이용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은, 목적 시스템(DS)이 베이스 스테이션(BS)의 QoS 커버리지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상기 목적 시스템(DS)이 사용하던 기본 채널(primary channel)을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BS)과 접속하고, 상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과 상기 목적 스테이션(DS) 간의 연결은 인지무선통신 (Cognitive radio: CR) 서브 채널을 사용한다.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다중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MMR : Multiple Mobile Relay) 구성의 개요를 도시한다.
도면은 베이스 스테이션(BS)을 중심으로 QoS를 충족하는 서비스 영역의 반경 d0 내에 RS_1,...,RS_h,...RS_H 로 표기된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이 위치하고 목적 스테이션(DS)이 반경 d0 내에 위치하는 경우와 상기 반경 d0 를 벗어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BS)을 중심으로 QoS를 충족하는 서비스 영역의 반경 d0 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에 있어서는 주변 환경에 따른 QoS의 변동에 의해 베이스 스테이션(BS)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서 QoS를 충족하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 및 목적 스테이션(DS)은 기본 채널(primary channel)을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BS)과 접속될 수 있다. 그러나 목적 스테이션(DS)이 QoS를 충족하는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목적 스테이션(DS)이 접속된 베이스 스테이션(BS) 측에서는 그 연결 상태가 저하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 스테이션(DS)이 QoS를 충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BS)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상기 QoS를 충족하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다른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 RS_1,...,RS_h,...,RS_H 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베이스 스테이션(BS)과 목적 스테이션(DS)간의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한다.
즉, 목적 스테이션(DS)이 QoS를 충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BS)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BS)은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N 개의 다른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 RS_1,...,RS_h,...,RS_H 들 중 하나를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으로 선택(도면에서는 RS_h로 표기)하고 상기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 RS_h를 통해 목적 스테이션(DS)과 접속된다. 이때 상기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 RS_h는 목적 스테이션(DS)에 할당되었던 기본 채널(primary channel)을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BS)과 접속되고, 동시에 상기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 RS_h는 인지무선통신(CR: Cognitive radio) 서브 채널을 통해 목적 스테이션(DS)에 접속된다.
도면 제5도는 도면 제4도의 다중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파라미터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 제4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베이스 스테이션(BS)에 의해 목적 스테이션(DS)의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선택된 RS_h는, 목적 스테이션(DS)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그 전송을 위한 구성 파라미터로서;
- 목적 스테이션(DS)에 대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선택된 RS_h의 전송 파워 S_rhd (
Figure 112014019072660-pat00001
_brh,
Figure 112014019072660-pat00002
_rhd)와,
- 목적 스테이션(DS)에 대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선택된 RS_h의 데이터 레이트 k_rhd (
Figure 112014019072660-pat00003
_brh,
Figure 112014019072660-pat00004
_rhd)를 사용한다.
여기서
Figure 112014019072660-pat00005
_brh는 S_brh = 1W 일 때,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선택된 RS_h 까지의 평균 SNR(signal to noise ratio)에 대해 정규화(normalize)된 SNR이며,
Figure 112014019072660-pat00006
_rhd는 S_rhd = 1W 일 때,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선택된 RS_h 로부터 베이스 스테이션(BS) 까지의 평균 SNR(signal to noise ratio)에 대해 정규화(normalize)된 SNR이다.
또한 상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선택된 RS_h는, 베이스 스테이션(BS) 측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그 전송을 위한 구성 파라미터로서;
- 베이스 스테이션(BS)에 대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선택된 RS_h의 전송 파워 S_rhb (
Figure 112014019072660-pat00007
_drh,
Figure 112014019072660-pat00008
_rhb)와,
- 베이스 스테이션(BS)에 대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선택된 RS_h의 데이터 레이트 k_rhb (
Figure 112014019072660-pat00009
_drh,
Figure 112014019072660-pat00010
_rhb)를 사용한다.
여기서
Figure 112014019072660-pat00011
_drh는 S_drh = 1W 일 때, 목적 스테이션(DS)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선택된 RS_h 까지의 평균 SNR(signal to noise ratio)에 대해 정규화(normalize)된 SNR이며,
Figure 112014019072660-pat00012
_rhb는 S_rhb = 1W 일 때,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선택된 RS_h 로부터 베이스 스테이션(BS) 까지의 평균 SNR(signal to noise ratio)에 대해 정규화(normalize)된 SNR이다.
이 경우에 상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선택된 RS_h의 파라미터들은 RS_h의 최소 전송 파워로써, 종단간의 데이터 레이트와 비트 에러(BER)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한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좀더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종단간의 평균 SNR(signal to noise ratio)에 대해 정규화(normalize)된 SNR의 표기를 생략하고, 전송 파워와 데이터 레이트들을 각각 S_brh, S_rhd, S_drh, S_rhb, k_brh, k_rhd, k_drh, k_rhb로 표기한다.
마찬가지로 도면에 표기된 전송 파워와 데이터 레이트 S_brh, S_drh, k_brh, k_drh는 업링크(UL)와 다운링크(DL)에 대해 종단간의 데이터 레이트와 비트 에러(BER)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한정되어야 한다.
도면 제6도는 기본 채널(primary channel)과 인지무선통신(CR: Cognitive radio) 서브 채널의 주파수 자원 할당 관계를 도시한다. 전체 대역은 M개의 채널로 구성되며 각각의 채널은 N개의 인지무선통신(CR) 서브 채널로 구성된다. 이때 M개의 기본 채널들 중 사용하지 않는 채널은 인지무선통신(CR) 서브 채널로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B1의 기본 채널(primary channel)이 베이스 스테이션(BS)과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의 통신에 이용 중이고 기본 채널(primary channel) B2가 사용되지 않고 있을 때, 인지무선통신(CR) 서브 채널 A2,1이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과 목적 스테이션(DS) 간의 통신에 이용될 수 있다.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다운링크(DL)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도면의 상단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을 경유하지 않는 1-hop 링크, 모바일 멀티홉 중계(MMR : Mobile Multihop Relay) 링크, 그리고 본 발명의 중계 (MPRSC-CR : Minimum transmission Power consuming mobile RS selection and Configuration using CR technology) 네트워크 링크에서의 프레임을 도시하며, 업링크(UL) 프레임의 구조도 도시된 각각의 다운링크(DL) 프레임 구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특징 및 조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모바일 중계 스테이션)의 구성을 위한 제어는 베이스 스테이션(BS)에서 중앙 집중 방식으로 수행되거나, 분산 방식으로 목적 스테이션(DS)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스테이션(BS), 목적 스테이션(DS) 및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의 데이터 레이트, 전송 파워, 패킷 슬롯의 할당은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된다.
- 베이스 스테이션(BS)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은 목적 스테이션(DS)과 베이스 스테이션(BS) 사이에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은 최소의 전력으로 목적 스테이션(DS)과 베이스 스테이션(BS) 간 요구되는 QoS를 지원하도록 설정된다.
- 모든 전송은 프레임 단위로(frame by frame) 이루어진다.
-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프레임을 할당할 수 있는 기본 채널(primary channel) 및 인지무선통신(CR) 서브 채널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의 설명을 토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설계 조건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적응 변조 방식(adaptive modulation)을 사용하며, 이에 따라 베이스 스테이션(BS)은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선택된 RS_h 측으로 T1의 시간 동안 데이터를 전송하며, 다운링크(DL)의 경우에 RS_h 는 T2의 시간 동안 목적 스테이션(DS)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베이스 스테이션(BS)과 RS_h 및 RS_h 와 목적 스테이션(DS) 간에서는 각각의 시간 동안 주어진 타임 슬롯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량이 같아야 한다. 이는 다음의 수식으로 표현된다.
T1 k_brh = T2 k_rhd = T kd (kd : 다운링크 데이터 레이트)
이때 T1 = T (kd / k_brh), T2 = T (kd / k_rhd), T = T1 + T2 이므로, 다운링크 프레임의 종단 간 데이터 레이트 kd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kd = [((k_drh)^(-1)) + ((k_rhd)^(-1))]^[-1]
업링크 프레임의 종단간 데이터 레이트 ku는 다음과 같다.
ku = [((k_drh)^(-1)) + ((k_rhb)^(-1))]^[-1]
이에 대해 다운링크 프레임의 종단 간 비트 에러율 BER_d는 다음의 수식으로 표현된다.
BER_d = 1- (1- BER_brh)(1- BER_rhd) ≒ BER_brh + BER_rhd
마찬가지로 업링크 프레임의 종단 간 비트 에러율 BER_u는 다음의 근사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BER_u ≒ BER_brh + BER_rhb
업링크와 다운링크는 서로 독립적이므로, 최적화를 위한 결과도 각각 구해질 수 있다.
먼저 목적 스테이션(DS)에 대한 RS_h로부터의 평균 파워 Savr_rhd 를 최소화하면 다음의 조건으로 된다.
BER_d ≤ Bd (Bd는 다운링크의 종단 간 비트 에러율의 최대값)
kd ≥ Kd (Kd는 다운링크의 종단 간 데이터 레이트의 최소값)
S_brh ≤ Sb_max (Sb_max는 BS의 최대 전송 파워)
S_rhd ≤ Sm_max (Sm_max는 RS_h 및 DS 등 모바일의 최대 전송 파워)
또한, 베이스 스테이션(BS)에 대한 RS_h로부터의 평균 파워 Savr_rhb 를 최소화하면 다음의 조건으로 된다.
BER_u ≤ Bu (Bu는 업링크의 종단 간 비트 에러율의 최대값)
ku ≥ Ku (Ku는 업링크의 종단 간 데이터 레이트의 최소값)
S_rhb ≤ Sm_max (Sm_max는 RS_h 및 DS 등 모바일의 최대 전송 파워)
S_drh ≤ Sm_max
상기 수학식의 Lagrange equation Ld는 다음으로 표현된다.
Ld = Savr_rhd + λ1 (BER_d - Bd) + λ2 (kd - Kd)
+ λ3 (S_brh - Sb_max) + λ4 (S_rhd - Sm_max)
이에 대해 상기 수학식의 최소화를 위한 dual problem 은 다음의 수식이 된다.
Dd (λ1, λ2, λ3, λ4) = inf Ld
상기의 dual problem 은 (
Figure 112014019072660-pat00013
Ld /
Figure 112014019072660-pat00014
S_brh) = 0, (
Figure 112014019072660-pat00015
Ld /
Figure 112014019072660-pat00016
S_rhd) = 0, (
Figure 112014019072660-pat00017
Ld /
Figure 112014019072660-pat00018
k_brh) = 0, (
Figure 112014019072660-pat00019
Ld /
Figure 112014019072660-pat00020
k_rhd) = 0의 조건으로 해를 구할 수 있다. 다운링크의 경우, S_brh = Sb_max, kd = Kd, BERd = Bd 일 때, 목적 스테이션(DS)에 대한 RS_h로부터의 평균 파워 Savr_rhd 가 최소값이 된다.
따라서, 목적 스테이션(DS)에 대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선택된 RS_h의 데이터 레이트 k_rhd,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선택된 RS_h에 대한 베이스 스테이션(BS)의 데이터 레이트 k_brh 가 정수로 주어지는 경우 반복 연산에 의해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선택된 RS_h와 목적 스테이션(DS)간의 통신이 가능한 RS_h의 최소 평균 전송 전력 Sav_rhd를 구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목적 스테이션(DS)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선택된 RS_h까지 전송 파라미터와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RS_h로부터 베이스 스테이션(BS)까지의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RS_h의 최소 평균 전송 전력 Sav_rhb를 각각 구할 수 있다. 따라서 RS_h에 요구되는 최소 평균 전송 전력 Sav_rh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표현된다.
Sav_rh = Sav_rhd + Sav_rhb
상기의 연산은 베이스 스테이션(BS)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N 개의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 RS_1,...,RS_h,...,RS_H 들에 대해 각각 연산하고 그 결과를 통해 가장 작은 값의 최소 평균 전송 전력으로 연산된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를 채택함으로써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의 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를 위한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프로세서(102);와 시스템 메모리(112);를 구비하고,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I/O 인터페이스(120);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프로세서(102);는, QoS를 충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BS)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과 베이스 스테이션(BS) 및 목적 스테이션(DS)간의 전송 파워를 연산하는 전송 파워 연산부(104); QoS를 충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BS)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과 베이스 스테이션(BS) 및 목적 스테이션(DS)간의 데이터 레이트를 연산하는 데이터 레이트 연산부(106); QoS를 충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BS)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과 베이스 스테이션(BS) 및 목적 스테이션(DS)간의 채널 비트 에러율을 연산하는 채널 비트 에러율 연산부(108); 그리고 QoS를 충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BS)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한 송신 출력을 판단하여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을 할당하는 송신 출력 판단 및 할당부(11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스테이션(BS)에 구비되어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구성을 위한 제어를 중앙 집중 방식으로 수행하도록 하거나, 목적 스테이션(DS)에 구비되어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구성을 위한 제어를 분산 방식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설정을 위한 메시지 포맷의 일례를 도시한다. 상기 메시지는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100)의 제어를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100)가 베이스 스테이션(BS)에 구비되는 경우, 설정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에 대해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부터 전송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100)가 분산 방식으로 목적 스테이션(DS)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설정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 전송된다.
상기 메시지에는, serving 셀의 ID, 설정된 RSh의 ID, 설정된 RSh가 데이터 중계를 수행할 목적 스테이션(DS)의 ID, 베이스 스테이션(BS)과 설정된 RSh 간의 통신에 사용할 기본 채널의 ID, 설정된 RSh와 목적 스테이션(DS) 간의 통신에 사용할 인지무선통신(CR) 서브 채널의 ID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까지 요구되는 전송 파워,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 요구되는 전송 파워,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까지 요구되는 데이터 레이트,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 요구되는 데이터 레이트, 최대 허용 가능 비트 에러율의 임계값, 최대 허용 가능 디바이스 전송 전력의 임계값, 최소 허용 가능 데이터 전송률의 임계값, 패킷 전송 시간 T 및 노드 ID를 포함한다.
상기의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설정을 위한 메시지에 의해 설정된 RSh가 데이터 중계를 수행 중일 경우에, 상기의 최대 허용 가능 비트 에러율의 임계값, 최대 허용 가능 디바이스 전송 전력의 임계값, 최소 허용 가능 데이터 전송률의 임계값이 충족되지 못하는 변화가 발생하게 되면,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100)는 중계 네트워크의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설정을 위한 메시지를 갱신하고; 상기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100)가 베이스 스테이션(BS)에 구비되는 경우, 새로 설정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에 대해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부터 전송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본 발명의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100)가 분산 방식으로 목적 스테이션(DS)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새로 설정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 전송된다.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를 위한 디바이스에 의한 구동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다. 이하 각 단계별 작용을 설명한다.
-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를 위한 디바이스가 작동되면(S100);
-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측에 대한 전송 파워 S_brh를 최대 전송 파워 Sb_max로 설정하고, 반복 수행을 위한 인덱스 i=1로 초기화(S110);한다.
- 이어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rhd 를 다운링크 종단 간의 데이터 레이트 kd를 하나 증가시킨 값으로 치환(S104);한다.
- 다음으로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brh,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전송 파워 S_rhd,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RS_h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평균 전송 전력 Sav_rhd 를 계산(S106);한다.
- 이어 반복 수행을 위한 인덱스 i의 값이 '1'인지를 판단(S110);하여,
- 반복 수행을 위한 인덱스 i의 값이 '1'인 경우에는 최초의 연산 단계로 판단하여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rhd,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brh,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전송 파워 S_rhd,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RS_h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평균 전송 전력 Sav_rhd 를 갱신하여 저장(S114);한다.
- 다음으로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rhd와 인덱스 i의 값을 하나 증가(S116);시키고,
- 이어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rhd 가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률을 충족하는 지를 판단(S118);한다.
- 상기 데이터 전송률 k_rhd 가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률을 충족하는 경우에,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k_rhd, k_brh, S_rhd, Sav_rhd 를 저장하고 해당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의 설정을 위한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한 뒤 종료(S120);한다.
=============================================================
- 상기 반복 수행을 위한 인덱스 i의 값이 '1'인지를 판단(S110);하는 단계에서 인덱스 i의 값이 '1'인 경우에는,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RS_h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평균 전송 전력 Sav_rhd 의 계산값과 이전에 계산되어 저장된 Sav_rhd 값을 비교(S112);하고,
이전 저장값보다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RS_h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평균 전송 전력 Sav_rhd 의 계산값이 작은 경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rhd,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brh,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전송 파워 S_rhd,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RS_h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평균 전송 전력 Sav_rhd 를 갱신하여 저장(S114);하는 단계부터 수행하고,
이전 저장값보다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RS_h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평균 전송 전력 Sav_rhd 의 계산값이 큰 경우에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rhd와 인덱스 i의 값을 하나 증가(S116);시키는 단계부터 수행한다.
=============================================================
- 상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rhd 가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률을 충족하는 지를 판단(S118);하는 단계에서,
데이터 전송률 k_rhd 가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률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k_brh, S_rhd, Sav_rhd 를 계산(S106);하는 단계부터 다시 수행한다.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제1구동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제1구동 방법은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100)가 베이스 스테이션(BS)에 구비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① 베이스 스테이션(BS)을 중심으로 QoS를 충족하는 서비스 영역의 반경 d0 내에 목적 스테이션(DS)을 포함하는 RS_1,...,RS_h,...RS_H 의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은 주기적으로 위치 및 채널 정보를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 전송한다.
② 베이스 스테이션(BS)을 중심으로 QoS를 충족하는 서비스 영역의 반경 d0 내에 RS_1,...,RS_h,...RS_H 의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과 목적 스테이션(DS)이 위치하고, 이어 상기 반경 d0 내에 위치하는 목적 스테이션(DS)이 상기 반경 d0 를 벗어나는 방향으로 근접하게 되면, 베이스 스테이션(BS)은 목적 스테이션(DS)과의 접속 상태가 저하됨을 감지한다. 이때에 베이스 스테이션(BS) 측에서는 목적 스테이션(DS)의 신호 감도 등의 접속 상태 저하를 감지하는 파라미터를 이용한다.
③ 이어 베이스 스테이션(BS)은 목적 스테이션(DS)과 이용하던 1-hop 통신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을 통한 2-hop 통신으로 전환하기 위해, 서비스 영역에 있는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 가운데 최소 에너지를 소모하는 동시에 데이터 전송률과 비트 에러율(BER) 요구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를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측으로 목적 스테이션(DS)과의 중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메시지로 전송한다.
④ 이어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은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부터 전송받은 메시지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이 상기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에 접속하여 베이스 스테이션(BS)과의 중계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set-up 메시지를 목적 스테이션(DS) 측으로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가 가동된다.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제2구동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제2구동 방법은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100)가 목적 스테이션(DS)에 구비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① 베이스 스테이션(BS)을 중심으로 QoS를 충족하는 서비스 영역의 반경 d0 내에 RS_1,...,RS_h,...RS_H 의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과 목적 스테이션(DS)이 위치하고, 이어 상기 반경 d0 내에 위치하는 목적 스테이션(DS)이 상기 반경 d0 를 벗어나는 방향으로 근접하게 되면, 목적 스테이션(DS)은 베이스 스테이션(BS)과의 접속 상태가 저하됨을 감지한다.
② 이때 목적 스테이션(DS)은 주변의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로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디바이스 정보 요청은 목적 스테이션(DS)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로 제한되어 전달되는 특징이 있다.
③ 목적 스테이션(DS) 커버리지 내의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은 위치 및 채널 정보를 목적 스테이션(DS)으로 전송한다.
④ 이어 목적 스테이션(DS)은 베이스 스테이션(BS)과 이용하던 1-hop 통신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을 통한 2-hop 통신으로 전환하기 위해, 위치 및 채널 정보를 전송한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 가운데 최소 에너지를 소모하는 동시에 데이터 전송률과 비트 에러율(BER) 요구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를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측으로 목적 스테이션(DS)과의 중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메시지로 전송한다.
⑤ 이어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은 목적 스테이션(DS)으로부터 전송받은 메시지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이 상기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에 접속하여 베이스 스테이션(BS)과의 중계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 스테이션(DS)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 전송하고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가 가동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제한된 전원으로 작동되고, 송신할 때와 수신할 때 채널의 조건이 다른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을 중계 스테이션(RS)으로서 이용하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서비스 품질(QoS)을 지원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
102 :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프로세서
104 : 전송 파워 연산부 106 : 데이터 레이트 연산부
108 : 채널 비트 에러율 연산부 110 : 송신 출력 판단 및 할당부
112 : 시스템 메모리 120 : I/O 인터페이스

Claims (12)

  1. 목적 스테이션(DS)이 베이스 스테이션(BS)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다른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이 베이스 스테이션(BS)을 목적 스테이션(DS)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프로세서(102);와 시스템 메모리(112);를 구비하고,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I/O 인터페이스(120);에 접속되어 구성되며,

    상기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프로세서(102);는,
    QoS를 충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BS)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과 베이스 스테이션(BS) 및 목적 스테이션(DS)간의 전송 파워를 연산하는 전송 파워 연산부(104);
    QoS를 충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BS)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과 베이스 스테이션(BS) 및 목적 스테이션(DS)간의 데이터 레이트를 연산하는 데이터 레이트 연산부(106);
    QoS를 충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BS)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과 베이스 스테이션(BS) 및 목적 스테이션(DS)간의 채널 비트 에러율을 연산하는 채널 비트 에러율 연산부(108);
    그리고 QoS를 충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BS)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 각각에 대한 송신 출력을 판단하여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을 할당하는 송신 출력 판단 및 할당부(110);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베이스 스테이션(BS)에 구비되어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구성을 위한 제어를 중앙 집중 방식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목적 스테이션(DS)에 구비되어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구성을 위한 제어를 분산 방식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100)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설정을 수행하며,
    상기 메시지는,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까지 요구되는 전송 파워,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 요구되는 전송 파워,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까지 요구되는 데이터 레이트,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 요구되는 데이터 레이트, 최대 허용 가능 비트 에러율의 임계값, 최대 허용 가능 디바이스 전송 전력의 임계값, 최소 허용 가능 데이터 전송률의 임계값, 패킷 전송 시간 T 및 노드 ID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스테이션(DS)이 베이스 스테이션(BS)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상기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를 위한 디바이스(100)는,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다른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 들 중 하나를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은,
    목적 스테이션(DS)에 할당되었던 기본 채널(primary channel)을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BS)과 접속되고, 동시에 상기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은 인지무선통신(CR: Cognitive radio) 서브 채널을 통해 목적 스테이션(DS)에 접속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100)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설정을 수행하며,
    상기 메시지는,
    serving 셀의 ID,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설정된 RSh의 ID,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설정된 RSh가 데이터 중계를 수행할 목적 스테이션(DS)의 ID, 베이스 스테이션(BS)과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설정된 RSh 간의 통신에 사용할 기본 채널의 ID, 설정된 RSh와 목적 스테이션(DS) 간의 통신에 사용할 인지무선통신(CR) 서브 채널의 ID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
  7. 목적 스테이션(DS)이 베이스 스테이션(BS)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다른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이 베이스 스테이션(BS)을 목적 스테이션(DS)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를 위한 디바이스가 작동되는 단계(S100);

    -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측에 대한 전송 파워 S_brh를 최대 전송 파워 Sb_max로 설정하고, 반복 수행을 위한 인덱스 i=1로 초기화(S110);하는 단계

    - 이어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rhd 를 다운링크 종단 간의 데이터 레이트 kd를 하나 증가시킨 값으로 치환(S104);하는 단계

    - 다음으로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brh,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전송 파워 S_rhd,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RS_h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평균 전송 전력 Sav_rhd 를 계산(S106);하는 단계

    - 이어 반복 수행을 위한 인덱스 i의 값이 '1'인지를 판단(S110);하는 단계

    - 반복 수행을 위한 인덱스 i의 값이 '1'인 경우에는 최초의 연산 단계로 판단하여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rhd,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brh,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전송 파워 S_rhd,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RS_h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평균 전송 전력 Sav_rhd 를 갱신하여 저장(S114);하는 단계

    - 다음으로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rhd와 인덱스 i의 값을 하나 증가(S116);시키는 단계

    - 이어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rhd 가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률을 충족하는 지를 판단(S118);하는 단계

    - 상기 데이터 전송률 k_rhd 가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률을 충족하는 경우에,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k_rhd, k_brh, S_rhd, Sav_rhd 를 저장하고 해당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의 설정을 위한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한 뒤 종료(S120);하는 단계

    의 수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구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수행을 위한 인덱스 i의 값이 '1'인지를 판단(S110);하는 단계에서,

    인덱스 i의 값이 '1'인 경우에는,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RS_h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평균 전송 전력 Sav_rhd 의 계산값과 이전에 계산되어 저장된 Sav_rhd 값을 비교(S112);하고,

    이전 저장값보다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RS_h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평균 전송 전력 Sav_rhd 의 계산값이 작은 경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rhd,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brh,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전송 파워 S_rhd,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RS_h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평균 전송 전력 Sav_rhd 를 갱신하여 저장(S114);하는 단계부터 수행하고,

    이전 저장값보다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RS_h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평균 전송 전력 Sav_rhd 의 계산값이 큰 경우에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rhd와 인덱스 i의 값을 하나 증가(S116);시키는 단계부터 수행
    하는 수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구동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까지의 데이터 전송률 k_rhd 가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률을 충족하는 지를 판단(S118);하는 단계에서,
    데이터 전송률 k_rhd 가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률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k_brh, S_rhd, Sav_rhd 를 계산(S106);하는 단계부터 다시 수행
    하는 수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구동 방법
  10. 목적 스테이션(DS)이 베이스 스테이션(BS)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다른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이 베이스 스테이션(BS)을 목적 스테이션(DS)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① 베이스 스테이션(BS)을 중심으로 QoS를 충족하는 서비스 영역의 반경 d0 내에 목적 스테이션(DS)을 포함하는 RS_1,...,RS_h,...RS_H 의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은 주기적으로 위치 및 채널 정보를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 전송하고,

    ② 베이스 스테이션(BS)을 중심으로 QoS를 충족하는 서비스 영역의 반경 d0 내에 RS_1,...,RS_h,...RS_H 의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과 목적 스테이션(DS)이 위치하고, 이어 상기 반경 d0 내에 위치하는 목적 스테이션(DS)이 상기 반경 d0 를 벗어나는 방향으로 근접하게 되면, 베이스 스테이션(BS)은 목적 스테이션(DS)과의 접속 상태가 저하됨을 감지하며,

    ③ 다음으로 베이스 스테이션(BS)은 목적 스테이션(DS)과 이용하던 1-hop 통신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을 통한 2-hop 통신으로 전환하기 위해, 서비스 영역에 있는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 가운데 최소 에너지를 소모하는 동시에 데이터 전송률과 비트 에러율(BER) 요구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를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측으로 목적 스테이션(DS)과의 중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메시지로 전송하고,

    ④ 이어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은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부터 전송받은 메시지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이 상기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에 접속하여 베이스 스테이션(BS)과의 중계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set-up 메시지를 목적 스테이션(DS) 측으로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가 가동되는
    수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구동 방법
  11. 목적 스테이션(DS)이 베이스 스테이션(BS)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다른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이 베이스 스테이션(BS)을 목적 스테이션(DS)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① 베이스 스테이션(BS)을 중심으로 QoS를 충족하는 서비스 영역의 반경 d0 내에 RS_1,...,RS_h,...RS_H 의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과 목적 스테이션(DS)이 위치하고, 이어 상기 반경 d0 내에 위치하는 목적 스테이션(DS)이 상기 반경 d0 를 벗어나는 방향으로 근접하게 되면, 목적 스테이션(DS)은 베이스 스테이션(BS)과의 접속 상태가 저하됨을 감지하고,

    ② 목적 스테이션(DS) 커버리지 내의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은 위치 및 채널 정보를 목적 스테이션(DS)으로 전송하며,

    ③ 목적 스테이션(DS)은 베이스 스테이션(BS)과 이용하던 1-hop 통신으로부터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을 통한 2-hop 통신으로 전환하기 위해, 위치 및 채널 정보를 전송한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들 가운데 최소 에너지를 소모하는 동시에 데이터 전송률과 비트 에러율(BER) 요구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모바일 내지 IoT 디바이스를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 측으로 목적 스테이션(DS)과의 중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메시지로 전송하고,

    ④ 이어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은 목적 스테이션(DS)으로부터 전송받은 메시지로부터, 목적 스테이션(DS)이 상기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에 접속하여 베이스 스테이션(BS)과의 중계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 스테이션(DS)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베이스 스테이션(BS)으로 전송하고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가 가동되는
    수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구동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RS)은,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가 가동되면,
    목적 스테이션(DS)에 할당되었던 기본 채널(primary channel)을 통해 베이스 스테이션(BS)과 접속되고, 동시에 상기 선택된 모바일 중계 스테이션은 인지무선통신(CR: Cognitive radio) 서브 채널을 통해 목적 스테이션(DS)에 접속되는 수순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의 구동 방법
KR1020140022756A 2014-02-26 2014-02-26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 KR101409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756A KR101409066B1 (ko) 2014-02-26 2014-02-26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756A KR101409066B1 (ko) 2014-02-26 2014-02-26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173A KR20140037173A (ko) 2014-03-26
KR101409066B1 true KR101409066B1 (ko) 2014-07-02

Family

ID=5064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756A KR101409066B1 (ko) 2014-02-26 2014-02-26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0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0392B2 (en) 2015-07-17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7599A (zh) * 2014-05-12 2014-07-30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感知和迭代搜索的联合功率分配方法
KR102318736B1 (ko) 2015-01-20 2021-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539161B1 (ko) * 2015-11-03 2023-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전력 무선 센서망을 위한 사물 방송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5581A1 (en) 2006-01-17 2007-07-19 Mehta Neelesh B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in cooperative relay networks
KR20080078359A (ko) * 2007-02-23 2008-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재활용과 공동 전력제어를 채용한 다채널분산안테나시스템에서 주파수효율과 공평성 증대를 위한조합적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110099754A (ko) * 2009-01-22 2011-09-08 인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스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중계국들에 의한 네트워크 무선 통신 자원들의 최적화
KR20130099510A (ko) * 2012-02-29 2013-09-06 한국과학기술원 채널 상태 정보에 따라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가 조절되는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5581A1 (en) 2006-01-17 2007-07-19 Mehta Neelesh B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in cooperative relay networks
KR20080078359A (ko) * 2007-02-23 2008-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재활용과 공동 전력제어를 채용한 다채널분산안테나시스템에서 주파수효율과 공평성 증대를 위한조합적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110099754A (ko) * 2009-01-22 2011-09-08 인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스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중계국들에 의한 네트워크 무선 통신 자원들의 최적화
KR20130099510A (ko) * 2012-02-29 2013-09-06 한국과학기술원 채널 상태 정보에 따라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가 조절되는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0392B2 (en) 2015-07-17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173A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97985B1 (en) Clear-to-send (cts) power control in sidelink
US78943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zone bandwidth allocation
KR10131750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릴레잉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25460B1 (ko) 직교 무선 시스템에서의 전력 제어 및 자원 관리
US79533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relay mod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19405B1 (ko) 적응부호 변조를 이용하는 릴레이를 가지는 이동통신 장치및 방법
US7916704B2 (en) Method of communication scheduling in a multihop network
US200701350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wireless relay network
US10880906B2 (e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implementing fairness and complexity-constrained 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scheme
CN111886916A (zh) 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技术
JP2006352894A (ja) マルチホップリレー携帯電話網におけるルーティング装置及び方法
KR20130066676A (ko) 모바일 네트워크, 대응하는 액세스 노드, 처리 유닛, 및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US11191090B2 (en) Inter-cell fractional frequency reuse scheduler
KR101902343B1 (ko) 네트워크 장치 및 사용자 장치, 및 그 방법들
KR20130012953A (ko) 무선 통신 시스템, 고전력 기지국, 저전력 기지국, 및 통신 제어 방법
Genc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transparent relays in 802.16 j MMR networks
KR101409066B1 (ko) 서비스 품질(QoS)과 최소 소비전력을 제공하는 모바일 중계 네트워크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그 구동 방법
CN114175737A (zh) 用于集成接入和回程网络的控制平面和用户平面的分离
Ansere et al. Energy efficient resource optimization in cooperative Internet of Things networks
US20150208333A1 (en) Apparatus for on-off information transmission on lte small cell
KR20070082284A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무선 자원 분배 장치 및 방법
EP210607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hen et al. Predictive dynamic channel allocation scheme for improving power saving and mobility in BWA networks
JP2010147906A (ja) 混雑度に応じた異種無線システムの切替方法、無線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101791046B1 (ko) 밀리미터파 백홀에 기반한 이종 네트워크에서 이중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