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9029A -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별 해당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셋탑박스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별 해당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셋탑박스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9029A
KR20080079029A KR1020070019039A KR20070019039A KR20080079029A KR 20080079029 A KR20080079029 A KR 20080079029A KR 1020070019039 A KR1020070019039 A KR 1020070019039A KR 20070019039 A KR20070019039 A KR 20070019039A KR 20080079029 A KR20080079029 A KR 20080079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g
broadcast program
top box
content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353B1 (ko
Inventor
박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9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353B1/ko
Publication of KR20080079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9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which locates resources of other pieces of information, e.g.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7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segments of broadcast information, e.g. scenes or extracting programme ID
    • H04H60/372Program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별 해당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셋탑 박스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서버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별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EPG를 수신하는 케이블 모뎀과 EPG 서버로부터 수신된 EPG 정보를 EPG 테이블에 업데이트하고, 인터넷 단말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된 컨텐츠를 요청받은 경우, 상기 EPG 테이블에 포함된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상기 인터넷 단말로 제공하는 EPG 제어부를 포함하는 셋탑 박스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최신 웹 기술이 적용된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며, 컨텐츠의 보관 및 출력 등 그 응용이 다양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별 해당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셋탑 박스 및 그 방법{Settop Box Providing Web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Broadcasting Progra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케이블방송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셋탑 박스에 포함된 EPG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3의 메모리부에 포함된 EPG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도 4의 템플릿 모듈에 포함된 HTML 템플릿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셋탑 박스 110 : EPG 제어부
120 : 케이블 모뎀 130 : 튜너
140 : 메모리부 150 : 내장 웹 브라우저
160 : 통신 제어부 170 : 복호화부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별 해당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셋탑 박스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셋탑 박스에 연결된 인터넷 단말에서 웹 브라우저로 셋탑 박스에 접속하면 EPG 정보를 참조하여 방송중인 프로그램과 관련된 웹 컨텐츠로 자동 연결시켜 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케이블방송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디지털 케이블방송 네트워크는 크게 지역 케이블 방송국과 가입자 측을 케이블 네트워크가 연결하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가입자 측의 장비는 케이블 모뎀(2)과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디코더(3)를 포함하는 셋탑 박스(1)와 TV 등이 있으며, 지역 케이블 방송국 측에는 방송 채널 정보를 송신하는 SI (System Information) 서버(5), CA(Certificate Authority) 서버(6), CMTS(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7), 디지털 방송 서버(8), 방송용 헤드엔 드(9) 등의 장치가 위치한다.
셋탑 박스(1)를 사용하는 시청자들은 방송을 시청하다가 EPG(Electronic Program Guide) 기능을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얻거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사업자는 사용자에게 프로그램과 연관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EPG 정보에 컨텐츠 정보를 링크시키고, 사용자가 EPG 화면에서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셋탑 박스(1)는 내장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에 링크된 컨텐츠를 보여주는 것이다.
셋탑 박스(1)의 내장 브라우저는 다양한 최신 웹 기술이 바로 적용되기 어려우므로 브라우징 가능한 컨텐츠에 제한이 있으며, 셋탑 박스(1)에서 검색된 정보는 출력 및 보관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프로그램 단위로 컨텐츠를 링크하므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청 중인 프로그램과 관련된 컨텐츠를 인터넷 단말에서 요청하면, 셋탑 박스는 EPG를 검색하여 자동으로 해당 컨텐츠를 연결시켜줌으로써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별 해당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셋탑 박스 및 그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셋탑 박스는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서버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별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EPG를 수신하는 EPG 수신부와 EPG 서버로부터 수신된 EPG 정보를 EPG 테이블에 업데이트하고, 인터넷 단말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된 컨텐츠를 요청받은 경우 EPG 테이블에 포함된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인터넷 단말로 반환하는 EPG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PG 제어부는 현재 셋탑 박스가 수신하고 있는 채널과 현재 시각을 확인함으로써 인터넷 단말이 요청한 방송 프로그램의 ID를 획득하는 프로그램 ID 검색 모듈, 방송 프로그램 ID를 EPG 테이블에 매핑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된 컨텐츠의 주소를 획득하는 링크 주소 검색 모듈 및 템플릿에 상기 링크 주소 검색 모듈이 획득한 컨텐츠의 주소를 삽입하여 인터넷 단말로 전송할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셋탑 박스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영된 후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방영 경과 시간 체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링크 주소 검색 모듈은 이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ID 별 방송 프로그램 방영 경과 시간을 상기 EPG 테이블에 매핑하여 그에 상응하는 컨텐츠의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셋탑 박스는 EPG 서버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ID,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정보,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 경과 시간에 따라 링크할 컨텐츠의 주소를 포함하는 EPG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셋탑 박스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은 셋탑 박스가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의 EPG 서버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별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EPG를 수신하여 EPG 테이블을 구축하는 단계와 인터넷 단말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된 컨텐츠를 요청받은 경우 셋탑 박스는 EPG 테이블에 포함된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검색하여 인터넷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셋탑 박스가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인터넷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현재 셋탑 박스가 수신하고 있는 채널과 현재 시각을 확인함으로써 인터넷 단말이 요청한 방송 프로그램의 ID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방송 프로그램 ID를 상기 EPG 테이블에 매핑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된 컨텐츠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템플릿에 상기 컨텐츠의 주소를 삽입한 HTML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넷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셋탑 박스는 이를 위하여 EPG 서버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 경과 시간에 따라 링크할 컨텐츠의 주소를 더 포함하는 EPG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셋탑 박스가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인터넷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셋탑 박스는 현재 수신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ID를 획득하는 단계, 현재 수신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영된 후로부터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획득한 방송 프로그램 ID와 경과 시간을 상기 EPG 테이블에 매핑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된 컨텐츠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템플릿에 상기 컨텐츠의 주소를 삽입하여 생성한 HTML 메시지를 상기 인터넷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별 해당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셋탑 박스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는 EPG 서버(10), 컨텐츠 서버(20), 웹 서버(30)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자 측과 셋탑 박스(100), TV(200), 인터넷 단말(300)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가입자 측으로 구분될 수 있다.
EPG 서버(10)는 방송국이 방송하는 프로그램의 예정표인 EPG를 작성하여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EPG 서버(10)는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EPG 서버(10)가 제공하는 EPG는 방송 프로그램 별로 연결할 웹 컨텐츠 링크 주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EPG에는 방송 프로그램 타임 오프셋(Time Offset) 별로 다른 홈 페이지 링크 주소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컨텐츠 서버(20)는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구성 요소이다. 도 2에는 하나의 컨텐츠 서버(20)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다수의 컨텐츠 서버(20)가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송 신호는 SD(Standard Definition)급 신호 또는 HD(High Definition) 급의 품질을 가질 수 있다.
웹 서버(30)는 케이블 네트워크 또는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하여 가입자 측의 셋탑 박스(100) 또는 인터넷 단말(30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웹 서버(30)는 셋탑 박스(100) 또는 인터넷 단말(30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특정 링크를 요청받은 경우, 그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셋탑 박스(100) 또는 인터넷 단말(300)로 전달하게 된다.
셋탑 박스(100)는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를 통하여 들어오는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TV(200) 등의 장치에 출력한다. 또한, 셋탑 박스(100)는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셋탑 박스(100)는 EPG에 포함되어 있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 별 웹 컨텐츠의 링크 주소를 추출한다. 셋탑 박스(100)는 인터넷 단말(300)로 추출된 웹 컨텐츠의 링크 주소를 제공할 수 있다.
만일 인터넷 단말(300)이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웹 컨텐츠를 요청하였다면, 셋탑 박스(100)는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 ID와 프로그램 방송의 시작 후 경과한 시각을 체크하고, 체크된 타임 오프셋을 고려한 웹 컨텐츠의 링크 주소를 인터넷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인터넷 단말(300)은 셋탑 박스(10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며,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 또는 IP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인터넷 단말(300)은 PC(Personal Computer)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노트북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인터넷 단말(300)은 셋탑 박스(10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따른 웹 페이지가 링크된 주소를 수신한다. 웹 페이지의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단말(300)은 해당 웹 서버(30)에 접속함으로써 그에 따른 웹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셋탑 박스(100)는 EPG 제어부(110), 케이블 모뎀(120), 튜너(130), 메모리부(140), 내부 웹 브라우저(150), 통신 제어부(160), 복호화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튜너(130)는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튜너(130)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요청된 채널에 따른 방송 데이터만을 선국하여 메모리부(140)로 전달한다.
내부 웹 브라우저(150)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인터넷 상의 웹 서버(30)에 액세스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따른 웹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상기 내부 웹 브라우저(150)는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최신 웹 기술이 적용된 컨텐츠의 제공이 힘들며, 컨텐츠의 보관 및 응용도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메모리부(140)는 셋탑 박스(100)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메모리부(140)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주 기억 장치 뿐만 아니라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부(140)는 케이블 모뎀(120) 또는 MPEG 튜너를 통해 수신된 EPG 정보를 EPG 테이블에 반영하여 저장하고 있다.
복호화부(170)는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 등과 같은 기법으로 인코딩되어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를 복호화 처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복호화된 음성 신호 및 영상 신호는 각각 TV로 전달되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모뎀(120)은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의 EPG 서버(10)로부터 EPG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EPG는 셋탑 박스(100)의 EPG 제어부(110)로 전달되어 메모리부(140) 내부의 EPG 테이블에 반영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블 모뎀(120)이 EPG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지만, 튜너(130) 또는 MPEG 튜너가 EPG를 수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60)는 인터넷 단말(300)과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EPG 제어부(110)는 EPG 서버(10)로부터 수신된 EPG를 메모리부(140)에 업데이트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한편, 인터넷 단말(300)로부터 임의의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웹 컨텐츠가 링크된 주소를 요청받은 경우 이를 메모리부(140)에서 검색하여 인터넷 단말(30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EPG 제어부(110)의 동작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셋탑 박스에 포함된 EPG 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G 제어부(110)는 EPG 업데이트 모듈(111), 프로그램 ID 검색 모듈(112), 방영 경과 시간 체크 모듈(113), 링크 주소 검색 모듈(114), 템플릿 모듈(116), 메시지 생성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모듈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인터넷 단말(300)이 현재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된 홈 페이지 주소를 요청하는 신호는 통신 제어부(160)를 통하여 프로그램 ID 검색 모듈(112)로 전달된다.
프로그램 ID 검색 모듈(112)은 인터넷 단말(300)로부터 홈 페이지 주소를 요청받은 경우 현재 셋탑 박스(100)가 수신하고 있는 채널과 현재 시각을 확인한다. 이 경우 프로그램 ID 검색 모듈(112)은 튜너(130) 또는 채널을 관리하는 모듈(비도시)로부터 현재 수신 채널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물론, 현재 시각은 셋탑 박스(100) 내 존재하는 클럭(Clock)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획득한 채널과 현재 시각 정보를 메모리부(140)의 EPG 테이블에 매핑함으로써 현재 시청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검색할 수 있다.
그 후 방영 경과 시간 체크 모듈(113)은 현재 방송 프로그램이 방영된 후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한다. 이는 현재 시각과 EPG 테이블의 방송 시작 시각의 차이 또는 현재 수신되는 방송 스트림의 분석 등을 통하여 체크할 수 있다.
링크 주소 검색 모듈(114)은 앞서 획득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경과 시간을 EPG 테이블에 매핑하여 링크된 컨텐츠의 IP 주소를 획득하게 된다. 구체적인 매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5의 EPG 테이블에는 방송 프로그램의 ID와 타임 오프셋 필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링크 주소 검색 모듈(114)은 획득한 방송 프로그램 ID와 경과 시간 값을 도 5의 EPG 테이블과 매핑하여 일치하는 방송 프로그램 ID와 타임 오프셋 필드를 포함하는 엔트리를 검색하고, 상기 엔트리의 컨텐츠 IP 주소 값을 읽어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획득된 컨텐츠의 IP 주소는 메시지 생성 모듈(115)로 전달된다. 메시지 생성 모듈(115)은 템플릿 모듈(116)로부터 링크된 주소에 해당하는 홈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해주는 HTML 템플릿을 읽어온 후, 링크 주소 검색 모듈(114)로부터 전달받은 IP 주소를 상기 HTML 템플릿에 삽입함으로써 인터넷 단말(300)로 전송할 메시지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메시지는 통신 제어부(160)를 통하여 인터넷 단말(300)로 전달되는 것이다.
도 5는 도 3의 메모리부에 포함된 EPG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EPG 테이블은 프로그램 ID 필드(141), 채널 필드(142), 시작 시각 필드(143), 타임 오프셋 필드(144), 컨텐츠 IP 주소(145) 등의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ID 필드(141)는 셋탑 박스(100)로 제공되는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식별하기 위한 ID 정보를 저장하는 필드에 해당한다. 채널 필드(142)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이 전송되는 채널의 명칭 또는 대역폭 정보를 저장하는 필드에 해당 한다. 시작 시각 필드(143)는 필드의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의 시작 예정 시각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EPG 테이블은 타임 오프셋 필드(144) 값 별로 각각 다른 컨텐츠 IP 주소 필드(145)를 포하고 있다. 여기서 타임 오프셋 필드(144)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 경과 시간을 의미하는 것이다. 타임 오프셋 필드(144)의 값이 0이라면 해당 방송 프로그램이 방영 시작한 시점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점 별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뉴스와 같은 방송 프로그램은 방영 경과 시점마다 다른 주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송 프로그램에서 주제 별로 링크할 컨텐츠의 IP 주소를 다르게 제공한다면, 사용자는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원하는 홈 페이지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도 5의 EPG 테이블에 따르면 PROG1의 방영 시작 시점부터 10분이 지나기 전까지는 셋탑 박스가 http://www.imbc.com/drama/index.html의 주소로 연결하게 된다. 방영 시작 10분 후부터 20분까지는 http://www.imbc.com/drama/part1.html의 주소로 인터넷 단말을 링크시키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도 4의 템플릿 모듈에 포함된 HTML 템플릿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HTML 템플릿은 HTML 언어임을 알리는 HTML 헤더와 프레임 셋 헤더(Frameset) 밑 그에 대한 바디로 구성할 수 있다. 프레임 셋 명령은 한 화면을 두 개의 프레임으로 구분하는 경우 사용되는 명령이다.
Frame src는 프레임에 표시할 홈페이지의 주소를 의미하는 명령이며, 도 6에서는 프레임에 표시할 홈페이지의 주소가 EPG에 저장하고 있던 컨텐츠의 IP 주소로 설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HTML 템플릿을 수신한 인터넷 단말은 웹 브라우저에 프레임 셋 헤더 명령에 따라 곧바로 컨텐츠의 IP 주소를 가진 서버로 접속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은 후 프레임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셋탑 박스(100)는 인터넷 단말(30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컨텐츠의 주소 요청을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701).
인터넷 단말(300)로부터 컨텐츠의 주소 요청을 수신한 경우, 셋탑 박스(100)는 현재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ID 정보를 획득한다(S702). 또한, 셋탑 박스는 현재 시청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 경과 시간을 측정하게 된다(S703).
S702와 S703 과정에 의하여 획득한 방송 프로그램의 ID와 방영 경과 시간을 EPG 테이블과 매핑함으로써 현재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된 컨텐츠의 주소를 획득하게 된다(S704).
셋탑 박스(100)는 미리 작성되어 있는 템플릿에 S704 과정에서 획득한 컨텐 츠의 주소를 삽입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인터넷 단말(300)로 전달한다(S705). 인터넷 단말(300)은 셋탑 박스(100)로부터 전달된 메시지에 포함된 주소에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하게 되고, 상기 주소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S706).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별 해당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셋탑 박스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넷 단말을 통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따른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으므로 최신 웹 기술이 적용된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며, 컨텐츠의 보관 및 출력 등 그 응용이 다양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인터넷 단말과 연결되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탑 박스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의 EPG 서버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별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EPG를 수신하는 EPG 수신부; 와
    EPG 서버로부터 수신된 EPG 정보를 EPG 테이블에 업데이트하고, 상기 인터넷 단말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된 컨텐츠를 요청받은 경우, 상기 EPG 테이블에 포함된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상기 인터넷 단말로 제공하는 EPG 제어부를 포함하는 셋탑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PG 제어부는,
    현재 셋탑 박스가 수신하고 있는 채널과 현재 시각을 확인함으로써, 인터넷 단말이 요청한 방송 프로그램의 ID를 획득하는 프로그램 ID 검색 모듈;
    상기 프로그램 ID 검색 모듈이 획득한 방송 프로그램 ID를 상기 EPG 테이블에 매핑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된 컨텐츠의 주소를 획득하는 링크 주소 검색 모듈; 및
    템플릿에 상기 링크 주소 검색 모듈이 획득한 컨텐츠의 주소를 삽입하여 상 기 인터넷 단말로 전송할 HTML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셋탑 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영된 후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방영 경과 시간 체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 주소 검색 모듈은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ID와 방송 프로그램 방영 경과 시간을 상기 EPG 테이블에 매핑하여 그에 상응하는 컨텐츠의 주소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가 EPG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EPG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의 ID,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정보,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 경과 시간에 따라 링크할 컨텐츠의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셋탑 박스.
  5. 셋탑 박스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셋탑 박스는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의 EPG 서버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별 컨텐 츠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EPG를 수신하여 EPG 테이블을 구축하는 단계; 와
    상기 셋탑 박스는 인터넷 단말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된 컨텐츠를 요청받은 경우, 상기 EPG 테이블에 포함된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상기 인터넷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셋탑 박스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가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인터넷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셋탑 박스가 현재 셋탑 박스가 수신하고 있는 채널과 현재 시각을 확인함으로써, 인터넷 단말이 요청한 방송 프로그램의 ID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방송 프로그램 ID를 상기 EPG 테이블에 매핑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된 컨텐츠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템플릿에 상기 컨텐츠의 주소를 삽입한 HTML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넷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셋탑 박스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가 EPG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EPG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 경과 시간에 따라 링크할 컨텐츠의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 박스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가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인터넷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셋탑 박스는 현재 수신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ID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셋탑 박스는 현재 수신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영된 후로부터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방송 프로그램 ID와 경과 시간을 상기 EPG 테이블에 매핑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링크된 컨텐츠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템플릿에 상기 컨텐츠의 주소를 삽입하여 생성한 HTML 메시지를 상기 인터넷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셋탑 박스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
KR1020070019039A 2007-02-26 2007-02-26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별 해당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셋탑박스 및 그 방법 KR101329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039A KR101329353B1 (ko) 2007-02-26 2007-02-26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별 해당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셋탑박스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039A KR101329353B1 (ko) 2007-02-26 2007-02-26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별 해당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셋탑박스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029A true KR20080079029A (ko) 2008-08-29
KR101329353B1 KR101329353B1 (ko) 2013-11-13

Family

ID=39880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039A KR101329353B1 (ko) 2007-02-26 2007-02-26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별 해당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셋탑박스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3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649B1 (ko) * 2008-12-02 2011-02-10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케이블 방송통신 서비스 방법, 케이블 방송통신용 하이브리드 셋톱박스 및 미들웨어가 기록된 기록매체
CN102457764A (zh) * 2011-12-30 2012-05-16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在epg系统中自动导入节目单的方法
US8793731B2 (en) 2010-02-19 2014-07-29 Thomson Licensing Enhanced content search
CN104506942A (zh) * 2014-12-23 2015-04-08 深圳市九洲电器有限公司 机顶盒及其电缆调制解调器系统的升级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595A (ko) * 2018-01-29 201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모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455B1 (ko) * 2004-11-08 2006-06-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양방향 데이터 방송 기반의 모바일 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735354B1 (ko) * 2005-08-13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양방향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649B1 (ko) * 2008-12-02 2011-02-10 주식회사 씨제이헬로비전 케이블 방송통신 서비스 방법, 케이블 방송통신용 하이브리드 셋톱박스 및 미들웨어가 기록된 기록매체
US8793731B2 (en) 2010-02-19 2014-07-29 Thomson Licensing Enhanced content search
CN102457764A (zh) * 2011-12-30 2012-05-16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在epg系统中自动导入节目单的方法
CN104506942A (zh) * 2014-12-23 2015-04-08 深圳市九洲电器有限公司 机顶盒及其电缆调制解调器系统的升级方法
CN104506942B (zh) * 2014-12-23 2018-05-29 深圳市九洲电器有限公司 机顶盒及其电缆调制解调器系统的升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353B1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5662B2 (en) Method of transmitting preview con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preview content
US8635641B2 (en) Method of performing parental control a channel and an IPTV receiver
US8566872B2 (en) Broadcasting system and program contents delivery system
US92260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ient capable of accessing broadcasting network and internet network to receive application
US200500053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displaying interactive TV content
KR101940665B1 (ko) 방송 스트림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665108B2 (en) Broadcasting program viewing method using electronic program guide and system thereof
KR20120138774A (ko) 확장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AU20102947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mplementary information
CN102131110B (zh) 一种iptv内容发布系统和方法
US20100199313A1 (en) Method of providing iptv service information, hybrid iptv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443060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KR101329353B1 (ko)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별 해당 웹 컨텐츠를 제공하는 셋탑박스 및 그 방법
US97128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a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KR101095296B1 (ko)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 시스템
KR100883982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광고 방법 및 광고 시스템
CN106303585B (zh) 节目回看方法、媒体服务器、机顶盒及节目回看系统
US85280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ubscription data
US7933918B2 (en) Content hook-up apparatus and method
WO2007078098A1 (en) Reservation system of television program guide using internet and reservation method thereof
KR101130076B1 (ko) Iptv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34655A (ko) 컨텐츠의 업데이트 리스트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컨텐츠 자동 검색 방법 및 장치
JP2011250061A (ja)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
KR20100029445A (ko) Epg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160007086A1 (en) Method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Television Programs Transmitted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n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