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489A -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 - Google Patents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489A
KR20080076489A KR1020070016467A KR20070016467A KR20080076489A KR 20080076489 A KR20080076489 A KR 20080076489A KR 1020070016467 A KR1020070016467 A KR 1020070016467A KR 20070016467 A KR20070016467 A KR 20070016467A KR 20080076489 A KR20080076489 A KR 20080076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ows
needle valve
hydraulic
actuator
power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6859B1 (ko
Inventor
이영일
김형근
권동진
임영철
김선부
심근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테크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테크,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테크
Priority to KR102007001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859B1/ko
Publication of KR20080076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01H35/32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actuated by bell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FPR)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변압기 내 절연유의 압력 변화를 감지 벨로우즈를 통해 감지하고, 상기 감지벨로우즈에 의해 가압되는 작동유를 충진한 매니폴더에서 상기 가압되는 작동유를 액츄에이터 벨로우즈와 콘트롤 벨로우즈 측으로 분배하여 압력을 전달하고, 상기 액츄에이터 벨로우즈와 콘트롤 벨로우즈의 작동에 의해 액츄에이터가 마이크로스위치를 작동시켜 충격 압력 발생을 검출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더에서 콘트롤 벨로우즈측 경로상에서 실리콘 작동유의 유량을 제한하는 유량제어수단으로서, 니들 밸브를 설치하여 재품 생산시 균일한 감도로 조절이 가능하고, 현장에서도 감도 조절이 가능해지며, 아울러 표시수단을 더 포함시켜 구성하여 작동상태를 현장에서 알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변압기, 충격, 유압, 유량제어수단, 니들 밸브, 감도, 표시

Description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Fault Pressure Relay for power transformer}
도 1은 일반적인 전력용 변압기의 주요 계측 및 보호장치 예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의 동작 설명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충격 유압 계전기의 콘트롤 오리피스 구성도.
도 5는 종래 충격 유압 계전기의 콘트롤 오리피스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의 개략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유압 계전기의 감도 조절을 위한 니들 밸브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 유압 계전기의 표시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외함 111 : 작동요 챔버
112 : 액츄에이터 챔버 120 : 변압기 절연유 압력 감지수단
121 : 감지 벨로우즈 122 : 중공 연결부재
123 : 작동유 가이드관 124 : 실리콘 작동유
125 : 보호캡 130 : 매니폴더
131, 132 : 분기관 140 : 콘트롤밸브
141 : 바이메탈 온도보상기 151 : 액츄에이터 벨로우즈
152 : 콘트롤 벨로우즈 160 : 액츄에이터
161 : 인장 스프링 162 : 액츄에이터 몸체
163 : 액츄에이터 연결자 164 : 액츄에이터 단자
170 : 마이크로 스위치 180 : 콘넥터
190 : 표시수단 191 : 표시기 하우징
192 : 표시기LED 193 : 보호용 강화유리
200 : 니들 밸브 142 : 니들밸브 캡
143 : 니들밸브 하우징 144 : 니들밸브 몸체
본 발명은 전력변압기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압기의 유압이 급격한 변동이 발생 될 때 이를 감지하여 마이크로 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한 전력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FP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용 변압기(Power Transformer)는 산업용 전력 기기 중에 가장 많이 또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기로서 송전(送電)계통이나 배전(配電)계통에서 가장 필수적인 장비이며, 교류전압을 승압하거나 강압을 통한 경제적인 송배전(送配電)으로 산업설비나 공장에 혹은 가정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전력용 변압기에 있어서 다양한 보호장치와 안전장치들이 있는데, 그중 변압기 내부 오일 압력이 갑작스런 증가(충격 유압)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충격 유압 계전기(FPR)가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용 변압기의 주요 계측 및 보호장치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1) 본체에는 권선온도 지시장치(WTI ; Winding Temperature Indicator)와, 부흐홀쯔 계전기(BHR ; Buchholtz Relay)와, 절연유면계(OLG ; Oil Level Gage)와, 가스검출기(GDR ; Gas Detector Relay), 충격 압력 계전기(SPR), 방출안전장치(PRD), 충격 유압 계전기(FPR)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변압기(1)의 절연유가 직접 접하도록 하면이 개방된 작동유 챔버(111)와, 작동유 챔버(111)의 상부에 구획되어 상기 오일이 차단되게 구획된 액츄에이터 챔버(112)로 외함(110)이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유 챔버(111) 내에는 상기 변압기 절연유의 압력에 의해 감지 벨로우즈가 상승 하강되는 절연유 압력 감지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감지 벨로우즈의 상승 하강에 의해 내부에 채워진 실리콘 작동유(124)를 가압시키도록 작동유 챔버(111)에서 상기 액츄에이터 챔버(112)로 연결되어 작동유 매니폴더(130)가 설치된다.
상기 액츄에이터 챔버(112)내에 상기 작동유 매니폴더(130)의 양측 분기관(131)(132)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실리콘 작동유(124)의 압력에 의해 상승하강되는 액츄에이터 벨로우즈(151) 및 콘트롤벨로우즈(152)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벨로우즈(152) 측의 매니폴더 분기관(132) 내부에는 상기 실리콘 작동유(124)의 유량을 제한하는 콘트롤밸브(140)가 설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 벨로우즈(151)와 상기 콘트롤 벨로우즈(152)가 동일한 속도로 상승되지 않고 상기 액츄에이터 벨로우즈(151)가 상기 콘트롤 벨로우즈(152)에 비해 급격한 상승이 발생 될 때 이에 연동 되어 끝단이 기울어진 요동이 발생 되도록 이루어진 액츄에이터(160)가 설치된다.
상기 엑츄에이터(160)의 끝단(164)이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요동에 의거하여 제어단자가 눌려서 스위치 온 작동을 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70)가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70)의 접점단자들을 상기 외함(110)의 외부에 연결시켜 표시 및 경보출력을 하는 콘넥터(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압기 절연유 압력 감지 수단(120)은, 상기 작동유 챔버(111)와 상기 액츄에이터 챔버(112) 사이에 설치되고 중공이 형성되어 상단부가 상기 작동유 매니폴더(130)에 연통되는 중공 연결 부재(122)와, 상기 중공 연결 부재(122)의 중공과 연결되어 하부에 설치되는 작동유 가이드관(123)과; 상기 작동유 가이드관(123) 의 외측에 설치되고 실리더 역할을 하도록 설치되는 보호캡(125)과, 상기 보호캡(125)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스프링에 의해 복원력을 구비하고 상기 변압기(1)의 절연유 압력에 의해 상기 작동유 가이드관(123)과 상기 중공연결 부재(122)의 중공 및 작동유 매니폴더(130)에 채워진 실리콘 작동유(124)를 가압하는 감지 벨로우즈(121)로 구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60)는, 상기 외함(110)에 일단이 고정된 인장 스프링(161)과, 상기 인장 스프링(161)의 타단이 고정되어 상하 승강 요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액츄에이터 몸체(162)와; 상기 액츄에이터 몸체(162)에 돌설된 고정핀에 중앙부가 고정되고 양측으로 날개 형태 돌출되어 양 날개의 단부가 각각 상기 액츄에이터 벨로우즈(151)와 컨트롤 벨로우즈(152)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액츄에이터 연결자(163)와, 상기 액츄에이터 연결자(163)가 액츄에이터 벨로우즈(151)에 의해 일측이 급격히 상승되어 기울어질때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70)의 제어단자를 누르도록 상기 액츄에이터 몸체(162)의 끝단부에 절곡형성되는 액츄에이터 단자(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동유 매니폴더(130)의 콘트롤 벨로우즈(152)측 분기관(132)에 설치되는 콘트롤밸브(140)는, 상기 작동유 매니폴더(130)의 양측 분기관(131,132)중 콘트롤 벨로우즈(152)측으로 흐르는 실리콘 작동유(124)의 유량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콘트롤 오리피스로 구성되고, 바이메탈 온도 보상기(141)가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 는 충격 유압 계전기의 동작 설명도로서, 변압기(1)의 절연 유에 의해 충격 유압 계전기의 작동유 감지 챔버(111)내에 설치된 감지 벨로우즈(121)가 압력(Pa)을 받는다. 이에 따라 중공연결부재(122)의 중공과 작동유 매니폴더(130)의 내부에 충진된 실리콘 작동유(124)가 유량 Qc로 흐르게 되고, 작동유 매니폴더(130)의 일측 및 타측 분기관(131, 132)에서 액츄에이터 벨로우즈(151)와 콘트롤벨로우즈(151)로 흐르는 실리콘 작동유의 유량 Qa, Qb로 분배된다.(Qc = Qa + Qb)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한 압력 상승인 경우, 감지 벨로우즈(121)에 의해 가압된 실리콘 작동유(124)는 작동유 매니폴더(130)의 양측 분기관(131)(132)으로 분배되어 가압되며, 콘트롤밸브(140)에 의해 통과되는 유량이 완만한 상승을 충분히 감당하여 양측의 분기관 유량 Qa와 Qb가 서로 같거나 거의 유사하고, 압력상승이 중단되면 양측 압력이 동일해진다. 이때 콘트롤밸브(140)는 실리콘 작동유(124)를 통과시키는 유량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적은 량을 통과시키므로 천천히 압력이 상승되는 경우에는 양측 압력이 같아지도록 실리콘 작동유가 통과되어 액츄이에터 벨로우즈(151)와 콘트롤 벨로우즈(152)를 밀어올리는 길이가 동일해진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60)는 액츄에이터 연결자(163)가 양측에서 동일하게 밀려올라가게 되므로, 액츄이에터 몸체(162)를 평형하게 밀어주게 되고, 액츄에이터 단자(164)가 마이크로 스위치(170)의 제어단자를 누르지 못한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1)의 절연유 압력이 급격히 상승되어 즉, 충격 유압이 발생되면, 감지 벨로우즈(121)에 의해 가압되는 실리콘 작동 유(124)가 급격한 가압을 받게되고, 작동유 매니폴더(130)의 콘트롤밸브(140)에서 콘트롤벨로우즈(152) 측으로 흐르는 실리콘 작동유가 제한을 받아 적은양만 흐르므로 액츄에이터 벨로우즈(151)측으로 많은 실리콘 작동유가 흐르면서 액츄에이터 벨로우즈(151)로 흐르는 유량 Qa가 콘트롤 벨로우즈(152)로 흐르는 유량 Qb에 비해 훨씬 높게되어 액츄에이터 벨로우즈(151)가 액츄에이터 연결자(163)를 기울어지게 밀어준다. 이에따라 액츄에이터 몸체(162)는 액츄에이터 연결자(163)가 기울어짐에 따라 액츄에이터 단자(164)가 마이크로 스위치(170)의 제어단자를 눌러준다. 이와같은 작용으로 충격 유압이 발생 되면, 마이크로 스위치(170)가 작동되어 경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충격 유압 계전기의 작동에 있어서, 작동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은 유량제어수단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충격 유압 계전기의 콘트롤 오리피스 구성도이다.
종래에 감도조절을 위해서 콘트롤 오리피스(140)를 사용하여 작은 구멍(140a)으로 통과되는 오일량으로 평형 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콘트롤 오리피스(140)의 구멍(140a)을 바이메탈 온도 보상기(141)를 이용하여 온도 팽창에 대해 보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콘트롤 오리피스(140)를 사용하는데, 한번 장착하여 설치한 경우 분해하기 전에는 감도를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감도 조절이 잘못되었거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콘트롤 오리피스(140)의 성능이 변형되었을 때 이를 외부에서 조절할 수 없었다. 콘트롤 오리피스(140)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변압기 의 운전을 완전히 정지하고, 분해하여 콘트롤 오리피스(140)를 조절해야 하나, 조절 정도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여러번 시행착오가 발생 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도 5은 종래 충격 유압 계전기의 콘트롤 오리피스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내부 온도의 변화는 콘트롤 오리피스(140) 몸체를 팽창시키고, 이 팽창은 콘트롤 오리피스(140)의 유입구 홀(B)의 직경을 확대 시킨다. 즉 콘트롤 오리피스(140) 유입구 홀(B)에서 토출구 홀(A)에 이르기까지 부피 팽창을 시킨다. 같은 압력 변화에 대해서 온도가 같지 않으면 통과하는 기름의 양이 다르다. 이는 장비가 온도 변화에 안정적이지 못한데 기인한 것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토출구 홀(A) 상부에 바이메탈 온도 보상기(141)를 결합하여 온도 상승이 체적 변화를 시켜 오일 토출량을 증가시키면 바이메탈 온도 보상기(141)는 온도가 상승할 때 콘트롤 오리피스(140) 토출구 홀(A) 부분에 힘을 가하여 토출되는 오일의 양을 줄임으로써 온도 변화에도 안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오리피스와 바이메탈 온도 보상기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바이메탈이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바이메탈의 수명에 의한 문제점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외부 온도 변화에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받아 서서히 자기가 가지고 있는 탄성이 변하여 결정적인 순간에 오동작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전력 변압기의 운전에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충격 유압 계전기(FPR)는, 국내의 경우, 연간 수 천대의 많은 수요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산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해외 특정 업체를 통한 수입에만 의존하고 있어 막대한 외화가 유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FPR)을 국산화 하면서 그 구조적 특징으로 안정성을 유지하여 변압기 내부의 유압이 갑작스런 증가가 발생될 때 이를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에 있어서 민감도를 손쉽게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품들이 균등한 민감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현장에서도 손쉽게 민감도를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에 있어서, 충격 유압 검출 상태를 현장에서도 직접 표시하게 하여 현장 운전자 또는 관리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력 변압기용 충격유압계전기(FPR, Fault Pressure Rise Relay)는, 고장전류 또는 내부 아크로 인해 발생되는 전력변압기 내 절연유의 압력 상승에 반응하도록 설계된다.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부분(Sensing Bellows)과, 감지된 압력 변화를 전달하는 부분(Control Bellows) 및 전달된 압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부분(Actuator)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부분의 매니폴더에서 콘트롤 벨로우즈 측 경로상에서 실리콘 작동유의 유량을 제한하는 유량제어수단으로서, 니들 밸브를 설치하여 감도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내부 온도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니들밸브는 외함의 외측에서 니들밸브 조절단자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각 단자를 연결하여 스위치 온 시 작동 상태를 점등 표시하는 작동 표시 LED를 더 포함시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전력 변압기(1)의 절연유가 직접 접하도록 하면이 개방된 작동유 챔버(111)에 감지 벨로우즈(121)에 의해 절연유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120)이 설치되며, 상기 감지 벨로우즈(121)에 의해 압력을 전달하는 실리콘 작동유가 충진된 매니폴더(130)가 액츄에이터 챔버(112)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유 매니폴더(130)의 양측 분기관(131)(132)의 단부에 각각 액츄에이터 벨로우즈(151) 및 콘트롤벨로우즈(152)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벨로우즈(152) 측의 매니폴더 분기관(132) 내부에는 상기 실리콘 작동유(124)의 유량을 제한하는 본 발명에 의한 니들밸브(200)가 설치된다.
상기 액츄에이터 벨로우즈(151)와 상기 콘트롤 벨로우즈(152)가 동일한 속도로 상승되지 않고 상기 액츄에이터 벨로우즈(151)가 상기 콘트롤 벨로우즈(152)에 비해 급격한 상승이 발생 될 때 이에 연동 되어 끝단이 기울어진 요동이 발생 되도록 이루어진 액츄에이터(160)가 설치된다.
상기 엑츄에이터(160)의 끝단(164)이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요동에 의거하여 제어단자가 눌려서 스위치 온 작동을 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70)가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70)의 접점단자들을 상기 외함(110)의 외부에 연결시켜 표시 및 경보출력을 하는 콘넥터(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유압 계전기는,
변압기(1)의 절연유에 의해 충격 유압 계전기의 작동유 감지 챔버(111)내에 설치된 감지 벨로우즈(121)가 압력(Pa)을 받는다. 이에 따라 감지 벨로우즈(121)가 압력을 받아 작동유 매니폴더(130)의 내부에 충진된 실리콘 작동유(124)가 유량 Qc로 흐르게 된다. 작동유 매니폴더(130)의 일측 및 타측 분기관(131, 132)에서 액츄에이터 벨로우즈(151)와 콘트롤벨로우즈(151)로 유입되는 실리콘 작동유의 유량이 Qa와 Qb로 분배된다.(Qc = Qa + Qb)
완만한 압력 상승인 경우, 감지 벨로우즈(121)에 의해 가압된 실리콘 작동유(124)는 작동유 매니폴더(130)의 양측 분기관(131)(132)으로 분배되어 가압되며, 콘트롤밸브(140)에 의해 통과되는 유량이 완만한 상승을 충분히 감당하여 양측의 분기관 압력 Qa와 Qb가 서로 같거나 거의 유사하고, 양측 압력이 평형을 이루게 된다. 액츄이에터 벨로우즈(151)와 콘트롤 벨로우즈(152)를 밀어올리는 길이가 동일해지면, 액츄에이터(160)는 액츄에이터 연결자(163)가 양측에서 동일하게 밀려올라가게 되므로, 액츄이에터 몸체(162)를 평형하게 밀어주게 되고, 액츄에이터 단 자(164)가 마이크로 스위치(170)의 제어단자를 누르지 못한다.
만약, 변압기(1)의 절연유 압력이 급격히 상승되어 즉, 충격 유압이 발생되면, 감지 벨로우즈(121)에 의해 가압되는 실리콘 작동유(124)가 급격한 가압을 받게되고, 작동유 매니폴더(130)의 콘트롤밸브(140)에서 콘트롤벨로우즈(152) 측으로 흐르는 실리콘 작동유가 제한을 받아 적은양 만 흐르므로 액츄에이터 벨로우즈(151)로 흐르는 유량 Qa가 콘트롤 벨로우즈(152)로 흐르는 유량 Qb에 비해 훨씬 높게되어 액츄에이터 연결자(163)를 기울어지게 밀어준다. 이에따라 액츄에이터 몸체(162)는 액츄에이터 연결자(163)가 기울어짐에 따라 액츄에이터 단자(164)가 마이크로 스위치(170)의 제어단자를 눌러준다. 이와같은 작용으로 충격 유압이 발생 되면, 마이크로 스위치(170)가 작동되어 경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충격 유압을 감지하는 중요한 요소중에 상기 콘트롤 벨로우즈(152)측으로 흐르는 실리콘 작동유의 유량을 제한하는 정도에 의해 압력 상승을 감지하는 감도가 조절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 유압 계전기의 감도 조절을 위한 니들 밸브의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 매니폴더(130)의 분기관중 콘트롤벨로우즈(152)측 분기관(132)에 설치되며, 분기관(132) 내부에 꽉막히도록 끼워져 설치되고, 내부에 니들 형태의 홀과 측 방향으로 복수의 연통 홀이 포함되는 니들밸브 홀(143a)이 형성된 니들밸브 하우징(143)과, 상기 니들 밸브 하우징(143)에 삽입되어 전후진 조절에 의해 상기 니들밸브홀(143a)과 상기 분기관(132) 사이의 열림량 을 조절하는 니들밸브 몸체(144)와, 상기 니들밸브 몸체(144)를 상기 매니폴더(130)의 외부에서 결합하여 니들밸브 하우징(143)을 밀봉함과 아울러 니블밸브 몸체(144)의 전후진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니블밸브 캡(142)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에 사용되던 콘트롤 오리피스 대신에 니들밸브를 장착하여 외부에서 쉽게 충격 유압 감지를 위한 감도를 조절하고 맞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리콘 작동유를 충진하고 있는 작동유 매니폴더(130)의 콘트롤 벨로우즈(152)측 분기관(132)에 니들밸브 하우징(143)을 삽입 설치한다. 니들 밸브 하우징(143)은 내부에 니들밸브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니들 밸브 몸체(144)를 삽입한 정도에 따라 실리콘 작동유의 통과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니들밸브 몸체(144)의 삽입 정도는 니들밸브 캡(142)에 니들밸브 몸체(144)를 결합시켜 외부에서 회전시키는 정도에 따라 삽입 정도를 조절하게 함으로써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니들밸브 갭(142)은 충격 유압 계전기의 외함(110)의 외측에 노출되게 설치하여 현장에서도 충격 유압 계전기의 분해 없이 감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설치한 니들밸브는, 니들밸브 몸체(144)와 니들밸브 하우징(143)의 내부 밸브 삽입홀 사이의 간격의 차이가 오일이 통과하는 체적이다. 이 체적은 온도의 변화에도 변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온도변화에 의해 팽창이 된다면, 니들밸브(144)와 니들밸브 하우징(143)이 같은 재질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어 서 팽창율이 같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도 간격 변화가 없게 된다. 그러므로 온도변화에 대한 신뢰성이 기존의 오리피스와 바이메탈을 사용한 경우보다 훨씬 안정적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격 유압 계전기의 표시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다.
기존의 충격 유압 계전기는, 자체 표시기가 없는 구성으로서, 충격 유압 계전기 자체에서는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110)의 캡(110a)(도면에서는 상면이나 실제 설치시에는 정면이 된다.)에 표시기 하우징(191))을 설치하고 표시기 하우징(191)내에 LED표시기(192)를 설치하며, 그 LED표시기(192)의 외측에 보호용 강화유리(193)를 설치하여 구성되며, 상기 LED표시기(192)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70)의 접점 단자들을 연결하여 스위치 온시에 LED점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LED표시기(192)가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FPR)에 직접 설치되어 있어서 현장에서 직접 동작 상태를 알 수 있어서 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는, 충격 유압 감지를 위한 감도 조절을 니들 밸브를 이용하여 조절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완성 후 성능시험에서 분해없이 감도를 조절하여 맞출 수 있으므로 충격 유압 계전기의 성능 즉, 민감도가 일정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이나 충격 압력 등으로 인해 민감도 변화가 발생되었 을시에도 현장에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LED표시기를 충격 유압 계전기에 설치함으로써 현장에서 직접 작동 상태를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력변압기 내 절연유의 압력 변화를 감지 벨로우즈를 통해 감지하고, 매니폴더에서 상기 감지벨로우즈에 의해 가압되는 실리콘 작동유를 액츄에이터 벨로우즈와 콘트롤 벨로우즈 측으로 분배하여 압력을 전달하고, 상기 액츄에이터 벨로우즈와 콘트롤 벨로우즈의 작동에 의해 액츄에이터가 마이크로스위치를 작동시켜 충격 유압 발생을 검출하도록 이루어진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로서,
    상기 매니폴더에서 콘트롤 벨로우즈측 경로상에서 실리콘 작동유의 유량을 제한하는 유량제어수단으로, 니들 밸브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밸브는,
    상기 매니폴더(130)에서 실리콘 작동유가 분배되어 흐르는 경로중 콘트롤벨로우즈(152)측 분기관(132)에 끼워져 설치되고, 내부에 니들 형태의 홀과 측 방향으로 복수의 연통 홀이 포함되는 니들밸브 홀(143a)이 형성된 니들밸브 하우징(143)과;
    상기 니들 밸브 하우징(143)에 삽입되어 전후진 조절에 의해 상기 니들밸브홀(143a)과 상기 분기관(132) 사이의 열림량을 조절하는 니들밸브 몸체(144)와;
    상기 니들밸브 몸체(144)를 상기 매니폴더(130)의 외부에서 결합하여 니들밸브 하우징(143)을 밀봉함과 아울러 니블밸브 몸체(144)의 전후진량을 조절할 수 있 도록 이루어진 니블밸브 캡(14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밸브 캡(142)은,
    상기 충격 유압 계전기의 외함의 외측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충격 유압 계전기의 외부에는 상기 니들 밸브 몸체(144)의 전후진량을 조절하여 충격 유압 검출 감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유압 계전기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각 단자를 연결하여 스위치 온 시 작동 상태를 점등 표시하는 작동 표시수단을 더 포함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표시수단은,
    외함(110)의 캡(110a)에 표시기 하우징(191))을 설치하고,
    표시기 하우징(191)내에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70)의 접점 단자들을 연결하여 스위치 온시에 LED점등이 이루어지도록 LED표시기(192)를 설치하며,
    그 LED표시기(192)의 외측에 보호용 강화유리(193)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
KR1020070016467A 2007-02-16 2007-02-16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 KR100856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467A KR100856859B1 (ko) 2007-02-16 2007-02-16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467A KR100856859B1 (ko) 2007-02-16 2007-02-16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489A true KR20080076489A (ko) 2008-08-20
KR100856859B1 KR100856859B1 (ko) 2008-09-05

Family

ID=3987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467A KR100856859B1 (ko) 2007-02-16 2007-02-16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8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7489A (zh) * 2019-05-07 2019-07-26 北京中瑞和电气有限公司 一种基于瞬态油压特征的电力变压器在线监测装置及方法
CN111192790A (zh) * 2020-03-11 2020-05-22 上海乐研电气有限公司 一种大量程的高抗振气体密度继电器
WO2021179951A1 (zh) * 2020-03-11 2021-09-16 上海乐研电气有限公司 一种高抗振气体密度继电器
KR20220170578A (ko) * 2021-06-23 2022-12-30 한국전력공사 충격압력계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1419A (ko) 2022-07-19 2024-01-26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내부압력 실시간 감시형 충격압력계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3437B2 (ja) 1998-09-17 2003-1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遮断器の流体圧駆動装置
JP4373593B2 (ja) 2000-08-31 2009-11-25 株式会社東芝 液圧操作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7489A (zh) * 2019-05-07 2019-07-26 北京中瑞和电气有限公司 一种基于瞬态油压特征的电力变压器在线监测装置及方法
CN110057489B (zh) * 2019-05-07 2021-04-27 北京中瑞和电气有限公司 一种基于瞬态油压特征的电力变压器在线监测装置及方法
CN111192790A (zh) * 2020-03-11 2020-05-22 上海乐研电气有限公司 一种大量程的高抗振气体密度继电器
WO2021179951A1 (zh) * 2020-03-11 2021-09-16 上海乐研电气有限公司 一种高抗振气体密度继电器
US11885827B2 (en) 2020-03-11 2024-01-30 Shanghai Roye Electric Co., Ltd. High anti-vibration gas density monitor
KR20220170578A (ko) * 2021-06-23 2022-12-30 한국전력공사 충격압력계전기
KR20230145957A (ko) * 2021-06-23 2023-10-18 한국전력공사 충격압력계전기
KR20230145958A (ko) * 2021-06-23 2023-10-18 한국전력공사 충격압력계전기
KR20230145956A (ko) * 2021-06-23 2023-10-18 한국전력공사 충격압력계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859B1 (ko) 200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859B1 (ko) 전력 변압기용 충격 유압 계전기
CN102472408B (zh) 用于确定气动式控制阀组件的故障模式的装置与方法
CN102067054A (zh) 具有双重感测机构的阀体
US4128105A (en) Automatic shut-off valv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1174857B1 (en) Digital pressure switch systems and methods
GB2374135A (en) Pressurised steam boilers and their control
CN108489663B (zh) 压力传感器测试标定装置
CN106449265B (zh) 真空断路器
US20170255208A1 (en) Mass flow controller
CN204204743U (zh) 直动式压力开关
CN209605862U (zh) 用于管道内流体压力、温度、压力脉动监测的装置
EP019704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span of pressure measuring instruments
CN101387891B (zh) 抗振型指针式sf6气体密度控制器
KR101369158B1 (ko) 압력계 지시값을 이용한 밀폐형 보일러의 물 보충장치
KR20080076488A (ko) 전력 변압기용 충격 압력 계전기
KR101391131B1 (ko) 압력감지 일체형 압력계
CN104964815A (zh) 一种sf6密度继电器压力触点检测装置
JP7129260B2 (ja) 消防用弁装置
KR20240011419A (ko) 변압기 내부압력 실시간 감시형 충격압력계전기
JP4637069B2 (ja) 減圧装置
CN112283435A (zh) 压力温度集成监测组件和变压器油箱压力及温度监测装置
JPH0444198A (ja) ガス圧力異常検知装置
JPH0510112B2 (ko)
KR101529172B1 (ko) 전자식 압력개폐장치
CN111520611B (zh) 一种用于测量气体管路的反吹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