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502A -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패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패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5502A
KR20080085502A KR1020070027136A KR20070027136A KR20080085502A KR 20080085502 A KR20080085502 A KR 20080085502A KR 1020070027136 A KR1020070027136 A KR 1020070027136A KR 20070027136 A KR20070027136 A KR 20070027136A KR 20080085502 A KR20080085502 A KR 20080085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pad
mod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
윤승진
심재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7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5502A/ko
Publication of KR20080085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패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가 현재 실행중인 모드의 컨트롤 패드만 외부로 슬라이딩시켜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기능을 쉽게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다수의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는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패드만을 표시 패널부의 외부 측면으로 슬라이딩시킨 후, 슬라이딩 된 컨트롤 패드에만 조명광을 제공하여 해당 모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방송 수신기가 제공하고 있는 모드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이를 제어할 수 있으며, 현재 실행되고 있는 모드의 컨트롤 패널에만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당 모드의 실행시에만 컨트롤 패드를 표시 패널부의 외부로 슬라이딩시킴으로 미관상 좋은 효과가 있다.
티브이, 백라이트, 조명, 컨트롤 패드, 슬라이딩

Description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패드의 제어 방법{BROADCASTING RECEIVER AND CONTROL METHOD OF CONTROL PAD USING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패드가 구비된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선택된 해당 모드의 컨트롤 패드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컨트롤 패드 제어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튜너부 20 : 외부 입력부
3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40 : 신호 처리부
50 : 제어부 60 : 표시 패널부
70 : 키 입력부 80 : 백라이트부
90 : 패드 구동부 100 : 전원 공급부
110 : 컨트롤 패드부 112 : 티브이 모드
114 : DVD 모드 116 : 홈네트워크 모드
118 : 오디오 모드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 수신기의 본체에 구비된 컨트롤 패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실행시키고자 하는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패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송 수신기인 티브이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국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점차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변모하고 있다.
최근 들어, 티브이는 영상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티브이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크기도 점차 대형화됨에 따라 티브이의 외관을 디자인 개발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티브이는 실질적으로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 패널부를 제외한 음성신호를 제공하는 스피커나, 티브이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로컬 키는 티브이의 외관만 커보이게 하고,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투명 재질로 표시 패널과 별도로 컨트롤 패드을 구비하여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방송 수신기인 티브이는 전원 온(on)신호와 함께 방송 수신기 본체에 구비된 컨트롤 패드를 모두 점등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티브이가 어떤 모드를 실행시키고 있는지 알 수 없어 해당 모드를 제어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 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티브이의 전원 온(on)신호와 함께 컨트롤 패드를 모두 점등함으로써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도 있으며,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패널부 측면에 구비된 컨트롤 패드는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송 수신기가 사용자에 의해 특정 모드의 기능이 선택되면, 해당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패드를 표시 패널부의 외부 측면으로 슬라이딩시켜 조명을 제공하고 해당 기능을 활성화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송 수신기의 컨트롤 패드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키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 신호에 대응되는 방송 수신기의 해당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모드의 기능을 제어하는 컨트롤 패드를 검출하여, 검출된 컨트롤 패드를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단계와, 슬라이딩된 컨트롤 패드에 백라이드를 점등하여 조명을 제공하고, 해당 컨트롤 패드에 표시된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컨트롤 패드가 제공하는 해당 기능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실행중인 해당 모드의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슬라이딩 된 컨트롤 패드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서, 컨트롤 패드는 표시 화면의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의 외부 측면으로 슬라이딩 되며, 방송 수신기의 모드는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티브이 모드,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제공하는 DVD 모드, 오디오 모드, 홈 네트워크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모드의 컨트롤 패드만 외부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송 수신기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와,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외부 입력부와,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튜너부, 외부 입력부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어 모드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드부와, 컨트롤 패드부를 슬라이딩시키는 패널 구동부와, 컨트롤 패드부에 조명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부 및 패널 구동부의 전원을 제어하여 다수의 제어 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모드의 컨트롤 패드가 슬라이딩되도록 하고, 슬라이딩 된 해당 컨트롤 패드에 백라이트부의 조명광이 제공되도록 함과 동시에 점등된 컨트롤 패드에 표시된 해당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컨트롤 패드부는 방송 신호를 제어하는 티브이 모드, 외부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DVD 모드, 오디오 모드 및 인터넷을 통해 신호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 기능을 제공하며, 티브이 모드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컨트롤 패드부에는 리모컨이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컨트롤 패드부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부의 측면 또는 후면 의 상/하/좌/우에 투명 재질의 패드로 형성되어 조명광을 투과시킨다.
이러한, 컨트롤 패드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하/좌/우가 각각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컨트롤 패드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표시 패널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일체형의 컨트롤 패드부는 패널 구동부에 의해 표시 패널부의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의 외부 측면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활성화된 해당 모드의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슬라이딩 된 컨트롤 패드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며, 전원의 오프(off)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 백라이트를 제어하여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 이를 이용한 컨트롤 패드의 제어 방법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패드가 구비된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티브이로써, 크게 티브이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50)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10)와,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외부 기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외부 입력부(20)와,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와, 튜너부(10), 외부 입력부(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어 모드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드부(110)와, 컨트롤 패드부(110)에 조명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부(80)와, 전원 공급부(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컨 트롤 패드부(110)를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패드 구동부(90) 및 사용자로부터 각종 키 신호를 입력받는 키 입력부(70)로 구성된다.
먼저, 제어부(50)는 티브이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티브이가 제공하는 다수의 기능에서 리모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 신호에 대응하는 해당 모드를 판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모드의 컨트롤 패드부(110)를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부(60)의 외부 측면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후, 슬라이딩된 해당 모드의 컨트롤 패드부(110)에 조명광을 제공하기 위하여 백라이트부(80)를 점등하고, 다수의 제어 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모드의 컨트롤 패드부(110)에 백라이트부(80)의 조명광을 제공한다. 그리고, 컨트롤 패드부(110)에 표시된 해당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컨트롤 패드부(110)에 조명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부(80)를 실내등 또는 무드 등으로 사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티브이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뮤트(mute)상태이거나, 티브이에 전원 오프(off)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 백라이트부(80)를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해당 모드의 종료신호가 티브이의 전원 오프(off)신호가 입력되면, 표시 패널부(60)의 외부 측면으로 돌출 슬라이딩 되었던 해당 모드의 컨트롤 패드(11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컨트롤 패드부(110)는 티브이로 입력된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부(60)의 상/하/좌/우 측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며, 티브이가 제공하는 다수의 기능 즉, 튜너부(1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티브이 모드(112), 외부기기로부터 영상 및 음성신호를 제공받아 표시 패널부(60) 및 스피커로 제공하는 DVD 모드(114), 가정의 가전기기나 PC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모드(116), 오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오디오 모(118) 등 4가지 기능에 따른 제어 메뉴를 제공한다. 이러한, 컨트롤 패드부(110)는 투명 재질로 해당 모드가 선택되면 백라이트부(80)의 조명광을 제공받아 해당 모드의 기능이 활성화된 것을 표시한다.
이러한, 컨트롤 패드부(110)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활성화된 모드는 리모컨이나 사용자 터치에 의해 해당 모드에 따른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컨트롤 패드부(110)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부(60)의 측면 또는 후면의 상/하/좌/우에 투명 재질의 패드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하/좌/우가 각각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패드부(11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패널부(6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동일하게 표시 패널부(60)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라이트부(80)는 제어부(50)의 제어하에 전원이 온/오프되며, 사용자에 의해 티브이의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해당 티브이의 모드(112) 기능을 제공하는 컨트롤 패드부(110)에 조명광을 제공한다.
이러한, 컨트롤 패드부(110)에 조명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부(80)를 구비한 티브이에 적용 가능한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선택된 해당 모드의 컨트롤 패드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a를 살펴보면, 영상표시장치인 티브이(200)의 정면을 나타낸 것으로, 표시된 티브이는 튜너부(1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티브이 모드(112),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외부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제공하는 DVD 모드(11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하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모드(116), 외부 또는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오디오 모드(118) 등 다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티브이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패널부(60)의 후면에 다수의 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패드부(110)가 숨겨져 있으며, 이러한 컨트롤 패드부(1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하/좌/우 4측면이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티브이가 제공하는 4가지의 기능을 실행한다.
먼저, 도 2b를 살펴보면, 사용자로부터 티브이 모드가 선택되어 해당 모드가 활성화된 도면을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키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실행 모드를 판단한다. 입력된 키 신호가 티브이 실행 모드인 경우, 제어부(50)는 전원 공급부(100)를 제어하여 패드 구동부(9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전원이 인가된 패드 구동부(90)는 티브이의 표시 패널부(60) 우측면에 숨겨진 티브이 모드 컨트롤 패드(112)를 표시 패널부(60)의 외부 측면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처럼,티브이 모드 컨트롤 패드(112)가 소정의 크기를 갖고 외부로 슬라이딩 되면, 제어부(50)는 티브이의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티브이 모드에 따른 해당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티브이 컨트롤 패드부(112)에 조명을 제공한다.
그리하면, 티브이 표시 패널부(60)의 우측면에 구비된 티브이 컨트롤 패드부(112)는 백라이트부(80)에 의해 조명을 받아 티브이 모드가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한다. 이때, 티브이 모드를 제어하는 컨트롤 패드부(112)는 해당 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113)이 착탈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컨트롤 패드부(112)에 표시된 다수의 티브이 모드 기능(채널변경, 볼륨조절, 화면조정 등)이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티브이 전원의 오프(off)신호나 티브이 모드의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패드 구동부(90)를 제어하여 외부로 슬라이딩 된 티브이 모드 컨트롤 패드부(11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 되도록 한다.
한편, 도 2c를 살펴보면, 다수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인 티브이로 사용자로부터 DVD 모드가 선택되어 해당 모드가 활성화된 도면을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키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실행 모드를 판단한다. 입력된 키 신호가 DVD와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모드인 경우, 제어부(50)는 전원 공급부(100)를 제어하여 패드 구동부(9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전원이 인가된 패드 구동부(90)는 티브이의 표시 패널부(60) 좌측면에 숨겨진 DVD 모드 컨트롤 패드(110)를 표시 패널부(60)의 외부 좌측면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처럼, DVD 모드 컨트롤 패드(114)가 소정의 크기를 갖 고 외부로 슬라이딩 되면, 제어부(50)는 DVD의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DVD 모드에 따른 해당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DVD 컨트롤 패드부(114)에 조명을 제공한다.
그리하면, 티브이 표시 패널부(60)의 좌측면에 구비된 DVD 컨트롤 패드부(114)는 백라이트부(80)에 의해 조명을 받아 DVD 모드가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한다. 이때, DVD 컨트롤 패드부(114)에 표시된 다수의 DVD 모드 기능(재생, 일지정지, 볼륨조절 등)이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티브이 전원의 오프(off)신호나 DVD 모드의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패드 구동부(90)를 제어하여 외부로 슬라이딩 된 DVD 모드 컨트롤 패드부(114)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 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도 2d를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인 티브이에 사용자로부터 홈 네트워크 모드가 선택되어 해당 모드가 활성화된 도면을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키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홈 네트워크 모드를 판단한 후, 패드 구동부(9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전원이 인가된 패드 구동부(90)는 티브이의 표시 패널부(60) 하측면에 숨겨진 홈 네트워크 모드 컨트롤 패드(116)를 표시 패널부(60)의 외부 측면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처럼, 홈네트워크 모드 컨트롤 패드(116)가 소정의 크기를 갖고 외부로 슬라이딩 되면, 제어부(50)는 홈 네트워크의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 모드에 따른 해당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도 록 홈 네트워크 컨트롤 패드부(116)에 조명을 제공한다.
그리하면, 티브이 표시 패널부(60)의 하측면에 구비된 홈 네트워크 컨트롤 패드부(116)는 백라이트부(80)에 의해 조명을 받아 홈 네트워크 모드가 활성화되었음을 표시한다. 이때, 홈 네트워크 컨트롤 패드부(116)에 표시된 다수의 가전기기 제어 기능(도어 잠금/해제, 자동차 잠금 등)이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티브이 전원의 오프(off)신호나 홈 네트워크 모드의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패드 구동부(90)를 제어하여 외부로 슬라이딩 된 홈 네트워크 컨트롤 패드부(116)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 되도록 한다.
또한, 도 2e를 살펴보면, 티브이가 제공하는 다수의 기능에서 오디오 모드가 선택되어 해당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전술한 티브이 모드나, DVD 모드나, 홈 네트워크 모드의 실행 과정과 동일하게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부(50)가 해당 모드인 오디오 모드의 컨트롤 패드부(118)를 표시 패널부(60)의 상측면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제어하고, 슬라이딩된 해당 오디오 모드 컨트롤 패드부(118)에 조명을 제공하고 해당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전원의 오프(off)신호나 오디오 모드의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패드 구동부(90)를 제어하여 외부로 슬라이딩 된 오디오 컨트롤 패드부(118)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슬라이딩 된 컨트롤 패드부(110)를 통해 현재 티브이가 어떠한 모드를 실행중인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티브이 표시 패널부(60)에 컨 트롤 패드(110)를 숨길 수 있어 미관상 좋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컨트롤 패드 제어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티브이 모드(112), DVD 모드(114), 홈네트워크 모드(116), 오디오 모드(118) 등 다수의 기능을 제공하는 티브이(200)로써, 리모컨이나 티브이 측면에 구비된 컨트롤 패드부(110)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키 신호가 입력되면(S100), 제어부(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 신호를 판단한다(S102).
이때,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 신호는 티브이가 제공하는 다수의 기능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신호로써, 제어부(50)는 입력된 신호에 대응되는 해당 모드를 판단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모드의 기능을 제어하는 컨트롤 패드부(110)를 검출한다(S104).
이후,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모드에 대응되는 기능을 제공하는 컨트롤 패드(110)를 티브이 표시 패널부(60)의 외부 측면으로 슬라이딩시킨다(S106).
여기서, 컨트롤 패드(110)는 티브이로 입력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패널부(60)의 후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티브이의 전원 오프(off)시나 해당 모드가 실행중이 아닌 경우에는, 표시 패널부(60)에 가려져 외관상으로 보이지 않는다.
계속해서, 제어부(50)는 표시 패널부(60)의 일측면으로 슬라이딩된 컨트롤 패드부(110)에 조명광을 제공하기 위하여 백라이트부(80)를 점등하고, 백라이트부(80)의 조명광을 선택된 해당 모드의 컨트롤 패드부(110)에 제공한다(S108).
그리하면, 조명광이 제공된 해당 모드의 컨트롤 패드부(110)는 활성화되어 해당 모드에 따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S110).
이후, 사용자로부터 점등된 컨트롤 패드부(110)가 제공하는 해당 기능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112).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티브이 모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입력된 신호가 티브이 제어 모드 신호임을 검출하고, 티브이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이 구비된 컨트롤 패드부(110)에 조명광을 제공하기 위하여 백라이트부(80)를 구동한다. 그리고, 백라이트부(80)의 조명광이 티브이 모드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ㄷ드(110)에 제공되도록 함과 동시에 티브이 모드를 활성화시켜 튜너부(1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티브이의 표시 패널부(60) 좌측에 구비된 DVD 모드에 조명광을 제공하여 DVD 모드를 활성화시키거나, 티브이의 표시 패널부(60)의 하측에 구비된 홈 네트워크 모드나, 티브이 표시 패널부(60) 상측에 구비된 오디오 모드를 활성화시켜 활성화된 해당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어 해당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사용자로부터 방송 수신기의 전원 오프(off)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기능에 따라 백라이트부(80)를 제어하여 티브이 측면에 구비된 컨트롤 패드부(110)를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사용자로부터 현재 실행 중인 해당 모드의 종료신호가 입력되면(S114), 제어부(50)는 패드 구동부(90)를 제어하여 슬라이딩된 컨트롤 패드(11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S116).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ㅊ실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을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의 기능을 제공하는 컨트롤 패드를 표시 패널부의 외부 측면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조명을 제공한 후, 해당 모드의 기능만을 활성화시킴으로서 사용자는 현재 방송 수신기가 제공하고 있는 모드가 어떤 것인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택된 모드의 컨트롤 패널에만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고, 해당 모드의 기능 수행에 따른 제어를 신속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패드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패널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거나 동일하게 형성하여 표시 패널부의 후면에 감춰지게 형성함으로써 미관상 좋은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사용자로부터 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키 신호에 대응되는 방송 수신기의 해당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모드의 기능을 제어하는 컨트롤 패드를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컨트롤 패드를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된 컨트롤 패드에 백라이드를 점등하여 조명을 제공하고, 해당 컨트롤 패드에 표시된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 패드가 제공하는 해당 기능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의 컨트롤 패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중인 해당 모드의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슬라이딩된 컨트롤 패드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의 컨트롤 패드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드는 표시 화면의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의 외부 측면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컨트롤 패드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기의 모드는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티브이 모드,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제공하는 DVD 모드, 오디오 모드, 홈 네트워크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모드의 컨트롤 패드만 외부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컨트롤 패드 제어 방법.
  5.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와;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외부 입력부와;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튜너부, 외부 입력부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어 모드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드부와;
    상기 컨트롤 패드부를 슬라이딩시키는 패널 구동부와;
    상기 컨트롤 패드부에 조명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부; 및
    상기 패널 구동부의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다수의 제어 모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모드의 컨트롤 패드가 슬라이딩되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딩된 해당 컨트롤 패드에 상기 백라이트부의 조명광이 제공되도록 함과 동시에 점등된 상기 컨트롤 패드에 표시된 해당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드부는
    방송 신호를 제어하는 티브이 모드, 외부 입력신호를 제어하는 DVD 모드, 오디오 모드 및 인터넷을 통해 신호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티브이 모드의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상기 컨트롤 패드부에는 리모컨이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드부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부의 측면 또는 후면의 상/하/좌/우에 투명 재질의 패드로 형성되어 상기 조명광을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드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하/좌/우가 각각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드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 패널부의 크기 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의 컨트롤 패드부는 상기 패널 구동부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부의 상/하/좌/우 중 어느 하나의 외부 측면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된 해당 모드의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슬라이딩된 컨트롤 패드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원의 오프(off)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백라이트를 제어하여 조명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KR1020070027136A 2007-03-20 2007-03-20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패드의 제어 방법 KR20080085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136A KR20080085502A (ko) 2007-03-20 2007-03-20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패드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136A KR20080085502A (ko) 2007-03-20 2007-03-20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패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502A true KR20080085502A (ko) 2008-09-24

Family

ID=4002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136A KR20080085502A (ko) 2007-03-20 2007-03-20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패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55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0318A (zh) * 2016-07-26 2016-11-16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电源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0318A (zh) * 2016-07-26 2016-11-16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电源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51019A1 (en) Edge lighting control
JPH08334832A (ja) 映像投射システム及びその位置マーク表示制御方法
CN102210178A (zh) 用于经由基于上下文的通信来节省功率的系统和方法
KR100996679B1 (ko) 샤워 시스템과 그것의 제어장치 및 방법
US20120274621A1 (en) Door phone apparatus for a dual monitor type kitchen televis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80085502A (ko)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패드의 제어 방법
KR20130058275A (ko) 스마트 avn 웰컴 시스템
KR101211119B1 (ko) 주방용 절전형 듀얼 터치스크린 모니터형 티브이 도어폰 장치
JP2010103988A (ja) 学習制御装置、遠隔制御装置、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2005065007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080085501A (ko)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패드의 제어 방법
US80357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levision remote control with simple features
KR20070003099A (ko) 터치 스크린 리모콘
JP5615087B2 (ja) 室内灯付き車両用表示装置
KR20080075968A (ko) 방송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US20130076983A1 (en)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of watching television programs
KR20040079110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리모컨 제어방법
CN201830373U (zh) 一种电视机装置
KR101452991B1 (ko) 주방용 듀얼 모니터형 다기능 티브이폰 및 그 운용방법
US9900543B1 (en) Synchroniz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use in TV system
KR20090082828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고려한 원격 리모컨의 엘이디 조명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226137B1 (ko) 정보텔레비젼의 무선 마우스 사용방법
US20090133061A1 (en) Broadcasting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41377A (ko) 리모컨 및 이를 이용한 입력 상태 표시 방법
KR200276473Y1 (ko) 원터치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