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173A - 볼륨 조절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볼륨 조절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2173A
KR20080082173A KR1020070022661A KR20070022661A KR20080082173A KR 20080082173 A KR20080082173 A KR 20080082173A KR 1020070022661 A KR1020070022661 A KR 1020070022661A KR 20070022661 A KR20070022661 A KR 20070022661A KR 20080082173 A KR20080082173 A KR 20080082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channel
variable gain
information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2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2173A/ko
Publication of KR20080082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륨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는 채널 변경을 감지하여 채널 감지 사실을 알리고,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가변 이득만큼 증폭하여 출력한다. 볼륨 조절 장치는 출력되는 음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음량에 대응하는 음량 정보를 생성하고, 채널 감지 사실을 인식하고, 채널 변경 전후의 음량을 비교하여, 채널 변경 후 음량이 채널 변경 전 음량과 다른 경우 변경 전 채널 음량과 변경 후 채널 음량이 동일하도록 조절기 위해 가변 이득을 조절한다.
가변 이득, 채널, 볼륨

Description

볼륨 조절 장치 및 그 구동 방법{VOLUME CONTROL DEVICE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볼륨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채널 변경 또는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지정한 볼륨의 음량을 유지하는 볼륨 조절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볼륨 조절 장치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볼륨의 레벨에 따라 출력 음량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볼륨 조절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동일한 볼륨 레벨을 지정하더라도 채널에 따라 다른 음량을 갖는 음향이 제공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텔레비전에서 종래 볼륨 조절 장치는 수신되는 음향 신호에 의해 채널별로 다 른 음량이 출력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주위 환경의 잡음이 갑자기 커지는 경우, 사용자는 동일한 레벨의 볼륨으로는 정확히 가청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채널 또는 외부 환경에 관계없이 일정한 레벨의 음량을 제공하는 볼륨 제어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는, 채널 변경을 감지하여 채널 감지 사실을 알리는 채널 감지부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가변 이득만큼 증폭하여 출력하는 가변 이득 증폭부 상기 가변 이득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음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음량에 대응하는 음량 정보를 생성하는 변환부 및 상기 채널 감지 사실을 인식하고, 채널 변경 전후의 음량을 비교하여, 채널 변경 후 음량이 채널 변경 전 음량과 다른 경우, 상기 변경 전 채널 음량과 상기 변경 후 채널 음량이 동일하도록 상기 가변 이득을 조절하는 가변 이득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는, 채널 변경을 감지하여 채널 감지 사실을 알리는 채널 감지부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가변 이득만큼 증폭하여 출력하는 가변 이득 증폭부 상기 가변 이득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음향 신호의 음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음량에 대응하는 제1 음량 정보를 생성하는 변환부 외부 음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음량에 대응되는 제2 음량 정보를 생성하는 외부음량 측정부, 및 상기 채널 감지 사실을 인식하고, 채널 변경 전후의 음량을 비교하여, 채널 변경 후 제2 음량이 채널 변경 전 제1 음량과 다른 경우, 상기 제1 음량과 상기 제2 음량이 같아지도록 상기 가변 이득을 조절하고, 상기 제2 외부 음량 정보를 입력받아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가변 이득을 조절하는 가변 이득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의 작동 방법은, a) 채널 변경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음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감지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음량 정보를 상기 채널 변경 감지 시점을 기준으로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제2 채널 음량 정보로 구분하는 단계 c) 상기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상기 제2 채널 음량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상기 제2 채널 음량 정보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판단 결과 상기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상기 제2 채널 음량 정보가 다른 경우, 상기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상기 제2 채널 음량 정보를 이용하여 음량 비를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음량 비에 따라 가변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는 채널 감지부(100), 가변 이득 증폭부(200), 가변 이득 조절부(400) 및 변환부(300)를 포함한다.
채널 감지부(100)는 채널 변경을 감지하면, 가변 이득 조절부(400)로 채널 변경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여 채널 변경 사실을 알린다.
가변 이득 증폭부(200)는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가변 이득만큼 증폭하여, 스피커로 전송한다.
변환부(300)는 가변 이득 증폭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음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음량에 대응하는 음량 정보를 생성한다. 변환부(300)는 생성된 음량 정보를 가변 이득 조절부(400)로 전송한다.
가변 이득 조절부(400)는 채널 변경 전후의 음량을 비교하여, 채널 변경 후 음량이 채널 변경 전 음량과 다른 경우 변경 전 채널 음량과 동일하게 변경 후 채 널 음량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변경 전 채널 음량과 변경 후 채널 음량을 비교하여, 가변 이득을 조절하고, 조절된 가변이득을 가변 이득 증폭부(200)로 전송한다. 가변 이득 조절부(400)는 채널 감지부(100)로부터 채널 변경 정보를 수신하여, 채널 변경 사실을 인식하면, 채널 변경 인식 시점을 기준으로, 제1 음량 정보를 변경 전 채널 음량 정보(이하, '제1 채널 음량 정보'라 함.)와 변경 후 채널 음량 정보(이하, '제2 채널 음량 정보'라 함.)로 구분한다. 가변 이득 조절부(400)는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제2 채널 음량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가변 이득을 결정한다. 제1 채널 음량 정보가 10이고, 제2 채널 음량 정보가 8이라면, 종전 이득을 1.25배 증가시킨 가변 이득을 가변 이득 증폭부(200)로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채널 감지부(100)는 채널 변경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가변 이득 조절부(400)로 전송한다(S100).
가변 이득 조절부(400)는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음량 정보를 S100단계에서 채널 변경을 감지한 시점을 기준으로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제2 채널 음량 정보로 구분한다(S110).
가변 이득 조절부(400)는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제2 채널 음량 정보를 비교하여,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제2 채널 음량 정보가 다른지 판단한다(S120).
S120 단계에서 판단 결과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제2 채널 음량 정보가 다른 경우, 가변 이득 조절부(400)는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제2 채널 음량 정보를 이용하여 음량 비를 생성한다(S130). S120 단계에서 판단결과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제2 채널 음량 정보가 동일한 경우, 가변 이득 조절부(400)는 이득을 조절하지 않고, 현재 이득을 유지한다.
S130 단계에서, 생성된 음량 비에 따라 가변 이득을 조절하여, 가변 이득 증폭부(200)로 전송한다(S14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는 채널 변경시 발생하는 음량 차를 증폭부의 가변 이득을 조절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에 비해 외부 음량 측정부(5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 이득 조절부(400`)는 외부 음량 측정부(500)와 연결되어, 스피커 주위의 환경에 관한 음량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더 고려하여, 가변 이득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에서 채널 감지부(100`), 가변 이득 증폭부(200`) 및 변환부(3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륨 조절 장치와 동일한바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
외부 음량 측정부(500)는 스피커 주변의 음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음량에 대 응되는 외부 음량 정보를 생성한다. 외부 음량 측정부(500)는 외부 음량 정보를 가변 이득 조절부(400`)로 전송한다.
가변 이득 조절부(400`)는 외부 음량 정보를 입력받고, 외부 음량을 고려하여 가변 이득을 생성한다. 채널 변경이 인식되지 않더라도, 외부 음량이 임계치를 넘으면 가변 이득을 증가시켜 가변 이득 증폭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음량이 증가되도록 제어한다. 가변 이득 조절부(400`)는 외부 음량이 임계치를 넘으면, 외부 음량과 임계치의 차에 비례하는 가변 이득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임계치는 현재 설정된 볼륨에 비례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설정 볼륨이 10이면, 임계치는 8로 설정된다. 이때 외부 음량이 12인 경우 외부 음량이 임계치를 초과하므로, 가변 이득 조절부(400`)는 외부 음량과 임계치의 차인 4에 대응하는 이득으로 가변 이득을 조절한다. 설정 볼륨에서 4가 상승된 음량 14가 되기 위해서 가변 이득 조절부(400`)는 종전 이득의 1.4배에해당하는 가변 이득으로 조절한다. 조절된 가변 이득은 가변 이득 증폭부(200`)에 전송되고, 가변 이득 증폭부(200`)는 가변된 이득에 따라 음량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가변 이득 조절부(400`)는 외부 음량 측정부(500)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음량이 다시 임계치 미만이 되면, 조절된 가변 이득을 조절전의 이득으로 가변 이득을 조절한다.
가변 이득 조절부(400`)는 채널 변경과 외부 음량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이 동시에 인식되면, 우선 적으로 채널 변경에 따른 음량 조절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음량 조절이 필요한 경우, 가변 이득을 조절한다. 그 다음으로, 가변 이득 조절 부는 외부 음량을 고려하여 채널 변경에 따라 조절된 가변 이득을 재조절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변 이득 조절부는 외부환경의 음량을 고려하여 음량을 재조정함으로써, 사용자는 항상 일정 레벨이상의 음량으로 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채널 변경에 의해 발생하는 음량 차를 방지할 수 있는 볼륨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채널 변경에 의해 발생하는 음량 차 방지와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10)

  1. 채널 변경을 감지하여 채널 감지 사실을 알리는 채널 감지부,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가변 이득만큼 증폭하여 출력하는 가변 이득 증폭부,
    상기 가변 이득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음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음량에 대응하는 음량 정보를 생성하는 변환부 및
    상기 채널 감지 사실을 인식하고, 채널 변경 전후의 음량을 비교하여, 채널 변경 후 음량이 채널 변경 전 음량과 다른 경우, 상기 변경 전 채널 음량과 상기 변경 후 채널 음량이 동일하도록 상기 가변 이득을 조절하는 가변 이득 조절부
    를 포함하는 볼륨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이득 조절부는,
    상기 채널 변경 사실 인식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음량 정보를 변경 전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변경 후 제2 채널 음량 정보로 구분하는 볼륨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제2 채널 음량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가변 이득을 결정하는 볼륨 조절 장치.
  4. 채널 변경을 감지하여 채널 감지 사실을 알리는 채널 감지부,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가변 이득만큼 증폭하여 출력하는 가변 이득 증폭부,
    상기 가변 이득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음향 신호의 음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음량에 대응하는 제1 음량 정보를 생성하는 변환부,
    외부 음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음량에 대응되는 제2 음량 정보를 생성하는 외부음량 측정부, 및
    상기 채널 감지 사실을 인식하고, 채널 변경 전후의 음량을 비교하여, 채널 변경 후 제2 음량이 채널 변경 전 제1 음량과 다른 경우, 상기 제1 음량과 상기 제2 음량이 같아지도록 상기 가변 이득을 조절하고, 상기 제2 외부 음량 정보를 입력받아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가변 이득을 조절하는 가변 이득 조절부
    를 포함하는 볼륨 조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이득 조절부는,
    상기 외부 음량이 상기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외부 음량과 상기 임계치의 차에 대응하는 가변 이득으로 조절하는 볼륨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임계치는 현재 설정된 볼륨에 비례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볼륨 조절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이득 조절부는,
    상기 외부 음량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 되면, 상기 가변 이득을 상기 외부 음량이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기 전의 가변 이득으로 조절하는 볼륨 조절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이득 조절부는,
    상기 채널 변경과 상기 외부 음량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이 동시에 인식되면, 우선 적으로 상기 채널 변경에 따른 상기 음량 조절이 필요한지 판단하고, 상기 음량 조절이 필요한 경우, 상기 가변 이득을 조절한후, 외부 음량을 고려하여 상기 가변 이득을 재조절하는 볼륨 조절 장치.
  9. a) 채널 변경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음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감지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음량 정보를 상기 채널 변경 감지 시점을 기준으로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제2 채널 음량 정보로 구분하는 단계
    c) 상기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상기 제2 채널 음량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상기 제2 채널 음량 정보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판단 결과 상기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상기 제2 채널 음량 정보가 다른 경우, 상기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상기 제2 채널 음량 정보를 이용하여 음량 비를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음량 비에 따라 가변 이득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볼륨 조절 장치 구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판단결과,
    상기 제1 채널 음량 정보와 상기 제2 채널 음량 정보가 동일한 경우, 상기 가변 이득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볼륨 조절 장치 구동 방법.
KR1020070022661A 2007-03-07 2007-03-07 볼륨 조절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80082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661A KR20080082173A (ko) 2007-03-07 2007-03-07 볼륨 조절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661A KR20080082173A (ko) 2007-03-07 2007-03-07 볼륨 조절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173A true KR20080082173A (ko) 2008-09-11

Family

ID=4002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661A KR20080082173A (ko) 2007-03-07 2007-03-07 볼륨 조절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21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25946A (zh) * 2009-09-18 2011-04-20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音量控制方法及采用该方法的数字电视一体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25946A (zh) * 2009-09-18 2011-04-20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音量控制方法及采用该方法的数字电视一体机
CN102025946B (zh) * 2009-09-18 2013-05-08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音量控制方法及采用该方法的数字电视一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85014A1 (en) Active gain adjusting method and related system based on distance from users
US20060126856A1 (en) Volume control method and audio device
TW200713873A (en) Optical receiver and discrimination-threshold generating method
WO2010000878A2 (en) Speech enhancement method and system
US20170097805A1 (en) Audio-Signal Processing Device, and Audio-Signal Processing Method
TW200611489A (en) Amplifying apparatus with automatic level controller
US8165327B2 (en) Method for generating acoustic signals of a hearing aid
US9219455B2 (en) Peak detection when adapting a signal gain based on signal loudness
KR20120059837A (ko) 음성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20170004845A1 (en) Handheld device with microphone
KR20080082173A (ko) 볼륨 조절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8301363A (ja) 拡声装置
JP2005080303A (ja) オーディオトランスデューサ用音声マッチングシステム
JP2010252255A (ja) 自動音量制御出力装置
KR0151414B1 (ko) 영상처리 시스템의 자동이득 조절회로
JP4797539B2 (ja) 音響システム
KR10062652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오디오 제어 장치
JP2003108162A (ja) スピーカ音量自動制御装置
JP3196003U (ja) 音声案内装置
JPH11127084A (ja) 検波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送信装置ならびに受信装置
KR10057579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앰프의 이득 제어 장치와방법
US10547940B1 (en) Sound collec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ound collection equipment
JP3237350B2 (ja) 自動利得制御装置
JP200805398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10159927A (ja) リモコン装置およびリモコ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