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9682A - Guide shoe and climbing system for use in the building sector - Google Patents

Guide shoe and climbing system for use in the building s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9682A
KR20080079682A KR1020087017323A KR20087017323A KR20080079682A KR 20080079682 A KR20080079682 A KR 20080079682A KR 1020087017323 A KR1020087017323 A KR 1020087017323A KR 20087017323 A KR20087017323 A KR 20087017323A KR 20080079682 A KR20080079682 A KR 20080079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uilding sector
climbing system
climbing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3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24455B1 (en
Inventor
하인츠 호브마이어
Original Assignee
도카 인두스트리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4239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7968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도카 인두스트리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도카 인두스트리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79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6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4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Ladde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A guide shoe (16) for a climbing system for use in the building sector comprises at least one guide shoe (86) which can be displ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an be pivoted about a horizontal axis. A climbing system comprises: at least one such guide shoe; at least one scaffold unit which can be guided and/or suspended in at least one guide (16) on a structure; and at least one lifting drive which can be releasably fitted directly on discrete mounts (20) on the structure and which can be switched between a first operating mode in which the scaffold unit can be raised and a second operating mode in which the lifting drive can be raised.

Description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슈 및 클라이밍 시스템{GUIDE SHOE AND CLIMBING SYSTEM FOR USE IN THE BUILDING SECTOR}GUIDE SHOE AND CLIMBING SYSTEM FOR USE IN THE BUILDING SECTOR}

본 발명은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슈 및 클라이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uide shoes and climbing systems for use in the building sector.

특히 다층 빌딩, 바람직하게는 특히 고층 빌딩의 건설을 위해, 빌딩 섹터 내의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self-climbing system)의 사용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은 빌딩의 수직 벽의 건설에 필요한 거푸집을 구비하고 있다. 신축 벽이 충분히 경화되자마자, 수직 벽이 상부 영역에서 추가로"증대"할 수 있도록 거푸집을 지탱하는 소위 비계 유닛(scaffold unit)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승강 드라이브(lifting drive)가 적절한 프로파일에 의해 신축 벽상에 지지된다. 벽을 건설하는 동안, 벽이 충분히 경화되자마자, 비계 유닛을 신축 구역으로부터 상승시키기 위해서 비계 유닛의 드라이브가"따라"올라간다.The use of self-climbing systems in the building sector is known, in particular for the construction of multi-story buildings, preferably high-rise buildings. This self-climbing system is equipped with formwork for the construction of the vertical walls of the building. As soon as the expansion wall is fully cured, a lifting drive is mounted on the expansion wall by an appropriate profile to raise the so-called scaffold unit that holds the formwork so that the vertical wall can further "increase" in the upper region. Is suppor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as soon as the wall is fully cured, the drive of the scaffold unit "follows" to lift the scaffold unit out of the stretch zone.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은 미국 특허 제 4,962,828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비계 유닛은 반드시 거푸집을 포함하지는 않지만, 예컨대 내부에 축조될 마루를 포함하는 축조될 구조물에 접근하기 위해 축조될 구조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며 되는 안전망 및/또는 플랫폼을 포함한다. 이러한 플랫폼은 비계 유닛에 적용 된다. 구조물의 각 지점에 추가의 프로파일이 부착될 수 있고,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 비계 유닛 또는 프로파일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전환가능한 드라이브가 제공된다.This type of system is disclosed in US Pat. No. 4,962,828. In this case, the scaffolding unit does not necessarily comprise a formwork, but includes a safety net and / or a platform which projects outwardly from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for example, to access a structure to be constructed comprising a floor to be built therein. These platforms apply to scaffold units. Additional profiles may be attached to each point of the structure, and switchable drives are provided to raise the scaffolding unit or profile provided for securing to the structure.

본 출원인은, 비계 유닛을 상승시키는 드라이브가 지지될 수 있는 수직 프로파일을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는 SKE로 명시된 승강 거푸집 시스템에 대해 알고 있다. 다른 작동 위치에서, 드라이브는 비계 유닛상에 지지되고, 이 때 비계 유닛은 이런 방법으로 수직 프로파일을 새로운 구역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조물에 현수되거나 및/또는 고정된다.Applicant is aware of a lifting formwork system designated as SKE that can fix a vertical profile to the structure in which a drive that raises the scaffolding unit can be supported. In another operating position, the drive is supported on the scaffolding unit, where the scaffolding unit is suspended and / or secured to the structure so that the vertical profile can be raised to a new zone in this way.

본 발명은 효율적인 조립과 관련하여 향상된 빌딩 구역에 사용되는 가이드 슈 및 클라이밍 시스템을 제공하는 목적을 기초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object of providing guide shoes and climbing systems for use in improved building zones in connection with efficient assembly.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개시된 가이드 슈 및 그것에 구비된 클라이밍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된다. 바람직한 전개는 추가의 청구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This object is achieved by the guide shoe disclosed in claim 1 and the climbing system provided therein. Preferred developments are disclosed in further claims.

클라이밍 시스템의 비계 유닛으로부터 가이드를 분리할 가능성은, 가이드 슈(이하, 가이드라고도 언급함)가 적어도 하나의 안내 턱(guide jaw)을 포함하며, 이 안내 턱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 예컨대 T자, I자 또는 U자 프로파일 등의 프로파일과 프로파일의 일부분 또는 일부 구역을 둘러싸는 수평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한 방법으로 달성된다. 예컨대, 비계 유닛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은 T자 또는 I자 프로파일일 수 있고, 이것의 수평(문자 "T" 참조) 가지는 구조물의 외측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구조물을 향한다. 이 경우에, 안내 턱은 "T"의 수직 가지 영역의 후방으로부터 이 가지를 파지할 수 있고 그리고 광범위한 수평 축을 중심으로 선회함으로써 수평 이동 및 회수에 의해서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가이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 턱의 선회가능한 부착의 추가의 이점은, 가이드를 구조물의 마운트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경우 별도의 응력을 피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즉,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계 유닛이 가이드상에 지지되면, (단면에서 볼 때)가이드가 분리하여 놓이거나 또는 (3차원으로 볼 때) 프로파일상의 선을 따라 놓이는 방식으로 기울기가 발생하여 여기서 고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가이드상에 선회 가능하게 제공되는 안내 턱에 의해서 이것을 유리하게 피할 수 있다.The possibility of detaching the guide from the scaffolding unit of the climbing system means that the guide sho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guide) comprises at least one guide jaw, which guide jaw can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or example This is achieved in an advantageous way in that it can rotate about a profile, such as a T-shaped, I-shaped or U-shaped profile, and a horizontal axis surrounding a portion or a portion of the profile. For example, at least one profile provided in the scaffolding unit may be a T or I profile, the horizontal (see letter “T”) of which extends parallel to the outside of the structure and faces the structure. In this case, the guide jaw can grip this branch from behind the vertical branch region of "T" and can be disengaged by horizontal movement and retraction by pivoting around a wide horizontal axis. A further advantage of the pivotable attachment of at least one guide jaw to the guide is that separate stresses can be avoided if the guide can be pivotally attached to the mount of the structure. That is, a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en the scaffolding unit is supported on the guides, the guides are placed separately (as viewed in cross section) or tilted in such a way as to lie along lines in the profile (as viewed in three dimensions). Can occur and high stresses can occur here. This can be advantageously avoided by a guide tuck provided pivotally on the guide.

가이드 슈는 클라이밍 시스템의 승강 드라이브상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슈는 구조물에 부착된 벽 슈에 부착될 수 있고 및/또는 클라이밍 시스템의 비계 유닛이 가이드 슈상에서 안내될 수 있다.The guide shoe may be provided on the lifting drive of the climbing system. In addition, the guide shoe can be attached to a wall shoe attached to the structure and / or the scaffolding unit of the climbing system can be guided on the guide shoe.

안내 턱의 선회 중심인 회전 축과 안내 턱의 외측 단부 사이의 거리를, 가이드와 벽 슈 사이의 고정부와 회전 축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유리한 방법으로, 이것은 가이드와 벽 슈 사이의 고정부가 안내 턱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 한다.It was further confirmed that it was advantageous to make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al axis, which is the pivot center of the guide jaw, and the outer end of the guide jaw,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xing part between the guide and the wall shoe and the axis of rotation. In an advantageous way, this ensures that the fixing between the guide and the wall sho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guide jaw.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가이드 슈는, 구조물의 마운트 및/또는 비계 유닛의 가이드(이것을 상승시킬 경우 특히 바람직함)에 대한 승강 드라이브의 직접 부착을 효율적인 방법으로 실행한다. 또한, 자체적으로 그리고 추가의 특징과 조합한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가이드를 갖는 2개의 멈춤쇠(pawl) 또는 베어링 볼트의 제공, 벽 슈에 대한 가이드 슈의 회전가능한 장착,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슈의 2차원 지지를 위한 스프링 또는 고무 버퍼와 같은 다른 탄성 요소에 의한 회전 가능한 설비와의 정렬,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일부 영역에서는 예컨대 정사각형 또는 다른 다각형에 의해 선회불가능한 방식으로 실행되고 또한 축방향 이동 후에 가이드 클로(guide claw)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일부 영역에서는 선회 가능하게 실행되는 가이드 슈상의 가이드 클로 또는 조의 안내.Thus, this type of guide shoe performs in an efficient manner the direct attachment of the lifting drive to the mount of the structure and / or to the guide of the scaffolding unit, which is particularly preferred when raising it. In addition, the following features are desirable, both on their own and in combination with additional features. Providing two pawls or bearing bolts with each guide as described below, rotatable mounting of the guide shoe against the wall shoe, springs for two-dimensional support of the guide shoe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Or alignment with the rotatable installation by another elastic element, such as a rubber buffer,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7, in some areas, for example by a square or other polygon, in an unswivelable manner and also in the axial direction. Guide claws or jaws on guide shoes which are pivotally carried out in some areas in order to be able to rotate the guide claw after movement.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인 본 명세서에 개시된 클라이밍 시스템은, 구조물상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에서 안내되고 및/또는 현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비계 유닛을 포함한다. 비계 유닛으로부터 수행할 작업에 필요한 작업 플랫폼, 거푸집 등이 비계 유닛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라, 비계 유닛에 대해 강조되어야 하는 점은, 하나의 평면에 지지 프로파일(bearing profiles)들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 추가의 지지 프로파일이 제공될 수 있다 할지라도, 비계 유닛은 구조물 내로의 수직방향의 힘의 도입에 의해 발생되는 힘과 토크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서 구조물에 특히 근접하여 제공되는 지지 프로파일을 갖는 단 하나의 평면이 제공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특히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비계 유닛을 안내 및/또는 현수할 수 있는 가이드는, 예컨대 구조물에 부착된 벽 슈일 수 있다. 특히, 현재 비계 유닛은 구조물의 상부 영역에 현수되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영역에서, 가이드는 소위 가이드 슈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가이드 슈는 예컨대 추가의 벽 슈에 부착될 수 있고 그리고 후술하는 승강 드라이브의 구성요소로 간주되어야 한다.As described below, the climbing system disclosed herein, which is preferably a self climbing system, comprises at least one scaffold unit that can be guided and / or suspended in at least one guide on the structure. Work platforms, formwork, etc. required for work to be performed from the scaffolding unit are attached to the scaffolding un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scaffolding unit must include bearing profiles in one plane. Although additional support profiles may be provided, the scaffold unit has only one having a support profile provided in particular close to the structure to keep the forces and torques generated by the introduction of vertical forces into the structure low. Due to the fact that a plane is provided, it can be designed particularly simply and easily. The guide, which can guide and / or suspend the scaffold unit, can be, for example, a wall shoe attached to the structure. In particular, it is desirable that current scaffolding units be designed to be suspend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structure. In the lower region, the guide can be provided on a so-called guide shoe, which can be attached to an additional wall shoe, for example, and should be considered as a component of the lifting drive described below.

본 발명에 따라,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은 구조물상의 개별 마운트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유리한 방법으로, 드라이브는 비계 유닛 지지 프로파일의 수직면 외에, 추가의 단일 제1 수직면을 형성한다. 특히, 드라이브는 승강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요소를 갖지 않는다. 예컨대 빌딩의 벽 슈에 부착될 수도 있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가이드 슈에 의해서 드라이브가 구조물에 직접 부착될 수 있으면, 종래 기술의 경우와 같은 추가의 수직 프로파일이 필요치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은 특히 간단한 설계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벽 슈와 같은 개별 마운트들만이 구조물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개별 마운트들과 비계 유닛 사이에는, 추가의 수직면을 필요로 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제공된 가이드 슈를 포함하는 드라이브만이 배치된다. 이에 의해서,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을 특히 용이하게 건설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elf climbing system comprises at least one lift drive, which may be attached directly to an individual mount on the structure. In an advantageous way, the drive forms, in addition to the vertical plane of the scaffold unit support profile, an additional single first vertical plane. In particular, the drive does not have elements extending parallel to one another in the lifting direction. If the drive can be attached directly to the structure, for example by one or more guide shoes, which may be attached to the wall shoes of the building, then no further vertical profile as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is necessary. The self climbing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have a particularly simple design. Only individual mounts, such as for example a wall shoe, can be provided to the structure. Between these individual mounts and the scaffolding unit, only a drive is provided which includes an optionally provided guide shoe without the need for an additional vertical plane. This makes it possible to construct the self-climbing system particularly easily.

또한, 구조물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승강 드라이브는, 비계 유닛이 상승할 수 있는 제 1 작동 모드와, 승강 드라이브가 상승할 수 있는 제 2 작동 모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그 결과, 예컨대 제공된 비계 유닛 또는 드라이브를 상승시키는 크레인을 필요로 하지 않고 소망의 승강을 효과적인 방식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원칙적으로 승강 드라이브만이 제 1 작동 모드에서 구조물에 제공된 마운트와 비계 유닛 사이에서 작동하는 한편, 제 2 작동 모드에서는 승강 드라이브가 분해되어 작업자가 쥐고 높은 영역으로 상승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작업자가 이 과정을 적당한 노력으로 수행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드라이브가 소형 및 경량으로 유지될 수 있는 사실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이점은 명백하다.In addition, the lift drive, which can be releasably attached to the structure, can be switched between a first operating mode in which the scaffolding unit can rise and a second operating mode in which the lifting drive can rise. As a result, the desired lifting and lowering can be achieved in an effective manner, for example, without the need for a crane to raise the provided scaffolding unit or drive. In this regard, it is conceivable, in principle, that only the lift drive operates between the mount and the scaffolding unit provided in the structure in the first operating mode, while in the second operating mode the lift drive is disassembled and lifted by the operator and lifted to a high area. . In this case, the advantag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evident in the fact that the drive can be kept small and light enough to be sufficient for the operator to carry out this procedure with a reasonable effort.

클라이밍 시스템에 관해서, 클라이밍 시스템은 가이드 슈 없이도 이점을 가지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주제로 간주되어야 하는 것으로 주목된다. 이것은 상술한 특징 및/또는 후술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갖는 클라이밍 시스템의 임의의 실시예에 적용된다.With regard to the climbing system, it is noted that the climbing system has advantages even without a guide shoe and should therefore be considered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applies to any embodiment of a climbing system having one or more of the features described above and / or described below.

승강 드라이브와 비계 유닛간의 결합을 위해, 돌출형 클라이밍 캠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유형의 승강 캠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각각의 승강 작용 중에 지지에 필요한 필수 영역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컨대 천공된 프로파일 내의 오목부로서, 개구로서 구체화되거나, 예컨대 기어 랙 상의 돌기로서 구체화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구체화되는 결합 구역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고 언급되어야 한다. For the coupling between the elevating drive and the scaffolding unit, it has been found advantageous to use a raised climbing cam. This type of lifting cam provides, by a simple configuration, the necessary area for support during each lifting action. However, it should be mentione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by means of joining zones, eg embodied as apertures, embodied as openings, embodied as protrusions on a gear rack, or embodied in other ways.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비계 유닛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체로서의 승강 드라이브를 비계 유닛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예컨대 보다 높은 영역으로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것은, 비계 유닛이 상승할 때 승강 드라이브만이 작동하는 소위 부분 유압 작동 모드를 촉진한다. 또한, 제거 가능한 승강 드라이브에 의해서, 비계 유닛의 상승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크레인에 의해서 수행되는 작동과의 바람직한 조합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계 유닛으로부터의 가이드의 분리는, 가이드의 영역에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이 있는 상태로 연장될 때 특히 비계 유닛으로부터의 드라이브의 제거를 허용하는 것으로 언급된다. 또한, 개시한 기준은, 비계 유닛이 가이드 영역에 더 이상 위치하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높이 상승하는 기간동안 대기하는 것이 필요할 때, 드라이브가 제거될 수 있고, 그 후에 구조물상의 마운트, 예컨대 벽 슈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t is also generally desirable to be able to separate at least one guide from the scaffolding unit. This is advantageous in that the lifting drive as a whole can be separated from the scaffolding unit and thus manually moved, for example, to a higher area. This promotes the so-called partial hydraulic operating mode in which only the lift drive operates when the scaffold unit is raised. In addition, by means of removable lift drives, a preferred combination with the operation in which the lifting of the scaffolding unit is at least partly carried out by a crane can be considered. In such a situation, the detachment of the guide from the scaffolding unit is said to allow removal of the drive, especially from the scaffolding unit, when extending with one or more profiles in the area of the guide. In addition, the disclosed criteria indicate that the drive can be removed when it is necessary to wait for a period of ascending to a height sufficient to ensure that the scaffold unit is no longer located in the guide area, and then from a mount on the structure, such as a wall shoe. It means that it can take into account what can be eliminated.

승강력을 비계 유닛에 전달하는 승강 드라이브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바람직하게는, 멈춤쇠 또는 베어링 볼트는 제 1 작동 모드에서 중력을 받고 제 2 작동 모드에서는 스프링력을 받는다. 명백하게, 이것은 멈춤쇠 또는 베어링 볼트가 제 1 작동 모드에서 스프링력을 받고 제 2 작동 모드에서 중력을 받거나 또는 양쪽 작동 모드에서 중력을 받거나 또는 양쪽 작동 모드에서 스프링력을 받도록 반대로 실행된다.It has been found that it is advantageous to use at least one detent and / or at least one bearing bolt for components of the elevating drive that transmit the elevating force to the scaffolding unit. Preferably, the detent or bearing bolt receives gravity in the first mode of operation and spring force in the second mode of operation. Apparently, this is done in reverse so that the detent or bearing bolts receive spring force in the first mode of operation and gravity in the second mode of operation, gravity in both mode of operation or spring force in both mode of operation.

이 상황에서, 적어도 2개의 멈춤쇠 또는 베어링 볼트를 드라이브상에 승강 방향으로 포개서 배치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이것은, 비계 유닛 또는 드라이브의 승강 이동 중에 유리한 방법으로"단"의 추가의 분할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분할은 비계 유닛상의 결합 요소, 예컨대 승강 캠들 사이의 거리에 의해서 처음 한정된다. 그러나, 두 개 이상의 멈춤쇠 또는 베어링 볼트가 가이드상에 배치되면,"분할"이 미세하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멈춤쇠 또는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베어링 볼트가 특정 승강 캠과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경우에 클라이밍 캠(22)들 사이의 거리는 300㎜일 수 있는 반면, 2개의 베어링 볼트(80)에 150㎜의 거리가 제공되어 전체 150㎜의 분할이 생긴다. 또한, 제 1 또는 제 2 작동 모드에 대해 개별 멈춤쇠 및/또는 베어링 볼트가 제공될 수 있다.In this situation, it is more advantageous to lay out at least two detents or bearing bolts in an elevated direction on the drive. This makes it possible to further divide "ends" in an advantageous way dur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scaffolding unit or drive. This division is first def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elements on the scaffold unit, for example lifting cams. However, when two or more detents or bearing bolts are placed on the guide, one or the other detent or one or the other bearing bolt can optionally engage a particular lifting cam because the "split" is fine. . For example, in each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climbing cams 22 may be 300 mm, while the two bearing bolts 80 are provided with a distance of 150 mm resulting in a total division of 150 mm. In addition, separate detents and / or bearing bolts may be provided for the first or second mode of operation.

베어링 볼트의 경우, 하나의 하부 평탄 구역 및/또는 하나의 상부 급경사 구역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부 급경사 구역은 중력을 받는 베어링 볼트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이 영역에서는 가이드 프로파일의 급경사 구현에 의해서 중력이 아래로 급격히 감소한다. 유리한 방법으로, 하부 평탄 영역은 베어링 볼트의 용이한 편향을 가능하게 하며, 이것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비계 유닛의 승강 캠이 베어링 볼트를 통과해야 하는 경우 필요하고, 이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편향되는 베어링 볼트에 의해서 달성된다.In the case of bearing bolts, it has been found advantageous to provide at least one guide profile comprising one lower flat zone and / or one upper steep slope zone. The upper steep slope allows for the use of gravity-bearing bearing bolts, in which the gravity is drastically reduced by the sharp slope implementation of the guide profile. In an advantageous manner, the lower flat area allows for easy deflection of the bearing bolts, which is necessary when the lifting cam of the scaffolding unit must pass through the bearing bolts,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 least temporarily deflected by a bearing bolt.

각각의 경우에 양쪽 작동 모드가 가능하도록 단일 멈춤쇠 또는 하나의 단일 베어링 볼트를 설계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제 1 작동 모드에서는 잠금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제 2 작동 모드에서는 드라이브가 비계 유닛상의 록킹 멈춤쇠에 의한 지지에 의해서"끌어 올려지는"것을 보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 멈춤쇠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each case, it can be considered in principle to design a single detent or one single bearing bolt to enable both modes of operation. However, it is now preferred to be locked in the first operating mode and in the second operating mode it is provided that at least one locking detent is provided which ensures that the drive is "pulled up" by the support of the locking detent on the scaffolding unit. desirable.

작업 안전을 위해, 현재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가 비계 유닛의 방향으로 마운트 및/또는 중력에 의해 유지 및/또는 로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operational safety, it is presently preferred that at least one drive is retained and / or loaded by gravity in the direction of the scaffolding unit.

비계 유닛의 설계를 위해, 이것은 구조물을 통해서만 운반될 수 있는 상당한 중량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탱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조물에 대해 일정 거리에서 작용하는 중량 힘 및 다른 힘은 비계 유닛을"구조물로부터 멀리"변형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비계 유닛이 구조물로부터 떨어진 구역에 적어도 하나의 긴장가능한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지지체는 비계 유닛을"구조물의 방향으로"프리스트레스시킬 수 있고, 힘의 작용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다른 변형을 낮게 유지할 수 있다. 비계의 플랫폼의 각각에 위치한 작업자의 보호를 위한 레일이 이러한 종류의 지지체에 부착될 수 있다.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수직 프로파일을 포함할지라도, 전술한 지지체는 또한 반발을 제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지지체는 비계 유닛을 유리한 방법으로 빌딩의 경사부에 맞게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It should be noted that for the design of the scaffolding unit it may contain and / or bear significant weight that can only be transported through the structure. Thus, the weight forces and other forces acting at a distance to the structure tend to deform the scaffold unit "away from the structure". Thus, it has been found that it is advantageous for the scaffolding unit to include at least one tensionable support in an area away from the structure. This support can prestress the scaffolding unit "in the direction of the structure" and keep low other deformations that occur as a result of the action of the force. Rails for the protection of workers located on each of the platforms of the scaffold can be attached to this kind of support. Although the self-climbing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comprises a plurality of vertical profiles connected to one anothe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aforementioned support to also have zero repulsion. In addition, this type of support can be used to adapt the scaffold unit to the slope of the building in an advantageous manner.

유리한 방법으로, 비계 유닛의 개개의 레벨들 사이의 지지체는, 복수의 고정 점을 포함하고 이 고정점에 의해서 지지체가 비계 유닛의 복수의 레벨들에 부착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조정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것은 비계 유닛과 그 위에 제공된 레벨 및 플랫폼을 구조물 내의 상이한 층고에 간단하게 적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In an advantageous manner, the support between the individual levels of the scaffolding unit may be adjustable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anchor points and by which the support may be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levels of the scaffold unit. have. This makes it possible to simply adapt the scaffold unit and the level and platform provided thereon to different floor heights in the structure.

예컨대 편심 스핀들에 의해서 지지체의 고정을 수행할 수 있다. 편심 스핀들에 의한 고정 및 전술한 지지체의 양자에 대해서, 이들 양자가 자체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한 이점을 갖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클라이밍 시스템에서 반드시 이점을 갖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고, 전술한 특징 및/또는 후술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지지체와, 전술한 특징 및/또는 후술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특징을 갖는 편심 스핀들의 단독 배치와, 그리고 지지체와 스핀들의 조합을 본 발명의 주제로 간주해야 한다.For example, the fixing of the support can be performed by an eccentric spindle. For both the fixing by means of the eccentric spindle and the aforementioned support, both have advantages in themselves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advantageous in the climbing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us, an eccentric spindle having a support having one or more of the features described above and / or described below, and having one or more features described below, without having a self-climbing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single arrangement and a combination of support and spindle should be considered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최종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은 수직 방향으로의 상당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최종 상태에 대해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이것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는 둘 이상의 수직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과정의 초기에,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은 단일 수직 프로파일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수직 프로파일이 기부 위의 소정 높이에 위치되자마자, 추가의 수직 프로파일이 처음에 경사진 배치로 부착될 수 있고, 그 후에 소정 높이로 상승한 클라이밍 시스템과 지면 사이에 위치하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할된 수직 프로파일은, 대응하는 구조적 외형을 허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우, 예컨대 구조물의 방향으로 비계 유닛에"꼬임부(kink)"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In the final state, the self climbing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comprise a significant ext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self climbing system for the final state, it may comprise two or more vertical profiles that are rigid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beginning of the elevating process, the self climbing system can be operated by a single vertical profile. As soon as the vertical profile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base, additional vertical profiles can be initially attached in an inclined arrangement, and then positioned between the climbing system and the ground, which have risen to a predetermined height, can be firmly connected. The vertical profile divided in this way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 "kink" to the scaffolding unit if necessary, for example in the direction of the structure, in order to allow a corresponding structural appearance.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비계 유닛이 구조물상의 비계 유닛의 수평 지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유형의 지지 유닛은 가이드 슈에 대하여 비계 유닛을 자유롭게 하여 비계 유닛이 효율적이면서도 확실하게 상승할 수 있게 한다. With regard to the operation of the self climbing system, it was further confirmed that it is advantageous for the scaffolding unit to include at least one support unit for horizontal support of the scaffolding unit on the structure. This type of support unit frees the scaffolding unit with respect to the guide shoe, allowing the scaffolding unit to rise efficiently and reliably.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examples of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제 1 작동 모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르는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self climbing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a first mode of operation.

도 2는 제 2 작동 모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르는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의 측면도이다.2 is a side view of a self climbing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a second mode of operation.

도 3은 제 2 작동 모드에서의 드라이브의 일부분의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a portion of the drive in a second mode of operation.

도 4는 제 2 작동 모드에서의 드라이브의 일부분의 배면도이다.4 is a rear view of a portion of the drive in a second mode of operation.

도 5는 변형 실시예에서의 드라이브의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of the drive in a variant embodiment.

도 6은 가이드의 측면도이다.6 is a side view of the guide.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의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of the guide shown in FIG. 6.

도 1에 측면도로 도시된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10)은 실질적으로 비계 유닛(12)과 구조물(14)을 따라 제공된 복수의 드라이브(18)를 포함하며, 이들 드라이브 중 하나의 드라이브(18)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현재 최상측 건축 단 위에 추가의 구역을 형성하기 위해 드라이브(18)에 의해 상승하는 단계에서의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10)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비계 유닛(12)의 최상측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거푸집(32), 플랫폼(34), 각종 레일(36) 및 거푸집 조정용 지지체(38)를 구비하며 수평방향으로 광범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거푸집 캐리지(30)가 제공되어 있다. 도 1의 좌측 영역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거푸집(32)은 상이한 건축 단을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최상측 건축 단의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되자마자, 예컨대 비계 유닛(12)을 상측 영역에서 매달 수 있는 벽 슈(20.3)가 콘크리트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매달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The self climbing system 10 shown in side view in FIG. 1 comprises a plurality of drives 18 provided substantially along the scaffolding unit 12 and the structure 14, in which one drive 18 is shown. 1 is shown. 1 shows the self climbing system 10 in the ascending step by the drive 18 to form an additional zone above the current top building stage. For this reason, in the uppermost region of the scaffolding unit 12, the formwork having one or more formwork 32, the platform 34, various rails 36, and the formwork support 38 for formwork adjustment can move wid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rriage 30 is provided. As shown in the left region of FIG. 1, formwork 32 may be used to form different building stages. As soon as the concrete of the top building stage is fully cured, a wall shoe 20.3 can be fixed to the concrete, for example to suspend the scaffolding unit 12 in the upper region. 2 shows this suspended state.

또한,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도시된 경우 비계 유닛(12)이, 예컨대 T자 프로파일 또는 I자 프로파일로서 설계될 수 있는 2개의 수직 프로파일(26.1, 26.2)을 포함한다. 2개의 수직 프로파일(26.1, 26.2)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측 수직 프로파일(26.2)만이 지면으로부터 약간 상승해야 하는 상태에서, 하측 수직 프로파일(26.1)은 먼저 구조물(14)로부터 연장하여 경사진 정렬 상태로 선회할 수 있고, 그 후에 하측 수직 프로파일(26.1)이 상측 프로파일(26.2)과 지면 사이에서 수직 정렬하여 배치되도록 상측 수직 프로파일(26.2)이 충분히 상승하면, 하측 수직 프로파일은 상측 수직 프로파일(26.2)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FIG. 1, the scaffolding unit 12, when shown, comprises two vertical profiles 26.1, 26.2, which can be designed, for example, as a T-shaped profile or an I-shaped profile. The two vertical profiles 26.1 and 26.2 are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ticular, with only the upper vertical profile 26.2 having to rise slightly from the ground, the lower vertical profile 26.1 may first pivot out of the structure 14 and in a tilted alignment, after which the lower vertical profile 26.1 If the upper vertical profile 26.2 is raised enough such that) is placed vertically aligned between the upper profile 26.2 and the ground, the lower vertical profile can be rigidly connected to the upper vertical profile 26.2.

도시된 예에서, 거푸집 캐리지(30)가 배치되는 상측 비임(42)과 하부에 있는 플랫폼(44)의 지지는 지지체(24.2)에 의해 제공되며, 이 경우 지지체(24.2)는 비스듬하게 또는 대각선방향으로 정렬된다. 지지체(24.2)의 하측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상측 빔(42)과 플랫폼(44) 사이의 상이한 거리에 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수의 고정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경우에, 플랫폼(44)에 대한 고정은 편심 스핀들(46)에 의해서 수행된다. 또한, 지지체(24.2)는 프리스트레스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리스트레스는 구조물로부터의 수직 프로파일(26)의 상당한 변형 위험 없이 구조물(14)에 이송되어야 할 비계 유닛(12)의 상측 영역의 구성요소들에 의하여 존재하는 중량 힘에 상호작용하도록, 주로 구조물(14)의 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수행된다. 도시된 경우에, 이러한 유형의 추가 의 지지체(24.1)가 플랫폼(44)과 하측 플랫폼(48)의 사이에 도시되어 있다. 수직 프로파일(26)은 비계 유닛(12)의 영역에 수직면만을 형성한다.In the example shown, the support of the upper beam 42 and the underlying platform 44 on which the form carriage 30 is disposed is provided by the support 24.2, in which case the support 24.2 is obliquely or diagonally Sorted by. As shown in the lower region of the support 24.2, this may include a number of fixing openings in order to be able to adjust to different distances between the upper beam 42 and the platform 44. In the case shown, the fastening to the platform 44 is performed by an eccentric spindle 46. The support 24.2 may also be prestressed. This prestress is mainly used to interact with the weight forces present by the components of the upper region of the scaffolding unit 12 to be transported to the structure 14 without the risk of significant deformation of the vertical profile 26 from the structure. 14), ie counterclockwise. In the case shown, an additional support 24.1 of this type is shown between the platform 44 and the lower platform 48. Vertical profile 26 forms only a vertical plane in the area of scaffolding unit 12.

유일한 추가의 수직면은 드라이브(18)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러나,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것은 구조물(14)상의 개개의 개별 마운트(20)상에 부착될 수도 있고, 예컨대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는 수직 프로파일과 같은 임의의 추가의 수직면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드라이브(18)는 벽 슈(20.1, 20.2)에 각각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하측 가이드 슈(16.1) 및 상측 가이드 슈(16.2)와, 비계 유닛(12)과 결합하는 클라이밍 슈(50)와, 승강 실린더(52) 및 클라이밍 슈(50) 위로 연장되는 가이드 로드(54)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드라이브가 구조물(14)에 고정되고 비계 유닛(12)이 상승하면, 클라이밍 슈(50)와 비계 유닛(12)간의 결합에 의해서 비계 유닛(12)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하측 벽 슈(20.1)에 의해 구조물상에 지지된 승강 실린더(52)가 연장된다. 도시된 경우에, 이를 위해서 비계 유닛(12)의 수직 프로파일(26)에 복수의 클라이밍 캠(22)이 제공된다.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라이밍 슈(50)는 승강 캠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56)을 포함한다. 승강 실린더(52)가 연장되면, 가이드 로드(54)는 벽 슈(20.2)에 부착된 상측 가이드 슈(16.2)에 의해서 밀려진다.The only additional vertical plane is formed by the drive 18. However, as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below, this may be attached on individual individual mounts 20 on the structure 14 and requires any additional vertical plane, such as a vertical profile, which may be attached to the structure, for example. I never do that. The drive 18 includes a lower guide shoe 16.1 and an upper guide shoe 16.2 that can be removably attached to the wall shoes 20.1 and 20.2, respectively, and a climbing shoe 50 that engages the scaffolding unit 12. And a guide rod 54 extending above the elevating cylinder 52 and the climbing shoe 50. In the state shown in FIG. 1, when the drive is secured to the structure 14 and the scaffold unit 12 is raised, to raise the scaffold unit 12 by engagement between the climbing shoe 50 and the scaffold unit 12. The lifting cylinder 52 supported on the structure by the lower wall shoe 20.1 is extended. In the case shown,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climbing cams 22 are provided in the vertical profile 26 of the scaffolding unit 12. A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the climbing shoe 50 includes at least one detent 56 that engages with the lifting cam. When the lifting cylinder 52 is extended, the guide rod 54 is pushed by the upper guide shoe 16.2 attached to the wall shoe 20.2.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계 유닛(12)이 상측 영역이 최상측 벽 슈(20.3)상에 위치하여 매달리는 최종 상태로 뻗으면, 클라이밍 슈(50)는 승강 캠의 하측과 더 이상 결합하지 않도록 재배치된다. 가이드 로드(54)는 승강 실린더(52)의 연장시 에 상측 가이드 슈(16.2)가 상승하도록 상측 가이드 슈(16.2)에 부착된다. 또한,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승강 실린더(52)의 수축시에 하측 가이드 슈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기기 위해 승강 캠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는 높은 위치로 클라이밍 슈(50)를 이동시킨다. 비계 유닛(12)이 가이드(16.1)상으로 화살표(A)의 반대 방향으로 더 이상 가압되지 않도록 지지 유닛(28)이 비계 유닛을 구조물로부터 화살표(A)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이것은 벽 슈(20.1)로부터 이미 분리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것은 벽 슈(20.1)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승강 실린더(52)의 수축시에 끌어올려진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scaffolding unit 12 extends to the final state where the upper region is located on the top wall shoe 20.3 and suspended, the climbing shoe 50 is repositioned so that it no longer engages with the lower side of the lifting cam. . The guide rod 54 is attached to the upper guide shoe 16.2 so that the upper guide shoe 16.2 rises when the lifting cylinder 52 is extended. In addition, this moves the climbing shoe 50 to a high position which can be supported above the lifting cam to pull the lower guide shoe upwards upon contraction of the lifting cylinder 52 as described later. Since the support unit 28 presses the scaffold uni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from the structure so that the scaffold unit 12 is no longer pres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arrow A onto the guide 16.1, this is a wall shoe ( 20.1). As mentioned above, this can be separated from the wall shoe 20.1 and pulled up upon retraction of the elevating cylinder 52.

드라이브(18)의 상승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상황에서 비계 유닛(12)은 최상측 벽 슈(20.3)에 매달리고, 승강 실린더(52)는 수축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은, 도 4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가이드 슈(16.1)를 끌어올리기 위해서 클라이밍 슈(50)가 승강 캠의 상측에 지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 후에, 하측 가이드 슈(16.1)는 승강 캠의 상측에 지지되고, 그리고 그 후 하측 가이드 슈(16.1)를 다시 끌어당기기 위해 클라이밍 슈(50)가 상측 영역에 지지될 수 있도록 승강 실린더(52)의 연장에 의해서 클라이밍 슈(50)를 더 밀어올린다. 이 과정은, 상측 가이드 슈(16.2)가 상측 벽 슈(20.3)에 부착되고 하측 가이드 슈(16.1)가 (중간)벽 슈(20.2)에 부착될 때까지 반복된다. 거푸집(32)에 의해서 상측 영역에 추가 벽 구역이 형성되는 동안 제 2 작동 모드에서의 드라이브(18)의 상승이 실행될 수 있다. 추가 벽 구역이 경화되고 상황이 실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자마자, 비계 유닛은 보다 높은 구역으로 다시 상승할 수 있다.The rise of drive 18 is shown in FIG. 2. As shown in FIG. 2, in the illustrated situation, the scaffolding unit 12 is suspended on the top wall shoe 20.3 and the lifting cylinder 52 is in a retracted state. This means that, as shown in more detail in FIG. 4, the climbing shoe 50 is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ifting cam in order to raise the lower guide shoe 16.1. Thereafter, the lower guide shoe 16.1 is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ifting cam, and the lifting cylinder 52 is then supported so that the climbing shoe 50 can be supported on the upper region to pull the lower guide shoe 16.1 again. The climbing shoe 50 is further pushed up by extension of. This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upper guide shoe 16.2 is attached to the upper wall shoe 20.3 and the lower guide shoe 16.1 is attached to the (middle) wall shoe 20.2. The rise of the drive 18 in the second mode of operation can be effected while the form 32 forms an additional wall zone in the upper region. As soon as the additional wall zone is cured and the situation is substantially as shown in FIG. 1, the scaffold unit may rise back to the higher zone.

도 3은 클라이밍 슈(50)의 멈춤쇠(56)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비계 유닛(12)이 상승하는 제 1 작동 모드에서 멈춤쇠(56)이 중력을 받아서 도 3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비계 유닛을 상승시키기 위해 멈춤쇠의 상측면(58)이 클라이밍 캠(22)의 하측면(60)과 결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 2 작동 모드에서, 멈춤쇠(56)의 상측면이 도 3의 좌측에서 클라이밍 캠(22)의 옆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멈춤쇠(56)은 예컨대 스프링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쇠의 하측 영역이 클라이밍 캠(22)의 영역에 진입하면, 멈춤쇠는 승강 캠을 통과할 수 있도록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화살표(B) 방향으로 약간 회전한다.FIG. 3 shows a detailed view of the detent 56 of the climbing shoe 50 in which the detent 56 is gravityd in the first mode of operation in which the scaffolding unit 12 is raised and thus the position shown in FIG. 3. The upper side 58 of the detent can engage the lower side 60 of the climbing cam 22 to raise the scaffold unit by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arrow B, starting from.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3, in the second mode of operation, the detent 56 is for example by means of a spring such that the upper side of the detent 56 can pass laterally of the climbing cam 22 on the left side of FIG. 3. It is prestressed. As shown in Fig. 3, when the lower region of the detent enters the region of the climbing cam 22, the detent rotates slightly in the direction of arrow B against the force of the spring so as to pass through the elevating cam.

도 4는, 드라이브(18)의 상승시에 지지체(18)가 클라이밍 캠(22)의 상측의 평탄한 측면에 어떻게 제공되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소위 록킹 멈춤쇠(locking pawl; 60)이 제공되는데, 도 4에 따라, 이 록킹 멈춤쇠는 스프링에 의해 좌측을 향해 프리스트레스되고, 도시된 예에서는 좌측으로부터 상부 우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면(bevel)을 포함한다. 이 경사면은, 클라이밍 슈(50)가 위로 이동하여 록킹 멈춤쇠(60)이 승강 캠에 부딪칠 때, 록킹 멈춤쇠(60)을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우측으로 편향시키는데 사용된다. 승강 실린더(52)가 연장되면, 록킹 멈춤쇠(60)의 하면은 승강 실린더(52)의 수축에 기인하여 그것의 후방의 하측 가이드 슈(16.1)(도 1 및 2 참조)를 잡아당기기 위해서 승강 캠의 상면과 결합한다.4 shows how the support 18 is provided on the flat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climbing cam 22 when the drive 18 is raised. For this purpose, a so-called locking pawl 60 is provided, which, according to FIG. 4, is beveled prestressed to the left by a spring, extending in the example shown from left to top right. It includes. This inclined surface is used to bias the locking detent 60 to the right against the spring force when the climbing shoe 50 is moved upwards and the locking detent 60 hits the lifting cam. When the lifting cylinder 52 is extended,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detent 60 is lifted to pull the lower guide shoe 16.1 (see FIGS. 1 and 2) at its rear due to the contraction of the lifting cylinder 52. Engage with the top of the cam.

도 5는, 드라이브(18)가 하측 가이드 슈(16.1)에 부착되지 않고 벽 슈(20)상 에 직접 지지되는 점에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드라이브와는 상이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하측 가이드 슈(16.1)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설계구조를 가지며, 이에 대해서 도 6 및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드라이브(18)와 관련하여, 벽 슈(20)상의 그것의 지지체는 클라이밍 캠(22)이 제공되는 수직 프로파일(26)로부터 비교적 먼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수직 프로파일(26)로부터 떨어진 영역에서의 드라이브(18)의 지지에 의해서, 드라이브(18)에 중력이 작용하게 되어 드라이브가 수직 프로파일(26)을 향하여"자동적으로"기울어지는 효과를 얻고, 이러한 방법으로 확실한 결합이 보장된다. 그와 동시에, 마운트(62)는 드라이브(18)가 수직 프로파일로부터 우측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클라이밍 캠(22)은 그의 하면이 결합 슬롯(64)을 포함하고 그의 상면이 노치(66)를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결합 슬롯(64)은 비계 유닛을 수직 프로파일(26)에 의해 상승시키기 위해서 드라이브(18)의 클라이밍 슈(50)상의 베어링 볼트(68)와 결합한다. 베어링 볼트(68)는 제 2 작동 모드에서 드라이브(18)를 끌어올리기 위해서 상측의 노치(66)와 결합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서, 드라이브(18)를 제거하여 보다 높은 구역으로 수동으로 운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FIG. 5 shows another embodiment different from the driv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4 in that the drive 18 is supported directly on the wall shoe 20 without being attached to the lower guide shoe 16.1. Doing.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guide shoe 16.1 has a different design structure than that shown in FIGS. 1 to 4,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In relation to the drive 18, its support on the wall shoe 20 is located relatively far from the vertical profile 26, on which the climbing cam 22 is provided. By the support of the drive 18 in an area away from the vertical profile 26, gravity acts on the drive 18 to achieve the effect of the drive being " automatically " towards the vertical profile 26. Reliable coupling is ensured. At the same time, mount 62 prevents drive 18 from releasing to the right from the vertical profile. In this case, the climbing cam 22 is designed such that its lower surface comprises the engaging slot 64 and its upper surface comprises the notch 66. The engaging slot 64 engages the bearing bolt 68 on the climbing shoe 50 of the drive 18 to raise the scaffold unit by the vertical profile 26. The bearing bolts 68 engage the upper notches 66 to lift the drive 18 in the second mode of operation. By virtu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it may be considered to remove the drive 18 and manually transport it to a higher zone.

도 6 및 7은 가이드 슈(1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것은, 클립(72)과 와이어 로프(74) 형태의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록킹 볼트(70)에 의해서, 구조물 내의 앵커(76)에 의해 고정된 벽 슈(20)에 실질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스프링 또는 고무 댐퍼(78)가 벽 슈(2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가이드 슈(16)를 적절한 위치에 유지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 슈(16)는 도 1 내지 4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임의의 멈춤쇠를 포함하지 않고, 도시된 경우 각각의 가이드 윤곽(82.2, 82.1) 내에서 이동가능한 2개의 베어링 볼트(80.1, 80.2)를 포함한다. 도 6은 비계 유닛을 수직 프로파일(26) 위로 상승시키기 위해서 가이드 슈(16)가 클라이밍 캠(22)과 결합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수직 프로파일(26)이 가이드 슈(16)를 지나 상승할 때, 도시된 가이드 슈(16)가 비작동 상태인 한, 클라이밍 캠(22)은 아래쪽으로부터 베어링 볼트(80)를 향해 이동하고 그리고 베어링 볼트(80)를 통과할 수 있도록 그의 경사면(84)(도 5 참조)에 의해서 베어링 볼트를 편향시킨다. 이 때문에, 가이드 윤곽(82)은 이러한 편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하부 영역(도 6의 우측 영역)에서 비교적 평탄하게 구현되어 있다. 상측(도 6의 좌측) 영역에서, 중력의 작용에 의해, 베어링 볼트(80)가 비계 유닛을 상승시키기 위해 클라이밍 캠(22)과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확실하게 복귀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가이드 윤곽(82)이 비교적 가파르게 구현되어 있다. 6 and 7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guide shoe 16. It is substantially rotatably attached to a wall shoe 20 secured by an anchor 76 in the structure by a locking bolt 70 comprising a fastening device in the form of a clip 72 and a wire rope 74. . A spring or rubber damper 78 holds the guide shoe 16 rotatably attached to the wall shoe 20 in an appropriate pos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the guide shoe 16 does not include any detents as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S. 1 to 4 and is movable within the respective guide contours 82.2, 82.1 when shown. Two bearing bolts 80.1 and 80.2. FIG. 6 shows the case where the guide shoe 16 is engaged with the climbing cam 22 to raise the scaffold unit above the vertical profile 26. However, when the vertical profile 26 rises past the guide shoe 16, as long as the illustrated guide shoe 16 is inactive, the climbing cam 22 moves from the bottom toward the bearing bolt 80 and Then, the bearing bolt is deflected by its inclined surface 84 (see FIG. 5) so as to pass through the bearing bolt 80. For this reason, the guide contour 82 is implemented relatively flat in the lower region (right region in FIG. 6) to facilitate this deflection. In the upper (left side of FIG. 6) region, by the action of gravity, the bearing bolt 80 reliably returns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6, which allows engagement with the climbing cam 22 to raise the scaffold unit. In order to ensure that the guide contour 82 is implemented relatively steeply.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가이드 윤곽(82)에서 안내되는 2개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베어링 볼트(80)가 제공되어 분할을 감소시킨다. 2개의 베어링 볼트(80) 사이의 거리가 2개의 인접 승강 캠(그중 하나만이 도 6에 도시되어 있음)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는 사실은, 상측 또는 하측 베어링 볼트가 각각의 승강 캠과 결합할 수 있고 그리고 그 내부에 결합이 가능한 격자를 보다 미세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two substantially identical bearing bolts 80 are provided which are guided in each guide contour 82 to reduce splitting. The fact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bearing bolts 80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lifting cams (only one of which is shown in FIG. 6) allows the upper or lower bearing bolts to engage each lifting cam. It means that the lattice that is present and can be bonded inside it becomes finer.

도 6에서, 가이드 슈(16)상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 안내 턱(86)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안내 턱은 도 6에서 투영면에 수직으로 뻗은 I자형 윤곽의 가지와 후방으로부터 어느 정도까지 결합한다. 도 6에 도시된 경우에, 수직 프로파일(26)이 가이드 슈(16)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즉 도 6의 우측을 향하여 안내 턱(86)상에 지지된다. 안내 턱(86)이 가이드 슈(16)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회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안내 턱은 (단면에서 보아) 개개의 지점이 아니라 선을 따라 지지된다.In FIG. 6, it is also possible to see the guide jaw 86 pivotally attached on the guide shoe 16. As shown more clearly in FIG. 7, the guide jaw engages to some extent from the rear with the branches of the I-shaped contour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projection plane in FIG. 6. In the case shown in FIG. 6, the vertical profile 26 is supported on the guide jaw 86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uide shoe 16, ie towards the right side of FIG. 6.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guide jaw 86 can pivot relative to the guide shoe 16, the guide jaw is supported along the line rather than the individual points (as seen in cross sec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턱(86.1, 86.2)의 선회가능한 부착은, 전체의 가이드 슈(16)를 수직 윤곽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안내 턱의 후방부를 수직 프로파일(26)로부터 접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도 7에 따라 상측) 안내 턱(86.1)의 경우에, 이 안내 턱(작동 위치에서)을 도 7에 따라 좌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밀어낸 다음 화살표(C) 방향으로 젖힌다. 선회 중심이 되는 축(88)과 안내 턱(86)의 전방 가장자리(도 7에 따라 우측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가 가이드(16)를 벽 슈(20)에 고정시키는 볼트(70)와 회전 축(88)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는 사실에 의해서, 젖혀진 안내 턱(86)에 의한 볼트(70)의 방해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서, 가이드 슈(16)로부터 멀리 떨어진 축(88) 영역만이, 전술한 선회 운동이 허용되도록 예컨대 원형 단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가이드 슈(16) 가까이에 있는 영역은, 이 영역에서 안내 턱(86)의 폐쇄 상태에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예컨대 정사각형 또는 다른 다각형 등의 각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pivotable attachment of the guide jaws 88.1, 86.2 can be used to fold the rear portion of the guide jaw from the vertical profile 26 to separate the entire guide shoe 16 from the vertical contour. have.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7, in the case of the left (upper side according to FIG. 7) guide jaw 86.1, the guide jaw (in the operating position) is pushed horizontally toward the left side according to FIG. Fol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The distance between the pivot 88 which is the pivot center and the front edge (right edge according to FIG. 7) of the guide jaw 86 is fixed to the bolt 70 and the rotational axis (which secure the guide 16 to the wall shoe 20). By the fact that it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88, it is possible to avoid the obstruction of the bolt 70 by the guide guide 86 that is turned down. Thereby, only the region of the axis 88 remote from the guide shoe 16 can be embodied, for example, in a circular cross section so as to allow the aforementioned pivoting movements. In contrast, an area near the guide shoe 16 may be provided in an angular shape, for example square or other polygon, in order to prevent rotation of the guide jaw 86 in the closed state in this area.

명백하게, 전체의 실시예들의 세부를 서로 조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라이밍 슈(50)는 도 6 및 7에 따르는 베어링 볼트를 구비할 수 있고, 도 5에 따르는 드라이브는 벽 슈(20) 대신에 하측 클라이밍 슈(16.1)에 지지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 및 7에 도시된 클라이밍 슈는 도 1 내지 5의 전체의 실시예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Obviously, the details of the whole embodiment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climbing shoe 50 as shown in FIG. 5 may have a bearing bolt according to FIGS. 6 and 7, the drive according to FIG. 5 being supported on the lower climbing shoe 16.1 instead of the wall shoe 20. Or may be attached. Likewise, the climbing shoe shown in FIGS. 6 and 7 can be used with the entire embodiments of FIGS. 1 to 5.

Claims (19)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10)용 가이드 슈(16)에 있어서,In the guide shoe 16 for the climbing system 10 for use in the building sector,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수평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턱(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용 가이드 슈.A guide shoe for use in a building sector, comprising at least one guide jaw 86 that is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ivo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구조물(14)상의 벽 슈(20)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용 가이드 슈.Guide shoe for climbing system for use in a building sector, which can be attached to a wall shoe 20 on a structure 14.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안내 턱(86)의 회전축(88)과 상기 안내 턱(86)의 외측 단부 사이의 거리가, 상기 가이드 슈(16)와 벽 슈(20) 사이의 고정부(70)와 회전축(88)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용 가이드 슈.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 shaft 88 of the guide jaw 86 and the outer end of the guide jaw 86 is a fixed portion 70 and the rotation shaft 88 between the guide shoe 16 and the wall shoe 20. Guide shoe for climbing system for use in a building s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가이드 슈(16)상의 적어도 하나의 안내 턱(86)이 일부 구역에서는 선회 불가능하게 안내되고 다른 구역에서는 선회 가능하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용 가이드 슈.At least one guide jaw (86) on the guide shoe (16) is guided in a non-swivelable manner in some zones, and pivotally guided in other zones.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10)에 있어서,In the climbing system 10 for use in the building sector,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슈(16)와,At least one guide shoe 16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구조물(14)상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슈(16)에서 안내되고 및/또는 매달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비계 유닛(12)과,At least one scaffolding unit 12 capable of being guided and / or suspended in at least one guide shoe 16 on the structure 14, 상기 구조물(14)상의 개별 마운트(20)에 해제가능하게 직접 끼워질 수 있고, 비계 유닛(12)이 상승할 수 있는 제 1 작동 모드와, 승강 드라이브(18)가 상승할 수 있는 제 2 작동 모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 드라이브(1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The first mode of operation, which can be releasably fitted directly into the individual mounts 20 on the structure 14, in which the scaffolding unit 12 can rise, and the second operation in which the elevating drive 18 can rise. Climbing system for use in a building s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t least one lift drive (18) that can be switched between modes.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슈(16)가 승강 드라이브(18)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Climbing system for use in a building s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one guide shoe (16) is provided on the elevating drive (18).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상기 비계 유닛(12)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슈(16)상에서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Climbing system for use in a building s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caffolding unit (12) can be guided on at least one guide shoe (16). 청구항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상기 비계 유닛(12)이 돌출 클라이밍 캠(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 Climbing system for use in a building s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caffolding unit (12) comprises a protruding climbing cam (22). 청구항 5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슈(16)가 비계 유닛(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Climbing system for use in a building secto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guide shoe (16) can be separated from the scaffolding unit (12). 청구항 5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9, 상기 승강 드라이브(18)가 중력 및/또는 스프링력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56, 6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볼트(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Climbing for use in a building s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ing drive 18 comprises at least one detent 56, 60 and / or at least one bearing bolt 80 which is subjected to gravity and / or spring force. system. 청구항 10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적어도 2개의 멈춤쇠(56, 60) 또는 베어링 볼트(80.1, 80.2)가 승강 방향으로 상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Climbing system for use in a building secto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detents (56, 60) or bearing bolts (80.1, 80.2) are arranged up and down in the lifting direction. 청구항 10 또는 1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상기 베어링 볼트(80)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윤곽(82)이 하나의 하측 평탄부 및/또는 하나의 상측 급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Climbing system for use in a building secto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guide contour (82) for the bearing bolt (80) comprises one lower flat and / or one upper steep slope. 청구항 10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60)가 제 2 작동 모드에서 상기 비계 유닛(12)상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Climbing system for use in a building secto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detent (60) can be supported on the scaffolding unit (12) in a second mode of operation. 청구항 5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13,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18)가 마운트(62) 및/또는 중력에 의해서 비계 유닛(12)의 방향으로 유지 및/또는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Climbing system for use in a building secto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drive (18) is held and / or mounted in the direction of the scaffold unit (12) by mount (62) and / or gravity. 청구항 5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14, 상기 비계 유닛(12)이 적어도 하나의 프리스트레스가능한 지지체(prestressable support, 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Climbing system for use in a building sector, characterized in that said scaffolding unit (12) comprises at least one prestressable support (24). 청구항 1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상기 지지체(24)는 상기 비계 유닛(12)의 평면들(42, 44, 48) 사이의 조정을 위한 복수의 고정 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Climbing system for use in a building s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24) comprises a plurality of fixing points for coordination between the planes (42, 44, 48) of the scaffolding unit (12). 청구항 15 또는 1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24)가 편심 스핀들(46)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Climbing system for use in a building sector, characterized in that said at least one support (24) can be adjusted by an eccentric spindle (46). 청구항 5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17, 상기 비계 유닛(12)이 적어도 하나의 분할된 수직 프로파일(26)을 포함하고, 상기 분할된 수직 프로파일의 부분들(26.1, 26.2)이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Climbing for use in a building s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caffolding unit 12 comprises at least one divided vertical profile 26 and the parts 26.1 and 26.2 of the divided vertical profile are rigidly connected. system. 청구항 5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18, 상기 비계 유닛(12)이, 구조물(14)상의 비계 유닛(12)의 수평 지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유닛(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Climbing system for use in a building s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caffolding unit (12) comprises at least one support unit (28) for horizontal support of the scaffolding unit (12) on the structure (14).
KR1020087017323A 2006-06-06 2007-06-05 Guide shoe and climbing system for use in the building sector KR10102445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26201A DE102006026201B4 (en) 2006-06-06 2006-06-06 Self Climbing System
DE102006026201.8 2006-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682A true KR20080079682A (en) 2008-09-01
KR101024455B1 KR101024455B1 (en) 2011-03-23

Family

ID=3842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323A KR101024455B1 (en) 2006-06-06 2007-06-05 Guide shoe and climbing system for use in the building sector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90173574A1 (en)
EP (1) EP1929104B1 (en)
JP (1) JP5368109B2 (en)
KR (1) KR101024455B1 (en)
CN (1) CN101360872B (en)
AT (1) ATE472023T1 (en)
DE (2) DE102006026201B4 (en)
ES (1) ES2347487T3 (en)
HK (1) HK1123588A1 (en)
RU (1) RU2427691C2 (en)
UA (1) UA93392C2 (en)
WO (1) WO2007141264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7234A2 (en) * 2010-01-13 2011-07-21 금강공업 주식회사 Lifting method for formwork working platform
KR102086828B1 (en) * 2019-09-26 2020-03-10 다성알앤이 주식회사 Sliding shoe for constru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29653B4 (en) 2006-06-28 2009-02-12 Doka Industrie Gmbh Lifting platform and method for building a lifting platform
DE102007018853A1 (en) 2007-04-20 2008-10-30 Doka Industrie Gmbh Self-climbing system for use in area of construction engineering, has platform and main platform for carrying out formwork operation, and railing element is fixed below main platform and in position of self-climbing system
DE102007018851A1 (en) 2007-04-20 2008-10-30 Doka Industrie Gmbh Guide shoe and combination of a guide shoe with a climbing profile
DE102007026020A1 (en) 2007-06-04 2008-12-11 Doka Industrie Gmbh Self-climbing system and method for concreting a beam and / or assembling a finished part by means of a self-climbing system
DE102008015682A1 (en) 2008-03-25 2009-10-08 Peri Gmbh Rail-guided self-climbing formwork system with climbing rail extension pieces
ES2401552T3 (en) * 2010-03-05 2013-04-22 Ulma C Y E, S. Coop. Self-climbing perimeter protection system for building construction works
EP2558659B1 (en) * 2010-04-14 2015-03-18 VSL International AG Adjustable formwork climber
CN102051977B (en) * 2010-11-29 2012-04-18 南通四建集团有限公司 Exterior wall scaffold and template integrated construction method
US20130263549A1 (en) * 2012-04-04 2013-10-10 Helmark Steel, Inc. Safety screen system for steel erection work
ES2621479T3 (en) * 2013-11-12 2017-07-04 Ulma C Y E, S. Coop. Self-climbing system for scaffolding in building construction works
CA2838259C (en) * 2013-12-30 2020-08-18 International Chimney Corporation Scaffold system
ES2924390T3 (en) 2014-09-10 2022-10-06 Doka Gmbh Method and device for lowering a formwork or protection element
US10465401B2 (en) * 2015-04-15 2019-11-05 Ronald A. Bullock Construction safety net support apparatus
CN105502240B (en) * 2015-12-25 2018-11-13 安徽唐兴机械装备有限公司 A kind of hydraulic climbing mechanism with dead lock for safety function
DE102016205956A1 (en) * 2016-04-08 2017-10-12 Peri Gmbh Self-climbing system, self-climbing unit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uch a self-climbing unit on a concrete structure
CN105781088A (en) * 2016-05-03 2016-07-20 泰兴市第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Floor type scaffold of ultrahigh chemical tower
CN106049863B (en) * 2016-06-28 2018-10-09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The full-automatic tuning anti-fall device of link-type and its application method
DE102016125549A1 (en) * 2016-12-23 2018-06-28 Tries Gmbh & Co. Kg Climbing device with a climbing rail
DE102017202264A1 (en) * 2017-02-13 2018-08-16 Peri Gmbh Climbing device for lowering a climbing rail and method for lowering a climbing rail
ES2695626B2 (en) * 2017-06-30 2020-05-19 Hws Concrete Towers S L Self-climbing device for vertical and quasi-vertical concrete surfaces and operating procedure.
EP3470602A1 (en) * 2017-10-10 2019-04-17 DOKA GmbH Formwork and method for ere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US10988949B2 (en) * 2017-10-27 2021-04-27 Doka Gmbh Safety screen and safety screen system
US11053699B2 (en) * 2017-10-27 2021-07-06 Doka Gmbh Climbing shoe, safety screen support system and safety screen system
CN108661302A (en) * 2018-07-23 2018-10-16 广东快建模架科技有限公司 A kind of elevator climbing system and its application method
IT201800008150A1 (en) * 2018-08-22 2020-02-22 Faresin Formwork Spa DEVICE FOR SUPPORTING AND GUIDING A CLIMBING FORMWORK BEAM AND THIS BEAM
CN109296191A (en) * 2018-09-26 2019-02-01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A kind of automatic climbing platform for head tower construction
CN109296190A (en) * 2018-09-26 2019-02-01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A kind of climbing device of head tower operation platform
US11408188B1 (en) 2019-06-04 2022-08-09 Peri Formwork Systems, Inc. Suspended translating platform
DE102019115346A1 (en) * 2019-06-06 2020-12-10 Peri Gmbh ARRANGEMENT OF A CLIMBING RAIL AND A CLIMBING RAIL FOR A RAIL-GUIDED CLIMBING SYSTEM
CN110182698B (en) * 2019-06-24 2024-04-16 三一重能股份有限公司 Climbing device and self-climbing crane
US11655641B2 (en) * 2019-12-29 2023-05-23 The Third Construction Co., Ltd Of China Construction Third Engneering Bureau Construction build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1519887B (en) * 2020-04-20 2021-10-08 日照利伟建设集团有限公司 Building outside formula construction operation platform that climbs
CN111550041A (en) * 2020-05-15 2020-08-18 北京卓良模板有限公司 Climbing formwork for penetrating plate
DE102020134813A1 (en) * 2020-12-23 2022-06-23 Peri Se Climbing shoe for a rail-guided climbing system
CN113460842B (en) * 2021-06-22 2022-10-25 燕山大学 Reconfigurable robot system for automatic installation of elevator guide rails
CN114059757B (en) * 2021-10-21 2023-06-09 温州职业技术学院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is with interim eminence climbing fr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13520A1 (en) * 1975-06-05 1976-12-31 Coignet Sa CLIMBING SCAFFOLDING WITH ASSOCIATED FORMWORK
IT1071572B (en) * 1977-02-10 1985-04-10 Tesco Spa SELF-ASSEMBLING FORMWORK FOR THE CAST OF CONCRETE STRUCTURES AND LAND SUPPORTING WALLS
ZA782842B (en) * 1978-05-18 1979-07-25 Zingwe Plant Hire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uilding apparatus
FR2487410A1 (en) * 1980-07-24 1982-01-29 Bouygues Sa Climbing shutter for casting concrete wall - has single jack to raise brackets retaining shutter sections on shoes detachably fixed to wall
JPS59220541A (en) * 1983-05-31 1984-12-12 株式会社竹中工務店 Vertical moving housing construction method
US4611784A (en) * 1985-01-10 1986-09-16 Harsco Corporation Safety lock for jump scaffolding
US4892169A (en) * 1989-02-21 1990-01-09 Sinco, Inc. Perimeter debris net lifting system
DE9011446U1 (en) * 1990-08-06 1990-10-11 Oesterreichische Doka Schalungstechnik Gesellschaft Mbh, Amstetten, At
DE4302197A1 (en) * 1993-01-27 1994-07-28 Peri Gmbh Climb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climbing frame
US6557817B2 (en) * 2000-01-18 2003-05-06 Wilian Holding Company Wall climbing form hoist
JP4163177B2 (en) * 2002-05-06 2008-10-08 チュー,ワイ,ファーン Scaffolding system
CN2552894Y (en) * 2002-05-29 2003-05-28 张继科 Roller shoes for elevator
JP4094919B2 (en) * 2002-07-18 2008-06-04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N2603062Y (en) * 2003-03-12 2004-02-11 周国成 Portal crane with cable broken protector
WO2005054604A1 (en) * 2003-11-27 2005-06-16 Ulma C Y E, S. Coop. Rigging system for formwork, scaffolding or moving loads in general
DE102005030333C5 (en) * 2005-06-29 2017-09-28 Peri Gmbh Divisible climbing shoe of a climbing formwork
KR200410232Y1 (en) 2005-12-20 2006-03-07 주식회사 근하기공 Guide Rail Fixing Apparatus of Sliding Foa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7234A2 (en) * 2010-01-13 2011-07-21 금강공업 주식회사 Lifting method for formwork working platform
WO2011087234A3 (en) * 2010-01-13 2011-11-10 금강공업 주식회사 Lifting method for formwork working platform
KR102086828B1 (en) * 2019-09-26 2020-03-10 다성알앤이 주식회사 Sliding shoe for 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9104B1 (en) 2010-06-23
WO2007141264A1 (en) 2007-12-13
ATE472023T1 (en) 2010-07-15
KR101024455B1 (en) 2011-03-23
CN101360872B (en) 2011-05-18
DE102006026201A1 (en) 2007-12-27
UA93392C2 (en) 2011-02-10
JP5368109B2 (en) 2013-12-18
EP1929104A1 (en) 2008-06-11
ES2347487T3 (en) 2010-10-29
JP2009523934A (en) 2009-06-25
RU2008129092A (en) 2010-01-20
DE102006026201B4 (en) 2008-04-10
CN101360872A (en) 2009-02-04
DE502007004179D1 (en) 2010-08-05
RU2427691C2 (en) 2011-08-27
HK1123588A1 (en) 2009-06-19
US20090173574A1 (en) 200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455B1 (en) Guide shoe and climbing system for use in the building sector
RU2721376C2 (en) Method for erecting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system which can be adapted to increasing building height
US9175487B2 (en) Self-climbing perimetric pro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works in buildings
CA2848005C (en) Hoisting platform system
US9133632B2 (en) Platform support device for lifting loads or persons the height of a structure
US20060219478A1 (en) Construction
KR100704720B1 (en) Device for lifting temporary stand and lifting method thereof
US20110147329A1 (en) Load transportation system
US8701827B2 (en) Climbing screen support system
US20080314853A1 (en) Climbing and support system for pumping tower
JP4163177B2 (en) Scaffolding system
KR100514133B1 (en) Carrier for curtain-wall panel establishing use and curtain-wall establishing method using the same
EP2518239A1 (en) A climbing head for hoisting a self-climbing pro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works in buildings
RU2383701C2 (en) Mobile scaffolding
AU2016208273A1 (en) Re-positionable Floor Guide System and Tool for use in the same
EP3260629B1 (en) Fall protection device
EP2911971B1 (en) Hoisting platform system
JP2019027145A (en) Installation method for falling object protective device
GB2571942A (en) Climbing screen support
SU1096360A1 (en) Floor forms
KR20090105907A (en) Lifting unit mounting apparatus for auto climbing system
NO20090338L (en) System for modular mobile work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