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098A -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2098A
KR20080082098A KR1020070022467A KR20070022467A KR20080082098A KR 20080082098 A KR20080082098 A KR 20080082098A KR 1020070022467 A KR1020070022467 A KR 1020070022467A KR 20070022467 A KR20070022467 A KR 20070022467A KR 20080082098 A KR20080082098 A KR 20080082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rength
information
mux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2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2098A/ko
Publication of KR20080082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대해,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진단 메뉴 내의 채널 정보를 재정렬하고, 재정렬된 채널 정보 리스트를 먹스 별로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채널 정보를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둘째, 신호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채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채널별로 편집이 용이하다.

Description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A broadcasting receiver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a broadcasting receiver}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진단 메뉴의 디스플레이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진단 메뉴의 디스플레이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튜너부 102: 복조부
103: 역다중화부 104: SI 디코더
105: SI 데이터베이스 106: 캐로셀 디코더
107: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108: A/V 디코더
109: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10: 제어부
111: 저장부 112: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정렬하는 진단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 수신 장치는 채널의 정보를 보여주는 진단(Diagnostics) 메뉴를 제공한다. 진단 메뉴는 오토 튜닝으로 잡은 전체 먹스(MUX)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이때, 먹스라 함은 물리적 주파수(phisical frequency)인데, 멀티플렉서(multiplexer)를 의미한다. 즉, 송신측에서 이용하는 멀티플렉스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진단 메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도시한다.
도 1a 및 도1b를 참조하면, 진단 메뉴에 진입하면, 오토 튜닝시 검색된 먹스를 내림차순 즉, 먹스 번호가 작은 순에서 큰 순으로 나열을 한다(도 1a). 각 먹스간에는 커서를 사용하여 이동이 가능하고, 먹스간 이동을 한 후, 엔터키를 누르면 그 먹스에 해당하는 세부 정보를 보여준다(도 1b).
종래에는 오토 스캔으로 검색된 모든 채널 또는 먹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였다. 따라서 수신 강도가 낮아서 제대로된 방송을 출력할 수 없거나, 디지털 방송의 경우 디스플레이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검색된 채널 또는 먹스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혼란을 가져다주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먹스 또는 채널 정보를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호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채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먹스 또는 채널별로 편집이 용이하도록 하는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먹스(MUX)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진단(Diagnostics)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먹스(MUX) 정보를 신호의 세기 순서대로 먹스 정보 리스트를 재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세기 순서대로 재정렬된 먹스 정보 리스트 상에서 사용자 채널 편집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먹스(MUX)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진단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세기에 따라 채널 정보를 재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신호의 세기 순서대로 재정렬된 먹스 정보 리스트 상에서 사용자 채널 편집 신호가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진단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채널 정보를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둘째, 신호의 신호의 세 기에 따라 채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채널별로 편집이 용이하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먹스(MUX)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진단(Diagnostics)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먹스(MUX) 정보를 신호의 세기 순서대로 먹스 정보 리스트를 재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세기 순서대로 재정렬된 먹스 정보 리스트 상에서 사용자 채널 편집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1)는, 방송 스트림 및 방송 신호에 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한다. 즉, 수신하는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정보 테이블을 함께 수신한다. 방송 스트림에 대한 정보는 전송 스트림 식별자를 포함하여,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스트림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진단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S22)는, 수신된 방송 신호의 먹스(MUX)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진단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이다. 진단 메뉴로 진입하면, OSD로 오토 튜닝으로 검색되는 수신된 채널의 먹스의 필수 정보인 먹스 번호 및 신호의 세기를 디스플레이하게 되므로, 사용자에 의하여 진단 메뉴 디스플레이가 요청되는 단계이다. 진단 메뉴는 먹스(MUX) 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채널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동일한 개념으로 보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채널 정보를 신호의 세기대로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이다(S23). 이때, 채널 정보는 신호의 세기대로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즉, 신호의 세기가 강한 순서대로 배치될 수도, 신호의 세기가 약한 순서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당시에 신호 수신의 강도(Strength)에 따라 신호의 세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의 세기대로 정렬하는 방법의 실시예로는 인덱스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즉, 신호의 세기의 순서대로 인덱스를 할당하여, 할당된 인덱스 순서대로 배치하여 신호의 세기대로 먹스 정보를 재정렬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 편집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미도시)는 먹스 별 또는 채널 별로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하나 또는 복수의 먹스 별로 또는 채널 별로 편집이 가능하다.
신호의 세기가 약한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는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지 아니할 수가 있고, 아날로그 방송 수신기에서는 열악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신호의 세기가 약한 먹스 또는 채널을 편집하여, 보다 편리하게 진단 메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편집 기능은 삭제, 복사, 이동 또는 스킵(skip) 등 상기 먹스 또는 채널에 대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편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편집 기능의 예시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 다.
이때, 상기 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인덱스를 할당하여, 먹스 정보를 재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한 경우에는 인덱스로 먹스를 식별하여 채널 편집 신호가 입력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송 신호의 입력을 아날로그 방송 신호 입력과 디지털 방송 신호 입력으로 분리하여 신호의 세기에 기인하여 채널 정보를 정렬하고, 이에 기인하여 사용자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아날로그 방송 신호 또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튜닝한다(S31).
수신된 방송 신호가 아날로그 방송 신호인지 디지털 방송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32).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가 아날로그 방송 신호인 경우에는 아날로그 방송용 진단 메뉴를 출력한다(S33).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수신 강도에 따라 채널을 정렬한다(S34). 즉, 아날로그 방송 신호는 각각의 물리적 주파수(physical frequency)대역을 달리하여,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데, 수신 강도에 따라 상기 물리적 주파수에 의해 분리되는 채널을 정렬하는 것이다.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의 경우에는, 디지털 방송용 진단 메뉴를 출력한다(S35).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의 신호 세기에 따라 먹스 정보를 정렬한다(S36). 즉, 수신된 방송 신호의 신호 강도에 따라 먹스 정보를 재정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호 세기를 판단하고, 신호 세기에 따라 인덱스(index)를 할당하고, 할당된 인덱스의 순서대로 진단 메뉴상에서 먹스 또는 채널을 배치한다.
상기 신호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정렬된 먹스 또는 채널을 편집하는 단계(S37)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신호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정렬되면, 사용자는 신호의 세기이 미약한 채널 또는 먹스 별로 전체를 삭제, 복사, 이동, 스킵(skip) 등의 편집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진단 메뉴의 디스플레이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신되는 채널이 채널의 번호 순서대로의 정렬이 아닌, 신호의 세기의 순서대로, 즉 신호의 수신 성능이 강한 순서대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즉, 종래의 진단 메뉴는 채널 15,21,26등의 순서대로 출력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의 신호의 세기이 좋은 순서인 채널 45,21,26,36등의 순서대로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채널 중 신호의 세기이 좋지않은 채널 15 및 채널 50은 삭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방송 수신 장치는 본 발명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먹스(MUX)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진단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세기에 따라 채널 정보를 재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신호의 세기 순서대로 재정렬된 먹스 정보 리스트 상에서 사용자 채널 편집 신호가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진단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방송 수신 장치는 튜너부(receiving part, 101), 복조부(demodulator, 102), 역다중화부(demultiplexer, 103), SI 디코더(system information decoder, 104), SI 데이터베이스(system information database, 105), 캐로셀 디코더(carousel decoder, 106),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application database, 107), A(udio)/V(ideo) 디코더(108),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109), 제어부(controller, 110), 저장부(NVRAM or flash memory, 111), 디스플레이부(display part, 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외부에 보안모듈과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방송 수신 장치는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digital television receiver)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는 본 발명에 따라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중복되는 채널 정보를 그룹화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튜너부(101)는 안테나(antenna)를 통하여 공중파 또는 케이블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DTV signal)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부(1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튜너부(101)는 제어부(110)에 의하여 채널 전환의 제어를 받을 수 있고, 상기 제어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결과(Result)와 강도(Strength)를 상기 제어부(110)로 보고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진단 메뉴에 진입했을 때, 가장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먹스 번호 및 신호의 세기를 출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신호의 세기대로 먹스 정보를 정렬할 수 있다.
상기 복조부(102)는 상기 튜너부(101)에서 튜닝되어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복조(demodulating)하여 역다중화부(10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조부(102)는 복조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튜너부(10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공중파 방송 신호인 경우에는 VSB(vestigi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할 수 있고, 케이블 방송 신호인 경우에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복조 또는 VSB(vestigial Side Band)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중파 방송 신호의 복조는 8VSB 복조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 방송 신호의 복조는 64 또는 256 QAM복조, 16VSB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에 해당하며, 다른 대역에서도 복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역다중화부(103)는 상기 복조부(102)에서 복조되어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demultiplexing)할 수 있다. 즉, 상기 역다중화부(103)는 입력되는 전송 스트림 패킷들로부터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와 데이터 방송과 관련된 데이터를 필터링(filtering) 할 수 있다.
즉, 상기 역다중화부(103)는 SI 디코더(104)와(또는) 캐로셀 디코더(106)의 제어를 받아 상기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역다중화부(103)는 상기와 같이 전송 스트림 패킷들로부터 오디오, 비디오와 데이터 방송 관련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테이블들(tables)을 역다중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역다중화부(103)는 상기 역다중화를 함에 있어서, 수신되는 각 테이블(table)에 공통되는 헤더(header) 부분을 검사함으로써 상기 역다중화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역다중화부(103)는 A/V 방송 서비스를 위해 테이블의 섹션을 만들어 SI 디코더(104)로 전송할 수 있고,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해 캐로셀 데이터(carousel data)를 필터링하여 테이블 섹션을 만들어 캐로셀 디코더(106)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다중화부(103)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A/V 전송 스트림 패킷을 역다중화할 수 있다. 따라서, 역다중화부(103)는 해당 가상 채널(virtual channel)의 A/V PID(Packet IDentifier)가 설정(set)되면, 상기 A/V의 기본 스트림(Elementary Stream)을 역다중화하여 A/V 디코더(108)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I 디코더(104)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테이블 섹션을 파싱하는 SI 제어 모듈(Control Module)로서,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슬레이브 동작(Slave Ope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SI 디코더(104)는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테이블 섹션을 파싱하기 위해 상기 역다중화부(103)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SI 디코더(104)는 상기 역다중화부(103)에 해당 테이블에 대한 PID를 설정하여 해당 테이블 섹션을 만들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I 디코더(104)는 MPEG-2 시스템을 위해 역다중화부(103)에서 만들어진 PSI 테이블 또는 ATSC를 위해 상기 역다중화부(103)에서 만들어진 PSIP 테이블을 수신하여 파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I 디코더(104)는 파싱된 정보를 SI 데이터 베이스(105)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I 디코더(104)는 상기 역다중화부(103)에서 필터링하지 않거나 되지 못한 나머지 실제 섹션 데이터(actual section data) 부분을 파싱 즉, 모두 읽어서 상기 SI 데이터베이스(105)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캐로셀 디코더(106)는 상기 역다중화부(103)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방송 관련 데이터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정보 테이블등을 수신하여 파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로셀 디코더(106)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SI 디코더(104)와 같이 슬레이브 동작(Slave Ope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9)는 사용자 신호가 입력되는 인터페이스다. 사용자 설정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고, 또한 각종 사용자 선택 신호가 입력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신호는 상기 제어부로 입력된다. OSD등을 통한 사용자 설정 신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단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며, 먹스 별 채널 편집 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A/V 디코더(108)는 상기 역다중화부(103)로부터 A/V의 기본 스트림 패킷들을 수신하여 MPEG-2 또는 AC3 등의 방식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그리고 A/V 디코더(108)는 상기 디코딩되는 A/V 데이터를 VDP(Video Display Processor)에 의해 싱크(synch)를 맞추어 디스플레이부(112)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display)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A/V 디코더(108)로부터 디코딩 상태를 수신하여, 상기 OSD로 디스플레이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응용 상태(Application Status) 및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관리하고 데이터 방송과 관련된 OSD를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진단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진단 메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튜너부(101)에서 제공받은 신호의 강도(strength) 정보에 기인하여, 먹스 또는 채널 정보를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즉, 신호의 강도 순서대로 인덱스를 부여하여, 먹스 정보가 배열되도록 한다. 또한 채널 편집 신호는 상기 인덱스에 기인하여 먹스를 식별하고, 이에 따라 편집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2)는 상기 A/V 디코더(108)로부터 디코딩되어 수신되는 A/V 데이터를 비디오 신호인 경우에는 스크린(screen)을 통하여 오디오 신호인 경우에는 스피커(speaker)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12)는 상기 디코더(108)로부터 디코딩되어 수신되는 데이터가 비디오 신호이어서 스크린을 통하여 출력하는 경우에는 OSD(On Screen Display) 그래픽 데이터(graphic data)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채널 정보를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둘째, 신호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채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채널별로 편집이 용이하다.

Claims (12)

  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먹스(MUX)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진단(Diagnostics)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 세기의 순서대로 먹스(MUX) 정보 리스트를 재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신호의 세기 순서대로 재정렬된 먹스 정보 리스트 상에서 사용자 채널 편집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방송 신호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 또는 디지털 방송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세기는 수신되는 당시에 신호 수신의 강도(Strength)에 따라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세기의 순서대로 인덱스를 할당하여, 할당된 인덱스 순서대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채널 편집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는 상기 인덱스로 먹스를 식별하여 채널 편집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채널 편집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는 먹스 별로 삭제, 복사, 이동 또는 스킵(skip) 기능 선택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7.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먹스(MUX)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진단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세기에 따라 채널 정보를 재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신호의 세기 순서대로 재정렬된 먹스 정보 리스트 상에서 사용자 채널 편집 신호가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진단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세기는 방송이 수신되는 당시의 신호 수신의 강도(Strength)에 따라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부는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강도(Strength)를 상기 제어부로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의 세기의 순서대로 채널 정보에 인덱스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인덱스의 순서대로 채널 정보를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사용자 편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인덱스에 따라 채널 편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메뉴는 OSD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KR1020070022467A 2007-03-07 2007-03-07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20080082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467A KR20080082098A (ko) 2007-03-07 2007-03-07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467A KR20080082098A (ko) 2007-03-07 2007-03-07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098A true KR20080082098A (ko) 2008-09-11

Family

ID=40021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467A KR20080082098A (ko) 2007-03-07 2007-03-07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20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916A (ko) * 2010-01-27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에서 채널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916A (ko) * 2010-01-27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에서 채널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87769B2 (ja) 映像データ送信方法、映像データ送信装置、及び映像データ再生装置
US20010006404A1 (en) Combined terrestrial wave/cable broadcast receiver and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for
US8839335B2 (en) Method of processing multi-mode service broadcast signal and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JP2010187156A (ja) ディ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装置
JP3777282B2 (ja) アップ/ダウン選局装置
KR101425679B1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장치 및 방법
US8336072B2 (en) Television receiver device
JP4450022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5079861A (ja) 地上波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CN1956521B (zh) 用于改变/管理频道的方法和广播接收器
CN101557485B (zh) 数字电视及其频道选择方法
EP2028847A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KR20080082098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20080067494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EP1976163A2 (en) Broadcasting reception device and channel setting method for broadcasting reception device
KR100999096B1 (ko) 디지털 tv에서의 epg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1186436A (ja) 電子番組表示装置
KR10042610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보조 모자이크 이피지 영상표시방법 및 장치
KR101678433B1 (ko) 방송 수신기 및 매뉴얼 채널 튜닝 방법
KR20090127560A (ko) 영상표시기기 및 채널 탐색 방법
KR100745252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프로그램의 선택 수신 방법
KR101258496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080067495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1650382B1 (ko) 채널 탐색/접근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078220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채널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