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399A -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399A
KR20080078399A KR1020070018481A KR20070018481A KR20080078399A KR 20080078399 A KR20080078399 A KR 20080078399A KR 1020070018481 A KR1020070018481 A KR 1020070018481A KR 20070018481 A KR20070018481 A KR 20070018481A KR 20080078399 A KR20080078399 A KR 20080078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ide case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송훈
권순남
최호정
김태규
이상홍
이광용
서상원
김동균
전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록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록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록시아
Priority to KR1020070018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8399A/ko
Publication of KR20080078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휴대폰의 두께를 감소시키면서 동시에 슬라이드를 펼쳤을 때에도 직선형 형태를 유지하도록 화상부측 케이스와 전지부측 케이스의 형상이 특정되고, 화상부측 케이스와 전지부측 케이스가 두께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는 영역을 갖도록 슬라이딩 레일을 통해 가이드되는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드, 휴대단말기, 휴대폰

Description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SLIDE OPEN TYPE MOBILE PHONE}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에 사용되는 공지된 슬라이딩 힌지를 위에서 내려다본 것과 정면에서 본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의 보드들의 구성 및 배치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보드들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의 보드들의 구성 및 배치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A-A'부분을 절개한 것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통합메인보드 및 제2키판 제어보드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주요도면부호의 설명*
10, 110: 화상부측 케이스
20: 본체부측 케이스
30: 슬라이딩 힌지
40: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101: 통합메인보드
103: 제1키판 제어보드
106: 제2키판 제어보드
150: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본 발명은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휴대폰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휴대폰에 내장되는 보드들 및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배치형태 및 휴대폰케이스들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의 구조는 화상부측 케이스(10)와 본체부측 케이스(20)가 슬라이딩 힌지(30)에 의해 결합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두께방향으로 화상부측 케이스(10)와 본체부측 케이스(20)가 겹쳐지는 부분없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고 따라서 휴대폰의 두께는 화상부측 케이스(10)의 두께와 본체부측 케이스(20)의 두께의 합이 된다. 도 1의 왼쪽은 휴대폰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오른쪽은 화상부측 케이스(10)가 위로 밀어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화상부측 케이스(10)와 본체부측 케이스(20)는 슬라이딩 힌지(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딩 힌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1)와 이동부(33)가 스프링(35)으로 연결되어 결합되고, 가이드부(31)와 이동부(33)는 각각 본체부측 케이스(20)와 화상부측 케이스(10)에 또는 화상부측 케이스(10)와 본체부측 케이스(20)에 고정된다. 가이드부(31)와 이동부(33)가 스프링(35)을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화상부측 케이스(10)를 일정위치까지 밀어올리면 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 화상부측 케이스(10)는 더이상 힘을 가하지 않아도 계속하여 밀어올려진다. 도 2의 위쪽은 슬라이딩 힌지(30)를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을 도시한 것이고 아래쪽은 슬라이딩 힌지(30)를 정면에서 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에 내장된 보드들 및 전지의 연결 구 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은 화상부측 케이스(10)에 LCD를 구동하는 LCD구동보드(11)와 화상부측의 키판을 제어하는 제1키판 제어보드(12)가 내장되고, 본체부측 케이스(20)에 휴대폰 전체의 구동에 관한 주 제어를 하는 메인보드(21)와 숫자키를 포함한 키판을 제어하는 제2키판 제어보드(22)가 내장된다.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은 화상부측 케이스(10)와 본체부측 케이스(20)가 분리되어 있고 상호간 움직이는 구조이다. 따라서 화상부측 케이스(10)에 내장된 보드들과 본체부측 케이스(20)에 내장된 보드들 사이의 신호전달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40)(F-PCB)을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화상부측 케이스(10)에 내장된 LCD구동보드(11)와 LCD구동보드(11)에 연결된 제1키판 제어보드(12)는 본체부측 케이스(20)에 내장된 메인보드(21)와 신호를 주고받아야 하므로, LCD구동보드(11)와 메인보드(21)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40)을 통해 연결된다. 화상부측 케이스(10)와 본체부측 케이스(20) 서로간의 신호전달을 위해 현재 60pin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40)이 사용된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40)의 핀수가 60pin이 될 정도로 많은 이유는 메인보드(21)와 LCD 구동보드 사이에서 전달되는 신호의 양이 많기 때문이다.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이 항상 직면하는 문제 중의 하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부측 케이스(10)와 본체부측 케이스(20)가 상호간 슬라이딩 운동을 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40)이 반복적인 굽힘을 받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휴대폰을 오랜기간 사용하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40)은 반복적인 굽힘의 누 적에 의해 손상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휴대폰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유발한다.
종래의 휴대폰이 반복적으로 큰 굽힘을 받는 것을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종래의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의 LCD구동보드(11)와 메인보드(21)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40)의 배치상태 및 굽힘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은 화상부측 케이스(10)에 내장된 LCD구동보드(11)와 본체부측 케이스(20)에 내장된 메인보드(21)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40)의 표면이 LCD구동보드(11)의 표면 및 메인보드(21)의 표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구조이다.
따라서 본체부측 케이스(20)에 대하여 화상부측 케이스(1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40)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꺾여진 부분(45)의 위치가 계속 바뀌게 된다. 따라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40)의 꺾여진 부분(45)은 반복적인 굽힘의 상태가 된다. 더욱이 화상부측 케이스(10)와 본체부측 케이스(20)가 거의 접하는 정도로 인접해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40)이 크게 꺾여지므로 꺾여진 부분에 작용하는 스트레스(응력)는 매우 크다.
휴대폰의 두께가 더 얇아지면 얇아질수록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40)의 꺾이는 정도는 더욱 심해질 것이므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40)의 꺾여진 부분에 작용하는 스트레스의 크기는 점점 더 커진다. 따라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40)의 내구성 때문에 휴대폰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화상부가 설치되며 상기 화상부의 구동 및 주 제어를 하는 통합메인보드가 내장된 화상부측 케이스; 배터리 및 키판이 설치되며 키판 제어보드가 내장되는 전지부측 케이스; 상기 화상부측 케이스와 상기 전지부측 케이스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딩 힌지; 및 상기 화상부측 케이스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 및 상기 전지부측 케이스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 중 하나 이상과 인쇄회로가 형성된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이 교차하도록 세워져 배치되며, 상기 통합메인보드와 상기 키판 제어보드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화상부측 케이스는, 보조키판; 및 보조키판 제어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통합메인보드 및 상기 키판 제어보드와 연결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연결부는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중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통합메인보드 및 상기 키판 제어보드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화상부가 설치되며, 윗부분이 아래부분에 비해 후방으로 돌출되고 아래부분의 양측에 제1레일이 형성된 화상부측 케이스; 상기 화상부측 케이스의 후방에 위치하며, 전지 및 키판이 설치되고 윗부분에 비해 아래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며 윗부분의 양측에 상기 제1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레일이 형성된 전지부측 케이 스; 및 상기 화상부측 케이스와 상기 전지부측 케이스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딩 힌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는 화상부측 케이스에 실장되며 상기 화상부의 구동 및 주 제어를 수행하는 통합메인보드; 상기 전지부측 케이스에 실장되며 상기 키판을 제어하는 키판 제어보드; 및 상기 통합메인보드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 및 상기 키판 제어보드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 중 하나 이상과 인쇄회로가 형성된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이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통합메인보드 및 상기 키판 제어보드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상부측 케이스는, 보조키판; 및 보조키판 제어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홀더용 아바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내장된 보드들 및 전지의 연결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은 화상부측 케이스(110)와 전지부측 케이스(120)가 서로 분 리되어 있다. 화상부측 케이스(110)에 LCD 및 제1키판(102)이 형성되고 전지부측 케이스(120)에 제2키판(105)이 형성되고 전지가 결합된다.
화상부측 케이스(110)에는 LCD구동과 휴대폰 전체 구동의 주 제어를 함께 수행하는 일체형 통합메인보드(101)(integrated main board)와 제1키판(102)을 제어하는 제1키판 제어보드(103)가 내장된다. 전지부측 케이스(120)에는 제2키판(105)을 제어하는 제2키판 제어보드(106)가 내장되고 전지(107)가 설치되며, 전지는 제2키판 제어보드(106)에 연결되어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한다. 화상부측 케이스(110)에 제1키판(102) 및 제1키판 제어보드(103)가 설치되는 것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이며, 제1키판(102) 및 제1키판 제어보드(103)를 형성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화상부측 케이스(110)에 설치된 키판(제1키판(102))은 보조키판으로 볼 수 있다.
제1키판 제어보드(103)는 통합메인보드(101)와 연결되고, 통합메인보드(101)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을 통해 제2키판 제어보드(106)와 연결된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은 통합메인보드(101)와 제2키판 제어보드(106) 사이의 신호전달과 전원의 공급이므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은 16핀의 것을 사용한다. 종래 60pin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을 사용하던 것에 비해 핀수보다 현저히 감소하였고 따라서 16pin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은 폭도 종래의 60pin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보다 훨씬 작다. 이는 본 발명에서 통합메인보드(101)를 사용함에 따라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은 종래 LCD구동보드와 메인보드 사이에서 이루어지던 신호전달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은 화상부가 형성된 화상부측 케이스(110)와 전지가 결합되는 전지부측 케이스(120)가 결합된 것이다.
화상부측 케이스(110)는 상대적으로 아래부분(112)(또는 꼬리부)에 비해 윗부분(116)(또는 머리부)이 후방으로 돌출된 구조이며, 그 결과 윗부분의 두께가 아래부분의 두께보다 크다. 전지부측 케이스(120)는 이와 반대로 윗부분(126)에 비해 아래부분(122)이 전방으로 돌출된 구조이며 그 결과 아래부분의 두께가 윗부분의 두께보다 크다.
화상부측 케이스(110)와 전지부측 케이스(120)는 휴대폰의 두께방향으로 화상부측 케이스(110)의 아래부분과 전지부측 케이스(120)의 윗부분이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있다. 화상부측 케이스(110)와 전지부측 케이스(120)의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 슬라이딩 레일(130)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레일(130)의 내측으로는 화상부측 케이스(110)와 전지부측 케이스(120)가 슬라이딩 힌지(30)를 통해 결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부측 케이스(110)가 전지부측 케이스(120)로부터 밀어올려져 휴대폰이 펼쳐지면, 밀어올려지기 이전에는 전지부측 케이스(120)에 의해 가려졌던 화상부측 케이스(110)의 부분이 드러나면서 휴대폰은 전체적으로 직선의 모양을 유지한다. 휴대폰이 직선의 모양을 유지한다는 것은 종래의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에서 화상부측 케이스(110)를 밀어올렸을때 화상부측 케이스(110)와 전지부측 케이스(120)가 서로 단차진 모양을 이루었던 것과는 다르다는 것을 의 미한다.
도 8은 도 6의 A-A'부분을 절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은 중앙에 위치한 슬라이딩 힌지(30)를 중심으로 양측의 가장자리 각각에 슬라이딩 레일(130)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레일(130)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레일(130)은 내측 가이드레일(132)과 외측 가이드레일(136)로 구성되며, 내측 가이드레일(132)은 화상부측 케이스(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외측 가이드레일(136)은 전지부측 케이스(120)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내측 가이드레일(132)의 안내홈(133)과 외측 가이드레일(136)의 돌출부(137)가 상호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서로 끼워져 결합된다.
본 발명의 휴대폰은 LCD, LCD구동과 주제어를 수행하는 통합메인보드(101), 제1키판 제어보드(103), 카메라(미도시)가 모두 화상부측 케이스(110)에 설치되므로 화상부측 케이스(110)의 중량이 크다. 중량이 큰 화상부측 케이스(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딩 힌지(30)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레일(130)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폰에 사용되는 슬라이딩 힌지(30)는 종래에 있던 다양한 힌지들에서 채택한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힌지(30)의 일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힌지(30)는 화상부측 케이스(110)에 고정되는 이동부(33)와 전지부측 케이스(120)에 고정되는 가이드부(31)가 스프링을 통해 연결된 것이다.
화상부측 케이스(110)를 일정위치까지만 밀어올려주면 슬라이딩 힌지(30)의 스프링이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자동으로 화상부측 케이스(110)가 끝까지 밀어올려지게 된다.
이 때 화상부측 케이스(110)와 전지부측 케이스(120)가 빡빡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힌지(30)의 가이드부(31)와 이동부(33)는 서로간 틈새여유(C1)를 두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힌지(30)의 틈새여유(C1) 때문에 화상부측 케이스(110)와 전지부측 케이스(120) 중 하나를 움직여보면 서로간 약간 흔들리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량이 큰 화상부측 케이스(110)를 오직 슬라이딩 힌지(30)만으로 지지한다면 장시간 사용후 슬라이딩 힌지(30)가 변형되게 되고, 변형의 결과 슬라이딩 힌지(30)의 틈새여유는 더 커지게 된다. 그 결과 화상부측 케이스(110)와 전지부측 케이스(120)의 결합이 더욱 헐거워지며, 화상부측 케이스(110)는 전지부측 케이스(12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은 케이스들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130)에 의해 화상부측 케이스(110)와 전지부측 케이스(120)가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슬라이딩 힌지(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슬라이딩 레일(130)이 분담하여 슬라이딩 힌지(30)가 받는 하중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고, 화상부측 케이스(110)가 전지부측 케이스(120)에 대하여 확실하게 지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의 통합메인보드(101)와 제2키판 제어보드(106)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의 배치상태 및 굽힘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휴대폰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 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이 펼쳐진 상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의 굽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에 있어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이 통합메인보드(101)와 제2키판 제어보드(106)에 연결된 배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통합메인보드(101)와 제2키판 제어보드(106)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의 표면이 통합메인보드(101)와 제2키판 제어보드(106)의 표면들과 대략 수직하게 세워져 배치된 구조이다. 즉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이 통합메인보드(101)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 및 제2키판 제어보드(106)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대략 수직하게 교차하여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통합메인보드(101)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은 대략 화상부측 케이스(110)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평행하며, 제2키판 제어보드(106)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은 전지부측 케이스(120)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과 대략 평행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은 LCD구동보드를 별도로 두지 않고 LCD구동과 주 제어를 수행하는 일체형 통합메인보드(101)를 사용하므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은 통합메인보드(101)와 제2키판 제어보드(106) 사이의 신호전달과 전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즉 LCD구동을 위한 신호전달을 하지 않으므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의 핀수가 13핀으로 현저히 감소되며, 핀수가 현저히 감소된 결과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의 표면의 폭(W)이 매우 작다.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의 폭이 매우 작으므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을 휴대폰의 면에 수직하게 세워서 배치하더라도 휴대폰내에 실장이 가능하고 따라서 휴대폰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또한 통합메인보드(101) 및 제2키판 제어보드(106)와 연결되는 부분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의 양끝의 연결부(151, 152)들이 서로간 충분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한 상태에서 통합메인보드(101) 및 제2키판 제어보드(106)에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을 연결하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이 굽혀지는 정도가 매우 작고 그 결과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에 작용하는 스트레스가 감소된다. 특히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의 양끝의 연결부(151, 152)들 상호간의 거리를 증가시킬수록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에 작용하는 스트레스는 더욱더 감소한다. 따라서 휴대폰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에 작용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에 작용하는 스트레스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휴대폰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은 통합메인보드(101) 및 제2키판 제어보드(106)가 차지하는 영역의 범위내에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의 양끝의 연결부(151, 152)들을 원하는 만큼 서로간 충분히 떨어지도록 배치할 수 있으므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의 굽힘의 정도를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에 작용하는 스트레스가 크게 감소된다.
종래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은 회로가 인쇄된 표면이 연결되어야 할 보드들의 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연결되며, 이 경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 판(150)의 양끝의 연결부(151, 152)들의 사이의 거리는 휴대폰의 두께보다 훨씬 작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은 심하게 꺾여지게 되고, 즉 굽힘의 정도가 크게 되고, 그 결과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에 작용하는 스트레스는 매우 크다. 더욱이 휴대폰의 두께를 감소시킬수록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에 작용하는 스트레스를 점점 켜지게 되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의 내구성을 저하시킨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의 일실시예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의 양쪽에 형성된 연결부(151, 152)가 연결부(151, 152)를 제외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의 다른부분(155)의 표면에 수직하게 꺾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150)이 세워져서 배치되더라도 연결부(151, 152)는 접속되어야 할 보드의 표면에 평행하게 포개어져 접속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한 휴대단말기는 휴대전화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배치상태를 개선함으로써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휴대폰의 두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화상부가 설치되며 상기 화상부의 구동 및 주 제어를 하는 통합메인보드가 내장된 화상부측 케이스;
    배터리 및 키판이 설치되며 키판 제어보드가 내장되는 전지부측 케이스;
    상기 화상부측 케이스와 상기 전지부측 케이스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딩 힌지; 및
    상기 화상부측 케이스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 및 상기 전지부측 케이스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 중 하나 이상과 인쇄회로가 형성된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이 교차하도록 세워져 배치되며, 상기 통합메인보드와 상기 키판 제어보드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부측 케이스는,
    보조키판; 및
    보조키판 제어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통합메인보드 및 상기 키판 제어보드와 연결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연결부는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중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제외한 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통합메인보드 및 상기 키판 제어보드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
  4.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화상부가 설치되며, 윗부분이 아래부분에 비해 후방으로 돌출되고 아래부분의 양측에 제1레일이 형성된 화상부측 케이스;
    상기 화상부측 케이스의 후방에 위치하며, 전지 및 키판이 설치되고 윗부분에 비해 아래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며 윗부분의 양측에 상기 제1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레일이 형성된 전지부측 케이스; 및
    상기 화상부측 케이스와 상기 전지부측 케이스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딩 힌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부측 케이스에 실장되며 상기 화상부의 구동 및 주 제어를 수행하는 통합메인보드;
    상기 전지부측 케이스에 실장되며 상기 키판을 제어하는 키판 제어보드; 및
    상기 통합메인보드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 및 상기 키판 제어보드의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 중 하나 이상과 인쇄회로가 형성된 표면을 포함하는 평면이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통합메인보드 및 상기 키판 제어보드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부측 케이스는,
    보조키판; 및
    보조키판 제어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
KR1020070018481A 2007-02-23 2007-02-23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 KR20080078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81A KR20080078399A (ko) 2007-02-23 2007-02-23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81A KR20080078399A (ko) 2007-02-23 2007-02-23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399A true KR20080078399A (ko) 2008-08-27

Family

ID=39880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481A KR20080078399A (ko) 2007-02-23 2007-02-23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83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1665A (zh) * 2019-08-21 2019-10-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路板组件和电子设备
KR102169763B1 (ko) * 2019-04-18 2020-10-26 한국전력공사 전자식 전력량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763B1 (ko) * 2019-04-18 2020-10-26 한국전력공사 전자식 전력량계
CN110381665A (zh) * 2019-08-21 2019-10-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路板组件和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7795B2 (en) Hinge struct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7747298B2 (en) Slid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JP5238165B2 (ja) モバイル端末機
JP4020910B2 (ja) スライド型携帯電話機用モジュール
US7437186B2 (en) Sliding module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JP3959086B2 (ja) 移動通信端末機用スライダーアセンブリ
US9173308B2 (en) Mounting structure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sliding-type electronic device
JP2006115109A (ja) 携帯情報端末
EP1809007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sliding module
CN104216473A (zh) 电子设备
KR20080078399A (ko)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단말기
JP4573348B2 (ja) 携帯情報端末
KR101218681B1 (ko) 휴대 단말기
KR100690844B1 (ko) 에프피시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80060095A (ko) 슬림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645874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전기적 연결 장치
KR101353420B1 (ko) 슬라이드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JP4881795B2 (ja) 携帯端末
KR10085853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US7952867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long stroke hinge
KR20090047416A (ko)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어셈블리
KR101044878B1 (ko) 휴대 단말기용 인쇄회로기판의 부품장착구조
KR1007133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353355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KR20080067918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