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0475A - 휴대용 전자기기의 한글입력 키패드와 그의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의 한글입력 키패드와 그의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0475A
KR20080080475A KR1020080077489A KR20080077489A KR20080080475A KR 20080080475 A KR20080080475 A KR 20080080475A KR 1020080077489 A KR1020080077489 A KR 1020080077489A KR 20080077489 A KR20080077489 A KR 20080077489A KR 20080080475 A KR20080080475 A KR 20080080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button
input
keypad
conso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관
Original Assignee
홍기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관 filed Critical 홍기관
Priority to KR1020080077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0475A/ko
Publication of KR20080080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4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키패드(Keypad)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정된 개수의 버튼으로 한글의 모든 자소(字素)를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어야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의 각각의 버튼에 자음과 모음의 자소가 동시에 배치되며,
같은 버튼에 위치한 다른 자음 및 모음으로부터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을 구분하여 입력하기 위해 모음의 입력은 해당 모음이 위치한 버튼과 키패드시스템에 구비된 모음입력키의 조합으로 그 입력을 실현하거나 혹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강도에 따라 자음과 모음의 입력이 결정되도록 키패드 시스템의 프로그램 혹은 버튼의 기계적인 구조를 설계하며,
키패드 매트릭스상의 각 자음의 배열은 키패드 매트릭스상의 하나의 행이나 열에서 한글의 자질성에 의한 같은 계열의 자음을 찾을 수 있게 배치하고,
키패드 매트릭스상의 모음의 분류는 다음 2가지 중 하나를 따르는 것으로 실현된다.
1. 훈민정음의 기본자, 초출자의 자소 각각을 키패드 매트릭스 상의 버튼의 행에나 열의 대표 모음이 되게 하고, 기본자, 초출자 그리고 초출자와 기본자의 결합으로부터 생성되는 몇 개의 모음을 해당 버튼의 대표 모음인 제 1 모음이 되게 하고, 해당 버튼의 제 2 모음은 해당 버튼의 제 1 모음에 기본자 하나의 추가로 생성되는 모음인 배치방법
2. 한글의 모음을 양의 모음, 음의 모음으로 분류하고 서로 짝을 이루는 양의 모음과 음의 모음은 같은 버튼에 배치하는 방법.
모음입력키, 제 1 모음입력키, 제 2 모음입력키, 제 1 모음, 제 2 모음, 양의 모음, 음의 모음, 음양모음쌍, 압력감지센서, 4선저항막방식 터치센서, 매탈돔스위치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의 한글입력 키패드와 그의 입력방법{HANGUL KEYPAD OF MOBILE DEVICE AND ITS INPUTTING METHOD}
본 발명은 한정된 개수의 버튼으로 한글의 모든 자소(字素)를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어야 하는 휴대폰의 키패드(Keypad)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키패드는 그 작은 크기로 인해 언어의 모든 자소(字素)에 대응하는 충분한 개수의 버튼을 가지기 어렵기에 한정된 개수의 버튼을 사용하여 특정 언어의 모든 자소를 입력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키패드를 사용할 때에는 하나의 자소를 입력하기 위해 여러 번 버튼을 눌러야 하는 경우가 많고 여러 자소가 하나의 버튼에 동시에 배치되다 보니 입력하고자 하는 해당 자소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따르면 한글의 초성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의 19개이며 중성은 모음인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의 21개이며 종성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ㄿ, ㄾ, ㅀ, ㅄ, ㅆ의 27개이다.
그러므로 초성과 종성을 모두 통틀어 한글에서 쓰이는 자음은 30가지이며 모음은 21가지이다.
최근 모바일 통신기술이 급격히 발달함에 따라 메일이나 인터넷, 채팅, 은행이나 증권, 각종 비즈니스의 주문이나 결재 등을 휴대폰이나 PDA등에서 할 수 있게 돼 휴대용 전자기기에서의 문자입력의 편의성이 더욱 요구되는 추세이다.
한글의 경우,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문자입력체계는 일명 천지인 방식과 EZ한글 방식이 있고, 그것은 각각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특1996-0043680과 공개번호 10-2001-0091340에 각각 기술되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종래 기술의 구성과 작동례 및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전자기기의 키패드의 한글입력방법을 보이기 위한 제 1 실시예로서, 키패드의 매트릭스에서의 자소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한글입력방식은 일명 천지인 방식이라 불리며 모음의 입력에 훈민정음의 모음 제자 원리가 도입된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일명 천지인 방식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키패드는 일반적으로 3열 4행으로 이루어진 총 12개의 버튼 중 ‘*’키와 ‘#’키인 1열 4행과 3열 4행의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10개의 버튼을 문자입력을 위해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10개의 버튼 중 1행에 나열된 버튼 3개를 천지인 버튼이라 하여 상기 버튼에 한글 모음의 기본 요소가 되는 기본자(ㅣ, ㆍ, ㅡ) 3개를 각각 배치하여 모음을 입력하는 데 사용하며,
나머지 7개의 버튼은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한다.
그러므로 한글 입력 시에는 상기 천지인(ㅣ, ㆍ, ㅡ) 3개의 버튼을 조작하여 현재 통용되는 국어의 21개의 모음을 나타내야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방법으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을 분석하여 이를 기본자(ㅣ,ㆍ,ㅡ) 3가지로 분해한 뒤 분해된 기본자(ㅣ,ㆍ,ㅡ)를 순서에 맞게 차례대로 입력해야하는 복잡함이 있다.
예를 들어 ‘ㅖ’를 입력하려면 ‘ㆍ’, ‘ㆍ’, ‘ㅣ’, ‘ㅣ’를 각각 차례대로 입력해야 하며 ‘ㅞ’를 입력하려면 ‘ㅡ’, ‘ㆍ’, ‘ㆍ’, ‘ㅣ’, ‘ㅣ’를 각각 차례대로 입력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자음의 경우에도 천지인(ㅣ,ㆍ,ㅡ)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7개의 버튼으로 현재 통용되는 한글의 30개의 자음(단자음, 각자병서, 합용병서 포함)을 입력해야하기에 하나의 버튼에 많은 수의 자음이 동시에 배치되므로 키패드 매트릭스 상에서 자음 위치의 파악이 용이하지 않으며 자소를 입력하기 위해 여러 번 버튼을 눌러야 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 종래의 방법인 도 1의 키패드로 한글의 자음 및 모음들을 각각 입력하는 방법은 표 29에 예시되어있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 휴대용전자기기의 키패드의 한글입력방법을 보이기 위한 제 2실시예로서, 키패드 매트릭스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한글입력방식은 EZ한글 방식이라 불리고 있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한글입력 방식은 'ㄱ', 'ㄴ', 'ㄹ', 'ㅁ', 'ㅅ', 'ㅇ'의 6개의 한글 단자음을 1열과 2열의 6개의 버튼에 각각에 배치하였고 한글 단모음 입력을 위해 ‘ㅏ’, ‘ㅓ’, ‘ㅗ’, ‘ㅜ’, ‘ㅡ’, ‘ㅣ’의 6개의 모음을 두 개씩 묶어(ㅏ-ㅓ, ㅗ-ㅜ, ㅣ-ㅡ) 3열의 3개의 버튼에 각각 배치하였고 상기 키들에 할당하지 않는 자음 및 모음을 가획키와 상기 자음 및 모음키와의 연속적인 조합으로 입력되게 하였으며 한글의 복자음 중 'ㅃ', 'ㅉ', 'ㄸ'은 별도의 버튼에 배치하여 해당키의 반복적인 선택으로 입력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가획키와 ‘ㄱ’, ‘ㄴ’, ‘ㅅ’, ‘ㅁ’, ‘ㅇ’의 각각의 조합으로 각각 ‘ㅋ’, ‘ㄷ’, ‘ㅈ’, ‘ㅂ’, ‘ㅎ’의 자음이 입력된다.
그리고 가획키의 연속 누름과 ‘ㄴ’, ‘ㅁ’, ‘ㅅ’키의 조합으로 각각 ‘ㅌ’, ‘ㅍ’, ‘ㅈ’이 입력된다.
그리고 합용병서의 경우 상기 자음입력방법의 복합적인 조합으로 입력된다.
예를 들어 ‘ㄼ’은 ‘ㄹ’키와 가획키(*)와 ‘ㅁ’키와의 연속적인 조합으로 입력되며 ‘ㅀ’은 ‘ㄹ’키와 가획키(*)와 ‘ㅇ’키와의 연속적인 조합으로 입력된다.
그리고 복자음키는 ‘ㅃ’, ‘ㅉ’, ‘ㄸ’을 입력할 때 쓰이며 ‘ㄲ’은 ‘ㄱ’키를 두 번 눌러야 하며 ‘ㅆ’은 ‘ㅅ’키를 두 번 눌러야 한다.
그리고 모음의 경우 상기 가획키와 ‘ㅏ’혹은 ‘ㅗ’의 키와의 연속적인 조합에 의해 ‘ㅑ’, ‘ㅛ’가 각각 입력되며 ‘ㅏ’나 ‘ㅗ’의 연속선택으로 ‘ㅓ’'와 ‘ㅜ’가 입력되며 상기 가획키와 ‘ㅏ’, ‘ㅗ’의 연속선택의 조합으로 ‘ㅕ’, ‘ㅠ’가 각각 입력된다.
그리고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의 모음은 상기 방법의 복합적인 조합에 의해 입력된다.
예를 들면 'ㅒ'는 가획키(*)와 ‘ㅏ’키와 ‘ㅣ’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하며, ‘ㅔ’는 ‘ㅏ’키와 ‘ㅏ’키와 ‘ㅣ’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하며, ‘ㅖ’는 가획키(*)와 ‘ㅏ’키와 ‘ㅏ’키와 ‘ㅣ’키의 연속적인 조합으로 입력하며 ‘ㅞ’는 ‘ㅗ’키와 ‘ㅗ’키와 ‘ㅏ’키와 ‘ㅏ’키와 ‘ㅣ’키의 연속적인 입력으로 조합하며 ‘ㅢ’는 가획키(*)와 ‘ㅣ’키의 연속적인 조합으로 입력된다.
여기서 예시하지 않은 나머지 자소들을 상기 종래의 방법으로 입력하는 방법은 표 30에 예시되어 있다.
위의 설명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종래의 상기 한글입력방식은 자소를 이 종래의 방식이 제시하는 원리에 맞게 분석하여 다시 차례에 맞게 입력해야 하기에 하나의 자소를 입력하기 위해서 여러 버튼을 이용하여 여러 번 버튼을 눌러야 하는 불편함 이 있으며, ‘ㅃ’, ‘ㅉ’, ‘ㄸ’의 복자음은 복자음키로 입력을 하지만 ‘ㄲ’와 ‘ㅆ’의 복자음은 각각 '‘ㄱ'과 '‘ㅅ'의 연속 누름으로 입력해야 하고 모음입력에 있어서 가획키가 초출자의 ‘ㆍ’에 해당하였지만 ‘ㅢ’의 입력에 있어서만은 상기 가획키가 초출자 중 ‘ㅡ’로 사용되어 있는 등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어 직감적으로 사용법을 알기 힘들다.
또한, 상기 종래의 천지인 입력방식의 키패드는 도 1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버튼의 배열이 3열 4행의 12개이어야 하나의 행(일반적으로 첫 번째 1행)에 모음입력을 위한 3개의 버튼(ㅣ,ㆍ,ㅡ)이 배치되어 자음입력을 위한 버튼과 모음입력을 위한 버튼이 배치된 부분이 위 아래의 두 부분으로 나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또 다른 종래의 발명인 EZ 한글 입력방식을 따르는 키패드도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버튼의 배열이 3열 4행이어야 하나의 열(일반적으로 세 번째 열)에 자음입력을 위한 기본 자음쌍(‘ㅏㅓ’, ‘ㅗㅜ’, ‘ㅣㅡ’)의 3개의 버튼을 배열하여 자음입력을 위한 버튼과 모음입력을 위한 버튼이 배치된 부분을 좌우 양옆으로 나눌 수 있기에,
앞서 설명한 상기 두 종래의 방법을 채택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키패드는 모두 버튼의 배열을 3열 4행의 12개 이외의 형태로 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점은 최근 들어 더욱 중요해진 미적 감각과 편리함을 추구하는 휴대폰이나 기타 전자기기의 디자인에 있어서 제약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용전자기기에서의 문자입력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보다 간단하고 직감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본 발명을 채택 시, 키패드의 버튼의 배열을 3열 4행 이외에 3열 3행이나 2열 5행 혹은 2열 6행 등으로 하여도 합리적인 자소배열이 되므로 키패드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보다 나은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키패드 및 그의 입력체계는,
한글의 자음입력버튼과 모음입력버튼이 따로 구분되어 있지 않고 문자입력을 위한 각각의 버튼이 자음과 모음의 입력을 동시에 지원하며,
이때 동일한 버튼에 위치한 자음과 모음을 구분하기 위해 다음의 4가지 방법 중 하나를 따르며,
1. 같은 버튼에 위치한 자음 및 다른 모음으로부터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을 구분하여 입력하기 위해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이 제 1 모음일 경우 제 1 모음입력키와 해당 모음이 위치한 버튼의 조합으로 그 입력을 실현하고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이 제 2 모음일 경우 제 2 모음입력 키와 해당 모음이 위치한 버튼의 조합으로 그 입력을 실현하는 방법.
2. 같은 버튼에 위치한 자음 및 다른 모음으로부터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을 구분하여 입력하기 위해, 특정 모음입력은 해당 모음이 위치한 버튼과 키패드 문자입력시스템에 구비된 한 개의 모음입력키의 조합으로 실현하되,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이 제 1 모음일 경우 모음입력키의 한번 누름과 해당 모음이 위치한 버튼의 한번 누름의 조합으로 실현하고, 입력하고자하는 모음이 제 2 모음일 경우 모음입력키의 두 번 누름과 해당 모음이 위치한 버튼의 한번 누름의 조합으로 실현하는 방법.
3. 키패드의(Keypad)의 문자입력 버튼의 구동방식을 압력감지 센서와 같은 특정물리량의 강약을 검지할 수 있는 센서로 하여 센서에 가해지는 물리량의 강도에 따라 입력되는 값이 2개가 되도록 프로그램상에서 2개의 입력층을 두어 그 층 중 하나는 자음입력을 담당하게 하고 다른 하나는 모음입력을 담당하게 하는 방법
4. 키패드(Keypad)의 문자입력 버튼의 구동방식을 터치센서와 매탈돔스위치(Metal Dome) 같은 서로 다른 방식의 두 가지 이상의 센서(혹은 스위치)의 동시 채용으로 하여 그 중 하나의 센서(혹은 스위치)는 자음입력을 담당하게 하고 나머지 하나는 모음입력을 담당하게 하는 방법
한글의 자질성에 의해 평음-경음-격음으로 이어지는 같은 계열의 자음들은 하나의 행이나 열에서 그것들을 찾을 수 있게 배치하고,
키패드 매트릭스 상의 모음의 분류는 다음 2가지 중 하나를 따랐다.
1. 훈민정음의 기본자, 초출자의 모음 각각을 키패드 매트릭스 상의 버튼의 행에나 열의 대표 모음이 되게 하고, 기본자, 초출자 그리고 초출자와 기본자의 결합으로 생겨난 몇 개의 모음을 해당 버튼의 대표 모음인 제 1 모음이 되게 하고, 해당버튼의 제 2 모음은 해당버튼의 제 1 모음에 기본자 하나의 추가로 생성되는 모음인 배치법.
2. 한글의 모음을 양의 모음, 음의 모음을 구분하고 같은 계열의 양의 모음과 음의 모음은 같은 버튼에 배치하는 방법
휴대용 전자기기의 문자입력에 있어 더욱 편리한 사용법을 제시한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문자판(Keypad)의 입력 체계 및 그것을 채택한 키패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3~도 25에서 볼 수 있듯이, 한글의 자음입력버튼과 모음입 력버튼이 구분되어 있지 않고 문자입력을 위한 각각의 버튼이 자음과 모음의 입력을 동시에 지원하며,
이때 동일한 버튼에 배치된 자음과 모음을 구분하여 입력하기 위해 다음 4가지 중 하나의 입력법을 따르며,
1. 같은 버튼에 위치한 자음 및 다른 모음으로부터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을 구분하여 입력하기 위해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이 제 1 모음일 경우 제 1 모음입력키와 해당 모음이 위치한 버튼의 조합으로 그 입력을 실현하고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이 제 2 모음일 경우 제 2 모음입력키와 해당 모음이 위치한 버튼의 조합으로 그 입력을 실현하는 방법.
2. 같은 버튼에 위치한 자음 및 다른 모음으로부터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을 구분하여 입력하기 위해, 특정 모음입력은 해당모음이 위치한 버튼과 키패드 문자입력시스템에 구비된 한 개의 모음입력키의 조합으로 실현하되,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이 제 1 모음일 경우 모음입력키의 한번 누름과 해당 모음이 위치한 버튼의 한번 누름의 조합으로 그 입력을 실현하고, 입력하고자하는 모음이 제 2 모음일 경우 모음입력키의 두 번 누름과 해당 모음이 위치한 버튼의 한번 누름의 조합으로 그 입력을 실현하며,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이 제 3 모음일 경우 모음입력키의 세 번 누름과 해당 모음이 위치한 버튼의 한번 누름의 조합으로 그 입력을 실현하는 방법.
3. 키패드의(Keypad)의 문자입력용 버튼의 구동방식을 압력감지 센서와 같은 특정물리량의 강약을 검지할 수 있는 센서로 하여 센서에 가해지는 물리량의 강도에 따라 입력되는 값이 2개가 되도록 프로그램상에서 2개의 입력층을 두어 그 층 중 하나는 자음입력을 담당하게 하고 다른 하나는 모음입력을 담당하게 하는 방법
4. 키패드(Keypad)의 자소입력용 버튼의 구동방식에 터치센서와 메탈돔스위치(Metal Dome) 같은 서로 다른 방식의 두 가지 이상의 센서(혹은 스위치)를 동시 채용하여 그 중 하나의 센서(혹은 스위치)는 자음입력을 담당하게 하고 나머지 하나는 모음입력을 담당하게 하는 방법
여기서 제 1자음 혹은 제 1모음이라는 것은 하나의 버튼에 배치된 자음 혹은 모음들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선택되는 자음 혹은 모음으로서, 일반적으로 키패드 버튼에 인쇄된 자음 혹은 모음들 중에서 가장 왼쪽 앞에 인쇄되는 자음 혹은 모음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을 여러 번 클릭함으로 해당 버튼에 위치한 여러 자음 중에서 특정 자음을 선택해야 한다면, 해당버튼을 한번 클릭함으로써 선택되는 자음은 제 1 자음이고, 두 번 클릭해서 선택되는 자음은 제 2 자음이며, 세 번 클릭함으로써 선택되는 자음은 제 3 자음이다.
(이하 상기 4가지 입력방법을 각기 순서대로 제 1 입력법, 제 2 입력법, 제 3 입력법, 제 4 입력법이라고 명명한다.)
또한 키패드 매트릭스 상의 한글 자소(字素)의 배열에 있어서는,
키패드 매트릭스 상의 각 자음의 배열은 키패드 매트릭스 상의 하나의 행이나 열에서, ‘ㄱ-ㄲ-ㅋ’과 같이 한글의 자질성에 의한 같은 계열의 자음을 찾을 수 있게 배치하고,
키패드 매트릭스 상의 모음의 분류는 다음 2가지 중 하나를 따랐다.
1. 훈민정음의 기본자, 초출자의 자소 각각을 키패드 매트릭스의 행에나 열의 대표 모음이 되게 하고, 기본자, 초출자 그리고 초출자와 기본자의 결합으로 생성된 몇 개의 모음을 해당 버튼의 대표 모음인 제 1 모음이 되게 하고, 해당버튼의 제 2 모음은 해당 버튼의 제 1 모음에 하나의 기본자가 결합하여 생성되는 모음인 배치법.
2. 한글의 모음을 양의 모음, 음의 모음으로 분류하여 같은 계열의 양의 모음과 음의 모음은 같은 버튼에 배치하되, 양의 모음은 모두 해당버튼의 제 1 모음이 되고 음의 모음은 모두 해당버튼의 제 2 모음이 되게 하는 배치법
(이하 상기 1번째 모음배치 방법을 제자원리에 따른 모음배치법이라고 명명하고 상기 2번째 모음배치 방법을 음양에 따른 모음배치법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한글의 자질성을 고려한 자음배치구조와 제자원리에 따른 모음배치구조를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3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자음의 배치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3에서 ‘ㄱ-ㄲ’과 같이 평음-경음의 쌍을 이룰 수 있는 5개의 평음의 자음 ‘ㄱ’, ‘ㄷ’, ‘ㅂ’, ‘ㅈ’, ‘ㅅ’을 첫 번째 열의 5개의 버튼에 각각 배치했으며,
한글의 자음 중 5개의 경음인 ‘ㄲ’, ‘ㄸ’, ‘ㅃ’, ‘ㅆ’, ‘ㅉ’을 각각 ‘ㄱ-ㄲ’, ‘ㅅ-ㅆ’과 같이 해당계열의 평음과 쌍을 이루게 하여 같은 버튼에 배치했으며,
한글 자음 중 4개의 격음인 ‘ㅋ’, ‘ㅌ’, ‘ㅍ’, ‘ㅊ’는 평음-경음쌍이 위치하지 않는 2열의 4개의 버튼에 각각 배치하였으되,
'ㅋ'의 경우 'ㄱ'이나 'ㄲ'이 위치한 버튼의 바로 옆 버튼에 배치하는 것과 같이, 상기 각각의 격음은 같은 계열의 평음, 경음과 같은 행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해당 자음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한글 자음 중 평음-경음 쌍을 이루지 않는 나머지 평음 ‘ㄴ’, ‘ㄹ’, ‘ㅁ’, ‘ㅇ’, ‘ㅎ’은 평음-경음 쌍이 배치되지 않은 버튼에 격음과 함께 혹은 단독으로 배치되되 될 수 있으면 ‘ㄹ’은 ‘ㅌ’이나 ‘ㅍ’과는 같은 버튼에 배치하지 않는다. 이는 ‘ㄹ’이 한글의 평음 중 유일하게 ‘ㅌ’이나 ‘ㅍ’과 결합하여 ‘ㄾ’과 ‘ㄿ’의 평음-격음의 합용병서를 만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각의 모든 버튼의 자음집합 내에서 평음은 모두 해당버튼의 대표 자음인 제 1 자음이 되고 경음과 격음은 모두 제 2 자음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3의 키패드에서는,
‘ㄱ’에서 파생된 자음인 ‘ㄱ’, ‘ㄲ’, ‘ㅋ’은 모두 1행의 버튼에 배치되며,
‘ㄷ’에서 파생된 자음인 ‘ㄷ’, ‘ㄸ’, ‘ㅌ’은 모두 2행의 버튼에 배치되며,
‘ㅂ’에서 파생된 자음인 ‘ㅂ’, ‘ㅃ’, ‘ㅍ’은 모두 3행의 버튼에 배치되며,
‘ㅈ’에서 파생된 자음인 ‘ㅈ’, ‘ㅉ’, ‘ㅊ’은 모두 4행의 버튼에 배치되며,
‘ㅅ’에서 파생된 자음인 ‘ㅅ’, ‘ㅆ’은 모두 5행의 버튼에 배치되며,
경음의 자음(ㄲ, ㄸ, ㅃ, ㅉ, ㅆ)은 모두 1열에 배치되며,
격음의 자음(ㅋ, ㅌ, ㅍ, ㅊ)은 모두 2열에 배치되며,
평음의 자음은 모두 제 1 자음이 되며,
경음의 자음과 격음의 자음은 모두 제 2 자음이 되기에 사용자가 특정자소의 위치를 파악하기 쉽다.
이제 도 3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자원리에 따른 모음 배치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표 28은 한글의 모음을 훈민정음의 모음제자원리에 따라 분류한 표이다.
본 발명은 도 3에서 훈민정음의 모음제자 원리에 의한 초출자-제출자쌍인 ‘ㅏ-ㅑ ’, ‘ㅓ-ㅕ’, ‘ㅗ-ㅛ’, ‘ㅜ-ㅠ’의 4개의 모음 쌍을 첫 번째 열의 4개의 버튼에 각각 순서대로 배치했으며,
기본자인 ‘ㅡ’와 ‘ㅣ’는 5행의 두 개의 버튼에 각각 배치하였으며,
‘ㅐ-ㅒ’모음쌍은 ‘ㅏ-ㅑ’모음쌍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ㅏ-ㅑ’모음쌍 바로 옆의 버튼인 2열 1행이 버튼에 배치했으며,
‘ㅔ-ㅖ’모음쌍은 ‘ㅓ-ㅕ’모음쌍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ㅓ-ㅕ’모음쌍 바로 옆의 버튼인 2열 2행의 버튼에 배치했으며,
‘ㅗ’가 포함된 모음인 ‘ㅘ’와 ‘ㅙ’는 ‘ㅗ-ㅛ’모음쌍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ㅗ-ㅛ’모음쌍 바로 옆의 버튼인 2열 3행의 버튼에 배치했으며,
‘ㅜ’가 포함된 모음인 ‘ㅝ’와 ‘ㅞ’는 ‘ㅜ-ㅠ’모음쌍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ㅜ-ㅠ’모음쌍 바로 옆의 버튼인 2열 4행의 버튼에 배치하였으며,
‘ㅢ’와 ‘ㅚ’는 1열 5행의 버튼에 ‘ㅡ’와 함께 배치하였으며,
‘ㅟ’는 2열 5행의 버튼에 ‘ㅣ’와 함께 배치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본 발명의 제자원리에 의한 모음배치는 키패드 매트릭스의 행이나 열 혹은 같은 버튼에 위치한 제 1 모음 및 제 2 모음 간에 훈민정음의 모음창제 원리에 의한 연관성을 부여함으로 다른 모음의 위치를 이용해 찾고자 하는 모음의 위치를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찾을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키패드에서 1행에 배치된 4개의 모음 ‘ㅏ’, ‘ㅑ’, ‘ㅐ’, ‘ㅖ’의 4개는 모두 초출자 ‘ㅏ’로부터 기본자의 결합으로 생겨난 모음이며 상기 4개의 모음 중 제 2 모음은 모두 해당버튼의 제 1모음과 기본자‘ㆍ’의 결합으로 생성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패드의 전반에 걸쳐서 짜인 이러한 자소들 간의 관계로 인해 해당 모음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3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제 1입력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3의 키패드가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이 제시하는 제 1 입력법을 취한다면,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두 개의 모음입력키가 키패드 문자입력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어 모음의 입력은 상기 모음입력키와 해당버튼의 조합으로 실현하고, 자음의 입력은 단순히 해당버튼을 한번, 혹은 연달아 여러 번 누르는 것으로 실현하게 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자면 단순히 해당버튼을 한번 누르는 것은 해당 버튼의 제 1 자음을 입력하는 것이며, 단순히 해당버튼을 연속해서 두 번 누르는 것은 해당버튼의 제 2 자음을 입력하는 것이며, 제 1 모음입력키를 누른 후 해당버튼을 누르면 해당 버튼의 제 1 모음이 선택되는 것이며, 제 2 모음입력키를 누른 후 해당버튼을 누르면 해당 버튼의 제 2 모음이 선택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 3의 키패드에서 제 1 모음입력키를 ‘*’로 정하고 제 2 모음입력키를 ‘#’으로 정한다면 ‘안녕하세요’라는 문장을 입력할 때 눌러야 하는 버튼과 그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안 - 8 * 1 6
녕 - 6 # 2 8
하 - 9 * 1
세 - 5 * 7
요 - 8 # 3
물론 키패드의 프로그램이 어떻게 설계되었느냐에 따라서 제 1 모음입력키나 제 2 모음입력키는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이 위치한 버튼을 누르기 전뿐만 아니라 입력하고자 하는 모음이 위치한 버튼을 누른 후, 혹은 동시에 눌러질 수도 있는 것은 당 연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도 3의 키패드에서 제 3 모음인 ‘ㅚ’는 제 1 모음입력키나 제 2 모음입력키를 연이어 두 번 누른 후 해당버튼인 1열 5행의 버튼을 한번 누르는 것으로 그 입력이 실현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도 3의 키패드로 ‘쇠퇴’란 단어를 입력할 때 눌러야 하는 버튼과 그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쇠 - 5 * * 5
퇴 - 7 7 * * 5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 1 모음입력키와 제 2 모음입력키는 키패드 매트릭스 상이 아닌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그것 또한 본 발명의 일부분이라는 것을 밝히는 바이다.
즉, 휴대폰의 볼륨 스위치 같은 측면의 2개의 버튼이 제 1 모음입력키와 제 2 모음입력키의 기능을 부여받으면 키패드 매트릭스 상에서 2개의 구분키가 없어져, 도 3의 키패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도 4와 같이 변할 것이며 그렇게 되면 상대적으로 보다 넓은 공간에 여유롭게 버튼을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휴대폰을 편안하게 잡았을 경우, 휴대폰의 키패드는 사용자의 손바닥 중앙이나 그 아래에 오게 되고 그 상태에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는 범위는 손바닥의 중지나 집게손가락 윗부분의 공간이다. 따라서 이 상태로 본 발명의 측면의 구분키를 중지나 약지로 제어하면서 엄지로 키패드의 버튼을 제어하려면 과도하게 엄지손가락을 아래로 꺾어야 하기 때문에 버튼을 누르기가 힘들고 잡는 부분이 아래쪽에 몰리다 보니 해당 전자기기를 잡고 있는 상태가 불안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보다 편한 입력을 제공하고자 도 27과 같이 전자기기를 거꾸로 잡고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과 그에 따른 전자기기의 키패드시스템도 또한 제시한다.
(도 27에서 해당 전자기기 측면의 두 개의 키는 본 발명의 모음입력키이며 상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제 2 입력법을 따른다면 모음입력키의 개수는 1개가 될 것이다.)
휴대폰을 거꾸로 잡으면 도 27에서 보이듯이 휴대폰의 키패드는 손바닥의 윗부분 즉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쉽게 움직일 수 있는 범위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가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잡고 중지나 약지로 측면의 모음입력키를 제어하며 동시에 엄지로는 키패드의 버튼을 누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의 문자입력시스템의 구조는 도 27에서 보이듯이,
버튼의 터치부에 거꾸로 자소가 인쇄된 키패드와;
사용자가 키패드로 입력한 문자를 해당전자기기의 방향과 거꾸로 화면에 출력하는 액정제어부와;
거꾸로 해당전자기기를 잡았을 때 사용자가 중지나 약지로 누르기 쉬운 부분에 위치하는 모음입력키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 3 입력법 및 제 4 입력법을 따른다면 사용자가 버튼에 가하는 물리량의 강도나 종류에 의하여 자음과 모음의 입력이 결정되므로 모음입력키가 필요 없다.
즉, 모음의 입력은 강한 누름으로 실현하고 자음의 입력은 약한 누름으로 실현하거나 혹은 그와 반대로 자음의 입력은 약한 누름으로 실현하고 모음의 입력은 강한 누름으로 실현하는 것이다.
즉, 자음과 모음 둘 중 하나는 버튼을 약하게 누르는 것으로 그 입력을 실현하고 나머지 하나는 버튼을 강하게 누르는 것으로 그 입력을 실현하거나, 손가락을 버튼에 접촉시키면 자음이 입력되고 버튼을 누르면 모음이 입력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키패드 시스템상에 구분키가 없는 도 4의 키패드는 본 발명이 제 3 입력법이나 제 4 입력법을 채택했을 시의 키패드매트릭스의 자소배치를 보여주기도 한다.
본 발명이 제 3 입력법을 따른다면 해당 키패드의 버튼은 촉각센서에서의 압력과 같이 어떤 특정한 물리량의 강약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작동하게 되고 키패드의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버튼에 가한 물리량의 강약에 따라 입력될 자소가 자음 혹은 모음인지 결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제 4 입력법을 따른다면 해당 키패드의 버튼은 그 작동에 있어서 두 개의 센서를 채택하고 해당 버튼에서 작동되는 센서의 종류나 구성에 의해 자음이나 모음의 입력이 결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4 입력법과 그에 따른 본 발명의 버튼의 구조를 도 26을 참조하여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4 입력법을 채택한 키패드에 있어서 버튼의 구조와 구동원리를 나타내주는 키패드 단면도이다.
도 26의 키패드는 4선저항막방식의 터치센서와 매탈돔스위치의 복합구조로 되어있 으며, 그 중 하나의 센서 혹은 스위치는 자음의 입력을 담당하고 나머지 하나는 모음의 입력을 담당하게 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해당 키패드의 터치부(1)를 눌렀을 때 작동되는 센서의 구성에 다음의 두 가지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1) 사용자가 해당 키패드의 터치부(1)를 가볍게 눌러 4선저항막방식 터치센서의 상부전극(2)과 하부전극(4)이 접촉해 해당 터치센서가 작동되는 경우
2) 사용자가 해당 키패드의 터치부(1)를 강하게 눌러 4선저항막방식의 터치센서의 상부 전극(2)과 하부전극(4)이 접촉해서 해당센서가 작동됨은 물론 4선저항막방식의 터치센서의 층들(1~5)이 순간적으로 함몰되어 4선저항막방식의 센서의 마지막 층(5) 아래에 있는 노드(7)가 아래로 밀려 매탈돔(8)에 변형을 가해 매탈돔이 접점(9)에 접촉해 매탈돔스위치(7~10)도 같이 작동되는 경우
즉, 도 26의 구조를 갖는 키패드에서 매탈돔스위치가 모음의 입력을 위해 채용됐다면, 터치센서가 OFF상태이고 매탈돔스위치도 OFF상태이면 해당 버튼은 입력대기 상태인 것이고, 터치센서가 ON이고 매탈돔스위치가 OFF이면 해당버튼은 자음입력상태인 것이며, 터치센서가 ON이고 매탈돔스위치도 ON이면 해당버튼은 모음입력상태인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 3 입력방법 및 제 4 입력방법과 그에 따른 버튼의 구조는 하나의 버튼을 한 번 눌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신호의 수를 두 배 늘려 보다 적은 버튼의 누름으로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4의 키패드가 제 3 입력법이나 제 4 입력법을 따른다면 ‘안녕하세요’라는 문장을 입력하기 위해 눌러야 하는 버튼과 그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안 - 8 (1) 6
녕 - 6 (2 2) 8
하 - 9 (1)
세 - 5 (7)
요 - 8 (3 3)
위에서 ‘( )’안에 들어 있는 키들은 모음입력을 위해 쓰였으며 ‘( )’밖의 키들과는 눌러진 강도가 다르다.
이제 2열 6행의 버튼배치의 키패드에서의 본 발명의 제 2 입력법과 제자원리에 의한 모음배치법을 도 5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제 2 입력법을 따르게 되면 모음입력키가 하나만 필요하므로 모음입력키가 두 개가 필요한 제 1 입력법을 따랐을 경우에 비해 키패드 상에서 자소를 배치할 수 있는 버튼이 하나 늘어난다.
따라서 도 5의 자음배치는 도 3의 경우를 따르되 도 3의 키패드의 제 2 자음 중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ㅆ’이 없어진 구분키가 있던 자리인 1열 6행에 배치됐다.
그리고 모음의 경우는 ‘ㅚ-ㅘ’, ‘ㅟ-ㅝ’, ‘ㅡ-ㅢ’, ‘ㅙ-ㅞ’, ‘ㅣ’의 모음키는 순서대로 8번, 9번, 5번, 0번, *의 버튼에 각각 위치하게 되고 나머지 모음은 도 3의 경우와 같다.
제 2 구분법을 채택한 도 5의 키패드에서 제 1 자음은 해당버튼을 한번 누르는 것으로 그 입력이 실현되고, 제 2 자음은 해당버튼을 연이어 두 번 누르는 것으로 그 입력이 실현되며, 제 1 모음은 모음입력키를 한번 누른 후 해당 모음이 위치한 버튼을 한번 누르는 것으로 실현되고, 제 2 모음은 모음입력키를 두 번 누른 후 해당 모음이 위치한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실현된다.
따라서 도 5의 키패드에서 모음입력키로 키패드매트릭스상의 ‘#’버튼을 사용한다면, ‘안녕하세요’라는 문장을 입력할 때 눌러져야 하는 키의 종류와 그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안 - 8 # 1 6
녕 - 6 # # 2 8
하 - 9 # 1
세 - 5 # 7
요 - 8 # # 3
그리고 본 발명이 제 2 입력법을 따르는 경우에도 제 1 입력법을 따랐을 때와 마찬가지로 모음입력키가 키패드 매트릭스상이 아닌 기기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때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6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그때의 입력방법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도 3 및 도 4, 도 5의 경우로부터 쉽게 유추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이 제 3 입력법 혹은 제 4 입력법을 따랐을 때의 키패드 매트릭스의 자소배치도 될 수 있다. 그리고 그 경우의 문자입력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도 4의 매트릭스의 경우로부터 쉽게 유추할 수 있으므로 그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 본 발명의 2열 6행의 버튼배치구조와 제 1입력법 및 음양에 의한 모음배치를 본 발명이 실시예인 도 7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의 자음배치는 앞에서 설명한 도 3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먼저 본 발명의 음양에 따른 모음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한글의 21개의 모음을 ‘ㅏ’, ‘ㅑ’, ‘ㅐ’, ‘ㅒ’, ‘ㅗ’, ‘ㅛ’, ‘ㅘ’, ‘ㅙ’, ‘ㅚ’, ‘ㅣ’의 10개의 양의 모음과 ‘ㅓ’, ‘ㅕ’, ‘ㅔ’, ‘ㅖ’, ‘ㅜ’, ‘ㅠ’, ‘ㅝ’, ‘ㅞ’, ‘ㅟ’, ‘ㅡ’의 10개의 음의 모음, 그리고 ‘ㅢ’의 1개의 중성의 모음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훈민정음의 모음 창제 원리에 비추어 각 모음들을 기본자로 분해 했을 경우 같은 구성을 보이는 양의 모음과 음의 모음은 서로 짝을 지워 같은 버튼에 배치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양의 모음인 ‘ㅙ’와 음의 모음인 ‘ㅞ’를 기본자로 분해하면 그의 구성성분은 ‘ㅡ’, ‘ㆍ’, ‘ㆍ’, ‘ㅣ’, ‘ㅣ’로 동일하므로 서로 짝을 이뤄서 같은 버튼에 배치되는 것이다.
마찬가지 원리로 한글의 21개의 모음으로부터 ‘ㅏ-ㅓ’, ‘ㅑ-ㅕ’, ‘ㅗ-ㅜ’, ‘ㅛ-ㅠ’, ‘ㅐ-ㅔ’, ‘ㅒ-ㅖ’, ‘ㅚ-ㅟ’, ‘ㅘ-ㅝ’, ‘ㅙ-ㅞ’, ‘ㅡ-ㅣ’의 10개의 음양의 음성모음쌍이 생겨나고 각각의 음양의 모음쌍은 10개의 버튼에 각각 배치되며, 위와 같은 짝을 이루지 못하는 한 개의 중성의 모음인 ‘ㅢ’는 상기 음양의 모음쌍이 배치되지 않은 별도의 버튼에 배치되거나 다른 양의 모음 혹은 음의 모음과 같은 버튼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양의 모음은 해당버튼의 제 1 모음이 되며 음의 모음은 해당버튼의 제 2모음이 된다.
물론 키패드의 제어프로그램이 어떻게 설계되느냐에 따라 위와 반대로 음의 모음이 제 1 모음이 되고 양의 모음이 제 2 모음이 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입력에 있어서는 도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1 자음의 경우 해당버튼을 한번 누르는 것으로 그 입력이 실현되고, 제 2 자음의 경우는 해당버튼을 두 번 연달아 누르는 것으로 그 입력이 실현되며, 해당버튼의 제 1 모음인 양의 모음은 제 1 모음입력키와 해당버튼이 조합으로 그 입력이 실현되고 해당버튼의 제 2 모음인 음의 모음은 제 2 모음입력키와 해당버튼의 조합으로 그의 입력이 실현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키패드가 음양에 따른 모음배치를 따른다면 제 1모음입력키는 해당버튼의 양의 모음을 선택하는 키가 되고 제 2 모음입력키는 해당버튼의 음의 모음을 선택하는 키가 되는 것이다.
도 7에서 양의 모음입력키인 제 1 모음입력키는 ‘*’키이고 음의 모음입력키인 제 2 모음입력키는 ‘#’키이다.
따라서 도 7의 키패드로 ‘안녕하세요’를 입력한다고 하면 그때 눌러지는 버튼의 종류와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안 - 8 * 1 6
녕 - 6 # 2 8
하 - 9 * 1
세 - 5 # 6
요 - 8 * 4
그리고 도 7에서 중성모음인 ‘ㅢ’는 제 1 모음입력 혹은 제 2 모음입력키의 두 번 연속 누름과 ‘ㅢ’가 위치한 버튼인 1열 5행의 버튼의 한번 누름의 조합으로 입력되어진다.
따라서 도 7의 키패드로 ‘고의’라는 단어를 입력한다고 할 때 눌러야 하는 버튼 및 그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고 - 1 * 3
의 - 8 * * 5
그리고 또한 도 7의 경우도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분키가 키패드 매트릭스상이 아닌 휴대용전자기기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8이며 도 8의 키패드의 문자입력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들로부터 쉽게 유추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해당 키패드 매트릭스상에 모음선택키가 없는 도 8의 키패드는 본 발명이 제 3 입력법 및 제 4 입력법의 문자입력방법을 채택했을 때의 실시예도 또한 될 수 있다.
제 3 입력법 및 제 4 입력법의 문자입력방법을 따른 도 8의 키패드로 ‘안녕하세요’라는 문장을 입력 시 눌러야하는 버튼과 그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안 - 8 (1) 6
녕 - 6 (2 2) 8
하 - 9 (1)
세 - 5 (6 6)
요 - 8 (4)
여기서 ‘()’안에 있는 키는 모음의 입력을 위해 눌러진 키를 나타내고 '()'밖에 있는 자음의 입력을 위해 눌러진 키와 다른 강도로 눌러진다.
이제 본 발명의 2열 6행의 버튼배치구조와 제 2입력법 및 음양에 의한 모음배치법을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9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2열 6행의 버튼배치구조를 가지는 키패드매트릭스가 제 2 입력법을 따르게 되면 제 1 입력법을 따랐을 때에 비해 모음입력키가 하나 적게 필요하므로 상대적으로 자소를 배치할 수 있는 버튼의 수가 하나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도 9는 도 7의 자소배치를 따르되, 도 7의 키패드매트릭스의 제 2 자음 중 일반적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ㅆ’과 도 7의 1열 5행의 버튼의 제 3 모음인 중성모음 ‘ㅢ’를 도 9에서는 1열 6행의 버튼에 위치시켰으며 원래 도 7에서 1열 6행에 있던 모음입력키는 본 발명이 제 2 구분법을 따르는 경우에는 필요가 없으므로 키패드 상에서 없어진다.
상기 키패드에서 단순히 해당버튼을 한 번 누르는 것은 해당버튼의 제 1 자음을 입력하는 것이고, 단순히 해당버튼을 두 번 연달아 누르는 것은 해당버튼의 제 2 자음을 입력하는 것이며, 모음입력키를 한 번 누르고 해당버튼 한 번 누르는 것은 해당버튼의 제 1 모음인 양의 모음을 입력하는 것이고, 모음입력키를 두 번 누른 후 해당버튼을 누르는 것은 해당버튼의 제 2 모음인 음의 모음을 입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9의 키패드로 ‘안녕하세요’라는 문장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다.
안 - 8 # 1 6
녕 - 6 # # 2 8
하 - 9 # 1
세 - 5 # # 6
요 - 8 # 4
물론 상기 도 9의 키패드도 도 4나 도 6이나 도 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분키의 기능을 전자기기의 측면에 위치한 버튼에 부여해 키패드 매트릭스 상에서 구분키를 없애 좀 더 심플한 버튼배열을 실현할 수 있으며, 그때의 키패드 매트릭스의 자소배열은 도 10에 제시되어 있다.
도 10은 도 9의 자소배치를 따르되 도 10에서는 6열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도 9에서 1열 6행에 있던 중성모음인 ‘ㅢ’가 도 10에서는 1열 5행의 버튼에 배치되어 해당버튼의 제 3 자음이 된 것을 볼 수 있으며 그의 입력은 모음입력키를 3번 연달아 누른 후 해당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실현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입력법을 따른 도 10의 키패드로 ‘의사’란 단어를 입력할 때 눌러야 하는 키와 그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의- 8 * * * 5
사- 5 * 1
그리고 상기 도 10은 본 발명이 음양에 의한 모음배치와 제 3구분법 혹은 제 4구분법을 따랐을 때의 실시예도 또한 보여준다.
상기 도 10의 키패드가 제 3 입력법 혹은 제 4 입력법을 따랐을 때의 입력방법은 앞서 설명한 예들에 비추어 쉽게 유추할 수 있으므로 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자음 및 모음의 배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이지 여기에 본 발명이 종속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밝히는 바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기본적으로 ‘ㅡ’나 ‘ㅣ’는 서로 쌍을 이루는 음의 모음과 양의 모음이지만 두 모음 모두 사용빈도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두 모음 모두를 제 1 모음으로 지정하기 위해 도 11에서처럼 상기 두 모음을 서로 다른 버튼에 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0의 1열 5행의 제 2 모음이었던 ‘ㅣ’가 도 11에서는 2열 5행의 버튼의 제 1 모음으로 바뀌고 사용빈도가 높은 모음인 ‘ㅢ’의 경우도 도 10에서는 1열 5행의 버튼의 제 3 모음이었으나 도 11에서는 같은 위치의 버튼에서 제 2 모음으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12의 자음배치의 경우처럼 한글 자음 중 격음이 평음-경음쌍이 위치한 버튼의 바로 옆 버튼이 아닌 바로 아래의 버튼에 위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2의 2열 2행의 버튼에서와 같이 ‘ㄹ’과 ‘ㅌ’을 같은 버튼에 위치시키고 해당버튼을 연이어 누름으로 ㄹ-ㅌ-ㄾ의 순서로 선택되는 자음이 바뀌도록 문자입력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러 실시예들에서 제시된 버튼의 배열 구조를 행과 열만 바꿔 6열 2행으로 하거나 5열 2행과 같이 해도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제껏 설명한 2열의 버튼 배치구조를 가지는 키패드 매트릭스에서의 본 발명은 약간의 수정과 변형을 거치면 3열의 버튼 배치구조를 가지는 키패드 매트릭스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제부터 본 발명이 3열 4행으로 나열된 버튼의 배치구조를 가지는 키패드매트릭스에서 어떠한 형태를 띠는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3열 4행의 버튼구조를 가지는 키패드 매트릭스에서의 본 발명의 자음배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한글의 평음-경음쌍은 ‘ㄱ-ㄲ’, ‘ㄷ-ㄸ’, ‘ㅂ-ㅃ’, ‘ㅅ-ㅆ’, ‘ㅈ-ㅉ’의 5개이고 평음-경음-격음쌍은 ‘ㄱ-ㄲ-ㅋ’, ‘ㄷ-ㄸ-ㅌ’, ‘ㅂ-ㅃ-ㅍ’, ‘ㅈ-ㅉ-ㅊ’의 4개이다.
그러므로 3열 4행의 버튼배치 구조를 갖는 키패드에서는 2열 5행이나 2열 6행의 버튼구조 구조를 갖는 키패드매트릭스의 경우와 달리 하나의 열에 평음-경음쌍을 연이어 배치할 수 없다.
따라서 3열 4행의 버튼배치구조를 취하며, 키패드상에서 제 2 입력법의 하나의 모음입력키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13과 도 14에서는, 1열과 2열에 걸쳐서 행별로 ‘ㄱ-ㄲ-ㅋ’, ‘ㄷ-ㄸ-ㅌ’, ‘ㅂ-ㅃ-ㅍ’, ‘ㅈ-ㅉ-ㅊ’의 4개의 평음-경음-격음쌍을 각각 배치했으며 해당계열의 격음이 없는 유일한 평음-경음쌍인 ‘ㅅ-ㅆ’과 모음입력키를 3열에 배치하였다.
그리고 3열 4행의 버튼배치구조를 취하며, 키패드상에서 제 1 입력법의 두 개의 모음입력키를 각각 1열 4행과 3열 4행의 위치에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15와 16에서는, 도 13이나 도 14와 같이, 4개의 행 각각에 한글의 4개의 평음-경음-격음의 자음쌍을 배치하지 못하므로, ‘ㅅ-ㅆ’이외에 다른 평음-경음쌍 하나를 3열의 버튼에 배치하되, 같은 계열의 격음도 3열의 버튼에 해당계열의 평음-경음쌍의 버튼과 연이어 배치하였다.
도 15와 도 16에서 3열의 버튼에 위치한 평음-경음-격음쌍은 ‘ㅈ-ㅉ-ㅊ’이다.
3열 4행의 버튼배열 구조를 가지며 모음입력키가 키패드상에 위치한 본 발명의 키패드가,
제 1 입력법과 제자원리에 따른 모음배치를 채택한다면, 그때의 키패드 매트릭스는 도 15로 예시되며,
제 2 입력법과 제자원리에 따른 모음배치를 채택한다면, 그때의 키패드 매트릭스의 도 13으로 예시되며,
제 1입력법과 음양에 의한 모음배치를 채택한다면, 그때의 키패드 매트릭스는 도 16으로 예시되며,
제 2 입력법과 음양에 의한 모음배치를 채택한다면, 그때의 키패드 매트릭스는 도 14로 예시되어 진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2열의 버튼배치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3열의 버튼배열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키패드도 상기 모음입력키가 키패드 매트릭스상이 아닌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 경우 키패드의 버튼 배열 구조는 도 17이나 도 18과 같은 3열 3행이 될 것이다.
도 17은 3열 3행의 버튼배치형식을 취하는 키패드에서 제자원리에 따른 모음배치형식을 채택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상기 키패드가 제 1 입력법이나 제 2 입력법을 따른다면 해당전자기기의 측면의 별도의 버튼이 키패드 매트릭스 상에서 없어진 모음입력키의 기능을 대신하게 되며, 상기 실시예의 키패드가 제 3 입력법 또는 제 4 입력법을 따른다면, 별도의 모음입력키의 입력 없이 사용자가 버튼에 가하는 물리량의 강도나 종류에 의하여 자음 혹은 모음의 입력이 결정된다.
상기 키패드로 제 1 자음과 제 1 모음, 제 2 자음과, 제 2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은 다른 실시예들의 입력방법으로부터 쉽게 유추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 17의 키패드의 일부 버튼에 있는 제 3 자음은 해당버튼을 단순히 세 번 연달아 누르는 것으로 그 입력이 실현되며,
도 17의 제 3 모음은,
상기 키패드가 제 1 입력법을 취한다면, 제 1 모음입력키 혹은 제 2 모음입력키의 두 번 연속 누름과 해당 모음이 위치한 버튼의 한번 누름의 조합으로 그 입력이 실현되며,
상기 키패드가 제 2 입력법을 취한다면, 모음입력키의 세 번 연달아 누름과 해당 모음이 위치한 버튼의 한번 누름으로 그 입력이 실현된다.
그러므로 제 1 입력법을 취한 도 17의 키패드로 ‘초의’라는 단어를 입력할 때 눌러야 하는 버튼과 그의 순서는 다음과 같으며,
초 - 9 9 9 + 7
의 - 8 + + 9
제 2 입력법을 취한 도 17의 키패드로 ‘초의’라는 단어를 입력할 때 눌러야 하는 버튼과 그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초 - 9 9 9 + 7
의 - 8 + + + 9
여기서 ‘+’는 해당전자기기의 측면에 위치한 모음입력키를 나타내며 상기 도 17의 키패드가 제 1 입력법을 취했을 경우, 다른 모음입력키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8은 3열 3행의 버튼배치형식을 취하는 키패드에서 음양에 따른 모음배치형식을 채택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1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음입력키가 키패드상에 위치하지 않고 키패드 외부에 있거나, 혹은 상기 키패드가 본 발명의 제 3 입력법 혹은 제 4 입력법을 따랐을 때의 경우를 보여준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글의 모음에서 10개의 음양의 모음 쌍을 만들어냈지만 3열 3행의 버튼배치의 키패드에서는 키패드의 버튼의 수가 9개이기 때문에 서로 짝을 이루는 1개의 양의 모음과 음의 모음은 같은 버튼에 배치될 수 없다.
그리고 도 18에서 같은 버튼에 배치되지 않은 서로 짝을 이루는 양의 모음과 음의 모음은 해당 키패드매트릭스의 3행의 버튼에서 제 3 모음인 ‘ㅙ’와 ‘ㅞ’이다.
그리고 상기 도 17과 도 18과 같이 9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키패드에서는 0부터 9까지의 10개의 숫자를 각 버튼에 배치할 수 없으나 상기 각 실시예들은 전체 키패 드매트릭스에서 문자가 배치되는 버튼의 배열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므로 실제 생산되는 키패드매트릭스는 버튼의 개수가 더 있을 수 있으며, 만일 실제 키패드를 도 17과 도 18의 실시예처럼 9개의 버튼만으로 구성한다 해도 키패드 외부의 특정버튼 하나를 숫자입력버튼으로 지정하면 0~9까지의 숫자를 입력하는 것은 문제가 없다.
그리고 상기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도 18의 키패드의 문자입력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2열의 버튼 구조를 갖는 실시예들의 문자입력방법으로부터 쉽게 유추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3열의 버튼배열의 키패드에서도 2열의 버튼배열의 키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실시예에 본 발명의 종속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키패드 매트릭스의 버튼배치의 구조와 버튼의 개수, 그리고 각 자소의 사용빈도에 따라 상기 실시예들로 대표되는 본 발명의 자소배열과 입력방법은 변할 수 있다.
이제 앞에서 제시한 기본적인 실시예들 이외에 본 발명이 어떤 변형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3열 4행의 키패드 매트릭스에서 제자원리에 따른 모음배치법 채택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같은 방법을 채택한 도 15의 실시예와 다르게 키패드매 트릭스의 1열의 4개의 버튼 각각에 한글의 4개의 초출자-제출자 쌍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도 15에서는 8번과 9번 버튼에서 각각 볼 수 있듯이 ‘ㅚ’가‘ㅘ’와 짝을 이뤄 같은 버튼에 배치되고, ‘ㅟ’는 ‘ㅝ’와 짝을 이뤄 같은 버튼에 배치됐지만, 도 19에서는 8번과 0번 버튼에서 각각 볼 수 있듯이 ‘ㅘ’가 ‘ㅙ’와 짝을 이뤄 같은 버튼에 배치됐고, ‘ㅝ’는 ‘ㅞ’와 짝을 이뤄 같은 버튼에 배치됐다. 하지만 두 경우 모두 제 2 모음이 제 1 모음에 기본자(ㆍ) 하나의 추가로 생성됐다는 점은 동일하다.
도 20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여태껏 살펴본 3열의 버튼배치를 갖는 다른 키패드의 자음배치와는 다르게 한글자음의 각각의 격음이 해당계열의 평음-경음쌍 바로 옆에 버튼이 아닌 바로 아래의 버튼에 배치되었다. 이렇게 하면 격음의 자음은 모두 짝수 번째 행의 버튼에서 제 2 자음이 된다.
도 21은 3열 3행의 버튼배치를 갖는 키패드매트릭스에서 본 발명이 음양에 따른 모음배치를 채택했을 때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같은 모음배치 방법을 따른 도 18의 키패드에서는 7번과 8번 버튼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에서 서로 짝을 이루는 양의 모음과 음의 모음인 ‘ㅙ’와 ‘ㅞ’가 다른 버튼에 위치해 있으나, 도 21의 실시예에서는 8번의 버튼에서 보이듯이, 두 개의 음양의 모음쌍이 같은 버튼에 배치되어 예외없이 모든 양의 모음은 그에 대응하는 음의 모음과 같은 버튼에 배치됐다.
그러므로 도 21의 키패드는 8번 버튼에서 제 3 모음과 제 4 모음을 갖게 되는데,
그 입력은,
상기 키패드가 제 1 입력법을 채택한다면, 제 1 모음입력키를 두 번 연달아 누른 후 해당 모음이 위치한 버튼을 한번 누르는 것으로 해당버튼의 제 3 모음의 입력을 실현하고, 제 2 모음입력키를 두 번 연달아 누른 후 해당버튼을 한번 누르는 것으로 해당버튼의 제 4 모음의 입력을 실현하며,
상기 키패드가 제 2 입력법을 채택한다면, 모음입력키를 세 번 연달아 누른 후 해당버튼을 한번 누르는 것으로 해당버튼의 제 3 모음의 입력을 실현하고, 모음입력키를 네 번 연달아 누른 후 해당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해당버튼의 제 4 모음의 입력을 실현한다.
그러므로 도 21의 키패드가 제 1 입력법을 취했을 때 ‘쇄신’이란 단어는 다음과 같은 키의 조합으로 입력되며,
쇄 - 3 * * 8
신 - 3 * 7 2
‘웹툰’이란 단어는 다음과 같은 키의 조합으로 입력된다.
웹 - 8 # # 8 7
툰 - 5 5 # 4 2
그리고 도 21의 키패드가 제 2 입력법을 취했다면 ‘쇄신’이란 단어는 다음과 같은 키의 조합으로 입력되며,
쇄 - 3 * * * 8
신 - 3 * 7 2
‘웹툰’이란 단어는 다음과 같은 키의 조합으로 입력된다.
웹 - 8 * * * * 8 7
툰 - 5 5 * * 4 2
도 22는 3열 4행의 버튼구조를 갖는 키패드에서 키패드상의 모든 버튼에 한글의 자소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키패드는 본 발명의 제 3입력법 및 제 4입력법을 따를 수 있으며, 키패드 외부에 모음입력키를 지정한다면 본 발명의 제 1 입력법 및 제 2 입력법도 또한 따를 수 있다.
또한 여태껏 살펴본 제자원리에 따른 모음배치의 실시예에서 제 2 모음은 해당버튼의 제 1 모음에 기본자 ‘ㆍ’가 하나 추가되어 생성되는 모음이었지만, 도 23에서와 같이 제 2 모음을 해당버튼의 제 1 모음에 기본자 ‘ㅣ’를 하나 추가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여태껏 살펴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단순명료한 설명을 위해 기본적인 버튼배열을 갖는 키패드를 다루었으나 실제 상용될 제품의 키패드의 버튼의 개수는 상기 키패드보다 많을 수도 있으며 그것은 휴대용전자기기에 더욱 많은 부가기능이 첨부되는 추세인 요즘 일반적인 현상이다.
도 24는 제자원리의 모음배치를 보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여태껏 살펴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과는 다르게 한글의 자음과 모음 자소들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전개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여태껏 살펴본, 3열의 버튼배치구조의 ‘*’과 ‘#’키가 키패드상에 배치된 실시예들에서는, 키패드 매트릭스상에서 한글의 자소를 배치하는 버튼의 개수가 10개이기에, 도 15의 6번 버튼에서와 같이 하나의 버튼에 제 3 자음이 존재하게 되는데, 도 22의 키패드는 자소배치를 위해 총 11개의 버튼을 사용함으로 모든 버튼에 서 제 3 자음이 존재하지 않으며, 한글의 경음의 자음 중 사용빈도가 높은 ‘ㅆ’도 ‘0’번 버튼에서 볼 수 있듯이 제 1 자음의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도 25는 음양에 따른 모음배치를 보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3열의 버튼배열을 취하는 키패드 매트릭스이지만 여태껏 살펴본 2열의 버튼배열을 취하는 키패드 매트릭스와 자소와 숫자의 배치에서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도 24와 도 25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폰의 경우, 슬라이드형 휴대폰보다는 버튼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넓은 폴더형 휴대폰이나 터치스크린 방식의 휴대폰에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16의 키패드가 그 입력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입력법을 따랐을 때 한글의 모음과 자음의 각 자소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표이며, 도 29는 종래의 천지인 방식의 도 1의 키패드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표이며, 도 30은 종래의 EZ한글 방식의 도 2의 키패드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표이다.
비교된 키패드는 모두 3열 4행의 버튼구조를 갖는 키패드이며, 상기 표들을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이 종래에 방식의 문자입력방법에 비해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22의 키패드가 그 입력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2 입력법을 따랐을 때, 한글의 모음과 자음의 각 자소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표이다. 도 32의 표에서 ‘+’는 모음입력키를 나타내며 해당 전자기기의 측면에 위치한다.
그리고 만일, 도 22의 키패드가 그 입력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입력법을 따른다면, 모음입력키의 누름횟수가 아닌 모음입력키의 종류에 의해 제 1 모음과 제 2 모음이 선택되어 입력되므로, 도 32의 표에 나타난 모음입력키의 누름 횟수는 더욱 줄어든다.
도 33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22의 키패드가 그 입력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3 입력법 혹은 제 4 입력법을 따랐을 때, 한글의 모음과 자음의 각 자소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표이다. 모음입력키의 누름마저 생략되어 자소입력 시 눌러야하는 버튼의 누름 횟수가 많이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단, 모음을 입력할 때와 자음을 입력할 때 버튼에 가해지는 물리량의 강도가 문자입력시스템이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달라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특허 공개번호 특1996-0043680)의 한글키패드의 실시예
도 2는 종래 기술(특허 공개번호 10-2001-0091340)의 한글키패드의 실시예
도 3부터 도 25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키패드의 실시예
도 26은 본 발명의 버튼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키패드의 단면도
도 27은 실제품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
도 28은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따라 한글의 모음을 분류한 표
도 29는 종래의 천지인 방식의 키패드로 한글의 각 자소를 누르는 법을 나타낸 표
도 30은 종래의 EZ한글 방식의 키패드로 한글의 각 자소를 누르는 법을 나타낸 표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16의 키패드로 한글의 각 자소를 누르는 법을 나타낸 표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22의 키패드가 본 발명의 제 2 입력법을 따랐을 때 한글의 각 자소를 누르는 법을 나타낸 표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22의 키패드가 그 입력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3 입력법 또는 제 4 입력법을 따랐을 때 한글의 각 자소를 누르는 법을 나타낸 표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터치부 (부도체, Film, plastic)
2: 상부 박막 전극
3: 공간 이격자 (Dot Spacer)
4: 하부 박막 전극
5: 하부지지면 (Substrate, Plastic)
6: 고무막 (Rubber sheet)
7: 노드 (NODE)
8: 매탈돔 (METAL DOME)
9: 접점
10: 인쇄회로기판

Claims (17)

  1. 한글의 자음입력버튼과 모음입력버튼이 구분되어 있지 않고 문자입력을 위한 각각의 버튼이 자음과 모음의 자소(字素)입력을 동시에 지원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키패드
  2.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자음의 입력은 해당 자음이 위치한 버튼으로 입력되고, 모음의 입력은 해당 모음의 위치한 버튼과 키패드 시스템에 구비된 모음입력키와의 조합으로 입력되는 키패드
  3.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동일한 버튼에 배치된 자음과 모음을 구분하여 입력하기 위해 키패드 버튼의 작동방식을 특정 물리량의 강약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의 채용으로 하여 사용자가 버튼에 가하는 물리량의 강약에 의해 자음 혹은 모음의 입력이 결정되는 키패드
  4.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동일한 버튼에 배치된 자음과 모음을 구분하여 입력하기 위해 키패드 버튼의 작동방식을 서로 다른 방식의 두 가지 센서의 채용으로 하여 사용자가 해당버튼에서 작동시키는 센서의 종류나 해당버튼에서 작동되는 센서의 조합에 의해 자음 혹은 모음의 입력이 결정되는 키패드
  5. 상기 청구항 2에 있어서, 모음의 입력을 위해 쓰이는 모음입력키가 두 개이며, 그 중 하나의 키는 제 1 모음을 입력하는 제 1 모음입력키로 지정되고, 나머지 하나의 키는 제 2 모음을 입력하는 제 2 모음입력키로 지정되어, 해당버튼과 제 1 모음입력키의 조합으로 해당버튼의 제 1 모음이 입력되며, 해당버튼과 제 2 모음입력키의 조합으로 해당버튼의 제 2 모음이 입력되는 키패드
  6. 상기 청구항 2에 있어서, 모음의 입력을 위해 쓰이는 모음선택키가 1개이며, 모음선택키의 한번 누름과 해당버튼의 한번 누름의 조합으로 해당버튼의 제 1 모음의 입력이 실현되고, 모음선택키의 두 번 연속 누름과 해당버튼의 한번 누름의 조합으로 해당버튼의 제 2 모음의 입력이 실현되며, 모음선택키의 N번 연속누름과 해당버튼의 한번 누름으로 해당버튼의 제 N모음의 입력이 실현되는 키패드
  7. 상기 청구항 3에 있어서 그 센서는 압력감지 센서인 키패드
  8. 상기 청구항 4에 있어서 서로 다른 종류의 두 가지 센서 중 하나는 저항막방식이나 적외선 방식 혹은 전류감지방식과 같은 접촉감지 센서이고, 나머지 하나는 매탈돔스위치 같은 누름스위치인 키패드
  9. 상기 청구항 5 혹은 청구항 6에 있어서 모음입력키는 키패드 매트릭스상의 ‘*’버튼 혹은 ‘#’버튼인 키패드
  10. 상기 청구항 5 혹은 청구항 6에 있어서 해당 모음입력키는 키패드 매트릭스의 외부, 해당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에 사용자가 검지나 중기 혹은 약지로 제어하기 용이한 곳에 위치한 버튼인 키패드
  11. 상기 청구항 5 혹은 청구항 6에 있어서 해당 모음입력키는 키패드 매트릭스의 외부, 해당 휴대용 전자기기의 측면에 사용자가 거꾸로 핸드폰을 잡았을 때 사용자가 검지나 중지나 약지로 제어하기 용이한 곳에 위치한 버튼인 키패드
  12. 상기 청구항 11에 있어서, 각 버튼의 자음과 모음의 한글 자소가 해당 휴대용전자기기의 방향과 거꾸로 인쇄된 키패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한글 모음의 초출자 4개인 ‘ㅏ’, ‘ㅓ’, ‘ㅗ’, ‘ㅜ’는 4개의 버튼 각각에 배치되어 각기 해당 버튼의 제 1 모음이 되며, 한글 모음의 2개의 기본자 ‘ㅡ와 ‘ㅣ’중 최소 1개 이상은 해당 버튼에서 제 1 모음인 키패드
  14.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해당버튼의 제 2 모음은 훈민정음의 모음제자원리에 따라 해당버튼의 제 1 모음에 기본자 하나의 추가로 생성되는 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15.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해당버튼의 제 1 모음과 제 2 모음을 훈민정음의 모음제자원리에 따라 기본자로 분해했을 때, 그 분해된 기본자의 구성은 그 종류와 숫자에 있어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16.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한글의 10개의 평음의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는 키패드의 10개의 버튼에 각각 1개씩 배치되어 해당버튼의 제 1 자음이 되며,
    한글의 5개의 경음의 자음 ‘ㄲ’‘ㄸ’‘ㅃ’‘ㅆ’‘ㅉ’중 최소 4개는 각각 해당계열의 평음의 자음과 같은 버튼에 배치되어 해당버튼의 제 2 자음이 되며,
    한글의 4개의 격음의 자음 ‘ㅋ’, ‘ㅌ’, ‘ㅍ’, ‘ㅊ’는 해당계열의 평음이 위치한 버튼의 바로 옆이나 바로 아래의 버튼에 한글의 자음 중 평음-경음쌍을 이루지 못하는 다른 평음과 함께 배치되어 해당버튼의 제 2 자음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17.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버튼들의 행과 열 혹은 열과 행의 구조가 2×5, 2×6, 3×3, 3×4, 3×5인 휴대용 전자기기의 키패드
KR1020080077489A 2008-08-07 2008-08-07 휴대용 전자기기의 한글입력 키패드와 그의 입력방법 KR20080080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489A KR20080080475A (ko) 2008-08-07 2008-08-07 휴대용 전자기기의 한글입력 키패드와 그의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489A KR20080080475A (ko) 2008-08-07 2008-08-07 휴대용 전자기기의 한글입력 키패드와 그의 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475A true KR20080080475A (ko) 2008-09-04

Family

ID=4002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489A KR20080080475A (ko) 2008-08-07 2008-08-07 휴대용 전자기기의 한글입력 키패드와 그의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04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5260A (zh) * 2013-06-18 2013-12-04 吴礼明 复式五元音数字键盘韩文输入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5260A (zh) * 2013-06-18 2013-12-04 吴礼明 复式五元音数字键盘韩文输入法
CN103425260B (zh) * 2013-06-18 2016-11-23 吴礼明 复式五元音数字键盘韩文输入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0430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ingle-handed data entry
KR100464115B1 (ko) 키입력장치
US7321360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fficient communication utilizing a reduced number of selectable inputs
WO2010099835A1 (en) Improved text input
US20100225591A1 (en) Highly compact keyboards
US7417564B2 (en) Enhancing character input in electronic device
JPH1115584A (ja) キーボードによる文字入力方式および電子機器
KR2011000313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80080475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한글입력 키패드와 그의 입력방법
KR100607109B1 (ko) 원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장치
KR10065257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와 문자 인식 방법
JP3071751B2 (ja) キー入力装置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KR100846042B1 (ko) 전기전자기기의 버튼효율 증대방법
KR20030053971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20100025628A (ko) 전기전자기기의 버튼효율 증대방법
KR20070082777A (ko)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방법
KR2010011007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1850674B1 (ko)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영어입력 자판 및 입력방법
KR100714067B1 (ko) 모바일기기의 한글입력방법
JP2001075708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KR20040092626A (ko) 한글 입력장치와 이를 이용한 통신 단말 장치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126271B1 (ko) 가상의 6면 입체 키패드 모듈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KR20130038427A (ko) 터치스크린 한글자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