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615A -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615A
KR20080074615A KR1020070013967A KR20070013967A KR20080074615A KR 20080074615 A KR20080074615 A KR 20080074615A KR 1020070013967 A KR1020070013967 A KR 1020070013967A KR 20070013967 A KR20070013967 A KR 20070013967A KR 20080074615 A KR20080074615 A KR 20080074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ocap
data broadcast
module
ap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열
김시철
황유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3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4615A/ko
Priority to US11/854,747 priority patent/US20080196079A1/en
Priority to PCT/KR2008/000728 priority patent/WO2008097026A1/en
Publication of KR20080074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68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cable transmission, e.g. using a cable mod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8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cable transmission, e.g. using a cable mod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8OS soft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은 수신된 소정의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어플리케이션과 표현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하는 어플리케이션 분류 모듈, 실행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 및 표현 어플리케이션들을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와 OCAP-HTML을 이용하여 소정 방송 서비스를 브라우징하는 OCAP 브라우저, 브라우징에 상응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표현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들 장치간에 양방향 서비스 제공을 위해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미들웨어의 확장된 규격을 제공한다.
HANA, OCAP 2.0, 실행 엔진, 표현 엔진

Description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Apparatus for receiving data broadcast and for display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송신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헤드-엔드 110: 대역 내 채널
120: 대역 외 채널 130: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140: POD 모듈 150: 1394 비동기 전송 채널
160: 1394 등시 전송 채널 170: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와 IEEE 1394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OCAP 미들웨어의 규격을 확장한 것이다.
케이블 방송은 다른 방송매체 보다 양방향 및 고속, 대용량 전송에 있어 유리한 특성이 있으므로 고품질의 양방향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다가올 방송 통신 융합의 서비스에 가장 적합한 매체가 될 것이라고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양방향성의 특징을 가능하게 해 주기 위해서는 케이블 셋탑박스(Set-top Box)가 필요하다. 하지만 셋탑박스는 방송을 통한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고화질 및 고음질의 디지털방송 수신과 양방향 서비스를 구현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디지털 셋탑박스(Set-top Box)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셋탑박스란 방송 수신 및 다양한 부가기능 구현이 가능한 제어용 박스를 일컫는다. 디지털방송이 본격화되기 전까지 셋탑박스는 특정 방송사업자로부터의 방송데이터 수신이 주된 기능이었다. 하지만 셋탑박스의 디지털전환이 가속되면서 방송수신은 물론 통신기능, 개인 영상 저장장치(PVR: Personal Video Recorder) 기능,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Electronic Program Guard) 기능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구현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국내 디지털 케이블 방송 표준으로 채택된 오픈 케이블(Open Cable) 표준은 크게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다. 우선, 하드웨어는 셋탑박 스와 셋탑박스로부터 보안 기능 및 수신제한 기능을 분리한 POD(Point of Deployment) 장치로 구성된다. 셋탑박스와 POD의 분리는 특정업체의 솔루션에 종속되지 않는 셋탑박스 생산과 공급 경쟁체제를 구축하여 셋탑박스의 소비자구매 및 가격인하를 유도하는데 목적이 있다.
소프트웨어는 미들웨어인 OCAP(Open Cable Application Platform) 표준이 핵심이다. OCAP은 케이블 방송에서의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작기반이 되는 표준이다. OCAP은 케이블 방송에 웹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시청자들에게 보다 진보된 양방향 서비스 지원이 가능하다.
오픈 케이블 방식은 OCAP이라는 공통된 미들웨어 플랫폼을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및 컨텐츠의 공유가 가능하다.
한편, 빌트-인(Built-in) DTV와 주변 기기를 IEEE 1394로 연결하여 기기 통합 제어 및 HD 컨텐츠 공유를 위한 HANA(High Definition Audio Video Network Alliance, 이하 HANA라고 함) 솔루션은 DTV 내에 디코더와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내장하고, 주변기기에는 웹 서버(Web Server)와 컨트롤 페이지(Control Page)를 각각 내장한다.
이와 같이 HANA 기반 솔루션은 디지털 방송 신호 및 주변 기기에 저장된 HD 컨텐츠를 DTV에서 디코딩하고, DTV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GUI 형태로 주변 기기를 통합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HANA는 하나의 통합 리모컨을 사용하여 IEEE 1394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HANA는 HANA DTV, TV Node, A/V HDD, HANA XHT STB(Cable NIU) 등이 포함되 는 HANA 장치와 XHT STB에서는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는 EPG나 PPV, VOD, 쇼핑 프로그램 등의 장치간 송수신 및 UI 표시가 HTML 형태로 제공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HANA 장치와 IEEE 1394로 연결되는 오픈 케이블 방식의 셋탑박스에 OCAP 미들웨어가 탑재 되는 경우 MHP나 OCAP 미들웨어 위에서 동작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HTML 형태로 제공되지 않음으로써, IEEE 1394 네트워크로 연결된 HANA 장치에서 직접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음으로써, IEEE 1394를 기반으로 하는 HANA 장치에서 OCAP 기반의 양방향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장치에 탑재되는 OCAP의 규격 확장이 요구된다.
HANA에서의 UI 및 사용자 UI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각 종 HANA 어플리케이션은 HTML 기반의 HANA DTV 등에 탑재된 웹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OCAP 1.0의 경우 OCAP-J 어플리케이션이라는 Java 중심의 어플리케이션 및 UI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HANA DTV의 웹 브라우저 기반으로는 OCAP 1.0의 Java 어플리케이션을 HANA DTV에서 동작시킬 수 없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은 소정의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어플리케이션과 표현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하여 실행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표현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정 방송 서비스를 브라우징하여 브라우징에 상응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OCAP 미들웨어의 규격을 확장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사항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 방송 송신 장치는 수신된 소정의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어플리케이션과 표현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하는 어플리케이션 분류 모듈, 실행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 및 표현 어플리케이션들을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OCAP-HTML을 이용하여 소정 방송 서비스를 브라우징하는 OCAP 브라우저, 브라우징에 상응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표현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 방송 송신 방법은 수신된 소정의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어플리케이션과 표현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하는 단계, 실행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표현 어플리케이션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OCAP-HTML을 이용하여 소정 방송 서비스를 브라우징하는 단계, 브라우징에 상응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Java 및 HTML을 기반으로 소정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헤드-엔드(100, Head-End),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 POD 모듈(140) 및 디스플레이 장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엔드(100)는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의 인코더 시스템, 가입자 관리 시스템, 제한 수신 시스템 및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서버와, 이러한 정보들을 방송 신호로 구성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는 헤드-엔드(10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서비스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어플리케이션과 표현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하여 실행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장치이다.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규격이 확장된 OCAP 2.0 미들웨어, CEA 표준인 CEA-2027A 및 CEA-931B을 따르며, 이들을 이용하여 헤드-엔드(10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 중 실행 어플리케이션만을 실행한다.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에서는 케이블 카드(Cable Card), DSG(DOCSIS Settop Gateway), 튜너(Tuner)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과 EPG(Electronic Program Guide), PPV(Pay Per View) 및 VOD(Video On Deman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여 실행 어플리케이션만을 실행한다. 후자의 어플리케이션은 통신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된다.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 2와 도 3에서 하기로 한다.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의 CEA-2027A은 웹 브라우저 기반의 명령 제어 전송 표준이며, CEA-931B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리모컨(Remote controller) 신호 전송 표준이며, 이들 표준을 따른다.
헤드-엔드(10)와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 사이에는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대역 내 채널 망(In-Band, 110)과 부가 정보 및 양방향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대역 외 채널 망(Out-of-Band, 120)을 통해 소정 정보들이 송수신 된다.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70)와 IEEE 1394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헤드-엔드(100)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방송 서비스를 송수신 한다.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는 CA 시스템을 포함한 POD 모듈(140)과 분리 구성되어 대역 내 채널(110)를 통해 헤드-엔드(100)로부터 전송되는 소정 방송에 대해 튜너(미도시), QAM(Quadrate Amplitude Modulation) 복조기(미도시)를 거쳐 튜 닝 및 복조 한 후 POD 모듈(140)로 전달한다.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에 포함되는 OOB 수신기(미도시)는 헤드 엔드로부터 제공된 채널 튜닝 및 프로그램 안내와 같은 데이터 정보를 POD 모듈(140)로 출력한다.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와 POD 모듈(140)은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POD 모듈(140)은 대역 내 채널(110)을 통해 수신한 케이블 프로그램의 스크램블을 풀어 다시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로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에서 제공하는 대역 외 채널 송/수신기(미도시)를 이용해 헤드-엔드(100)와 통신을 해서 헤드-엔드(100)로부터 받은 명령을 해석한 후 데이터 채널 및 확장(extend) 채널(미도시)을 통해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의 제어 모듈(200)과 서로 통신을 하면서 헤드-엔드(100)가 지시한 사항을 수행하게 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들을 헤드-엔드(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처럼 튜너, QAM 복조기 및 대역 외 채널 수신기로부터 소정 정보들이 POD 모듈(140)로 출력되면, QAM 복조 된 신호가 스크램블 되어 있는 경우 디스크램블시켜 트랜스포트(TP) 디멀티플렉서(미도시)로 출력하고, TP 디멀티플렉서는 다중화되어 있는 비디오와 오디오 패킷을 분리하여 각각 비디오 디코더(미도시)와 오디오 디코더(미도시)로 출력한다. 비디오 디코더는 비디오 패킷에서 오버헤드(각종 헤더 정보, 스타트 코드 등)를 제거하고, 순수한 데이터 정보를 가변 길이 디코딩(Variable Length Decoding, VLD)한 후 역양자화 과정, 역 이산 코사인 변 환(IDCT), 움직임 벡터를 이용한 움직임 보상 과정을 거쳐 원래 화면의 픽셀 값으로 복원하여 모니터로 출력한다. 그리고, 오디오 디코더는 AC-3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디오 패킷을 디코딩 한 후 스피커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는 IEEE 1394를 기반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70)와 양방향 서비스를 송수신하기 위해 해당 장치에 확장된 OCAP 2.0 미들웨어를 탑재한다. 확장된 OCAP 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 2에서 하기로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70)는 통상적인 HANA 장치를 의미하며, 해당 장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와 IEEE 1394를 기반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브라우징에 상응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는 IEEE 1394, 하나의 선으로 빌트-인(Built-in) XHT TV 및 소정 주변기기들과 쉽게 연결이 가능하며 빌트-인 XHT TV 리모컨 한 개로 모든 주변 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웹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소정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 또한, CEA 표준인 CEA-2027A, CEA-931B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OCAP-HTML을 이용하여 소정 방송 서비스를 브라우징 하는 OCAP 브라우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 2에서 하기로 한다.
OCAP 브라우저를 통한 브라우징에 상응 소정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송신 장 치에서 분류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며 MHP, OCAP 미들웨어에서 동작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PPV(Pay Per View) 및 VOD(Video On Deman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OCAP 미들웨어 탑재 시 HTML 페이지 형태로 제공되지 않음으로써, 관련 기술에서 이들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직접 적용을 할 수 없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는 OCAP 표준에 따라 헤드-엔드로부터 제공되는 Java 및 HTML 기반의 방송 서비스 중 실행 어플리케이션과 표현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여 실행 어플리케이션만을 실행하고, 표현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 장치(170)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OCAP 2.0이 탑재되는 셋탑박스 또는 NIU(Network Interface Uni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셋탑박스에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모듈을 제외한 제어 모듈(200), 메모리(210), 어플리케이션 분류 모듈(220),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230), 매핑 모듈(240) 및 통신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는 OCAP 2.0의 규격 확장을 기반으로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하며, 후술되는 OCAP 2.0은 별도의 언급이 없을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규격이 확장된 OCAP 2.0을 의미한다.
먼저, 통상적인 OCAP 2.0 아키텍처는 크게 실행 엔진, 표현 엔진으로 구성되 며 Java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구현된다.
실행 엔진(Execution Engine)은 통상적인 오픈 케이블 셋탑박스 및 DTV(Digital TV, 셋탑박스와 통합형인 경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을 지원하며, OCAP 2.0의 구성 요소들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이다.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구현하기 위하여 플랫폼에 독립적인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도록 하고 있으며, Java를 기반으로 한다. 또한, 자바가상 머신(JVM)과 다양한 자바 APIs들로 구성되며, 어플리케이션들은 자바 바이트 코드 포맷으로 컴파일 되고 자바 가상 머신에서 실행된다.
이와 같은 실행 엔진은 DVB 1.0.1을 대략 90% 따르며, JVM(Java Virtual Machine), 네트워킹, 파일 I/O, 그래픽 등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자바 아키텍처 내에서의 보안 설계, 풀(Full) HD TV 어플리케이션 환경을 제공 한다.
실행 엔진에서 실행되는 실행 어플리케이션은 케이블 카드(Cable Card), DSG(DOCSIS Settop Gateway) 또는 튜너(Tuner)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230)을 통해 실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는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수행 요청 발생 시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한다.
어플리케이션 분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에서 실행 될 어플리케이션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 될 표현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하는 것이며, 이들의 분류는 어플리케이션 분류 모듈(220)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어플리케이션 분류 모듈(220)에서 분류된 소정 어플리케이션 중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에서 수행될 어플리케이션들은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 내에서 처리되며, 어플리케이션 표현 모듈에서 수행될 어플리케이션들은 통신 모듈(25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70)로 IEEE 1394 비동기 전송 채널(150)을 통해 전송된다.
어플리케이션 표현 모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170)에서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분류 모듈은 OCAP 2.0 규격에 따라 수행한다.
다음은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의 OCAP 2.0 확장 규격을 도시한 것이다.
표 1.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를 위한 OCAP 2.0 규격 확장.
항목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의 OCAP 2.0 확장 사항
JVM -JVM(CDC 기반)
OCAP-HTML (DVB-HTML) -HTML 4.0 -XHTML 1.0 -CSS 1/2/2.1 -ECMAScript 3 (JavaScript 1.3) -DOM 1/2
OCAP 어플리케이션 UI 및 그래픽 -HAVi Level 2 UI(멀티 장치 지원)
OCAP 이벤트 및 UI 이벤트 API -OCAP EVENT API, OCAP UI EVENT API+ (HANA 이벤트 통지, 931B 대응을 위한 API 패키지 추가)
OCAP 자원 관리 API -멀티 장치, HANA DTV 자원 관리자 지원
CEA 표준 CEA 2027A 웹 서버 지원 API 패키지 추가
IEEE 1394를 위한 OCAP -IEEE 1394 노드 인터페이스 (HANA 1394 스택 인터페이스 지원을 위한 API 패키지 확장) -비디오 출력 포트 (ISO 채널 인터페이스 지원 API 패키지 확장) -OCAP NET API (IP Over 1394 지원 API 패키지 확장)
즉, OCAP 2.0은 CDC(Connected Device Configuration) 기반의 JVM을 포함하고, OCAP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OCAP 어플리케이션 그래픽을 위한 HAVi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HANA 장치를 포함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를 위하여 할당된 자원을 관리하는 OCAP 자원 관리 API, CEA-2027A 및 웹 서버 지원을 위한 API 패키지, OCAP 하드웨어 API에 IEEE 1394 노드 인터페이스, 비디오 출력 포트 인터페이스 및 OCAP 넷(NET) API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70)로부터 수신되는 CEA-931B 표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리모컨 입력, CEA-2027A 표준에 의한 웹 브라우저 기반의 제어 및 명령이 수신되면, 이들은 매핑 모듈(240)을 통해 앞서 언급한 OCAP 2.0에 매핑 된다.
매핑 모듈을 통해 매핑이 이루어지면, 확장된 OCAP 2.0 규격을 바탕으로 수신된 방송 서비스에서 실행 어플리케이션과 표현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고, 어플리케이션이 분류되면, 제어 모듈(200)은 케이블 카드, DSG 및 튜너를 실행하는 실행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230)에서 처리되도록 하고, EPG, VOD 및 PPV 중 적어도 하나는 표현 어플리케이션을 통신 모듈(250)의 1394 비동기 전송 채널(15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70)로 전송되도록 한다.
통신 모듈(250)의 1394 등시 전송 채널(160)을 통해서는 통상적인 MPEG-2 전송 스트림이 전송된다. 메모리(210)는 이와 같은 제어 모듈(200)의 시스템 사양을 지원 할 수 있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70)는 방송 수신 장치(130)에서 분류된 EPG, PPV 및 VOD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70)는 통신 모듈(300), 제어 모듈(310), 메모리(320), OCAP 브라우저(330), 어플리케이션 표현 모듈(340) 및 A/V 디코더(3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 모듈(300)은 1394 비동기 전송 채널(150)을 통해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로부터 EPG, PPV 및 VOD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1394 등시 전송 채널(160)을 통해 통상적인 A/V 전송 스트림을 수신한다.
제어 모듈(310)은 CDC 기반의 JVM을 포함하는 OCAP 2.0 규격에 따라 표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하고, 1394 등시성 전송 채널(160)을 통해 A/V 전송 스트림을 A/V 디코더(350)를 통해 통상적인 방법으로 디코딩 되도록 한다.
A/V 디코더(350)에서 디코딩된 A/V 스트림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표현 모듈(340)에서 처리되는 부가 정보와 함께 표시된다.
반면, 1394 비동기 전송 채널(160)을 통해 수신된 EPG, PPV 및 VO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현 어플리케이션들은 어플리케이션 표현 모듈(340)을 통해 실행된다.
여기에서, 어플리케이션 표현 모듈(340)은 OCAP 2.0의 표현 엔진과 브리지 엔진을 포함하는 모듈로, 이들은 분리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포현 모듈(340)로 통합 구성될 수도 있다.
표현 엔진(Presentation Engine)은 웹 기반 서비스를 제공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70)를 통해 기존의 웹 브라우저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기존의 OCAP 2.0에서는 XHTML 1.0, HTML 4.0.1, CSS 1/2, DOM 1/2, ECMAScript, SMPTE DDE-1 및 SMPTE DOM-0와 같은 다양한 인터넷 익스플로러 및 넷스케이프 확장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OCAP 2.0에서는 CSS 2.1, ECMAScript 3(Java Script 1.3)이 확장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70)의 자원 활용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표현 엔진과 실행 엔진을 통합하는 구성요소인 브리지 엔진은 OCAP 자바 플랫폼 API을 위한것이다.
이 브리지 엔진은 통상적으로 ECMAScript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접근 허용 및 자바 프로그램의 DOM 파일에 대한 접근을 허용함으로써, 표현 엔진과 실행 엔진 내에서 완벽하게 상호간 프로그램을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표현 엔진의 기능성을 확장하기 위하여 브리지를 사용함으로써, 플러그-인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OCAP 브라우저(330)는 통상적인 웹 브라우저를 OCAP-HTML 지원 가능한 브라우저로 업데이트된 브라우저이며,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 제어를 위한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OCAP HTML을 지원하는 브라우저는 XML을 기반으로 작성된 문서들을 처리하는 브라우저로 통상적인 XHT 브라우저에 OCAP-HTML 지원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다음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OCAP 2.0 확장 규격을 도시한 것이다.
표 2.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OCAP 2.0 규격 확장.
항목 디스플레이 장치의 OCAP 2.0 확장 사항
JVM -JVM(CDC 기반)
OCAP-HTML (DVB-HTML) -OCAP 브라우저 (OCAP-HTML 지원) 규격 업데이트 -브리지 엔진 (OCAP 자바 플랫폼 API를 위한 확장)
OCAP 이벤트 및 UI 이벤트 API -HANA 이벤트 통지 -CEA-931B
CEA 표준 -CEA 2027A
IEEE 1394를 위한 OCAP -HANA 1394 스택
메모리(320)는 통상적인 저장 매체로 JVM을 지원하는 제어 모듈(310)을 위해 사양이 보완 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70)는 통상적인 HANA 디지털 티브이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OCAP-HTML을 지원하는 OCAP 브라우저(330) 및 어플리케이션 표현 모듈(340)을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HTML 페이지 전달방식 이외의 자바 및 HTML로 제작된 OCAP 어플리케이션 UI를 자체적으로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송신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송신은 Java 및 HTML로 제작된 소정의 방송 서비스를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70)로 송신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70)로부터 원격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400).
원격 신호 수신 여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 장 치(130)의 통신 모듈(250)로 1394 비동기 전송 채널(150)을 통해 CEA-2027A 또는 CEA-931B 표준에 상응하는 원격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170)로부터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통신 모듈(250)의 1394 비동기 전송 채널(150)을 통해 소정의 원격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신호는 매핑 모듈(240)을 통해 규격이 확장된 OCAP 2.0과 매핑된다. 이후에 언급되는 OCAP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규격이 확장된 OCAP 2.0을 의미한다.
원격 신호가 OCAP 2.0과 매핑되면(S410), 사용자 요청의 원격 신호에 상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여부를 판단한다(S420).
어플리케이션의 분류 여부가 판단되면(S420), OCAP 2.0과 매핑된 원격 신호에 상응하여 어플리케이션 분류 모듈(220)을 통해 헤드-엔드(100)로부터 수신된 소정의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뷴류한다. 이때, 분류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에서 실행되는 실행 어플리케이션과 디스플레이 장치(170)에서 실행되는 표현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다.
어플리케이션 분류는 OCAP 시스템 자원의 코드 집합 중 DVB-J와 동일한 OCAP 실행 어플리케이션과 DVB-HTML(OCAP_HTML)과 동일한 OCAP 표현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이 분류되면(S420),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는 케이블 카드(Cable Card), DSG(DOCSIS Settop Gateway) 또는 튜너(Tuner)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OCAP 2.0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230)을 통해 실행 된다.
반면, EPG(Electronic Program Guide), PPV(Pay Per View) 및 VOD(Video On Deman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현 어플리케이션은 통신 모듈(25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70)로 전송된다(S440). 이때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은 통신 모듈(250)의 1394 비동기 전송 채널(150)을 통해 전송되며, 통신 모듈(250)의 1394 등시 전송 채널(160)을 통해서 통상적인 MPEG-2 전송 스트림이 디스플레이 장치(170)로 전송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송신은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는 원격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원격 신호에 상응하여 헤드-엔드(100)로부터 수신된 소정의 방송 서비스에서 실행 어플리케이션과 표현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한다.
분류된 어플리케이션 중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 어플리케이션들은 OCAP 2.0의 실행 엔진(Execution Engine)을 통해 처리된다. 반면, 표현 어플리케이션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70)로 전송되어 OCAP 2.0의 표현 엔진(Presentation Engine)에서 처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은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로부터 표현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다.
먼저, 사용자는 OCAP-HTML과 HANA 규격을 만족하는 OCAP 브라우저(33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브라우징을 수행한다(S500).
여기에서, 브라우징은 Java 및 HTML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에서 분류되는 실행 어플리케이션과 표현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브라우징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브라우징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한다(S510).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130) 어플리케이션 요청에 상응하여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520).
소정 어플리케이션은 앞서 언급한 어플리케이션들 중 표현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며, 통신 모듈(300)의 1394 비동기 전송 채널(15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70)로 제공된다. 반면, 통상적인 MPEG-2 전송 스트림은 1394 등시 전송 채널(160)을 통해 제공된다.
수신된 표현 어플리케이션은 자바 바이트 코드 포맷으로 컴파일 되고 JVM에서 실행된다.
이와 같이 실행되는 표현 어플리케이션은 EPG(Electronic Program Guide), PPV(Pay Per View) 및 VOD(Video On Deman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 수신 흐름은 통상적인 HANA 장치(디스플레이 장치(170))의 HTML 기반의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HANA 장치에서도 자바와 HTML로 제작된 방송 서비스 받을 수 있게 해줌으로써, HANA XHT 표준을 활성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헤드-엔드가 서비스를 하려고 하는 OCAP 기반의 양방향 서비스를 HANA와 연동할 수 있음으로써, 홈 네트워크와 연계된 AV를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32)

  1. 수신된 소정의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어플리케이션과 표현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하는 어플리케이션 분류 모듈;
    상기 실행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 및
    상기 표현 어플리케이션들을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분류 모듈은,
    OCAP 2.0 규격에 따라 상기 분류를 수행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모듈은,
    케이블 카드(Cable Card), DSG(DOCSIS Settop Gateway) 또는 튜너(Tuner)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표현 어플리케이션을 1394 비동기 전송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OCAP 2.0은,
    CDC(Connected Device Configuration) 기반의 JVM(Java Virtual Machine)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OCAP 2.0은,
    OCAP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OCAP 어플리케이션 그래픽을 위한 HAVi(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OCAP 2.0은,
    HANA 장치를 포함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를 위하여 할당된 자원을 관리하는 OCAP 자원 관리 API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OCAP 2.0은,
    CEA-2027A 및 웹 서버 지원을 위한 API 패키지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OCAP 2.0은,
    OCAP 하드웨어 API에 IEEE 1394 노드 인터페이스, 비디오 출력 포트 인터페이스 및 OCAP 넷(NET) API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10. OCAP-HTML을 이용하여 소정 방송 서비스를 브라우징하는 OCAP 브라우저;
    상기 브라우징에 상응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표현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징, 상기 수신 및 상기 실행은 CEA-2027A 표준 및 CEA-931B 표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현 모듈은,
    OCAP 자바 플랫폼 API를 위한 브리지 엔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EPG(Electronic Program Guide), PPV(Pay Per View) 및 VOD(Video On Deman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현 모듈은,
    CDC 기반의 JVM을 포함하는 OCAP 2.0 규격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표현 모듈은,
    HTML 4.0, XHTML 1.0, CSS 1/2/2.1, ECMAScript 3 및 DOM 1/2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표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OCAP 2.0은,
    HANA(High Definition Audio Video Network Alliance) 이벤트 통지를 위한 API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수신된 소정의 방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어플리케이션과 표현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실행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표현 어플리케이션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송신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분류 단계는,
    OCAP 2.0 규격에 따라 상기 분류를 수행하는 데이터 방송 송신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는,
    케이블 카드(Cable Card), DSG(DOCSIS Settop Gateway) 또는 튜너(Tuner)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이터 방송 송신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표현 어플리케이션을 1394 비동기 전송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방송 송신 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OCAP 2.0은,
    CDC(Connected Device Configuration) 기반의 JVM(Java Virtual Machine)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송신 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OCAP 2.0은,
    OCAP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OCAP 어플리케이션 그래픽을 위한 HAVi(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송신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OCAP 2.0은,
    HANA 장치를 포함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를 위하여 할당된 자원을 관리하는 OCAP 자원 관리 API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송신 방법.
  24.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OCAP 2.0은,
    CEA-2027A 및 웹 서버 지원을 위한 API 패키지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송신 방법.
  25.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OCAP 2.0은,
    OCAP 하드웨어 API에 IEEE 1394 노드 인터페이스, 비디오 출력 포트 인터페이스 및 OCAP 넷(NET) API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송신 방법.
  26.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는,
    HTML 4.0, XHTML 1.0, CSS 1/2/2.1, ECMAScript 3 및 DOM 1/2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실행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이터 방송 송신 방법.
  27. OCAP-HTML을 이용하여 소정 방송 서비스를 브라우징하는 단계;
    상기 브라우징에 상응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징, 상기 수신 및 상기 실행은 CEA-2027A 표준 및 CEA-931B 표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방법.
  2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는,
    OCAP 자바 플랫폼 API를 위한 브리지 엔진을 이용하여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0.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EPG(Electronic Program Guide), PPV(Pay Per View) 및 VOD(Video On Deman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1.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는,
    CDC 기반의 JVM을 포함하는 OCAP 2.0 규격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OCAP 2.0은,
    HANA(High Definition Audio Video Network Alliance) 이벤트 통지를 위한 API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70013967A 2007-02-09 2007-02-09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74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967A KR20080074615A (ko) 2007-02-09 2007-02-09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1/854,747 US20080196079A1 (en) 2007-02-09 2007-09-13 Data-broadcast-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PCT/KR2008/000728 WO2008097026A1 (en) 2007-02-09 2008-02-05 Data-broadcast-rece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967A KR20080074615A (ko) 2007-02-09 2007-02-09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615A true KR20080074615A (ko) 2008-08-13

Family

ID=3968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967A KR20080074615A (ko) 2007-02-09 2007-02-09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196079A1 (ko)
KR (1) KR20080074615A (ko)
WO (1) WO20080970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6150B2 (en) 2007-10-31 2012-11-20 Time Warner Cable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accessing cablecard
US9584564B2 (en) * 2007-12-21 2017-02-28 Brighttalk Ltd.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live audio communication in a live web event
US9015570B2 (en) * 2007-12-21 2015-04-21 Brighttalk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web event channel player
US9032441B2 (en) * 2007-12-21 2015-05-12 BrightTALK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elf management of a live web event
US20100088732A1 (en) * 2008-10-02 2010-04-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ervice based on objects for implementing different functions of service
US9420030B2 (en) * 2010-12-15 2016-08-16 Brighttalk Ltd.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web events via distribution channels
US8799974B2 (en) * 2011-12-12 2014-08-05 Infosy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standard browser for digital devices
CN103200449B (zh) * 2013-03-27 2016-03-30 商埃曲网络软件(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数字电视应用管理系统方法
CN103957456A (zh) * 2014-05-19 2014-07-30 江苏普达思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数字电视中间件对浏览器应用管理方法
CN104023069A (zh) * 2014-06-13 2014-09-03 可牛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分享方法和设备
CN105095492B (zh) * 2015-08-19 2018-09-04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05528245B (zh) * 2015-12-03 2019-04-16 时趣互动(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在移动应用中分享广告内容到社交网络的方法及系统
CN110673969A (zh) * 2019-09-27 2020-01-10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多程序的内容分享方法、终端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6750A (en) * 1993-06-25 2000-04-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esentations of objects on a user interface of a data processing system
US6341369B1 (en) * 1998-12-03 2002-01-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data processing system for specifying and applying rules to classification-based decision points in an application system
US6799196B1 (en) * 2000-01-21 2004-09-28 Gateway, Inc. On-demand data streaming parceling
US7089566B1 (en) * 2002-02-07 2006-08-08 Unisys Corporation Method for accessing object linking-embedding database data via JAVA database connectivity
KR20040053408A (ko) * 2002-12-14 2004-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방송 브라우징 방법 및 시스템
KR100570824B1 (ko) * 2004-02-03 200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방송에서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방법
US20060015580A1 (en) * 2004-07-01 2006-01-19 Home Box Office, A Delaware Corporation Multimedia content distribution
KR100679012B1 (ko) * 2004-08-26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업그레이드 방법 및 시스템
KR100628308B1 (ko) * 2004-11-09 2006-09-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tv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브라우징 구현 장치 및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96079A1 (en) 2008-08-14
WO2008097026A1 (en) 200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4615A (ko) 데이터 방송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7023858B2 (en) Data delivery in set-top box
KR100929474B1 (ko) 컨텍스추얼 웹 페이지 시스템 및 방법
US98606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pplications based on appl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a broadcasting signal
US20020016969A1 (en) Media on demand system and method
US7950039B2 (en) Multimedia 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multimedia data receiving apparatus
US96213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 to device using different digital broadcast middleware standards
US8555326B2 (en) Display device detection of and response to an idle mode of a remote sender device
EP2630790B1 (en) Method for moving pointer i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apparatus thereof
US20020088002A1 (en) Transmission of camera image to remote display device
KR20130038192A (ko) 컨텐츠 출력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코덱 정보 공유 방법
US20030093804A1 (en) Seamless integration of multiple data/internet connections
KR20070028077A (ko)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dlna 시스템과그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US20020145621A1 (en) Web browser and set top box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20020027562A1 (en) Web browser plug-in for TV
CN101068305B (zh) 遥控装置、多媒体系统及对移动存储设备操作的方法
US20220312051A1 (en) Safe playback method for streaming media file, and display device
KR101423917B1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와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1013649B1 (ko) 케이블 방송통신 서비스 방법, 케이블 방송통신용 하이브리드 셋톱박스 및 미들웨어가 기록된 기록매체
KR20110051471A (ko) 방송 수신기 및 홈네트워크를 통한 전자프로그램 가이드 공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