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740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740A
KR20080074740A KR1020080009470A KR20080009470A KR20080074740A KR 20080074740 A KR20080074740 A KR 20080074740A KR 1020080009470 A KR1020080009470 A KR 1020080009470A KR 20080009470 A KR20080009470 A KR 20080009470A KR 20080074740 A KR20080074740 A KR 20080074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re wire
narrow
cable
w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나리 시부야
히데토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4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21Lase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3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for applying solder

Abstract

어떠한 단자의 결선부에 대해서도 복수 종의 케이블로부터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여 결선할 수 있고, 그리고 결선의 형태도 선택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케이블 (C) 의 심선 (C2) 을 탑재 가능한 폭의 면이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고 그 심선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와 결선부 (21) 를 형성하고 있는 단자를 상기 폭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가지고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결선부 (21) 는 하우징 (11) 으로부터의 연출 방향으로 협폭 결선역 (21A) 과 이것보다 폭이 넓은 광폭 결선역 (21B) 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특히 하나의 단자에 대하여 복수 종의 케이블로부터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케이블을 결선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커넥터에 대하여 복수 종의 케이블을 결선할 수 있는 커넥터로는, 특허 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에서는, 폭이 좁은 결선부를 갖는 단자 및 폭이 넓은 결선부를 갖는 단자의 2 종의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케이블 심선의 굵기가 상이한 케이블을 결선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하우징은, 인접하는 결선부끼리의 사이에 리브를 갖고 있고, 적당히 판형상 공구를 리브의 꼭대기부에 접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전체 단자의 결선부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크림 땜납을 상기 리브의 꼭대기부와 같은 레벨이 되도록 도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각 단자의 결선부 상에 대응 케이블의 심선을 배치하고, 도포된 크림 땜납을 가열함으로써 땜납 결선이 행해진다. 인접하는 단자의 결선부끼리의 사이에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열 결선시에, 결선부끼리 땜납에 의해서는 단락되는 경우가 없다.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에서는 2 종의 케이블을 결선 가능하지만, 어떠한 단 자에 대해서도 케이블의 종류를 임의로 선택하여 결선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커넥터에 대하여 굵은 심선의 케이블만을 결선하고자 할 때, 폭이 좁은 결선부를 갖는 단자에는 이 굵은 심선을 결선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들은 사용되지 않는 쓸모없는 단자가 되고 만다.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는, 땜납에 의한 결선시의 심선끼리의 단락을 방지하는 커넥터로서, 다른 결선 방법, 예를 들어 레이저 결선은 고려되어 있지 않아 이 레이저 결선에는 적당하지 않다. 레이저 결선은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심선이 용융되어 결선부와 결선되기 때문에, 굵은 심선을 결선하는 경우, 결선부는 심선에 대응하여 폭이 넓어야 한다. 즉, 특허 문헌 1 에서는, 폭이 좁은 결선부를 갖는 단자에 대해서는 가는 심선의 케이블을 땜납 결선할 수 있어도, 선택적으로 레이저 결선하기에는 결선부의 폭이 부족하여 결과적으로 부적당하다.
게다가, 상기 폭이 좁은 결선부에 대해서는, 플랫 케이블 등의 띠형상 심선을 결선하는 것은, 땜납 결선 및 레이저 결선에 상관없이 리브가 존재하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1-6794 호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어떠한 단자의 결선부에 대해서도 복수 종의 케이블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여 결선 가능하게 하고, 또한, 땜납 또는 레이저에 의한 결선의 형태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는, 케이블의 심선을 탑재 가능한 폭의 면이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고 그 심선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와 결선부를 형성하고 있는 단자를 상기 폭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결선부는 하우징으로부터의 연출 (延出) 방향으로 협폭 결선역과 이것보다 폭이 넓은 광폭 결선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커넥터의 사용시에 있어서는, 케이블의 종류, 따라서 심선의 굵기와 결선 방법이 정해지면, 심선은 협폭 결선역 또는 광폭 결선역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배치된다. 협폭 결선역 또는 광폭 결선역의 선택은 심선을 그 길이 방향으로 비켜서 선택될 역 위에 탑재함으로써 선택이 이루어진다. 땜납 결선의 경우, 케이블의 노출되는 심선은 협폭 결선역 및 광폭 결선역의 어느 것에도 결선 가능하지만 결선부끼리의 땜납의 단락 가능성을 고려하면, 결선부끼리 사이의 간극이 큰 협폭 결선역에서의 결선 쪽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결선의 경 우, 가는 심선이면 협폭 결선역에서도 결선 가능하지만 확실하게 결선하기 위해서는 광폭 결선역에서 결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굵은 심선이면 광폭 결선역이 선택된다. 즉, 플랫 케이블과 같이 폭이 넓은 심선일 때에는, 광폭 결선역이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은 인접하는 단자의 결선부끼리의 사이에서 그 결선부의 면보다 돌출되고 결선부의 연출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로케이터가 동 방향으로 적어도 결선부의 일부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케이터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각 케이블 또는 심선의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위치 어긋남 방지를 꾀하고, 각 심선이 대응 결선부의 폭 범위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결선부 상에 탑재되어, 양호한 결선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결선부는 협폭 결선역 쪽이 광폭 결선역보다도 결선부의 연출 방향으로 기부측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그 경우, 결선부의 연출 방향으로 협폭 결선역의 범위 내에 로케이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협폭 결선역에서 심선이 땜납 결선되면, 땜납이 결선부의 폭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가 있어, 인접하는 단자끼리 사이에서의 이 땜납의 흐름에 의한 단락을 상기 로케이터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협폭 결선역과 광폭 결선역은, 결선부의 연출 방향으로 기부측이 높아지도록 단차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협폭 결선역에 심선을 결선할 때에는, 케이블 외피 단면을 케이블 길이 방향으로 상기 단차에 맞닿게 함으로써, 또는 광폭 결선역에 심선을 결선할 때에 는, 이 심선의 선단면을 상기 단차에 맞닿게 함으로써, 각각 케이블의 길이 방향의 위치 잡기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결선부는, 그 결선부의 연출 방향으로, 로케이터의 상대편에 광폭 결선역 및 협폭 결선역이 순차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로케이터에 의해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심선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한 상태에서 광폭 결선역으로의 레이저 결선을 유효하게 실시하고, 또한 땜납 결선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각 단자의 결선부가 케이블의 길이 방향인 연출 방향으로 협폭 결선역과 이것보다 광폭 결선역을 갖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케이블의 심선을 상기 연출 방향으로 비켜 놓음으로써 협폭 또는 광폭 결선역에 적절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각 단자는 복수 종류의 심선 굵기 및 폭 중 임의로 선택된 하나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한, 결선의 형태가 땜납 결선 또는 레이저 결선 중 어느 것에도 대응할 수 있고, 커넥터의 단자 전체수의 전면적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커넥터의 이용 가치를 높인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평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고, 전체가 평평한 직사각형을 형성하는 외관을 갖고 있다. 도 1 에 있어서, 커넥터 (10) 의 하우징 (11) 은, 전방 (도면에서 오른쪽 아래 방향) 을 향하여 내려앉은 전(前)판부 (12) 의 상면이 평탄면을 이루고, 이 평탄면이 케이블 탑재면 (12A) 을 형성하고 있다. 그 케이블 탑재면 (12A) 은 하우징 (11) 의 폭 방향 양단부를 남기고 폭 B 에 걸쳐서 상방 및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 폭 B 는, 후술하는 단자의 배열 범위 길이와 대략 동일하고, 또, 케이블의 배열 가능 최대 범위 길이이기도 하며, 특히 케이블이 플랫 케이블인 경우에는, 결선 가능한 플랫 케이블의 최대 폭이 된다.
상기 하우징 (11) 은, 배면에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부 (도 1 에서는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본 발명과는 상관이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커넥터 (10) 의 단자 (20) 는, 케이블이 결선되기 위한 결선부 (21) 를 그 단자 (20) 의 일단에,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 (도시 생략) 를 그 단자의 타단에 갖고, 복수의 단자의 결선부 (21) 는 상기 하우징 (11) 의 탑재면 (12A) 상에 배열되고, 접속부는 상기 끼워맞춤부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 탑재면 (12A) 의 폭 방향 양단에는, 그 케이블 탑재면 (12A) 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규제면 (13A) 이 형성된 규제벽 (13) 을 갖고, 상기 폭 방향 양단에서의 양 규제면 (13A) 끼리간 거리가 접속 가능한 플랫 케이블의 최대 폭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은 그 양 폭의 측가장자리가 상기 양 규제면에 맞닿아 폭 방향 위치가 정해진다.
상기 하우징 (11) 의 전방 모서리부와 폭 방향 외측면에는, 로크부 (14) 와 그라운드판 (15) 이 장착되어 있다. 그 로크부 (14) 와 그라운드판 (15) 은, 이들의 아암형상부 (14A, 14B 및 15A) 가, 하우징 (11) 의 테이퍼형상 돌기 (11A, 11B 및 11C) 의 각각에 형성되는 홈부에 걸려 하우징 (11) 에 고정되어 있다. 로크부 (14) 의 아암형상부 (14B) 는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하우징 내부에서 상대 커넥터에 걸리는 걸림부 (14C) 와 연결되어 로크를 해제시킨다. 이들 로크부 (14) 및 그라운드판 (15) 은 본 발명이 요지로 하는 바가 아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의 커넥터 (10) 의 단자 (20) 의 결선부 (21) 및 그 주변에서의 하우징 (11) 의 일부분을 확대 사시도로서 도 2 에 나타낸다.
하우징 (11) 은, 도 2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케이블 탑재면 (12A) 을 상면에 갖는 전판부 (12) 가 단자 유지부 (16)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대 커넥터 (도시 생략) 를 받아 들이는 오목부 (17A) 를 갖는 앞서 서술한 끼워맞춤부 (17) 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나와 형성된다. 단자 (20) 는 그 중간부에서 상기 단자 유지부 (16) 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그 단자 (20) 의 일단측을 이루는 결선부 (21) 와, 상기 끼워맞춤부 (17) 의 오목부 (17A) 내에 위치하고 그 단자 (20) 의 타단측을 이루는 접속부 (도시 생략) 를 갖고 있다.
도 2 의 예에 있어서는, 전판부 (12) 의 케이블 탑재면 (12A) 에는, 단자 유지부 (16) 측에 가까이 위치하는 후방부에, 상방으로 돌출되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볼록 열 (18) 이 단자 배열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인접하는 볼록 열 (18) 끼리의 사이는 상기 단자 (20) 의 결선부 (21) 의 일부를 수용하는 홈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볼록 열 (18) 은 앞부분이 상기 케이블 탑재면 (12A) 보 다 계단 형상으로 높고 평탄한 상면 (18A) 을 형성하고, 뒷부분은 보다 더 계단 형상으로 높고 상방을 향하여 산 (山) 모양으로 형성되어서 로케이터 (18B) 를 완성하고 있다.
단자 (20) 의 결선부 (21) 는, 상기 하우징 (11) 의 단자 유지부 (16) 의 앞면 (16A) 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인접하는 볼록 열 (18) 에 의해 형성되는 홈에 수용되어 있는 협폭 결선역 (21A) 과, 이 홈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나온 광폭 결선역 (21B) 을 갖고 있다.
도 2 에 나타낸 부분을 상방에서 본 평면도인 도 3 의 (A), 이 도 3 의 (B) 에서의 B-B 단면도인 도 3 의 (B), 도 3 의 (A) 에서의 C-C 단면도인 도 3 의 (C) 에서도 보이는 바와 같이, 높이 방향에서는, 상기 협폭 결선역 (21A) 와 광폭 결선역 (21B) 은 동일 레벨에서 평탄한 상면을 형성하고, 폭 방향에서는, 상기 협폭 결선역 (21A) 은 상기 볼록 열 (18) 끼리의 사이의 홈의 폭과 대략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그 홈 내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광폭 결선역 (21B) 은 상기 홈의 전방 외측에서 상기 협폭 결선역 (21A) 보다 넓은 폭을 갖고 있다. 이 광폭 결선역 (21B) 은, 상기 협폭 결선역 (21A) 보다 폭이 넓지만, 광폭 결선역 (21B) 끼리의 사이에서는, 폭 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협폭 결선역 (21A) 은 볼록 열 (18) 에 대하여, 그 볼록 열 (18) 의 앞 부분을 형성하는 상면 (18A) 보다 약간 높게 위치하고, 로케이터 (18B) 보다 깊게 내려앉아 위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사용예 A)
케이블이 1 개씩 분리되어 있는, 디스크리트 케이블 (discrete cable) 이라 불리우는 케이블의 결선예를 도 4 에 나타낸다. 케이블 (C) 은, 도 5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최대수일 때에는 단자의 수만큼 결선되고, 그 배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케이블은 하우징 (11) 의 규제면 (13A) 에 접하고 있다.
각 케이블 (C) 은, 도 4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선단부에서 외피 (C1) 가 소정 길이만큼 제거되어 심선 (C2) 이 노출되어 있다. 이 심선 (C2) 의 노출 길이는, 도 4 의 예의 경우, 단자 (20) 의 결선부 (21) 의 협폭 결선역 (21A) 길이에 상당하고 있다. 그러나, 이 노출 길이는 광폭 결선역 (21B) 까지 도달하는 길이, 즉 결선부 (21) 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이어도 된다.
상기 케이블 (C) 은, 심선 (C2) 의 선단부가 인접 로케이터 (18B) 사이에 배치되어 결선부 (21) 가 폭 방향으로 위치가 부여되어 있고, 상기 심선 (C2) 은 결선부 (21) 의 협폭 결선역 (21A) 으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벗어나는 일은 없다. 또, 본 사용예에서는 심선 (C2) 의 선단면은 하우징 (11) 의 단자 유지부 (16) 에서의 앞면 (16A) 에 맞닿아 있어, 이 케이블 (C) 은 길이 방향에서도 위치 잡아져 있다.
결선시에는, 상기 심선 (C2) 의 탑재 전에 협폭 결선역 (21A) 의 면 위에 도포된 크림 땜납을 가열하도록, 상기 협폭 결선역 (21A) 및 심선 (C2) 에 열풍 등을 공급하여 고온 분위기로 한다. 크림 땜납은 심선 (C2) 의 표면과 협폭 결선역 (21A) 의 면에서 형성되는 쐐기형상 공간으로 흘러 들어와 양자의 면에 부착되어, 케이블의 결선이 완료된다.
협폭 결선역 (21A) 의 면에서의 상기 심선 (C2) 의 땜납 결선의 경우, 땜납은 횡 방향, 즉 상기 협폭 결선역 (21A) 의 폭 방향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는데, 상기 협폭 결선역 (21A) 은 그 폭이 심선의 직경에 대략 동등한 정도의 폭 또는 그보다 좁은 폭이어도 충분하여, 문자 그대로 협폭이고, 다시 말하면, 인접 협폭 결선역 (21A) 끼리의 사이에 비교적 넓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 다소의 땜납의 흐름도 인접 협폭 결선역 (21A) 끼리를 단락시키는 일은 없다.
(사용예 B)
사용예 A 에서 사용된 케이블 (C) 을 결선부 (21) 에 레이저 결선하는 예를 도 6 에 사용예 B 로서 나타낸다. 케이블 (C) 의 노출되는 심선 (C2) 은, 결선부 (21) 의 앞부분에 형성된 광폭 결선역 (21B) 상에 탑재되어 있다. 레이저 결선은,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심선이 용융되어 결선부의 면에 용착되기 때문에, 광폭 결선역 (21B) 은 적어도 심선 (C2) 의 직경에 상당하는 폭보다 넓어야 한다.
도 6 에 있어서는, 광폭 결선역 (21B) 은 심선 (C2) 의 직경보다 넓은 폭 치수를 갖고 있는데, 인접하는 광폭 결선역 (21B) 끼리의 사이에는 미소하지만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레이저 결선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심선이 용융되는 결과 심선이 결선부에 용착되는 것으로서, 땜납 결선의 땜납과 같이 심선과 결선부의 사이로 유입되어 양자의 면에 부착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결선부의 면으로부터 흐르는 경향은 없다. 따라서, 결선부, 즉, 도 6 의 예에서는, 광폭 결선역 (21B) 은 폭이 넓어야 하지만, 광폭 결선역끼리의 사이의 간격은 작아도 지장이 없다.
이와 같이, 사용예 B 에 있어서는, 심선 (C2) 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그 심선 (C2) 은 용융되어 광폭 결선역 (21B) 의 거의 전체면에 용착되어, 케이블의 결선이 이루어진다.
(사용예 C)
도 7 에는, 사용예 C 로서, 플랫 케이블, 플렉시블 기판과 같이 띠형상이면서 평평한 형태의 심선을 갖는 경우의 결선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 (F) 의 선단부로부터 띠형상의 심선 (F1) 이 노출되어 있고, 그 심선 (F1) 의 하면에는 크림 땜납 (F2) 이 도포되어 있다. 이러한 심선 (F1) 은 협폭 결선역 (21A) 상에 배치되고, 이 심선 (F1) 및 협폭 결선역 (21A) 이 고온 분위기에 놓여져, 상기 크림 땜납 (F2) 에 의해 땜납 결선이 이루어진다.
도 7 의 예에서는, 심선 (F1) 은 협폭 결선역 (21A) 의 폭보다 넓어, 폭 방향으로 그 협폭 결선역 (21A) 로부터 불거져 나와 있지만, 땜납 결선시에 땜납이 유동하더라도 협폭 결선역 (21A) 의 측면으로 돌아 들어가 부착되는 정도이고, 인접하는 협폭 결선역 (21A) 끼리 사이의 간극은 비교적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협폭 결선역 (21A) 끼리가 땜납의 흐름에 의해 단락되는 일은 없다.
(사용예 D)
도 8 에 나타낸 사용예 D 에서는, 도 7 에서 사용된 플랫 케이블 (F) 의 심선 (F1) 을 결선부 (21) 의 광폭 결선역 (21B) 에서 레이저 결선하는 예가 나타나 있다. 이 경우, 레이저 결선이기 때문에, 도 7 의 사용예 C 의 경우와는 달리, 심선 (F1) 의 하면에는 크림 땜납은 도포되어 있지 않고, 심선 (F1) 의 하면은 상기 광폭 결선역 (21B) 의 면에 직접 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심선 (F1) 의 폭에 대하여 광폭 결선역 (21B) 의 폭 쪽이 약간 크게 되어 있으며, 이 광폭 결선역 (21B) 의 폭은 레이저 결선을 하기에는 충분하다. 레이저 결선시에는, 상기 심선 (F1) 은 레이저가 조사되고, 그 용융에 의해 상기 광폭 결선역 (21B) 에 결선된다.
(사용예 E)
도 9 에 나타내는 사용예 E 는, 디스크리트 동축 케이블로서, 시일드선이 케이블끼리 사이에서 일괄하여 시일드 시트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심선 (중심 도체) 이 협폭 결선역에 땜납 결선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각 케이블 (C) 은, 외피 (C1) 와 심선 (C2) 사이에 절연층 (C3) 과 시일드층 (C4) 을 갖고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외피 (C1), 시일드층 (C4), 절연층 (C3) 이 소정 길이만큼 제거되어 있어, 선단측에서부터, 심선 (C2), 절연층 (C3) 및 시일드층 (C4) 이 순차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심선 (C2) 은 결선부 (21) 의 협폭 결선역 (21A) 상에 위치하고, 절연층 (C3) 은 광폭 결선역 (21B) 상에 위치하며, 시일드층 (C4) 을 상하로부터 지지하는 시일드 시트 (S) 는 결선부 (21) 밖에서 케이블 탑재면 (12A)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에 배치된 케이블은, 심선 (C2) 이 사용예 A 의 경우와 동일한 요령으로 땜납 결선된다.
(사용예 F)
다음으로, 사용예 E 에 사용한 디스크리트 동축 케이블 (C) 을 결선부 (21) 의 광폭 결선역 (21B) 에 레이저 결선하는 경우의 예를 사용예 F 로서 도 10 에 나타낸다. 이 사용예 F 에서는, 케이블 (C) 의 심선 (C2) 은 결선부 (21) 의 광폭 결선역 (21B) 상에 있고, 여기서 레이저 결선된다. 절연층 (C3) 및 시일드 시트 (S) 가 형성되어 있는 시일드층 (C4) 은 케이블 탑재면 (12A)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1 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의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협폭 결선역 (21A) 에 대해 광폭 결선역 (21B) 이 단차를 가지고 낮은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협폭 결선역 (21A) 과 광폭 결선역 (21B) 의 경계에 단차부 (21C) 를 형성하면, 땜납 결선의 경우에는, 심선을 협폭 결선역 (21A) 상에 배치하면서 절연층의 단면을 상기 단차부 (21C) 에 맞닿게 함으로써, 그리고 레이저 결선의 경우에는 심선을 광폭 결선역 (21B) 상에 배치하면서 이 심선의 단면을 상기 단차부 (21C) 에 맞닿게 함으로써, 각각 케이블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잡기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땜납 결선의 경우, 절연층의 심선에 대한 반경의 차분을 상기 단차에서 흡수할 수 있어, 케이블 탑재가 안정적이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2 는, 협폭 결선역 (21A) 을 결선부 (21) 의 연출 방향으로 광폭 결선역 (21B) 보다 전방에 배치할 수 있는 예를 제 3 실시형태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광폭 결선역 (21B) 은, 그 나름대로 폭이 넓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연출 방향으로 로케이터 (18B) 의 범위 밖에 위치하고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3 에 나타내는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도 2 의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땜납 흐름의 방지를 꾀하는 코팅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3 에서는, 광폭 결선역 (21B) 에 인접하는 협폭 결선역 (21A) 의 전단부에, 그 협폭 결선역 (21A) 의 면 위에서 결선부 (21) 의 연출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연재 코팅부 (22) 가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협폭 결선역 (21A) 상에서 케이블의 심선이 땜납 결선되었을 때에, 땜납이 광폭 결선역 (21B) 쪽으로 흐르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은,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협폭 결선역 및 광폭 결선역의 일방 또는 양방이, 각각 복수 종의 폭을 갖는 역을 결선부의 연출 방향에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심선의 굵기나 폭이 달라도 그것에 최적인 폭의 역에 결선할 수 있다. 또한, 각 결선역의 면, 특히 협폭 결선역에서의 면을 폭 방향 중앙에서 형성하는 오목 곡면으로 함으로써 둥근 심선의 위치를 안정시키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일부분을 나타내고, (A) 는 평면도, (B) 는 (A) 에서의 B-B 단면도, (C) 는 (A) 에서의 C-C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커넥터에 디스크리트 케이블를 땜납 결선하였을 때의 사용예 A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2 의 결선예로서 커넥터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2 의 커넥터에 디스크리트 케이블을 레이저 결선하였을 때의 사용예 B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2 의 커넥터에 플랫 케이블을 땜납 결선하였을 때의 사용예 C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2 의 커넥터에 디스크리트 케이블을 레이저 결선하였을 때의 사용예 D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2 의 커넥터에 디스크리트 동축 케이블을 땜납 결선하였을 때의 사용예 E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2 의 커넥터에 디스크리트 케이블을 레이저 결선하였을 때의 사용예 F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하우징
18B : 로케이터
21 : 결선부
21A : 협폭 결선역
21B : 광폭 결선역

Claims (6)

  1. 케이블의 심선을 탑재 가능한 폭의 면이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고 그 심선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와 결선부를 형성하고 있는 단자를 상기 폭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가지고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결선부는 하우징으로부터의 연출 방향으로 협폭 결선역과 이것보다 폭이 넓은 광폭 결선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인접하는 단자의 결선부끼리의 사이에서 그 결선부의 면보다 돌출되고 결선부의 연출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로케이터가 동 방향으로 적어도 결선부의 일부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결선부는 협폭 결선역 쪽이 광폭 결선역보다도 결선부의 연출 방향으로 기부측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결선부의 연출 방향으로 협폭 결선역의 범위 내에 로케이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전기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협폭 결선역과 광폭 결선역은, 결선부의 연출 방향으로 기부측이 높아지도록 단차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선부는, 그 결선부의 연출 방향으로, 로케이터의 앞쪽 방향으로 광폭 결선역 및 협폭 결선역이 순차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80009470A 2007-02-08 2008-01-30 전기 커넥터 KR200800747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28799A JP2008192577A (ja) 2007-02-08 2007-02-08 電気コネクタ
JPJP-P-2007-00028799 2007-0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740A true KR20080074740A (ko) 2008-08-13

Family

ID=3975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470A KR20080074740A (ko) 2007-02-08 2008-01-30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8192577A (ko)
KR (1) KR20080074740A (ko)
CN (1) CN101242048A (ko)
TW (1) TW2008380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2499B2 (ja) * 2010-09-08 2013-06-19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466194B2 (ja) * 2011-03-15 2014-04-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線対導電性金属板のレーザ溶接構造
JP6606925B2 (ja) * 2015-08-27 2019-11-2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776918B2 (ja) * 2017-02-02 2020-10-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接続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CN107196113A (zh) * 2017-04-28 2017-09-22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42048A (zh) 2008-08-13
JP2008192577A (ja) 2008-08-21
TW200838066A (en) 2008-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2300B2 (en) Cable with a meandering portion and a ground portion sandwiched between retaining elements
US730342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ir-circulation features
US6776649B2 (en) Contact assembly for a plug connector, in particular for a PCB plug connector
US4660911A (en) Surface mount connector
US5114364A (en) Shielded connector
US20040259419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ulti-beam contact
KR20080074740A (ko) 전기 커넥터
CA2276836C (en) Modular high speed connector
EP1160922A2 (de) Leiterplattensteckverbinder
US20080023214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cable and method of soldering the same to a printed circuit board
KR19990076699A (ko) 케이블 어셈블리
EP1052730B1 (en) A terminal for a cable and method for mounting a terminal
US10651613B2 (en) Plug connect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0881106B1 (ko) 프린트 기판상의 단자 실장 방법, 이 방법에 의해 형성된단자 실장 프린트 기판 및 이 단자 실장 프린트 기판을수용하는 전기 접속 상자
MX2008012308A (es) Conector electrico con alojamiento segmentado.
KR20070048234A (ko) 동축 케이블 접지 구조물, 커넥터 및 커넥터에 케이블을연결하는 방법
US1056670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JP2000252017A (ja) コネクタ構造
US20070095555A1 (en) Cable assembly and method of preparing cable assembly
US4609970A (en) Board holding device, in particular for RF printed circuit board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it
US1083346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EP1388187B1 (en) Connector and contact wafer
KR20120015277A (ko) 플렉스 필름 콘택팅 및 이의 제조 방법
JP7458721B2 (ja) 少なくとも1つの特にピン状のコンタクト要素を導体板の導電性経路に取り付ける方法、導体板に取り付けるためのピンヘッダ、接続アセンブリ
EP0570832B1 (en) Connector housing assembly for discrete wi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