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576A -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 및 그 기능음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 및 그 기능음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576A
KR20080074576A KR1020070013884A KR20070013884A KR20080074576A KR 20080074576 A KR20080074576 A KR 20080074576A KR 1020070013884 A KR1020070013884 A KR 1020070013884A KR 20070013884 A KR20070013884 A KR 20070013884A KR 20080074576 A KR20080074576 A KR 20080074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audio
audio data
uni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9595B1 (ko
Inventor
김윤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3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595B1/ko
Publication of KR20080074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 및 TV의 기능음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는 소정의 기능 수행에 관한 기능음을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 다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된 오디오저장부; 상기 다수의 오디오 데이터에 관한 오디오리스트를 생성하는 UI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오디오리스트 상에서 상기 기능음으로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기능 수행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능음으로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 및 그 기능음 설정방법{TV WITH PLAYBACK A FUNCTION SOUND AND CONFIGURATION METHOD FOR FUNCTION SOUN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의 제어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음에 관한 오디오리스트의 일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의 기능음 설정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방송튜닝부 20 : 신호처리부
30 : 디스플레이부 40 : 스피커
50 : 사용자입력부 60 : 오디오저장부
70 : UI생성부 80 : 제어부
90 : 외부접속부
본 발명은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 및 그 기능음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 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온/오프 등의 특정 기능 수행 시 재생되는 벨소리, 멜로디, 알람소리, 알림음 등(이하, 기능음이라 함) 기능을 갖는 TV 및 그 기능음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TV 중에서는 전원 온/오프 시 또는 예약 녹화 시간이 되면 기능음을 재생하여 사용자가 해당 기능의 수행을 소리로써 쉽게 알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편의를 돕고 있는 제품들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TV의 기능음 재생기능은 제품 양산시에 설정된 일정한 단순한 멜로디를 출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는 이러한 단순한 단음 멜로디의 출력은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능음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 및 그 기능음 설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에 있어서, 소정의 기능 수행에 관한 기능음을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 다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된 오디오저장부; 상기 다수의 오디오 데이터에 관한 오디오리스트를 생성하는 UI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오디오리스트 상에서 상기 기능음으로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기능 수행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기능은, 전원 온/오프, 예약 녹화 시간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저장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외부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외부 저장기기에 저장된 오디오데이터를 상기 오디오저장부에 저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기능 수행에 관한 기능음을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 및 다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된 오디오저장부를 갖는 TV의 기능음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오디오 데이터에 관한 오디오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오디오리스트 상에서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기능음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기능 수행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의 기능음 설정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저장기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오디오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는 방송튜닝부(10), 신호처리부(20), 디스플레이부(30), 스피커(40), 사용자입력부(50), 오디오저장부(60), UI생성부(70), 제어부(80)를 포함한다.
방송튜닝부(10)는 후술할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소정 채널 주파수를 튜닝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신호를 안테나로 수신하는 것으로, 채널 디텍션 모듈(미도시)과, RF 디모듈레이션 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방송 튜닝부(10)에 의해 복조된 방송신호는 신호처리부(20)에 의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30) 및 스피커(40)로 출력된다. 여기서, 신호처리부(20)는 디멀티플랙서, 비디오 디코더, 스케일러, 오디오 디코더, 부가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멀티플랙서는 복조된 방송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부가 데이터로 분리한다.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부가 데이터는 각각 비디오 디코더, 오디오 디코더, 부가데이터처리부에 의해 복원된다.
이때, 비디오 디코더, 오디오 디코더, 부가데이터처리부는 방송신호 전송시의 인코딩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 포맷으로 복원한다.
한편,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는 스케일러에 의해 디스플레이부(30)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되고,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40)로 출력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미도시)과, 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을 제어하는 패널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0)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ena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 가능하다.
사용자입력부(50)는 채널의 선국, UI(USER INTERFACE)메뉴의 선택 및 조작을 위해 마련된 것으로, 키 또는 버튼(미도시)과, 키 또는 버튼의 조작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 신호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50)는 리모트 컨트롤러, 마우스, 키보드, 키패드, 터치패널로 마련되거나, TV의 본체 케이싱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저장부(60)는 기능음에 관한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매체로서, HDD,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UI생성부(70)는 기능음 설정에 관한 UI메뉴를 생성하고, 오디오저장부(60) 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디오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으로, 해당 알고리즘 코드 및 OSD IC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이때, 오디오 리스트는 다양한 정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2는 UI생성부(70)에 의해 생성된 기능음에 관한 오디오 리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usic 1, Music 2, Music 3,... 등 오디오저장부(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오디오리스트로 표시되는 각각의 오디오 데이터는 음악의 제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에서 오른쪽 네모칸의 표시는 기능음으로 선택된 경우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전술한 사용자입력부(50)를 조작하여 원하는 음악을 기능음으로 선택할 수 있 다.
제어부(80)는 TV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제어를 위한 해당 알고리즘 코드가 저장되고, 저장된 알고리즘 코드가 실행되는 MCU(Micro Controller Unit)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특히, 제어부(80)는 사용자입력부(50)의 입력에 대응하여 기능음 설정 기능에 관한 UI생성부(70)의 UI메뉴의 생성 및 오디오리스트의 생성을 제어한다. 그리고, 특정 기능 수행시 기능음으로 설정된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오디오저장부(60)에 저장된 기능음으로 설정된 오디오데이터가 신호처리부(20)의 오디오처리모듈에 의해 처리되어 스피커(40)를 통해 출력된다. 여기서, 특정 기능 수행이란, 전원 온/오프, 예약 녹화 시간 알림, 모드 변경 등의 TV의 기능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80)는 오디오저장부(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의 삭제 등을 비롯한 데이터의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TV는 외부 저장기기들이 접속 가능한 외부접속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접속부(90)는 외부 저장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 USB(Universal Serial Bus), UART(Universal Asynchronous Rceiver/Transmitter) 등의 통신모듈로 구현 가능하다.
이때, 제어부(80)는 사용자입력부(50)의 명령에 따라 외부 저장기기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받아 오디오저장부(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외부 저장기기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이를 기능음으 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의 기능음 설정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입력부(50)를 통해 기능음 설정에 관한 메뉴가 선택되면(S10), 제어부(80)는 오디오저장부(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UI생성부(70)가 기능음에 관한 오디오리스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S11).
그리고, 사용자가 오디오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를 기능음으로 선택하면(S12), 제어부(80)는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능음을 설정한다(S13).
그리고, TV에서 전술한 특정 기능이 선택되면(S14), 제어부(80)는 설정된 기능음이 스피커(40)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저장기기를 통해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오디오저장부(60)에 저장시키고, 이를 기능음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능음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능음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 및 그 기능음 설정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5)

  1.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에 있어서,
    소정의 기능 수행에 관한 기능음을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
    다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된 오디오저장부;
    상기 다수의 오디오 데이터에 관한 오디오리스트를 생성하는 UI생성부; 및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오디오리스트 상에서 상기 기능음으로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소정의 기능 수행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능은, 전원 온/오프, 예약 녹화 시간 알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외부 저장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외부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외부 저장기기에 저장된 오디오데이터를 상기 오디오저장부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4. 소정의 기능 수행에 관한 기능음을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입력부, 및 다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된 오디오저장부를 갖는 TV의 기능음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오디오 데이터에 관한 오디오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오디오리스트 상에서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기능음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기능 수행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의 기능음 설정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외부 저장기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오디오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의 기능음 설정 방법.
KR1020070013884A 2007-02-09 2007-02-09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 및 그 기능음 설정방법 KR101079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884A KR101079595B1 (ko) 2007-02-09 2007-02-09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 및 그 기능음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884A KR101079595B1 (ko) 2007-02-09 2007-02-09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 및 그 기능음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576A true KR20080074576A (ko) 2008-08-13
KR101079595B1 KR101079595B1 (ko) 2011-11-03

Family

ID=3988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884A KR101079595B1 (ko) 2007-02-09 2007-02-09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 및 그 기능음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595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241B1 (ko) * 1994-11-25 1999-11-15 윤종용 모닝콜 기능을 가진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일체형 텔레비젼 수상기 및 그 수상기의 모닝콜 기능 수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9595B1 (ko)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9138A (ko) 동작에 의한 사용자 명령 입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JP2008147969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US200801074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iscontinuous av data
JP5157345B2 (ja) 再生端末接続機能付きテレビジョン
US8253857B2 (en)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US200900442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Startup Control Method
JP2009088661A (ja) 再生端末接続機能付きテレビジョン
JP5316741B2 (ja) テレビジョン
JP2007306430A (ja) 映像音声再生装置
CN102598703B (zh) 用于控制用于内容项的回放的装置的设置的方法和设备
KR101079595B1 (ko) 기능음 재생 기능을 갖는 tv 및 그 기능음 설정방법
US20070221048A1 (en) Audio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comparing audio signals of different sources and method thereof
JP2008271353A (ja) 音響再生装置
JP2002218331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EP2346241B1 (en) TV and audio processing method thereof
JP5186861B2 (ja) テレビジョン
JP2007266807A (ja) 映像音声記録再生装置
KR101224639B1 (ko) 음악 재생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음악 재생방법
JP2008109420A (ja) 記録媒体再生装置
WO2018003797A1 (ja) 音響装置、音響システム
KR100686053B1 (ko) 티브이의 텍스트 정보 출력장치 및 방법
KR101265592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 화면 전환 방법
JP2011250112A (ja) データ再生システム及び再生装置
KR20070107277A (ko) 방송 수신기를 이용한 이미지 파일의 재생방법
KR20080065410A (ko) 자동채널검색 동안 미디어파일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장치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