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9155A -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재전송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재전송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9155A
KR20080079155A KR1020070021677A KR20070021677A KR20080079155A KR 20080079155 A KR20080079155 A KR 20080079155A KR 1020070021677 A KR1020070021677 A KR 1020070021677A KR 20070021677 A KR20070021677 A KR 20070021677A KR 20080079155 A KR20080079155 A KR 20080079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rminal
scheduling information
relay stat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7731B1 (ko
Inventor
장영빈
타오리 라케쉬
오창윤
이성진
강현정
손중제
임형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08003491.1A priority Critical patent/EP1962451B1/en
Priority to AU2008219947A priority patent/AU2008219947B2/en
Priority to MYPI20093511A priority patent/MY148104A/en
Priority to JP2009551952A priority patent/JP5289336B2/ja
Priority to CA002678667A priority patent/CA2678667A1/en
Priority to PCT/KR2008/001107 priority patent/WO2008105620A1/en
Priority to US12/037,577 priority patent/US8533552B2/en
Publication of KR20080079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6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the same, encoded,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7Re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재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중계국으로부터 제공받는 경우,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계국으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상기 중계국은 기지국으로 오류가 없는 데이터에 대해서만 재전송을 수행하여 상기 기지국은 데이터에 대해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중계방식, 자동 재전송 요청(ARQ :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상향링크, 중계국

Description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재전송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NSMISSION REQUES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L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중계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 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중계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중계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동 재전송 요청(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 이하 ARQ라 칭함)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기 ARQ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자원의 채널 상태에 따라서 특정 데이터에 오류(error)가 발생한 수 있다. 이러한 오류에 대한 제어 및 복구 기술은 크게 ARQ 기법과 FEC(Frame Error Check)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RQ 기법은 수신 단에서 손실된 데이터에 대해 송신 단으로 재전송(retransmission)을 요청하는 기법이다. 또한, 상기 FEC 기법은 상기 수신 단에서 손실된 데이터에 대한 오류를 정정하는 기법이다.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기 ARQ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수신 단은 수신된 패킷을 복호하여 오류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수신된 패킷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 단은 상기 송신 단으로 ACK 신호를 전송한다.
만일, 상기 수신된 패킷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수신 단은 상기 송신 단으로 NACK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송신 단은 상기 수신 단으로부터 ACK 신호가 수신되면 새로운 패킷을 전송한다. 만일, 상기 수신 단으로부터 NACK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송신 단은 상기 수신 단으로 이전 패킷을 재전송한다.
최근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셀의 가장자리나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단말에 더욱 우수한 무선 채널을 제공하기 위해 중계국을 이용한 중계 방식을 사용한다. 즉, 상기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은 상기 중계국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단말 간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중계하여 상기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보다 우수한 무선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은 상기 중계국을 이용한 ARQ 수행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동 재전송 요청(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의 자동 재전송 요청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재전송 방법은,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중계국으로부터 제공받는 경우,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계국으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재전송 방법은, 단말로부터 수신받는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재전송 방법은,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중계국으로부터 제공받는 경우,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중계국으로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계국으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재전송 방법은, 단말로부터 수신받는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기지국으로 ACK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상향링크 신호를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 국으로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견지에 따르면,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재전송 방법은,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신호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노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재전송을 위한 노드로 중계국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중계국으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견지에 따르면,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재전송 방법은, 단말로부터 수신받는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기지국으로 ACK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재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견지에 따르면,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재전송 장치는,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들의 오류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부와, 상기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큐와, 기지국의 재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제어하는 재전송 제어기와, 상기 재전송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 큐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데이터들을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의 자동 재전송 요청(Automatic Retrasmission reQuest : 이하 ARQ라 칭함)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다른 다중 접속 방식의 통신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중계방식의 무선통신시스템은 하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국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단말 간 송수신되는 신호를 중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100)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120)은 상기 기지국(100)과 직접 링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하지만, 상기 단말(120)은 상기 기지국(100)의 서비스 영역의 외곽(셀 경계지역)에 위치하므로 채널 상태가 열악하여 고속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100)은 중계국(110)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들 중 채널 상태가 열악한 단말(120)에 고속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한다. 즉, 하향링크의 경우, 상기 단말(120)은 상기 기지국(100)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기 때문에 상기 기지국(100)과 직접 링크를 통해 제어 신호 및 저속의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또한, 상기 단말(120)은 상기 중계국(110)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100)으로부터 고속의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상향링크의 경우, 상기 기지국(100)은 직접 링크를 통해 상기 단말(120)이 전송하는 저속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받는다. 또한, 상기 기지국(100)은 상기 중계국(110)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120)로부터 고속의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기 기지국과 중계국 및 단말은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은 상기 중계국을 통해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고, 저속 데이터 또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과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과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국은 상기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데이터를 청취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이 수신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중계국은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수신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 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재전송받기 위한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과 중계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 성공률을 확인하여 수신 성공률이 좋은 노드를 선택하여 상기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은 상기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기지국은 데이터의 수신 성공률이 좋은 중계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재전송받기 위한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200)은 단말(204)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중계국(202) 또는 상기 단말(204)로 전송한다(211단계, 213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중계국(202)과 상기 단말(204)로 각각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단말(204)에만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국(202)은 상기 기지국(200)이 상기 중계국(202)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204)로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하여 상기 단말(204)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중계국(202)과 상기 단말(204)은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제공받은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204)이 데이터를 전송할 시점 및 자원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 상기 단말(204)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상기 중계국(202)으로 전송한다(215단계). 이때, 상기 단말(204)은 상기 데이터를 상기 중계국(202)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204)은 상기 중계국(202)을 인식하지 못하고 상기 기지국(2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계국(2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204)이 상기 기지국(200)으로 전송한 데이터를 청취하여 확인한다.
상기 중계국(202)은 상기 단말(204)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217단계).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202)은 상기 수신 데이터의 에러체크코드(CRC : Cyclic Redundancy Check)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중계국(202)이 상기 단말(204)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202)으로 전송한다(219단계). 즉,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단말(204)이 상기 중계국(202)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인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단말(204)이 상기 중계국(202)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에 따라 상기 중계국(202)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중계국(2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204)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221단계). 이때, 상기 중계국(202)은 상기 데이터에 ACK 메시지를 포함시 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중계국(202)으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223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수신 데이터의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중계국(202) 또는 단말(204)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225단계, 227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중계국(202)과 상기 단말(204)로 각각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단말(204)로만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국(202)은 상기 기지국(200)이 상기 단말(204)로 전송하는 ACK 메시지를 청취하여 상기 기지국(200)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음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중계국(202)은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NACK 메시지 또는 데이터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200)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중계국(202)을 통해 상기 단말(204)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오류 없이 수신받으면 상기 중계국(202) 또는 단말(204)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221 단계와 같이 상기 중계국(202)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상기 데이터의 오류발생 유무에 상관없이 상기 단말(204)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200)은 상기 중계국(202)으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에 오 류가 없으면 상기 중계국(202)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상기 도 2에서 상기 중계국(202)이 상기 단말(204)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와 상기 기지국(200)이 상기 중계국(202)으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300)은 단말(304)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스케줄링 정보를 중계국(302) 또는 단말(304)로 전송한다(311단계, 313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중계국(302)과 상기 단말(304)로 각각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단말(304)에만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국(302)은 상기 기지국(300)이 상기 중계국(302)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304)로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하여 상기 단말(304)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중계국(302)과 상기 단말(304)은 상기 기지국(300)으로부터 제공받은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304)이 데이터를 전송할 시점 및 자원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 상기 단말(304)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상기 중계국(302)으로 전송한다(315단계). 이때, 상기 단말(304)은 상기 데이터를 상기 중계국(302)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304)은 상기 중계국(302)을 인식하지 못하고 상기 기지국(3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계국(3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304)이 상기 기지국(300)으로 전송한 데이터를 청취하여 확인한다.
상기 중계국(302)은 상기 단말(304)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317단계).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302)은 상기 수신 데이터의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중계국(302)이 상기 단말(304)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302)으로 전송한다(319단계). 즉,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단말(304)이 상기 중계국(302)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인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단말(304)이 상기 중계국(302)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에 따라 상기 중계국(302)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계국(3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NACK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300)으로 전송한다(321단계).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중계국(302)으로부터 NACK 메시지를 제공받으면, 상기 단말(304)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323단계).
이후,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단말(304)이 상기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302) 또는 상기 단말(304)로 전송한 다(325단계, 327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중계국(302)과 상기 단말(304)로 각각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단말(304)에만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국(302)은 상기 기지국(300)이 상기 중계국(302)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304)로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하여 상기 단말(304)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중계국(302)과 상기 단말(304)은 상기 기지국(300)으로부터 제공받은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304)이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시점 및 자원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 상기 단말(304)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상기 중계국(302)으로 재전송한다(329단계). 이때, 상기 단말(304)은 상기 데이터를 상기 중계국(302)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304)은 상기 중계국(302)을 인식하지 못하고 상기 기지국(300)으로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계국(3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304)이 상기 기지국(300)으로 재전송한 데이터를 청취하여 확인한다.
상기 중계국(302)은 상기 단말(304)로부터 제공받은 재전송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331단계).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302)은 상기 수신 데이터의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중계국(302)이 상기 단말(304)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302)으로 전송한다(333 단계). 즉,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단말(304)이 상기 중계국(302)으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인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단말(304)이 상기 중계국(302)으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시점에 따라 상기 중계국(302)으로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중계국(3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304)로부터 제공받은 재전송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300)으로 전송한다(335단계). 이때, 상기 중계국(302)은 상기 데이터에 ACK 메시지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중계국(302)으로부터 제공받은 재전송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337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데이터의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중계국(302)으로 NACK 메시지와 상기 중계국(302)이 상기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302)으로 전송한다(339단계, 341단계). 여기서,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만 상기 중계국(30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계국(302)은 상기 NACK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300)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300)으로 재전송한다(343단계).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중계국(302)으로부터 제공받은 재전송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345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데이터의 에러 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중계국(302) 또는 단말(304)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347단계, 349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중계국(302)과 상기 단말(304)로 각각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단말(304)로만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국(302)은 상기 기지국(300)이 상기 단말(304)로 전송하는 ACK 메시지를 청취하여 상기 기지국(300)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음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중계국(302)은 상기 기지국(300)으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NACK 메시지 또는 데이터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300)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중계국(302)을 통해 상기 단말(304)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오류 없이 수신받으면 상기 중계국(302) 또는 단말(304)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335 단계와 같이 상기 중계국(302)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포함된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상기 데이터의 오류발생 유무에 상관없이 상기 단말(304)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중계국(302)으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에 오류가 없으면 상기 중계국(302)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하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향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기지국과 중계국 및 단말 각각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중계국을 통해 제공받은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중계국 또는 단말로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기지국은 401단계에서 중계국과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과 단말로 전송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 또는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계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상기 중계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에 따라 상기 중계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과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만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로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하여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은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ACK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ACK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은 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로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NACK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로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AKC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은 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411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계국으로 NACK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지국은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 또는 단말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계국과 단말에 각각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에만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수신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중계국 또는 단말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여 재전송 절차를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재전송을 수행을 위한 유효 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재전송 절차를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중계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중계국은 501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제공받는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단말의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중계국은 5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일정시간 동안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중계국은 상기 501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중계국은 5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은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중계국은 5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중계국의 상향링크 데이터의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은 5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은 상기 501단계로 진행하 여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중계국은 5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중계국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은 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는 ACK 메시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중계국은 5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재전송 요청 신호는 NACK 메시지 또는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만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중계국은 상기 5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NACK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제공받는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제공받으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중계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면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ACK 메시지를 수신받거나 상기 기지국이 상기 중계국과 통신하는 단말로 전송하는 ACK 메시지를 청취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중계국은 일정시간동안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의 재전송 요청에 따라 데이터의 재전송 절차를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중계국은 상기 재전송을 수행을 위한 유효 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재전송 절차를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단말은 60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은 6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중계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중계국을 인지하지 못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단말은 6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ACK 메시지가 아닌 NACK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일정시간 동안 ACK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상기 601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기지국 으로부터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한편, 상기 ACK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700)은 단말(704)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중계국(702) 또는 상기 단말(704)로 전송한다(711단계, 713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700)은 상기 중계국(702)과 상기 단말(704)로 각각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700)은 상기 단말(704)에만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국(702)은 상기 기지국(700)이 상기 중계국(702)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704)로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하여 상기 단말(704)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중계국(702)과 상기 단말(704)은 상기 기지국(700)으로부터 제공받은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704)이 데이터를 전송할 시점 및 자원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 상기 단말(704)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상기 중계국(702)으로 전송한다(715단계). 이때, 상기 단말(704)은 상기 데이터를 상기 중계국(702)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704)은 상기 중계국(702)을 인식하지 못하고 상기 기지국(7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계국(7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704)이 상기 기지국(700)으로 전송한 데이터를 청취하여 확인한다.
상기 중계국(702)은 상기 단말(704)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717단계).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702)은 상기 수신 데이터의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중계국(702)은 상기 기지국(700)으로부터 제공받은 ACK/NACK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700)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719단계). 여기서, 상기 기지국(700)은 상기 단말(704)이 상기 중계국(702)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인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700)은 상기 단말(704)이 상기 중계국(702)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에 따라 상기 중계국(702)으로 ACK/NACK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700)은 상기 중계국(702)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면,상기 중계국(702)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702)으로 전송한다(721단계).
상기 중계국(7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704)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700)으로 전송한다(723단계).
상기 기지국(700)은 상기 중계국(702)으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725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700)은 상기 수신 데이터의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기지국(700)은 상기 중계국(702) 또는 단말(704)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727단계, 729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700)은 상기 중계국(702)과 상기 단말(704)로 각각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700)은 상기 단말(704)로만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국(702)은 상기 기지국(700)이 상기 단말(704)로 전송하는 ACK 메시지를 청취하여 상기 기지국(700)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음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중계국(702)은 상기 기지국(700)으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NACK 메시지 또는 데이터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700)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상기 기지국(700)은 상기 중계국(702)을 통해 상기 단말(704)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오류 없이 수신받으면 상기 중계국(702) 또는 단말(704)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700)은 상기 719 단계와 같이 상기 중계국(702)으로부터 ACK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단말(704)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700)은 상기 중계국(702)으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에 오류가 없으면 상기 중계국(702)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상 기 도 7에서 상기 중계국(702)이 상기 단말(704)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와 상기 기지국(700)이 상기 중계국(702)으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800)은 단말(804)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스케줄링 정보를 중계국(802) 또는 단말(804)로 전송한다(811단계, 813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중계국(802)과 상기 단말(804)로 각각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단말(804)에만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국(802)은 상기 기지국(800)이 상기 중계국(802)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804)로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하여 상기 단말(804)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중계국(802)과 상기 단말(804)은 상기 기지국(800)으로부터 제공받은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804)이 데이터를 전송할 시점 및 자원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 상기 단말(804)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상기 중계국(802)으로 전송한다(815단계). 이때, 상기 단말(804)은 상기 데이터를 상기 중계국(802)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804)은 상기 중계국(802)을 인식하지 못하고 상기 기지국(8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계국(8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804)이 상기 기지국(800)으로 전송한 데이터를 청취하여 확인한다.
상기 중계국(802)은 상기 단말(804)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817단계).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802)은 상기 수신 데이터의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계국(802)은 상기 기지국(800)으로부터 제공받은 ACK/NACK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NACK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800)으로 전송한다(819단계). 여기서,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단말(804)이 상기 중계국(802)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인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단말(804)이 상기 중계국(802)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에 따라 상기 중계국(802)으로 ACK/NACK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중계국(802)으로부터 NACK 메시지를 제공받으면, 상기 단말(804)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821단계).
이후,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단말(804)의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802) 또는 상기 단말(804)로 전송한다(823단계, 825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중계국(802)과 상기 단말(804)로 각각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단말(804)에만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국(802)은 상기 기지국(800)이 상기 중계국(802)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804)로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하여 상기 단말(804)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중계국(802)과 상기 단말(804)은 상기 기지국(800)으로부터 제공받은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804)이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시점 및 자원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 상기 단말(804)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상기 중계국(802)으로 재전송한다(827단계). 이때, 상기 단말(804)은 상기 데이터를 상기 중계국(802)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804)은 상기 중계국(802)을 인식하지 못하고 상기 기지국(800)으로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계국(8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804)이 상기 기지국(800)으로 재전송한 데이터를 청취하여 확인한다.
상기 중계국(802)은 상기 단말(804)로부터 제공받은 재전송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829단계).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802)은 상기 수신 데이터의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중계국(802)은 상기 기지국(800)으로부터 제공받은 ACK/NACK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NACK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800)으로 전송한다(831단계). 여기서,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단말(804)이 상기 중계국(802)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인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단말(804)이 상기 중계국(802)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에 따라 상기 중계국(802)으로 ACK/NACK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중계국(802)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중계국(802)의 상향링크 데이터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802)로 전송한다(833단계).
상기 중계국(8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804)로부터 제공받은 재전송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800)으로 전송한다(835단계).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중계국(802)으로부터 제공받은 재전송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837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데이터의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중계국(802)으로 NACK 메시지와 상기 중계국(802)이 상기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802)으로 전송한다(839단계, 841단계). 여기서,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만 상기 중계국(80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계국(802)은 상기 NACK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800)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800)으로 재전송한다(843단계).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중계국(802)으로부터 제공받은 재전송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845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데이터의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중계국(802) 또는 단말(804)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847단계, 849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중계국(802)과 상기 단말(804)로 각각 ACK 메시지를 전송 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단말(804)로만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국(802)은 상기 기지국(800)이 상기 단말(804)로 전송하는 ACK 메시지를 청취하여 상기 기지국(800)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음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중계국(802)은 상기 기지국(800)으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NACK 메시지 또는 데이터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800)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중계국(802)을 통해 상기 단말(804)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오류 없이 수신받으면 상기 중계국(802) 또는 단말(804)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831 단계와 같이 상기 중계국(802)으로부터 ACK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단말(804)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중계국(802)으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에 오류가 없으면 상기 중계국(802)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하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향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기지국과 중계국 각각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중계국을 통해 제공받은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중계국 또는 단말로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기지국은 901단계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과 단말로 전송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 또는 단말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과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만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로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하여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계국이 ACK/NACK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상기 중계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에 따라 상기 중계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은 9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ACK 메시지가 아닌 NACK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은 9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로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AKC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은 9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의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 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은 9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다.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은 9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915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를 재전송을 요청하는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상기 9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의 상향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지국은 9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 또는 단말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계국과 단말에 각각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에만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수신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중계국 또는 단말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여 재전송 절차를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재전송을 수행을 위한 유효 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재전송 절차를 종료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중계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중계국은 1001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제공받는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단말의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중계국은 10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일정시간 동안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중계국은 상기 100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중계국은 10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은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중계국은 10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받은 ACK/NACK 메시지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은 상기 1001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중계국은 1007단계로 진 행하여 상기 ACK/NACK 메시지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중계국은 10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한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중계국은 10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중계국은 10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재전송 요청 신호는 NACK 메시지를 포함한다.
만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중계국은 상기 1009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NACK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제공받는다.
한편,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중계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면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ACK 메시지를 수신받거나 상기 기지국이 상기 중계국과 통신하는 단말로 전송하는 ACK 메시지를 청취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중계국은 일정시간동안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의 재전송 요청에 따라 데이터의 재전송 절차를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중계국은 상기 재전송을 수행을 위한 유효 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재전송 절차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중계국을 거치지 않고 단말로부터 직접 상향링크 데이터의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중계국 또는 단말부터 상기 데이터를 재전송 받기 위한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100)은 단말(1104)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1104)로 전송한다(1113단계). 이때, 상기 중계국(1102)은 상기 기지국(1100)이 상기 중계국(1102)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1104)로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하여 상기 단말(1104)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1100)은 상기 중계국(1102)이 상기 단말(1104)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1104)의 식별자(ID)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1102)으로 전송한다(1111단계).
즉, 상기 중계국(11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 또는 모니터링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1104)이 데이터를 전송할 시점 및 자원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 상기 단말(1104)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1100)으로 전송한다(1115단계). 이 경우, 상기 중계국(11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 또는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1104)이 상기 기지국(1100)으로 전송한 데이터를 청취하여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중계국(1102)은 상기 청취한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으면 상기 중계국(1102)은 상기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상기 기지국(1100)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계국(1102)은 상기 기지국(1100)으로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중계국(1102)은 상기 기지국(1100)으로부터 제공받은 ACK/NACK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1100)으로 상기 ACK 또는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1100)은 상기 단말(1104)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1117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1100)은 상기 데이터의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기지국(1100)은 상기 중계국(1102) 또는 단말(1104)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1119단계, 1121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1100)은 상기 중계국(1102)과 상기 단말(1104)로 각각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1100)은 상기 단말(1104)로만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국(1102)은 상기 기지국(1100)이 상기 단말(1104)로 전송하는 ACK 메시지를 청취하여 상기 기지국(1100)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음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중계국(1102)은 상기 기지국(1100)으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NACK 메시지 또는 데이터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1100)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상기 도 11에서 상기 중계국(1002)이 상기 단말(1004)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와 상기 기지국(1000)이 상기 중계국(1002)으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200)은 단말(1204)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2104)로 전송한다(1213단계). 이때, 상기 중계국(1202)은 상기 기지국(1200)이 상기 중계국(1202)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1204)로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하여 상기 단말(1204)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1200)은 상기 중계국(1202)이 상기 단말(1204)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1204)의 식별자(ID)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1202)으로 전송한다(1211단계).
즉, 상기 중계국(12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 또는 모니터링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1204)이 데이터를 전송할 시점 및 자원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 상기 단말(1204)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1200)으로 전송한다(1215단계). 이 경우, 상기 중계국(12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 또는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1204)이 상기 기지국(1200)으로 전송한 데이터를 청취하여 확인한다.
상기 기지국(1200)과 상기 중계국(1202)은 상기 단말(1204)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한다(1217단계, 1219단계). 여기서, 상기 중계국(1202)은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으면 상기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상기 기지국(1200)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계국(1202)은 상기 기지국(1200)으로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중계국(1202)은 상기 기지국(1200)으로부터 제공받은 ACK/NACK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1200)으로 상기 ACK 또는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일, 상기 중계국(1202)이 수신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계국(1202)은 상기 기지국(1200)으로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1221단계).
만일, 상기 기지국(1200)이 수신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계국(1202)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중계국(1202)으로부터 NACK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1200)은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NACK 메시지를 상기 단말(1204)로 전송한다.
하지만, 상기 중계국(1202)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1200)은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할 노드(예 : 중계국(1202) 또는 단말(1204))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1200)은 상기 중계국(1202)와 상기 단말(1204)의 채널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할 위한 노드를 선택한다.
만일, 상기 기지국(1200)에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할 노드로 상기 중계국(1202)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1200)은 상기 중계국(1202)으로부터 ACK 또는 NACK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기지국(1200)은 상기 중계국(1202)으로부터 NACK 메시지를 제공받으면, 상기 단말(1204)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1223단계).
이후, 상기 기지국(1200)은 상기 단말(1204)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1204)로 전송한다(1227단계). 이때, 상기 중계국(1202)은 상기 기지국(1200)이 상기 중계국(1202)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1204)로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하여 상기 단말(1204)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1200)은 상기 중계국(1202)이 상기 단말(1204)이 재전송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1204)의 식별자(ID)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1202)으로 전송한다(1225단계).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 상기 단말(1204)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1200)으로 재전송한다(1229단계). 이 경우, 상기 중계 국(12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 또는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1204)이 상기 기지국(1200)으로 전송한 데이터를 청취하여 확인한다.
상기 기지국(1200)과 상기 중계국(1202)은 상기 단말(1204)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한다(1231단계, 1233단계). 여기서, 상기 중계국(1202)은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으면 상기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상기 기지국(1200)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계국(1202)은 상기 기지국(1200)으로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중계국(1202)은 상기 기지국(1200)으로부터 제공받은 ACK/NACK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1200)으로 상기 ACK 또는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일, 상기 중계국(1202)이 수신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중계국(1202)는 상기 기지국(1200)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1235단계).
또한, 상기 기지국(1200)이 수신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기지국(1200)은 상기 중계국(1202)으로부터 ACK 또는 NACK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기지국(1200)은 상기 중계국(1202)으로부터 ACK 메시지를 제공받으면, 상기 중계국(1202)의 데이터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1202)으로 전송한다(1237단계).
상기 중계국(12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1200)으로 상기 단말(1204)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전송한다(1239단계).
상기 기지국(1200)은 상기 중계국(1202)으로부터 제공받은 재전송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1241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1200)은 상기 데이터의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기지국(1200)은 상기 중계국(1202)으로 NACK 메시지와 상기 중계국(1202)이 상기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1202)으로 전송한다(1243단계, 1245단계). 여기서, 상기 기지국(1200)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만 상기 중계국(120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계국(1202)은 상기 NACK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1200)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1200)으로 재전송한다(1247단계).
상기 기지국(1200)은 상기 중계국(1202)으로부터 제공받은 재전송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1249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1200)은 상기 데이터의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기지국(1200)은 상기 중계국(1202) 또는 단말(1204)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1251단계, 1253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1200)은 상기 중계국(1202)과 상기 단말(1204)로 각각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1200)은 상기 단말(1204)로만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국(1202)은 상기 기지국(1200)이 상기 단말(1204)로 전송 하는 ACK 메시지를 청취하여 상기 기지국(1200)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음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중계국(1202)은 상기 기지국(1200)으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NACK 메시지 또는 데이터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1200)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상기 기지국(1100)은 상기 중계국(1102)을 통해 상기 단말(1104)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오류 없이 수신받으면 상기 중계국(1102) 또는 단말(1104)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1100)은 상기 1235단계와 같이 상기 중계국(1102)으로부터 ACK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단말(1104)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1100)은 상기 중계국(1102)으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에 오류가 없으면 상기 중계국(1102)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상기 기지국(1200)에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할 노드로 상기 단말(1204)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하기 도 13과 같이 재전송 절차를 수행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300)은 단말(1304)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2104)로 전송한다(1313단계). 이때, 상기 중계국(1302)은 상기 기지국(1300)이 상기 중계국(1302)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1304)로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하여 상기 단말(1304)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1300)은 상기 중계국(1302)이 상기 단말(1304)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1304)의 식별자(ID)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1302)으로 전송한다(1311단계).
즉, 상기 중계국(13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 또는 모니터링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1304)이 데이터를 전송할 시점 및 자원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 상기 단말(1304)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1300)으로 전송한다(1315단계). 이 경우, 상기 중계국(1302)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 또는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1304)이 상기 기지국(1300)으로 전송한 데이터를 청취하여 확인한다.
상기 기지국(1300)과 상기 중계국(1302)은 상기 단말(1304)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한다(1317단계, 1319단계). 여기서, 상기 중계국(1302)은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으면 상기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상기 기지국(1300)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계국(1302)은 상기 기지국(1300)으로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중계국(1302)은 상기 기지국(1300)으로부터 제공받은 ACK/NACK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1300)으로 상기 ACK 또는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일, 상기 중계국(1302)이 수신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중계 국(1302)은 상기 기지국(1300)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1321단계).
만일, 상기 기지국(1300)이 수신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기지국(1300)은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할 노드(예 : 중계국(1302) 또는 단말(1304))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1300)은 상기 중계국(1302)와 상기 단말(1304)의 채널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할 노드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1300)에서 상기 중계국(1302)으로부터 ACK 메시지를 전송받더라도 상기 기지국(1300)은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할 노드로 상기 단말(1304)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지국(1300)은 상기 단말(1304)로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1323단계).
이후, 상기 기지국(1300)은 상기 단말(1304)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1304)로 전송한다(1325단계).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 상기 단말(1304)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1300)으로 재전송한다(1327단계).
상기 기지국(1300)은 상기 단말(1304)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한다(1329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1300)은 상기 데이터의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기지국(1300)은 상기 중계국(1302) 또는 단말(1304)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1331단계, 1333단계).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1300)은 상기 중계국(1302)과 상기 단말(1304)로 각각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1300)은 상기 단말(1304)로만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국(1302)은 상기 기지국(1300)이 상기 단말(1304)로 전송하는 ACK 메시지를 청취하여 상기 기지국(1300)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음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중계국(1302)은 상기 기지국(1300)으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NACK 메시지 또는 데이터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1300)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기지국은 1401단계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로 스케줄링 정보 상기 중계국이 청취하여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은 1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다.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은 1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14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 또는 단말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계국과 단말에 각각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에만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1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NACK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14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말로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1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할 노드(예 : 중계국 또는 단말)를 결정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14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재전송을 요청할 노드로 상기 중계국이 선택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재전송을 요청할 노드로 상기 단말이 선택된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14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 발생을 나타내는 NACK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NACK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은 1401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재전송을 요청할 노드로 상기 중계국이 선택된 경우, 상기 기지 국은 14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의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은 14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다.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은 14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14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의 상향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데이터의 오류 발생을 나타내는 NACK 메시지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상기 1413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14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중계국 또는 단말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계국과 단말에 각각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에만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수신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중계국 또는 단말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여 재전송 절차를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재전송을 수행을 위한 유효 시간이 만료되면 상 기 재전송 절차를 종료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중계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5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중계국은 1501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의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단말의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중계국은 15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일정시간 동안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중계국은 상기 1501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중계국은 15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은 에러체크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중계국은 15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받은 ACK/NACK 메시지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중계국은 상기 1501단 계로 되돌아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중계국은 15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ACK/NACK 메시지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ACK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중계국은 1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중계국은 15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중계국은 15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NACK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중계국은 상기 1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한편, 상기 ACK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중계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ACK 메시지를 수신받거나 상기 기지국이 상기 중계국과 통신하는 단말로 전송하는 ACK 메시지를 청취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중계국은 일정시간동안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계국은 상기 기지국의 재전송 요청에 따라 데이터의 재전송 절차를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중계국은 상기 재전송을 수행을 위한 유효 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재전송 절차를 종료한다.
이하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기지국과 중계국 및 단말의 블록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과 중계국 및 단말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하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중계국의 블록구성을 대표로 설명하며 상기 기지국과 단말의 블록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송신부(1600)와 수신부(1620)는 서로 다른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송신부(1600)와 수신부(1620)는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국은 송신부(1600), 수신부(1620) 및 상기 송신부(1600)와 수신부(1620)가 공유하는 ARQ 제어부(1640), ARQ 상태부(1650), ARQ 타이머(1660), 채널 추정기(16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송신부(1600)는 데이터 생성부(1601), 채널 부호기(1603), CRC생성기(1605), 변조기(1607),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기(1609) 및 RF 처리기(16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생성부(1601)는 데이터 큐(1613)에 저장된 데이터와 메시지 생 성기(1617)에서 생성한 제어 메시지를 SDU(Service Data Unit)생성기(1615)에서 모아 물리계층 전송을 위한 하나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 생성기(1617)는 상기 수신부(1620)를 통해 수신받은 데이터에 오류가 없으면 ACK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반면에 상기 메시지 생성기(1617)는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NAKC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채널 부호기(1603)는 상기 데이터 생성부(1601)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해당 변조 수준(예 : MCS(Modualtion and Coding Scheme)레벨)에 따라 부호화한다. 상기 CRC 생성기(1605)는 에러 검출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채널 부호기(1603)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에 추가하여 출력한다.
상기 변조기(1607)는 상기 CRC 생성기(1605)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해당 변조 수준(예 : MCS레벨)에 따라 변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IFFT연산기(1609)는 상기 변조기(1607)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영역 데이터를 역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시간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RF처리기(1611)는 상기 IFFT연산기(1609)로부터 제공받은 기저대역 신호를 고주파(Radio Frequency) 신호로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 또는 단말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신부(1620)는 RF처리기(1621), FFT(Fast Fourier Transform)연산기(1623), 복조기(1625), CRC제거기(1627), 채널 복호기(1629) 및 데이터 처리부(16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기(1621)는 상기 기지국 또는 단말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수신받 은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주파수 하향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FFT연산기(1623)는 상기 RF처리기(1621)로부터 제공받은 시간 영역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복조기(1625)는 상기 FFT연산기(1623)로부터 제공받은 신호를 해당 변조 수준에 따라 복조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복조기(1625)는 상기 복조된 신호를 상기 CRC제거기(1627)와 상기 채널 추정기(1670)로 출력한다.
상기 CRC 제거기(1627)는 상기 복조기(1625)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의 에러 검출코드를 확인하여 상기 신호의 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CRC제거기(1627)는 상기 복조기(1625)로부터 제공받은 신호에서 상기 에러 검출코드를 제거한다.
상기 채널 복호기(1629)는 상기 CRC 제거기(1627)로부터 제공받은 오류가 없는 신호를 해당 변조 수준에 따라 복호하여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631)의 SDU 처리기(1635)는 상기 채널 복호기(1629)로부터 제공받은 물리 계층 신호에서 데이터와 제어 메시지를 분리한다. 이후, 상기 SDU처리기(1635)는 상기 데이터를 제 2 데이터 큐(1637)로 제공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 처리기(1633)로 제공하여 복호하여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데이터 큐(1613)와 제 2 데이터 큐(1627)는 동일한 데이터 큐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 처리부(1633)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NACK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ARQ제어기(1640)로 상기 NACK 제어 메시지 수신을 알린다.
상기 ARQ 상태부(1650)는 재전송된 데이터에 대한 ARQ 상태를 관리한다. 상 기 ARQ 타이머(1660)는 상기 중계국의 재전송을 위한 유효시간(life time)을 관리한다.
상기 ARQ 제어기(1640)는 상기 ARQ상태부(1650) 및 상기 ARQ 타이머(1543)와 연동하여 상기 중계국의 ARQ에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ARQ제어기(1640)는 상기 송신부(1600)의 데이터 생성부(1601), 채널 부호기(1603) 및 CRC 생성기(1605)와 통신하면서 상기 재전송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부(1620)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ARQ제어기(1640)는 상기 데이터 큐(1613)에 저장된 상기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채널 상태에 따라 부호하고, 에러검출 코드를 삽입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ARQ 제어기(1640)는 상기 수신부(1620)의 상기 데이터 처리부(1631), 채널 복호기(1629) 및 CRC 제거기(1627)와 통신하면서 상기 재전송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CRC 제거기(1627)에서 수신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ARQ제어기(1640)는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NACK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메시지 생성기(1617)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ARQ 제어기(1640)는 상기 재전송 절차를 수행 중 상기 ARQ 타이머(1660)로부터 유효시간 종료 메시지를 제공받으면 상기 재전송 절차를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는 하나의 중계국을 이용하여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중 홉 중계방식의 무선통신시스템도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을 이용한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자동 재전송 요청(ARQ :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중계국은 기지국으로 오류가 없는 데이터에 대해서만 재전송을 수행하여 상기 기지국은 데이터에 대해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5)

  1.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재전송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중계국으로부터 제공받는 경우,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계국으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 또는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의 신호 수신 성공률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의 신호 수신 성공률을 비교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노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의 신호 수신 성공률이 상기 단말로부터의 신호 수신 성공률보다 높을 경우, 상기 중계국을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노드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과 중계국에 각각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중계국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상향링크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ACK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단말로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오류는, 상기 데이터의 에러 체크코드(CRC : Cyclic Redundancy Check)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NACK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로 N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으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중계국으로 N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으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중계국과 단말로 각각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단말로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재전송을 위한 유효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재전송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수신받는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 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 과정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오류는, 상기 데이터의 에러 체크코드(CRC : Cyclic Redundancy Check)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에 ACK 메시지를 포함시키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ACK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N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요청 신호는, NACK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NACK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재전송을 위한 유효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재전송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중계국으로부터 제공받는 경우,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중계국으로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계국으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 또는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의 신호 수신 성공률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의 신호 수신 성 공률을 비교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노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의 신호 수신 성공률이 상기 단말로부터의 신호 수신 성공률보다 높을 경우, 상기 중계국을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노드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과 중계국에 각각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중계국의 ACK 메시지 또는 NACK 메시지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단말로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NACK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로 N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오류는, 상기 데이터의 에러 체크코드(CRC : Cyclic Redundancy Check)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36.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으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중계국으로 N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으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중계국과 단말로 각각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단말로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재전송을 위한 유효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재전송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수신받는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기지국으로 ACK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상향링크 신호를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 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 과정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오류는, 상기 데이터의 에러 체크코드(CRC : Cyclic Redundancy Check)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46.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NACK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요청 신호는, NACK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NACK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재전송을 위한 유효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재전송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신호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노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재전송을 위한 노드로 중계국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중계국으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 또는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의 신호 수신 성공률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의 신호 수신 성공률을 비교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노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의 신호 수신 성공률이 상기 중계국으로부터의 신호 수신 성공률보다 높을 경우, 상기 단말을 상기 상향링크 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노드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4.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과 중계국에 각각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5.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오류는, 상기 데이터의 에러 체크코드(CRC : Cyclic Redundancy Check)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56.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중계국의 ACK 메시지 또는 NACK 메시지를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ACK 메시지 또는 NACK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7.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중계국과 단말로 각각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8.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단말로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9.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노드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중계국과 상기 단말의 채널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채널상태 정보가 더 좋은 노드를 상기 데이터 재전송을 위한 노드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방법.
  60.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을 위한 노드로 중계국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로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1.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으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중계국으로 N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2.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으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3.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NACK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4. 제 6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로 N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5.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으로부터 재전송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중계국 또는 단말로 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6.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계국으로 상기 데이터에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7.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을 위한 노드로 단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8.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로 N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9. 제 6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재전송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중계국 또는 단말로 ACK 메시지를 전 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0. 제 6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데이터에 재전송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1.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재전송을 위한 유효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2.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재전송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수신받는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기지국으로 ACK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재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3. 제 7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 과정은,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4.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5.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청취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6. 제 7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오류는, 상기 데이터의 에러 체크코드(CRC : Cyclic Redundancy Check)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77. 제 7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NACK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8. 제 72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요청 신호는, NACK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9. 제 7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NACK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재전송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0. 제 7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1. 제 7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재전송을 위한 유효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2.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재전송 장치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들의 오류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부와,
    상기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큐와,
    기지국의 재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을 제어하는 재전송 제어기와,
    상기 재전송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 큐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들을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데이터들을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3. 제 8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데이터의 에러체크 코드(CRC : Cyclic Redundancy Check)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4. 제 8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재전송 요청 신호를 확인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5. 제 82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재전송을 위한 유효 시간을 관리하는 재전송 타이머를 더 포함하여,
    상기 재전송 제어기는, 상기 재전송 유효시간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의 재전송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70021677A 2007-02-26 2007-03-05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재전송 장치 및방법 KR101247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003491.1A EP1962451B1 (en) 2007-02-26 2008-02-26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nsmitting request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AU2008219947A AU2008219947B2 (en) 2007-02-26 2008-02-26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nsmitting request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MYPI20093511A MY148104A (en) 2007-02-26 2008-02-26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nsmitting request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JP2009551952A JP5289336B2 (ja) 2007-02-26 2008-02-26 中継方式を使用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再送信装置及び方法
CA002678667A CA2678667A1 (en) 2007-02-26 2008-02-26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nsmitting request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8/001107 WO2008105620A1 (en) 2007-02-26 2008-02-26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nsmitting request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US12/037,577 US8533552B2 (en) 2007-02-26 2008-02-26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nsmitting request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9027 2007-02-26
KR1020070019027 2007-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155A true KR20080079155A (ko) 2008-08-29
KR101247731B1 KR101247731B1 (ko) 2013-03-26

Family

ID=3988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677A KR101247731B1 (ko) 2007-02-26 2007-03-05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재전송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289336B2 (ko)
KR (1) KR101247731B1 (ko)
CN (1) CN101622808A (ko)
AU (1) AU2008219947B2 (ko)
CA (1) CA2678667A1 (ko)
MY (1) MY1481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886A2 (en) * 2009-05-12 2010-11-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with both a mobile station and a relay st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137839A2 (ko) * 2009-05-24 2010-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수행 방법 및 장치
US8665775B2 (en) 2009-05-24 2014-03-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in which a relay station makes 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 a multi-carrier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3552B2 (en) 2007-02-26 2013-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nsmitting request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US8010041B2 (en) * 2007-06-29 2011-08-30 Ntt Docomo, Inc. Method and system for a reliable relay-associated and opportunistic cooperative transmission schemes
KR101321425B1 (ko) * 2009-04-24 2013-10-23 알카텔-루센트 텔레콤 엘티디. E-utra에서의 유형-ⅱ 중계기들에 대한 전력 제어 및 간섭 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K2770659T3 (en) * 2009-08-21 2016-05-23 Ericsson Telefon Ab L M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th a relay nod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765B1 (ko) 2002-05-10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재전송 장치 및 방법
GB0316692D0 (en) * 2003-07-17 2003-08-2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nhanced multi-path for mimo devices
US7400856B2 (en) * 2003-09-03 2008-07-1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facilitated communications
US8018893B2 (en) * 2003-09-03 2011-09-13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facilitated communications
GB2417862B (en) 2004-09-01 2009-09-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ve ARQ system
JP4888059B2 (ja) * 2006-11-07 2012-02-2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中継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886A2 (en) * 2009-05-12 2010-11-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with both a mobile station and a relay st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131886A3 (en) * 2009-05-12 2011-02-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with both a mobile station and a relay st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82767B2 (en) 2009-05-12 2015-03-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with both a mobile station and a relay st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0137839A2 (ko) * 2009-05-24 2010-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수행 방법 및 장치
WO2010137839A3 (ko) * 2009-05-24 201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수행 방법 및 장치
US8665775B2 (en) 2009-05-24 2014-03-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in which a relay station makes 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 a multi-carri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78667A1 (en) 2008-09-04
AU2008219947A1 (en) 2008-09-04
JP2010519877A (ja) 2010-06-03
KR101247731B1 (ko) 2013-03-26
AU2008219947B2 (en) 2011-11-10
MY148104A (en) 2013-02-28
JP5289336B2 (ja) 2013-09-11
CN101622808A (zh)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55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control mess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laying
US85335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nsmitting request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KR101003196B1 (ko)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재전송 장치 및방법
KR101292597B1 (ko)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101612290B1 (ko) 중계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동 재전송 요청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4626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ynchronous control message transmission for data retransmission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KR10107577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방법
EP205651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ime to response of retransmission in a multihop relay wireless comunication system
KR20090098750A (ko)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재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247731B1 (ko)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재전송 장치 및방법
KR101391847B1 (ko) 다중 홉 중계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재전송 응답시점 결정 장치 및 방법
KR101408940B1 (ko)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재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405495B1 (ko)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재전송을위한 비동기식 제어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897989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추정된 위상 정보를 이용한 협력자동 재송 요구 방법
KR20080098281A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