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714A - 폭죽용 격발기 및 이에 의한 연발식 폭죽발사기 - Google Patents

폭죽용 격발기 및 이에 의한 연발식 폭죽발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714A
KR20080089714A KR1020070032222A KR20070032222A KR20080089714A KR 20080089714 A KR20080089714 A KR 20080089714A KR 1020070032222 A KR1020070032222 A KR 1020070032222A KR 20070032222 A KR20070032222 A KR 20070032222A KR 20080089714 A KR20080089714 A KR 20080089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cracker
launcher
plate
trigg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8171B1 (ko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이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현 filed Critical 이상현
Priority to KR1020070032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171B1/ko
Priority to PCT/KR2008/001821 priority patent/WO2008120945A1/en
Priority to CN200880010716A priority patent/CN101680736A/zh
Publication of KR20080089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4/00Fireworks, i.e. pyrotechnic devices for amusement, display, illumination or signal purposes
    • F42B4/20Fireworks, i.e. pyrotechnic devices for amusement, display, illumination or signal purposes characterised by having holder or support other than casing, e.g. whirler or spike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4/00Fireworks, i.e. pyrotechnic devices for amusement, display, illumination or signal purposes
    • F42B4/04Firecrac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4/00Fireworks, i.e. pyrotechnic devices for amusement, display, illumination or signal purposes
    • F42B4/06Aerial display rockets
    • F42B4/14Aerial display rockets characterised by having plural successively-ignited char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7/00Jokes; Confetti, streamers, or other dance favours ; Cracker bonbon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발끈(1a)을 갖는 폭죽(1)을 터뜨리는 격발기 및 연발식 폭죽발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격발기는, 폭죽(1)이 안착되어 터지는 폭죽발사대(10); 이 폭죽발사대(10)에서 상기 폭죽(1)을 클램핑하는 클램프(20) 및; 전술한 폭죽발사대(10)의 일측에 일부분이 힌지(H)로 결합되어, 외부의 가압력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일측에 동일체로 마련된 폭죽(1)의 격발끈(1a)이 감긴 감김부(W)를 당겨서 폭죽(1)을 터뜨리는 격발판(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발식 폭죽발사기는, 전술한 격발판(30)을 가압하여 격발시키는 방아쇠(50); 일측면에 전술한 폭죽발사대(10)가 다수 고정되고, 회전축(62)을 갖는 회전판(60); 이 회전판(60)에 폭죽발사대(1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JT); 이 회전판(60)의 회전축(62)이 끼워지는 베어링(69) 및; 이 베어링(69) 및 방아쇠(50)가 고정되고, 손잡이(72)를 갖는 커버(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폭죽발사대(10)상에서 폭죽(1)이 터지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회전판(60)에 다수의 폭죽발사대(10)가 고정되므로 폭죽(1)을 연발로 격발시킬 수 있다.
Figure P1020070032222
폭죽, 장전, 회전, 격발, 연발

Description

폭죽용 격발기 및 이에 의한 연발식 폭죽발사기 { PERCUSSION DEVICE FOR FIRECRACKER AND RUNNING FIRE TYPE FIRECRACKER DISCHARGER THEREBY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폭죽용 격발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폭죽용 격발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폭죽용 격발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폭중용 격발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폭죽용 격발기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폭죽용 격발기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발식 폭죽발사기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폭죽발사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폭죽발사기에 적용되는 폭죽용 격발기의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회전판의 사시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베어링의 사시도;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방아쇠 및 회전대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회전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회전보조부재의 사시도; 및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회전보조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폭죽 1a : 격발끈 10 : 폭죽발사대
10a : 관통돌기 12 : 베이스판 14 : 직각판
18 : 돌출판 20 : 클램프 22 : 벨트
24 : 환형띠 24 : 걸림돌기 26 : 고정벨트
26a : 걸림공 30 : 격발판 32 : 수직판
34 : 수평판 40 : 폭죽지지구 42 : 관통축
44 : 걸림날개 50 : 방아쇠 52 : 회전부
54 : 가압부 60 : 회전판 64 : 돌출날개
70 : 커버 72 : 손잡이 80 : 회전대
82 : 중첩회전부 84 : 레버부 86 : 누름편
90 : 스토퍼 92 : 돌출돌기 94 : 정지핀
94a : 걸림부 96 : 탄성체
본 발명은 폭죽을 장전하여 터뜨리는 격발기 및 이 격발기를 이용한 연발식 폭죽발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격발끈을 갖는 폭죽을 터뜨리는 격발기 및 이에 의한 연발식 폭죽발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죽은 도화선에 의해 격발되는 점화식과, 실형태의 격발끈에 의 해 격발되는 비점화식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점화식은 실내 보다는 실외에서 많이 사용되며, 비점화식은 실내외에서 모두 사용된다. 따라서, 비점화식이 점화식 보다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비점화식은 대부분 원통형이나 콘형태가 주류를 이루며, 사용자가 폭죽의 외주면을 파지한 상태로 격발끈을 당김에 따라 터진다. 이때, 폭죽은 격발끈이 마련된 반대편으로 꽃가루나 테이프와 같은 내용물을 분출한다.
그러나, 이러한 비점화식 폭죽은 터지면서 사용자의 손에 폭발진동을 전달하여 고통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폭발시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여 터뜨려야 하므로 여자들이나 노약자들이 두려움 때문에 사용을 회피하는 문제도 있다.
아울러, 폭죽을 그냥 손에 파지하여 터뜨려야 하므로 폭죽을 재미있게 터뜨릴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격발끈을 갖는 폭죽을 총알과 같이 장전하여 터뜨릴 수 있는 폭죽용 격발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더 나아가, 폭죽용 격발기를 이용하여 격발끈을 갖는 여러개의 폭죽을 리벌버식 권총과 같이 연발로 장전하여 터뜨릴 수 있는 연발식 폭죽발사기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폭죽격발기는, 일단부에 격발끈을 갖는 폭죽을 장전하여 터뜨리는 격발기에 있어서, 상기 폭죽이 안착되어 터지고, 폭죽의 내용물이 일측을 통해 분출되는 폭죽발사대; 상기 폭죽발사대에 안착된 상기 폭죽을 클램핑하여 폭죽발사대에 폭죽을 고정하는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에 의해 고정된 상기 폭죽과 직교를 이루면서 상기 폭죽발사대의 일측에 일부분이 힌지로 결합되고, 일단부에 상기 폭죽의 격발끈이 감겨서 고정되는 감김부를 가지며, 외부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일단부를 상기 폭죽발사대와 이격시켜서, 일단부의 감김부를 통해 상기 폭죽의 격발끈을 견인하여 상기 폭죽을 격발시키는 격발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연발식 폭죽발사기는, 일단부에 격발끈을 갖는 복수개의 폭죽을 장전하여 연속적으로 터뜨리는 폭죽발사기에 있어서, 상기 폭죽이 안착되어 터지고, 폭죽의 내용물이 일측을 통해 분출되는 폭죽발사대; 상기 폭죽발사대에 마련되어 폭죽발사대에 안착된 상기 폭죽을 폭죽발사대에 고정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에 의해 고정된 상기 폭죽과 직교를 이루면서 상기 폭죽발사대의 일측에 일부분이 힌지로 결합되고, 일단부에 상기 폭죽의 격발끈이 감겨서 고정되는 감김부를 가지며, 외부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일단부를 상기 폭죽발사대와 이격시켜서, 일단부의 감김부를 통해 상기 폭죽의 격발끈을 견인하여 상기 폭죽을 격발시키는 격발판; 상기 격발판에 외부의 가압력을 전달하여 격발판을 통해 상기 폭죽를 격발시키는 레버식 방아쇠; 상기 폭죽발사대가 일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고정되고, 타측면의 중앙에 동일체로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상기 폭죽발사대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이 내장되고, 상기 방아쇠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이 방아쇠와 함께 파지되는 손잡이를 갖는 커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폭죽용 격발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폭죽용 격발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폭죽용 격발기(PC)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발사대(10); 클램프(20) 및; 격발판(3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폭죽용 격발기(PC)의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폭죽발사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상부면에 폭죽(1)이 안착된다. 따라서, 폭죽(1)은 폭죽발사대(10)상에서 터진다. 이러한 폭죽발사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어 일측을 통해 폭죽(1)의 내용물을 분출한다.
여기서, 전술한 폭죽발사대(1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1)이 안착되는 베이스판(12) 및; 이 베이스판(12)의 일단부에 연장형성되는 직각판(1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베이스판(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판(14)에 의 해 타측이 차폐된다. 물론, 베이스판(12)는 직각판(14)이 형성된 타측의 반대편에 위치한 일측은 개방된다.
여기서, 전술한 직각판(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2)의 일단부에서 절곡상태로 연장형성하여, 폭죽(1)의 격발끈(1a)과 일측면이 마주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각판(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면이 격발판(30)에 힌지(H)로 결합되어 격발판(30)과 중첩된다.
한편, 직각판(14)은 도면의 좌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1)의 격발끈(1a)이 삽입되는 격발끈홈(C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격발끈홈(CH)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격발끈(1a)을 직각판(14)의 후방으로 안내한다.
다음, 전술한 클램프(20)는 폭죽발사대(10)에 폭죽(1)을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클램프(20)는 폭죽(1)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하여 폭죽(1)을 필요에 따라 폭죽발사대(10)상에 구속하거나 구속을 해제한다.
이러한 클램프(2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폭죽발사대(10)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벨트(22) 및; 이 벨트(22)의 타단부를 폭죽발사대(10)에 고정하는 관통돌기(10a);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벨트(22)는 볼팅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폭죽발사대(10)의 일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폭죽발사대(10)에 안착된 폭죽(1)을 감싸면서 클램핑한다. 그리고, 벨트(22)는 타단부가 폭죽발사대(10)의 타측면에 형성된 관통돌기(10a)에 걸려서 고정된다. 물론, 벨트(22)는 타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걸림공(22a)이 형성됨에 따라 관통돌기(10a)에 걸려서 고정된다. 즉, 벨트(22)는 타단부의 걸림공(22a)이 폭죽발사대(10)의 관 통돌기(10a)에 걸린다.
여기서, 전술한 벨트(22)는 플라스틱재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보다는 폭죽(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연질의 고무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전술한 격발판(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성된 판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격발판(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상태로 전술한 폭죽발사대(10)의 직각판(14)에 밀착되면서 직각판(14)과 중첩된다. 그리고, 격발판(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폭죽발사대(10)의 일측에 힌지(H)로 결합된다. 따라서, 격발판(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1)과 직교를 이룬다.
이와 같은 격발판(30)은 도면의 좌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폭죽(1)의 격발끈(1a)이 감겨서 고정되는 감김부(W)를 갖는다. 이러한 감김부(W)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격발판(30)과 동일체를 이루면서 격발판(30)의 일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감김부(W)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격발끈(1a)이 억지끼움으로 끼워지는 억지끼움홈(W')을 갖는다. 즉, 격발끈(1)은 억지끼움홈(W')에 끼워져서 감김부(W)에 고정된다.
이러한 격발판(30)은 도면의 좌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1)의 격발끈(1a)이 삽입되는 격발끈홈(C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격발끈홈(CH)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격발끈(1a)을 격발판(30)의 후방에 형성된 감김부(W)로 안내한다.
한편, 전술한 폭죽발사대(10)는 도면의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폭죽 지지구;를 더 포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폭죽지지구는 예컨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발사대(10)를 관통하는 관통축(42) 및; 이 관통축(42)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날개(4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관통축(4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수직홈(42a)이 형성된다. 전술한 폭죽발사대(10)의 베이스판(12)을 관통한다. 물론, 베이스판(12)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축(42)이 관통되는 축공(10b)이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때, 축공(10b)은 관통축(42) 보다 크고, 관통축(42)에 형성된 걸림날개(40)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즉, 전술한 걸림날개(40)는 축공(10b)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축(42)은 수직홈(42a)에 의해 양분되며, 걸림날개(44)가 형성된 양측을 가압할 경우 수직홈(42a)에 의해 오므려진다. 즉, 양분된 관통축(42)은 양측이 가압될 경우 모아진다. 따라서, 관통축(42)은 오므려지면서 폭죽발사대(10)의 축공(10b)에 용이하게 삽입될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이탈된다.
여기서, 전술한 걸림날개(44)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축(42)의 축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된다. 이에 따라, 걸림날개(44)는 오무려지면서 베이스판(12)의 축공(10b)을 관통하는 관통축(42)에 의해 베이스판(12)에 걸려서 고정된다. 물론, 걸림날개(44)는 축공(10b)의 측방으로 돌출되면서 걸린다.
이와 같은 걸림날개(44)는 관통축(42)이 축공(10b)을 관통하거나 축공(10b)에서 탈거될 경우, '따다닥'하는 소리를 내면서 탄성변형한다. 따라서, 관통축(42)은 걸림날개(44)가 탄성변형함에 따라 축공(10b)에서 승강할 수 있다. 이때, 관통 축(42)은 승강시 걸림날개(44)가 베이스판(12)에 걸림에 따라 돌출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베이스판(12)상에 고정된다. 즉, 관통축(42)은 승강하면서 돌출 높이가 조절되며, 걸림날개(44)가 베이스판(12)에 걸림에 따라 베이스판(12)상에 고정된다.
이러한 폭죽지지구(4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발사대(10)에서 완전히 이탈되면서 폭죽발사대(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폭죽지지구(40)는 폭죽발사대(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분리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폭죽발사대(10)는 하부에 파지부재가 일체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부재는 격발판(30)과 함께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다. 즉, 파지부재는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손잡이로 이용된다. 이러한 파지부재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발사대(10)의 하부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판(18)으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돌출판(1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폭죽발사대(10)를 구성하는 베이스판(12)의 하부에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은 돌출판(18)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으로 구성하여, 베이스판(12)의 양측에 대향상태로 돌출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전술한 폭죽(1)은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격발끈(1a)이 노출되는 단부에 결합돌기(1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1c)는 예컨대, 폭죽(1)의 단부에 결합되는 플라스틱재 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합돌기(1c)는 도시된 바와 같이 '十'와 같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폭죽(1)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c)는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 된 바와 같이 폭죽발사대(10)의 결합공(14a)에 결합된다. 즉, 폭죽발사대(10)는 결합공(14a)을 갖는다. 이때, 결합공(14a)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판(14)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폭죽(1)은 결합돌기(1c)가 결합공(14a)에 결합됨에 따라 폭죽발사대(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 다른 한편, 전술한 폭죽(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돌기(1b)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1b)는 폭죽(1)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미도시된 플라스틱재 링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1b)는 플라스틱재 링이 폭죽(1)에 내주면에 삽입됨에 따라 폭죽(1)의 외주면으로 돌출된다. 물론, 폭죽(1)은 돌기(1b)가 돌출되는 구멍이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렇게, 폭죽(1)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돌기(1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20)의 벨트(22)에 형성된 끼움공(22b)에 끼워진다. 즉, 벨트(22)는 돌기(1b)가 끼워지는 끼움공(22b)을 갖는다.
이러한 끼움공(22b)은 벨트(22)가 폭죽(1)을 감쌀 때 돌기(1b)와 결합된다. 즉, 돌기(1b)는 벨트(22)가 폭죽(1)을 감쌈에 따라 끼움공(22b)에 끼워진다. 따라서, 폭죽(1)은 폭죽발사대(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결론적으로, 폭죽(1)은 전술한 결합돌기(1c) 및 결합공(14a)에 의해 일단부가 폭죽발사대(10)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전술한 돌기(1b) 및 끼움공(22b)에 의해 타단부가 폭죽발사대(10)상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폭죽(1)은 폭죽발사대(10)의 베이스판(12)상에 안착되어 클램프(20)의 벨트(22)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폭죽(1)의 격발끈(1a)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격발판(30)의 감김부(W)에 감겨서 고정된다. 이러한 폭죽(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지지구(40)에 의해 하부가 지지된다. 따라서, 폭죽(1)은 폭죽발사대(10)상에 견고히 고정된다.
여기서, 전술한 폭죽지지구(40)는 폭죽(1)이 도시된 바와 같은 콘 형태로 형성된 경우 베이스판(12)에서 돌출된 상태로 폭죽(1)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폭죽지지구(40)는 폭죽(1)의 지름에 따라, 돌출높이가 변경되면서 폭죽(1)의 하부를 지지한다.
한편, 폭죽(1)에 돌기(1b)가 형성될 경우, 돌기(1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22)의 끼움공(22b)에 끼워진다. 따라서, 폭죽(1)은 일단부가 폭죽발사대(10)상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에 더하여, 폭죽(1)에 결합돌기(1c)가 형성될 경우, 결합돌기(1c)는 폭죽발사대(10)의 직각판(14)에 형성된 결합공(14a)에 결합된다. 따라서, 폭죽(1)은 폭죽발사대(10)상에 더욱 견고히 고정된다.
다른 한편, 폭죽발사대(10)는 직각판(14)에 도면의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수용홈(14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홈(14b)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격발끈(1a)이 마련된 폭죽(1)의 단부를 수용한다. 물론, 수용홈(14b)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1)의 결합돌기(1c)가 결합공(14a)에 결합되도록 결합공(14a) 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다.
여기서, 전술한 수용홈(14b)은 결합돌기(1c)가 형성된 폭죽(1)이 다양한 크기로 제조되어도 격발끈(1a)이 마련된 폭죽(1)의 단부가 수용되도록, 도면의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복수개의 단차(S)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전술한 클램프(20)는 전술한 바와 달리, 도면의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발사대(10)의 베이스판(12)에 끼워지는 환형띠(24) 및; 이 환영띠(24)의 타측면에 연장형성되어 폭죽(1)을 고정하는 고정벨트(2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환형띠(24) 및 고정벨트(26)는 플라스틱재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보다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탄성을 갖는 연질의 고무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고정벨트(26)는 앞서 설명된 벨트(22)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고정벨트(26)는 전술한 벨트(22)의 걸림공(22a) 및 끼움공(22b)을 갖는다. 다만, 고정벨트(26)는 일단부가 환형띠(24)에 고정된 것이 전술한 벨트(22)와의 차이점이다. 이때, 전술한 걸림공(22a)은 후술되는 환형띠(24)의 걸림돌기(24a)가 걸린다. 그리고, 전술한 끼움공(22b)은 폭죽(1)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돌기(1b)가 끼워진다.
또한, 전술한 환형띠(24)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발사대(10)의 베이스판(12)에 끼워진다. 이때, 베이스판(12)은 단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띠(24)가 걸리는 내향홈(10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환형띠(24)는 확장되면서 베이스판(12)의 단부에 끼워진 후, 수축되면서 내향홈(10c)에 걸려서 고정된다. 따라서, 환형띠(24)는 베이스판(1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환형띠(24)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걸림돌기(24a)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돌기(24a)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벨트(26)의 타단부에 형성된 걸림공(26a)에 끼워져서 걸린다. 따라서, 고정벨트(26)는 타단부가 환형띠(24)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이와 달리, 전술한 클램프(20)는 도면의 좌측 중간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발사대(10)의 베이스판(12)상에 폭죽(1)이 삽입되는 터널식 공간을 제공하는 루프홀더(28);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루프홀더(28)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지붕형태를 이루면서 베이스판(12)의 상부면을 아치형태로 차폐한다. 이와 같은 루프홀더(28)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2)에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베이스판(12)과 별개로 구성되어 본딩이나 볼팅으로 베이스판(12)에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베이스판(12)에 마련되는 루프홀더(28)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2)상에 안착되는 폭죽(1)을 감싼다. 이때, 폭죽(1)은 확대도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홀더(28)가 제공하는 터널식 공간에 삽입되면서 베이스판(12)상에 안착된다. 따라서, 루프홀더(28)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1)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폭죽(1)을 베이스판(12)상에 홀딩시킨다. 즉, 폭죽(1)은 루프홀더(28)에 의해 외주면이 단속된다.
한편, 전술한 폭죽지지구(40)는 전술한 바와 달리, 도면의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블럭(46)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블럭(46)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3면에 제1 내지 제3돌기(46a, 46b, 46c)가 돌출형성된다. 이렇게, 돌출형성되는 제1 내지 제3돌기(46a, 46b, 46c)는, 그 중 하나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발사대(10)의 베이스판(1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물론, 베이스판(12)은 제1 내지 제3돌기(46a, 46b, 46c)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삽입공(10b')이 마련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와 같은 블럭(46)은 제1 내지 제3돌기(46a, 46b, 46c)들 중 어느 돌기(46a, 46b, 46c)가 베이스판(12)에 삽입되느냐에 따라 돌출높이가 변경된다. 만약,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돌기(46c)가 베이스판(12)에 삽입될 경우, 블럭(46)은 확대 도시된 도면상의 "c"로 표시된 바와 같은 높이를 갖는다. 이와 달리, 제1돌기(46a)가 베이스판(12)에 삽입될 경우, 블럭(46)은 확대 도시된 도면상의 "a"로 표시된 바와 같은 높이를 갖는다. 이와 또 달리, 제2돌기(46b)가 베이스판(12)에 삽입될 경우, 블럭(46)은 확대 도시된 도면상의 "b"로 표시된 바와 같은 높이를 갖는다. 물론, 도면상 표기된 "a", "b" 및 "c"는 제1 내지 제3돌기(46a, 46b, 46c)의 측방에 대향하는 블럭(46)의 각 변에 해당하는 길이이다. 즉, 베이스판(12)에 고정되어 돌출되는 블럭(46)의 돌출높이는 블럭(46)의 각 변에 의해 변경된다. 따라서, 블럭(46)은 베이스판(12)에 삽입되는 제1 내지 제3돌기(46a, 46b, 46c)에 의해 돌출높이가 변경되므로, 베이스판(12)상에서 다양한 지름으로 제조된, 즉 다양한 크기로 제조된 폭죽(1)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폭죽용 격발기(PC)의 작동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폭죽용 격발기(PC)는 격발판(30) 및 돌출판(18)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다. 이때, 격발판(30)은 사용자의 손바닥부분이나 엄지손가락에 의해 파지된다. 그리고, 돌출판(18)은 사용자의 일부 손가락에 파지된다. 따라서, 격발판(30)은 사용자가 가압할 경우 도면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격발판(30)은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감김부(W)가 형성된 일단부를 폭죽발사대(10)와 이격시킨다. 이때, 격발판(30)은 폭죽발사대(10)와 이격되는 일단부의 감김부(W)를 통해 폭죽(1)의 격발끈(1a)을 견인한다. 즉, 격발판(30)은 회전하면서 감김부(W)에 감긴 격발끈(1a)을 당긴다. 따라서, 폭죽(1)은 회전되는 격발판(30)에 의해 격발되면서 터진다. 그리고, 폭죽(1)은 터지면서 내장된 내용물을 폭죽발사대(10)의 전방을 향해 분출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폭죽용 격발기(PC)는 총알과 같이 폭죽(1)을 장전하여 터뜨린다. 따라서, 사용자는 폭죽(1)이 격발기(PC)에 거치되어 터지므로 안전하게 폭죽(1)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폭죽용 격발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의한 폭죽용 격발기(PC)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폭죽용 격발기(PC)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고, 다만 격발판(30)이 제1 실시예와 달리 구성된 것이 차이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폭죽용 격발기(PC)의 격발판(30)은 수직판(32) 및 수평판(34);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직판(32) 및 수평판(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교상태로 서로 결합된다. 이렇게 구성된 격발판(30) 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32)의 일부분이 폭죽발사대(10)의 일측에 힌지(H)로 고정된다. 이때, 수직판(32)은 도면의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발사대(10)의 직각판(14)과 밀착되면서 중첩된다. 따라서, 격발판(30)은 힌지(H)에 의해 폭죽발사대(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전술한 수직판(32)은 도면의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감김부(W)를 갖는다. 또한, 수직판(32)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한쌍의 하부돌기(32a)를 하부에 갖는다.
한편, 전술한 수평판(34)은 도면의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중앙돌기(34a)를 갖는다. 이러한 중앙돌기(34a)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32)의 하단에 형성된 한쌍의 하부돌기(32a) 사이로 삽입된다. 그리고, 힌지(H)에 의해 하부돌기(32a)와 일체를 이룬다. 즉, 수평판(34)은 힌지(H)에 의해 단부측 일부분이 수직판(32)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수평판(34)은 중앙돌기(34a)가 수직판(32)의 하부돌기(32a) 사이에 위치한 수직판(32)의 하부면에 걸림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32)과 직교를 형성하면서 수평을 유지한다.
다른 한편, 수직판(32)은 도면의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36)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36)은 도면의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면의 좌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형의 토션스프링(36')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3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힌지(H)에 고정된다. 즉, 힌지(H)는 스프링(36)의 일부분을 관통한다. 그리고, 스프링(3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32)의 배면에 밀착되어 수직판(32)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렇게 구성된 격발판(30)은 사용자가 수평판(34)을 가압할 경우, 도면의 우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수평판(34)은 확대 도시된 도면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면서 수직판(32)을 후방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수직판(32)에 형성된 감김부(W)는 미도시된 폭죽의 격발끈을 당기면서 폭죽을 터뜨린다.
한편, 스프링(36)은 도면의 우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회전된 수직판(32)을 탄력지지한다. 따라서, 수직판(32)은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물론, 수직판(32)은 수평판(34)과 함께 원위치로 복귀한다. 즉, 수평판(34)은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수직판(32)과 함께 원위치로 복귀한다.
다른 한편,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폭죽용 격발기의 측면도이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 의한 폭죽용 격발기(PC)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폭죽용 격발기(PC)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고, 다만 폭죽(1)을 지지하는 폭죽지지구(40)를 제1 실시예와 달리 구성한 것과, 폭죽발사대(10)의 베이스판(12)에 형성된 파지부재를 달리 구성한 것이 차이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의한 폭죽용 격발기(PC)의 폭죽지지구(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되어 폭죽발사대(10)상에 설치된다. 물론, 폭죽 지지구(40)는 전술한 바와 달리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폭죽지지구(4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의 지지판(46a) 및; 이 지지판(46a)의 하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코일스프링(46b);를 포함한다. 이때, 코일스프링(46b)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46a)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고리(46a')에 일단부가 걸리고, 폭죽발사대(10)의 베이스판(12)에 타단부가 고정된다. 물론, 베이스판(12)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46b)의 타단부가 걸리는 스프링홈(10d)이 형성되어야 한다. 즉, 베이스판(12)은 스프링홈(10d)을 갖는다. 따라서, 지지판(46a)은 베이스판(12)상에서 코일스프링(46b)에 의해 탄력지지된다.
이렇게 구성된 폭죽지지구(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46a)이 폭죽(1)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이때, 지지판(46a)은 코일스프링(46b)의 탄성력에 의해 폭죽(1)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지지판(46a)은 폭죽(1)의 축방향을 따라서 폭죽(1)을 지지한다. 따라서, 폭죽(1)은 폭죽발사대(10)상에 아주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특히, 폭죽(1)은 콘 형태로 형성될 경우 폭죽발사대(10)상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즉, 도시된 폭죽지지구(40)는 콘 형태의 폭죽(1)에 매우 효과적이다.
한편, 폭죽발사대(10)는 베이스판(12)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손잡이(19)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1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의 경사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19)를 파지한 상태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격발판(30)을 가압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폭죽용 격발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폭죽용 격발기(PC)의 측단면도이다. 이러한 제4 실시예에 의한 폭죽용 격발기(PC)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고,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방아쇠부재(TM)가 마련된 것이 차이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아쇠부재(TM)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된 본체(38); 이 본체(38)에 힌지(H)로 고정되는 방아쇠(39) 및; 이 본체(38)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손잡이(1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본체(3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에 안착공(38a)을 갖는다. 이러한 안착공(38a)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발사대(10)의 베이스판(12)에 형성된 돌출판(18)이 삽입된다. 따라서, 격발판(30)이 장착된 폭죽발사대(10)는 베이스판(12)의 돌출판(18)이 안착공(38a)에 삽입됨에 따라 본체(38)상에 안착된다. 이때, 격발판(30)은 하단부가 본체(38)의 안착공(38a)에 삽입된다. 그리고, 격발판(30)은 후술되는 방아쇠(39)의 가압부(39b)에 하단부가 밀착된다.
다음, 전술한 방아쇠(39)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본체(38)의 하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방아쇠(39)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8)에 힌지(H)로 고정되는 회전부(39a)를 갖는다. 또한, 방아쇠(39)는 회전부(39a)에서 연장형성되어 실질적으로 회전부(39a)와 직교상태를 형성하는 가압부(39b)를 갖는다. 이러한 가압부(39b)는 회전부(39a)의 회전에 의해 격발판(30)의 하단부를 가압한다.
그 다음, 전술한 손잡이(19)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39)와 이격된 상태로 본체(38)의 하부에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19)는 방아쇠(39)와 함께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다.
한편, 본체(3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39)의 후방측에 타원형의 안전고리(SF)가 힌지(H)로 고정된다. 이러한 안전고리(SF)는 필요에 따라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방아쇠(39)의 일부분을 지지한다. 따라서, 방아쇠(39)는 안전고리(SF)에 의해 로킹되거나 언로킹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방아쇠(39)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물론, 사용자는 손잡이(19)를 파지한 상태로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방아쇠(39)를 당긴다. 이때, 방아쇠(39)는 회전부(39a)가 가압부(39b)와 함께 회전한다. 이에 따라, 가압부(39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발사대(10)에 장착된 격발판(30)의 하단부를 가압한다. 따라서, 격발판(30)은 가압부(39b)의 가압에 의해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면서 폭죽(1)을 격발하여 터뜨린다.
한편, 안전고리(SF)는 평상시 방아쇠(39)의 상단부를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한다. 이때, 안전고리(SF)는 도면의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39)의 상단부, 즉 방아쇠(39)의 접촉부와 직각을 이루면서 방아쇠(39)를 지지하여 로킹한다. 따라서, 방아쇠(39)는 평상시 회전되지 않는다. 물론, 안전고리(SF)는 폭죽(1)을 격발할 경우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면서 방아쇠(39)의 로킹을 해제한다. 따라서, 방아쇠(39)는 사용자가 당길 경우 회전되면서 격발작동을 실시한다.
여기서, 전술한 방아쇠(39)는 도면의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SP)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SP)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39) 및 손잡이(19)에 제각기 형성된 방아쇠돌기(39c) 및 손잡이돌기(19c)에 양단부가 제각기 고정된다. 즉, 방아쇠(39) 및 손잡이(19)는 스프링(SP)의 양단부가 걸리는 방아쇠돌기(39c) 및 손잡이돌기(19c)를 갖는다. 물론, 방아쇠돌기(39c) 및 손잡이돌기(19c)는 스프링(SP)의 양단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방아쇠(39)는 당겨진 후, 즉 회전된 후 스프링(SP)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발식 폭죽발사기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폭죽발사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폭죽발사기에 적용되는 폭죽용 격발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회전판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베어링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방아쇠 및 회전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회전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회전보조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회전보조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은 연발식 폭죽발사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발식 폭죽발사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격발기(PC); 방아쇠(50); 회전판(60); 결합부재(JT); 베어링(69) 및; 커 버(70)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발식 폭죽발사기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격발기(PC)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20)에 의해 폭죽(1)이 고정되는 폭죽발사대(10) 및; 이 폭죽발사대(10)에 일체적으로 장착되는 격발판(30);을 포함한다. 이러한 격발기(P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격발기(PC)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격발기(PC)는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격발기(PC)가 적용한 것을 그 예로 도시한 것이다. 물론, 도시된 격발기(PC)의 격발판(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감김부(W)가 형성된 수직판(32) 및 수평판(34)을 갖는다.
여기서, 전술한 격발기(PC)의 폭죽발사대(10)는 도시된 바와 같은 폭죽지지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폭죽(1)은 폭죽지지구(40)에 의해 하부가 지지된다. 이러한 폭죽지지구(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폭죽지지구(40)가 적용된 것을 그 예로 도시한 것이다. 물론, 폭죽지지구(40)는 도 2의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블럭형태의 폭죽지지구(40)나, 도 4에 도시된 스프링식 폭죽지지구(40)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발식 폭죽발사기는 도 3에 도시된 폭죽지지구(40)가 적용된 것을 그 예로 설명한다.
다음, 전술한 방아쇠(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식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아쇠(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분이 커버(7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면서 회전한다. 따라서, 방아쇠(50)는 중간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격발판(30)을 가압하여 폭죽(1)을 격발시킨다. 즉, 방아쇠(50)는 격발 판(30)에 외부의 가압력을 전달하여 폭죽(1)를 격발시킨다.
이러한 방아쇠(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안전고리(SF)에 의해 로킹되거나 언로킹된다. 따라서, 방아쇠(50)는 안전고리(SF)에 의해 필요에 따라 회전되거나 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방아쇠(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후술되는 돌출돌기(92)가 일체로 마련된다. 이러한 돌출돌기(9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스토퍼(90)에 마련된 정지핀(94)의 일부분과 교합한다.
그 다음, 전술한 회전판(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일측면에 격발기(PC)가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격발기(PC)는 후술되는 결합부재(JT)에 의해 회전판(60)에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판(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의 타측면에 회전축(62)이 동일체로 마련된다. 따라서, 회전판(60)은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물론, 회전판(60)은 격발기(PC)와 함께 회전된다. 즉, 격발기(PC)는 회전판(60)에 의해 회전된다.
여기서, 전술한 격발기(PC)는 도시된 바와 달리 복수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격발기(PC)는 격합부재(JT)에 의해 회전판(60)의 일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결합된다. 즉, 회전판(60)은 여러개의 격발기(PC)가 테두리를 따라 고정된다. 하지만, 도면에는 이해를 돕기 위해 하나의 격발기(PC)만을 도시하였다.
계속해서, 전술한 결합부재(JT)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60)의 일측면에 동일체로 고정되는 삽입관(17)을 포함한다. 이러한 결합부재(JT)는 회전판(60)에 폭죽발사대(10)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킨다. 따라서, 폭죽발사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60)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결합부재(JT)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시 계속해서, 전술한 베어링(6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0)에 내장된다. 이러한 베어링(69)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60)의 회전축(62)이 중앙에 삽입된다. 따라서, 베어링(69)은 회전축(6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물론, 베어링(69)은 회전축(62)의 축방향을 따라서 회전축(62)을 지지하는 슬러스트 베어링이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커버(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베어링(69)이 내장되고, 방아쇠(5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50)와 함께 파지되는 손잡이(72)를 갖는다. 이러한 커버(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격발기(PC), 방아쇠(50)의 상부, 회전판(60) 및 베어링(69)을 차폐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70)는 격발기(PC), 방아쇠(50)의 상부, 회전판(60) 및 베어링(69)을 보호한다.
여기서, 전술한 커버(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회전부재의 돌출날개(64)와 회전대(80) 및 스토퍼(90)가 내장될 수 있다. 즉, 커버(70)는 돌출날개(64)와 회전대(80) 및 스토퍼(90)를 차폐하여 보호한다. 이때, 스토퍼(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94a)를 갖는 후술되는 정지핀(94) 및 탄성체(96)을 갖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커버(70)는 조립이 가능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분할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버(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내장되는 부품들이 고정되는 부품고정공(70a), 부품고정홈(70b), 부품고정돌 기(70c, 70e, 70f) 및 슬라이딩블럭(70d, 70g)이 내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이러한 부품고정공(70a), 부품고정홈(70b), 부품고정돌기(70c, 70e, 70f) 및 슬라이딩블럭(70d, 70g)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은 커버(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회전판(60) 및 베어링(69)이 위치한다. 이때, 회전판(60)은 회전축(62)이 베어링(69)에 삽입된다. 이러한 베어링(6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돌출된 고정날개(69a)가 커버(70)의 내측면에 형성된 부품고정홈(70b)에 끼워짐에 따라 커버(70)의 내부에 고정된다.
한편, 회전판(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의 판재로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회전판(60)은 도시된 바와 달리 사각이나 삼각 또는 원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판(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일측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관 형태로 형성된 결합부재(JT)의 삽입관(17)이 고정된다. 이때, 삽입관(17)은 회전판(60)에 본딩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회전판(60)의 성형시 함께 성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삽입관(1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관(17)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되어, 회전판(60)의 일측면에 돌아가면서 고정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삽입관(17)은 회전판(60)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룬다. 이렇게, 회전판(60)에 고정되는 삽입관(17)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발사대(1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후술되는 돌출판(18)이 삽입된다. 물론, 폭죽발사대(10)는 돌출판(18)이 삽입관(17)에 삽입됨에 따라 회전판(60)과 일체를 이룬다. 즉, 격발기(PC)는 삽입관(17)에 삽입되는 돌출판(18)에 의해 회전판(60)에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전술한 회전판(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및 중앙부에 핀공(60a) 및 돌출날개(64)가 제각기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핀공(60a) 및 돌출날개(64)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격발기(PC)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20) 및 폭죽지지구(40)가 장착된 폭죽발사대(10) 및, 이 폭죽발사대(10)의 후방에 장착되는 격발판(30)으로 구성된다. 이때, 폭죽발사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2) 및 직각판(14)을 갖는다. 그리고, 격발판(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감김부(W)가 마련된 수직판(32) 및 이 수직판(32)에 결합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판(34)을 갖는다. 또한. 격발판(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32)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36)을 갖는다.
여기서, 전술한 클램프(20)는 도시된 바와 같은 벨트(22) 및 폭죽발사대(10)의 베이스판(12)에 돌출형성되어 벨트(22)를 관통하는 관통돌기(10b)를 갖는다.
다른 한편, 베어링(69)의 후방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축고정구(65)가 위치한다. 이러한 축고정구(65)는 회전판(60)의 회전축(62)에 걸린다. 이때, 축고정구(65)는 베어링(69)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회전축(62)의 단부에 걸린다. 따라서, 회전축(62)은 베어링(69)에 삽입된 상태로 단부가 축고정구(65)에 회전가능하게 걸린다.
이와 같은 축고정구(6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커버(70)의 부품고정공(70a)을 관통하고, 타단부가 스프링(66)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축고정구(65)는 커버(70)에 횡방향으로 고정되어 스프링(66)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여기서, 전술한 베어링(69)의 후방에는 후술되는 스토퍼(90)의 정지핀(94) 및 탄성체(96)가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한다. 이러한 정지핀(9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에 상하부로 돌출되는 걸림부(94a)를 갖는다. 또한, 탄성체(9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핀(94)의 전방 및 후방에 제각기 위치한다.
한편, 스토퍼(90)의 후방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50)가 위치한다. 이러한 방아쇠(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양측으로 돌출된 힌지가 커버(7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 설치되는 탄성체(5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때, 탄성체(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0)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부품고정돌기(70c)에 지지된다. 따라서, 방아쇠(50)는 커버(70)의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탄성체(5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가 가능하다. 물론, 방아쇠(50)는 커버(90)의 후단측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고리(SF)가 마련될 경우, 안전고리(SF)에 의해 회전에 제어된다.
여기서, 전술한 방아쇠(50)는 일측에 후술되는 회전부재의 회전대(80)가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대(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형태로 형성되어 방아쇠(5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전술한 방아쇠(50)는 회전대(80)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측에 후술되는 회전보조부재(AT)의 왕복대(87)와 회전대(88) 및 탄성체(89)가 배치된다. 이러한 회전보조부재(AT)는 방아쇠(50) 및 탄성체(89)에 의해 작동한다. 이때, 탄성체(89)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 및 타측이 왕복대(87) 및 커버(70)에 돌출형성된 부품고정돌기(70e)에 제각기 지지된다. 따라서, 탄성체(89)는 왕복대(87)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격발판(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판(32)이 폭죽발사대(10)의 직각판(14)에 힌지(H)로 결합된다. 이러한 수직판(32)은 도면의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판(34)이 하부에 힌지(H)로 결합된다. 물론, 수평판(34)은 중앙돌기(34a)가 수직판(32)의 하부돌기(32a) 사이로 삽입되면서 힌지(H)로 결합된다. 이때, 수직판(32)의 일측에는 스프링(36)이 수평판(34)과 함께 힌지(H)로 고정된다. 따라서, 스프링(36)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격발판(30)의 수직판(32)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여기서, 전술한 스프링(36)은 도면의 좌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토션스프링(36')으로 대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수직판(32)은 하부돌기(32a) 사이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면(3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수평판(34)은 중앙돌기(34a)의 측방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면(34b)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판(32) 및 수평판(34)의 경사면(32b, 34b)은 격발판(30)이 회전할 경우 서로 교합된다.
이렇게 구성된 격발판(30)은 도면의 우측 하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50)가 회전되면서 수평판(34)을 가압할 경우,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수평판(34)은 회전하면서 중앙돌기(34a)를 통해 수직판(32)을 함께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수직판(32)은 도면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발사대(10)의 직각판(14)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수직판(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감김부(W)를 직각판(14)과 이격시키면서, 감김부(W)를 통해 폭죽의 격발끈을 당겨서 폭죽을 터뜨린다.
한편, 수평판(34)은 폭죽의 격발이 완료되어 도면의 우측 하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50)가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50)에 의해 상부로 밀리면서 접힌다. 그리고, 수평판(34)은 다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전술한 수평판(34)의 경사면(34b)은 수직판(32)의 경사면(32a)과 교합한다. 따라서, 수평판(34)은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밀리면서 접힌 후,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즉, 수평판(34)은 경사면(32b, 34b)에 의해 접힌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물론, 원위치로 복귀하는 방아쇠(50)는 상부로 올라가면서 수평판(34)을 상부로 가압한다. 이때, 수평판(34)은 방아쇠(50)에 의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후 방아쇠(50)가 내려오기 전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방아쇠(50)는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한 수평판(34)의 상부에 다시 위치한다. 따라서, 방아쇠(50)는 사용자가 당길 경우 다시 수평판(34)을 가압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폭죽발사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2)의 하부에 돌출판(18)을 갖는다. 이러한 돌출판(18)은 폭죽발사대(10)를 전술한 회전판(6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JT)의 구성요소이다. 물론, 돌출판(18)은 격발기(PC)가 회전판(60)에서 분리될 경우 파지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돌출판(18)은 사용자의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결합부재(JT)는 예컨대,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발사대(10)의 베이스판(12)에 형성된 돌출판(18); 이 돌출판(18)의 단 부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후크(18a) 및; 전술한 회전판(60)에 동일체로 마련되는 삽입관(17);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JT)의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돌출판(18)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2)의 하부 양측과,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2)의 전방에 제각기 마련된다. 이에 따라, 돌출판(18)은 실질적으로 사각의 형태를 이룬다. 즉, 돌출판(18)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전술한 삽입관(17)에 대응하는 사각의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은 돌출판(18)은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60)의 일측면에 고정된 삽입관(17)에 삽입된다. 따라서, 폭죽발사대(10)는 회전판(60)에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다음, 전술한 후크(18a)는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돌출판(18)의 하단에 동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후크(18a)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판(18)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후크(18a)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판(18)과 함께 삽입관(17)에 삽입된 후, 삽입관(17)의 하단에 걸려서 고정된다. 따라서, 돌출판(18)은 삽입관(17)에 삽입된 후 후크(18a)에 의해 삽입관(17)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물론, 폭죽발사대(10)는 베이스판(12)이 삽입관(17)에 고정됨에 따라 회전판(60)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폭죽발사대(10)는 후크(18a)가 삽입관(17)에서 이탈될 경우 회전판(60)에서 분리된다. 이때, 후크(18a)는 사용자에 의해 삽입관(17)의 내측으로 가압되면서 삽입관(17)에서 이탈된다. 물론, 후크(18a)는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 돌 출판(18)이 탄성변형함에 따라 삽입관(17)의 내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폭죽발사대(10)는 후크(18a)가 이탈됨에 따라 회전판(60)에서 분리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삽입관(17)은 도면의 우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60)의 일측면에 동일체로 부착된다. 이러한 삽입관(17)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베이스판(12)에 형성된 돌출판(18)의 길이 보다 약간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판(18)은 삽입관(17)에 삽입되어 삽입관(17)과 정합되면서 하단이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17)의 하부로 노출된다. 이렇게, 돌출판(18)의 하단이 삽입관(17)의 하부로 노출됨에 따라, 돌출판(18)의 하단에 형성된 후크(18a)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17)의 하단에 걸린다.
도 10을 참조하면, 삽입관(17)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되어 회전판(60)의 일측면에 동일체로 부착된다. 이러한 삽입관(17)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60)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면서 회전판(60)에 부착된다. 그리고, 삽입관(17)은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베이스판(12)의 돌출판(18)이 삽입됨에 따라, 폭죽발사대(10)를 회전판(60)에 일체적으로 결합시킨다. 즉, 삽입관(17)은 폭죽발사대(10)를 갖는 격발기(PC)를 회전판(60)에 결합시킨다. 물론, 격발기(PC)는 삽입관(17)에 대응하도록 복수개로 구성된다. 따라서, 회전판(60)은 일측면에 복수개의 격발기(PC)가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판(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의 타측면에 회전축(62)이 직교상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회전축(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단측 단부에 단부홈(6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단부홈(62a)이 형성된 회전축(62)은 도면의 우 측 중간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69)을 관통한 후, 단부홈(62a)에 걸리는 축고정구(6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축고정구(65)는 회전축(62)의 단부홈(62a)에 걸린다. 따라서, 회전축(62)은 회전시 단부홈(62a)에 걸린 축고정구(65)에 의해 베어링(69)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물론, 회전판(62)은 회전축(62)이 축고정구(65)에 걸려서 고정되므로, 베어링(69)과 일체를 이룬다.
여기서, 전술한 축고정구(65)는 도면의 우측 중간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형성된 절곡부(65a)가 회전축(62)의 단부홈(62a)에 걸린다. 즉, 축고정구(65)는 일단부에 절곡부(65a)를 갖는다.
이러한 축고정구(65)는 도면의 우측 중간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65a)가 형성된 일단부가 스프링(66)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절곡부(65a)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단부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0)의 부품고정공(70a)을 통해 커버(70)의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축고정구(65)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타단부가 눌릴 경우, 스프링(66)을 압축하면서 이동한다.
이때, 축고정구(65)의 절곡부(65a)는 회전축(62)의 단부홈(62a)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회전축(62)은 절곡부(65a)가 이탈됨에 따라 베어링(69)에서 분리될 수 있다. 물론, 회전판(60)은 회전축(62)에 의해 베어링(69)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은 축고정구(65)는 회전축(62)이 베어링(69)에 다시 삽입될 경우, 절곡부(65a)가 다시 회전축(62)의 단부홈(62a)에 걸린다. 따라서, 회전축(62)은 다시 베어링(69)과 일체를 이룬다.
한편, 회전판(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에 복수개의 핀공(60a)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핀공(60a)은 도면의 우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스토퍼(90)의 정지핀(94)이 삽입된다. 따라서, 회전판(60)은 확대도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핀(94)이 핀공(60a)에 삽입됨에 따라 회전이 방지된다. 하지만, 회전판(60)은 확대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핀(4)이 핀공(60a)에서 이탈될 경우 다시 회전될 수 있다.
또 한편, 회전판(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17)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측면에 복수개의 돌출날개(64)가 등간격을 이루면서 일체로 마련된다. 이때, 돌출날개(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60)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룬다. 이러한 돌출날개(64)는 도면의 좌측 하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회전부재의 회전대(80)에 의해 가압된다. 특히, 돌출날개(64)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대(80)의 레버부(84)에 경사형성된 누름편(86)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회전판(60)은 돌출날개(64)가 누름편(86)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전술한 정지핀(94)은 회전판(60)이 회전되도록 도면의 우측 하단에 실선으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60)의 핀공(60a)으로부터 이탈된다. 그리고, 정지핀(94)은 회전판(60)의 회전에 의해 또 다른 핀공(60a)이 전방에 위치할 경우, 확대도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핀공(60a)에 다시 삽입되면서 회전판(60)의 회전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회전판(60)은 정지핀(94)에 의해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 후 정지한다. 물론, 회전판(60)은 핀공(60a)들 사이의 간격만큼만 회전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베어링(6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회전판의 회전축(62)이 삽입되는 축공(69')을 갖는다. 그리고, 양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0)의 부품고정홈(70b)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고정날개(69a)를 갖는다. 따라서, 베어링(69)은 커버(7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베어링(69)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 양측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하부날개(69b, 69b')를 갖는다. 이때, 한쌍의 하부날개(69b, 69b')는 베어링(69)의 저면을 확대한 확대도(도면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L, L')가 서로 상이하다.
한편, 베어링(69)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스토퍼(90)의 정지핀(94) 및 복수개의 탄성체(96)가 후방에 배치된다. 이때, 정지핀(94)은 중간부분이 절곡형성됨에 따라,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69)의 하부날개(69b, 69b') 사이로 일부분이 삽입된다.
여기서, 전술한 탄성체(96)들 중 하나의 탄성체(96)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길이(L')를 갖는 베어링(69)의 하부날개(96') 및 정지핀(94)의 절곡부위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전술한 탄성체(96)들 중 다른 하나의 탄성체(96)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핀(94)의 절곡부위 및 커버(70)의 부품고정돌기(70f)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정지핀(94)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96)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일부분이 베어링(69)의 하부날개(69b, 69b')를 통해 회전판(60)의 핀공(60a)에 삽입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방아쇠(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을 이루는 회전부(52) 및; 이 회전부(52)의 상단에 연장형성되어 전술한 격발기(PC)의 격발판(30)을 가압하는 가압부(54);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아쇠(50)의 회전부(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형성된 힌지(H)가 전술한 커버에 결합된다. 그리고, 방아쇠(50)는 하단부가 커버의 하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회전부(52)는 사용자에 의해 하단부가 가압될 경우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전술한 방아쇠(50)의 가압부(54)는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52)와 약간의 경사를 형성하면서 회전부(52)와 실질적으로 직교상태를 이룬다. 이러한 가압부(54)는 회전부(52)의 회전시 회전부(52)와 함께 회전되면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격발판(30)의 수평판(34)을 가압한다. 이때, 수평판(34)은 가압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감김부(W)가 마련된 격발판(30)의 수직판(32)을 함께 회전시킨다. 따라서, 수직판(32)은 폭죽발사대(10)의 직각판(14)과 이격되면서 베이스판(12)상의 폭죽을 터뜨린다.
한편, 방아쇠(50)는 전술한 회전판(6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회전판(60)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와 연동한다. 이러한 회전부재는 예컨대, 전술한 돌출날개(64) 및;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5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대(8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돌출날개(64)는 전술한 도 10에 도시되고,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60)의 타측면에 동일체로 마련된다. 그리고, 전 술한 회전대(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방아쇠(50)에 힌지(H')로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대(80)는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대(8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회전부(82); 이 중첩회전부(82)에 연장형성되어 회전하는 레버부(84) 및; 이 레버부(84)의 단부에 연장형성되는 누름편(86);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회전대(80)의 구성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중첩회전부(8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을 이룬다. 이러한 중첩회전부(82)는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50)의 회전부(52)에 중첩된다. 이와 같은 중첩회전부(82)는 방아쇠(50)의 회전부(52)와 중첩되는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삽입돌기(82a)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때, 삽입돌기(8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회전부(82)의 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중첩회전부(82)에 형성되는 삽입돌기(82a)는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50)의 회전부(52)에 삽입된다. 물론, 방아쇠(50)는 도면의 우측 하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52)의 일측에 돌기홈(52a)을 갖는다. 즉, 중첩회전부(82)의 삽입돌기(82a)는 회전부(52)의 돌기홈(52a)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중첩회전부(82)는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50)의 회전부(52)에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중첩회전부(82)는 방아쇠(50)의 회전부(52)가 회전할 경우 회전부(52)와 함께 동일체로 회전된다.
다음, 전술한 레버부(8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회전부(82)의 상부에서 전 방을 향해 일직선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레버부(8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회전부(82)의 상부에서 편심을 이루면서 전방을 향해 일직선으로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레버부(84)는 중첩회전부(82)의 측방에서 전방을 향한다. 이러한 레버부(84)는 중첩회전부(82)와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레버부(84)는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회전부(82)가 회전될 경우, 함께 회전되면서 시이소식 운동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누름편(86)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를 갖는 후크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누름편(86)은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이소식 운동을 실시하는 레버부(84)에 의해 승강한다. 이에 따라, 누름편(86)은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회전부(82)에 의해 레버부(84)가 회전할 경우,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면서 회전판(60)의 돌출날개(64)를 가압한다. 물론, 회전판(60)은 돌출날개(64)가 누름편(86)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회전한다. 이때, 누름편(86)에 가압되는 돌출날개(64)는 회전판(6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한다. 따라서, 하강된 누름편(86)의 상부에는 회전판(60)에 형성된 또 다른 돌출날개(64)가 새롭게 위치한다.
이와 달리, 누름편(86)은 레버부(84)가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84)와 함께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새롭게 위치한 다른 돌출날개(64)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때, 누름편(86)은 경사형성된 형상적 특성에 의해 새롭게 위치한 돌출날개(64)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누름편(86)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새롭게 위치한 돌출날개(64)의 상부에 위치한다.
결론적으로, 회전대(80)는 방아쇠(50)와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판(60)의 돌출날개(64)를 가압한다. 즉, 회전대(80)는 방아쇠(50)와 함께 연동하면서 회전판(60)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회전대(80)를 방아쇠(5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전술한 힌지(H')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50)의 일측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대(52a)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연장대(52a)에 형성되는 힌지(H')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50)에 형성된 힌지(H)의 전방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장대(52a)의 자유단측 단부에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장대(52a)에 형성된 힌지(H')는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50)의 회전시 방아쇠(50)의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대(80)의 누름편(86)은 회전판(60)의 돌출날개(64)를 가압할 수 있다.
한편, 방아쇠(50)는 회전시 전술한 스토퍼(90)를 연동시킨다. 이러한 스토퍼(9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50)의 일측면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돌기(92); 이 돌출돌기(92)에 걸리는 걸림부(94a)가 형성된 정지핀(94) 및; 이 정지핀(94)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9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90)의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돌출돌기(92)는 도면의 우측 중간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및 측방에 경사면(92a)를 갖는다. 이러한 돌출돌기(92)는 도면의 좌측 하단에 측면도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핀(94)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94a)에 걸린다. 이에 따라, 돌출돌기(92)는 방아쇠(50)의 회전시 확대도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면서 걸림부(94a)를 후방으로 당긴다. 따라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60)의 핀공(60a)에 일부분이 삽입된 정지핀(94)은, 후퇴하면서 핀공(60a)으로부터 탈거된다.
다음, 정지핀(94)은 도면의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돌출돌기(92)에 걸리는 걸림부(94a)가 단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94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돌기(92)의 경사면(92a)과 접촉되는 부분에 경사를 갖는다. 이와 같은 걸림부(94a)는 확대도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50)의 회전에 의해 돌출돌기(92)가 이동할 경우 돌출돌기(92)와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정지핀(92)은 후퇴되면서 회전판(60)의 핀공(60a)으로부터 탈거된다.
하지만, 걸림부(94a)는 돌출돌기(92)가 확대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이동할 경우 돌출돌기(92)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돌출돌기(92)는 경사면(92a) 및 걸림부(94a)의 경사에 의해 걸림이 해제된다. 즉, 돌출돌기(92) 및 걸림부(94a)는 경사에 의해 서로 어긋나면서 걸림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정지핀(92)은 커버(70)의 부품고정돌기(70f)에 지지되는 탄성체(96)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정지핀(92)은 회전판(60)의 핀공(60a)에 일부분이 다시 삽입된다.
여기서, 전술한 걸림부(94a)는 경사를 갖는 하부면이 도면의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0)에 형성된 슬라이딩블럭(70g)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94a)는 돌출돌기(92)의 이동시 돌출돌기(92)에 의해 후방으로 끌려가면서 슬라이딩블럭(70a)의 상부면을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걸림부(94a)는 돌출돌 기(92)에 의해 확대도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된 후, 슬라이딩블럭(70g)의 후단부에 잠깐 걸린 다음, 탄성체(96)의 탄성력에 의해 정지핀(94)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딩블럭(70a)의 상부면을 다시 슬라이딩한 후 원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후퇴되었던 정지핀(94)은 걸림부(94a)가 슬라이딩블럭(70g)의 후단부에 잠깐 걸림에 따라 잠깐 정지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회전판(60)의 회전에 의해 새롭게 배치되는 핀공(60a)에 일부분이 정확하게 삽입된다. 즉, 슬라이딩블럭(70g)은 정지핀(94)의 이동시간을 조절하는 부재이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탄성체(9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0)의 부품고정돌기(70f)에 지지된 상태로 정지핀(94)의 절곡부위를 지지한다. 즉, 탄성체(96)는 후퇴한 정지핀(94)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정지핀(94)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탄성체(96)는 도시된 바와 달리 복수개로 구성되어 전술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핀(94)의 전방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정지핀(94)의 전방에 설치되는 탄성체(96)는 정지핀(94)이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정지핀(94)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즉, 복수개로 구성되는 탄성체(96)는 전술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핀(94)의 전방 및 후방에 각기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방아쇠(50)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되는 안전고리(SF)는, 도면의 우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회전되면서 방아쇠(50)의 작동을 제어한다. 물론, 전술한 회전대(80) 및 스토퍼(90)는 방아쇠(50)와 함께 작동이 제어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술한 회전부재의 회전대(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컴팩 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대(8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형성되어 방아쇠(50)에 힌지(H')로 고정되는 누름편(86); 이 누름편(86)을 지지하여 누름편(86)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지지구(86a) 및; 이 지지구(86a)의 일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86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컴팩트한 형태의 회전대(80)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누름편(8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가 후크형태로 경사형성된다. 그리고, 후단부에 실질적으로 직각의 사잇각을 갖는 노치(86')가 형성된다. 이러한 누름편(86)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누름편(86)은 노치(86')의 일부분이 지지구(86a)에 지지되므로 확대도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된다. 즉, 누름편(86)은 전방으로만 회전되고 후방으로는 회전되지 않는다.
다음, 전술한 지지구(86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안전고리(SF)와 동일하게 타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고정핀(PN)에 의해 방아쇠(50)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고정핀(PN) 및 전술한 힌지(H')는 방아쇠(50)의 측방에 형성된 연장대(52a)에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구(86a)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편(86)의 노치(86')에 삽입되어 노치(86')의 일부분을 지지한다. 이때, 지지구(86a)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86')의 일측면과 직각(θ)을 형성한다. 따라서, 누름편(86)은 확대도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된다.
그 다음, 전술한 탄성체(86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86a)의 후방에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체(86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 어 방아쇠(50)의 연장대(52a)에 힌지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방아쇠(50)의 연장대(52a)는 탄성체(86b)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돌기판(86c)가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체(86b)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돌기판(86c)에 지지된 상태로 타단부를 통해 지지구(86a)의 일측면을 지지한다.
이렇게 구성된 컴팩트한 형태의 회전대(80)는 방아쇠(50)가 회전할 경우,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편(86)이 회전판(60)의 돌출날개(64)를 가압한다. 이때, 누름편(86)은 지지구(86a)에 노치(86')의 일부분이 지지됨에 따라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판(60)은 누름편(86)에 돌출날개(64)가 가압됨에 따라 회전한다.
이러한 누름편(86)은 확대도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날개(64)의 가압이 완료된 후 방아쇠(50)가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 후, 확대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돌출날개(64)의 상부에 위치하여 다음 가압을 준비한다.
한편, 돌출날개(64)를 가압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는 누름편(86)은, 회전판(60)의 회전에 의해 새롭게 배치되는 다음 돌출날개(64)의 하부면에 전단부의 상부가 걸린다. 이때, 누름편(86)은 확대도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돌출날개(64)에 의해 꺾이는 형태로 회전되면서 다음 돌출날개(64)의 상부로 이동한다. 물론, 지지구(86a)는 누름편(86)이 꺾이는 형태로 회전됨에 따라 노치(86')의 다른 부분에 의해 가압되면서 후방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지지구(86a)가 회전함에 따라 탄성체(86b)는 압축된다. 이에 따라, 지지구(86a)는 누름편(86)이 다음 돌출날개(64)를 지나서 돌출날개(64)의 상부에 위치할 경우 원형복원되는 탄성체(86b)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누름편(86a)은 확대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돌출날개(64)의 가압을 준비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방아쇠(50)는 측방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보조부재(AT)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보조부재(AT)는 방아쇠(50)와 함께 연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회전보조부재(AT)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 및 후단부에 요크(87a) 및 걸림부(87b)가 제각기 형성되는 왕복대(87); 이 왕복대(87)의 요크(87a)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필요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대(88) 및; 전술한 왕복대(87)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89);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보조부재(AT)의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왕복대(8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해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왕복대(87)는 도면의 좌측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의 요크(87a)에 회전대(88)가 힌지핀(HP)으로 고정된다. 또한, 왕복대(87)는 후단부에 경사를 갖는 걸림부(87a)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87a)는 도면의 좌측 하단에 평면도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방아쇠(50)의 돌출돌기(92)에 걸린다. 그리고, 방아쇠(50)에 의해 이동하는 돌출돌기(92)와 함께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한다. 물론, 왕복대(87)는 걸림부(87a)에 의해 이동한다.
이와 같은 걸림부(87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스토퍼(90)를 구성하는 정지핀(94)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94a)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물론, 왕복대(87)의 걸림부(94a)는 정지핀(94)의 걸림부(94a)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이러한 걸림 부(87a)는 도면의 좌측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0)에 형성된 슬라이딩돌기(70d)에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걸림부(87a)는 슬라이딩돌기(70d)를 슬라이딩하면서 왕복한다.
한편, 방아쇠(50)에 형성된 돌출돌기(92)는 도면의 좌측 하단에 이점쇄선으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50)에 의해 이동하면서 왕복대(87)의 걸림부(87b)를 후퇴시킨다. 이때, 왕복대(87)의 걸림부(87b)는 방아쇠(50)의 돌출돌기(92)에 교합됨에 따라 돌출돌기(92)와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왕복대(87)는 확대도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87b)와 함께 이동하면서 후방으로 후퇴한다. 이때, 왕복대(87)의 요크(87a)를 탄력지지하는 탄성체(89)는 압축된다.
하지만, 돌출돌기(92)는 확대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이동될 경우 왕복대(87)의 걸림부(87b)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압축되었던 탄성체(89)는 원형복원되면서 왕복대(87)의 요크(87a)를 전방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왕복대(87)는 탄성체(89)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
다음, 전술한 회전대(8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대(87)의 요크(87a)에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대(88)는 평상시 왕복대(87)와 함께 일직선을 형성한다. 이와같은 회전대(8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양갈래로 갈라진다. 이때, 단부는 실질적으로 직각의 사잇각을 형성하면서 갈라진다. 따라서, 회전대(88)는 단부에 상부돌기(88c) 및 하부돌기(88b)를 갖는다.
이와 같은 회전대(8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대(87)의 요크(87a)에 걸리는 걸림편(88a)이 일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왕복대(87)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회전 대(88)는 요크(87a)의 하부로 회전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탄성체(8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87a)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체(89)는 도면의 우측 중간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0)의 부품고정돌기(70e)에 지지된 상태로 요크(87a)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탄성체(89)는 왕복대(87)의 후퇴시 압축되고, 왕복대(87)의 전진시 원형복원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탄성체(89)는 도시된 바와 같은 토션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달리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왕복대(87)는 도면에 (a), (b) 및 (c)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한다. 이때, 도시된 (a)는 왕복대(87)가 후퇴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b)는 왕복대(87)가 전진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c)는 왕복대(87)의 전진이 완료되어 완전하게 원위치로 복귀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왕복대(87)는 전술한 걸림부(87b)에 의해 도면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할 경우 요크(87a)를 통해 탄성체(89)를 압축한다. 이때, 회전대(8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대(87)와 함께 일직선을 유지한다. 따라서, 회전대(88)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60)의 돌출날개(64)와 이격된다.
하지만, 왕복대(87)는 전술한 걸림부(87b)가 전술한 방아쇠(50)의 돌출돌기(92)와 분리될 경우, 도면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복원되는 탄성체(89)에 의해 전진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회전대(88)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60)과 접촉한다. 이때, 회전대(8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돌기(88c)가 하부돌 기(88b) 보다 먼저 회전판(60)의 돌출날개(64)와 접촉한다.
이러한 회전대(88)는 도면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대(87)가 완전히 전진할 경우 힌지핀(HP)을 중심으로 상부를 향해 회전한다. 이때, 회전대(88)의 상부돌기(88c)는 회전대(88)의 회전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된다. 그리고, 회전대(88)의 하부돌기(88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60)에 형성된 돌출날개(64)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하부돌기(88b)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해서 회전하는 회전대(88)에 의해 상승하면서, 회전판(60)의 돌출날개(64)를 상부로 밀어올린다. 물론, 회전대(88)는 왕복대(87)가 계속해서 전진함에 따라 계속해서 회전한다. 따라서, 돌출날개(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날개(64)를 상부로 밀어올려서 회전판(60)을 설정된 각도로 정확히 회전시킨다. 즉, 회전판(60)은 회전보조부재(AT)의 회전대(88)에 의해 설정된 각도만큼만 정확히 회전된다.
만약, 전술한 바와 같은 회전보조부재(AT)가 생략될 경우, 회전판(60)의 돌출돌기(64)는 도면의 (c)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하지만, 회전보조부재(AT)가 마련될 경우 회전판(60)의 돌출돌기(64)는 도면의 (c)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정확히 위치한다. 따라서, 회전판(60)은 설정된 각도로 정확히 회전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하는 회전보조부재(AT)는 방아쇠(50)와 연동하면서, 전술한 회전부재의 회전대(8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60)이 설정된 각도에 정확히 정지하도록 회전판(60)의 회전을 보조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발식 폭죽발사기의 작동을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50)는 상단부의 일부분이 격발기(PC)의 격발판(30)과 접촉한다. 물론, 방아쇠(50)의 상단부 일부분은 격발판(30)의 수평판(34)과 접촉한다. 이러한 방아쇠(50)는 안전고리(SF)가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로킹된 경우, 커버(70)의 손잡이(72)를 파지한 사용자에 의해 당겨진다. 이때, 방아쇠(50)는 격발판(30)의 수평판(34)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격발판(30)은 회전되면서 수직판(32)의 감김부(W)를 통해 폭죽(1)의 격발끈을 당긴다. 따라서, 폭죽(1)은 폭죽발사대(10)상에서 터진다.
한편, 방아쇠(50)의 측방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의 회전대(80)가 마련된 경우, 회전대(80)는 회전되는 방아쇠(50)와 연동하면서 회전판(60)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대(80)는 방아쇠(50)와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판(60)의 돌출날개(64)를 가압한 후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회전판(60)은 베어링(69)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미도시된 또 다른 격발기(PC)를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배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발식 폭죽발사기는 다음 발사를 대기한다.
다른 한편, 방아쇠(50)의 일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90)가 마련된 경우, 스토퍼(90)는 방아쇠(50)와 연동하면서 회전대(8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60)을 설정된 각도에서 정지시킨다. 이러한 스토퍼(90)는 방아쇠(50)에 의해 이 동하는 돌출돌기(92)에 의해 후퇴한다. 이때, 회전판(60)의 핀공(60a)에 일부분이 삽입된 스토퍼(90)의 정지핀(94)은, 돌출돌기(92)에 걸린 후단부의 걸림부(94a)에 의해 후퇴한다. 물론, 정지핀(94)은 커버(70)의 부품고정돌기(70f)에 지지된 탄성체(96)를 압축하면서 후퇴한다. 이에 따라, 정지핀(94)은 회전판(60)의 핀공(60a)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회전판(60)은 전술한 회전대(8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지핀(94)은 격발을 위해 회전되었던 방아쇠(50)가 원위치로 복귀할 경우, 탄성체(96)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정지핀(94)은 일부분이 회전판(60)의 핀공(60a)에 다시 삽입된다. 따라서, 회전대(8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60)은 핀공(60a)에 정지핀(94)의 일부분이 삽입됨에 따라 설정된 각도에서 회전이 정지된다.
이때, 정지핀(94)의 일부분이 다시 삽입되는 핀공(60a)은 회전판(60)에 형성된 또 다른 핀공(60a)이다. 즉, 앞서 설명된 핀공(60a)은 정지핀(94)의 후퇴시 회전판(60)의 회전에 의해 다른 위치로 이동되었고, 지금 설명된 핀공(60a)은 다른 위치에 있다가 회전판(60)의 회전에 의해 정지핀(94)의 전방으로 이동된 또 다른 핀공(60a)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격발기(PC)의 격발판(30)은 도시된 바와 달리 수평판(34)이 생략될 수 있다. 이렇게, 수평판(34)이 생략될 경우 격발판(30)은 전술한 도 1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격발판(30)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물론, 방아쇠(50)는 격발판(30)의 수직판(32)을 가압하여야 하므로, 수평을 형성하는 상단 부가 좀더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격발판(30)의 수직판(32)은 방아쇠(50)가 하부를 가압하도록 하단부가 하방으로 좀더 연장형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격발판(30) 및 방아쇠(50)를 구성할 경우, 수직판(32)만으로 구성된 격발판(30)은 방아쇠(50)에 의해 가압되면서 회전한다. 따라서, 수직판(32)은 회전되면서 폭죽(1)의 격발끈을 당겨서 폭죽(1)을 터뜨린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폭죽용 격발기는, 격발끈을 갖는 폭죽이 폭죽발사대상에 장전되어 터지므로, 폭죽의 폭발진동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폭죽이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르로 폭죽의 폭발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죽을 총알과 같이 장전하여 터뜨릴 수 있는 새로운 재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램프가 벨트식으로 구성되므로 폭죽을 폭죽발사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폭죽발사대에 폭죽지지구가 마련될 경우 다양한 크기의 폭죽을 크기(지름)와 상관없이 폭죽발사태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폭죽발사대에 돌출판이나 손잡이와 같은 파지부재를 마련할 경우 격발판이 장착된 폭죽발사대를 권총과 같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전술한 격발기를 이용하는 본 발명에 의한 연발식 폭죽발사기는, 결합부재를 통해 여러개의 격발기가 회전판에 설치되므로, 회전판을 회전시키면서 여러개의 격발기에 고정된 폭죽을 리벌버식 권총과 같이 연발로 터뜨릴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여러개의 격발기가 결합부재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회전판에 결합되므로, 필요에 따라 격발기를 회전판에서 분리하여 폭죽을 장전할 수 있는 편의성 향상의 효과도 있다.
이에 더하여, 회전판의 회전축을 고정하는 축고정구가 마련될 경우, 축고정구를 조작하여 회전판을 필요에 따라 베어링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격발기가 결합된 회전판을 베어링에서 분리하하여 여러개의 폭죽을 격발기에 용이하게 장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방아쇠와 연동하면서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가 마련될 경우, 폭죽의 격발시 회전판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여러개의 폭죽을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터뜨릴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방아쇠와 연동하는 스토퍼가 마련될 경우,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을 설정된 각도에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방아쇠와 연동하는 회전보조부재가 마련될 경우 스토퍼에 의해 정지되는 회전판을 보다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필요에 따라 방아쇠의 상부를 지지하는 안전고리가 마련될 경우, 안전고리를 통해 방아쇠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폭죽이 오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3)

  1. 일단부에 격발끈(1a)을 갖는 폭죽(1)을 장전하여 터뜨리는 격발기에 있어서,
    상기 폭죽(1)이 안착되어 터지고, 폭죽(1)의 내용물이 일측을 통해 분출되는 폭죽발사대(10);
    상기 폭죽발사대(10)에 안착된 상기 폭죽(1)을 클램핑하여 폭죽발사대(10)에 폭죽(1)을 고정하는 클램프(20); 및
    상기 클램프(20)에 의해 고정된 상기 폭죽(1)과 직교를 이루면서 상기 폭죽발사대(10)의 일측에 일부분이 힌지(H)로 결합되고, 일단부에 상기 폭죽(1)의 격발끈(1a)이 감겨서 고정되는 감김부(W)를 가지며, 외부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일단부를 상기 폭죽발사대(10)와 이격시켜서, 일단부의 감김부(W)를 통해 상기 폭죽(1)의 격발끈(1a)을 견인하여 상기 폭죽(1)을 격발시키는 격발판(30);을 포함하는 폭죽용 격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폭죽발사대(10)는,
    상기 폭죽(1)이 안착되는 베이스판(12); 및
    상기 베이스판(12)의 일단부와 직각을 이루면서 상기 폭죽(1)의 격발끈(1a)과 일측면이 마주하고, 타측면에 상기 격발판(30)이 힌지(H)로 결합되어 상기 격발판(30)과 중첩을 이루는 직각판(14);을 포함하는 폭죽용 격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폭죽발사대(10)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격발판(30)과 함께 파지되는 파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폭죽용 격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폭죽발사대(10)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판(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죽용 격발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0)는,
    상기 폭죽발사대(10)의 일측면에 일단부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폭죽발사대(10)에 안착된 상기 폭죽(1)을 감싸면서 타단부가 상기 폭죽발사대(10)의 타측면에 걸려서 고정되는 벨트(22); 및
    상기 폭죽발사대(10)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벨트(22)의 타단부를 관통하여 벨트(22)의 타단부를 상기 폭죽발사대(10)의 타측면에 고정시키는 관통돌기(10a);를 포함하는 폭죽용 격발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0)는,
    상기 폭죽발사대(10)에 끼워서 고정되고, 일측면에 걸림돌기(24a)를 갖는 탄성재 환형띠(24); 및
    상기 환형띠(24)의 타측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판(12)상의 상 기 폭죽(1)을 감싸며, 상기 환형띠(24)의 걸림돌기(24a)에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공(22a)이 타단부에 형성되어 걸림공(22a)이 걸림돌기(24a)에 걸림에 따라, 상기 폭죽(1)을 상기 베이스판(12)상에 고정하는 고정벨트(26);를 포함하는 폭죽용 격발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판(30)은,
    상기 폭죽발사대(10)의 일측에 밀착되어 상기 폭죽(1)과 직교를 이루고, 하단부가 상기 힌지(H)에 의해 상기 폭죽발사대(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단부에 상기 감김부(W)가 마련된 수직판(32); 및
    상기 힌지(H)에 의해 단부측 일부분이 상기 수직판(32)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판(32)의 하부에서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판(34);을 포함하는 폭죽용 격발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폭죽발사대(10)상에 돌출되어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클램프(20)에 의해 상기 폭죽발사대(10)에 고정되는 상기 폭죽(1)의 지름에 따라, 돌출높이가 변경되면서 상기 폭죽(1)의 하부를 지지하는 폭죽지지구(40);를 더 포함하는 폭죽용 격발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폭죽지지구(40)는,
    상기 폭죽발사대(10)를 관통하는 관통축(42); 및
    상기 관통축(42)의 축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2)에 걸리는 복수개의 걸림날개(44);를 포함하는 폭죽용 격발기.
  10. 일단부에 격발끈(1a)을 갖는 복수개의 폭죽(1)을 장전하여 연속적으로 터뜨리는 폭죽발사기에 있어서,
    상기 폭죽(1)이 안착되어 터지고, 폭죽(1)의 내용물이 일측을 통해 분출되는 복수개의 폭죽발사대(10);
    상기 폭죽발사대(10)에 안착된 상기 폭죽(1)을 클램핑하여 폭죽발사대(10)에 폭죽(1)을 고정하는 클램프(20);
    상기 클램프(20)에 의해 고정된 상기 폭죽(1)과 직교를 이루면서 상기 폭죽발사대(10)의 일측에 일부분이 힌지(H)로 결합되고, 일단부에 상기 폭죽(1)의 격발끈(1a)이 감겨서 고정되는 감김부(W)를 가지며, 외부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일단부를 상기 폭죽발사대(10)와 이격시켜서, 일단부의 감김부(W)를 통해 상기 폭죽(1)의 격발끈(1a)을 견인하여 상기 폭죽(1)을 격발시키는 격발판(30);
    상기 격발판(30)에 외부의 가압력을 전달하여 격발판(30)을 통해 상기 폭죽(1)를 격발시키는 레버식 방아쇠(50);
    상기 폭죽발사대(10)가 일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고정되고, 타측면의 중앙에 동일체로 형성된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판(60);
    상기 회전판(60)에 상기 폭죽발사대(10)를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부 재(JT);
    상기 회전판(60)의 회전축(6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69); 및
    상기 베어링(69)이 내장되고, 상기 방아쇠(5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이 방아쇠(50)와 함께 파지되는 손잡이(72)를 갖는 커버(70);를 포함하는 연발식 폭죽발사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폭죽발사대(10)는,
    상기 폭죽(1)이 안착되는 베이스판(12); 및
    상기 베이스판(12)의 일단부와 직각을 이루면서 상기 폭죽(1)의 격발끈(1a)과 일측면이 마주하고, 타측면에 상기 격발판(30)이 힌지(H)로 결합되어 상기 격발판(30)과 중첩을 이루는 직각판(14);을 포함하는 연발식 폭죽발사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0)는,
    상기 폭죽발사대(10)의 일측면에 일단부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폭죽발사대(10)에 안착된 상기 폭죽(1)을 감싸면서 타단부가 상기 폭죽발사대(10)의 타측면에 걸려서 고정되는 벨트(22); 및
    상기 폭죽발사대(10)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벨트(22)의 타단부를 관통하여 벨트(22)의 타단부를 상기 폭죽발사대(10)의 타측면에 고정시키는 관통돌기(10a);를 포함하는 연발식 폭죽발사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0)는,
    상기 폭죽발사대(10)에 끼워서 고정되고, 일측면에 걸림돌기(24a)를 갖는 탄성재 환형띠(24); 및
    상기 환형띠(24)의 타측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판(12)상의 상기 폭죽(1)을 감싸며, 상기 환형띠(24)의 걸림돌기(24a)에 끼워지는 돌기공(26a)이 타단부에 형성되어 돌기공(26a)이 걸림돌기(24a)에 걸림에 따라, 상기 폭죽(1)을 상기 베이스판(12)상에 고정하는 고정벨트(26);를 포함하는 연발식 폭죽발사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판(30)은,
    기 폭죽발사대(10)의 직각판(14)에 밀착되고, 하단부가 상기 힌지(H)에 의해 상기 직각판(1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단부에 상기 감김부(W)가 마련된 수직판(32); 및
    상기 힌지(H)에 의해 단부측 일부분이 상기 수직판(32)에 연결되어, 상기 수직판(32)의 하부에서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판(34);을 포함하는 연발식 폭죽발사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50)는,
    상기 커버(70)의 하부로 수직을 이루면서 돌출되고, 상기 커버(70)에 일부분이 힌지고정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서 회전하는 회전부(52); 및
    상기 회전부(52)의 상단부에서 실질적으로 직각상태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회전부(52)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폭죽발사대(10)를 통해 상기 회전판(60)에 고 정된 상기 격발판(30)의 일부분을 가압하는 가압부(54);를 포함하는 연발식 폭죽발사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52) 및 가압부(54)를 갖는 상기 방아쇠(50))와 함께 연동하면서 상기 회전판(6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폭죽발사대(10)가 고정된 상기 회전판(60)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연발식 폭죽발사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판(60)에 등간격을 이루면서 방사형태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날개(64); 및
    상기 회전부(52) 및 가압부(54)를 갖는 상기 방아쇠(5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방아쇠(50)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돌출날개(64)를 가압하여 상기 회전판(60)을 회전시키는 회전대(80);를 포함하는 연발식 폭죽발사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대(80)는,
    상기 방아쇠(50)의 회전부(52)에 중첩되어 회전부(52)와 함께 가압되면서 회전하는 중첩회전부(82);
    상기 중첩회전부(82)와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면서 중첩회전부(82)의 상부에서 편심상태로 연장형성되고, 자유단측 단부의 일부분이 상기 중첩회전부(8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중첩회전부(82)의 회전에 의해 시이소식으로 운동하는 레버부(84); 및
    상기 레버부(84)의 자유단측 단부에 경사형태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돌출날개(64)를 가압하는 후크형태의 누름편(86);을 포함하는 연발식 폭죽발사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50)와 연동하면서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회전판(60)의 일부분을 구속하여, 회전하는 회전판(60)을 설정된 각도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90);를 더 포함하는 연발식 폭죽발사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90)는,
    상기 방아쇠(50)에 돌출형성되는 돌출돌기(92);
    상기 회전판(60)의 일부분에 일단부가 걸리면서 회전판(60)을 설정된 각도에서 정지시키고, 상기 방아쇠(50)의 돌출돌기(92)에 걸리는 걸림부(94a)가 타단부에 형성되어, 회전되는 상기 방아쇠(50)에 의해 이동하면서 회전판(60)에서 분리되는 정지핀(94); 및
    상기 정지핀(94)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정지핀(94)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체(96);를 포함하는 연발식 폭죽발사기.
  2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JT)는,
    상기 회전판(60)의 일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면서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방사형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삽입관(17);
    상기 폭죽발사대(10)의 하부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삽입관(17)에 대응하면서 삽입관(17)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돌출판(18); 및
    상기 돌출판(18)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삽입관(17)에 걸리면서 돌출판(18)을 삽입관(17)에 구속하는 후크(18a);를 포함하는 연발식 폭죽발사기.
  2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폭죽발사대(10)상에 돌출되어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클램프(20)에 의해 상기 폭죽발사대(10)에 고정되는 상기 폭죽(1)의 지름에 따라, 돌출높이가 변경되면서 상기 폭죽(1)의 하부를 지지하는 폭죽지지구(40);를 더 포함하는 폭죽용 격발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폭죽지지구(40)는,
    상기 폭죽발사대(10)를 관통하는 관통축(42); 및
    상기 관통축(42)의 축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2)에 걸리는 복수개의 걸림날개(44);를 포함하는 폭죽용 격발기.
KR1020070032222A 2007-04-02 2007-04-02 폭죽용 격발기 및 이에 의한 연발식 폭죽발사기 KR100868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222A KR100868171B1 (ko) 2007-04-02 2007-04-02 폭죽용 격발기 및 이에 의한 연발식 폭죽발사기
PCT/KR2008/001821 WO2008120945A1 (en) 2007-04-02 2008-04-01 Percussion device for firecracker and running fire type firecracker discharger thereby
CN200880010716A CN101680736A (zh) 2007-04-02 2008-04-01 用于爆竹的引爆装置及相关的连续燃放型爆竹击发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222A KR100868171B1 (ko) 2007-04-02 2007-04-02 폭죽용 격발기 및 이에 의한 연발식 폭죽발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714A true KR20080089714A (ko) 2008-10-08
KR100868171B1 KR100868171B1 (ko) 2008-11-12

Family

ID=39808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222A KR100868171B1 (ko) 2007-04-02 2007-04-02 폭죽용 격발기 및 이에 의한 연발식 폭죽발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68171B1 (ko)
CN (1) CN101680736A (ko)
WO (1) WO20081209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0831U1 (ru) * 2022-01-14 2022-05-06 Валерий Викторович Присухин Держатель объемного предмет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14883B (zh) * 2009-04-02 2012-09-12 聊城大学 双响鞭炮连续燃放器
CN114440709B (zh) * 2022-02-28 2023-12-22 万载县建坤化工有限公司 一种鞭炮自动注引装置及注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762Y1 (ko) * 1988-08-10 1992-03-16 길창호 축하용 테이프 자동발사기
JP2602130Y2 (ja) * 1993-05-19 1999-12-27 株式会社カネコ ピストル形クラッカー
KR0159991B1 (ko) * 1995-03-06 1998-12-01 겐지 다까노 폭죽
KR200256934Y1 (ko) 2001-07-28 2001-12-24 이광수 오색 테이프 발사용 축포
KR200280852Y1 (ko) * 2002-04-11 2002-07-06 주식회사 우진 에스피티 발사장치가 결합된 다연발 꽃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0831U1 (ru) * 2022-01-14 2022-05-06 Валерий Викторович Присухин Держатель объемного предмет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171B1 (ko) 2008-11-12
WO2008120945A1 (en) 2008-10-09
CN101680736A (zh)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1516C (en) Explosive discharge actuated tool for driving fasteners
US5166458A (en) Firing mechanism for fast shooting pistol
KR100868171B1 (ko) 폭죽용 격발기 및 이에 의한 연발식 폭죽발사기
AU2010210017A2 (en) Lightweight air vehicle and pneumatic launcher
US8707939B2 (en) Percussion and magazine revolving device of toy grenade launcher
US7293558B2 (en) System for launching lightweight elements during festive events
KR101176975B1 (ko) 에어 폭죽
US4291809A (en) Pencil holder
US20120210901A1 (en) Self-sprung stabilization fin system for gun-launched artillery projectiles
EP2573499B1 (en) Percussion and magazine revolving device of a toy projectile launcher
US6732725B2 (en) Fire out canister launcher
CN206648518U (zh) 玩具枪和子弹
FI77729B (fi) Signalanordning.
DK178982B1 (en) A tubular scattering device
US6415538B1 (en) Breech locking safety bracket for flare launchers
CN221123176U (zh) 一种装填软性子弹的玩具枪
KR200350646Y1 (ko) 폭발력에 의한 못발사장치
JP2604931Y2 (ja) マシンガン式クラッカー用のマガジン
KR890000954B1 (ko) 완구용 로켈
CN205642141U (zh) 一种机械弹弓
US6318271B1 (en) Fuse igniter adapter assembly
KR0132297Y1 (ko) 축하용 오색테이프 발사장치
JP3207942U (ja) 模擬銃
JP2609526B2 (ja) 信号弾発射装置
JP2598621Y2 (ja) マシンガン式クラッカー作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