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3847A -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3847A
KR20080083847A KR1020070024579A KR20070024579A KR20080083847A KR 20080083847 A KR20080083847 A KR 20080083847A KR 1020070024579 A KR1020070024579 A KR 1020070024579A KR 20070024579 A KR20070024579 A KR 20070024579A KR 20080083847 A KR20080083847 A KR 20080083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disease
treatment composition
disease treatment
preparing
cond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미
Original Assignee
장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미 filed Critical 장영미
Priority to KR1020070024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3847A/ko
Publication of KR2008008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8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61K36/634Forsyth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바이러스에 의한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톱 및 손발 각 무좀과 바이러스에 의한 피부질환에 효과적이고, 주원료로 생약제를 사용하여 환부에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효과가 뛰어난 특징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공보한열동용(攻補寒熱同用)의 상생(相生) 규율을 이용하여 효능을 배가시키는 것이며, 성격이 온(溫)한 감초(甘草)를 추가하여 조화(調和)를 이루고 초오, 천오(또는 오두), 부자는 성격이 열하면서 대독(大毒)하여 바이러스를 괴사시키며, 금은화, 유피(또는 유근피), 연교 등은 성격이 한(寒)하면서 한약초 365가지 가운데 가장 소염작용이 뛰어난 특징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정반대되는 성격의 약초를 함께 사용하여, 양성(陽性)인 열(熱)한 약초와 음성(陰性)인 한(寒)한 약초가 서로 상생작용을 하도록 함으로써, 항바이러스의 효능을 극대화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금은화, 초오, 연교, 천오(오두), 유(근)피, 크레오소오트, 구아이아콜로서, 부자, 감초, 글리시리진산.

Description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사용방법{The Manufacturing and Using Method of Treatment for Skin Trouble}
본 발명은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치료가능한 손ㆍ발톱 및 손발의 각 무좀은 일반적으로 각질화된 조직 층을 침범하는 피부사상균(dermatophytes)에 의해 발에 생기는 감염증으로 성인 남성에게 흔히 발생하며 소아에게는 드문 특성이 있다.
또한, 유모 표피 곰팡이(Epidermophyton floccosum), 성홍색백선균 러브럼 (Trichophyton rubrum), 모창백선균(T. mentagrophytes)이 원인균이며 병변의 특징에 따라 지간형(intertriginous type)·소수포형(vesicular type)·건조인설형(dry sqnamous type)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지간형은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에게서 발생하기 쉽고 만성이며 일반적으로 여름철에 악화되지만 겨울철이라도 더운 환경에 노출되면 심해지며 소수포형은 지간형과 함께 나타나는 수도 있고, 침범하는 부위는 주로 발바닥, 발등, 발가락 사이이다. 다양한 크기의 소수포가 깊숙이 존재하는데, 그것들은 황색의 액체로 차 있고 서로 융합해 대수포를 형성하기도 한다.
더운 여름철에 갑자기 나타나기도 하며 소수포가 형성될 때는 심한 소양감을 나타낸다. 건조인설형은 아주 만성적인 난치형으로 발바닥 전면에 미만성의 미세한 인설을 나타내고 비교적 염증의 소견이 없으므로 둔한 적색을 띠며 과각화증을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피부질환 치료제 특히 무좀 치료제는 구강용 알약의 경우 간 독성에 대한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고, 환부도포용의 경우도 항생제와 같은 화학물질에 대한 완전히 검증되지 못한 인체의 부작용을 감안할 때,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치료제는 그 효과대비 기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무좀치료에 있어 광범위 피부질환 치료제에 함유된 스테로이드물질을 사용하게 되면, 시간이 지날수록 많은 양을 사용해야하는 중독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기반 지식이 부족한 일반 환자들은 손쉽게 약국에서 치료제를 구입하여 무분별하게 사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심각한 상황에 방치되어오는 실정이다.
또한, 무좀과 증상이 비슷한 습진은 원인균이 상이한 관계로 그 치료에 상이한 치료물질이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를 일반인이 구분하여 이용하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며 무좀에 습진 연고를 바르면 잠깐 나아지기는 하나 습진 치료에 쓰이는 스테로이드제가 든 연고를 바르면 얼마 지나지 않아 세균은 내성을 가지게 되어 무좀은 더욱 악화하여 그 확산 진행속도도 빨라지는 부작용도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제약회사마다 시판되고 있는 항생제를 포함한 다종의 화학약품의 혼합으로 구성된 의약품의 장기 사용에 따른 부작용의 문제를 생약제를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작용이 없는 생약제를 사용한 광범위한 피부질환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누구나가 별도의 의사 처방 없이 손쉽게 민간요법으로 사용 및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손쉽고 경제적인 피부 질환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금은화 5.5g, 초오 3g, 연교 5.5g, 천오 3g, 유피 5.5g, 크레오소오트 0.31g, 부자 3g, 질이 좋은 감초 2g을 분쇄하여 혼합약재를 마련하는 제 1 단계와;
물에 의한 희석비율로 7 ~ 14%의 산도를 갖는 식용식초를 마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혼합약재에 식용식초를 혼합하여 호박죽과 같은 점도의 혼합액을 마련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 치료 조성물 각각의 특성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금은화 - 인동덩쿨 꽃으로 꽃이 피기 직전의 전초를 그늘에 말려서 사용하며, 청열해독, 소염배농,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백혈구의 탐식작용촉진, 중추신경 계의 흥분작용, 혈청콜레스테롤강하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오 - 부종, 암, 관절, 통증완화, 풍습증으로 인한 마비증상이나 인사불성, 류마티스성 관절염, 신경통, 요통, 파상풍 치료 및 배가 차가워 생기는 복통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교 - 말린 개나리 열매를 이용하며, 옴의 치료약재로 사용되고, 열을 내리고 독을 해독하며 바이러스나 세균을 억제하고 심장을 튼튼히 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오 - 초오와 성질이 비슷하며 마취, 진통제로 사용되고 맵고 쓰며 독성과 열이 많은 특징이 있다.
유피 - 차고 무독하며 맛은 달다. 느릅나무의 껍질을 사용하며, 천연 항생제로 사용된다.
크레오소오트 - 살균·방부·거담·진해제로 만성 기관지염이나 위장의 이상 발효 등에 사용하는 외에 충치의 치통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자 - 신, 폐, 기를 상승시켜주는 작용이 있으며 손발이 차고 무릎이 시린데, 음위증, 기침, 숨차기, 신경통, 관절 류머티즘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초 -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로서, 해독작용, 진정작용, 소염작용, 노화방지, 모든 약재의 화해작용 및 비기와 폐기를 보하고, 담을 삭이고 기침을 멈추며 열을 내리고 새살이 돋아나게 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체되는 조성물로,
「크레오소오트를 대체하여 크레오소오트에 함유되어 있는 구아이아콜로서와, 유피를 대체하여, 유근피(느릅나무의 껍질을 사용하며 천연 항생제로 사용된다)와, 감초가루를 대체하여 감초가루에 함유되어 있는 글리시리진산(glycyrrhizic Acid) (피부 진정 및 소염, 항궤양 등에 사용되며 세포막 보호, 혈액 노화 예방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위하여 아래와 같은 제조방법이 추가될 수 있는 것이다.
동일한 효능을 얻기 위하여 본 발명의 초오는 같은 양의 오두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일한 효능을 얻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감초를, 감초 중량의 1/40에 해당하는 글리시리진산으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일한 효능을 얻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피는 같은 양의 유근피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일한 효능을 얻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감초는 환부증상에 따라 함량을 0g ~ 5g 까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혼합약재 중 약재의 중량을 감소하면서 동질의 효능을 얻기 위하여 크레오소오트 중량의 1/4에 해당하는 구아이아콜로서로 크레오소오트가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식용식초는 기재된 범위 내에서 그 산도를 조율하는 것이 가능한 특징이 있는 것으로 피부가 연약하거나, 민감한 경우 산도를 낮추고, 환부 증상 및 피 부 질환의 경중에 따라서 산도 범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조성물 중 초오, 천오(또는 오두), 부자는 한약 중에서 가장 열이 많고, 금은화, 유피(또는 유근피), 연교는 열을 내리고 독을 해독하는 찬 성질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동양의학에서는 이처럼 열성(熱性)을 가지는 것을 양(陽)이라 하고, 냉성(冷性)을 가지는 것을 음(陰)이라 칭한다.
이는 냉한 성분은 인체의 열을 없애주고 더운 열 성분은 냉한 것을 없애주는 성질이 있으나 이는 너무 치우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과 음은 항상 유기적으로 상생작용을 하여 질병을 치유하는 능력를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조성물 각각이 가지는 고유의 단일 성분으로서의 특징을 배가시켜 그 효용성과 유기적 관계의 활성화를 꾀하는 것으로 이는 공보한열동용(攻補寒熱同用)의 규율을 응용한 것이다.
즉, 약초 중에 초오, 천오(또는 오두), 부자는 독성이 있는 것으로 그 약성은 열독(熱毒)하고, 금은화, 유피(또는 유근피), 연교는 약성이 한(寒)한 특성이 있다.
또한, 열한약을 양(陽)이라 칭하고 한(寒)한약을 음(陰)이라 칭하는 한의학에서 살펴볼 때, 상생규율에 열(熱)로서 음(陰)을 조(調)하고, 한(寒)으로서 양(陽)을 조(調)하는 것은 알려진 바와 같다.
따라서 이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효과를 상세하면 다음과 같다.
음증(陰證)은 마땅히 온(溫)해야 하겠지만 열(熱)을 뛴 경우도 있으므로 약재의 사용에 있어서는 이 모두를 전례(前例)로써 추측할 수 있고 또한, 냉열(冷熱)의 경중을 파악하여 사용량을 증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공보한열동용(攻補寒熱同用)의 상생(相生) 규율을 이용하여 효능을 배가시키는 것이며, 성격이 온(溫)한 감초(甘草)를 추가하여 조화(調和)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즉 초오, 천오(또는 오두), 부자는 성격이 열하면서 대독(大毒)하여 바이러스를 괴사시키며, 금은화, 유피(또는 유근피), 연교 등은 성격이 한(寒)하면서 한약초 365가지 가운데 가장 소염작용이 뛰어나 항바이러스제로써, 많이 사용하고 있는 약초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정반대되는 성격의 약초를 함께 사용하여, 양성(陽性)인 열(熱)한 약초와 음성(陰性)인 한(寒)한 약초가 서로 상생작용을 하도록 함으로써, 항바이러스의 효능을 극대화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생성된 호박죽 형태의 약 액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사용방법은
고무액 또는 연질수지제로 되고 손톱과 발톱을 씌우기 위한 콘돔형태의 씌움 구조를 마련하는 제 1 단계와;
세균, 곰팡이 또는 바이러스의 박멸을 촉진하기 위하여 솜이나 거즈에 젤 상 태의 약액을 흠뻑 탐침시켜 환부를 감싼 뒤 상기 콘돔형태의 고무 포대를 덮어씌워 산도 및 수분이 증발되거나 공기와의 유통을 차단하는 제 2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사용방법에 있어서, 손ㆍ발톱이 아니어서 콘돔 형태가 불가한 피부 부위에는 고무막이나 (주방 또는 식탁용)랩 등을 이용한 패치 형태로 부착하거나 감싸는 것이 고려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혼합약재를 마련하는 제 1 단계에 있어, 초오, 천오, 부자의 약재는 치료효과를 배가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2g까지 추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식초의 피부 유연 작용에 의한 약물 침투를 용이하게 하고 환부에 도포된 치료조성물이 외부로 누출되거나 증발됨이 없이 환부에 스며들게 되는 것으로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공보한열동용(攻補寒熱同用)의 상생(相生) 규율을 이용하여 효능을 배가시키는 것으로 상반되는 성격의 약초를 함께 사용하여, 양성(陽性)인 열(熱)한 약초와 음성(陰性)인 한(寒)한 약초가 서로 상생작용을 하도록 함으로써, 항바이러스의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며 생약제의 적절한 배합에 의한 뛰어난 효능이 있어, 무좀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피부질환 치료에 효과적인 치료제로써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뛰어난 것이다.

Claims (7)

  1.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금은화 5.5g, 초오 3 ~ 5g, 연교 5.5g, 천오 3 ~ 5g, 유피 5.5g, 크레오소오트 0.31g, 부자 3 ~ 5g, 질이 좋은 감초 2 ~ 5g을 분쇄하여 혼합약재를 마련하는 제 1 단계와;
    물에 의한 희석비율로 7 ~ 14%의 산도를 갖는 식용식초를 마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혼합약재에 식용식초를 혼합하여 호박죽과 같은 점도의 혼합액을 마련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초오는 같은 양의 오두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감초를 대체하여, 감초 중량의 1/40에 해당하는 글리시리진산으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유피는 같은 양의 유근피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크레오소오트를 대체하여, 크레오소오트 중량의 1/4에 해당하는 구아이아콜로서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의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되는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고무액 또는 연질수지제로 되고 손톱과 발톱을 씌우기 위한 콘돔형태의 씌움 구조를 마련하는 제 1 단계와;
    솜이나 거즈에 젤 상태의 약액을 흠뻑 탐침시켜 환부를 감싼 뒤 상기 콘돔형태의 고무 포대를 덮어씌워 공기 유통을 차단하는 제 2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사용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 콘돔 형태의 포대 사용이 불가한 피부 부위에는 고무막이나 주방용 랩 등으로 덮어씌워 공기 유통을 차단하는 단계로 대체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사용방법.
KR1020070024579A 2007-03-13 2007-03-13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080083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579A KR20080083847A (ko) 2007-03-13 2007-03-13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579A KR20080083847A (ko) 2007-03-13 2007-03-13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847A true KR20080083847A (ko) 2008-09-19

Family

ID=4002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579A KR20080083847A (ko) 2007-03-13 2007-03-13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38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0697A (zh) * 2012-12-13 2013-02-27 济南康众医药科技开发有限公司 治疗过敏性鼻炎和支气管哮喘的药物
CN103181957A (zh) * 2013-01-15 2013-07-03 浙江中医药大学 一种能完全去除附子急性毒性并保留其药效活性的制备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0697A (zh) * 2012-12-13 2013-02-27 济南康众医药科技开发有限公司 治疗过敏性鼻炎和支气管哮喘的药物
CN103181957A (zh) * 2013-01-15 2013-07-03 浙江中医药大学 一种能完全去除附子急性毒性并保留其药效活性的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33279B (zh) 皮肤多种损伤创面治疗的外用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052321B1 (ko) 무좀 치료 조성물
CN108310339A (zh) 一种排毒祛湿养生足贴
CN108938800A (zh) 一种治疗皮肤病涂液膜
CN104857290A (zh) 一种治疗烧烫伤的中药消毒膏及其制备方法
US20100068306A1 (en) Compositions for accelerating the healing response
CN104587070A (zh) 一种治疗风寒湿痹阻型项痹的中药组合物
CN104873446B (zh) 一种含肉桂油的牙膏
CN104474028B (zh) 治疗皮肤瘙痒的药膏及其制备方法
KR100564659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찜질용 패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찜질 파스
KR20080083847A (ko) 피부질환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7550974A (zh) 治疗面瘫的外用药物组合物及其用途
CN1660264A (zh) 一种浴足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00135479A (ko) 무좀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864729A (zh) 一种纯中药外伤消敛药物
CN112957441A (zh) 一种祛风除湿、温通经络、活血止痛的外用药膜涂膜剂及其制备方法
CN111686188A (zh) 一种清凉膏及其制备方法和应用方法
CN101337026A (zh) 一种治疗痛风的外用药物组合物
CN103860828A (zh) 治疗跌打损伤、骨折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10652562A (zh) 一种跌打损伤药酒
CN1136797C (zh) 健步鞋垫及其生产方法
CN108355082A (zh) 一种去脚气的中药足浴粉及其制备方法
CN104873723B (zh) 一种含肉桂油的烧烫伤药
CN107929624A (zh) 一种治疗脚气的药膏及其制备方法
CN107019788A (zh) 一种治疗脚气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