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852A -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852A
KR20080089852A KR1020070032530A KR20070032530A KR20080089852A KR 20080089852 A KR20080089852 A KR 20080089852A KR 1020070032530 A KR1020070032530 A KR 1020070032530A KR 20070032530 A KR20070032530 A KR 20070032530A KR 20080089852 A KR20080089852 A KR 20080089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microcomputer
command
portable electronic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도준
Original Assignee
유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도준 filed Critical 유도준
Priority to KR1020070032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9852A/ko
Publication of KR20080089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전자제품에 있어서 센서와 같이 전류를 많이 소모하는 고전류 소모부와, 회로의 기기와 같이 전류를 적게 소모하는 저전류 소모부에 각각 상이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고전류 소모부를 인에이블 시키는 명령과 저전류 소모부에 소정 전압을 인가하라는 명령을 전달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상기 고전류 소모부를 인에이블 시키라는 명령을 전달받으면, 전압을 다운시켜 상기 고전류 소모부로 다운시킨 전압을 공급하는 선형 레귤레이터; 및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상기 저전류 소모부로 소정 전압을 인가하라는 명령을 전달받으면, 전압을 승압시켜 상기 저전류 소모부로 승압된 전압을 공급하는 승압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특히 고전류를 소모하는 휴대용 전자제품의 특정부에서 승압시 발생하는 리플에 의한 정확도 저하를 해결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휴대용 전자제품, 승압기, DC/DC 컨버터, 마이컴, 레귤레이터

Description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
도 1은 종래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마이컴의 상세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선형 레귤레이터의 상세회로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승압부의 상세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마이컴의 상세회로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전압 분기부의 상세회로도이다.
도 9는 도 6에서 센서의 상세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위치
20 : 마이컴(HT46R23 또는 ATmega48v)
30 : 선형 레귤레이터
40 : 승압부
50 : 전압 분기부
60 : 센서
70 : 기기(음주측정기, MP3, PDA 등)의 회로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서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고전류를 소모하는 부분에 전압을 승압하여 공급할 경우, 불안정하게 발생하는 리플에 의한 정확도 저하를 해결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압 장치는 직류 전동기 등과 같은 장치의 전원 전압에 직렬로 접속하여 전압의 크기를 가능한 범위에 걸쳐 변화시켜 상승된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일종이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1은 3V 전압을 공급하는 배터리이고, 2는 배터리(1)에서 공급된 3V 전압을 5V 전압으로 DC/DC(Direct Current/Direct Current, 직류/직류) 변환을 수행하여 5V 전압을 공급하는 DC/DC 컨버터이며, 3은 DC/DC 컨버터(2)로부터 5V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기기(음주측정기, MP3 플레이어, PDA 등)의 회로이 다.
그래서 종래에는 음주측정기,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정보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제품의 경우, 3V 배터리(1)의 전압을 승압 장치인 DC/DC 컨버터(2)를 이용하여 5V로 승압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승압 장치인 DC/DC 컨버터(2)에 의해 승압할 때 리플(Ripple)이 발생하여 센서에 의한 측정값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음주측정기의 경우, 센서 측에 5V 승압된 전압을 사용하게 되면 리플에 의해 정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리플이 발생하지 않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에는 음주측정기와 같은 장치에서 센서의 히터 부분에서의 전력 소모량이 많은데(즉, 전류를 많이 필요로 함), 이와 같이 소모량이 많은 히터 부분에서 특히 리플이 많이 생기고, 전류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승압시키면 그 승압 자체로도 전류가 다소 불안정하지만, 그러한 전류가 특히 소모량이 많은 히터 부분에 제공될 경우 더더욱 리플이 심해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 등(고전류를 소모하는 부품)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제품에서 승압시 발생하는 리플에 의한 정확도 저하를 해결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는,
휴대용 전자제품에 있어서 센서와 같이 전류를 많이 소모하는 고전류 소모부와, 회로의 기기와 같이 전류를 적게 소모하는 저전류 소모부에 각각 상이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고전류 소모부를 인에이블 시키는 명령과 저전류 소모부에 소정 전압을 인가하라는 명령을 전달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상기 고전류 소모부를 인에이블 시키라는 명령을 전달받으면, 전압을 다운시켜 상기 고전류 소모부로 다운시킨 전압을 공급하는 선형 레귤레이터; 및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상기 저전류 소모부로 소정 전압을 인가하라는 명령을 전달받으면, 전압을 승압시켜 상기 저전류 소모부로 승압된 전압을 공급하는 승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기술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히 휴대용 음주 측정기의 적용된 응용예에 기초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휴대용 전자제품에서 기기의 일반 회로와 달리 상대적으로 고전류를 소모하는 부분에 공급하는 전력을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다운시켜 공급하는 모든 종류의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마이컴이 휴대용 전자제품의 기기의 회로에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는 휴대용 전자제품의 종류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음주측정기의 적용예로서 5V로 특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60)를 인에이블(Enable, EN) 시키라는 명령과 기기의 회로(70)로 5V로 인가하라는 명령을 전달하는 마이컴(20)과; 상기 마이컴(20)으로부터 상기 센서(60)를 인에이블 시키라는 명령을 전달받으면, 전압을 다운시켜 상기 센서(60)로 다운시킨 전압을 공급하는 선형 레귤레이터(Linear Regulator)(30)와; 상기 마이컴(20)으로부터 상기 기기의 회로(70)로 5V를 인가하라는 명령을 전달받으면, 전압을 승압시켜 상기 기기의 회로(70)로 승압된 전압을 공급하는 승압부(40)와;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30)로부터 다운시킨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센서(60)(소위, 고전류 소모부)와; 상기 승압부(40)로부터 승압된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기기의 회로(70)(소위, 저전류 소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도 2에서 승압부의 상세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압부(40)는, 상기 마이컴(20)으로부터 상기 기기의 회로(70)로 5V를 인가하라는 명령을 전달받으면, 도통되는 제 2 트랜지스터(41)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41)가 도통되면, 배터리(BAT)의 전압이 도통되도록 하는 제 3 트랜지스터(42)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42)로부터 전달된 전압을 DC/DC 변환시켜 상기 기기의 회로(70)로 전압(Vcc)을 공급하는 DC/DC 컨버터(43);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트랜지스터(41)는, NPN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트랜지스터(42)는, PNP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상태가 온 되면, 상기 마이컴(20)을 동작시키는 스위치(1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는, 도 5에서와 같이, 상태가 온 되면, 상기 승압부(40)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승압부(40)의 구동 전원에 의해 상기 마이컴(20)이 구동되도록 하는 스위치(1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0)에 의해 작동되면 5V 인가 명령을 전달하는 마이컴(20)과; 상기 마이컴(20)으로부터 5V 인가 명령을 전달받으면, 전압을 분기시켜 센서(60)로는 다운시킨 전압을 공급하고, 기기의 회로(70)로는 승압된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분기부(50)와; 상기 전압 분기부(50)로부터 다운시킨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센서(60)와; 상기 전압 분기부(50)로부터 승압된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기기의 회로(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압 분기부(50)는, 상기 마이컴(20)으로부터 5V 인가 명령을 전달받으면, 배터리(BAT)의 전압을 레귤레이션(Regulation)하여 상기 센서(60)로 다운시킨 전압을 공급하는 선형 레귤레이터(51)와;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51)에서 다운시킨 전압을 공급받아 DC/DC 변환시켜 상기 기기의 회로(70)로 전압(Vcc)을 공급하는 DC/DC 컨버터(5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는, 도 6에서와 같이, 상태가 온 되면, 상기 마이컴(20)을 동작시키는 스위치(1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는, 도 8에서와 같이, 상태가 온 되면, 상기 승압부(40)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전압 분기부(50)의 구동 전원에 의해 상기 마이컴(20)이 구동되도록 하는 스위치(1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센서 등과 같이 고전류를 소모하는 부품을 구비한 휴대용 전 자제품에서 승압시 발생하는 리플에 의한 정확도 저하를 해결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자 한 것이다.
특히, 음주측정기의 경우 센서(60) 측에 5V 승압을 전압을 사용하게 되면 리플에 의해 정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특별히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센서(60) 측에 공급하는 전원은 선형 레귤레이터(SPX3819 모델)를 이용하여 2V로 다운시켜 공급(전압 다운시에는 리플 발생이 없고 안정적이다)하고, 음주측정기의 다른 회로 측에는 5V 승압된 전원을 사용한다. 즉, 센서측에 공급하는 전원을 회로측에 공급하는 전원과 완전히 별개로 구성하거나(승압부와 선형 레귤레이터의 완전 분리) 또는 연속적으로 연결하되 각각 요구되는 전원을 분기시켜 센서측과 회로측에 각각 공급하도록 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센서(특히 히터)측 공급 전원과 회로측 공급 전원을 완전히 분리시킨 경우이다. 그래서 마이컴(20)의 제어 하에서 스위치(10)가 원터치 방식으로 눌려지면, 마이컴(20)은 CE에 5V를 가하여 트랜지스터를 통전시켜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그 공급된 전원을 승압부(40)에 의해 승압시켜 5V를 공급한다. 또한 마이컴(20)의 제어 하에서 HEATER(EN) 인에이블 시키면, 선형 레귤레이터(30)가 동작하여 2V로 다운시켜 센서(60)의 히터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의 블 록구성도이다.
스위치를 도 2에서와 같이 구성할 경우, 직접 마이컴(20)을 구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스위치를 도 5에서와 같이 구성할 경우, 승압부(40)의 DC/DC 컨버터(43)가 구동되도록 하고 DC/DC 컨버터(43)의 구동 전원에 의해 마이컴(20)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래서 도 5에서와 같이 스위치(10)를 구성할 경우에는 스위치 -> 승압용 DC/DC 컨버터 구동 -> 마이컴(20) 구동 -> 선형 레귤레이터(30) -> 센서(60)의 히터 구동의 순서로 동작하게 된다.
또한 마이컴(20)은 센서(60)를 인에이블(Enable, EN) 시키라는 명령과 기기의 회로(70)로 5V로 인가하라는 명령을 전달한다.
그래서 도 3에서와 같이 마이컴(20)은 HT46R23 모델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PD0/PWM0 단자를 통해 HEATER와 같은 신호를 전달하여 센서를 인에이블(EN) 시키라는 명령을 전달하고, PC0 단자를 통해 CE 신호를 전달하여 5V 인가 명령을 전달한다. 도 3에서 나머지 구성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선형 레귤레이터(30)는 마이컴(20)으로부터 센서(60)를 인에이블 시키라는 명령을 전달받으면, 전압을 다운시켜 센서(60)로 다운시킨 전압을 공급한다.
이러한 선형 레귤레이터(30)는 도 4에서와 같이 선형 레귤레이터 소자(31)와 제 1 트랜지스터(3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래서 선형 레귤레이터 소자(31)는 마이컴(20)으로부터 센서(60)를 인에이 블 시키라는 명령을 전달받으면, 다운시킨 2V 전압을 출력한다. 이러한 선형 레귤레이터 소자(31)는 SPX3819 모델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트랜지스터(32)는 선형 레귤레이터 소자(31)와 연결되고, 마이컴(20)의 HEATER HI 포트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최초 사용시 센서의 히터를 단시간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단시간에 워밍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 1 트랜지스터(32)는 NPN 트랜지스터로 구성할 수 있고, KTN2222S 모델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승압부(40)는 마이컴(20)으로부터 기기의 회로(70)로 5V를 인가하라는 명령을 전달받으면, 전압을 승압시켜 기기의 회로(70)로 승압된 전압을 공급한다.
이러한 승압부(40)는 도 5에서와 같이 제 2 및 제 3 트랜지스터(41, 42), DC/DC 컨버터(4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래서 제 2 트랜지스터(41)는 마이컴(20)으로부터 기기의 회로(70)로 5V를 인가하라는 명령을 전달받으면, 도통되어 제 3 트랜지스터(42)가 동작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 2 트랜지스터는 NPN 트랜지스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KN3904S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3 트랜지스터(42)는 제 2 트랜지스터(41)가 도통되면, 배터리(BAT)의 전압이 도통되도록 하여 DC/DC 컨버터(43)로 배터리(BAT)의 전압이 전달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 3 트랜지스터(42)는 PNP 트랜지스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KN2907S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면 DC/DC 컨버터(43)는 제 3 트랜지스터(42)로부터 전달된 전압을 DC/DC 변환시켜 기기의 회로(70)로 5V의 전압(Vcc)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DC/DC 컨버터(43)는 HT7750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서 R은 저항이고, C는 커패시터이며, L은 코일이다. 또한 도 5의 D4는 SDB310Q 모델로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이다.
또한 센서(60)는 선형 레귤레이터(30)로부터 다운시킨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것으로, 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기의 회로(70)는 승압부(40)로부터 승압된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것으로, 음주측정기, MP3 플레이어, PDA 등의 회로이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선형 레귤레이터와 승압 회로를 연속적으로 연결시킨 구조이다. 그래서 스위치(10) 동작시 CE에 5V 인가되어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연속적으로 연결된 회로에서 Vh(2V)와 Vcc(5V)를 분기시켜 각각 센서(60) 측과 회로(70) 측에 전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그래서 스위치를 도 6에서와 같이 구성할 경우, 직접 마이컴(20)을 구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스위치를 도 8에서와 같이 구성할 경우, 전압 분기(50)의 DC/DC 컨버터(52)가 구동되도록 하고 DC/DC 컨버터(52)의 구동 전원에 의해 마이컴(20)이 구 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래서 도 8에서와 같이 스위치(10)를 구성할 경우에는 스위치 -> 선형 레귤레이터(51) 구동 -> DC/DC 컨버터(52) 구동 -> 마이컴(20) 구동 -> 센서(60)의 히터 구동의 순서로 동작하게 된다.
도 7은 도 6에서 마이컴의 상세회로도이다.
마이컴(20)은 스위치(10)에 의해 작동되면 5V 인가 명령을 전달한다. 이러한 마이컴(20)은 ATmega48v 모델로 구성할 수 있다. ATmega48v 모델은 저전력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8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이다. 또한 마이컴(20)은 HT46R23 모델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6에서 전압 분기부의 상세회로도이다.
또한 전압 분기부(50)는 마이컴(20)으로부터 5V 인가 명령을 전달받으면, 전압을 분기시켜 센서(60)로는 다운시킨 전압을 공급하고, 기기의 회로(70)로는 승압된 전압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압 분기부(50)는 선형 레귤레이터(51)와 DC/DC 컨버터(5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래서 전압 분기부(50)의 선형 레귤레이터(51)는 마이컴(20)으로부터 5V 인가 명령을 전달받으면, 배터리(BAT)의 전압을 레귤레이션(Regulation)하여 센서(60)로 다운시킨 2V 전압을 공급한다.
또한 전압 분기부(50)의 DC/DC 컨버터(52)는 선형 레귤레이터(51)에서 다운시킨 2V 전압을 공급받아 DC/DC 변환시켜 기기의 회로(70)로 승압된 5V 전압(Vcc)을 공급한다.
도 9는 도 6에서 센서의 상세회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히 음주측정기의 경우, 센서(60)는 그 특성상 히터(HEAT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제품에서 승압시 발생하는 리플에 의한 정확도 저하를 해결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는 센서 등(고전류를 소모하는 부품)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제품에서 승압시 발생하는 리플에 의한 정확도 저하를 해결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응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응용도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Claims (4)

  1. 휴대용 전자제품에 있어서 센서와 같이 전류를 많이 소모하는 고전류 소모부와, 회로의 기기와 같이 전류를 적게 소모하는 저전류 소모부에 각각 상이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고전류 소모부를 인에이블 시키는 명령과 저전류 소모부에 소정 전압을 인가하라는 명령을 전달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상기 고전류 소모부를 인에이블 시키라는 명령을 전달받으면, 전압을 다운시켜 상기 고전류 소모부로 다운시킨 전압을 공급하는 선형 레귤레이터; 및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상기 저전류 소모부로 소정 전압을 인가하라는 명령을 전달받으면, 전압을 승압시켜 상기 저전류 소모부로 승압된 전압을 공급하는 승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압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상기 저전류 소모부에 소정 전압을 인가하라는 명령을 전달받으면, 도통되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가 도통되면, 배터리의 전압이 도통되도록 하는 제 3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된 전압을 DC/DC 변환시켜 상기 기기의 회로로 전압을 공급하는 DC/DC 컨버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
  3. 휴대용 전자제품에 있어서 센서와 같이 전류를 많이 소모하는 고전류 소모부와, 회로의 기기와 같이 전류를 적게 소모하는 저전류 소모부에 각각 상이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소정 전압 인가 명령을 전달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소정 전압 인가 명령을 전달받으면, 전압을 분기시켜 상기 고전류 소모부로는 다운시킨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저전류 소모부로는 승압된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분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분기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소정 전압 인가 명령을 전달받으면, 배터리의 전압을 레귤레이션 하여 상기 고전류 소모부로 다운시킨 전압을 공급하는 선형 레귤레이터와;
    상기 선형 레귤레이터에서 다운시킨 전압을 공급받아 DC/DC 변환시켜 상기 고전류 소모부로 승압된 전압을 공급하는 DC/DC 컨버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
KR1020070032530A 2007-04-02 2007-04-02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 KR20080089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530A KR20080089852A (ko) 2007-04-02 2007-04-02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530A KR20080089852A (ko) 2007-04-02 2007-04-02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852A true KR20080089852A (ko) 2008-10-08

Family

ID=4015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530A KR20080089852A (ko) 2007-04-02 2007-04-02 휴대용 전자제품의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98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4511A (ja) * 2013-04-02 2014-10-27 オムロン株式会社 センサ装置および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4511A (ja) * 2013-04-02 2014-10-27 オムロン株式会社 センサ装置および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20150135468A (ko) * 2013-04-02 2015-12-02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센서 장치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9787181B2 (en) 2013-04-02 2017-10-10 Omron Corporation Sensor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1075B2 (en) Voltage converter having overcurrent protection
US7626371B2 (en) Power supply unit and portable device
US9052728B2 (en) Start-up circuit and method thereof
US7148665B2 (en) Power supplying methods and apparatus that provide stable output voltage
US98597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ystem power management i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battery
US7560915B2 (en) Power supply apparatus provided with regulation function and boosting of a regulated voltage
KR100976021B1 (ko) 승압 회로를 갖는 전자 기기
US9178382B2 (en) Reversible buck or boost converter that determines boost output current from sensed boost input current
US20070229149A1 (en) Voltage regulator having high voltage protection
US20110241642A1 (en) Voltage converter
US7889190B2 (en)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source
US20120268096A1 (en) Voltage booster system and semiconductor chip
TW200849784A (en) DC-DC converter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circuit
US9639108B2 (en) Power supply circuit
US20140118074A1 (en) Power amplifier controller
JP2007267537A (ja)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電子システム
EP1715568A2 (en) Constant-voltage circuit capable of reducing time required for starting, semiconductor apparatus including constant-voltage circuit, and control method of constant-voltage circuit
US20130127429A1 (en) Soft-stop Device and Power Converter Using the Same
US92877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wer to circuits until power supply turns on and supplies power
US20120161732A1 (en) Voltage Regulator Configuration
US8779708B2 (en) Brushless motor driving circuit
US20110037756A1 (en)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source
US20120235657A1 (en) Soft-start circuit
JP2012205408A (ja) 電源回路
WO2009075547A2 (en) Power supply for multiple output volt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