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0353A - 유동성 식품의 밀봉 포장에 접착될 개구 장치를 위한 연속유닛 - Google Patents

유동성 식품의 밀봉 포장에 접착될 개구 장치를 위한 연속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0353A
KR20080080353A KR1020087015874A KR20087015874A KR20080080353A KR 20080080353 A KR20080080353 A KR 20080080353A KR 1020087015874 A KR1020087015874 A KR 1020087015874A KR 20087015874 A KR20087015874 A KR 20087015874A KR 20080080353 A KR20080080353 A KR 20080080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evice
path
guide
unit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레산드로 주코티
클라우디오 발디니
마흐무드 타바르테
라르스 스카린
안드레스 구스타프손
Original Assignee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80080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1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king package-opening or unpack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50/814Applying closure elements to blanks, webs or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50/84Forming or attaching means for filling or dispensing contents, e.g. valv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9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for augmenting or creating a pression force between the load and the load-carry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0/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31B2100/00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made from tubular webs or blanks, including by tube or bottom form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Packag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성 식품의 개별적인 밀봉 포장에 접착하기 위해 개구 장치(3)의 연속물의 공급 경로(A)를 따라 동작하는 연속 유닛(1)에 관한 것인데, 상기 유닛은: 상기 경로(A)를 따라 개구 장치를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개구 장치(3)의 연속물과 소정의 레이트로 상호 작용하는 푸쉬 수단(25); 및 상기 푸쉬 수단(25)에 대한 소정의 위치에서 여러 지리적인 특성을 갖는 개구 장치(3)를 유지시키기 위해 가변 구성의, 상기 개구 장치(3)와 상호 작용하는 자리 배치 수단(29)을 포함한다.
개구 장치, 공급 경로, 연속 유닛, 푸쉬 수단, 자리 배치 수단

Description

유동성 식품의 밀봉 포장에 접착될 개구 장치를 위한 연속 유닛{SEQUENCING UNIT FOR OPENING DEVICES TO BE GLUED TO SEALED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본 발명은 유동성 식품의 밀봉 포장에 접착시키기 위한 개구 장치에 대한 연속 유닛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과일 음료, UHT(초고온 처리된) 우유, 와인, 토마토 소스 등과 같은 여러 유동성 식품은 살균된 포장재로 만들어진 포장으로 판매된다.
이러한 유형의 포장의 전형적인 예는 Tetra Brik Aseptic(상표 등록됨)으로 공지된 액체 또는 유동성 식품용 평행육면체형 포장인데, 이는 적층된 스트립 포장재를 접어서 밀봉함으로써 만들어진다. 포장재는 강성 및 세기를 위해 베이스 층을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데, 이는 종이와 같은 섬유재층이나 광물-충전된 폴리프로필렌 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층과 양측 상에서 커버된다. UHT 우유와 같은 장기 보존 식품용 무균 포장의 경우에, 포장재는 알루미늄 포일과 같은 산소-장벽 물질층을 포함하는데, 이는 열가소성 물질층 상에 포개지며, 그 후에 식품을 마침내 포함하는 포장 내부면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물질로 된 다른 층으로 커버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류의 포장은 연속적인 튜브가 웹-공급(web-fed) 포장재로부터 형성되는 완전한 자동 포장 기계에서 일반적으로 제조되는데; 포장재의 웹은 예컨대, 과산화수소 용액과 같은 화학 살균제를 도포함으로써 포장 기계 상에서 살균되는데, 상기 화학 살균제는 일단, 살균이 완료되면, 포장재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되는데, 예컨대, 열에 의해 증발되며; 이렇게 살균된 포장제의 웹은 폐쇄된, 무균 환경에서 보존되어, 수직 튜브를 형성하기 위해 종형으로 접혀 밀봉된다.
튜브는 살균되거나 살균-처리된 식품으로 충전되고, 밀봉되고, 동일하게 이격된 횡단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절단되어 필로우 팩(pillow pack)을 형성하고, 그 후에 개별적인 완성된, 예컨대,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형, 포장을 형성하도록 기계 장치로 접힌다.
대안적으로, 포장재는 블랭크(blank)로 절단될 수 있는데, 이는 스핀들(spindle)을 형성시 포장으로 형성되고, 포장은 식품으로 충전되고 밀봉된다. 이러한 유형의 포장의 한 예는 상표명이 Tetra Rex(상표 등록됨)으로 공지된 소위 "게이블-탑(gable-top)" 포장이다.
일단 형성되면, 상기 포장은 다시 닫힐 수 있는 개구 장치의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거쳐서, 외부 에이전트와의 접촉으로부터 포장 내의 식품을 보호하고, 식품이 밖으로 쏟아지도록 한다.
현재, 가장 공통적으로 마케팅되는 개구 장치는 주입 개구(pour opening)를 한정하며 포장의 최상부 벽의 제거 가능하거나 접합 가능한 부분에 일치하는 환형 프레임; 및 포장을 열기 위해 제거될 수 있는, 프레임부에 힌지(hinge)되거나 스크류(screw)된 캡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예컨대, 슬라이드-오픈과 같은 다른 유형의 개구 장치가 또한 사용된다고 공지된다.
포장의 제거 가능한 부분은 포장의 외부에 접착되거나 가열-밀봉된 밀봉 시트에 의해 한정되어 포장에서 관통 홀을 닫는다. 이러한 솔루션의 한 예는 특허 명세서 EP-A-9433549호에서 설명되고 도해된다. 대안적으로, 밀봉하여 홀을 닫는, 포장재를 한정하는 다른 층, 예컨대, 장벽 물질층 및/또는 열가소성 물질층을 갖는 베이스 층을 커버하기 전에 포장의 제거 가능한 부분은 소위 "선적층된" 홀, 즉, 포장재의 베이스 층에서 형성된 홀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솔루션의 한 예는 특허 명세서 EP-A-331798호에서 설명되고 도해된다.
두 경우에, 개구 장치는 호퍼(hopper)로부터 접착제 애플리케이션 유닛(adhesive application unit)으로, 그 후에 개별적인 포장에 각각의 개구 장치를 접착시키기 위해 글루 유닛(gluing unit)으로 제공된다.
접착 애플리케이션 유닛의 동작을 개선하기 위해서, 접착제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애플리케이션을 보장하기 위해서, 소정의 이동 속도 및 공급 레이트에서 순차적으로, 소정의 위치에서 애플리케이션 유닛에 개구 장치를 공급하기 위한 연속 유닛을 산업에서 필요로 한다.
특히, 개구 장치의 제조에 포함된 형태 및 치수 임계값으로부터 야기된 여러 지리적인 특성을 갖는 개구 장치를 전달할 수 있는 연속 유닛이 필요로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월하게 저가의 방법으로 상기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디자인된, 유동성 식품의 밀봉 포장에 접착하기 위한 개구 장치용 연속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성 식품의 개별적인 밀봉 포장의 접착을 위해서 개구 장치의 연속물의 공급 경로를 따라 동작하는 연속 유닛이 제공되는데,
- 상기 경로를 따라 개구 장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개구 장치의 연속물과 소정의 레이트로 상호 작용하는 푸쉬 수단; 및
- 상기 푸쉬 수단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서 여러 지리적인 특성을 갖는 개구 장치를 유지시키기 위해 가변 구성의, 상기 개구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자리 배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비-제한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의 방법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유닛의 상부도;
도2 및 도3은 명확성을 위해 제거된 부분이 있는, 제1 및 도2 동작 조건 각각에서 도1 연속 유닛의 측면도;
도4 및 도5는 명확성을 위해 제거된 부분이 있는, 제1 및 제2 동작 조건 각각에서 도1 연속 유닛의 상부도;
도6은 제3 동작 상태에서 도1 유닛의 측면도;
도7은 제3 동작 조건에서 도1 유닛의 후면도;
도8은 도7의 확대 상세도; 및
도9는 도8의 확대 상세도.
도1 내지 도7를 참조하면, 숫자 1은 개구 장치를 위한 전체 연속 유닛을 나타내는데, 이는 도입부에서 설명된 유형의 공지된 유동성 식품 포장 기계(도시되지 않음)에 통합될 수 있다.
특히, 유닛(1)은 개구 장치(3)의 공급 경로(A)를 따라 동작한다. 경로(A)는 도1, 도4 및 도5에서 나타내지는 방향으로 각각의 개구 장치(3)에 의해 이동되고, 경로(A)를 따라 유닛(1)으로부터 업스트림에 위치된 호퍼(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다수의 유닛(도시되지 않음)으로 신장하는데, 이는 포장 기계의 일부를 형성하고, 개구 장치(3)와 상호 작용하고, 경로(A)를 따라 접착제를 개구 장치(3)에 도포하기 위한 유닛 및 개별적인 포장(도시되지 않음)에 각각의 개구 장치(3)를 접착시키기 위한 유닛과 같은, 유닛(1)으로부터 다운스트림에 위치된다.
상술된 유형의 포장 기계 상에서 제조된 포장의 비-제한적인 예는 상표면 Tetra Brik Aseptic(상표 등록됨)으로 공지된 평행육면체형 포장이거나, 상표명 Tetra Rex(상표 등록됨)으로 공지된 소위 "게이블-탑" 포장이다.
포장의 포장재는 베이스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데, 이는 종이와 같은 섬유재층이나 광물-충전된 폴리프로필렌층을 포함하고, 예컨대,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층과 양측 상에서 커버된다. UHT 우유와 같은 장기 보존 식품용 무균 포장의 경우에, 포장재는 알루미늄 포일과 같은 산소-장 벽 물질층을 포함하는데, 이는 열가소성 물질층 상에 포개지며, 그 후에 식품을 마침내 포함하는 포장 내부면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물질로 된 다른 층으로 커버된다.
개구 장치(3)는 개별적인 포장(도시되지 않음)의 제거 가능한 부분, 즉, 유동성 제품이 쏟아지는 포장의 나머지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부분에 적용된다.
제거 가능한 부분은 포장의 홀을 통해 닫히도록 포장에 접착되거나 가열-밀봉된 밀봉 시트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거 가능한 부분은 소위 "선적층된" 홀에 의해 한정될 수 있는데, 상기 홀은 포장재의 베이스 층에서 형성되고, 포장 물질을 한정하는 다른 층(적어도 열가소성 물질층)에 의해 밀봉하여 닫혀진다.
특히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장치(3)는 개별적인 포장벽에 접착되어 주입 개구(6)가 제거 가능한 위치에 위치되는 주입 개구(6)를 한정하는 튜브형 프레임 부분(5); 및 개구(6)를 닫기 위해서 프레임 부분(5)의 측 표면(8)의 한 단부에 외부로 스크류되고, 식품을 따르기 위해 프레임 부분(5)으로부터 제거 가능한 캡(7)을 포함한다.
특히, 대향하는 단부에서, 각각의 개구 장치(3)의 표면(8)은 개별적인 포장에 접착된 돌출부(9) 및 캡(7)을 스크류/스크류 해제하기 위한 스레드 부분(threaded portion)(도8 및 도9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표면(8)은 또한 돌출부(9) 및 스레드 부분 사이의 중간 위치에 위치된 돌출부(10); 및 돌출부(9,10)에 연결된 연결 부분(11)을 포함한다.
특히, 부분(11)은 돌출부(9,10)보다 방사형으로 작고, 환형 리세스(12)를 한 정하기 위해서 돌출부(9,10)에 대향하는 측 상에서 연결된다.
경로(A)를 따라, 유닛(1)은 일렬로 배열된 개구 장치(3)를 운반하는 제1 운반 장치(20); 및 해제 가능한 제동 유닛(21)을 포함하는데, 상기 해제 가능한 제동 유닛은 운반 장치(20)로부터 다운스트림으로 개구 장치(3)와 상호 작용하고, 경로(A)를 따라 개구 장치(3)를 정지시키는 제1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설정되며, 개구 장치(3)의 이동을 허용하는 제2 구성으로 이동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유닛(1)이 또한 제동 유닛(21)으로부터 다운스트림으로 상기 경로(A)를 따라 개구 장치를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개구 장치의 연속물과 소정의 레이트로 상호 작용하는 푸쉬 수단(25)(도1); 및 상기 푸쉬 수단(25)에 대한 소정의 위치에서 여러 지리적인 특성을 갖는 개구 장치(3)를 유지시키기 위해 가변 구성의, 상기 개구 장치(3)와 상호 작용하는 자리 배치 수단(29)을 포함한다.
특히, 운반 장치(20)는 일렬로 개구 장치(3)를 배열시키며 이들이 운반 장치(20)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만드는 장치(도시되지 않음) 및 호퍼로부터 개구 장치(3)를 수신한다.
운반 장치(20)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개구 장치(3)를 운반하도록 경로(1)에 평행하게 이동 가능한 평편한 표면(22)을 한정한다. 특히, 표면(22)은 일렬로 배열된 개구 장치를 운반하고, 각각은 표면(22)과 접촉하여 개별적인 캡(7), 및 자유로운 개별적인 돌출부(9)와 위치된다.
도4 및 도5를 특히 참조하면, 유닛(21)은 서로 평행한 개별적인 축(B,C)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경로(A)에 수직으로 신장하는 두 개의 암(arm)(23)을 포함한 다. 각각의 암(23)은 경로(A)를 따라 개구 장치(3)를 정지시키며 개구 장치가 유닛(21)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별적인 개구 장치(3)와 공동 동작하는, 제1 환형 부분 및 개별적인 개구 장치(3)로부터 탈착되고 유닛(21)을 통해 경로(A)를 따르도록 하는 제2 환형 부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암(23)은 개구 장치(3)의 단부와 공동 동작하도록 호형이다.
유닛(21)은 또한 제1 환형 부분내에 탄성적으로 암(23)을 적재하기 위한 스프링(26)(도2, 도3 및 도6); 및 두 개의 암(23)에 동작 가능하게 실린더(28), 지지 스프링(26)에 연결시키는 레버 메커니즘(27)(도5)을 포함한다.
특히, 실린더(28)는 경로(A)에 평행하게 신장하는 축; 레버 메커니즘(27)에 연결된 제1 축 단부(37); 및 단부(37)에 대향하며 유닛(1)의 고정 구조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제2 축 단부(도2 및 도3에서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특히, 실린더(28)의 제2 단부는 제2 단부를 둘러싸는 너트(33)에 스크류된다.
스프링(26)은 경로(A)에 평행하게 신장하고, 실린더(28) 상에서 동축으로 감긴 나선형 스프링이다. 특히, 스프링(26)은 돌출부(32) 및 실린더를 동축으로 둘러싸는 너트(33) 사이에 내재된다(interpose).
외부 힘이 필요로 될 때, 실린더(28)는 돌출부(32)를 향하여 너트(33)를 이동시켜 스프링(26)을 압축하기 위해 경로(A)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외부 힘이 제거될 때, 스프링(26)은 제1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실린더(28)를 슬라이딩하도록 신장하여, 너트(33)를 돌출부(32)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
실린더(28) 및 돌출부(32)에 의해서, 레버 메커니즘(27)은 개별적인 축(B,C) 을 중심으로 하는 암(23)의 회전으로 스프링(26)의 확장/압축을 변환시킨다.
특히, 레버 메커니즘(27)은 개구 장치(3)에 의해서, 제1 비스듬한 위치로부터 제2 비스듬한 위치로 각각의 암(23)의 회전을 스프링(26)의 최소 압축 위치로부터 스프링(26)의 압축으로 변환시키고; 스프링의 완전히 압축된 위치로부터 스프링(26)의 확장을 제2 비스듬한 위치로부터 제1 비스듬한 위치로 각각의 암(23)의 회전으로 변환시킨다.
너트(33)의 위치는 스프링(26)의 사전 적재(preload) 및 그로 인한 제1 비스듬한 위치내로 암(23)의 탄성적인 적재를 조절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하다. 특히, 제1 방향으로 실린더(28) 상에서 너트(33)를 돌리는 것은 사전 적재를 감소시키기 위해 스프링(26)을 늘리고; 반대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실린더(28) 상에서 너트를 돌리는 것은 사전 적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또한 스프링(26)을 압축시킨다.
유닛(21)은 또한 실린더(28)를 동축으로 둘러싼 너트(40)를 포함하는데, 이는 경로(A)에 평행하게 실린더(28)를 병진시키도록 실린더(28) 상에서 스크류될 수 있다.
실린더(28) 상에서 너트를 스크류/스크류 해제하는 것은 실린더(28)의 단부(37)의 위치 및 그로 인한 각각의 암(23)과 필수적인 고정 방향 및 경로(A) 사이의 각을 암(23)이 제1 비스듬한 위치에 있을 때 조절한다.
너트(40)는 유닛(21)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리고 동작 잡음 레벨을 감소시키고 유닛(21)의 동작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엘라스토머 물질(elastomeric material)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댐퍼(damper)(39)와 필수적이다.
도1을 참조하면, 푸쉬 수단(25)은 두 개의 운반 장치(41)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소정의 간격으로 개구 장치(3)와 공동 동작하여 유닛(21)에 반대로 개구 장치를 푸쉬하며 제1 환형 부분로부터 제2 환형 부분으로 암(23)을 이동시켜 최소-압축 위치로부터 스프링(26)을 압축시킨다.
운반 장치(41)는 개구 장치(3)가 유닛(21)을 통해 제공된 후에도, 개구 장치(3)와 계속 공동 동작을 하여, 이들을 경로(A)를 따라 유닛(1)으로부터 다운스트림으로 유닛을 푸쉬한다.
각각의 운반 장치(41)는 경로(A)의 개별적인 측 상에 위치되고,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무한 톱니 벨트(42)(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됨); 및 벨트에 의해 한정된 루프의 외부로 벨트(42)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패들(paddle)(오직 하나로 도시되며 43으로 병기됨)을 포함한다.
벨트(42)가 동작함에 따라, 각각의 벨트(42)의 패들(43)은:
- 각각의 패들(43)이 유닛(21)에 의해 유지되는 각각의 개구 장치(3)에 접근하여 영향을 미치는 경로(A)에 대해 교차하는 제1 부분(45);
- 각각의 패들(43)이 유닛(21)으로부터 다운스트림으로 상기 개구 장치(3)를 유도하는 경로(A)에 평행한 제2 부분(46);
- 각각의 패들(43)이 상기 개구 장치(3)로부터 당겨 젖혀지는 제3 부분(47); 및
- 패들(43)이 다시 공급되는 경로(A)에 관하여 미끄러지는 제4 부분(48)을 포함하는 무한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각각의 패들(43)은 개별적인 벨트(42)에 고정된 짧은 다리 및 개구 장치(3)와 상호 작용을 하는 긴 다리를 갖는, 실질적으로 L-형이다.
자리 배치 수단(locating means)(29)은 경로(A)를 따라 유닛(21)으로부터 다운스트림에 위치되고, 각각의 운반 장치(41)의 패들(43)에 접촉하여 개구 장치를 유지시켜 개구 장치(3)가 경로(A)를 따라 유닛(1)으로부터 다운스트림으로 유닛에 소정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하게 한다.
특히, 자리 배치 수단(29)은 제조 공정에 포함된 형태 및 치수 임계값으로부터 야기되는 여러 지리적인 특성을 갖는 개구 장치(3)를 패들(43)에 접촉하여 유지시킨다.
자리 배치 수단(29)은 서로 마주하며 각각의 개구 장치(3)와 공동 동작하는 가이드(51,52)의 제1 쌍(50)을 포함하는데, 이는 사용시 수직이며 경로(A)에 수직인 방향(Y)으로 운반 장치(41)의 패들(43)에 관하여 위치된다. 자리 배치 수단(29)은 또한 서로 마주하며 경로(A)를 따라 상기 쌍(50)으로부터 다운스트림에서 각각의 개구 장치(3)와 공동 동작하는 제2 쌍(70)의 가이드(71,71)를 포함하는데, 이는 사용시 수평이며 경로(A) 및 방향(Y)에 수직인 방향(X)으로 운반 장치의 패들(43)에 관하여 위치된다.
특히, 가이드(71,72)의 제2 쌍(70)은 가이드(51,52)의 제1 쌍(50)으로부터 다운스트림에 위치된 경로(A)의 단부 위치(B)를 따라, 경로(A)를 따라 신장한다.
이들이 경로(A)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개구 장치(3)는 가이드(51,52)와 우 선 공동 동작한 후에, 제2 방향(X,Y)으로 위치되도록 가이드(71,72)와 공동 동작한다.
가이드(51,52)는 개구 장치(3)의 돌출부(9) 및 캡(7)과 각각 공동 동작한다.
가이드(52)는 캡(7)과 공동 동작하여 개구 장치(3)를 가이드(51)와 반대로 푸쉬하여 방향(Y)으로 패들(43)에 대해 개구 장치를 위치시킨다.
특히, 가이드(51)는 유닛(1)의 제1 고정부(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는 반면, 가이드(52)는 방향(Y)으로 개구 장치(3)의 임의의 형태 및 치수 임계값에 대해 보정하도록 유닛(1)의 제2 고정부(65)에 탄성적으로 고정된다.
가이드(51)는 수평으로, 표면(22)에 평행하게 신장하는 반면, 가이드(32)는 표면(53)을 한정하는데, 이는 유닛(21)에 대향하는 단부에서, 표면(22)에 평행하한 부분(54)을 포함하며, 부분(54) 및 유닛(21) 사이에, 표면(22)에 대해 미끄러지는 부분(55)을 포함한다.
특히, 방향(Y)으로 부분(54) 및 가이드(51) 사이의 간격은 가이드(51) 및 표면(22) 사이의 수직 간격보다 작은 반면, 부분(55)이 표면(22)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그러므로 방향(Y)에서 가이드(51,52)들 사이의 간격은 경로(A)를 따라 감소하여 개구 장치(3)가 부분(54)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돌출부(9)가 가이드(51)에 반대로 항상 존재하도록 한다.
부분(55)은 개구 장치가 부분(55)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개구 장치(3)가 개구 장치(3)의 치수 임계값의 평균에 기초하는 양으로 방향(Y)으로 가이드(51)를 향 해 이동된다.
가이드(52)는 가이드(51)를 향하여 적재된 다수의 스프링(58)- 예에서는 3개로 도시됨-에 의해 부분(65)에 연결된다.
특히, 각각의 스프링(58)은 나선형 스프링이고, 방향(Y)에 평행한 축을 가지며, 부분(65) 및 가이드(52) 사이에 내재된다.
가이드(52)는 또한 부분(52)에 대해 가이드(52)를 위치시키기 위해 두 개의 핀(67)에 의해 부분(65)에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방향(Y)으로 가이드(51,52)들 사이의 간격이 조정 가능하여, 가이드(51,52)는 상기 값 이상의 형태 및 치수 임계값으로 개구 장치(3)와 사용될 수 있다.
부분(B)을 따라 가이드(71,72)는 경로(A)의 대향하는 측 상에서 그리고 방향(X)으로 각각의 개구 장치(3)의 표면과 공동 동작한다.
특히, 가이드(71)는 표면(8)과 공동 동작하여, 가이드(72)에 반대로 개구 장치(3)를 푸쉬하며, 방향(X)으로 패들(43)에 대해 개구 장치를 위치시킨다.
특히, 가이드(71)는 유닛(1)의 부분(74)에 탄성적으로 고정되며(도7 내지 도9), 부분(74)에 대향하는 측 상에, 가이드(72)에 반대로 개구 장치(3)를 푸쉬하도록 리세스(23)와 공동 동작하는 부속물(appendix)(76)을 포함한다.
특히, 가이드(71)는 방향(X)에 평행한 축을 갖는 가이드(72)를 향하여 적재된 나선형 스프링(75)에 의해 유닛(1)의 부분(74)에 고정된다.
가이드(72)는 유닛(1)의 부분(73)에 고정되고, 부분(73)에 대향하는 측 상 에, 가이드(71)에 의해 패들(43)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서 개구 장치(3)를 유지시키도록 리세스(12)와 공동 동작하는 부속물(77)을 포함한다.
특히, 부분(73)은 부분(73)은 부분(74)으로 경로(A)의 대향하는 측 상에 위치된다.
자리 배치 수단(29)은 또한 개구 장치(3)가 경로(A)의 부분(B)을 따라 가이드(71,72)에 의해 유도됨에 따라 각각의 개구 장치(3)의 표면(8)을 유도하기 위해 가이드(63)의 부가적인 쌍(62)을 포함한다.
특히, 가이드(63,64)는 경로(A)의 대향하는 측 상에서, 가이드(71,72)와 평행하게 신장하고, 각각 유닛(1)에 고정된다.
유닛(1)은 또한 경로(A)를 따라 유닛(21)으로부터 업스트림의 개구 장치(3)를 정지시키고, 유닛(1)으로부터 다운스트림의 유닛에 포장 공급이 일시적으로 중단될 때, 경로(A)를 따라 개구 장치의 공급을 정지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제동 유닛(6)(도4 및 도5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유닛(60)은 개구 장치(3)의 대향하는 측 상에 위치된 두 개의 L-형 부재(61)를 포함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동작 조건에서 개구 장치(3)와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
부재(61)는 유닛(21)에 도달하기 전에 개구 장치(3)와 상호 작용을 하며 개구 장치(3)를 정지시키도록 경로(A)에 수직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실제 사용에서, 개구 장치(3)는 표면(22)으로부터 자유롭게 멀리 마주하는 돌출부(9) 및 표면(22)과 접촉하는 캡(7)과 함께 운반 장치(20)에 의해 일렬로 운반된다.
운반 장치(20)에 의해 운반된 개구 장치(3)는 유닛(21)에 의해 정지되고(도5), 이는 일반적으로 제1 구성으로 설정된다. 특히, 유닛(21)의 암(23)은 경로(A)를 따라 개구 장치(3)를 정지시키도록 제1 비스듬한 위치로 설정되며; 스프링(16)은 최소-압축 위치에 있다.
운반 장치(41)는 제2 비스듬한 위치로 암(23)을 우선 이동시켜 스프링(26)을 압축시키기 위해 암(23)에 의해 정지된 각각의 개구 장치(3)와 주기적으로 상호 작용을 하며, 그 후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레이트로 유닛(21)으로부터 다운스트림에 개구 장치(3)를 제공한다.
특히, 각각의 개구 장치(3)는 대응하는 패들(43)의 개별적인 쌍에 의해 암(23)에 반대로 푸쉬되는데, 각각은 관련 벨트(42)에 의해 이동된다. 특히, 관련 운반 장치(41)의 대응하는 패들(43)은 서로를 향해 이동되어, 개별적인 위치(45)를 따라 개별적인 개구 장치(3)에 충격을 가한다.
암(23) 상에서 각각의 개구 장치(3)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암을 제1 비스듬한 위치로부터 제2 비스듬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암(23)이 제1 비스듬한 위치로부터 제2 비스듬한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레버 메커니즘(27)은 최소 압축 위치로부터 완전히 압축된 위치로 스프링(16)을 압축시키기 위해서 제1 방향으로 실린더(28)를 병진시킨다.
일단, 암(23) 상에서 개구 장치(3)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 링(26)이 신장하므로,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실린더(28)를 병진시키고, 레버 메커니즘(27)에 의해 제2 비스듬한 위치로부터 제1 비스듬한 위치로 암(23)을 회복시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운반 장치(41)의 대응하는 패들(42)은 관련 부분(46)을 따라 개별적인 개구 장치(3)와 계속 공동 동작하며, 가이드(51,52) 사이에서 경로(A)를 따라 유닛(21)으로부터 다운 스트림의 개구 장치(3)를 푸쉬한다.
특히, 운반 장치(41)의 패들(43)은 우선 부분(55)을 따라 각각의 개구 장치를 푸쉬한 후에, 가이드(52)의 부분(54)을 따라 푸쉬한다.
부분(55)의 기울기에 의해, 각각의 개구 장치(3)의 돌출부(9) 및 캡(7)은 부분(54)을 따라 가이드(51,52)와 각각 공동 동작한다.
가이드(51)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적재되면, 가이드(52)는 가이드(51)에 반대로 각각의 개구 장치(3)를 푸쉬하여 방향(Y)으로 패들(43)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서 개구 장치를 유지시킨다.
경로(A)의 부분(B)을 따라, 개구 장치(3)는 또한 가이드(63,64)에 의해 측으로 유도된다.
부분(B)의 다운스트림에서, 각각의 개구 장치(3)는 한 쌍(70)의 가이드(71,72) 사이에서 이동하는데, 이는 경로(A)를 따라 개구 장치(3)를 유도하고, 이는 패들(43)에 대해 방향(X)의 소정의 위치로 설정되어 방향(X)에서 개구 장치(3)의 임의의 형태 및 치수 임계값에 대해 보정한다.
특히, 각각의 가이드(71,72)는 관련 부속물(76,77)에 의해 부분(B)으로부터 다운스트림으로 개구 장치(3)를 유도한다.
게다가, 가이드(72)를 향하여 스프링(75)에 의해 탄성적으로 적재되면, 가이드(71)는 각각의 개구 장치(3)를 가이드(72)에 반대로 방향(X)으로 패들(43)에 대해 개구 장치를 위치시키도록 푸쉬한다.
일단, 방향(X) 및 방향(Y) 둘 다로 패들(43)에 대해 소정의 위치로 설정된다면, 개구 장치(3)는 경로(A)를 따라 유닛(1)으로부터 다운스트림으로 유닛에 공급될 수 있다.
부재(61)가 개구 장치(3)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서 유닛(60)을 활성시킴으로써(도2 및 도4), 유닛(21)으로부터의 다운스트림으로 유닛에 포장 공급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경우에 유닛(21)으로의 개구 장치(3)의 공급은 중단될 수 있다. 유닛(1)의 동작 동안, 암(23) 상의 탄성적인 적재가 실린더(28) 상에서 너트(33)를 스크류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유닛(1)의 동작 동안, 개별적인 암(23)에 필수적인 각각의 고정된 방향 및 경로(A) 사이의 각도는 또한 실린더(28) 상의 너트(40)를 스크류/스크류 해제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닛(1)의 이점은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특히, 유닛(1)은 개구 장치(3)의 제조에 포함된 형태 및 치수 임계값의 결과로서, 여러 지리적인 특성을 갖는 개구 장치(3)와 함께 경로(A)를 따라 유닛(1)으로부터 다운스트림으로 유닛을 공급한다.
게다가, 개구 장치(3)는 운반 장치(41)의 패들(43)에 대해 방향(X,Y)으로, 소정의 위치에서, 이동 속도 및 소정의 레이트로 순차적으로 운반된다.
결과적으로, 접착제가 유닛(1)의 다운스트림으로 접착 애플리케이션 유닛에 의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도포된다.
그러나 첨부된 청구항에서 한정된 바와 같이 보호받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변화가 유닛(1)에서 행해질 수 있는 것이 명확하다.

Claims (7)

  1. 유동성 식품의 개별적인 밀봉에 접착을 위해 개구 장치(3)의 연속물의 공급 경로(A)를 따라 동작하는 연속 유닛(1)에 있어서,
    - 상기 경로(A)를 따라 개구 장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개구 장치(3)의 연속물과 소정의 레이트로 상호 작용하는 푸쉬 수단(25); 및
    - 상기 푸쉬 수단(25)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서 여러 지리적인 특성을 갖는 개구 장치(3)를 유지시키기 위해 가변 구성의, 상기 개구 장치와 상호 작용하는 자리 배치 수단(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식품의 개별적인 밀봉에 부착을 위해 개구 장치의 연속물의 공급 경로를 따라 동작하는 연속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리 배치 수단(29)은 상기 푸쉬 수단(25)에 대해 개구 장치들을 위치시키도록 상기 개구 장치와 공동 동작하는 가이드(51,52)의 제 1 쌍; 및 상기 가이드(51,52)는 상기 각각의 개구 장치(3)의 지리적인 특성에 적응하도록 서로로부터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식품의 개별적인 밀봉에 부착을 위해 개구 장치의 연속물의 공급 경로를 따라 동작하는 연속 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쌍(50)은 상기 유닛(1)의 고정 부분에 고정된 제1 가이드(51) 및 상기 제1 가이드(51)를 향하여 탄성적인 수단(58)에 의해 적재된 제2 가이드(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식품의 개별적인 밀봉에 부착을 위해 개구 장치의 연속물의 공급 경로를 따라 동작하는 연속 유닛.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쌍(50)의 상기 제1 가이드(51) 및 상기 제2 가이드(52)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Y)에 평행하게 측정되는 간격이 상기 경로(A)를 따라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식품의 개별적인 밀봉에 부착을 위해 개구 장치의 연속물의 공급 경로를 따라 동작하는 연속 유닛.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리 배치 수단(29)은 상기 경로(A) 및 상기 제1 방향(Y)에 비스듬한 제2 방향(X)으로 상기 푸쉬 수단(25)에 대해 개구 장치를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개구 장치(3)와 공동 동작하는 가이드(71,72)의 제2 쌍(70); 및 각각의 상기 개구 장치(3)의 지리적인 특성에 적응하도록 서로로부터 이동 가능한 상기 제2 쌍(79)의 가이드(71,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식품의 개별적인 밀봉에 부착을 위해 개구 장치의 연속물의 공급 경로를 따라 동작하는 연속 유닛.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쌍(70)은 상기 유닛(1)의 부가적인 고정 부분(73)에 고정된 제1 가 이드(72); 및 상기 제2 쌍(70)에서 상기 제1 가이드(72)에 반대로 부가적인 탄성적인 수단(75)에 의해 적재된 제2 가이드(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식품의 개별적인 밀봉에 부착을 위해 개구 장치의 연속물의 공급 경로를 따라 동작하는 연속 유닛.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51,52)의 제1 쌍(50)이 상기 경로(A)를 따라 가이드(71,72)의 제2 쌍(70)으로부터 업스트림으로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식품의 개별적인 밀봉에 부착을 위해 개구 장치의 연속물의 공급 경로를 따라 동작하는 연속 유닛.
KR1020087015874A 2005-12-29 2006-12-27 유동성 식품의 밀봉 포장에 접착될 개구 장치를 위한 연속유닛 KR200800803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425936.1 2005-12-29
EP05425936A EP1803648B1 (en) 2005-12-29 2005-12-29 Sequencing unit for opening devices to be glued to sealed packages of pourable food produ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353A true KR20080080353A (ko) 2008-09-03

Family

ID=3621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874A KR20080080353A (ko) 2005-12-29 2006-12-27 유동성 식품의 밀봉 포장에 접착될 개구 장치를 위한 연속유닛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388506B2 (ko)
EP (1) EP1803648B1 (ko)
JP (1) JP5111393B2 (ko)
KR (1) KR20080080353A (ko)
CN (1) CN101346284B (ko)
AT (1) ATE425086T1 (ko)
BR (1) BRPI0618764A2 (ko)
DE (1) DE602005013261D1 (ko)
ES (1) ES2321418T3 (ko)
HK (1) HK1128447A1 (ko)
MY (1) MY149304A (ko)
PL (1) PL1803648T3 (ko)
PT (1) PT1803648E (ko)
RU (1) RU2415800C2 (ko)
UA (1) UA95467C2 (ko)
WO (1) WO20070741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08561A1 (de) * 2013-05-08 2014-11-13 Gebr. Willach Gmbh Manipulator
CN105857777A (zh) * 2015-01-19 2016-08-17 上海西麦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提手安装机用提手输送装置
CN114348353B (zh) * 2021-12-06 2024-03-01 湖南浩森胶业有限公司 一种速粘胶包装熔接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6020A (en) * 1936-08-22 1939-04-25 Lathrop Paulson Co Conveyer
US3012650A (en) * 1959-01-20 1961-12-12 Meyer Geo J Mfg Co Apparatus for spotting handled jugs preparatory to labeling
US3142374A (en) * 1960-12-02 1964-07-28 Meyer Geo J Mfg Co Article hold-down for labeling machines
JPS53113587U (ko) * 1977-02-18 1978-09-09
US4546873A (en) * 1981-05-15 1985-10-15 The Broken Hill Proprietary Company Limited Article retention system for transfer equipment
US4456118A (en) * 1981-11-18 1984-06-26 Ex-Cell-O Corporation Single to dual indexing carton transfer mechanism
US4880104A (en) * 1987-10-05 1989-11-14 Kraft, Inc. Lane adjusting apparatus for bottle guides
US4813578A (en) 1988-03-11 1989-03-21 International Paper Company Self opening pour spout and screw cap
US5624528A (en) * 1992-09-30 1997-04-29 Tetra Rex Packaging Systems, Inc. Apparatus for attaching a spout to a carton
SE504813C2 (sv) * 1995-08-21 1997-04-28 Scan Coin Ab Maskin för räkning och sortering av mynt
US6003662A (en) * 1996-08-19 1999-12-21 Fenner, Inc. Quick-change guide rail support
JP3885132B2 (ja) * 1997-04-15 2007-02-21 四国化工機株式会社 口栓取付装置
FR2775955B1 (fr) 1998-03-16 2000-04-07 Lorraine Capsules Metall Systeme de bouchage pour un emballage pourvu d'une ouverture obturee par une pastille
JP2000343625A (ja) * 1999-06-08 2000-12-12 Toyo Jidoki Co Ltd スパウト取付装置
US6269935B1 (en) * 1999-07-23 2001-08-07 Elopak Systems Ag High speed cap applicator cap holder
JP2001353793A (ja) * 2000-06-15 2001-12-25 Toyo Jidoki Co Ltd スパウトの受渡し方法及び受渡し装置並びに位置決め供給装置
US6557697B1 (en) * 2001-08-27 2003-05-06 Martin Engineering Company Automatic belt skirt for convey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25086T1 (de) 2009-03-15
ES2321418T3 (es) 2009-06-05
MY149304A (en) 2013-08-30
RU2008131061A (ru) 2010-02-20
CN101346284B (zh) 2011-05-18
UA95467C2 (ru) 2011-08-10
US20090044487A1 (en) 2009-02-19
PT1803648E (pt) 2009-04-24
JP2009522130A (ja) 2009-06-11
WO2007074162A1 (en) 2007-07-05
BRPI0618764A2 (pt) 2011-09-13
CN101346284A (zh) 2009-01-14
HK1128447A1 (en) 2009-10-30
JP5111393B2 (ja) 2013-01-09
US8388506B2 (en) 2013-03-05
EP1803648B1 (en) 2009-03-11
EP1803648A1 (en) 2007-07-04
RU2415800C2 (ru) 2011-04-10
DE602005013261D1 (de) 2009-04-23
PL1803648T3 (pl) 2009-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3484B2 (en) Folding unit for pourable food product packaging machines
KR20080080316A (ko) 유동성 식품의 포장에 입구를 접착시키기 위해 입구에접착제를 도포하는 방법 및 장치
US9096337B2 (en) Gluing unit for applying adhesive to a succession of opening devices for gluing to sealed packages of food products pourable into a tube of packaging material
US8920297B2 (en) Pressure device for exerting pressure on an opening device fitted to a package of a food product pourable into a tube of packaging material
KR20080080353A (ko) 유동성 식품의 밀봉 포장에 접착될 개구 장치를 위한 연속유닛
US8550230B2 (en) Method for feeding opening devices to be glued on packages containing pourable food products
RU67066U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орядочивающее упаковки для текучего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EP1215143A1 (en) Conveyor assembly for a unit for applying opening devices to sealed pack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