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8382A - 촬영렌즈 및 그 제조방법 및 복합렌즈 - Google Patents

촬영렌즈 및 그 제조방법 및 복합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8382A
KR20080088382A KR1020080017340A KR20080017340A KR20080088382A KR 20080088382 A KR20080088382 A KR 20080088382A KR 1020080017340 A KR1020080017340 A KR 1020080017340A KR 20080017340 A KR20080017340 A KR 20080017340A KR 20080088382 A KR20080088382 A KR 20080088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esin
base
center
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512B1 (ko
Inventor
사토루 오타
유타카 우에타
요우헤이 나카가와
유마 아오이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8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at least one element being a compound optical element, e.g. cemen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03Producing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Abstract

[과제] 렌즈의 투과 편심에 의한 해상도의 저하가 억제되는 촬영렌즈, 그 제조방법 및 복합렌즈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촬영렌즈(1)에서는 1개의 복합렌즈(2)와 2개의 단일렌즈(5, 6)가 렌즈 베럴(7)에 배치되어 있다. 렌즈 베럴(7)의 광의 출사 측에는 렌즈 베럴(7)과 거리를 두고 필터(8)가 배치되고, 또한 그 필터(8)와 거리를 두고 촬상소자(9)가 배치되어 있다. 복합렌즈(2)에서는 수지렌즈(4)를 제외한 나머지의 기재렌즈(3)와 단일렌즈(5, 6)에 기인하는 투과 편심량이 수지렌즈(4)에 의한 투과 편심량에 의해서 렌즈계 전체적으로 상쇄되도록 기재렌즈(3)의 출사면 중심(33b)에 대해 수지렌즈(4)의 출사면 중심(44b)을 소정량만큼 위치를 이동시켜 수지렌즈(4)가 기재렌즈(3)에 접합되어 있다.

Description

촬영렌즈 및 그 제조방법 및 복합렌즈{PHOTOGRAPHY LENS AND MANUFACTURING OF IT, AND COMPOUND LENS}
본 발명은 촬영렌즈 및 그 제조방법 및 복합렌즈에 관한 것이고, 특히, 복합렌즈를 포함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한 촬영렌즈와, 그와 같은 촬영렌즈의 제조방법과 복합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 카메라 혹은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영렌즈에 대해서, 소형화, 경량화 및 저비용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촬영렌즈에서는, 예를 들어,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렌즈(103, 105, 106)가 렌즈 베럴(107)에 배치되어 있다. 그 렌즈 베럴(107)의 광의 출사 측에는 필터(108)와 촬상소자(109)가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특히, 휴대전화 카메라의 촬영렌즈에서는 그 경량화와 저비용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렌즈가 채용되고 있다. 또, 휴대전화 카메라의 전장(全長)을 짧게 하고 해상도를 올리기 위해서, 플라스틱 렌즈의 표면에 수지렌즈를 접합한 복합렌즈도 검토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3594088호 공보
그렇지만, 종래의 촬영렌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인으로 플라스틱 렌즈는 몰드법 등에 의해서 형성된다. 몰드법 등에 의해서 형성된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는 형틀로부터 취출된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의 소정의 축, 예를 들어 외형에 대한 중심축(외형 중심축)에 플라스틱 렌즈의 입사 측의 렌즈면의 중심(입사면 중심) 위치와 출사 측의 렌즈면의 중심(출사면 중심) 위치가 반드시 일치(외형 중심축 위에 위치)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각 렌즈(103, 105, 106)를 렌즈 베럴(107)에 조립한 상태로 각 렌즈(103, 105, 106)의 입사면 중심과 출사면 중심을 잇는 선분(121, 122, 123)이 렌즈 베럴(107)의 베럴 중심축(112)에 대해서 편심하고 있고, 렌즈계 전체적으로 투과 편심(선분(124))하고 있는 것이 있다. 그 결과, 각 렌즈(103, 105, 106)를 지나는 광이 촬상소자(109)에 있어서 양호하게 결상(結像)하지 않고 해상력(解像力 : resolution)이 저하하거나 화상(畵像)의 반이 흐릿해져 버리는 일이 있었다.
또한, 선분(121)은 렌즈(103)의 입사면(103a)의 입사면 중심(133a)과 출사면(103b)의 출사면 중심(133b)을 잇는 선분이고, 선분(122)은 렌즈(105)의 입사면(105a)의 입사면 중심(144a)과 출사면(105b)의 출사면 중심(144b)을 잇는 선분이며, 선분(123)은 렌즈(106)의 입사면(106a)의 입사면 중심(155a)과 출사면(106b)의 출사면 중심(155b)을 잇는 선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하나의 목적은 렌즈의 투과 편심에 의한 해상도의 저하가 억제되는 촬영렌즈를 제공하는 것이고, 다른 목적은, 그러한 촬영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또 다른 목적은 그러한 촬영렌즈 및 그 제조방법에 적절한 복합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촬영렌즈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한 촬영렌즈로서, 제1 렌즈와 제2 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렌즈는 기재렌즈에 수지렌즈가 접합되어 있다. 제2 렌즈는 제1 렌즈와 소정의 위치 관계하에서 배치되어 있다. 제1 렌즈에서는 수지렌즈를 접합하기 전의 기재렌즈와 제2 렌즈에 기인하는 투과 편심량이 수지렌즈에 의한 투과 편심량에 의해서, 제1 렌즈 및 제2 렌즈의 렌즈계 전체적으로 없어지도록 수지렌즈의 출사면 중심과 기재렌즈의 출사면 중심을 소정량만큼 위치를 이동시켜 수지렌즈가 기재렌즈에 접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지렌즈를 접합하기 전의 기재렌즈와 제2 렌즈에 기인하는 투과 편심량이 수지렌즈의 출사면 중심과 기재렌즈의 출사면 중심을 소정량만큼 위치를 이동시켜 기재렌즈에 접합되는 수지렌즈에 의한 투과 편심량에 의해서, 제1 렌즈 및 제2 렌즈의 렌즈계 전체적으로 상쇄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촬영렌즈의 해상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위치 이동량을 확인하는 데는, 수지렌즈에는 그 출사면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제1 마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기재렌즈에는 그 출사면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제2 마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 제1 마커 및 제2 마커는 환상(環狀)의 볼록부 또는 오목 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촬영렌즈의 제조방법은 기재렌즈에 수지렌즈를 접합한 제1 렌즈와, 제2 렌즈를 적어도 배치한 촬영렌즈의 제조방법으로서, 이하의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수지렌즈를 접합하기 전의 기재렌즈 및 제2 렌즈에 기인하는 투과 편심량이 수지렌즈에 의한 투과 편심량에 의해서, 제1 렌즈 및 제2 렌즈의 렌즈계 전체적으로 없어지도록 수지렌즈의 출사면 중심과 기재렌즈의 출사면 중심과의 소정의 위치 이동량을 구한다. 그 구해진 위치 이동량에 근거하여 기재렌즈의 출사면에 수지렌즈를 접합하여 제1 렌즈를 형성한다. 형성된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소정의 위치 관계로 배치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수지렌즈의 출사면 중심과 기재렌즈의 출사면 중심을 소정량만큼 위치를 이동시켜 기재렌즈에 수지렌즈를 접합하는 것으로, 수지렌즈를 접합하기 전의 기재렌즈와 제2 렌즈에 기인하는 투과 편심량이 그 수지렌즈에 의한 투과 편심량에 의해서, 제1 렌즈 및 제2 렌즈의 렌즈계 전체적으로 상쇄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촬영렌즈의 해상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 이동량을 구하는 공정에서는 기재렌즈 및 제2 렌즈의 외형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는, 기재렌즈 및 제2 렌즈의 각각의 입사면 중심과 출사면 중심과의 위치 이동량에 근거하여 소정의 위치 이동량을 구하는 수법이 있다.
또, 제1 렌즈 및 제2 렌즈가 배치되는 렌즈 베럴에 기재렌즈 및 제2 렌즈를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투과 편심량이 구해지고, 그 구해진 투과 편심량을 없애도록 소정의 위치 이동량을 구하는 수법이 있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그 구해진 위치 이동량에 근거하여, 제1 렌즈를 형성하는 데는 기재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유지부와 수지렌즈를 성형하는 금형을 수평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하여, 기재렌즈의 출사면에 수지렌즈를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렌즈를 형성하는 공정으로서는 렌즈 유지부에 대해 기재렌즈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하는 공정과, 렌즈 유지부와 금형을 수평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한 후에 수지렌즈가 되는 수지를 금형에 주입하는 공정과, 수평방향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유지한 상태로 렌즈 유지부에 유지된 기재렌즈를 금형에 실어 놓고 수지에 접촉시키는 공정과, 수지를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수지렌즈를 기재렌즈에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도록 하여도 좋다.
혹은, 렌즈 유지부와 금형을 수평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하여, 수지렌즈가 되는 수지를 금형에 주입하는 공정과, 기재렌즈를 금형에 실어 놓고 수지에 접촉시키는 공정과, 기재렌즈를 소정의 자세로 렌즈 유지부에 유지하는 공정과, 수지를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수지렌즈를 기재렌즈에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수지렌즈가 되는 수지로서는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가 적용되고, 제1 렌즈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수지를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복합렌즈는 기재렌즈에 수지렌즈가 접합된 복합렌즈로서, 수지렌즈와 기재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수지렌즈는 제1 입사면 및 제1 출사면을 가지 고, 제1 입사면 및 제1 출사면 중 어느 한쪽 면에 소정의 제1 마커가 형성되어 있다. 기재렌즈는 제2 입사면 및 제2 출사면을 가지고 수지렌즈가 접합되고, 제2 입사면 및 제2 출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소정의 제2 마커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지렌즈에 제1 마커가 형성되고, 기재렌즈에 제2 마커가 형성됨으로써, 수지렌즈와 기재렌즈의 위치 이동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마커는 수지렌즈의 한쪽 면의 중심에, 또는, 한쪽 면의 면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제2 마커는 기재렌즈가 적어도 어느 한쪽 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마커 및 제2 마커는 환상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렌즈를 접합하기 전의 기재렌즈와 제2 렌즈에 기인하는 투과 편심량이 수지렌즈의 출사면 중심과 기재렌즈의 출사면 중심을 소정량만큼 위치를 이동시켜 기재렌즈에 접합되는 수지렌즈에 의한 투과 편심량에 의해서, 제1 렌즈 및 제2 렌즈의 렌즈계 전체적으로 상쇄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촬영렌즈의 해상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촬영렌즈와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렌즈(1)로는 1개의 복합렌즈(2)와 2개의 단일렌즈(5, 6)가 렌즈 베럴(7)에 배치되어 있다. 렌즈 베럴(7)의 광의 출사 측에는 렌즈 베럴(7)과 거리를 두고 필터(8)가 배치되고, 또한 그 필터(8)와 거리를 두고 촬상소자(9)가 배치되어 있다.
복합렌즈(2)는 기재렌즈(3)와 수지렌즈(4)로 이루어지고, 수지렌즈(4)는 기재렌즈(3)의 출사 측의 렌즈면에 접합되어 있다. 기재렌즈(3)는, 예를 들어 광을 집광하는 기능을 가지고, 수지렌즈(4)는 색 지움이나 구면수차(球面收差) 등을 저감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 단일렌즈(5, 6), 비점수차(非点收差) 등의 각종의 수차 등을 저감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해서, 복합렌즈(2) 및 단일렌즈(5, 6)의 각 렌즈면은 소정의 구면 혹은 비구면으로 이루어진다.
본 촬영렌즈(1)에서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수지렌즈(4)를 기재렌즈(3)에 접합하기 전의 그 기재렌즈(3)와, 나머지 단일렌즈(5, 6)에 기인하는 투과 편심량이 수지렌즈(4)를 기재렌즈(3)에 접합한 후에 그 접합된 복합렌즈(2)와 단일렌즈(5, 6)를 렌즈 베럴(7)에 배치한 상태로 수지렌즈(4)에 의한 투과 편심량에 의해 복합렌즈(2) 및 단일렌즈(5, 6)의 렌즈계 전체적으로 없어지도록 수지렌즈(4)의 출사 측의 렌즈면(출사면(4b))의 중심(출사면 중심(44b)) 위치와 기재렌즈(3)의 출사면(3b)의 중심(출사면 중심(33b)) 위치가 소정량만큼 위치 이동되어 있다(도 17 참조).
즉, 수지렌즈(4)는 수지렌즈(4)를 제외한 나머지의 기재렌즈(3)와 단일렌즈(5, 6)에 기인하는 투과 편심량이 수지렌즈(4)에 의한 투과 편심량에 의해서 렌 즈계 전체적으로 상쇄되도록 기재렌즈(3)의 출사면 중심(33b)에 대해 수지렌즈(4)의 출사면 중심(44b)을 소정량만큼 위치를 이동시켜 기재렌즈(3)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투과 편심량은 하나의 렌즈에 광이 투과하여 상(像)을 잇는 위치의 광학축으로부터의 위치 이동량, 혹은, 복수의 렌즈(렌즈 모듈)를 광이 투과하여 상을 잇는 위치의 광학축으로부터의 위치 이동량을 말한다.
다음에, 상술한 촬영렌즈(1)의 제조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편심 측정기를 이용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렌즈(3), 단일렌즈(5, 6)의 각각에 대해서 그 렌즈의 외형에 대한 중심축(외형 중심축(11))을 기준으로 하여 입사면(13)의 입사면 중심(14)과 출사면(15)의 출사면 중심(16)과의 위치 이동량을 측정한다. 여기서, 외형이란 렌즈의 외주를 말한다. 외형 중심축이란 렌즈의 외주에 따른 엔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을 말한다.
이 위치 이동량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형 중심축(11)과 직교하고, 외형 중심축(11)과 만나는 점을 원점 O로 하는 X-Y평면을 고려한다. 입사면 중심(14)을 지나 외형 중심축(11)에 평행한 직선이 X-Y평면과 만나는 위치를 위치 14a로 하고, 출사면 중심(16)를 지나 외형 중심축(11)에 평행한 직선이 X-Y평면과 만나는 위치를 위치 16a로 하면, 입사면 중심(14)과 외형 중심축(11)과의 위치 이동량은 위치 14a와 원점 O와의 사이의 거리로서 구해진다. 또, 출사면 중심(16)과 외형 중심축(11)과의 위치 이동량은 원점 O와 위치 16a와의 사이의 거리로서 구해진다.
다음에, 구해진 기재렌즈(3) 및 단일렌즈(5, 6)의 각각의 입사면 중심(14)과 출사면 중심(16)과의 외형 중심축(11)을 기준으로 하는 위치 이동량에 근거하여, 수지렌즈를 기재렌즈에 접합한 후에 복합렌즈(2)로서 단일렌즈(5, 6)와 함께 렌즈 베럴(7)에 배치한 상태(렌즈계 전체)로 기재렌즈(3) 및 단일렌즈(5, 6)에 기인하는 투과 편심량이 없어지도록 수지렌즈(4)의 출사면 중심(44b)을 기재렌즈(3)의 출사면 중심(33b)에 대해서 이동하는 위치 이동량 T(X-Y평면 내에 있어서의 거리)가 광학적인 계산에 의해서 산출된다. 또, 이 때, 복합렌즈(2) 및 단일렌즈(5, 6)의 각각의 원주방향 위치도 구해진다.
다음에, 기재렌즈에 수지렌즈를 성형하여 접합할 때의 제조 오차를 고려하기 위해서, 참조용 복합렌즈를 제작한다. 우선,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렌즈를 성형하는 금형(20)의 중심축(22)과, 기재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유지부(30)의 중심축(31)이 일치하도록, 예를 들어, 금형(20)을 렌즈 유지부(30)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금형(20)에는 수지렌즈가 되는 소정의 수지가 주입되는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렌즈(3)에 있어서 수지렌즈가 접합되는 렌즈면을 아래로 향하여 금형(20) 위에 기재렌즈(3)를 실어 놓는다. 렌즈 유지부(30)를 하강시켜 렌즈 유지부(30)의 선단 부분을 기재렌즈(3)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기재렌즈(3)를 렌즈 유지부(30)에 대해서 소정의 자세로 유지한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유지부(30)로 기재렌즈(3)를 유지한 상태로 렌즈 유지부(30)를 상승시킨다. 다음에, 금형(20)의 오목부(21)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40)를 주입한다. 다음에, 렌즈 유지부(30)를 하강시켜 기재렌즈(3) 를 금형(20) 위에 실어 놓고, 기재렌즈(3)의 소정의 렌즈면을 수지(40)에 접촉시킨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지(40)를 경화시킨다. 수지(40)가 경화한 후, 금형(20)으로부터 수지렌즈를 취출하는 것으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렌즈(3)에 수지렌즈(4)가 접합된 참조용 복합렌즈(200)가 완성된다.
다음에, 완성한 참조용 복합렌즈(200)의 렌즈면의 중심 위치의 위치 이동량을 측정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수지렌즈가 성형되는 금형(20)의 오목부(21)에는 수지렌즈에 전사(轉寫)되는 마커(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마커(23)로서는, 예를 들어 오목부(21)를 연삭(硏削)으로 형성할 때에 금형에 동심상에 남는 연삭흔을 이용할 수 있고, 그 동심상의 연삭흔의 중심이 금형(20)의 중심축이 된다. 이것에 의해, 성형되는 수지렌즈의 출사면에는 마커(23)에 대응한 마커(4c)가 전사되어, 그 마커(4c)의 중심이 출사면 중심(44b)이 된다(도 12 참조).
한편, 기재렌즈에 있어서도 기재렌즈를 성형할 때의 형틀(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동심상으로 형성된 마커에 의해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렌즈(3)의 외주부분에 마커(3c)가 형성되어 있다. 동심상의 마커(23)의 중심이 기재렌즈(3)의 출사면(3b)의 출사면 중심(33b)이 된다(도 12 참조). 또한, 마커(4c, 3c)는 볼록한 모양으로 하여도 좋고, 오목한 모양으로 하여도 좋다. 특히, 기재렌즈(3)에 형성되는 마커(3c)는 렌즈의 유효직경의 외측의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참조용 복합렌즈(200)에 있어서, 기재렌즈(3)의 출사면 중심(33b)과 수지렌즈(4)의 출사면 중심(44b)과의 위치 이동량 SO(거리)가 측정된다. 또한, 도 12에서는 위치 이동량 SO는 설명상 과장하여 나타나고 있다.
다음에, 위치 이동량 T로 하기 위한 렌즈 유지부(30)와 금형(20)과의 실제 위치 이동량을 구한다. 즉, 금형(20)의 중심축(22)과 렌즈 유지부(30)의 중심축(31)를 일치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기재렌즈(3)의 출사면 중심(33b)과 수지렌즈(4)의 출사면 중심(44b)과의 위치 이동량 SO에 근거하여 산출된 기재렌즈(3)의 출사면 중심과 수지렌즈(4)의 출사면 중심과의 위치 이동량 T로 하기 위해서, 실제로 금형(20)의 중심축(22)과 렌즈 유지부(30)의 중심축(31)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위치 이동량 S1을 구한다.
다음에, 구해진 위치 이동량 S1에 근거하여 복합렌즈를 제작한다. 우선, 상술한 도 4 ~ 도 7에 나타내는 공정과 동일한 공정을 거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형(20)의 중심축(22)과 렌즈 유지부(30)의 중심축(31)를 일치시킨 상태로 렌즈 유지부(30)에 대해서 기재렌즈(3)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한다.
다음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해진 위치 이동량 S1만큼 금형(20)의 중심축(22)을 렌즈 유지부(30)의 중심축(31)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다음에, 금형(20)의 오목부(21)에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40)를 주입한다. 다음에, 렌즈 유지부(30)를 하강시켜 기재렌즈(3)를 금형(20) 위에 실어 놓고, 기재렌즈(3)의 출사면을 수지(40)에 접촉시킨다. 다음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지(40)를 경화시킨다. 수지(40)가 경화한 후, 금형(20)으로부터 수지렌 즈(4)를 취출함으로써,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렌즈(3)에 수지렌즈(4)가 접합된 복합렌즈(2)가 완성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복합렌즈(2)에서는 기재렌즈(3)의 출사면 중심(33b)과 수지렌즈(4)의 출사면 중심(44b)은 기재렌즈(3)에 수지렌즈(2)를 성형 하여 접합할 때의 오차(위치 이동량 SO)를 고려하여, 위치 이동량 S1만큼 위치 이동되어 있다. 또한, 기재렌즈(3)의 출사면 중심(33b)과 수지렌즈(4)의 입사면 중심(44a)은 일치하고 있다.
다음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합렌즈(2) 및 단일렌즈(5, 6)를 렌즈 베럴(7)에 배치한다. 이 때, 위치 이동량 T를 산출할 때에 구해진 복합렌즈(2) 및 단일렌즈(5, 6)의 각각의 원주방향 위치(화살표 80 ~ 82)를 고려하여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렌즈로서 복합렌즈(2) 및 단일렌즈(5, 6)가 렌즈 베럴(7)에 배치된 촬영렌즈(1)가 완성된다.
이 촬영렌즈(1)에서는 수지렌즈(4)를 제외한 각 렌즈(기재렌즈(3), 단일렌즈(5, 6))의 입사면 중심 및 출사면 중심의 외형 중심축에 대한 위치 이동량에 기인하는 투과 편심량이 수지렌즈(4)에 의한 투과 편심량에 의해서 렌즈계 전체적으로 상쇄되도록 기재렌즈(3)의 출사면 중심(33b)에 대해서 수지렌즈(4)의 출사면 중심(44b)을 소정량만큼 위치를 이동시켜 수지렌즈(4)가 기재렌즈(3)에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합렌즈(2) 및 단일렌즈(5, 6)를 렌즈 베럴(7)에 조립한 상태로 복합렌즈(2)의 기재렌즈(3)의 입사면 중심(33a) 과 출사면 중심(33b)을 잇는 선분(70), 단일렌즈(5)의 입사면 중심(55a)과 출사면 중심(55b)을 잇는 선분(72), 단일렌즈(6)의 입사면 중심(66a)과 출사면 중심(66b)을 잇는 선분(7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렌즈(2, 5, 6)가 투과 편심하고 있어도 그 투과 편심량은 수지렌즈(4)에 의한 투과 편심(선분(71))에 의해서 렌즈계 전체적으로 없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여, 기재렌즈(3) 및 단일렌즈(5, 6)에 의한 투과 편심이 수지렌즈(4)에 의한 투과 편심에 의해서 렌즈계 전체적으로 상쇄되어, 선분(7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렌즈(1)로서 투과 편심량을 최소로 할 수 있다. 혹은, 투과 편심량을 없앨 수 있다. 그 결과, 복합렌즈(2) 및 단일렌즈(5, 6)를 투과한 광이 촬상소자(9)에 있어서 양호하게 결상하고, 해상력이 저하하거나 화상의 반이 흐릿하게 되는 것을 없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렌즈의 외형 중심축에 대한 입사면 중심 혹은 출사면 중심의 위치 이동량에 근거하여 촬영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다. 여기서는 렌즈 베럴에 수지렌즈를 제외하는 나머지의 렌즈를 배치한 상태로 베럴 중심축에 대한 입사면 중심 혹은 출사면 중심의 위치 이동량에 근거하여 촬영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렌즈(3) 및 단일렌즈(5, 6)를 렌즈, 베럴(7)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다. 이 때, 예를 들어 이러한 기재렌즈(3) 및 단일렌즈(5, 6)를 몰드 성형할 때의 게이트에 대응하는 부분(도시 하지 않음)을 갖추는 등, 기재렌즈(3) 및 단일렌즈(5, 6)의 각각의 원주방향 위치를 갖춘 상태로 배치한다.
다음에, 기재렌즈(3) 및 단일렌즈(5, 6)를 렌즈 베럴(7)에 배치시킨 상태(도 21)로 편심 측정기를 이용하여 기재렌즈(3) 및 단일렌즈(5, 6)의 각각에 대해서 베럴 중심축(12)에 대한 각 렌즈의 입사면 중심과 출사면 중심과의 위치 이동량을 측정한다. 이 위치 이동량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럴 중심축(12)과 직교하고, 베럴 중심축(12)과 만나는 점을 원점 O로 하는 X-Y평면을 고려한다. 입사면 중심(14)을 지나 베럴 중심축(12)에 평행한 직선이 X-Y평면과 만나는 위치를 위치 14b로 하고, 출사면 중심(16)를 지나 베럴 중심축(12)에 평행한 직선이 X-Y평면과 만나는 위치를 위치 16b로 하면, 입사면 중심(14)과 베럴 중심축(12)과의 위치 이동량은 위치 14b와 원점 O와의 사이의 거리로서 구해진다. 또, 출사면 중심(16)과 베럴 중심축(12)과의 위치 이동량은 원점 O와 위치 16b와의 사이의 거리로서 구해진다.
다음에, 구해진 기재렌즈(3) 및 단일렌즈(5, 6)의 각각의 입사면 중심(14)과 출사면 중심(16)과의 베럴 중심축(12)을 기준으로 하는 위치 이동량에 근거하여 기재렌즈(3) 및 단일렌즈(5, 6)를 렌즈 베럴(7)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투과 편심량이 광학적 계산에 의해 구해진다.
다음에, 수지렌즈를 기재렌즈에 접합한 후에 복합렌즈(2)로서 단일렌즈(5, 6)와 함께 렌즈 베럴(7)에 배치한 상태(렌즈계 전체)로 그 구해진 투과 편심량이 없어지도록 수지렌즈(4)의 출사면 중심(44b)을 기재렌즈(3)의 출사면 중심(33b)에 대해서 이동하는 위치 이동량 T(X-Y평면 내에 있어서의 거리)가 광학적인 계산에 근거하여 산출된다. 또한, 이 때, 복합렌즈(2) 및 단일렌즈(5, 6)의 각각의 원주방향 위치는 일정한 위치가 된다.
다음에,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참조용 복합렌즈를 제작하고, 그 참조용 복합렌즈의 렌즈면의 중심 위치의 위치 이동량 SO를 측정한다. 다음에,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구해진 위치 이동량 SO에 근거하여 산출된 위치 이동량 T로 하기 위해서, 실제로 금형(20)의 중심축(22)과 렌즈 유지부(30)의 중심축(31)를 상대적으로 이동해야 하는 위치 이동량 S2를 구한다.
다음에, 구해진 위치 이동량 S2에 근거하여 복합렌즈를 제작한다. 우선, 상술한 도 4 ~ 도 7에 나타내는 공정과 동일한 공정을 거쳐,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형(20)의 중심축(22)과 렌즈 유지부(30)의 중심축(31)를 일치시킨 상태로 렌즈 유지부(30)에 대해서 기재렌즈(3)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한다.
다음에,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해진 위치 이동량 S2만큼 금형(20)의 중심축(22)을 렌즈 유지부(30)의 중심축(31)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다음에, 금형(20)의 오목부(21)에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40)를 주입한다. 다음에, 렌즈 유지부(30)를 하강시켜 기재렌즈(3)를 금형(20) 위에 실어 놓고, 기재렌즈(3)의 소정의 렌즈면을 수지(40)에 접촉시킨다.
다음에,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지(40)를 경화 시킨다. 수지(40)가 경화한 후, 금형(20)으로부터 수지렌즈(4)를 취출함으로써,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렌즈(3)에 수지렌즈(4)가 접합된 복합렌즈(2)가 완 성된다. 이 복합렌즈(2)에서는, 기재렌즈(3)의 출사면 중심(33b)과 수지렌즈(4)의 출사면 중심(44b)은 기재렌즈(3)에 수지렌즈(2)를 성형하여 접합할 때의 오차(위치 이동량 SO)를 고려하여 위치 이동량 S2만큼 위치 이동되어 있다.
다음에,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합렌즈(2) 및 단일렌즈(5, 6)를 렌즈 베럴(7)에 배치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복합렌즈(2) 및 단일렌즈(5, 6)의 각각의 원주방향 위치를 가지런히 배치한다. 이렇게 하여,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렌즈로서 복합렌즈(2) 및 단일렌즈(5, 6)가 렌즈 베럴(7)에 배치된 촬영렌즈(1)가 완성된다.
상술한 촬영렌즈(1)에 의하면, 수지렌즈를 제외하는 각 렌즈(기재렌즈(3), 단일렌즈(5, 6))의 입사면 중심 및 출사면 중심의 베럴 중심축(12)에 대한 위치 이동량에 기인하는 투과 편심량이 수지렌즈(4)에 의한 투과 편심량에 의해서 렌즈계 전체적으로 상쇄되도록 기재렌즈(3)의 출사면 중심(33b)에 대해서 수지렌즈(4)의 출사면 중심(44b)을 소정량만큼 위치를 이동시켜 수지렌즈(4)가 기재렌즈(3)에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합렌즈(2) 및 단일렌즈(5, 6)를 렌즈 베럴(7)에 조립한 상태로 복합렌즈(2)의 기재렌즈(3)의 입사면 중심(33a)과 출사면 중심(33b)을 잇는 선분(75), 단일렌즈(5)의 입사면 중심(55a)과 출사면 중심(55b)을 잇는 선분(77), 단일렌즈(6)의 입사면 중심(66a)과 출사면 중심(66b)을 잇는 선분(7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렌즈(2, 5, 6)이 투과 편심하고 있어도 그 투과 편심(양)은 수지렌즈(4)에 의한 투과 편심(선분(76))에 의해서 렌 즈계 전체적으로 없어지게 된다.
시뮬레이션에 의해, 예를 들어, 기재렌즈(3)에 의한 투과 편심량(선분(75))의 y방향 성분을 1㎛, 단일렌즈(5)에 의한 투과 편심량(선분(77))의 y방향 성분을 3㎛, 단일렌즈(6)에 의한 투과 편심량(선분(78))의 y방향 성분을 2㎛로 설정하면, 수지렌즈(4)에 의한 투과 편심량(선분(76))의 y방향 성분을 4㎛로 하는 것으로, 촬영렌즈(1)의 렌즈계 전체의 투과 편심량이 없어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렇게 하여, 기재렌즈(3) 및 단일렌즈(5, 6)에 의한 투과 편심이 수지렌즈(4)에 의한 투과 편심에 의해서 렌즈계 전체적으로 상쇄되어, 선분(7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렌즈(1)로서 투과 편심량을 최소로 할 수 있다. 혹은, 투과 편심량을 없앨 수 있다. 그 결과, 접합렌즈(4) 및 단일렌즈(5, 6)를 투과한 광이 촬상소자(9)에 있어서 양호하게 결상하여, 해상력이 저하하거나 화상의 반이 흐릿하게 되어 버리는 것을 없게 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제조방법으로는 복합렌즈(2) 및 단일렌즈(5, 6)는 각각의 원주방향 위치가 가지런히 렌즈 베럴(7)에 배치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각 렌즈(2, 5, 6)를 렌즈 베럴(7)에 배치하는데 원주방향 위치를 맞추는 경우와 비교해서, 조립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촬영렌즈(1)에서는 1개의 복합렌즈(2)와 2개의 단일렌즈(5, 6)를 구비한 촬영렌즈(1)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촬영렌즈로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어도 1개의 복합렌즈와 적어도 1개의 단일렌즈를 구비한 촬영렌즈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복합렌즈(2)를 제조하는 순서로서 렌즈 유지부(30)에 소정의 자세로 기재렌즈(3)를 유지하여, 금형(20)을 렌즈 유지부(30)에 대해서 소정량만큼 위치 이동시킨 후에 수지(40)를 금형(20)에 주입하여 수지렌즈(4)를 기재렌즈(3)에 접합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수지렌즈(4)를 기재렌즈(3)에 접합하는 공정으로서는, 우선, 금형(20)을 렌즈 유지부(30)에 대해서 소정량만큼 위치 이동시킨 후에 렌즈 유지부(30)에 기재렌즈(3)를 유지시켜 수지렌즈(4)를 접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 3
여기서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렌즈의 외형 중심축에 대한 입사면 중심의 위치 이동량, 혹은, 출사면 중심의 위치 이동량에 근거하여 제조된 복합렌즈와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합렌즈(2)는 기재렌즈(3)와 수지렌즈(4)로 이루어지고, 수지렌즈(4)는 기재렌즈의 출사면(3b)에 접합되어 있다. 기재렌즈(3)로서 예를 들어 일본 제온 주식회사에서 만든 제오넥스(등록상표), 혹은, 폴리 플라스틱스 주식회사에서 만든 토파스(등록상표)가 적용된다. 또, 수지렌즈(4)로서 예를 들어 플루오렌(florene)계 아크릴레이(acrylate)트가 적용된다.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복합렌즈(2)에서는 수지렌즈(4)를 기재렌즈(3)에 접합하기 전의 그 기재렌즈(3)에 기인하는 투과 편심량이 수지렌즈(4)를 기재렌즈(3)에 접합한 후에 그 접합된 복합렌즈(2)를 렌즈 베럴(7)(도 1 참조)에 배치한 상태로 수지렌즈(4)에 의한 투과 편심량에 의해, 복합렌즈(2)로서 없어지도록 수지렌즈(4)의 출사 측의 렌즈면(출사면(4b))의 중심(출사면 중심(44b)) 위치와 기재렌즈(3)의 출사면(3b)의 중심(출사면 중심(33b)) 위치가 소정량 SO만큼 위치 이동되어 있다.
또, 기재렌즈(3)와 수지렌즈(4)와의 위치 이동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기재렌즈(3)에는 수지렌즈(4)가 접합되는 면(출사면(3b))에 마커(3c)가 형성되고, 수지렌즈(4)가 접합되는 면과는 반대 측의 면(입사면(3a))에 마커(3d)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지렌즈(4)의 면(출사면(4b))에는 마커(4c)가 형성되어 있다. 수지렌즈(4)의 마커(4c)는 예를 들어 금형에 남는 절삭 자국을 수지렌즈에 전사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된다.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삭 자국으로서는 금형(20)에 오목부(21)를 연삭으로 형성할 때에 오목부(21)의 바닥의 중심에 남는 절삭 자국(23a)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21)의 바닥에 중심에 남는 절삭 자국(23a)과, 그 중심에 대해서 동심원 모양으로 남는 절삭 자국(23b)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커(3c, 3d, 4c)의 형상(단면)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한 모양(볼록부)으로 하여도 좋고, 혹은,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한 모양(오목부)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깊이가 0.02㎛로 단면형상이 직사각형의 오목한 모양의 마커(4c)를 형성한 수지렌즈(4)에서는 마커(4c)에 의한 광학성능으로의 영향은 없었다. 마커(4c)에 의한 광학성능으로의 영향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오목한 모양의 마커(4c)에서는 그 깊이를 0.1㎛이하로 하고, 볼록한 모양의 마커(4c)에서는 그 높이를 0.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술한 복합렌즈의 제조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편심 측정기를 이용하여 기재렌즈(3)의 입사면 중심(14)과 출사면 중심(16)과의 위치 이동량을 측정한다. 그 위치 이동량에 근거하여, 수지렌즈(4)를 기재렌즈(3)에 접합한 후에 복합렌즈(2)로서 렌즈 베럴에 배치한 상태(렌즈계 전체)로 기재렌즈(3)에 기인하는 투과 편심량이 없어지도록 수지렌즈(4)의 출사면 중심(44b)을 기재렌즈(3)의 출사면 중심(33b)에 대해서 이동하는 위치 이동량 T가 산출된다. 또, 참조용 복합렌즈를 제작하여, 제조 오차로서 기재렌즈의 출사면 중심과 수지렌즈의 출사면 중심과의 위치 이동량 SO가 측정 된다(도 12 참조).
다음에, 산출된 위치 이동량 T와 측정된 위치 이동량 SO에 근거하여, 금형(20)의 중심축(22)과 렌즈 유지부(31)를 상대적으로 이동해야 하는 위치 이동량 S1이 구해진다. 다음에, 상술한 도 4 ~ 도 7에 나타내는 공정과 동일한 공정을 거쳐,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형(20)의 중심축(22)과 렌즈 유지부(30)의 중심축(31)을 일치시킨 상태로 렌즈 유지부(30)에 대해서 기재렌즈(3)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한다. 다음에,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해진 위치 이동량 S1만큼 금형(20)의 중심축(22)을 렌즈 유지부(30)의 중심축(31)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다음에, 금형(20)의 오목부(21)에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40)를 주입한다. 다음에 렌즈 유지부(30)를 하강시켜 기재렌즈(3)를 금형(20) 위에 실어 놓고, 기재렌 즈(3)의 출사면을 수지(40)에 접촉시킨다. 다음에,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을 조사해 수지(40)를 경화시킨다. 수지(40)가 경화한 후, 금형(20)으로부터 수지렌즈(4)를 취출함으로써,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렌즈(3)에 수지렌즈(4)가 접합된 복합렌즈(2)가 완성된다.
이 복합렌즈(2)에서는 기재렌즈(3)의 입사면 중심 및 출사면 중심의 외형 중심축에 대한 위치 이동량에 기인하는 투과 편심량이 수지렌즈(4)에 의한 투과 편심량에 의해서 렌즈계 전체적으로 상쇄되도록 기재렌즈(3)의 출사면 중심(33b)에 대해서 수지렌즈(4)의 출사면 중심(44b)을 소정량만큼 위치를 이동시켜 수지렌즈(4)가 기재렌즈(3)에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기재렌즈(3)가 투과 편심하고 있어도 그 투과 편심량은 수지렌즈(4)에 의한 투과 편심에 의해서 렌즈계 전체적으로 없어지게 된다(도 19 참조). 그 결과, 복합렌즈(2)를 투과한 광이 촬상소자에 있어서 양호하게 결상하여, 해상력이 저하하거나 화상의 반이 흐릿하게 되어 버리는 것을 없앨 수 있다.
또, 기재렌즈(3)에는 마커(3c, 3d)가 형성되고, 수지렌즈(4)에는 마커(4c)가 형성되어 있다(도 30 및 도 31 참조). 이것에 의해, 기재렌즈(3)의 출사면 중심(33b)에 대해서 수지렌즈(4)의 출사면 중심(44b)을 이동시킬 때에 시험적으로 제조한 복합렌즈의 마커(3c, 3d, 4c)로부터 구해진 위치 이동량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소정량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기재렌즈(3)에 형성되는 마커(3c)는 수지렌즈(4)가 접합되는 면(출사면(3b))에 형성되고, 한편, 마커(3d)는 그 면과는 반대 측의 면(입사면(3a))에 형 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기재렌즈(3)의 출사면(3b)의 출사면 중심(33b)과 수지렌즈(4)의 출사면(4b)의 출사면 중심(44b)과의 이동량(이동량 A)을 측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재렌즈(3)의 입사면(3a)의 입사면 중심(33a)과 수지렌즈(4)의 출사면(4b)의 출사면 중심(44b)과의 이동량(이동량 B)도 측정할 수 있다.
복합렌즈로서 입사면(물체 측)의 곡율 반경이 출사면(상(像) 측)의 곡율 반경보다 충분히 작은 기재렌즈의 출사면에 수지렌즈를 접합하는 복합렌즈에서는 그 광학성능은 이동량 A보다 이동량 B에 영향을 받는다. 그 때문에, 기재렌즈(3)의 입사면(3a)에 마커(3d)를 형성함으로써, 이동량 B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광학성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복합렌즈(2)에서는 외형 중심축에 근거하여 제조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베럴 중심축(실시 형태 2)에 근거하여 제조하여도 좋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는 복합렌즈로서 수지렌즈를 기재렌즈의 출사면에 접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수지렌즈를 기재렌즈의 입사면에 접합시켜도 좋다. 또한, 마커의 단면형상으로서는 직사각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삼각형이나 5각형 등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번 개시된 실시 형태는 예시이며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로 설명한 범위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을 의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촬영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형 중심축에 대한 입사면 중심 및 출사면 중심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형 중심축에 대한 입사면 중심 혹은 출사면 중심의 위치 이동량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촬영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참조용 복합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일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금형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11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재렌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2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3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4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5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6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7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촬영렌즈에 있어서의 투과 편심량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촬영렌즈의 제조방법의 일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20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베럴 중심축에 대한 입사면 중심 혹은 출사면 중심의 위치 이동량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21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23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24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25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26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촬영렌즈에 있어서의 투과 편심량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복합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29에 나타내는 복합렌즈의 일평면도이다.
도 31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29에 나타내는 복합렌즈 다른 평면 도이다.
도 32는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금형의 절삭 자국을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33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금형의 절삭 자국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상면도이다.
도 34는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마커의 일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내는 단면선 XXXIV-XXXIV, 또는, 도 30에 나타내는 단면선 XXXV-XXXV에 있어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5는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마커의 다른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내는 단면선 XXXIV-XXXIV, 또는, 도 30에 나타내는 단면선 XXXV-XXXV에 있어서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6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복합렌즈의 제조방법의 일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7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36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8은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37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9는 동일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38에 나타내는 공정의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0은 종래의 촬영렌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촬영렌즈, 2 복합렌즈, 3 기재렌즈, 3a 입사면, 3b 출사면, 3c 마커, 4수지렌즈, 4a 입사면, 4b 출사면, 4c 마커, 5, 6 단일렌즈, 5a 입사면, 5b 출사면, 6a 입사면, 6b 출사면, 7 렌즈 베럴, 8 필터, 9 촬상소자, 11 외형 중심축, 12 베럴 중심축, 13 입사면, 14 입사면 중심, 15 출사면, 16 출사면 중심, 20 금형, 21 오목부, 22 중심축, 23 마커, 30 렌즈 유지부, 31 중심축, 40 수지, 33a 입사면 중심, 33b 출사면 중심, 44a 입사면 중심, 44b 출사면 중심, 55a 입사면 중심, 55b 출사면 중심, 66a 입사면 중심, 66b 출사면 중심, 200 참조용 복합렌즈.

Claims (15)

  1. 복수의 렌즈를 구비한 촬영렌즈로서,
    기재(基材)렌즈에 수지렌즈가 접합된 제1 렌즈와,
    상기 제1 렌즈와 소정의 위치 관계하에서 배치된 제2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렌즈에서는 상기 수지렌즈를 접합하기 전의 상기 기재렌즈와 상기 제2 렌즈에 기인하는 투과 편심량이 상기 수지렌즈에 의한 투과 편심량에 의해서,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의 렌즈계 전체적으로 없어지도록 상기 수지렌즈의 출사면 중심과 상기 기재렌즈의 출사면 중심을 소정량만큼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수지렌즈가 상기 기재렌즈에 접합된 촬영렌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렌즈에는 상기 출사면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제1 마커(marker)가 형성되어 있는 촬영렌즈.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기재렌즈에는 상기 출사면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제2 마커가 형성되어 있는 촬영렌즈.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는 환상(環狀)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인 촬영렌즈.
  5. 기재렌즈에 수지렌즈를 접합한 제1 렌즈와, 제2 렌즈를 적어도 배치한 촬영렌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수지렌즈를 접합하기 전의 상기 기재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에 기인하는 투과 편심량이 상기 수지렌즈에 의한 투과 편심량에 의해서,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의 렌즈계 전체적으로 없어지도록 상기 수지렌즈의 출사면 중심과 상기 기재렌즈의 출사면 중심과의 소정의 위치 이동량을 구하는 공정과,
    구한 상기 위치 이동량에 근거하여, 상기 기재렌즈의 출사면에 상기 수지렌즈를 접합하여 상기 제1 렌즈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를 소정의 위치 관계로 배치하는 공정을 구비한 촬영렌즈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이동량을 구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기재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의 외형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기재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의 각각의 입사면 중심과 출사면 중심과의 위치 이동량에 근거하여, 소정의 상기 위치 이동량이 구해지는 촬영렌즈의 제조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위치 이동량을 구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가 배치되는 렌즈 베럴(barrel)에 상기 기재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를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투과 편심량이 구해지고, 구해진 상기 투과 편심량을 없애도록 소정의 상기 위치 이동량이 구해지는 촬영렌즈의 제조방법.
  8. 청구항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구해진 상기 위치 이동량에 근거하여, 상기 기재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유지부와 상기 수지렌즈를 성형하는 금형을 수평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기재렌즈의 출사면에 상기 수지렌즈를 접합하는 촬영렌즈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렌즈 유지부에 대해 상기 기재렌즈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하는 공정과,
    상기 렌즈 유지부와 상기 금형을 수평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한 후에 상기 수지렌즈가 되는 수지를 상기 금형에 주입하는 공정과,
    수평방향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렌즈 유지부에 유지된 상기 기재렌즈를 상기 금형에 실어 놓고 상기 수지에 접촉시키는 공정과,
    상기 수지를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수지렌즈를 상기 기재렌즈에 접합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촬영렌즈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렌즈 유지부와 상기 금형을 수평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하여, 상기 수지렌즈가 되는 수지를 상기 금형에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기재렌즈를 상기 금형에 실어 놓고 상기 수지에 접촉시키는 공정과,
    상기 기재렌즈를 소정의 자세로 상기 렌즈 유지부에 유지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를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수지렌즈를 상기 기재렌즈에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촬영렌즈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5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로서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가 적용되고,
    상기 제1 렌즈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수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지를 경화시키는 촬영렌즈의 제조방법.
  12. 기재렌즈에 수지렌즈가 접합된 복합렌즈로서,
    제1 입사면 및 제1 출사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입사면 및 상기 제1 출사면 중 어느 한쪽의 면에 소정의 제1 마커가 형성된 수지렌즈와,
    제2 입사면 및 제2 출사면을 가지고 상기 수지렌즈가 접합되고, 상기 제2 입 사면 및 상기 제2 출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소정의 제2 마커가 형성된 기재렌즈를 구비한 복합렌즈.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커는 상기 수지렌즈의 상기 한쪽의 면의 중심에, 또는, 상기 한쪽 면의 면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는 복합렌즈.
  14. 청구항 12 또는 13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커는 상기 기재렌즈의 상기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는 복합렌즈.
  15. 청구항 12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커 및 상기 제2 마커는 환상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인 복합렌즈.
KR1020080017340A 2007-03-29 2008-02-26 촬영렌즈 및 그 제조방법 및 복합렌즈 KR101065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88311 2007-03-29
JPJP-P-2007-00088311 2007-03-29
JPJP-P-2008-00010596 2008-01-21
JP2008010596A JP2008268876A (ja) 2007-03-29 2008-01-21 撮影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複合レン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382A true KR20080088382A (ko) 2008-10-02
KR101065512B1 KR101065512B1 (ko) 2011-09-19

Family

ID=3999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340A KR101065512B1 (ko) 2007-03-29 2008-02-26 촬영렌즈 및 그 제조방법 및 복합렌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268876A (ko)
KR (1) KR101065512B1 (ko)
CN (1) CN1012760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2138B2 (en) * 2009-07-02 2013-04-16 Digitaloptics Corporation East Wafer level optical elements and applications thereof
TWI486623B (zh) * 2012-10-05 2015-06-01 Himax Tech Ltd 晶圓級鏡頭、鏡頭片及其製造方法
CN104166224B (zh) * 2013-05-16 2017-07-25 惠州市大亚湾永昶电子工业有限公司 摄像透镜装置
JP7004587B2 (ja) * 2018-01-31 2022-02-04 マクセル株式会社 金型装置、射出成形装置、射出成形方法、樹脂レンズ、樹脂レンズの製造方法、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
WO2019208455A1 (ja) * 2018-04-24 2019-10-31 Agc株式会社 光学素子、光学系、および撮像装置
CN110632727B (zh) * 2018-06-08 2023-07-28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9808A (en) 1978-12-28 1980-07-07 Fujitsu Ltd Photo change-over device
KR100529310B1 (ko) 2002-12-10 2005-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접합 렌즈 및 이를 채용한 줌 렌즈 광학계 및 이를 채용한카메라
JP2005060657A (ja) * 2003-04-21 2005-03-10 Seiko Epson Corp ハイブリッドレンズ用樹脂組成物、ハイブリッドレンズ及びレンズ系
JP2004325975A (ja) * 2003-04-28 2004-11-18 Sony Corp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76042A (zh) 2008-10-01
KR101065512B1 (ko) 2011-09-19
JP2008268876A (ja)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512B1 (ko) 촬영렌즈 및 그 제조방법 및 복합렌즈
KR101065577B1 (ko) 복합렌즈
US8587871B2 (en) Wafer len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170077761A (ko) 프로젝터,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1040136A1 (ja) レンズの組立方法、レンズの組立体、及びレンズ組立体を備えた撮像装置
WO2007069499A1 (ja) レンズ、レンズ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CN110632727B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CN110824653B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TWI486623B (zh) 晶圓級鏡頭、鏡頭片及其製造方法
JP2005043897A (ja) マイクロレンズの製造方法
CN104871041A (zh) 层叠透镜阵列、层叠透镜阵列的制造方法以及层叠透镜的制造方法
JP4849900B2 (ja) 光学素子の製造方法
KR20130138127A (ko) 아포다이저 제조 방법 및 광학 모듈
KR101828636B1 (ko) 렌즈 웨이퍼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24189B1 (ko) 렌즈 재료로부터 복수의 마이크로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000040B2 (en) Imaging len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mpound lens
CN112649934B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CN110275264B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US836903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lens and len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CN110542969B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CN114280706B (zh) 一种基于uv激光直写光刻的双胶合微阵列透镜的制备方法
CN108885329A (zh) 具有单侧晶片级光学器件的系统和装置
WO2019233213A1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Bräuer et al. High resolution multichannel imaging systems
KR20040093607A (ko) 하이브리드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