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6211A - 음향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출력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86211A KR20080086211A KR1020070028085A KR20070028085A KR20080086211A KR 20080086211 A KR20080086211 A KR 20080086211A KR 1020070028085 A KR1020070028085 A KR 1020070028085A KR 20070028085 A KR20070028085 A KR 20070028085A KR 20080086211 A KR20080086211 A KR 200800862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 output
- duct
- cable
- sound outpu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41 quality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04R1/282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1—Aspects relating to vents, e.g. shape, orientation, acoustic properties in ear tips of hearing devices to prevent occlu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도선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출력수단의 음질 편차를 줄이기 위한 음향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음 출력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출력 장치에 있어서,단말장치로부터 오디오 출력 신호를 공급받기 위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어 상기 단말장치의 음을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수단에서, 상기 복수의 출력수단은 서로 다른 음 전달 매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의 복수의 출력수단의 음질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도선, 연선, 덕트
Description
도 1a는 종래의 좌/우의 케이블의 도선 길이가 같은 이어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b는 종래의 좌/우의 케이블의 도선 길이가 다른 이어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음 출력 수단을 구비한 이어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케이블과 제 2 케이블의 연성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본체에 구비된 덕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덕트 개폐부를 구비한 이어폰 본체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덕트 개폐부의 Ⅰ-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덕트 개폐부의 Ⅱ-Ⅱ'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음향 출력 장치 202...하우징
204...이어폰 본체 206...제 1 케이블
208...제 2 케이블 210...덕트(Duct)
212...접속부
본 발명은 음향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도선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출력수단의 음질 편차를 줄이기 위한 음향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향 출력 장치에는 이어폰이나 해드폰과 같이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전기음향변환기를 가지는 일종의 스피커를 말한다.
요즈음 휴대용 음악 재생 장치들의 사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이어폰과 같은 음향 출력 장치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어폰을 구분하기 위한 여러 조건이 있지만, 좌/우의 선 길의 차에 따라 이어폰의 형식이 달라지기도 한다.
도 1a는 종래의 좌/우의 케이블의 도선 길이가 같은 이어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종래의 좌/우의 케이블의 도선 길이가 다른 이어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는 밸런스형(대칭형) 코드를 나타낸 것인데, 양쪽 귀로 가는 이어폰 선 의 길이가 동일한 것을 말한다.
도 1b는 언밸런스형(넥 체인형, 비대칭형) 코드를 나타낸 것인데, 왼쪽보다 오른쪽 선이 훨씬 긴 것을 말한다.
국내에서 언밸런스형이 선호되는 이유는 오른쪽 귀로 넘어가는 이어폰 선을 목뒤로 넘길 수 있어서 편리하다는 것 때문이다.
포터블(portable) 음향 출력 장치는 포터블 음향기기의 출력단자로부터 실제 음향 출력을 담당하는 장치까지 도선의 재질, 개수, 굵기, 길이에 따라 여러 편차가 생기는데, 이러한 편차에 따라 출력 레벨, 음압, 음장 효과, 음질이 달라진다.
상기의 밸런스형(대칭형)의 경우에는 왼쪽과 오른쪽의 선재 길이가 같기 때문에 편차가 거의 없지만, 언밸런스형(넥 체인형, 비대칭형)의 경우 선재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음질의 편차가 생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도선의 길이에 따라 발생하는 음질 편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하는 저음대역 출력을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음 출력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출력 장치에 있어서, 단말장치로부터 오디오 출력 신호를 공급받기 위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어 상기 단말장치의 음을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수단에서, 상기 복수의 출력수단은 서로 다른 음 전달 매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복수의 출력수단은 이어폰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 본체에 구비된 공기의 출입을 위한 가변 덕트부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서로 다른 음 전달 매체는 도선의 길이가 서로 다른 이어폰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도선의 길이가 긴 쪽의 케이블에 더 많은 연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가변 덕트부는, 하우징에 공기가 출입하도록 구비된 하나 이상의 덕트와; 상기 하우징 안쪽에 위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덕트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개폐부는 인위적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돌출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기둥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덕트의 하단으로 출입 되는 슬라이드 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음 출력 수단을 구비한 이어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언밸런스형 구조의 이어폰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음향 출력 장치(200)는 단말장치로부터 오디오 출력 신호를 공급받기 위한 접속부(212)와 상기 접속부(212)에 연결되어 상기 단말장치의 음 을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출력수단은 상기 접속부(212)에 연장되어 오디오 출력 신호를 이어폰 본체(204)에서 출력되도록 전달하는 제 1 케이블(206)과 제 2케이블(208)로 구성된다.
상기의 이어폰 본체(204)에는 부재를 감싸고 있는 하우징(202)과 음을 출력할 때의 발생 진동에 의해 생기는 공기가 출입 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덕트(Duct)(201)로 구성된다.
이어폰 본체(204)의 출력 구성 종래의 출력 구성과 동일하여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제 1 케이블(206)과 제 2 케이블(208)의 도선 길이는 서로 다르며, 상기 도선을 구성하는 연선의 개 수도 다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케이블과 제 2 케이블의 연성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a는 제 1 케이블(206)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것인데, 연선(302)과 상기 연선(302)을 감싸는 피복(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케이블(206)은 실시 예로 5개의 연선(302)으로 구성된다.
도 3b는 제 2 케이블(208)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것인데, 실시 예로 8개의 연선(302)으로 구성된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언밸런스형(Y형) 이어폰의 경우에는 짧은 쪽(제 1 케이블(206))과 긴 쪽(제 2 케이블(208))의 도선이 같은 수의 연선으로 구성되어 있 기 때문에, 길이에 따라 다른 저항값이 발생 된다.
종래의 임의의 언밸런스형 이어폰을 저항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제 1 케이블(206)의 저항값은 17Ω, 제 2 케이블(208)의 저항값은 18.6Ω이다.
여기서 측정된 수치는 임의의 언밸런스형 이어폰을 이용한 실시 예로써의 값 이기 때문에 모든 언밸런스형 이어폰에서 측정될 수치 값은 아니다.
6V 전압에 따른 제 1 케이블(206)과 제 2 케이블(208)의 출력 전압을 계산하여 보면,
제 1 케이블(206)의 출력 전압 = 36V / 17Ω = 2.12W
제 2 케이블(208)의 출력 전압 = 36V / 18.6Ω = 1.94W 이다.
위의 제 1 케이블(206)과 제 2 케이블(208)출력 전압의 수치를 비교해 보면, 같은 수의 연선으로 구성된 도선이지만 길이에 따라서 출력 전압의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 2 케이블(208)의 연심을 제 1 케이블(206)의 연심의 개 수보다 많게 하여 측정되는 저항값의 편차를 줄여, 좌/우의 출력 전압의 같도록 조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길이가 더 긴 쪽인 제 2 케이블(208)의 연심의 수를 많게 하여 상기와 같은 저항값의 편차를 쉽게 줄일 수 있으므로 좌/우의 음질 편차를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본체에 구비된 덕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좌/우의 출력 음질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하우징(202)에 하나 이상의 덕트(21)를 구비한 이어폰 본체를 좌/우의 덕트(210)의 개 수를 달리하여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b처럼 한쪽에는 덕트(210)를 아예 없애는 구성으로 만들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덕트 개폐부를 구비한 이어폰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덕트의 개폐를 사용자가 원하는 수만큼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폐부는 슬라이드 판(602)과 상기 슬라이드 판(602)의 끝에 사용자가 잡아서 쉽게 이동 가능하게 하도록 뭉치(600)로 구성된다.
도 5a는 슬라이드 판(602)이 5개의 덕트(210)를 전부 닫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슬라이드 판(602)을 뭉치(600)를 이용하여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여 3개의 덕트(210)만 닫고 2개의 덕트(210)는 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c는 슬라이드 판(602)을 뭉치(600)를 이용하여 오른쪽으로 끝까지 움직여 덕트(210)를 모두 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 판(602)은 덕트(210)의 위쪽을 덮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덕트(210)를 개별적으로 막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미도시).
덕트(210)를 개별적으로 막는 형태로 구성되면 가운데 부분의 하나 이상의 덕트(210)를 막아 양쪽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덕트(210)들 사이에 홈을 구성하고 슬라이드 판에 굴곡을 주어 덕트(210)를 열고 닫을 때, 사용자가 보지 않고도 몇 개의 덕트(210)가 열렸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덕트 개폐부의 Ⅰ-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덕트 개폐부의 Ⅰ-Ⅰ'의 단면을 살펴보면, 하우징(202)의 안쪽에 지지대(604)를 형성하도록 하여 슬라이드 판(602)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뭉치(600)를 이용하여 슬라이딩할 때, 덕트(210)로 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을 막지 않기 위하여 양쪽에 지지대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덕트 개폐부의 Ⅱ-Ⅱ'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덕트 개폐부의 Ⅱ-Ⅱ'의 단면을 살펴보면 뭉치(600)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판(602)을 우측으로 이동하면 덕트(210)가 하나씩 열리게 된다.
또한, 뭉치(600)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판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덕트(210)가 있는 하우징(202)의 반대쪽에 마련된 홈으로 슬라이드 판(602)의 오른쪽 부분이 들어가게 된다.
이어폰의 덕트(210)는 에어(air) 덕트를 이용하는 방식인데, 진동판으로부터 소리가 갇히지 않고 퍼져나가 기본적으로 밀폐형 이어폰에 비해서 스테이징(staging)이 좋은 편이다.
소리가 머물러서 생기는 혼탁함이 매우 적어서 많은 수의 하이파이(hi-fi) 헤드폰이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어폰은 에어 덕트 구조를 두어서 소리가 귀 밖으로 빠져 나가면서 공간감을 형성하는데 그 구조에 따라서 음상이 상당히 달라지기도 하므로 음질 평가를 하는 상당히 중요한 척도가 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덕트(210)의 열림 개수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좌/우 출력 음질과 반응속도에 따른 편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언밸런스형 이어폰 도선을 연선의 개수를 달리하여 구성함으로써, 저항 편차를 줄일 수 있게 함으로써, 좌/우의 출력의 음질 편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덕트의 개수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원하는 음색이나 좌/우 출력의 음질 편차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 두 개의 서로 다른 음 출력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출력 장치에 있어서,단말장치로부터 오디오 출력 신호를 공급받기 위한 접속부와;상기 접속부에 연결되어 상기 단말장치의 음을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수단에서, 상기 복수의 출력수단은 서로 다른 음 전달 매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출력수단은 이어폰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 본체에 구비된 공기의 출입을 위한 가변 덕트부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서로 다른 음 전달 매체는 도선의 길이가 서로 다른 이어폰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도선의 길이가 긴 쪽의 케이블에 더 많은 연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가변 덕트부는,하우징에 공기가 출입하도록 구비된 하나 이상의 덕트와;상기 하우징 안쪽에 위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덕트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개폐부는 인위적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돌출기둥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기둥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덕트의 하단으로 출입되는 슬라이드 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8085A KR20080086211A (ko) | 2007-03-22 | 2007-03-22 | 음향 출력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8085A KR20080086211A (ko) | 2007-03-22 | 2007-03-22 | 음향 출력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6211A true KR20080086211A (ko) | 2008-09-25 |
Family
ID=4002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8085A KR20080086211A (ko) | 2007-03-22 | 2007-03-22 | 음향 출력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86211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328144A1 (en) * | 2011-05-17 | 2012-12-27 | Dugger Frank E | Earphones |
KR20180052855A (ko) * | 2016-11-11 | 2018-05-21 | 이용만 | 강제통풍기능을 가지는 이어폰 |
CN108429965A (zh) * | 2018-05-16 | 2018-08-21 | 歌尔股份有限公司 | 一种耳机 |
-
2007
- 2007-03-22 KR KR1020070028085A patent/KR2008008621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328144A1 (en) * | 2011-05-17 | 2012-12-27 | Dugger Frank E | Earphones |
KR20180052855A (ko) * | 2016-11-11 | 2018-05-21 | 이용만 | 강제통풍기능을 가지는 이어폰 |
CN108429965A (zh) * | 2018-05-16 | 2018-08-21 | 歌尔股份有限公司 | 一种耳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50527B2 (en) | Electronic device and headset with speaker seal evaluation capabilities | |
US20090232341A1 (en) | In-ear earphone | |
CN105307067B (zh) | 用于定制耳机驱动器的大孔塞及相关方法 | |
KR20150108907A (ko) | 멀티-드라이버 이어버드 | |
US20200029149A1 (en) | In ear stereo headphones with integrated charging means | |
US20080053682A1 (en) | Cable Structure | |
US9967044B1 (en) | Portable music studio | |
CN105744416A (zh) | 用于无源生成振动的扬声器组件和相关的耳机设备及方法 | |
US20170055063A1 (en) | Methods and devices for operating an audio processing integrated circuit to record an audio signal via a headphone port | |
KR20080086211A (ko) | 음향 출력 장치 | |
CN114946195A (zh) | 具有可调信号处理的麦克风 | |
CN104066039A (zh) | 耳塞式的动圈和动铁混合的耳机 | |
US20210127199A1 (en) | Earphone with uniform acoustic impedance | |
KR20130092772A (ko) | 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이어폰 | |
EP3177031A1 (en) | Mobile terminal | |
EP3289774A1 (en) | Wearable device for listening to sound | |
JP2017017636A (ja) | 頭外定位フィルタ生成装置、頭外定位フィルタ生成方法、頭外定位処理装置、及び頭外定位処理方法 | |
US11638081B2 (en) | Earphone port | |
US7504588B2 (en) | Acoustically transparent stranded cable | |
US11736861B2 (en) | Auto-calibrating in-ear headphone | |
JP5801623B2 (ja) | シース電線 | |
JP5622015B2 (ja) | 交差配置を通じた音像定位改善システム及び方法 | |
CN106454591B (zh) | 耳机 | |
US20200021901A1 (en) | Wearable microphone housing with built-in redundancy | |
JP2011040969A (ja) | ヘッドホ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