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484A - 용기마개 - Google Patents

용기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484A
KR20080084484A KR1020070026293A KR20070026293A KR20080084484A KR 20080084484 A KR20080084484 A KR 20080084484A KR 1020070026293 A KR1020070026293 A KR 1020070026293A KR 20070026293 A KR20070026293 A KR 20070026293A KR 20080084484 A KR20080084484 A KR 20080084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key
container
pressing plat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권
Original Assignee
노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권 filed Critical 노희권
Priority to KR1020070026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4484A/ko
Publication of KR20080084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engaging a threaded ring clamped on the external periphery of the neck o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4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 B65D50/041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the closure comprising nested inner and outer caps or an inner cap and an outer coaxial annular member, which can be brought into engagement to enable removal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o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5/00Child-proof means
    • B65D2215/02Child-proof mea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마개와 공회전되도록 내부마개와 결합되어 힘을 가하였을 때만 내부마개가 회전되도록 하는 외부마개를 구비하는 용기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의 용기입구에 장착되며 외부에 하나 이상의 제1키가 형성되는 내부마개와; 상기 내부마개에 대하여 공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마개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키와 물림되어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내부마개를 회전시키는 제2키가 형성되는 외부마개와; 상기 제1키 및 상기 제2키들이 이루는 키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키간격이 상기 외부마개에 힘을 가하여도 상기 외부마개의 회전에 의하여 열림방향으로는 공회전만 가능한 제1키간격에서 상기 외부마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내부마개를 열림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제2키간격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를 개시한다.
용기마개, 캡

Description

용기마개 {CLOSURE OF VESSE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용기마개의 내부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용기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용기마개에서 누름판이 눌렸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외부마개를 눌렀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도 3의 용기마개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도 3에서의 원주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용기마개에서 외부마개에 보조마개가 추가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12 : 용기입구
14 : 내부마개 16 : 외부마개
26 : 이탈방지 돌기 30 : 제1키
32 : 제2키 34 : 누름판
36 : 연결막 38: 암나사부
40 : 수나사부 44 : 이탈방지 그루브
본 발명은 용기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마개와 공회전되도록 내부마개와 결합되어 힘을 가하였을 때만 내부마개가 회전되도록 하는 외부마개를 구비하는 용기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맹독성 약물이 저장된 용기, 세제 등이 저장된 용기, 일반 가정 의약품이 저장되는 용기 등에는 어린이가 마개를 쉽게 개봉하기 어렵게 하는 용기마개의 장착이 의무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150)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15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용기입구(152)에 장착되는 내부마개(154)와 상기 내부마개(154)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마개(154)가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외부마개(156)와, 상기 내부마개(154)와 외부마개(156)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마개(156)를 하측방향으로 누를 경우에만 상기 외부마개(156)의 회전력을 내부마개(154)로 전달하여 내부마개(154)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력 전달부(160)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150)의 용기입구(152)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150)에 저장된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한 실링부재(170)가 접착되어 있다.
상기 내부마개(154)의 하측에는 용기입구(15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72)에 나선 결합되는 암나사부(174)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마개(156)의 하단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내부마개(154)가 외부마개(15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178)이 돌출된다.
상기 회전력 전달부(160)는 상기 내부마개(154)의 외측 상면에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일정 폭만큼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걸림돌기(164)와, 상기 외부마개(156)의 내측 상면에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하측방향으로 일정 폭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돌기(164)에 걸림되는 제2걸림돌기(16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용기마개는 내부마개(154)가 용기입구(15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마개(156)가 내부마개(154)의 외주면에서 공회전하기 때문에 외부마개(156)를 돌려도 그 회전력이 내부마개(154)로 전달되지 않아 어린이가 쉽게 열 수 없도록 한다.
그리고, 마개를 개방할 경우 외부마개(156)를 하측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내부마개(154)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164)들 사이의 공간에 외부마개(156)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166)가 삽입되면서 상호 물린 상태로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마개(156)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이 내부마개(154)로 전달되어 내부마개(154)도 회전되면서 내부마개(154)가 용기입구(152)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를 용기입구(152)에서 분리한 후 용기입구(152)에 실링된 실링부재(170)를 손으로 뜯어서 제거하거나, 칼 등의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여 제거한 후 용기(150)에 저장된 내용물을 용기입구(152)를 통해 배출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용기마개는 외부마개(156)를 누른 후 돌리기만 하면 외부마개(156)의 회전력이 내부마개(154)로 전달되기 때문에 어린이를 완벽하게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용기마개는 외부마개(156)를 누른 후 돌리기만 하면 외부마개(156)의 회전력이 내부마개(154)로 전달되어 개봉이 가능하므로 양주병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임의로 개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마개가 내부마개에 대하여 공회전만 되도록 결합된 후 안전장치의 작동에 의하여만 외부마개의 회전력이 내부마개로 전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마개와 내부마개 사이에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마개를 작동시키지 않을 때에는 외부마개를 외부마개의 회전력이 내부마개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완벽하게 어린이가 열 수 없도록 함으로써, 어린이 보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마개와 내부마개 사이에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마개를 작동시키지 않을 때에는 외부마개를 외부마개의 회전력이 내부마개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장치가 작동하여야만 외부마개의 회전력이 내부마개로 전달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그 개봉여부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어 소비자 및 제조자를 보호할 수 있는 용기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용기의 용기입구에 장착되며 외부에 하나 이상의 제1키가 형성되는 내부마개와; 상기 내부마개에 대하여 공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마개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키와 물림되어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내부마개를 회전시키는 제2키가 형성되는 외부마개와; 상기 제1키 및 상기 제2키들이 이루는 키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키간격이 상기 외부마개에 힘을 가하여도 상기 외부마개의 회전에 의하여 열림방향으로는 공회전만 가능한 제1키간격에서 상기 외부마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내부마개를 열림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제2키간격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를 개시한다.
상기 내부마개는 그 하측 내주면에 상기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나선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그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외부마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키는 상기 내부마개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제2키는 상기 외부마개의 저면에 상기 제1키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키의 끝단면은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외부마개의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 결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마개와 연결하는 연결막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막은 탄성 변형 가능한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이 이동된 위치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키는 상기 누름판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름판이 눌렸을 때 상기 내부마개의 상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부가 상기 내부마개 및 상기 외부마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누름판의 저면에서 연장형성된 탄성막 또는 상기 내부마개의 상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탄성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마개는 상기 누름판이 눌리기 전의 높이와 같거나 높게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마개는 상기 누름판이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마개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용기마개의 내부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용기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용기마개에서 누름판이 눌렸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외부마개를 눌렀을 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 기입구(12)에 장착되는 내부마개(14)와, 내부마개(14)의 외주면에 내부마개(14)와 공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외부마개(16)와, 내부마개(14) 및 외부마개(16)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외부마개(16)의 회전력을 내부마개(14)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10)는 물, 음료, 양주, 소주 등과 같은 주류 등 액체는 물론 맹독성 약물, 세제, 일반 가정 의약품 등 어린이에게 해를 입힐 수 있는 내용물이 저장된다.
그리고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용기입구(12)에는 용기입구(12)를 실링하여 상기 용기(10)에 담긴 저장물을 보호하는 실링부재(20)가 부착되거나, 후술하는 내부마개(14)의 저면에 라이너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실링부재(20)는 종이재질 또는 알루미늄 박판재질 등 칼 등에 의해 제거하기 용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마개(16)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다수의 요철 돌조(24)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하단 내주면에는 내부마개(14)가 외부마개(16)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용 돌기(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마개(14)는 외부마개(16)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용기입구(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40)에 나선 결합되는 암나사부(38)가 형성되며, 암나사부(38)의 상측 내주면에는 상기 용기입구(12)의 상단이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마개(14)의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외부마개(16)에 형성된 이탈 방지용 돌기(26)가 걸림되어 상기 내부마개(14)가 외부마개(1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용 그루브(4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탈 방지용 그루브(44)는 상기 내부마개(14)의 하단 외부면의 직경이 좁아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마개(16)이 내부마개(14)의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탈방지용 그루브(44)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마개(14)의 외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키(30)가 형성되고 외부마개(16)에는 제1키(30)와 기어물림되어 회전에 의하여 내부마개(14)를 회전시키는 제2키(32)가 형성된다.
상기 제1키(30)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내부마개(14)의 상면 또는 측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등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키(32)는 외부마개(16)의 저면 또는 내주면에 제1키(30)에 대응되어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되는 등 외부마개(16)의 저면에 제1키(30)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키(30)은 그 끝단면이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키(32)는 하단이 제1키(30)들 사이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뽀족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장치는 제1키(30) 및 제2키(32)들이 이루는 키간격(H)을 조절하여 키간격(H)이 외부마개(16)에 힘을 가하여도 외부마개(16)의 회전에 의하여 열 림방향으로는 공회전만 가능한 제1키간격에서 외부마개(16)의 회전에 의하여 내부마개(14)를 열림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제2키간격으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안전장치는 내부마개(14) 및 외부마개(16) 사이의 간격, 특히 제1키(30) 및 제2키(32)가 이루는 키간격(H)을 조절되는 구성은 모두 가능하며, 외부마개(16)의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누름판(34)과; 누름판(34)을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외부마개(16)와 연결하는 연결막(3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판(34)은 외부마개(16)의 내주면에 연결막(36)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도록 연결되는데, 상기 누름판(34)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내부마개(14) 및 외부마개(16) 사이의 간격, 즉 키간격(H)이 조절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판(34)의 저면에는 제2키(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키(30)는 제2키(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연결막(36)은 탄성 변형 가능한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되어 누름판(34)이 상측에 위치된 경우 누름판(34)을 탄성 지지하여 누름판(34)이 일정 힘 이상으로 눌러야만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막(36)은 누름판(34)의 이동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누름판(34)과 외부마개(16) 사이에 연결되는 경사각(α)이 조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름판(34)이 눌렸을 때 내부마개(14)의 상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부가 내부마개(14) 및 외부마개(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마개(16)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탄성막(46)으로 구성되거나, 내부마개(14)의 상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탄성막(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막(46)은 내부마개(14)의 상측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외부마개(16)에 힘이 가해질 때 그 변형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름판(34)는 이동 중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눌릴 수 있는 바, 상기 외부마개(16)는 누름판(34)이 눌리기 전의 높이와 같거나 높게 돌출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3의 용기마개에서 외부마개에 보조마개가 추가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 외부마개(1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34)이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마개(18)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마개(18)은 외부마개(16)과 나사결합, 힌지결합, 스냅 결합 등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마개(16) 또는 내부마개(14)에는 그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용기입구(12)에 결합된 스커트부(54)와 다수개의 브리지(51)들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용기마개의 작동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도 3의 용기마개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도 3에서 의 원주방향 단면도이다.
먼저, 용기마개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 즉 도 5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지 되지 않고 용기마개가 용기입구(12)에 장착된 상태일 때에는 안전장치에 의해 외부마개(16)에 형성되는 제1키(30)와 내부마개(14)에 형성되는 제2키(32)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되어 외부마개(16)의 회전력이 내부마개(14)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때 외부마개(16)의 저면에 형성된 제2키(32)는 내부마개(14)에 형성된 제1키(30)와 기어물림이 되지 않는 키간격(H)를 유지하거나 닫힘방향으로는 제1키(30)와 기어물림이 되면서 열림방향으로는 제1키(30)와 기어물림이 되지 않는 키간격(H)을 유지하게 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키(30) 및 제2키(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끝단에는 열림방향으로 경사면(31, 33)이 형성되어 열림방향으로는 제1키(30)의 경사면(31)에 의하여 제2키(33)가 기어물림되지 않고 넘어가게 되며 닫힘방향으로는 제2키(32)가 제1키(30)에 대하여 기어물림되어 외부마개(16)의 회전력이 닫힘방향으로만 내부마개(14)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8a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제1키(30)와 제2키(32)가 열림방향으로는 서로 기어물림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부마개(16)를 내부마개(14) 쪽으로 힘을 가하더라도 서로 기어물림되지 않도록 하여 공회전만 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누름판(34)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용기마개가 용기입구(12)와의 결합을 위하여 외부마개(16)의 회전력이 닫힘방향으로 내부마개(14)에 전달될 필요가 있는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마개(16)를 내부마개(14) 쪽으로 가하면 탄성막(46)이 변형되어 내부마개(14) 쪽으로 미세하게 이동되어 제1키(31)가 제2키(33)와 닫힘방향으로 기어물림되어 외부마개(16)의 회전력이 내부마개(14)로 닫힘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외부마개(16)에 형성된 누름판(34)를 누르게 되면 도 6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34)는 내부마개(14) 쪽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1키(30) 및 제2키(32)는 간격유지부, 즉 탄성막(46)에 의하여 열림방향으로는 제1키(30)와 기어물림되지 않고 닫힘방향으로는 제1키(30)와 기어물림되어 외부마개(16)의 회전력이 닫힘방향으로만 내부마개(14)로 전달되는 키간격(H)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내부마개(14)를 회전시켜 용기마개를 용기입구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외부마개(16)를 내부마개(14) 쪽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간격유지부인 탄성막(46)이 변형되어 도 7 및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키(30) 및 제2키(32)는 열림방향으로도 기어물림되어 외부마개(16)의 회전력이 내부마개(14)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판(34)가 눌린 후에만 제1키(30) 및 제2키(32)가 열림방향으로 서로 기어물림되도록 하여 외부마개(16)의 회전에 의하여 내부마개(14)의 회전에 의하여 용기마개는 용기입구(12)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는 외부마개가 내부마개가 이루는 간격을 조정하여 열림방향으로 공회전만이 가능한 상태를 만듦으로써 어린이 등이 불의에 의하여 용기가 개방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용기마개는 누름판이 눌린 상태에서만 외부마개의 회전력이 내부마개로 전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용기의 개봉 여부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12)

  1. 용기의 용기입구에 장착되며 외부에 하나 이상의 제1키가 형성되는 내부마개와;
    상기 내부마개에 대하여 공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마개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키와 물림되어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내부마개를 회전시키는 제2키가 형성되는 외부마개와;
    상기 제1키 및 상기 제2키들이 이루는 키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키간격이 상기 외부마개에 힘을 가하여도 상기 외부마개의 회전에 의하여 열림방향으로는 공회전만 가능한 제1키간격에서 상기 외부마개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내부마개를 열림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제2키간격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개는 그 하측 내주면에 상기 용기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나선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그 하단 외주면에는 상기 외부마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는 상기 내부마개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제2키는 상기 외부마개의 저면에 상기 제1키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의 끝단면은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외부마개의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마개와 연결하는 연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막은 탄성 변형 가능한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이 이동된 위치를 탄성 지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키는 상기 누름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이 눌렸을 때 상기 내부마개의 상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부가 상기 내부마개 및 상기 외부마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외부마개의 저면에서 연장형성된 탄성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내부마개의 상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탄성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마개는 상기 누름판이 눌리기 전의 높이와 같거나 높게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마개는 상기 누름판이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마개가 추가 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마개.
KR1020070026293A 2007-03-16 2007-03-16 용기마개 KR20080084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293A KR20080084484A (ko) 2007-03-16 2007-03-16 용기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293A KR20080084484A (ko) 2007-03-16 2007-03-16 용기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484A true KR20080084484A (ko) 2008-09-19

Family

ID=40024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293A KR20080084484A (ko) 2007-03-16 2007-03-16 용기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44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4157A3 (ko) * 2010-11-11 2012-07-19 (주)연우 안전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4157A3 (ko) * 2010-11-11 2012-07-19 (주)연우 안전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1982A (en) Beverage container with cap and spout
RU2696393C2 (ru) Смешивающе-укупор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мкости
US6874664B1 (en) Push-pull dispenser with folding fingers
US4756435A (en) Child-proof screw closure with thread stripping prevention
KR20090042182A (ko) 용기마개
JPH0220501B2 (ko)
KR20060099794A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JP5090021B2 (ja) キャップおよび閉止装置ならびに飲料入り閉止装置
KR20080084484A (ko) 용기마개
KR20070121342A (ko) 안전마개
KR20090099196A (ko) 용기마개
JP4881670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JP4615304B2 (ja) キャップおよび容器ならびに閉止装置
JP4294411B2 (ja) 液体容器用キャップ
JP4500557B2 (ja) キャップ
KR200425713Y1 (ko) 안전마개
KR101302197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100743638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JP4354211B2 (ja) 注出口のキャップ
EP0490775A1 (fr) Bouchon de sécurité à vis
CN220375239U (zh) 开启盖
JP4811855B2 (ja) 注出容器
KR100755037B1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KR20120030495A (ko) 어린이 보호용 마개
JP2008037433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