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550A - 음원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음원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550A
KR20080089550A KR1020080083810A KR20080083810A KR20080089550A KR 20080089550 A KR20080089550 A KR 20080089550A KR 1020080083810 A KR1020080083810 A KR 1020080083810A KR 20080083810 A KR20080083810 A KR 20080083810A KR 20080089550 A KR20080089550 A KR 20080089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information
customer
predetermined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명선
Original Assignee
유코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코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코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3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9550A/ko
Publication of KR2008008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639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using playl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 정보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서버에서 고객의 음원제공 이력 정보, 또는 고객 음원 앨범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고객의 음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의 음원 재생장치와 통신 연결시, 서버에서 상기 고객의 음원 선호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에 저장된 음원 파일의 재생순서를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음원, 정보, 처리, 선호도, 재생

Description

음원 정보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Sound Source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를 위한 음원 제공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음원제공 이력 정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를 위해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정보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로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스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는 호스트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로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스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통해 음원 재 생 순서가 동기화되는 음원 재생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와 음원 재생장치 간 데이터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고객 앨범 목록을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로 고객 앨범 목록을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스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는 호스트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로 상기 고객 앨범 목록을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스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고객 앨범 목록을 통해 음원 재생 순서가 동기화되는 음원 재생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와 음원 재생장치 간 데이터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음원 제공 서버 105 : 웹 인터페이스부
110 : 컨텐츠 운용부 115 : 웹페이지 운용부
120 : 디지털 컨텐츠 관리부 125 : 게시판 컨텐츠 관리부
130 : 음원 소스 관리부 135 : 음원 소스 제공부
140 : DBMS 145 : 정보처리 서버
*150 : 정보 추출부 155 : 정보 저장부
160 : 정보 제공부 165 : 저장매체
170 : 고객단말
본 발명은 서버에서 고객의 음원제공 이력 정보, 또는 고객 음원 앨범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고객의 음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의 음원 재생장치와 통신 연결시, 서버에서 상기 고객의 음원 선호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에 저장된 음원 파일의 재생순서를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정보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컨텐츠 기술이 발전하면서, 종래 카세트 테이프나 CD(Compact Disk) 형태의 매체에 기록하여 청취하던 다양한 음원을 MP3(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 코덱과 같은 압축기술을 통해 디지털 음원으로 변환하여 청취할 수 있게 되었으며, 부가적으로 음원 재생장치의 소형화가 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디지털 음원은 종래 카세트 테이프나 CD와 같은 매체에 기록되던 종래 음원을 디지털화 하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과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한 것일 뿐, 정보통신 기술의 가장 큰 장점인 정보처리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의해 매체 전환 이외에 다른 장점을 찾기가 곤란하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버에서 고객의 음원제공 이력 정보, 또는 고객 음원 앨범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고객의 음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의 음원 재생장치와 통신 연결시, 서버에서 상기 고객의 음원 선호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에 저장된 음원 파일의 재생순서를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정보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원 정보 처리방법은, 서버에서 고객의 음원제공 이력 정 보, 또는 고객 음원 앨범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고객의 음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의 음원 재생장치와 통신 연결시, 서버에서 상기 고객의 음원 선호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에 저장된 음원 파일의 재생순서를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 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를 위한 음원 제공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등)를 기반으로 소정의 음원 제공 서버(10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17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데이터 를 제공하여 재생 및 출력하는 음원 제공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음원 재생 기능을 부가된 웹브라우져(또는 음원 재생 프로그램)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17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고객단말(170)로 음원 데이터 제공하기 위한 음원 제공 웹사이트를 운용하는 음원 제공 서버(100)와,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와 상호 연동하여 상기 고객 소유 음원 재생장치로 개인화된 음원 소스 파일 제공 및 운용을 위한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소정의 저장매체(165)에 저장하는 정보처리 서버(14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본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와 정보처리 서버(145)가 상호 연동하는 두개 이상의 서버로 이루어진 서버 시스템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당업자의 의도 및/또는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와 정보처리 서버(145)의 관계에 따라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와 정보처리 서버(145)에 구비되는 기능 구성부가 하나의 서버(예컨대, 음원 제공 서버(100))에 구비되거나, 및/또는 상기 정보처리 서버(145)가 적어도 두개 이상의 음원 제공 서버(100)와 연동하는 등 다양한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고객단말(170)은 TCP/IP 기반의 유선 통신기능과 상기 유선 통신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브라우징 기반의 유선 웹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브라우저를 구비한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Notebook)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유선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무선 통신기능과 상기 무선 통신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브라우징 기반의 무선 웹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예컨대, CDMA 기반 무선 모뎀침을 구비한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및/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및/또는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및/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기 및/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및/또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등),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무선 통신기능과 상기 무선 통신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브라우징 기반의 무선 웹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를 구비한 휴대 인터넷 단말(예컨대, IEEE 802.16 기반 무선 모뎀칩을 구비한 개인 통신 단말기(PCS) 및/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및/또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및/또는 휴대 인터넷 전용 단말 및/또는 노트북 등), 및/또는 Motorola사의 DataTAC 방식 또는 Erricson사의 Mobitex 방식 기반의 무선 통신기능과 상기 무선 통신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브라우징 기반의 무선 웹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우저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통신단말(예컨대, DataTAC/Mobitex 방식의 모뎀칩을 구비한 증권 단말 및/또는 무선통신단말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상기 고객단말(170)은 상기 TCP/IP 기반 유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을 포함하는 상기 고객단말(170)은 CDMA 기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휴대 인터넷 단말을 포함하는 상기 고객단말(170)은 IEEE 802.16 기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단말은, DataTAC/Mobitex 기반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170)로 소정의 웹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소스 및/또는 디지털 컨텐츠를 포함하는 웹 운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상기 고객단말(170)에 의해 등록 및 게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단말 등록 컨텐츠 및/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 및/또는 휴대 인터넷 단말 및/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단말을 포함하는 상기 고객단말(170)에 의해 등록 및 게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 등록 컨텐츠를 포함하는 게시판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상기 웹 운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소정의 웹페이지에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170)로 제공되는 음원 소스 파일을 저장하는 음원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등을 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을 구비하거나, 상기 DBMS(140)가 구비된 데이터 서버와 상호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고객단말(170)로 소정의 웹서비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원 소스 파일은 MP3(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 오디오 소스 파일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소스 파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오디오 소스 파일 포맷 및 코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원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고객이 등록한 고객 앨범 목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고객 앨범 목록은 상기 고객이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DBMS(140)는 상기 웹 운용 데이터 및/또는 게시판 컨텐츠 및/또는 음원 컨텐츠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제공 서버(100) 관련 정보(예컨대, 회원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회원 정보 및/또는 고객 정보 등)를 더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각각의 음원 제공 서버(100) 적용분야에 대응하여 상기 DBMS(140)에 추가로 저장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또는 컨텐츠를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지만,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170)로 소정의 웹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 인터페이스부(105)와,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 및 상기 DBMS(140)와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고객단말(170)로 제공할 웹페이지를 운용하는 웹페이지 운용부(115)와,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와 연동하여 상기 DBMS(140)로부터 소정의 컨텐츠를 추출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고객단말(170)로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상기 고객단말(170)로부터 상기 DBMS(140)에 저장될 소정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운용부(1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 및/또는 특징에 따라, 상기 컨텐츠 운용부(110)와 연동하여 상기 고객단말(170)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DBMS(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부(120)와, 상기 컨텐츠 운용부(110)와 연동하여 상기 고객단말(17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 등록 컨텐츠를 상기 DBMS(140) 저장 및 관리하는 게시판 컨텐츠 관리부(125)와, 상기 컨텐츠 운용부(110)와 연동하여 상기 고객단말(170)로 제공하기 위해 상기 DBMS(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관리하는 음원 소스 관리부(130)와, 상기 음원 소스 파일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운용부(110) 및 웹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고객단말(170)로 전송하여 재생하는 음원 소스 제공부(135)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170)에 구비된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115)에 의해 생성되는 소정의 웹페이지를 상기 고객단말(170)로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폼 양식을 통해 상기 고객단말(170)로부터 소정의 단말 등록 컨텐츠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웹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의 적용분야에 따른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의 상세한 기능과 역할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115)는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 적용분야에 대응하여 상기 DBMS(14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페이지 소스(예컨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기반의 웹페이지 소스 등)와 디지털 컨텐츠(예컨대, 문자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사운드 컨텐츠,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170)로 제공할 소정의 웹페이지(예컨대, HTM/HTML/ASP/XML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웹문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생성된 웹페이지는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170)로 제공된다.
상기 컨텐츠 운용부(110)는 상기 DBMS(14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웹페이지 운용부(115)가 생성하는 웹페이지에 포함하거나, 및/또는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17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상기 DBMS(140)의 각 컨텐츠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한 상기 컨텐츠 운용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관리부와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지털 컨텐츠 관리부(120)는 상기 DBMS(140)에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170)로 제공할 문자 컨텐츠 및/또는 이미지 컨텐츠 및/또는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디지털 컨텐츠 는 상기 웹페이지의 일부이거나, 및/또는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화된 컨텐츠를 모두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게시판 컨텐츠 관리부(12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170)로 제공된 웹페이지에 포함된 폼 양식을 통해 상기 고객단말(170)로부터 상기 웹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 컨텐츠 및/또는 이미지 컨텐츠 및/또는 사운드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단말 등록 컨텐츠를 상기 DBMS(140)에 구비된 게시판 컨텐츠에 포함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게시판은 음원 제공 웹사이트에 구비되는 방명록이거나, 및/또는 소정의 고객단말(170)에서 생성된(또는 고객단말(170)에 저장된, 또는 고객단말(170)에서 입력된) 정보 및/또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게시판을 모두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음원 소스 관리부(130)는 상기 DBMS(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정의 고객단말(17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다운로드 및/또는 재생 요청시, 상기 DBMS(140)로부터 상기 요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추출하여 상기 음원 소스 제공부(13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원 소스 제공부(135)는 소정의 고객단말(17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다운로드 요청시, 상기 DBMS(140)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컨텐츠 운용부(110) 및 웹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고객단말(17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원 소스 제공부(135)는 소정의 고객단말(17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재생 요청시, 상기 DBMS(140)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운용부(110) 및 웹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해 상기 고객단말(17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고객단말(170)에서 상기 음원 소스 파일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음원 소스 제공부(135)가 상기 DBMS(140)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고객단말(170)로 다운로드 시키거나, 또는 재생하여 출력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정보처리 서버(145)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170)로 음원 소스 파일을 제공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170)로 음원 소스 파일에 대응 하는 음반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하는 경우,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고객단말(170)에 대응하는 고객정보와, 상기 고객단말(170)로 제공되는 상기 음원 소스 파일에 대응하는 음원 가수, 음원 제목, 음원 장르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원 정보를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음원 소스 파일에 대한 음원 제공횟수(또는 재생횟수), 음원 재생시간 및 음원 재생시간대 정보 등을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150)와, 상기 추출된 음원 정보와, 음원 제공횟수(또는 재생횟수), 음원 재생시간 및 음원 재생시간대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상기 고객정보와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165)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5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객정보는 상기 고객단말(170)에 대응하는 고객 계정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소유한 음원 재생장치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추출부(150)는 상기 음원 소스 파일에 대응하는 소정의 음원 소스 정보로부터 음원 가수, 음원 제목, 음원 장르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원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보 추출부(150)는 상기 고객단말(170)로 동일한 음원 소스 파일이 제공된(또는 재생된) 횟수를 카운트(Count)하여 상기 음원 소스 파일에 대한 음원 제 공횟수(또는 재생횟수)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보 추출부(150)는 상기 고객단말(170)로 소정의 음원 소스 파일의 재생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음원 소스 정보로부터 해당 음원 소스 파일에 대한 음원 재생시간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고객단말(170)로 소정의 음원 소스 파일이 재생되는 동안(예컨대, 음원 소스 파일의 재생이 완료되기 전), 상기 음원 소스 파일의 재생이 일시 정지되거나, 또는 재생정지되는 경우, 상기 정보 추출부(150)는 상기 음원 소스 재생부로부터 상기 음원 소스 파일에 대한 음원 재생시간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보 추출부(150)는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에 구비된 타이머(도시생략)를 통해 상기 음원 소스 파일에 대한 음원 재생시간대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음원 재생시간대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음원 재생시간 정보는 하루 24시간의 시간을 일정 구간씩 특정 시간대로 구분(예컨대, 00h~06h를 새벽, 06h~12h를 오전, 12h~18h를 오후, 18h~24h를 야간 등으로 구분)하고, 상기 음원이 재생되는 시간이 상기 시간대 중 어느 시간대에 포함되는지 확인하여 획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 서버(145)는 소정의 호스트 컴퓨터 및/또는 호스트 서버에 구비된 호스트 프로그램이 상기 고객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 요청시, 상기 저장매체(165)로부터 상기 고객정보와 연계된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 및/또는 호스트 서버에 구비된 호스트 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1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음원제공 이력 정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음원제공 이력 정보 구성에 대한 실시 방법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대한 다양한 정보 구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음원 제공 서버(100)와 구비된 DBMS(140)에 저장된 고객 앨범 목록에 대한 바람직한 정보 구성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정보구성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는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에서 상기 고객단말(170)로 제공(또는 재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에 대응하는 음원 가수, 음원 제목, 음원 장르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원 정보와, 상기 음원 소스 파일에 대한 음원 제공횟수(또는 재생횟수), 음원 재생시간 및 음원 재생시간대 정보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음원 정보의 음원 가수는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에서 상기 고객단말(170)로 제공(또는 재생)된 음원 소스 파일에 대응하는 음원을 부른 가수, 또는 상기 음원을 연주한 연주자, 또는 상기 음원의 작곡자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음원 정보의 음원 제목은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에서 상기 고객단말(170)로 제공(또는 재생)된 음원 소스 파일에 대응하는 노래 제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음원 정보의 음원 장르는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에서 상기 고객단말(170)로 제공(또는 재생)된 음원 소스 파일에 대응하는 음원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르 구분 기분에 대응하여 구분되는 장르 정보를 포함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제공횟수(또는 재생횟수)는 상기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소스 파일이 상기 고객단말(170)로 제공된(또는 재생된) 총 횟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재생시간은 상기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소스 파일이 상기 음원 재생장치를 통해 실제 재생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재생시간대는 상기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소스 파일이 상기 고객단말(170)로 제공된(또는 재생된) 시간이 새벽, 오전, 오후, 야간 중 어느 시간대에서 몇 번 재생되었는지 확인하는 시간대별 제공횟수(또는 재생횟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를 위해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정보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정보처리 서버(145)에서 소정의 음원 제공 서버(100)와 연계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를 위한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소정의 저장매체(165)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를 위한 다양한 정보처리 과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정보처리 서버(145)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음원 제공 서버(100)와 연계하여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17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제공하거나, 및/또는 상기 음원 소스 파일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는지 확인하는데(300), 만약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170)로 제공(또는 재생)하는 것이 확인되면(305), 상기 정보처리 서버(145)는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고객단말(170)로 제공(또는 재생)되는 음원 소스 파일에 대한 음원 정보(예컨대, 음원 가수, 음원 제목 및 음원 장르 등)를 추출한다(310).
이후, 상기 정보처리 서버(145)는 상기 음반 제공 서버에서 상기 고객단말(170)로 상기 음원 소스 파일이 제공(또는 재생)되는 총 횟수를 카운트(Count)하여 상기 음원 소스 파일에 대한 음원 제공횟수(또는 재생횟수)와, 또한 상기 음반 제공 서버(또는 정보처리 서버(145))에 구비된 타이머(도시생략)를 통해 상기 음원 소스 파 일에 대한 음원 재생시간대 정보를 확인한다(3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원 재생시간대 정보는 하루 24시간의 시간을 일정 구간씩 특정 시간대로 구분(예컨대, 00h~06h를 새벽, 06h~12h를 오전, 12h~18h를 오후, 18h~24h를 야간 등으로 구분)하고, 상기 음원이 재생되는 시간이 상기 시간대 중 어느 시간대에 포함되는지 확인하여 획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정보처리 서버(145)는 음반 제공 서버에서 상기 고객단말(170)로 상기 음원 소스 파일 제공(또는 재생)이 일시 정지(Pause)되거나, 또는 정지(Stop)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는데, 만약 상기 음반 제공 서버에서 상기 고객 단말로 상기 음원 소스 파일 제공(또는 재생)이 일시 정지되지 않고, 또한 정지되지도 않는다면(320), 상기 정보처리 서버(145)는 상기 음반 제공 서버에서 상기 고객 단말로 상기 음원 소스 파일 제공(또는 재생) 과정이 완료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는데, 만약 상기 음반 제공 서버에서 상기 고객 단말로 상기 음원 소스 파일 제공(또는 재생) 과정이 완료되면(325), 상기 정보처리 서버(145)는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음원 소스 파일의 전체 재생시간을 실제 재생시간으로 추출한다(330).
반면 상기 음원 소스 파일의 재생 중, 상기 재생되고 있는 상기 음원 소스 파일에 대한 재생이 일시 정지(Pause)되거나, 또는 정지(Stop)되면(320), 상기 정보처리 서버(145)는 상기 음원 소스 파일에 대한 실제 재생시간을 추출한다(335).
이후, 상기 정보처리 서버(145)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원 소스 파일에 대응하는 음원 가수, 음원 제목, 음원 장르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원 정보와, 상기 음원 소스 파일에 대한 음원 제공횟수(또는 재생횟수), 음원 재생시간 및 음원 재생시간대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340),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생성된 하는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정보(예컨대, 상기 고객단말(170)에 대응하는 고객 계정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소유한 음원 재생장치 정보)를 추출하고(345), 상기 고객정보와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저장매체(165)에 저장한다(35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반 제공 서버에서 상기 고객 단말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제공(또는 재생)에 대응하여 소정의 음원제공 이력 정보의 생성하고,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상기 고객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저장매체(165)에 저장하는 과정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소정의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가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정보처리 서버(145)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장치 고객에 대한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소스 파일을 확인하고, 상기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고객 소유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메모리부에 음원 선호도에 따라 저장(또는 재배치)하는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를 동기화하는 다양한 시스템 구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4에서 도면7에 도시된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메모리부에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선호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저장(또는 재배치)하는 서비스 제공 주체를 편의상 "호스트 컴퓨터(450)"라고 하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음원 재생장치(400)가 소정의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페이싱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시스템은, 도면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메모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장치(400)와, 소정의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저장(또는 재배치)하는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구비한 호스트 컴퓨터(450)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와,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제공하는 음원 제공 서버(100), 및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으로 상기 고객에 대한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처리 서버(14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도면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등),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예컨대, MP3 재생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등)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의 기능 구성에 대한 실시 방법은 하기의 도면7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음원 재생장치(400)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가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USB 통신부의 USB 커넥터와 소정의 USB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커넥터(410)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 상에서 모든 USB 통신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USB 제어기(405)(USB Controller)를 구비하여 이루 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예컨대, USB 규격을 숙지한 자)라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 구비되는 상기 USB 커넥터(410)와 USB 제어기(405)에 대한 상세한 기술적 명세를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또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는 상기 USB 제어기(405)를 USB 통신을 제어하는 연동하는 USB 시스템 프로그램(415)과, 상기 USB 시스템 프로그램(415)과 연동하여 USB 커넥터(410)와 USB 케이블을 포함하는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와 통신하는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USB 시스템 프로그램(415)은 USB 규격의 시스템 구조 상에서 USB 시스템 소프트웨어 계층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 구비된 운영체제에 대응하여 상기 USB 제어기(405)와 연동하는 USB 드라이브 프로그램 및/또는 호스트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예컨대, USB 규격을 숙지한 자)라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 구비되는 상기 USB 시스템 프로그램(415)의 기술적 특징을 명백하게 이해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 이외에 적외선(Infrared Ray)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 Band system)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와 호스트 컴퓨터(450)를 인터페이싱하는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터페이싱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실시 방법을 포함하는 본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은 상기 USB 시스템 프로그램(415)과 연계하여 상기 USB 제어기(405)와 USB 커넥터(410)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와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USB 인터페이스부(425)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관리하는 음원 관리부(44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은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상기 도면1 에 도시된 상기 정보 처리 서버(145)로부터 상기 고객에 대응하는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430)와, 상기 수신된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에 대응하는 음원 선호도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43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은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음원 수신부(44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확인부(435)에 의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에 대응하는 음원 선호도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음원 관리부(445)는 상기 음원 수신부(440)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따라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메모리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따라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425)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 구비된 USB 시스템 프로그램(415)과 연계하여 상기 USB 제어기(405)와 USB 커넥터(410)를 통해 도면7에 도 시된 음원 재생장치(400)와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각종 정보(또는 명령)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USB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데이터 패킷에 대한 실시 방법은 도면8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음원 관리부(445)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제공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비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원 관리부(445)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비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원 관리부(445)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비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원 관리부(445)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비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의 재생 순서를 재배치(또는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430)는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또는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에 등록한 고객 계정정보, 또는 상기 고객 개인정보(예컨대, 주민등록번호 등))를 상기 정보처리 서버(145)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정보처리 서버(145)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에 대응하는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430)를 통해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 확인부(435)는 상기 수신된 상기 수신된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에 대응하는 음원 선호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가수 정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제목 정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장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특정 가순/제목/장르에 대응하는 음원을 주로 재생하는 시간대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확인부(435)는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포함된 특정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제공횟수(또는 재생횟수) 및/또는 음원 재생시간을 카운트함으로써,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가수 정보,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제목 정보,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장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원 선호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보 확인부(435)는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포함된 특정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재생시간대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가수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이 가장 많이 재생된 시간대 정보,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제목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이 가장 많이 재생된 시간대 정보,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장르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이 가장 많이 재생된 시간대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원 선호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선호도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정보 확인부(435)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정보 중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기 저장되지 않은 음원 소스 파일 정보를 상기 음원 수신부(440)로 제공한다.
상기 음원 수신부(440)는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되었으나,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저장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요청 및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선호도 정보가 확인되고,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된 모든 음원 소스 파일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음원 관리부(445)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음원 소스 파일의 재생순서를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따라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선호도 정보가 확인되었으나,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된 음원 소스 파일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전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음원 수신부(440)가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수신하면, 상기 음원 관리부(445)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메모리부에 상기 수신된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는 재생순서에 따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선호도 정보가 확인되었으나,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된 음원 소스 파일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일부만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음원 수신부(440)가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나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수신하면, 상기 음원 관리부(445)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메모리부에 상기 수신된 음원 소스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음원 소스 파일의 재생순서를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따라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450)로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는 호스트 프로그램(420) 제공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가 접속한(또는 통신 연결한)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소정의 서버에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는 호스트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고객단말(170)로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5에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는 서버를 편의상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 제공 시스템은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호스트 컴퓨터(450)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및/또는 케이블 통신망)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와 통신 연결되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이동 통신단말,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는 휴대 인터넷 단말,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는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기 위한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 정보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여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 구성(예컨대, 브라우져 프로그램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의 특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가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수단은 상기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가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수단은 상기 CDMA 기반의 이동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네트워크 수단에 대응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부(5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웹서버의 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가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500)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 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가 CDMA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500)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가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500)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가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500)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상기 DataTAC/Mobite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는 소정의 호스트 컴퓨터(450)가 상기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에 접속시, 상기 인터페이스부(500)와 연동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서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50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505)는 소정의 호스트 컴퓨터(450)가 상기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에 접속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호스트 컴퓨터(450)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도시생략)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500)와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제공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 프로그램(420) 소스 및/또는 호스트 프로그램(420) 파일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D/B(460)와, 상기 고객단말(170)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소정의 프로그램 D/B(460)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추출 및/또는 동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제공하는 호스트 프로그램 제공부(5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 D/B(460)는 상기 호스트 컴퓨 터(450)에 구비된 운영체제(및/또는 단말 플랫폼)에서 동작할 수 있는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 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장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 제공부(510)는 상기 프로그램 D/B(460)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와 매칭되는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 파일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 D/B(460)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 구비된 운영체제(및/또는 단말 플랫폼)에서 동작할 수 있는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 소스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 제공부(510)는 상기 프로그램 D/B(460)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와 매칭되는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 소스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호스트 프로그램(420) 소스를 컴파일(Compile)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제공할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동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 제공부(51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해 상기 추출(및/또는 동적 생성)된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제공하여 원격 탑재하는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원격 탑재하는 방법(예컨대, 프로그램 제공자 인증서를 첨부하여 호스트 컴퓨터(450)로 원격 탑재하는 방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450)에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이 다운로드되어 원격 탑재되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는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최초 실행하여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 진단 모드를 개시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서 구비된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과 상호 연동하여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에 대한 유효성을 진단하는 프로그램 진단부(51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 진단 모드는,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이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와 정상적으로 데이터 패킷을 교환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450)로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5에 도시된 호스트 프로그램(420) 제공 시스템 구성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에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고객단말(170)로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6에서 상기 도면5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450)를 편의상 "단말"이라고 하고, 상기 도면5에 도시된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를 편의상 "서버"라고 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은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로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도록 요청하며(60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는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을 추출(또는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한다(605).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입력(및/또는 선택)하고(610), 상기 입력(및/또는 선택)된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6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는 상기 프로그램 D/B(460)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와 매칭되는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추출(및/또는 동적 생성)하고(620), 상기 추출(및/또는 동적 생성)된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제공하여 원격 탑재한다(625).
만약 상기 단말에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이 원격 탑재되면(630), 상기 단말은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실행하여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에 대한 진단 모드를 개시하고(635), 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은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통해 소정의 유효성 진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640),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유효성 진단 정보를 수신 및 판독하여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다(64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에 대한 진단 모드는,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이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와 정상적으로 데이터 패킷을 교환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650), 상기 서버는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 진단 오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한 후(655), 상기 단말로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여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추출(및/또는 동적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원격 탑재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650),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로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하는 과정을 완료한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통해 음원 재생 순서가 동기화되는 음원 재생장치(4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예컨대, MP3(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 오디오 소스 파일(*.MP3) 등)을 재생하는 휴대용 음원 재생장치(400)에 대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의 기능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 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본 도면7에 도시된 음원 재생장치(400)가 소정의 음원 재생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예컨대, CDMA 기반 이동통신 단말, 또는 IEEE 802.16x 기반 휴대인터넷 단말 등)인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음원 재생장치(4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역 통신 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로 대체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례로, 본 도면7에 도시된 음원 재생장치(400)가 소정의 음원 재생 기능이 구비된 CDMA 기반 이동통신 단말로 대체되는 경우, 본 도면7에 도시된 음원 재생부(7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부(705) 내에 구비되며, 본 도면7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부(735)는 CDMA 스택 기반의 무선 통신 기능부로 대체될 것이다.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음원 재생장치(400)는 외형상 소정의 몸체(Body)와, 상기 음원 소스 파일을 재생하여 출력되는 음원(또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음원 소스 파일을 선택 및 재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버튼을 구비한 키패드와, 상기 음원 소스 파일 재생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음원 소스 파일 선택 및 재생 과정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화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내부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예컨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 장치에 메모리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로드(Load)하여 재생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와 MP3 코덱(CODEC) 및 D/A변환기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음원 재생장치(400)의 하드웨어 구성을 기반으로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의 기능 구성은 본 도면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기본적으로 제어부(705)와 화면 출력부(710)와 음원 출력부(715)와 코덱부(720)와, 통신 인터페이스부(735)와, 키 입력부(750)와, 메모리부(760)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730)를 구비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음원 입력부(725)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 각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되는 부가 서비스 종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구성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어부(705)는 하드웨어적으로 DSP칩에 구비되는 CPU/MPU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캐시, 램 등)를 포함하고, 소정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재생을 위한 소정의 프로그 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 및 이를 위해 구비되는 소정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또는 칩셋으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특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연산 처리되는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총칭(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음원 재생장치(400)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을 편의상 본 제어부(705)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함.)으로서, 이에 의해 상기 제어부(70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현하고자 하는 음원 재생 및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실현되며, 또한 상기 기능들을 실현하기 위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상기 제어부(705)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저장되어 있던 운영체제 루틴, 시스템 관리 루틴, 및/또는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어 운영체제,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 및/또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변수들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710)는 화면 출력을 위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드라이버(Driver)로서 상기 제어부(705)(예컨대, LCD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 하는 프로그램 루틴)을 기반으로 상기 키 입력부(750)를 통해 발생하는 키 데이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음원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각종 정보, 신호, 컨텐츠를 소정의 화면출력장치(예컨대, LCD 패널)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화면 출력부(710)는 화면출력장치(LCD)가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원 출력부(715)는 상기 제어부(705)에서 상기 메모리부(76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중 소정의 음원 소스를 소정의 코덱(예컨대, MP3 코덱)을 통해 디코딩(Decoding)하여 재생하는 경우, 상기 재생되는 음원 소스를 증폭하여 소정의 스피커(또는 스피커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원 입력부(725)는 소정의 마이크(또는 마이크 입력 단자)를 통해 소정의 음원 소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되는 음원 소스를 증폭 및 소정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7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후 상기 제어부(705)는 소정의 코덱(예컨대, MP3 코덱)을 통해 상기 입력된 음원 소스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상기 메모리부(76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덱부(720)는 상기 제어부(705)가 소정의 음원 소스를 디코딩/엔코딩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덱을 구비하고, 상기 코덱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를 디코딩/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코덱부(720)는 소정의 코덱칩셋 형태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705)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덱부(720)는 소정의 코덱칩셋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부(705)에서 소정의 음원 소스를 상기 코덱부(720)로 제공하면, 상기 코덱부(720)는 상기 음원 소스를 디코딩하여 상기 음원 출력부(715)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음원 출력부(715)가 상기 음원 소스를 증폭하여 소정의 스피커(또는 스피커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코덱부(720)가 소정의 코덱칩셋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음원 입력부(725)에서 소정의 아날로그 음원 소스를 입력 및 증폭하여 소정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코덱부(720)로 제공하면, 상기 코덱부(720)는 상기 음원 소스를 엔코딩하여 상기 제어부(705)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어부(705)가 상기 음원 소스를 상기 메모리부(760)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덱부(720)는 상기 제어부(705)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부(705)에서 소정 의 음원 소스를 상기 코덱부(720)를 통해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음원 소스를 상기 음원 출력부(715)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음원 출력부(715)가 상기 음원 소스를 증폭하여 소정의 스피커(또는 스피커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코덱부(720)가 상기 제어부(705)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음원 입력부(725)에서 소정의 아날로그 음원 소스를 입력 및 증폭하여 소정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705)로 제공하면, 상기 제어부(705)는 상기 코덱부(720)를 통해 상기 음원 소스를 엔코딩하고, 상기 음원 소스를 상기 메모리부(760)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735)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각종 정보(또는 명령)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각종 정보(또는 명령)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각종 정보(또는 명령)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735)는 소정의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규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 버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USB 통신부, 및/또는 적외선(Infrared Ray)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 Band system)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735)에 포함되는 상기 USB 통신부(740)는 소정의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규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을 교환함으로써,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각종 정보(또는 명령)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각종 정보(또는 명령)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USB 통신부(740)에 의해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데이터 패킷에 대한 실시 방법은 도면8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735)에 포함되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745)는 적외선 통신, RF 통신, 블루투스, 무선랜, 와이파이, UWB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근 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장치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와 소정의 근거리 무선 링크(예컨대, 적외선 통신에 대응하는 무선 링크, RF 통신에 대응하는 무선 링크, 블루투스에 대응하는 무선 링크, 무선랜에 대응하는 무선 링크, 와이파이에 대응하는 무선 링크, UWB에 대응하는 무선 등)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패킷을 교환함으로써,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각종 정보(또는 명령)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각종 정보(또는 명령)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의해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각각의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다양한 무선 패킷에 대한 실시 방법은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키 입력부(7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선택 키, 음원 재생 키, 음원 일시정지 키, 음원 재생정지 키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원재생용 키 버튼,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를 통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키(Number Key) 및/또는 문자키(Character Key) 및/또는 기능키(Function Key)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구비한 소정의 키패드(Keypad)로부터 입력 되는 정보(또는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705)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의 특정 동작모드(예컨대, 음원 재생모드, 또는 통신모드 등)에 대응하여 상기 키 버튼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정보(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키 이벤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키 이벤트를 상기 제어부(7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705)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의 현재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데이터를 독출(예컨대, 각각의 음원 재생장치(400) 동작모드에서 특정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키 테이블로부터 상기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 독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키 이벤트와 매칭되어 정의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독출한 후, 상기 키 데이터 및/또는 명령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키 입력부(75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구비한 상기 키패드는 상호 연동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되는 키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부(7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재생 기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상기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총칭으로서, 읽기 전용 메모리에 해당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읽기/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FM), 및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모리부(760)를 구성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상기 ROM은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서 삭제되면 아니 되는 시스템 정보와 시스템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운영체제 프로그램 루틴 등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래시 메모리(및/또는 EEPROM 등)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를 통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루틴과 이를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760)에는 상기 제어부(705)를 통해 재생되는 음원 소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예컨대, *.MP3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영역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생 순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상기 메모리부(76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7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원 재생부(700)는 상기 코덱부(720)와 연계하여 상기 메모리부(760)에 저장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재생 순서에 따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재생된 음원 소스를 상기 음원 출력부(715)를 통해 소정의 스피커(또는 스피컬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음원 재생부(700)가 상기 코덱부(720)와 연계하여 상기 메모리부(76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재생 순서에 따라 재생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450)와 음원 재생장치(400) 간 데이터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도면4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450)와 상기 도면7에 도시된 음원 재생장치(400) 사이에 송수신하는 USB 패킷 중 소정의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음원 재생장치(400) 간 송수신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패킷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a와 도면8b는 메모리 식별 관련 데이터 패킷 구조에 대한 일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서 도면8a와 같이 PID와 메모리 식별 요구 명령(CMD)과 CRC를 포함하는 메모리 식별 요구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로 전송하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상기 메모리 식별 요구 명령(CMD)을 판독 및 이에 대응하는 메모리 식별 절차를 수행한 후, 도면8b와 같이 PID와 메모리 식별 재생 명령(CMD)과 메모리 크기 및 메모리의 삭제 유닛 크기(Erase Unit Size; EUS)와 CRC를 포함하는 메모리 식별 재생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전송한다.
도면8c와 도면8d는 메모리에 데이터 쓰기 관련 데이터 패킷 구조에 대한 일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서 도면8c와 같이 PID와 기록 요구 명령(CMD)과 주소(ADDR)와 길이(LEN)와 데이터(DATA) 및 CRC를 포함하는 기록 요구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로 전송하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상기 기록 요구 명령(CMD)과 데이터가 기록될 주소(ADDR)를 판독한 후, 상기 데이터(DATA)를 상기 기록될 주소(ADDR)에 저장한다.
만약 상기 데이터(DATA)가 상기 음원 소스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상기 데이터(DATA)를 상기 주소(ADDR)에 대응하는 음원 소스 파일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또는, 상기 데이터(DATA)가 상기 음원 소스 파일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상기 음원 정보를 음원 소스 파일과 연계하여 상기 데이터(DATA)를 상기 주소(ADDR)에 대응하는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DATA) 저장 과정이 완료된 후,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도면8d와 같이 PID와 기록 상태 명령(CMD)과 주소(ADDR)와 길이(LEN)와 기록 상태(STATUS) 및 CRC를 포함하는 기록 상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전송한다.
도면8e와 도면8f는 메모리에 데이터 읽기 관련 데이터 패킷 구조에 대한 일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서 도면8e와 같이 PID와 판독 요구 명령(CMD)과 주소(ADDR)와 및 CRC를 포함하는 판독 요구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로 전송하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상기 판독 요구 명령(CMD)과 데이터가 판독될 주소(ADDR)를 판독한 후, 상기 주소(ADDR)로부터 상기 데이터(DATA)를 판독 및 추출한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DATA) 판독(또는 추출) 과정이 완료된 후,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도면8f와 같이 PID와 판독 상태 명령(CMD)과 주소(ADDR)와 상기 판독(또는 추출)된 데이터 길이(LEN)와 상태(STATUS)와 상기 판독(또는 추출)된 데이 터(DATA) 및 CRC를 포함하는 판독 상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전송한다.
도면8g와 도면8h는 메모리에 데이터 삭제 관련 데이터 패킷 구조에 대한 일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서 도면8g와 같이 PID와 소거 요구 명령(CMD)과 주소(ADDR)와 및 CRC를 포함하는 소거 요구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로 전송하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상기 소거 요구 명령(CMD)과 데이터가 소거될 주소(ADDR)를 판독한 후, 상기 주소(ADDR)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도면8h와 같이 PID와 소거 상태 명령(CMD)과 주소(ADDR)와 상태(STATUS) 및 CRC를 포함하는 소거 상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전송한다.
도면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상기 도면4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450)(또는 호스트 서버)에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정보처리 서버(145)로부터 도면7에 도시된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에 대응하는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객에 대한 음원 선호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여 재생 순서를 재배치하는 음원 재생장치(400) 동 기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9에서 상기 도면4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450)(또는 호스트 서버), 또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또는 호스트 서버)에 구비된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편의상 "호스트"라고 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상기 호스트는 상기 도면7에 도시된 음원 재생장치(4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연결되는지 확인하는데(900), 만약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와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것이 확인되면(905), 상기 호스트는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정보처리 서버(145)로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에 대한 고객정보(예컨대, 상기 고객단말(170)에 대응하는 고객 계정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소유한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정보처리 서버(145)로부터 상기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제공하도록 요청한다(910).
이후, 상기 정보처리 서버(145)는 상기 저장매체(165)로부터 상기 고객정보(예컨 대, 상기 고객단말(170)에 대응하는 고객 계정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소유한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추출하고(915), 상기 추출된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고(920), 이에 대응하여 상기 호스트는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에 대한 소정의 음원 선호도 정보를 확인한다(925).
여기서,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가수 정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제목 정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장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특정 가순/제목/장르에 대응하는 음원을 주로 재생하는 시간대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호스트는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포함된 특정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재생횟수 및/또는 음원 재생시간을 카운트함으로써,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가수 정보,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제목 정보,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장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원 선호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스트는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포함된 특정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재생시간대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가수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이 가장 많이 재생된 시간대 정보,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제목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이 가장 많이 재생된 시간대 정보,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장르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이 가장 많이 재생된 시간대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원 선호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에 대한 소정의 음원 선호도 정보가 확인되면(910), 상기 호스트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상기 확인된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음원 소스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935).
만약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상기 확인된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음원 소스 파일이 기 저장되어 있다면(940), 상기 호스트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저장된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확인된 음원 선호도 정보에 따라 재생순서를 재배치한다(970).
반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상기 확인된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소스 파일이 전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소스 파일의 일부만 저장되어 있다면(940), 상기 호스트는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신규 저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재생장치(400) 저장용 음원 소스 파일 정보를 확인한다(94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호스트는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된 음원 소스 파일 정보 중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기 저장되어 있지 않은 음원 소스 파일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신규 저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재생장치(400) 저장용 음원 소스 파일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호스트는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저장용 음원 소스 파일 정보를 요청하고(95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는 상기 DBMS(140)로부터 상기 요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재생장치(400) 저장용 음원 소스 파일을 추출하고(955),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재생장치(400) 저장용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호스트로 전송한다(960).
이후, 상기 호스트는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저장용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 치(400)에 저장하고(965),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신규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확인된 음원 선호도 정보에 따라 재생순서를 재배치한다(970).
도면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고객 앨범 목록을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소정의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가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에 대한 고객 앨범 목록을 수신하여 상기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소스 파일을 확인하고, 상기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고객 소유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메모리부(760)에 음원 선호도에 따라 저장(또는 재배치)하는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고객 앨범 목록을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를 동기화하는 다양한 시스템 구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0에서 도면13에 도시된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메모리부(760) 에 상기 고객 앨범 목록에 대응하는 음원 선호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저장(또는 재배치)하는 서비스 제공 주체를 편의상 "호스트 컴퓨터(450)"라고 하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음원 재생장치(400)가 소정의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페이싱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시스템은, 도면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메모리부(76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장치(400)와, 소정의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저장(또는 재배치)하는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구비한 호스트 컴퓨터(450)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 및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으로 상기 고객에 대한 고객 앨범 목록을 제공하거나,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제공하는 음원 제공 서버(1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도면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등),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예컨대, MP3 재생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등) 등을 적 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의 기능 구성에 대한 실시 방법은 도면1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음원 재생장치(400)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가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USB 통신부의 USB 커넥터(410)와 소정의 USB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커넥터(410)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 상에서 모든 USB 통신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USB 제어기(405)(USB Controller)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예컨대, USB 규격을 숙지한 자)라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 구비되는 상기 USB 커넥터(410)와 USB 제어기(405)에 대한 상세한 기술적 명세를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또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는 상기 USB 제어기(405)를 USB 통신을 제어하는 연동하는 USB 시스템 프로그램(415)과, 상기 USB 시스템 프로그램(415)과 연동하여 USB 커넥터(410)와 USB 케이블을 포함하는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와 통신하는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USB 시스템 프로그램(415)은 USB 규격의 시스템 구조 상에서 USB 시스템 소프트웨어 계층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 구비된 운영체제에 대응하여 상기 USB 제어기(405)와 연동하는 USB 드라이브 프로그램 및/또는 호스트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예컨대, USB 규격을 숙지한 자)라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 구비되는 상기 USB 시스템 프로그램(415)의 기술적 특징을 명백하게 이해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 이외에 적외선(Infrared Ray)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 Band system)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와 호스트 컴퓨터(450)를 인터페이싱하는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터페이싱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실시 방법을 포함하는 본 도면10을 참조하면,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은 상기 USB 시스템 프로그램(415)과 연계하여 상기 USB 제어기(405)와 USB 커넥터(410)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와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USB 인터페이스부(500)(425)와,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500)(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관리하는 음원 관리부(44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은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고객에 대응하는 고객 앨범 목록을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430)와, 상기 수신된 고객 앨범 목록을 판독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에 대응하는 음원 선호도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43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은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음원 수신부(44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확인부(435)에 의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에 대응하는 음원 선호도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음원 관리부(445)는 상기 음원 수신부(440)를 통해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따라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메모리부(760)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메모리부(76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따라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500)(425)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 구비된 USB 시스템 프로그램(415)과 연계하여 상기 USB 제어기(405)와 USB 커넥터(410)를 통해 도면13에 도시된 음원 재생장치(400)와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각종 정보(또는 명령)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USB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데이터 패킷에 대한 실시 방법은 도면1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음원 관리부(445)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500)(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제공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비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원 관리부(445)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500)(425)를 통해 상기 음 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비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원 관리부(445)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500)(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비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원 관리부(445)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500)(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비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의 재생 순서를 재배치(또는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430)는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또는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에 등록한 고객 계정정보, 또는 상기 고객 개인정보(예컨대, 주민등록번호 등))를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에 대응하는 고객 앨범 목록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430)를 통해 상기 고객 앨범 목록이 수신되면, 상기 정보 확인부(435)는 상기 수신된 상기 수신된 고객 앨범 목록을 판독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에 대응하는 음원 선호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가수 정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제목 정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장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특정 가순/제목/장르에 대응하는 음원을 주로 재생하는 시간대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확인부(435)는 상기 고객 앨범 목록에 포함된 특정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제공횟수(또는 재생횟수) 및/또는 음원 재생시간을 카운트함으로써,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가수 정보,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제목 정보,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장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원 선호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보 확인부(435)는 상기 고객 앨범 목록에 포함된 특정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재생시간대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가수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이 가장 많이 재생된 시간대 정보,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제목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이 가장 많이 재생된 시간대 정보,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장르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이 가장 많이 재생된 시간대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원 선호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객 앨범 목록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선호도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정보 확인부(435)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500)(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정보 중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기 저장되지 않은 음원 소스 파일 정보를 상기 음원 수신부(440)로 제공한다.
상기 음원 수신부(440)는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되었으나,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저장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요청 및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고객 앨범 목록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선호도 정보가 확인되고,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된 모든 음원 소스 파일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음원 관리부(445)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500)(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음원 소스 파일의 재생순서를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따라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고객 앨범 목록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선호도 정보가 확인되었으나,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된 음원 소스 파일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전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음원 수신부(440)가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수신하면, 상기 음원 관리부(445)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500)(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메모리부(760)에 상기 수신된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는 재생순서에 따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고객 앨범 목록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선호도 정보가 확인되었으나,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된 음원 소스 파일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일부만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음원 수신부(440)가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나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수신하면, 상기 음원 관리부(445)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500)(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메모리부(760)에 상기 수신된 음원 소스 파일을 저장하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부(500)(42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음원 소스 파일의 재생순서를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따라 재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450)로 고객 앨범 목록을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는 호스트 프로그램(420) 제공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가 접속한(또는 통신 연결한)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소정의 서버에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고객 앨범 목록을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는 호스트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고객단말(170)로 상기 고객 앨범 목록을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1에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상기 고객 앨범 목록을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 드하여 원격 탑재하는 서버를 편의상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11을 참조하면,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 제공 시스템은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에 접속하여 상기 고객 앨범 목록을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호스트 컴퓨터(450)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상기 고객 앨범 목록을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및/또는 케이블 통신망)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와 통신 연결되는 데스크탑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을 포함하는 유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이동 통신단말,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는 휴대 인터넷 단말,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연결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는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기 위한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여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 구성(예컨대, 브라우져 프로그램과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단말 및/또는 무선 단말에 대응하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의 특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가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수단은 상기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가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수단은 상기 CDMA 기반의 이동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6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 및/또는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네트워크 수단에 대응하는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 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 및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부(11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유선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되는 웹서버의 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가 TCP/IP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유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100)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호환 문서 형태의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또는 선택)된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가 CDMA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100)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또는 ME(Mobile Explor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HTML 호환 문서 형태의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 하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가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100)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상기 IEEE 802.16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가 DataTAC/Mobitex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무선 단말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100)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상기 DataTAC/Mobitex 규격에 대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소정의 인터페이스 화면 및/또는 정보 제공 화면을 전송하여 출력하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는 소정의 호스트 컴퓨터(450)가 상기 인터페이스부(1100)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에 접속시, 상기 인 터페이스부(1100)와 연동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서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또는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10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1105)는 소정의 호스트 컴퓨터(450)가 상기 인터페이스부(1100)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에 접속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 구비된 기능구성(예컨대, 호스트 컴퓨터(450)에 구비된 브라우져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로 전송할 수 있는 소정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도시생략)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100)와 연동하여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입력(또는 선택)하며, 상기 입력(또는 선택)된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제공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 프로그램(420) 소스 및/또는 호스트 프로그램(420) 파일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D/B(460)와, 상기 고객단말(170)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소정의 프로그램 D/B(460)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추출 및/또는 동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1100)를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제공하는 호스트 프로그램 제공부(11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 D/B(460)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 구비된 운영체제(및/또는 단말 플랫폼)에서 동작할 수 있는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 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 제공부(1110)는 상기 프로그램 D/B(460)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와 매칭되는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 파일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 D/B(460)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 구비된 운영체제(및/또는 단말 플랫폼)에서 동작할 수 있는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 소스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 제공부(1110)는 상기 프로그램 D/B(460)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 와 매칭되는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 소스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호스트 프로그램(420) 소스를 컴파일(Compile)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제공할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동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 제공부(111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100)를 통해 상기 추출(및/또는 동적 생성)된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제공하여 원격 탑재하는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원격 탑재하는 방법(예컨대, 프로그램 제공자 인증서를 첨부하여 호스트 컴퓨터(450)로 원격 탑재하는 방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450)에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이 다운로드되어 원격 탑재되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는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최초 실행하여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는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 진단 모드를 개시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서 구비된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과 상호 연동하여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에 대한 유효성을 진단하는 프로그램 진단부(111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 진단 모드는, 상기 호 스트 프로그램(420)이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와 정상적으로 데이터 패킷을 교환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450)로 상기 고객 앨범 목록을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2는 상기 도면11에 도시된 호스트 프로그램(420) 제공 시스템 구성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에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상기 고객 앨범 목록을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고객단말(170)로 상기 고객 앨범 목록을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12에 도시된 실시 방법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2에서 상기 도면11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450)를 편의상 "단말"이 라고 하고, 상기 도면11에 도시된 프로그램 제공 서버(455)를 편의상 "서버"라고 한다.
도면1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은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로 상기 고객 앨범 목록을 이용한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원격 탑재하도록 요청하며(120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는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을 추출(또는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한다(1205).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입력(및/또는 선택)하고(1210), 상기 입력(및/또는 선택)된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1215),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는 상기 프로그램 D/B(460)로부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와 매칭되는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추출(및/또는 동적 생성)하고(1220), 상기 추출(및/또는 동적 생성)된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제공하여 원격 탑재한다(1225).
만약 상기 단말에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이 원격 탑재되면(1230), 상기 단말은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실행하여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에 대한 진단 모 드를 개시하고(1235), 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은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통해 소정의 유효성 진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1240),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유효성 진단 정보를 수신 및 판독하여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다(124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에 대한 진단 모드는,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이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와 정상적으로 데이터 패킷을 교환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1250), 상기 서버는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 진단 오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한 후(1255), 상기 단말로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여 소정의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추출(및/또는 동적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원격 탑재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면(1250),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로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다운로드하여 탑재하는 과정을 완료한다.
도면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고객 앨범 목록을 통해 음원 재생 순서가 동기화되는 음원 재생장치(4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예컨대, MP3(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 오디오 소스 파일(*.MP3) 등)을 재생하는 휴대용 음원 재생장치(400)에 대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의 기능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3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본 도면13에 도시된 음원 재생장치(400)가 소정의 음원 재생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예컨대, CDMA 기반 이동통신 단말, 또는 IEEE 802.16x 기반 휴대인터넷 단말 등)인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음원 재생장치(4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역 통신 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로 대체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례로, 본 도면13에 도시된 음원 재생장치(400)가 소정의 음원 재생 기능이 구비 된 CDMA 기반 이동통신 단말로 대체되는 경우, 본 도면13에 도시된 음원 재생부(13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부(1305) 내에 구비되며, 본 도면13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부(1335)는 CDMA 스택 기반의 무선 통신 기능부로 대체될 것이다.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음원 재생장치(400)는 외형상 소정의 몸체(Body)와, 상기 음원 소스 파일을 재생하여 출력되는 음원(또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음원 소스 파일을 선택 및 재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버튼을 구비한 키패드와, 상기 음원 소스 파일 재생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음원 소스 파일 선택 및 재생 과정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화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내부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예컨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 장치에 메모리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로드(Load)하여 재생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와 MP3 코덱(CODEC) 및 D/A변환기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음원 재생장치(400)의 하드웨어 구성을 기반으로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의 기능 구성은 본 도면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면13을 참조하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기본적으로 제어부(1305)와 화면 출력부(1310)와 음원 출력부(1315)와 코덱부(1320)와, 통신 인터페이스부(1335)와, 키 입력부(1350)와, 메모리부(1360)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음원 입력부(1325)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 각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되는 부가 서비스 종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구성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어부(1305)는 하드웨어적으로 DSP칩에 구비되는 CPU/MPU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캐시, 램 등)를 포함하고, 소정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재생을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 및 이를 위해 구비되는 소정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또는 칩셋으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특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연산 처리되는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총칭(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음원 재생장치(400)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을 편의상 본 제어부(1305)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함.)으로서, 이에 의해 상기 제어부(1305)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현하고자 하는 음원 재생 및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실현되며, 또한 상기 기능들을 실현하기 위해 상기 음원 재생장 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상기 제어부(1305)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저장되어 있던 운영체제 루틴, 시스템 관리 루틴, 및/또는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어 운영체제,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 및/또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변수들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1310)는 화면 출력을 위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드라이버(Driver)로서 상기 제어부(1305)(예컨대, LCD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루틴)을 기반으로 상기 키 입력부(1350)를 통해 발생하는 키 데이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음원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각종 정보, 신호, 컨텐츠를 소정의 화면출력장치(예컨대, LCD 패널)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화면 출력부(1310)는 화면출력장치(LCD)가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원 출력부(1315)는 상기 제어부(1305)에서 상기 메모리부(136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중 소정의 음원 소스를 소정의 코덱(예컨대, MP3 코덱)을 통해 디코딩(Decoding)하여 재생하는 경우, 상기 재생되는 음원 소스를 증폭하여 소정의 스피커(또는 스피커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원 입력부(1325)는 소정의 마이크(또는 마이크 입력 단자)를 통해 소정의 음원 소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되는 음원 소스를 증폭 및 소정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3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후 상기 제어부(1305)는 소정의 코덱(예컨대, MP3 코덱)을 통해 상기 입력된 음원 소스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상기 메모리부(136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덱부(1320)는 상기 제어부(1305)가 소정의 음원 소스를 디코딩/엔코딩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덱을 구비하고, 상기 코덱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를 디코딩/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코덱부(1320)는 소정의 코덱칩셋 형태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305)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덱부(1320)는 소정의 코덱칩셋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부(1305)에서 소정의 음원 소스를 상기 코덱부(1320)로 제공하면, 상기 코덱부(1320)는 상기 음원 소스를 디코딩하여 상기 음원 출력부(1315)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음원 출력부(1315)가 상기 음원 소스를 증 폭하여 소정의 스피커(또는 스피커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코덱부(1320)가 소정의 코덱칩셋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음원 입력부(1325)에서 소정의 아날로그 음원 소스를 입력 및 증폭하여 소정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코덱부(1320)로 제공하면, 상기 코덱부(1320)는 상기 음원 소스를 엔코딩하여 상기 제어부(1305)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어부(1305)가 상기 음원 소스를 상기 메모리부(1360)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덱부(1320)는 상기 제어부(1305)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부(1305)에서 소정의 음원 소스를 상기 코덱부(1320)를 통해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음원 소스를 상기 음원 출력부(1315)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음원 출력부(1315)가 상기 음원 소스를 증폭하여 소정의 스피커(또는 스피커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코덱부(1320)가 상기 제어부(1305)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음원 입력부(1325)에서 소정의 아날로그 음원 소스를 입력 및 증폭하여 소정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305)로 제공하면, 상기 제어부(1305)는 상기 코덱부(1320)를 통해 상기 음원 소스를 엔코딩하고, 상기 음원 소스를 상기 메모리부(1360)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335)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각종 정보(또는 명령)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각종 정보(또는 명령)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각종 정보(또는 명령)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335)는 소정의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규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USB 통신부, 및/또는 적외선(Infrared Ray)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 Band system)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335)에 포함되는 상기 USB 통신부는 소정의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규격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 컴퓨 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을 교환함으로써,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각종 정보(또는 명령)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각종 정보(또는 명령)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USB 통신부에 의해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데이터 패킷에 대한 실시 방법은 도면1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1335)에 포함되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적외선 통신, RF 통신, 블루투스, 무선랜, 와이파이, UWB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장치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와 소정의 근거리 무선 링크(예컨대, 적외선 통신에 대응하는 무선 링크, RF 통신에 대응하는 무선 링크, 블루투스에 대응하는 무선 링크, 무선랜에 대응하는 무선 링크, 와이파이에 대응하는 무선 링크, UWB에 대응하는 무선 등)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패킷을 교환함으로써,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각종 정보(또는 명령)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 및/또는 호스트 서버로 적 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각종 정보(또는 명령)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에 의해 연결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각각의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다양한 무선 패킷에 대한 실시 방법은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키 입력부(13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선택 키, 음원 재생 키, 음원 일시정지 키, 음원 재생정지 키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원재생용 키 버튼,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를 통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키(Number Key) 및/또는 문자키(Character Key) 및/또는 기능키(Function Key)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구비한 소정의 키패드(Keypad)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또는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305)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의 특정 동작모드(예컨대, 음원 재생모드, 또는 통신모드 등)에 대응하여 상기 키 버튼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정보(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키 이벤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키 이벤트를 상기 제어부(13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1305)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의 현재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데이터를 독출(예컨대, 각각의 음원 재생장치(400) 동작모드에서 특정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키 테이블로부터 상기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 독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키 이벤트와 매칭되어 정의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독출한 후, 상기 키 데이터 및/또는 명령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키 입력부(135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구비한 상기 키패드는 상호 연동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되는 키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부(13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재생 기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상기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총칭으로서, 읽기 전용 메모리에 해당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읽기/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FM), 및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모리부(1360)를 구성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상기 ROM은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서 삭제되면 아니 되는 시스템 정보와 시스템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운영체제 프로그램 루틴 등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래시 메모리(및/또는 EEPROM 등)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를 통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루틴과 이를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360)에는 상기 제어부(1305)를 통해 재생되는 음원 소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예컨대, *.MP3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영역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생 순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3을 참조하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상기 메모리부(136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13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원 재생부(1300)는 상기 코덱부(1320)와 연계하여 상기 메모리부(136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재생 순서에 따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재생된 음원 소스를 상기 음원 출력부(1315)를 통해 소정의 스피커(또는 스피컬 출력 단자)를 통해 출력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음원 재생부(1300)가 상기 코덱부(1320)와 연계하여 상기 메모리부(136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재생 순서에 따라 재생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면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450)와 음원 재생장치(400) 간 데이터 패킷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4는 상기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도면10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450)와 상기 도면13에 도시된 음원 재생장치(400) 사이에 송수신하는 USB 패킷 중 소정의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와 음원 재생장치(400) 간 송수신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패킷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실시 방법을 모두 포함하며, 본 도면14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4a와 도면14b는 메모리 식별 관련 데이터 패킷 구조에 대한 일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서 도면14a와 같이 PID와 메모리 식별 요구 명령(CMD)과 CRC를 포함하는 메모리 식별 요구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로 전송하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상기 메모리 식별 요구 명령(CMD)을 판독 및 이에 대응하는 메모리 식별 절차를 수행한 후, 도면14b와 같이 PID와 메모리 식별 재생 명령(CMD)과 메모리 크기 및 메모리의 삭제 유닛 크기(Erase Unit Size; EUS)와 CRC를 포함하는 메모리 식별 재생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전송한다.
도면14c와 도면14d는 메모리에 데이터 쓰기 관련 데이터 패킷 구조에 대한 일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서 도면14c와 같이 PID와 기록 요구 명령(CMD)과 주소(ADDR)와 길이(LEN)와 데이터(DATA) 및 CRC를 포함하는 기록 요구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로 전송하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상기 기록 요구 명령(CMD)과 데이터가 기록될 주소(ADDR)를 판독한 후, 상기 데이터(DATA)를 상기 기록될 주소(ADDR)에 저장한다.
만약 상기 데이터(DATA)가 상기 음원 소스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상기 데이터(DATA)를 상기 주소(ADDR)에 대응하는 음원 소스 파일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또는, 상기 데이터(DATA)가 상기 음원 소스 파일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상기 음원 정보를 음원 소스 파일과 연계하여 상기 데이터(DATA)를 상기 주소(ADDR)에 대응하는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DATA) 저장 과정이 완료된 후,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도면14d와 같이 PID와 기록 상태 명령(CMD)과 주소(ADDR)와 길이(LEN)와 기록 상태(STATUS) 및 CRC를 포함하는 기록 상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전송한다.
도면14e와 도면14f는 메모리에 데이터 읽기 관련 데이터 패킷 구조에 대한 일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서 도면14e와 같이 PID와 판독 요구 명령(CMD)과 주소(ADDR)와 및 CRC를 포함하는 판독 요구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로 전송하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상기 판독 요구 명령(CMD)과 데이터가 판독될 주소(ADDR)를 판독한 후, 상기 주소(ADDR)로부터 상기 데이터(DATA)를 판독 및 추출한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DATA) 판독(또는 추출) 과정이 완료된 후,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도면14f와 같이 PID와 판독 상태 명령(CMD)과 주소(ADDR)와 상기 판독(또는 추출)된 데이터 길이(LEN)와 상태(STATUS)와 상기 판독(또는 추출)된 데이터(DATA) 및 CRC를 포함하는 판독 상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전송한다.
도면14g와 도면14h는 메모리에 데이터 삭제 관련 데이터 패킷 구조에 대한 일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에서 도면14g와 같이 PID와 소거 요구 명령(CMD)과 주소(ADDR)와 및 CRC를 포함하는 소거 요구 데이터 패킷을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로 전송하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는 상기 소거 요구 명령(CMD)과 데이터가 소거될 주소(ADDR)를 판독한 후, 상기 주소(ADDR)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도면14h와 같이 PID와 소거 상태 명령(CMD)과 주소(ADDR)와 상태(STATUS) 및 CRC를 포함하는 소거 상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로 전송한다.
도면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5는 상기 도면10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450)(또는 호스트 서버)에서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도면13에 도시된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에 대응하는 고객 앨범 목록을 수신하여 상기 고객에 대한 음원 선호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구비된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여 재생 순서를 재배치하는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동기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며, 본 도면15에 도시된 실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15에서 상기 도면10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450)(또는 호스트 서버), 또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450)(또는 호스트 서버)에 구비된 상기 호스트 프로그램(420)을 편의상 "호스트"라고 한다.
도면1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0에 도시된 상기 호스트는 상기 도면13에 도시된 음원 재생장치(4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연결되는지 확인하는데(1500), 만약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와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것이 확인되면(1505), 상기 호스트는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음원 제공 서버(100)로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에 대한 고객정보(예컨대, 상기 고객단말(170)에 대응하는 고객 계정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소유한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상기 고객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앨범 목록을 제공하도록 요청한다(1510).
이후,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는 상기 DBMS(140)로부터 상기 고객정보(예컨대, 상기 고객단말(170)에 대응하는 고객 계정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의 개인정보, 및/또는 상기 고객이 소유한 음원 재생장치(400)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고객 앨범 목록을 추출하고(1515), 상기 추출된 고객 앨범 목록을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고(1520), 이에 대응하여 상기 호스트는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에 대한 소정의 음원 선호도 정보를 확인한다(1525).
여기서,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가수 정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제목 정보, 상기 음원 재생 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장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특정 가순/제목/장르에 대응하는 음원을 주로 재생하는 시간대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호스트는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포함된 특정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재생횟수 및/또는 음원 재생시간을 카운트함으로써,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가수 정보,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제목 정보,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장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원 선호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스트는 상기 음원제공 이력 정보에 포함된 특정 음원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재생시간대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가수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이 가장 많이 재생된 시간대 정보,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제목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이 가장 많이 재생된 시간대 정보,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이 선호하는 음원 장르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이 가장 많이 재생된 시간대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음원 선호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고객 앨범 목록에 대응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고객에 대한 소정의 음원 선호도 정보가 확인되면(1510), 상기 호스트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상기 확인된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음원 소스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1535).
만약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상기 확인된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음원 소스 파일이 기 저장되어 있다면(1540), 상기 호스트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저장된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확인된 음원 선호도 정보에 따라 재생순서를 재배치한다(1570).
반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상기 확인된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소스 파일이 전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소스 파일의 일부만 저장되어 있다면(1540), 상기 호스트는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신규 저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재생장치(400) 저장용 음원 소스 파일 정보를 확인한다(154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호스트는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포함된 음원 소스 파일 정보 중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기 저장되어 있지 않은 음원 소스 파일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음원 선호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신규 저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재생장치(400) 저장용 음원 소스 파일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호스트는 소정의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저장용 음원 소스 파일 정보를 요청하고(155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는 상기 DBMS(140)로부터 상기 요청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재생장치(400) 저장용 음원 소스 파일을 추출하고(1555), 상기 네트워크 수단을 통해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재생장치(400) 저장용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호스트로 전송한다(1560).
이후, 상기 호스트는 상기 음원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 저장용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저장하고(1565),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상기 음원 재생장치(400)에 신규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확인된 음원 선호도 정보에 따라 재생순서를 재배치한다(1570).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음원 제공 서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로 제공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상기 음원 제공 서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로 재생하여 출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 일에 대응하는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통해 상기 고객이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확인하여 상기 고객 소유 음원 재생장치에 자동으로 구비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음원 제공 서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로 제공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 및/또는 상기 음원 제공 서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단말로 재생하여 출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에 대응하는 음원제공 이력 정보를 통해 상기 고객 소유 음원 재생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고객이 선호하는 재생순서로 자동 재배치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음원 제공 서버에 등록된 특정 고객에 대응하는 고객 앨범 목록을 통해 상기 고객이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확인하여 상기 고객 소유 음원 재생장치에 자동으로 구비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음원 제공 서버에 등록된 특정 고객에 대응하는 고객 앨범 목록을 통해 상기 고객 소유 음원 재생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소스 파일을 상기 고객이 선호하는 재생순서로 자동 재배치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서버에서 고객의 음원제공 이력 정보, 또는 고객 음원 앨범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고객의 음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의 음원 재생장치와 통신 연결시, 서버에서 상기 고객의 음원 선호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음원 재생장치에 저장된 음원 파일의 재생순서를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정보 처리방법.
KR1020080083810A 2008-08-27 2008-08-27 음원 정보 처리 방법 KR20080089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810A KR20080089550A (ko) 2008-08-27 2008-08-27 음원 정보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810A KR20080089550A (ko) 2008-08-27 2008-08-27 음원 정보 처리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594A Division KR20080033662A (ko) 2006-10-13 2006-10-13 음원 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550A true KR20080089550A (ko) 2008-10-07

Family

ID=4015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810A KR20080089550A (ko) 2008-08-27 2008-08-27 음원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95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992A1 (ko) * 2013-06-25 2014-12-3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음악 추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와 단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992A1 (ko) * 2013-06-25 2014-12-3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음악 추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와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6238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ts method
KR100727336B1 (ko) 오디오 변환 장치 및 그 이용 방법
JP5951705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から携帯用ハンドセットへ転送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US20060087926A1 (en) MP3 player capable of automatic updating, automatic updating system for MP3 player and method thereof
WO1999042996A1 (fr) Appareil et procede d&#39;enregistrement / reproduction, et processeur de donnees
CN101689388A (zh) 设置设备中的均衡器以再现媒体文件的方法及其设备
JPH11242873A (ja) 記録再生装置
JP2010530547A (ja) 音楽認識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00059092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파일 서비스 방법
KR102029167B1 (ko) 사용자 상황에 따른 음악감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090037006A1 (en) Device, medium, data signal, and method for obtaining audio attribute data
US20120117197A1 (en) Content auto-discovery
US8296277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automatically receive and/or transmit contents
JP2009541841A (ja) 携帯機器にコンテンツを伝送するipアダプタ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テンツ伝送方法
WO2005006613A1 (ja) 通信方法、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148659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200903732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20080089550A (ko) 음원 정보 처리 방법
KR20080033662A (ko) 음원 정보 처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100555935B1 (ko)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와 사용자pc의 원격접속제어시스템과 원격접속제어방법
KR20100133179A (ko)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에서의 플레이리스트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171516A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KR20090018331A (ko) 휴대용 재생기기를 매개로 한 콘텐츠처리방법 및 이 방법을지원하는 싱크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KR20090035497A (ko) 음원 정보 운용 시스템
KR20080033661A (ko) 음원 운용 시스템과 음원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