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657A - 서브-대역당 수신기 안테나 선택을 갖는 다중-대역ofdm 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서브-대역당 수신기 안테나 선택을 갖는 다중-대역ofdm 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657A
KR20080078657A KR1020087013832A KR20087013832A KR20080078657A KR 20080078657 A KR20080078657 A KR 20080078657A KR 1020087013832 A KR1020087013832 A KR 1020087013832A KR 20087013832 A KR20087013832 A KR 20087013832A KR 20080078657 A KR20080078657 A KR 20080078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antenna
sub
receiv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5049B1 (ko
Inventor
준 양
대그내츄 버루
세예드-알리레자 세예디-에스파하니
찰스 라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80078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0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 H04B7/081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based on current reception conditions, e.g. switching to different antenna when signal level is below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06Space-frequency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1Receiv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7Properties of the code
    • H04L1/0668Orthogonal systems, e.g. using Alamouti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브-대역(405) 당 모든 반송파에 걸쳐 평균화된 가장 큰 SNR을 관찰하는 어느 안테나가 공간-시간으로 코딩된 MB-OFDM 시스템을 위해 선택된 에너지-기반 안테나 선택 테크닉을 위한 시스템(300-400), 장치(300-400), 및 방법을 제공한다. 시스템의 주파수-선택 성질로 인해, 다른 서브-대역은 다중-경로 채널로부터 채널 이득 효과(channel gaining effect)를 가질 수 있다. 서브-대역 당 에너지-기반 안테나 선택이 수행될 수 있고,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된 테크닉이 쉐도잉(shadowing)을 갖는 MB-OFDM UWB 채널뿐만 아니라 쉐도잉이 없는 동일한 채널에 대해서도 동작함을 보여준다.
Figure P1020087013832
수신기, 안테나, 다이버시티, SNR, 채널

Description

서브-대역당 수신기 안테나 선택을 갖는 다중-대역 OFDM 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BAND OFDM SYSTEMS WITH RECEIVER ANTENNA SELECTION PER SUB-BAND}
본 발명은 RF 체인 개수 및 복수의 RF 체인과 관련된 비용을 감소시키는 다중-대역 OFDM 시스템에서 서브-대역 당 수신기 안테나 선택을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다중-대역 OFDM 시스템에서, 공간 다이버시티는 특히 중요한데, 왜냐하면 이는 복수 전송 및 수신 안테나(MIMO)를 사용함으로써 풍부하게 산란된 채널 환경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공간 다이버시티는 시스템 성능에서 중요한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 고 데이터율 및 낮은 디코딩 복잡성을 유지하면서도 다중-대역 OFDM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공간-시간으로 코딩된 OFDM 시스템은 2개의 전송 안테나를 사용하는 알라모우티 코드와 같은 좋은 옵션인데, S. Alamouti의 "A simple transmit diversity technique for wireless communications(IEEE J. Select. Areas Comm, 권 16, 1451-1458 페이지, 1998년 10 월)"을 참조하라. 복수 안테나 테크닉을 사용하는 경우 성능 개선은 증가된 비용의 당연한 단점을 가져오는데, 즉 이는 구현을 위해 사용된 복수 RF 체인의 필요성 때문이다.
이러한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즉 복수 안테나 테크닉의 성능 개선을 유지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선택된 안테나의 개수 및 이에 따른 관련 비용을 감소시키는 안테나 선택을 수행하는 테크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MB-OFDM(Multi-B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의 다른 서브-대역사이에 고유 주파수와 공간 다이버시티에 기초된 단순한 선택 기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선택은 복수 안테나 시스템의 이익 대부분을 보유하고 선택된 안테나 개수 및 대응 RF 체인 개수를 감소시킨다. 이 안테나 선택 테크닉은 공간-시간으로 코딩된 OFDM 시스템과 관련하여 주파수-선택성 채널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선택 기준은 안테나 쌍 사이의 다수의 서브-채널로 인해 훨씬 복잡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선택 규준(metric)은 각 서브-대역에서 모든 반송파에 대해 평균화된 가장 큰 SNR를 관찰함으로써 안테나가 선택되는 에너지-기반 안테나 선택 테크닉이다.
MB-OFDM 시스템의 주파수-선택성 성질로 인해, 다른 서브-대역은 다중-경로 채널로부터 다른 쉐도우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테크닉을 사용하면, 서브-대역 당 에너지-기반 안테나 선택이 수행되고, 시뮬레이션 결과 확인은 쉐도잉을 갖는 MB-OFDM UWB 채널뿐만 아니라 쉐도잉없이 동일한 채널에 대하여 동작한다.
도 1은 1k 바이트의 패킷 사이즈 및 16QAM 변조로, 쉐도잉을 갖는 MB-OFDM UWB 채널(CM2)을 위한 알라모우티(Alamouti) 코딩된 2개 안테나 전송 및 단일 안테나 전송의 PER 곡선을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1k 바이트의 패킷 사이즈 및 16QAM 변조로, 쉐도잉이 없는 MB-OFDM UWB 채널(CM2)을 위한 알라모우티 코딩된 2개 안테나 전송 및 단일 안테나 전송의 PER 곡선을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2개 안테나를 갖는 전송기 아키텍처를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수정된 수신기 아키텍처를 예시하는 도면.
다음 설명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었고 제한을 위해 제공된 것이 아님을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본 발명의 기술사상 내에 놓이는 많은 변형예가 있음을 이해한다. 잘 알려진 기능 및 구 조에 대한 불필요한 상세설명은 본 발명을 불명확하게 하지않도록 현재 설명에서 생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MB-OFDM 시스템은 2개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는 용이하게 3개 이상의 수신 안테나 경우까지 확장될 수 있다. 전송 안테나의 개수는 1이상이다. 전송 안테나 개수가 1인 경우, 단일 안테나 전송이 수행된다. 전송 안테나의 개수가 2인 경우, 공간-시간으로 코딩된 전송이 수행된다(예를 들면, 알라모우티 코드를 이용하여).
종래 기술의 MB-OFDM UWB 시스템은 그 대역에 대하여 주파수 호핑(hopping)을 수행하도록 시간 주파수 코드(TFC: Time Frequency Code)를 사용한다. TFC를 위한 호핑 패턴은 1,2,3,1,2,3이 될 수 있으며, 이는 6개 호프(hop) 주기를 가지며, 각 호프의 지속기간은 하나의 OFDM 심볼이다. 수신기에서의 안테나 선택의 이점은 그 낮은 복잡도, 단지 하나의 RF 체인, 하나의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및 한 번의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의 추가 복잡성은 안테나 선택을 위해 사용된 규준(403)의 일부 계산에 더하여 수신기의 프론트 엔드에 있는 스위치(401)의 포함 때문인데, A.Gorokhov, M.Collados, D.Gore, A. Paulraj의 "Transmit/receiver MIMO antenna subset selection(Proc.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ICASSP'04), 권 2, 13-16 페이지, 2004년 5월), X.Shao, J.Yuan, P.Rapajic의 "Antenna selection for MIMO-OFDM spatial multiplexing system(Proc.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formation Theory, 90 페이지, 2003년 6월)", 및 I.Bahccci, T.M.Duman, Y.Altunbasak의 "Performance of MIMO antenna selection for space-time coded OFDM systems(Proc.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Conference(WCNC 2004), 권 2, 987-992 페이지, 2004년 3월)"을 참조하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서브-대역 당 모든 서브-반송파의 거듭제곱 합은 선택 규준으로서 사용된다. 수신기에서의 사전-선택 필터(403)는 디자인된 대역폭에 따라 신호를 포획하고, 신호를 LNA(402)로 넘긴다. 하나의 전송 안테나에 대하여, 스위치(401)는 규준 계산(405)에 의해 제어되고 다음식으로서 수행된다.
Figure 112008040961237-PCT00001
여기서, hn ,l은 서브-반송파 n 및 수신 안테나 l에 관한 평가 채널 계수이다.
알라모우티 코드를 사용하는 2개 전송 안테나에 대하여, 스위치(401)는 규준 계산(405)에 의해 제어되고, 다음식으로서 수행된다.
Figure 112008040961237-PCT00002
여기서, hm n ,l은 전송 안테나 m과 수신 안테나 l 사이의 서브-반송파 n에 관한 평가 채널 계수이다.
시뮬레이션 환경은 쉐도우잉(shadowing)을 갖는 현재 MB-OFDM UWB 채널(CM2), 1k 바이트의 패킷 사이즈 및 16QAM 변조를 이용한다. PER 곡선이 도 1a-1b에 예시된다.
만일 채널이 쉐도우잉을 가지고 있다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른 수신 안테나가 다른 수신 파워를 가지는 사실로 인해 일정한 이득을 갖는다.
쉐도우잉이 없는 현재 MB-OFDM UWB 채널(CM2)을 위한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다. 쉐도우잉 효과 없이도, 도 2에 예시된 시뮬레이션 결과는 본 발명의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이 여전히 각 수신 안테나의 파워를 추적함으로써 3개의 서브-대역 중 파워 이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2개 안테나를 갖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송기 아키텍처(300)를 보여준다(한 개의 전송 안테나 디자인을 위해, 단지 하나의 브랜치가 전송기 아키텍처에서 사용되어야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신기 아키텍처(400)가 도 4에 예시되며, 여기서 스위치(401)는 그 스위치에 의해 야기된 성능 손실이 감소될 수 있도록 LNA 유닛(402) 이후에 놓이게 된다. 규준(405)의 계산은 기저대역으로부터 채널 평가(CE)이후 처리될 수 있다(실선 화살표로 도시됨). 프론트 엔드로부터 LNA(402) 바로 이후 규준을 계산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적합하지 않다(점선 화살표로 도시됨). LNA(402) 이 후 스위치를 위치해 놓은 것은 바람직한 실시예인데, 왜냐하면 이는 결국 잡음 수치가 훨씬 더 적게 저하되기 때문이다(예를 들면, 0.2dB인데 비해, 종래 기술에서는 1.5dB).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LNA를 2개 사용하는 것은 상당한 이점에 대해 지불하기에는 적은 대가이다. 2개의 LNA 출력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한 가지 유리한 방식은 스위치 대신에 수동 결합기를 사용하고, 선택될 안테나에 대응하는 LNA만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다른 LNA는 이득이 완전히 전원공급된 LNA에 비교하여 최소가 되도록, 전체적으로 오프되거나 또는 낮은 바이어스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시스템(300-400), 장치(300-400), 및 방법은 현재 MB-OFDM 시스템이 동일한 전송 및 낮은 수신기 복잡성을 유지하면서도, 더 많은 성능 이득을 달성하는 것을 허용한다. 직접적인 응용중 하나는 차세대(기가비트) 다중-대역 OFDM UWB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되고 기술되었을 지라도, 여기에 기술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예시적이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이루어지고 등가물이 이들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덧붙여, 많은 수정은 본 발명의 중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특정 상황에 본 발명의 교지를 적응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궁리된 최선 모드로서 공개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후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내에 있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은 RF 체인 개수 및 복수의 RF 체인과 관련된 비용을 감소시키는 다중-대역 OFDM에서 서브-대역 당 수신기 안테나 선택을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8)

  1. MB-OFDM(Multi-B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 선택을 위한 시스템(300-400)으로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전송 안테나(301)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도록 시간 주파수 코드(TFC: Time Frequency Code) 패턴을 사용하는 전송기(300); 및
    TFC를 사용하여 전송 안테나(301)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적어도 2개의 수신 안테나(404) 중 하나의 안테나를 선택하도록 선택 규준(405)을 사용하는 스위치(401)와 적어도 2개의 수신 안테나(404)를 포함하는 수신기(400)를 포함하되,
    서브-대역(405) 당 모든 서브-반송파에 대하여 평균화된 가장 큰 신호 대 잡음비(SNR)를 관찰하는 수신 안테나가 선택되는,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 선택을 위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스위치(401)에 의해 야기된 성능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전-선택 필터(403)와 스위치(401) 사이에 배열된 저잡음 증폭기(LNA)(402)를 추가로 포함하는,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 선택을 위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스위치(401)는 용량-기반 규준, 성능-기반 규준, 및 에너지-기반 규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 규준(405)으로 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 선택을 위한 시스템.
  4. 제 5 항에 있어서,
    선택 규준(405)은 서브-대역 당 서브-반송파 전력의 합 함수이고, 이는 LNA(402) 바로 직후 및 채널 평가 이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위치에서 처리되는,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 선택을 위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하나의 전송 안테나에 대하여, 스위치(401)를 위한 선택 규준(405)은,
    Figure 112008040961237-PCT00003
    여기서, hn ,l은 서브-반송파 n과 수신 안테나 l에 관한 평가 채널 계수인,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 선택을 위한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2개의 전송 안테나 및 알루모우티(Alamouti) 코드에 대하여, 스위치(401)를 위한 선택 규준(405)은 다음식,
    Figure 112008040961237-PCT00004
    여기서, hm n ,l 전송 안테나 m과 수신 안테나 l사이의 서브-반송파 n에 관한 평가 채널 계수인,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 선택을 위한 시스템.
  7. MB-OFDM 시스템에서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전송 안테나를 제공하고,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도록 시간 주파수 코드(TFC: Time Frequency Code) 패턴을 사용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전송 안테나에 의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스위치(401)에 동작가능하게 인터페이스된 적어도 2개의 수신 안테나(404)를 제공하는 단계;
    전송 안테나(301)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모든 서브 반송파에 대해 평균화된 가장 큰 신호 대 잡음비(405)를 관찰하는, 제공된 적어도 2개의 수신 안테나(404) 중 하나의 수신 안테나(404)를 스위치(401)에 의해 선택하기 위한 선택 규준(405)을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안테나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수신 안테나(404)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스위치(401)에 의해 야기된 성능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수신 안테나(404) 각각과 스위치(401) 사이에 저잡음 증폭기(LNA)(402)를 배열하는 단계; 및
    채널 평가 이후 및 LNA(402) 바로 직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위치에서 서브-대역 당 서브-반송파 전력의 합 함수로서 선택 규준(405)을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선택 규준(405)은 용량-기반 규준, 성능-기반 규준, 및 에너지-기반 규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선택 규준(405)은 서브-대역 당 서브-반송파 전력의 합 함수인,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하나의 전송 안테나에 대하여, 스위치(401)를 위한 선택 규준(405)은,
    Figure 112008040961237-PCT00005
    여기서, hn ,l은 서브-반송파 n과 수신 안테나 l에 관한 평가 채널 계수인,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2개 전송 안테나 및 알라모우티 코드에 대하여, 스위치(401)를 위한 선택 규준(405)은,
    Figure 112008040961237-PCT00006
    여기서, hm n ,l은 전송 안테나 m과 수신 안테나 l사이의 서브-반송파 n에 관한 평가 채널 계수인,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방법.
  13. MB-OFDM 채널에서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404) 선택을 위한 수신기(400)로서,
    TFC를 사용하여 전송 안테나(301)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적어도 2개의 수신 안테나(404) 중 하나의 안테나를 선택기 위한 선택 기준을 사용하는 스위치(401)와 적어도 2개의 수신 안테나(404)를 포함하되,
    서브-대역 당 모든 서브-반송파에 대하여 평균화된 가장 큰 신호 대 잡음비(SNR)를 관찰하는 적어도 2개의 수신 안테나(404) 중 하나의 수신 안테나가 선택되는,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 선택을 위한 수신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스위치(40)에 의해 야기된 성능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어도 2개 수신 안테나(404) 각각과 스위치(401) 사이에 배열된 저잡음 증폭기(LNA)(402)를 추가로 포함하는,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 선택을 위한 수신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스위치(401)는 용량-기반 규준, 성능-기반 규준, 및 에너지-기반 규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선택 기준(405)으로 적어도 2개 수신 안테나(404)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 선택을 위한 수신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선택 규준(405)은 채널 평가 이후 및 LNA(402) 바로 직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위치에서 처리되는 서브-대역 당 서브-반송파 전력의 합 함수인,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 선택을 위한 수신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하나의 전송 안테나에 대하여, 스위치(401)를 위한 선택 규준(405)은,
    Figure 112008040961237-PCT00007
    여기서, hn ,l은 서브-반송파 n과 수신 안테나 l에 관한 평가 채널 계수인,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 선택을 위한 수신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2개의 전송 안테나 및 알라모우티 코드에 대하여, 스위치(401)를 위한 선택 규준(405)은,
    Figure 112008040961237-PCT00008
    여기서, hm n ,l 전송 안테나 m과 수신 안테나 l사이의 서브-반송파 n에 관한 평가 채널 계수인, 서브-대역 당 수신 안테나 선택을 위한 수신기.
KR1020087013832A 2005-12-12 2006-12-08 서브-대역당 수신기 안테나 선택을 갖는 다중-대역ofdm 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315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4947705P 2005-12-12 2005-12-12
US60/749,477 2005-12-12
PCT/IB2006/054719 WO2007069171A1 (en) 2005-12-12 2006-12-08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band ofdm systems with receiver antenna selection per sub-b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657A true KR20080078657A (ko) 2008-08-27
KR101315049B1 KR101315049B1 (ko) 2013-10-08

Family

ID=37984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832A KR101315049B1 (ko) 2005-12-12 2006-12-08 서브-대역당 수신기 안테나 선택을 갖는 다중-대역ofdm 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26096B2 (ko)
EP (1) EP1964285B1 (ko)
JP (1) JP4991751B2 (ko)
KR (1) KR101315049B1 (ko)
CN (1) CN101326743B (ko)
WO (1) WO20070691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49891A (en) * 2007-06-04 2008-12-16 Alcor Micro Corp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the statuses of channels
KR100969214B1 (ko) 2008-03-07 2010-07-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코드 시퀀스와 타임 시퀀스를 이용한 인지적 uwb 시스템
KR101525945B1 (ko) * 2009-05-29 2015-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저대역 처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TW201238260A (en) * 2011-01-05 2012-09-16 Nec Casio Mobile Comm Ltd Receiver, recep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467093B2 (en) * 2012-03-30 2016-10-11 Qualcomm Incorporated Single ended receiver with a multi-port transformer and shared mixer
JP6118217B2 (ja) * 2013-09-06 2017-04-19 株式会社東芝 無線受信装置及びアンテナ選択方法
JP7106248B2 (ja) * 2017-03-09 2022-07-26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10320517B2 (en) 2017-06-05 2019-06-11 J3 Technology LLC Switched transmit antennas with no feedback for multipath re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3615A (en) * 1995-11-29 2000-02-08 Motorola, Inc. Method for controlling a diversity receiver apparatus in a radio subscriber unit
US6505037B1 (en) 1999-06-29 2003-01-0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ata unit detection including antenna diversity
JP4097918B2 (ja) * 2001-05-24 2008-06-11 ソフトバンクテレコム株式会社 基地局における移動通信方法、移動通信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
US7020110B2 (en) * 2002-01-08 2006-03-28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for MIMO-OFDM communication systems
US7280467B2 (en) * 2003-01-07 2007-10-09 Qualcomm Incorporated Pilot transmission schemes for wireless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JP4157506B2 (ja) * 2003-07-29 2008-10-01 株式会社東芝 無線受信装置及び無線受信方法
FR2859314A1 (fr) * 2003-08-29 2005-03-04 Thomson Licensing Sa Emetteur-recepteur a diversite d'antennes
CN1860701B (zh) 2003-10-01 2011-08-03 美国博通公司 选择天线的方法和系统
US7649833B2 (en) * 2003-12-29 2010-01-19 Intel Corporation Multichannel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receivers with antenna selection and maximum-ratio combining and associated methods
JP2005269392A (ja) 2004-03-19 2005-09-29 Nec Electronics Corp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と通信システムと装置
CN100463455C (zh) * 2005-03-07 2009-02-18 西安交通大学 多输入多输出系统信道容量的估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049B1 (ko) 2013-10-08
JP2009518929A (ja) 2009-05-07
EP1964285A1 (en) 2008-09-03
CN101326743B (zh) 2013-03-06
JP4991751B2 (ja) 2012-08-01
CN101326743A (zh) 2008-12-17
EP1964285B1 (en) 2015-09-09
US8126096B2 (en) 2012-02-28
US20080299931A1 (en) 2008-12-04
WO2007069171A1 (en)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049B1 (ko) 서브-대역당 수신기 안테나 선택을 갖는 다중-대역ofdm 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Di Renzo et al. Spatial modulation for multiple-antenna wireless systems: A survey
US20050053170A1 (en) Frequency selective transmit signal weighting for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EP1521386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ransmission scheme according to channel state in a communication system
Snow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multiband OFDM for UWB communication
Mertins Space-time-frequency code implementation in MB-OFDM UWB communications: design criteria and performance
Mesleh et al. Impact of channel imperfections on spatial modulation OFDM
EP2523382A2 (en) Frequency selective transmit signal weighting for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EP1656757A2 (en) Weight generation method for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utilizing rf-based and baseband signal weighting and combining based upon minimum bit error rate
Seo et al. LMS adaptive receiver for uplink space-time coded MC-CDMA systems
Pramono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transceiver 4× 4 space time block coded MIMO-OFDM system
Saito et al. PAPR Reduction Using Null Space in MIMO Channel Considering Signal Power Difference Among Transmitter Antennas
US8125886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patial multiplexing with symbol spreading
Hassan et al. A Simple Selective Mapping Algorithm for the Peak to Average Power Ratio in Space Time Block Coded MIMO-OFDM Systems.
Fujita et al. A new signal detection scheme combining ZF and K-best algorithms for OFDM/SDM
Shah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QOSTBC and CR-QOSTBC over Correlated Channel
Himsoon et al. Multiband differential modulation for UWB communication systems
Petré et al. Space-time coding for single-carrier block-spread CDMA cellular downlink
Tran et al. On performance of multiuser OFDM systems with transmit diversity
Ahmadi-Shokouh et al. Performance Study of the VBLAST-Based MIMO System with Smart Passive Receive Antennas
Tsuchida et al. Field Experiments on Open-Loop Type Transmit Diversity in OFDM Radio Access
Punnoose et al. Layered space frequency equalisation for MIMO-MC-CDMA systems in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s
Haq et al. MIMO System for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Wang et al. Space time block coded MIMO-OFDM scheme for indoor UWB using
Zhang et al. Adaptive receive antenna selection for orthogonal space-time block codes with imperfect channel esti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