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6679A - 이동통신망 품질 측정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 품질 측정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6679A
KR20080086679A KR1020070028666A KR20070028666A KR20080086679A KR 20080086679 A KR20080086679 A KR 20080086679A KR 1020070028666 A KR1020070028666 A KR 1020070028666A KR 20070028666 A KR20070028666 A KR 20070028666A KR 20080086679 A KR20080086679 A KR 20080086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qualit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준
백수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6679A/ko
Publication of KR20080086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6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네비게이션 기능이 포함된 이동통신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GPS신호를 수신하여 GPS기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수신기;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망의 품질을 측정하는 계측기;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이동통신망의 품질 측정의 대상인 피측정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피측정지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측정지의 이동통신망 품질을 측정하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의 측정경로정보를 토대로 하여 사용자에게 이동통신망의 품질측정을 위한 측정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동통신망 품질측정을 특정지역단위로 실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최적의 측정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하고 측정경로를 안내 받음으로써 품질측정 업무의 효율을 증대 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리 지정해놓은 도로나 지역단위 내에서 측정루트가 자동으로 계산되고 사용자에게 안내됨으로써 사용자와 무관하게 동일한 루트를 반복 측정 가능하다.
통신망품질, 통신망, 품질, 네비게이션, 측정경로

Description

이동통신망 품질 측정 시스템 및 장치{TESTING SYSTEM AND DEVICE OF RADIO WAVE QUALITY}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존의 품질 측정 시스템 및 네비게이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 품질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a 및 도3b는 최적의 측정경로선택을 위한 기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측정경로선택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은 이동통신망으로 연결되는 네비게이션서버를 별도로 구비하는 이동통신망 품질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단말기일체형으로 구현한 이동통신망 품질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010 : GPS수신기 020 : 계측기
030 : 네비게이션 040 : PC(노트북)
050 : 단말기
100 : GPS수신기 110 : GPS수신부
200 : 계측기 210 : 계측부
300 : 네비게이션장치 310 : 네비게이션부
320 : 네비게이션서버 400 : 데이터저장분석기
410 : 품질분석서버 500 : 이동통신단말기
510 : 인터페이스부 520 : 음성통화 및 데이터처리모듈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품질측정을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피측정지정보를 입력 받으면, 네비게이션장치로 측정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안내하며 계측장치로 이동통신망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 품질측정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망 품질 측정은 일반적으로 특정도로나 특정지역 단위로 측정이 이루어지며, 측정을 수행하는 인력의 과거 측정 경험을 바탕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이렇게 선정된 측정경로는 측정을 수행하는 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품질 트랜드 등을 알기 위하여 시간차를 두고 동일 경로를 반복 측정해야 할 경우 동일 측정인이 측정을 수행하더라도 측정 경로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비교측정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그리고, 자동이 아닌 수동으로 측정경로를 결정하기 때문에 중복하여 측정하거나, 측정해야 할 지역을 누락하거나, 불필요한 지역을 측정하는 등의 문제점 이 있다.
또한, 도1과 같이 기존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별도로 사용하는 경우, 출발지와 목적지를 기초로 최단경로 혹은 최단시간 또는 최저비용이 드는 경로 등만을 안내해 주기 때문에 품질 측정을 위하여 특정도로나 지역단위의 측정을 수행하는데 적용이 어렵다. 뿐만 아니라, 측정시스템 이외에 네비게이션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품질 트랜드 등을 알기 위하여 동일 루트를 반복 측정해야 할 경우 정확한 비교측정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해결하며, 이동통신망 품질측정이 수행하는 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과 수동으로 측정경로를 결정하기 때문에 중복하여 측정하거나, 측정해야 할 지역을 누락하거나, 불필요한 지역을 측정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존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기초로 최단경로 혹은 최단시간 또는 최저비용이 드는 경로만을 안내해 주기 때문에 품질 측정을 위하여 특정도로나 지역단위의 측정을 수행하는데 적용이 어렵고, 측정시스템 이외에 네비게이션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목적은 GPS신호를 수신하여 GPS기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수신기;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망의 품질을 측정하는 계측기;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이동통신망의 품질 측정의 대상인 피측정지에 대한 정 보를 포함하는 피측정지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측정지의 이동통신망 품질을 측정하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의 측정경로정보를 토대로 하여 사용자에게 이동통신망의 품질측정을 위한 측정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품질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GPS신호를 수신하여 GPS기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수신부;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망의 품질을 측정하는 계측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계측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이동통신망의 품질 측정의 대상인 피측정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피측정지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측정지의 이동통신망 품질을 측정하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경로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측정경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이동통신망 품질 측정 시스템은 GPS신호를 수신하여 GPS기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수신기;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망의 품질을 측정하는 계측기;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이동통신망의 품질 측정의 대상인 피측정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피측정지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측정지의 이동통신망 품질을 측정하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의 측정경로정보를 토대로 하여 사용자에게 이동통신망의 품질측정을 위한 측정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측기는 품질측정프로그램을 탑재한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PD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이동통신망의 품질측정 결과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품질측정 결과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저장/분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저장/분석기와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이동통신망 품질측정 결과데이터를 수신하여 품질측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동통신망 품질분석 및 관리하는 기능을 갖는 품질분석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측정지정보가 특정지역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지그재그방식 또는 나선형방식 또는 지그재그방식과 나선형방식의 조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측정경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 품질측정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계측기, GPS수신기, 네비게이션장치, 데이터저장/분석기, 품질분석서버를 포함한다.
GPS 수신기는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현재의 위치정보를 산출한 후 계측기 및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현재의 위치정보를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네비게이션장치는 사용자가 설정한 피측정지정보를 기초로 최적의 측정경로 를 생성하고 GPS기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측정경로를 음성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안내를 해준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장치는 계측기의 현위치 품질측정결과를 하나의 변수로 추가하여 측정경로를 생성 또는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의 측정경로의 안내가 진행되는 동안 계측기는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이동통신망의 품질을 측정한다. 계측기로서 품질측정프로그램을 탑재한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PDA를 사용하여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이동전화 품질 계측은 기존 상용화되어 있는 계측장비의 측정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지만, 계측장비 이외에도 휴대전화 또는 PDA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품질 측정 프로그램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처럼 휴대전화 또는 PDA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측정 장비로 이용될 경우 단말기에 내장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무겁고 큰 계측장비 대신 이동통신단말기만으로 측정해야 할 경로 안내를 받으면서 품질 측정이 가능하므로 휴대성 및 이동성이 좋아질 수 있으며 인력 및 시간적인 면에서 비용을 줄이고 측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계측기에서 얻은 품질측정 결과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저장/분석기에 저장되고 분석된다. 노트북 등이 데이터저장/분석기의 일실시예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저장/분석기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저장/분석기로부터 이동통신망 품질측정 결과데이터를 수신하여 품질측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동통신망 품질분석 및 관리하는 기능을 갖는 품질분석서버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통신망 품질분석 서버는 소규모 지역단위로 품질 측정 결과데이터 를 취합하여 시도단위 또는 전국단위 등 소정의 지역 단위로 이동통신망의 품질 분석 및 관리하는 기능을 갖는다.
품질 측정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토대로 측정경로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한 상기의 네비게이션장치는 기존의 경로 생성 알고리즘에 사용자가 설정한 피측정지정보에 대응하는 특정한 1이상의 도로 또는 특정지역에 대한 측정경로를 생성해 줄 수 있는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기존 네비게이션 경로 안내 알고리즘과 같이 출발지와 목적지 설정을 통하여 최적의 경로를 구성하고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정보와 진행해야 할 방향 등을 안내해주는 알고리즘에 추가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망 품질측정을 위하여 특정 도로나 특정 지역 범위 내의 모든 도로를 측정할 수 있게 해 주는 측정경로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알고리즘의 일실시예로서, 추가되는 측정경로 생성 알고리즘은 피측정지역정보가 특정도로인 경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지도상의 도로 정보(예를 들어 7번 국도 등)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지점 등의 출발지부터 시작하여 지정된 도로의 마지막 목적지(예를 들어 7번 국도 중 행정구역이 경상남도인 지점 - 울산~경주 경계 지점)까지 안내가 가능하도록 측정경로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이다.
추가되는 측정경로 생성 알고리즘 중 또 다른 알고리즘은, 피측정지역정보로 특정지역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행정구역 단위로 경계지점을 미리 계산한 다음 사용자의 위치가 경계지점에 접근할 때 상기 경계범위 밖으로 나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상/하/좌/우 방향으로 진행방향을 변경하여 측정경로를 생성하는 알고리즘 이다. 이때 경로가 중복되지 않고 최적의 경로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도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방식(도3a), 나선형 방식(도3b) 또는 상기의 기법의 조합 등의 응용 기법을 이용하여 측정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도4는 경로설정의 구체적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서울시 강남구 지역만을 품질측정 한다고 가정할 경우 도4와 같이 행정구역 경계지역을 미리 계산하여 영역을 설정한 다음, 사용자가 위치한 출발지부터 시작하여 지그재그 방식이나 나선형 방식을 이용하여 정해진 영역 내 도로의 측정경로를 생성하고 안내해 줄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이동통신망 품질측정 시스템은 GPS신호를 수신하여 GPS기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수신기;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망의 품질을 측정하는 계측기; 상기 이동통신망과 연결되는 이동통신단말기;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되는 네비게이션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망의 품질 측정의 대상인 피측정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피측정지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피측정지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네비게이션서버로 송신한 후, 상기 네비게이션서버로부터 상기 피측정지의 이동통신망 품질을 측정하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경로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측정경로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에게 측정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네비게이션서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피측정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피측정지정보를 기초로 상기 측정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측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되는 이동통신망 품질측정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은 이동통신망의 품질측정 결과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품질측정 결과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저장/분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저장/분석기와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이동통신망 품질측정 결과데이터를 수신하여 품질측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동통신망 품질분석 및 관리하는 기능을 갖는 품질분석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측정지정보가 특정지역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지그재그방식 또는 나선형방식 또는 지그재그방식과 나선형방식의 조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측정경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5에는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이동통신망 품질측정 시스템의 일실시예가 도시 되어 있다. 도5에서는 GPS수신기, 계측기, 이동통신단말기, 이동통신망, 네비게이션서버, 데이터저장/분석기 및 품질분석서버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일실시예와 비교하여 추가된 구성인 네비게이션서버를 위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와 같이 네비게이션장치를 측정자가 휴대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도5와 같이 네비게이션장치 역할을 하는 네비게이션서버를 사용자측과 별도로 두고 휴대하지 않는 대신, 이동통신망에 연결된 네비게이션서버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네비게이션서버에 내장된 네비게이션프로그램이 이동통신단말기가 송신한 피측정 지정보를 기초로 측정경로정보를 생성한 후 다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측정경로정보를 전송하여 준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서버는 계측기의 현위치 품질측정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전송 받고 이를 측정경로생성의 변수로서 더 추가하여 측정경로를 생성 또는 변경할 수도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서버를 별도로 두는 것에 의해 품질측정시스템의 휴대성 및 성능의 향상의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관점에 따른 이동통신망 품질측정장치는 GPS신호를 수신하여 GPS기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수신부;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망의 품질을 측정하는 계측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계측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이동통신망의 품질 측정의 대상인 피측정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피측정지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측정지의 이동통신망 품질을 측정하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경로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측정경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망의 품질측정 결과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품질측정 결과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저장/분석기; 및 상기 데이터저장/분석기와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이동통신망 품질측정 결과데이터를 수신하여 품질측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동통신망 품질분석 및 관리하는 기능을 갖는 품질분석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측정지정보가 특정지역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지그재그방식 또 는 나선형방식 또는 지그재그방식과 나선형방식의 조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측정경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6는 상기의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GPS수신부, 계측부, 네비게이션부, 인터페이스부, 음성통화 및 데이터처리모듈을 포함한다.
계측부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되는 계측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계측부는 GPS수신부에서 생성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지점의 통신망 품질의 계측을 수행하는 동시에 네비게이션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피측정지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측정경로를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측정 경로를 안내한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장치는 계측부의 현위치 품질측정결과를 하나의 변수로 추가하여 측정경로를 생성 또는 변경할 수도 있다.
도6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내부에 GPS수신부 및 네비게이션부를 포함하고, 전용측정장비 대신에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게 되므로 품질측정장치의 휴대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품질은 전파수신세기, 신호대잡음비, 기지국 PN정보 및 통화 시 단말에서 출력되는 신호세기, 통화 시 음성 품질, 데이터 수신품질 및 데이터 전송속도 등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망 품질측정을 특정지역단위로 실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최적의 측정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하고 측정경로를 안내 받음으 로써 품질측정 업무의 효율을 증대 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리 지정해놓은 도로나 지역단위 내에서 측정경로가 자동으로 계산되어 사용자에게 안내됨으로써 동일한 측정경로를 정확하게 반복 측정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GPS신호를 수신하여 GPS기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수신기;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망의 품질을 측정하는 계측기;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이동통신망의 품질 측정의 대상인 피측정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피측정지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측정지의 이동통신망 품질을 측정하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의 측정경로정보를 토대로 하여 사용자에게 이동통신망의 품질측정을 위한 측정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품질측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는 품질측정 프로그램을 탑재한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P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품질측정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의 품질측정 결과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품질측정 결과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저장/분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품질측정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지정보가 특정지역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지그재그방식 또는 나선형방식 또는 지그재그방식과 나선형방식의 조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측정경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품질측정시스템.
  5. GPS신호를 수신하여 GPS기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수신기;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망의 품질을 측정하는 계측기;
    상기 이동통신망과 연결되는 이동통신단말기;
    상기 이동통신망에 연결되는 네비게이션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망의 품질 측정의 대상인 피측정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피측정지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피측정지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네비게이션서버로 송신한 후, 상기 네비게이션서버로부터 상기 피측정지의 이동통신망 품질을 측정하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경로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측정경로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에게 측정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네비게이션서버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피측정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피측정지정보를 기초로 상기 측정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품질측정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되는 이동통신망 품질측정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품질측정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의 품질측정 결과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품질측정 결과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저장/분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품질측정시스템.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지정보가 특정지역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지그재그방식 또는 나선형방식 또는 지그재그방식과 나선형방식의 조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측정경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품질측정시스템.
  9. GPS신호를 수신하여 GPS기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수신부;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망의 품질을 측정하는 계측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계측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이동통신망의 품질 측정의 대상인 피측정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피측정지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측정지의 이동통신망 품질을 측정하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측정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경로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측정경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되어 이동통신망의 품질측정 결과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품질측정 결과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저장/분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품질측정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지정보가 특정지역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지그재그방식 또는 나선형방식 또는 지그재그방식과 나선형방식의 조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측정경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 품질측정시스템.
KR1020070028666A 2007-03-23 2007-03-23 이동통신망 품질 측정 시스템 및 장치 KR20080086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666A KR20080086679A (ko) 2007-03-23 2007-03-23 이동통신망 품질 측정 시스템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666A KR20080086679A (ko) 2007-03-23 2007-03-23 이동통신망 품질 측정 시스템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679A true KR20080086679A (ko) 2008-09-26

Family

ID=40025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666A KR20080086679A (ko) 2007-03-23 2007-03-23 이동통신망 품질 측정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66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407B1 (ko) * 2014-02-19 2014-12-08 (주)티엘씨테크놀로지 Lte rf 감시장치 및 이를 통한 감시시스템과 그 감시방법
KR20150120672A (ko) * 2014-04-18 2015-10-28 주식회사 케이티 품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407B1 (ko) * 2014-02-19 2014-12-08 (주)티엘씨테크놀로지 Lte rf 감시장치 및 이를 통한 감시시스템과 그 감시방법
KR20150120672A (ko) * 2014-04-18 2015-10-28 주식회사 케이티 품질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05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deviation in the course of a navigable stretch
KR102602628B1 (ko) 라우팅 정책들 및 경로들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6865484B2 (en) Satellite position measurement system
CN102506853B (zh) 路径规划法方法、导航方法、位置服务设备及服务器
KR101154079B1 (ko) 네비게이션 장치의 초기 위치 결정 방법
EP3271739B1 (en) Enabling a validation of an estimated position of a mobile device
TW201109625A (en) Methods of pre-processing probe data
EP3356839B1 (en) Checking fingerprint samples for a radio model
JP2008306532A (ja) 移動端末、該移動端末を利用した測位システム、測位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50037947A (ko) 교통량 메시지들을 제공하는 방법
KR20110104475A (ko) 네비게이션 장치, 위치 결정 시스템 및 위치 결정 방법
KR20060096729A (ko) 개인 항법 시스템 및 개인 항법 시스템에서 경로 안내 방법
CN101971679A (zh) 获得移动终端的位置
CN110018508A (zh) 一种定位方法及装置
KR20140102450A (ko) 기지국 위치추정 시스템 및 이의 기지국 위치추정 방법
Schneider Mobile phones as a basis for traffic state information
CN107135483B (zh) 确定相对距离变化趋势的方法、室内定位方法及其装置
KR20080086679A (ko) 이동통신망 품질 측정 시스템 및 장치
JP2023507560A (ja) 交通量データ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12119427A1 (zh) 一种蜂窝网络定位方法、服务平台、定位移动台和系统
KR101662634B1 (ko) Gps 및 무선 통신 기반의 로그정보를 이용한 측위 정확도 산출방법 및 장치
CN101568126A (zh) 获取网络路测位置信息的方法、路测方法、装置及系统
WO2020099647A1 (en) Determining location data accuracy using probe measurements
KR20110067902A (ko) 면적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05344A (ko) 방향 지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길 안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