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986A -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986A
KR20080089986A KR1020070032878A KR20070032878A KR20080089986A KR 20080089986 A KR20080089986 A KR 20080089986A KR 1020070032878 A KR1020070032878 A KR 1020070032878A KR 20070032878 A KR20070032878 A KR 20070032878A KR 20080089986 A KR20080089986 A KR 20080089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essage queue
queue
controller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2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9986A/ko
Publication of KR20080089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기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전송 중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에 따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메시지 전송을 메시지 작성과 무관하게 메시지 큐에 메시지가 저장됨을 감지하여 수행할 수 있어 다량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안 새로운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휴대 단말기, SMS, MMS, 메시지 큐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of transmitting message in a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 단말기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메시지 서비스 면에서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와 같은 전통적인 기능 외로, 기존의 문자 메시지 등에 멀티미디어 파일을 첨부하거나, 다양한 이모티콘을 첨부하여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이하 MMS) 등을 서비스 하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메시지들은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강화되는 추세에 따라 그 멀티미디어 파일의 용량은 점점 더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는 그 메시지를 전송하는 중간에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며, 특히, 10명 이상의 다수의 사람들에게 동보 전송하는 경우에는 10개의 문자 메시지 각각이 하나씩 전송되는 과정을 메시지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만 했다.
이러한 메시지 전송 시간은 하나의 메시지가 전송 될 때, 트래픽(traffic)이 좋은 경우에는 수초에서 트래픽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수십초가 걸린다. 또한, 메시지의 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각 메시지 전송 시간은 점점 더 길어진다. 이러한 메시지 전송 대기 시간은 사용자를 지루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 불편 해소의 요구를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량의 메시지 전송 중 메시지 작성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지시 전송 방법은, 기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전송 중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장치는, 작성된 메시지를 임시 저장하는 메시지 큐 및 상기 메시지 큐의 메시지를 순차로 전송함과 동시에 메시지 작성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로써,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은, 무선통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표시부(150), 및 제어부(160)로 이루어진다.
무선 통신부(110)는 사용자 데이터 예컨대, 메시지(SMS 및 MMS 등) 및 음성 등의 신호를 외부 다른 휴대 단말기 등으로 무선 송수신하는 일련의 통신을 담당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송신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된다.
무선 통신부(110)는 제어부(190)로부터 받은 변조된 신호를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한 후 다시 고주파(RF, 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ANT, antenna)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기지국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IF)와 기저 대역(base band)으로 순차적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90)로 제공한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제어부(19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9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PCM, Pulse code modulation)로 변환하여 이를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90)로부터 들어오는 상대편 음성의 디지털 신호(PCM)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 speaker)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입력부(13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들 및 기능 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 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입력부(130)를 통해 문자 메시지의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해 소프트 키(Software key) 등을 선택하면, 입력부(130)는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다운로드하는 콘텐츠 및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프로그램 영역 및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를 부팅(booting)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휴대 단말기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SMS, MMS 등의 메시지 기능, 음악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통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 사용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예컨대,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이름 및 사용자에 대응하는 수신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폰북(Phone-book)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소정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예컨대, 음악, 동영상 등의 재생 기능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음악 파일, 정지 영상, 동영상)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40)는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큐(message qeue)(141)를 구비한다.
메시지 큐(141)는 작성된 메시지가 전송되기 전 임시 저장되는 영역이다. 메시지 큐(141)는 저장부(140)의 일부 영역에 정적(static)으로 소정 용량(capacity)이 할당되며, 이러한 영역을 "정적 영역"이라 하기로 한다. 또한, 메시지 큐(141)는 전송되는 문자 메시지의 수량이 정적 영역의 용량을 초과한 경우, 추가로 할당될 수 있다. 이렇듯 추가로 할당되는 영역을 "동적 영역"이라 하기로 한다.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비디오 메모리 및 액정표시장치의 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150)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면, 표시부(150)는 입력 부(13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및 표시부(150) 등의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예컨대, 키 입력 신호,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각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 수행에 따른 현재 상태 및 사용자 메뉴 등의 정보를 표시부(180)를 통해 표시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전화 통화를 위한 음성신호 처리 시 오디오처리부(120)로부터 제공받은 PCM 음성신호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인터리빙(interleaving)을 통해 변환한 후 변조하여 무선 통신부(110)로 제공하며,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복조, 등화(Equalization), 채널 디코딩(Channel decoding) 및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을 거쳐 PCM 음성신호로 생성한 후 이를 오디오처리부(120)로 보낸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모뎀(MODEM) 및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비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행위에 의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메시지를 작성하고, 이를 메시지 큐(141)에 임시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메시지 큐(141)에 메시지가 저장되면,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른 순서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더욱 자세히, 상기한 구성을 가진 휴대 단말기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이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부(160)는 메시지 작성 화면을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한다. 이러한 화면 예를 도 2a에 도시하였다. 도 2a와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는 문자 입력 및 멀티미디어 파일을 첨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문자 입력 및 멀티미디어 파일 첨부를 완료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50)를 통해 수신번호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이러한 화면 예를 도 2b에 표시하였다. 도 2b와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는 수신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신번호 입력을 완료하면, 제어부(160)는 전송할 메시지를 메시지 큐(141)에 저장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10개의 서로 다른 수신번호를 입력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10개의 메시지가 메시지 큐(141)에 저장된다.
메시지가 메시지 큐에 저장되면, 제어부(160)는 메시지 큐(141)의 메시지를 순차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시지 큐(141)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안, 사용자는 새로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 중에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 요청이 있으면, 제어부(160)는 메시 지를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60)는 메시지가 전송되고 있음을 표시부(150)의 소정 영역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시지 전송 중에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메시지 작성 화면을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를 도 2c에 도시하였다.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50)의 인디케이터 영역(200)에 10개의 메시지 중 하나의 메시지가 전송되고 있음을 표시("sending 1/10")하고, 메시지 작성 화면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도 2c와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는 메시지가 전송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메시지를 새로 작성할 수 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개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시지 전송 중에도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시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문자 메시지 전송 과정을 다음의 흐름도와 함께 더욱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S301 단계에서 메시지 모드로 전환한다. 메시지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60)는 S303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메시지 작성 화면(도 2a)을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한다.
사용자는 도 2a와 같은 화면에서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인 경우에는 문자 입력만을 수행하며,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와 같은 경우, 멀티미디어 파일을 첨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시지 작성을 완료하면, 제어부(160)는 S305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S307 단계에서 표시부(150)를 통해 수신번호 입력화면(도 2b)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도 2b와 같은 화면에서 수신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번호는 수신 측 휴대 단말기의 식별 번호이며, 하나 이상의 수신번호를 입력하거나, 폰북(Phone-book) 데이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10개의 서로 다른 수신번호를 선택 및 입력하였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수신번호 입력을 완료하면, 제어부(160)는 S311 단계로 진행하여, 메시지 큐(141)가 풀(full)인지 판단한다. 즉, 메시지 큐(141)의 용량이 가득 차 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메시지 큐가 풀인지의 판단은, 기 작성하여 아직 전송되지 않은 메시지가 메시지 큐(141)의 정적 영역의 용량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판단은, 정적 영역의 용량의 80 내지 90%를 임계(threshold)로 정하고, 임계로 정한 용량이상이 되었을 때, 메시지 큐(141)가 풀이라고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S311 단계의 판단 결과, 메시지 큐(141)가 풀이면, 제어부(160)는 S313 단계에서 동적 영역을 할당하여 메시지 큐의 용량을 늘린다. 그런 다음, S315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앞선 단계(S303 내지 S309)에서 작성한 메시지를 메시지 큐(141)에 저장한다.
한편 S311 단계의 판단 결과, 메시지 큐(141)가 풀이 아니면, 제어부(160)는 S315 단계로 진행하여 앞선 단계(S303 내지 S309)에서 작성한 메시지를 메시지 큐(141)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키 입력 신호를 통해 새로운 메시지 작성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키 입력 신호에 따라 제어부(141)는 S317 단계에서 메시지 작성을 종료할 것인지 판단한다.
S317 단계의 판단 결과, 메시지 작성을 종료하지 않으면, S303 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메시지 작성을 종료할 것이면 제어부(160)는 메시지 작성 기능을 종료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S303 단계로 다시 진행하여 메시지 입력 화면을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한다. S303 단계로 다시 진행한 경우에 메시지 입력 화면의 화면 예를 도 2c에 도시하였다.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50)의 인디케이터 영역에 10개의 메시지 중 하나의 메시지가 전송되고 있음을 전송 표시하고, 메시지 작성 화면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도 2c와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는 메시지가 전송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메시지를 새로 작성할 수 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메시지를 전송할 때마다, 표시부(150)의 상단 인디케이터 영역(200)에 상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가 전송됨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4를 참조로 하는 실시 예는 전술한 도 3의 실시 예에서 메시지 전송하는 방법과 별개로 이루어짐을 유의하여야 한다. 즉, 메시지 전송 및 메시지 작성은 멀티태스킹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S401 단계에서 대기 상태(stanby state)에 있다. 대기 상태에서 제어부(160)는 S403 단계에서 메시지 큐(141)에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메시지 큐(141)에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는 제어부(160)가 메시지 큐(141)에 메시지를 저장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S403 단계의 판단 결과, 메시지가 존재하면, 제어부(160)는 S405 단계에서 메시지 큐(141)의 메시지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한다. 이때, 하나의 메시지를 전송할 때마다, 제어부(160)는 S407 단계에서 표시부(150)를 통해 메시지가 전송됨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메시지가 전송됨을 표시하는 화면 예를 도 2c에 도시하였다.
한편, S403 단계의 판단 결과,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S401 단계로 진행하여 대기 상태를 수행한다.
이러한 S401 내지 S407 단계는 메시지가 메시지 큐(141)에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반복해서 수행되며, 메시지 큐(141)에 메시지가 없는 경우에는 S401 단계의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시지 전송은 메시지 작성과 무관하게 메시지 큐(141)에 메시지가 저장됨을 감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에 따르면, 메시지 전송은 메시지 작성과 무관하게 메시지 큐에 메시지가 저장됨을 감지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량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안 새로운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어 휴대 단말기 사용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기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전송 중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중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은,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과,
    메시지 큐가 풀(full)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메시지 큐가 풀이면, 메시지 큐의 용량을 확장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큐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큐는,
    특정 용량이 정해진 정적 영역 및 상기 정적 영역이 풀이 되면 추가로 할당 되는 동적 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메시지 큐가 풀이 아니면, 상기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큐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메시지 큐가 풀인지 판단하는 것은,
    상기 메시지 큐의 특정 용량을 임계치로 정하고, 상기 메시지 큐에 저장된 메시지가 상기 임계치 이상이면 메시지 큐 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메시지 큐에 하나 이상의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메시지가 존재 하면 순차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메시지 전송과 함께, 상기 메시지 큐의 다수개의 메시지 중 몇 개의 메시지를 보냈는지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메시지가 존재 하지 않으면 메시지 큐에 메시지가 저장될 때까지 대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9.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장치에 있어서,
    작성된 메시지를 임시 저장하는 메시지 큐; 및
    상기 메시지 큐의 메시지를 순차로 전송함과 동시에 메시지 작성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장치.
KR1020070032878A 2007-04-03 2007-04-03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80089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878A KR20080089986A (ko) 2007-04-03 2007-04-03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878A KR20080089986A (ko) 2007-04-03 2007-04-03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986A true KR20080089986A (ko) 2008-10-08

Family

ID=4015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878A KR20080089986A (ko) 2007-04-03 2007-04-03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99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2424A (zh) * 2017-09-23 2018-02-09 湖南胜云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针对海量数据高效缓存及管理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2424A (zh) * 2017-09-23 2018-02-09 湖南胜云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针对海量数据高效缓存及管理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854B1 (ko)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멀티태스킹처리방법
US7096008B2 (en) Service method in a mobile terminal
KR1005433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작업 중 선택적 수신 방법
KR10088908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다중작업 화면표시 방법
KR100873798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착신 메시지 숨김 서비스 제공 방법 및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0453160B1 (ko) 휴대폰용 전화기의 멀티 에쓰엠에쓰 전송 방법
KR20080026856A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20080089986A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EP3499857B1 (en)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067809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즐겨찾기 방법
KR100598456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2007007569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체 메시지 작성 방법
KR20060073664A (ko)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JP5162821B2 (ja) 情報処理装置
US20020019251A1 (en) Method of selectively storing display message in a mobile telephone
KR101311721B1 (ko) 단말기 및 그의 문자입력방법
KR10108564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및방법
KR10068119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KR100803006B1 (ko) 휴대단말기의 동적 입력방법 및 장치
KR1006810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보호방법
KR10077058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전송 및 저장 방법
KR101394278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KR100621340B1 (ko) 작업 상태 저장/재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작업 상태 저장/재생 방법
KR1007825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8345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파일 편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