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201A - 5,10 메틸렌테트라히드로폴레이트의 안정한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5,10 메틸렌테트라히드로폴레이트의 안정한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201A
KR20080074201A KR1020087015955A KR20087015955A KR20080074201A KR 20080074201 A KR20080074201 A KR 20080074201A KR 1020087015955 A KR1020087015955 A KR 1020087015955A KR 20087015955 A KR20087015955 A KR 20087015955A KR 20080074201 A KR20080074201 A KR 20080074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thf
ascorbic acid
citric acid
solutio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엑스 첸
홍지에 우
마크 제이 캔트웰
조안 엠 로빈스
Original Assignee
어드벤트륵스 파마슈티칼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벤트륵스 파마슈티칼스, 인크. filed Critical 어드벤트륵스 파마슈티칼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74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5Isoalloxazines, e.g. riboflavins, vitamin B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 치료법 및 다른 치료요법에서 사용하는데 안정한 5,10-메틸렌테트라히드로폴레이트의 안정한, 동결건조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시트르산 및 아스코르브산과 함께 5,10-MTHF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시트르산 대 아스코르브산의 중량비는 약 0.75:1∼약 2.25:1이고, 시트르산과 아스코르브산의 총량 대 5,10-MTHF의 중량비는 약 1.4:1∼약 3.4:1이다. 동결건조 전에, 상기 용액을 본질적으로 중성 pH로 조정한다.
5,10-MTHF, 류코보린, 암

Description

5,10 메틸렌테트라히드로폴레이트의 안정한 약학 조성물{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5,10 METHYLENETETRAHYDROFOLATE}
본 발명은 5,10 메틸렌테트라히드로폴레이트의 안정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주요한 공공 보건의 관심사이다. 미국에서 직결장암으로만 한 해에 대략 50,000명이 사망한다. 매년 직결장암 진단을 받는 대략 130,000건의 사례 중 거의 절반은 전이성 질환으로 진행하거나 전이성 질환이 존재하는데, 이의 유일한 치료법은 화학요법이다. 직결장암뿐만 아니라, 다른 암 예컨대 유방암, 췌장암, 위암, 간암, 방광암, 자궁경부암, 두경부암, 폐암, 난소암 및 전립선암 등의 치료를 위해서 신규의 효과적인 약물을 기반으로 하는 치료요법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항암제 5-플루오로우라실(5-FC)은 핵산 생합성에 필요한 효소인 티미딜레이트 신타제(TS)의 억제제이다. 5-FU은 대체로 직결장암 및 유방암을 비롯하여 두경부암, 췌장암, 위암 및 비소세포 폐암 등의 암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5-FU는 통상 폴린산(FA, 류코보린)과 병용하여 사용되는데, 폴린산은 세포 내에서 TS의 보조 인자인 환원형 폴레이트로 전환된다. 5-FU와 류코보린의 병용을 통해서 5-FU를 단 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항종양 효능이 증가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불행하게도, 류코보린과 5-FC의 병용으로 항종양 효능이 증가하지만 또한 구내염, 점막염, 위장 증후군 및 혈액 독성, 특히 호중구 감소증, 저혈소판증 및 백혈구 감소증 등의 증가도 수반된다. 이러한 독성으로 인해 대개는 항암제의 투여량이 제한되어 환자에 대해 이용할 수 있는 치료법이 제한된다. 따라서, 환자의 장기 생존에 효과적인 개선된 항종양 활성 및/또는 독성이 감소된 개선된 항암 약물 처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류코보린은 5-FC 시스템 독성의 중증도를 증가시키는 효능 이외에도, 류코보린은 세포내에서 다단계에 걸쳐서 이의 활성 대사산물 5,10-메틸렌테트라히도폴레이트(하기의 임의 명칭으로 다양하게 알려짐:(6R,S)-5,10-메틸렌테트라히드로폴산; N-[4-(3-아미노-1,2,5,6,6a,7-헥사히드로-1-옥소이미다조[1,5-f]-프테리딘-8(9H)-일)벤조일]-L-글루탐산; N-[p-아미노-5,6,6a,7-테트라히드로-1-히드록시이미다조[1,5,f]-프테리딘-8(9H)-일)벤조일]-L-글루탐산; (6R,S)-5,10-메틸렌-5,6,7,8-테트라히드로프테로일-L-글루탐산; N5,N10-메틸렌테트라히드로폴산; D/L-5,10-메틸렌테트라히드로폴산;(6R,S)-5,10-CH2-H4PteGlu-Ca(이하,"5,10-MTHF"))로 전환되어야 한다. 그러나, 연구에 의하면 5,10-MTHF를 직접적으로(대체로 칼슘 염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의 활성 약학 성분은 5-FU와 병용한 류코보린과 비교하여 5-FC와 병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보다 안전한 독성 프로파일로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5,10-MTHF의 약학적 용도는 공기에 의한 산화, 중성 및/또는 산성 환경, 화학적 분해 및 가수 분해를 비롯한 다양한 요인에 의한 이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제한적이다(M. J. Osborn et al., 'The Structure of 'Active Formaldehyde'," J. Am Chem Soc. 782:4921-4927 (1960)). 암 치료를 위한 5,10-MTHF의 활성 형태의 임상적으로 유효한 용량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환자에게 투여되는 5,10-MTHF 조성물이 안정하고 목적하는/하거나 필요한 효능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5,10-MTHF는 엄격하게 공기를 폐색하거나 또는 염기성 pH 환경에 용해시켜서 안정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 교시되었다(M. J. Osborn, supra). WO 2004/112761는 pH를 7.5 내지 10.5,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로 조정하면서 시트레이트로 활성 성분을 조제하여 5,10-MTHF의 안정한 약학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고 교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에서 교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염기성 pH 환경으로 유지하고/하거나 조제할 필요없이 5,10-MTHF의 안정한 약학적 활성 조성물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5,10-MTHF의 안정한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는데, 여기서 용액 중 조성물의 pH는 약 5 내지 약 7이고; 동결건조 전, 임상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5,10-MTHF의 안정한 조제물의 pH를 본질적으로 중성 pH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르산 및 아스코르브산과 함께 5,10-MTHF를 포함하는 5,10-MTHF의 안정한 동결건조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시트르산 대 아스코르브산의 상대량은 실질적으로 조성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약 0.75:1∼약 2.25:1의 중량비로 다양할 수 있으며, 시트르산과 아스코르브산의 총량 대 5.10-MTHF의 중량비는 약 1.4;1∼3.4:1로 다양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시트르산 대 아스코르브산의 중량비는 약 1.5:1이고, 시트르산과 아스코르브산의 총량 대 510-MTHF의 중량비는 약 2:1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5,10-MTHF의 안정하고, 동결건조된 약학적 허용 조성물의 조제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a) 시트르산 및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용액에 5,10-MTHF를 용해시키는 단계로서, 여기서, 시트르산 대 아스코르브산의 중량비는 약 0.75:1∼약 2.25:1이고, 시트르산과 아스코르브산의 총량 대 5,10-MTHF의 중량비는 약 1.4:1∼약 3.41:1인 것인 단계; 및 (b) 상기 용액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용액의 pH는 약 5 내지 약 7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동결건조 단계 전, 용액 중 조성물의 pH는 본질적으로 중성 pH로 완충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수용액 중에서 그리고 동결건조된 상태에서 모두 안정한 5,10-MTHF의 신규 조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5,10-MTHF의 조제물은 다양한 암의 치료를 위한 프로토콜 내에서, 구체적으로 5-FC와 병용하고/하거나 추가의 화학요법 제제와 병용하여, 약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5,10-MTHF의 신규 조제물은 시트르산 및 아스코르브산과 함께 5,10-MTHF를 포함한다. 시트르산 대 아스코르브산의 중량비는 조성물의 안정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약 0.75:1∼약 2.25:1로 다양할 수 있고, 시트르산과 아스코르브산의 총량 대 5.10-MTHF의 중량비는 약 1.4:1∼약 3.4:1로 다양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시트르산 대 아스코르브산의 중량비는 약 1.5:1이고, 시트르산과 아스코르브산의 총량 대 5.10-MTHF의 중량비는 약 2:1이다. 용액의 pH는 약 5∼약 7로 다양할 수 있는데, 용액은 동결건조전에 본질적으로 중성 pH로 완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제물은 바람직하게 약 250∼약 330 mOsm/㎏의 등삼투압 범위의 삼투몰 농도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암 및 다른 장애의 치료에서 약물로 사용하기 위한 5.10-MTHF의 조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a) 시트르산 및 아스코르브산의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시트르산 대 아스코르브산의 중량비는 약 0.75:1∼약 2.25:1인 단계; (b) 상기 용액에 5,10-MTHF를 용해시키는 단계로서, 여기서 시트르산과 아스코르브산의 총량 대 5,10-MTHF의 중량비는 약 1.4:1∼약 3.4:1인 단계; 및 (c) 상기 용액을 본질적으로 중성 pH로 조정 및/또는 완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시트르산과 아스코르브산의 용액은 10℃로 냉각시키고, 5,10-MTHF가 모두 용액에 용해될때까지 상기 온도로 냉각 상태를 유지시킨다. 단계 (c)에서, 용액의 본질적으로 중성 pH는 이 용액의 pH를 당분야에서 공지된 임의 방식, 예컨대 NaOH 또는 HCl을 이용하여 조정 및/또는 완충시켜서 이룰 수 있다. 모든 5,10-MTHF가 용액에 용해되면, 조제된 5,10-MTHF를 이어서 바이알에 충진시키고 동결건조시킨다.
실시예 1
5,10-MTHF의 다양한 조제물의 상대적 안정성
본 실시예에서는 염기성 pH로 조정하지 않고 시트레이트와 아스코르브산을 이용하여 조제된 5,10-MTHF(즉, 약 pH 5의 산성 pH로 유지)가 시트레이트 단독으로 조제되고 pH 7.5 이상의 염기성 pH로 조정된 5,10-MTHF 보다 안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재료
시험 샘플 5,10-MTHF 시트르산3나트륨 아스코르브산 pH
비조제물 100 ㎎ 0 0 6.9
대조 건조 조제물 동결건조물 100 ㎎ 269 ㎎ 0 7.5-10.5
시험 조제물 #1 동결건조물 100 ㎎ 250 ㎎ 176 ㎎ 5.0
시험 조제물 #2 동결건조물 100 ㎎ 250 ㎎ 176 ㎎ 5.1
대조 조제물의 동결건조물의 각 바이알에는 100 ㎎ 5,10-MTHF, 269 ㎎ 시트르산나트륨 2수화물(시트르산3나트륨)을 포함하고, 동결건조전에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pH 7.5 내지 10.5로 조정하였다.
시험 조제물 #1 및 #2의 동결건조물의 각 바이알은 100 mg 5,10-MTHF, 250 mg 시트르산3나트륨, 및 176 mg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한다. pH는 약 5이다.
물에 용해
5,10-MTHF의 대조군 조제물의 동결건조물 및 시험 조제물의 동결건조물 각각에 10 ㎖ 멸균수를 부가하여 최종 농도가 10 mg/㎖이 되도록 하였다(이 용해 부피 및 농도는 암 치료 요법시 5,10-MTHF에 대해 최근에 가장 권장되는 임상 용도 지침 에 상응하는 것이다). 비조제 5,10-MTHF를 물에 용해시켜서 농도가 6 mg/㎖이 되도록 하였다. 비조제 5,10-MTHF의 농도가 보다 낮은 것은 비조제 5,10-MTHF의 최대 수용해도가 대략 6 mg/㎖이기 때문이다(시트르산3나트륨에 용해시, 5,10-MTHF는 용해도가 보다 높다(>10 mg/㎖)). 샘플들을 예상되는 실제 사용 조건에 가능한 가깝게 되도록 대기 조건하에 실온에서 보관하였다.
HPLC를 통한 안정성 분석
물에 용해시킨 5,10-MTHF의 안정성을 HPLC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의 식에 따라서 출발 순도를 기초로 5,10-MTHF의 정규화된 순도로서 기록하였다: 정규화 순도% = (% 5,10-MTHF X 시간)/(% 5,10-MTHF 0 시간)×(100)
pH 분석
물에 용해시킨 5,10-MTHF의 pH는 디지탈 pH 측정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시간 점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분석
5,10-MTHF 안정성 동력학은 선형 회귀 분석법(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수용해 이후 시간 경과에 따른 pH
시간(hr) 비조제 대조 조제물 동결건조물 시험 조제물 #1 동결건조물 시험 조제물 #2 동결건조물
0 6.88 7.89 4.96 5.08
0.25 6.89 7.95 5.01 5.11
0.5 6.87 7.96 5.02 5.12
0.75 6.85 7.95 5.02 5.12
1 6.83 7.93 5.02 5.11
2 6.77 7.87 5.01 5.11
4 6.80 7.80 5.01 5.1
6 6.83 7.74 5.03 5.13
8 6.81 7.70 5.03 5.13
24 6.79 7.59 5.04 5.13
상기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해 후 다양한 5,10-MTHF 조제물의 pH 분석 결과에 의하면 출발 시 편차가 있는 것과 정상 상태의 pH 판독 결과를 알 수 있다. 비조제 5,10-MTHF의 pH가 대략 pH 6.9의 중성 pH인 반면, 시트르산3나트륨만을 함유하는 대조 조제물의 동결건조물은 대략 pH 7.9의 염기성 pH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아스코르브산과 시트르산3나트륨 둘 다로 조제된 5,10-MTHF는 대략 pH 5.0 내지 pH 5.1의 산성 pH였다. pH 값은 24시간 동안 안정하였다.
수용해 이후 5,10-MTHF 안정성(정규화 순도%)
시간(시) 비조제 대조 조제물 동결건조물 시험 조제물 #1 동결건조물 시험 조제물 #2 동결건조물
0 100.0 100.0 100.0 100.0
0.5 94.9 98.8 99.3 97.3
1 92.4 97.8 99.0 97.0
2 90.3 96.2 98.4 96.6
4 85.9 90.5 96.9 95.9
8 77.8 86.5 95.8 95.7
12 69.6 80.9 95.7 N/A
18 55.1 72.4 96.6 90.8
24 44.9 65.0 88.9 88.8
N/A = 결과 입수 불가
상기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HPLC 분석에 의하면 각각의 조제물은 상이한 안정성 프로파일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기록과 유사하게, 중성 pH의 비조제 5,10-MTHF는 시간 경과에 따라 빠르게 분해되었다. 수용해 후 24시간 경, 비조제 5,10-MTHF의 순도는 출발 순도의 단지 44.9%였다. 시트르산3나트륨만을 함유하는 대조 조제물의 동결건조물(pH > 7.5로 조정)은 수용해 후 보다 느리게 분해되었다. 그러나, 24시간 후 순도는 출발 순도에 비하여 단지 65%였으며, 이는 시트르산3나트륨의 첨가 및 pH 조정만으로 분해가 효과적으로 억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놀랍게도, 아스코르브산 및 시트르산3나트륨 둘 다로 조제한 5,10-MTHF는 이전에 5,10-MTHF 안정성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던 산성 pH에서도, 가장 안정한 조제물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산성 환경(pH < 7)에서 환원제(예를 들어, 2-머캅토에탄올)가 효과적으로 5,10-MTHF의 분해를 방지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상당히 놀라운 결과이다.
수용해 후 5,10-MTHF 선형 회귀 분해율(순도%/시간)
조제물 분해율
비조제 -2.2
대조 조제물 동결건조물 -1.4
시험 조제물 #1 동결건조물 -0.5
시험 조제물 #2 동결건조물 -0.4
상기 안정성 프로파일의 선형 회귀 분석에 의하면 5,10-MTHF 분해는 시간 경과에 따라 직선이다(도 1 참조). 각 조제물에 대한 분해율(최적선의 기울기)은 다음과 같이 가장 최고 분해율에서 가장 느린 분해율의 순서로 나타내었다: 비조제 > 시트르산3나트륨으로만 조제 > 아스코르브산 및 시트르산3나트륨 둘다로 조제(표 3). 또한, 아스코르브산과 시트르산3나트륨 둘다를 함유하는 시험 조제물에 대하여, 시트르산3나트륨만을 함유하는 대조 조제물의 최적선 기울기의 통계 비교에 따르면 시험 조제물에 대한 분해율이 통계적으로 보다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안정한 5,1- MTHF 의 조제
이 실시예에서는 시트르산 및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본질적으로 중성 pH인 5,10-MTHF의 안정한, 동결건조된 조성물의 대표적인 조제 방법을 나타내었다.
재료
㎎/100 ㎖
5,10-MTHF 5000
시트르산, 무수, 분말, USP 6000
아스코르브산, 과립, USP 4000
pH 조정용 NaOH/HCl
주입용 물(WFI), USP to qs 100
과정
1. 30분간 여과된 질소 가스, NF로 WFI를 살포하였다.
2. 100 ㎖ 플라스틱병의 포장 중량을 기록하였다.
3.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및 약 90 g N2 살포된 물을 평량하였다. 용해되도록 혼합하였다.
4. 1 N NaOH 또는 HCl로 pH를 7.0±0.1로 조정하였다.
5. 용액을 10℃로 냉각시켰다.
6. 5,10-MTHF를 첨가하고 용해되도록 혼합하였다.
7. pH를 기록하였다(7.0±0.2).
8. 최종 중량 110 g(또는 100 ㎖)이 되도록 물을 더욱 첨가하였다. 중량을 기록하였다.
9. 용액을 가능한 차게 유지시키면서 0.2 마이크론 필터를 통과시켰다.
10. 용액을 가능한 차게 유지시키면서 바이알에 충진시켰다(바이알 당 2 ㎖ 또는 100 ㎎ 5,10-MTHF 칼슘 염).
11. 동결건조시켰다.
12. 상부 공간에서 질소를 이용하여 약한 진공하에서 바이알을 밀봉시켰다.
13. 바이알을 밀착하여 구부렸다(crimp).
실시예 3
조제 5,10-MTHF의 단기 안정성
이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비율의 시트르산 및 아스코르브산으로 조제된 본질적으로 중성 pH의 5,10-MTHF의 조성물이 단기간 동안(최대 3일) 용액 중에서 안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재료
조제물 (동결건조물) 5,10-MTHF (㎎/바이알) 시트르산 (㎎/바이알) 아스코르브산 (㎎/바이알) pH
F27 12.5 7.5 10 7.0
F28 12.5 15 10 7.0
F29 12.5 22.5 10 7.0
과정
1. 동결건조된 5,10-MTHF의 각 바이알(실시예 2에 기술한 바와 같이 조제됨)에 2.5 ㎖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5 ㎎/㎖ 용액을 얻었다.
2. 용액을 2∼8℃로 냉각시켰다.
3. 0, 1, 2 및 3일 경에 0.5 g의 용액을 취하고 4.5 g의 냉각된 HPLC 희석제(20% 덱스트로스)를 첨가하였다.
4. HPLC에 주입하고 농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신규 조제물의 단기 안정성
조제물 초기 농도 (㎎/g) 1일@5℃ (㎎/g) 초기 농도에 대한 회수율% (㎎/g) 2일@5℃ (㎎/g) 초기 농도에 대한 회수율% (㎎/g) 3일@5℃ (㎎/g) 초기 농도에 대한 회수율% (㎎/g)
F27 4.15 4.14 99.7 4.16 100.2 4.1 98.7
F28 4.60 4.62 100.3 4.63 100.6 4.6 99.9
F29 4.61 4.37 94.6 4.34 94.0 4.4 95.4
표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3종의 조제물은 시험 기간 동안 상당한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조제물 F28이 가장 안정하였다.
실시예 4
조제된 5,10- MTHF 중기간 안정성
이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라서, 다양한 비율로 시트르산 및 아스코르브산을 이용하여 조제된 5,10-MTHF의 조성물이 스트레스 조건(40℃의 온도)하에서도 중기간 동안(7 내지 14일) 동결건조 형태로 안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재료-상기 실시예 3과 동일
과정
1. 동결건조물을 40℃에서 유지시켰다.
2. 각 시간 점(1 및 2주)에서, 동결건조된 5,10-MTHF의 각 바이알(실시예 2에 기술된 바와 같이 조제됨)에 2.5 ㎖의 탈이온수를 첨가하고 2분간 잘 혼합하여 투명한 노란색 용액을 얻었다.
3. 0.5 g의 용액을 취하고 4.5 g의 냉각된 HPLC 희석제(20% 덱스트로스)를 첨가하여 0.5 ㎎/㎖의 이론적 농도를 얻었다.
4. HPLC에 주입하고 농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신규 조제물의 중기간 안정성
조제물 초기 농도 (㎎/g) 1주@5℃ (㎎/g) 초기 농도에 대한 회수율% (㎎/g) 2주@5℃ (㎎/g) 초기 농도에 대한 회수율% (㎎/g)
F27 4.48 4.23 94.5 4.20 93.8
F28 4.93 4.74 96.2 4.88 99.1
F29 4.97 4.80 96.5 4.78 96.1
표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3종의 조제물은 2주 후에도 안정하였고, 조제물 F28이 가장 안정하였다.
실시예 5
조제된 5,10- MTHF 의 장기 안정성
이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서, 다양한 비율로 시트르산 및 아스코르브산을 이용하여 조제된, 본질적으로 중성 pH의 5,10-MTHF의 조성물이 25℃의 온도에서 유지시킨 경우에도, 장기간 동결건조 형태로 안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재료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조제되고 동결건조된 5,10-MTHF를 제조하였다. 각 바이알에는 100 mg 5,10-MTHF, 127 mg 시트르산 및 85 mg 아스코르브산이 함유되었다.
과정
동결건조물을 5℃ 또는 25℃ 및 60% 상대 습도에서 유지시켰다. 각 시간점(3주 및 6주)에서 동결건조된 5,10-MTHF의 각 바이알에 10 ㎖ 멸균수를 첨가하여, 투명하고 연한 호박색 용액을 얻었으며, pH를 측정하였다. 2 ㎖ 용액을 25 ㎖ HPLC 희석제를 이용하여 추가로 희석하고, HPLC로 농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조제된 5,10-MTHF의 장기 안정성
보관 조건 시간 케익 외관 용액 외관 pH 회수율 mg 총 불순물 (UV 면적%)
0t 균일한 케익, 연한 베이지/오렌지색으로서, 상층부에 진한 오렌지색의 일부 작은 반점 존재 투명하고, 연한 호박색 7.13 107.5 5.3
5℃ 3주 균일한 케익, 노란-오렌지색으로서, 상층부에 보다 진한 오렌지색의 일부 작은 반점 존재 투명하고, 연한 호박색 7.17 93.9 5.5
25℃ 3주 균일한 케익, 연한 베이지/오렌지색으로서, 상층부에 진한 오렌지색의 일부 작은 반점 존재 투명하고, 연한 호박색 7.13 92.4 5.9
5℃ 6주 균일한 케익, 연한 베이지/오렌지색으로서, 상층부에 진한 오렌지색의 일부 작은 반점 존재 투명하고, 연한 호박색 7.17 93.4 5.5
25℃ 6주 균일한 케익, 연한 베이지/오렌지색으로서, 상층부에 진한 오렌지색의 일부 작은 반점 존재 투명하고, 연한 호박색 7.15 94.1 5.4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제물은 두 보관 조건에서 6주 후에 안정하였다.

Claims (9)

  1. 시트르산 및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의 약학적 염을 포함하는 5,10-MTHF의 안정한, 동결건조 조성물로서, 여기서 시트르산 대 아스코르브산의 중량비는 약 0.75:1∼약 2.25:1의 범위이고, 시트르산과 아스코르브산의 총량 대 5,10-MTHF의 중량비는 약 1.4:1∼약 3.4:1의 범위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시트르산 대 아스코르브산의 중량비는 약 1.5:1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시트르산과 아스코르브산의 총량 대 5,10-MTHF의 중량비는 약 2:1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용액으로 존재하고, 여기서, 상기 용액은 pH가 약 pH 5∼약 pH 7인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용액은 본질적으로 중성 pH인 조성물.
  6. 5,10-MTHF의 안정한, 동결건조 조성물의 조제 방법으로서,
    (a) 시트르산 및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의 약학적 염의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시트르산 대 아스코르브산의 중량비는 약 0.75:1∼약 2.25:1의 범위 인 단계;
    (b) 상기 용액에 5,10-MTHF를 용해시키는 단계로서, 여기서 시트르산과 아스코르브산의 총량 대 5,10-MTHF의 중량비는 약 1.4:1∼약 3.4:1의 범위인 단계; 및
    (c) 상기 용액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시트르산 대 아스코르브산의 중량비는 약 1.5:1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시트르산과 아스코르브산의 총량 대 5,10-MTHF의 중량비는 약 2:1인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동결건조 단계 전에 용액의 pH를 본질적으로 중성 pH로 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087015955A 2005-12-02 2006-11-30 5,10 메틸렌테트라히드로폴레이트의 안정한 약학 조성물 KR200800742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4186105P 2005-12-02 2005-12-02
US60/741,861 2005-1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201A true KR20080074201A (ko) 2008-08-12

Family

ID=3809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955A KR20080074201A (ko) 2005-12-02 2006-11-30 5,10 메틸렌테트라히드로폴레이트의 안정한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221594A1 (ko)
EP (1) EP1968551A2 (ko)
JP (1) JP2009518305A (ko)
KR (1) KR20080074201A (ko)
CN (1) CN101321518A (ko)
AU (1) AU2006320388A1 (ko)
CA (1) CA2631755A1 (ko)
TW (1) TW200727903A (ko)
WO (1) WO20070649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17421A1 (en) 2012-01-20 2013-07-24 Isofol Medical AB Tetrahydrofolates in combination with EGFR-inhibitors in the use of treating cancer
EP2617422A1 (en) 2012-01-20 2013-07-24 Isofol Medical AB Anti-tumor activity of reduced folates like methylene-tetrahydrofolate, tetrahydrofolate or methyl-tetrahydrofolate
WO2013168167A1 (en) 2012-05-10 2013-11-14 Painreform Ltd. Depot formulations of a hydrophobic active ingredient and methods for preparation thereof
EP2837631A1 (en) * 2013-08-14 2015-02-18 Merck & Cie New stable salt of 5,10-methylene-(6R)-tetrahydrofolic acid
WO2018065445A1 (en) * 2016-10-05 2018-04-12 Isofol Medical Ab [6r]-mthf multiple bolus administration in 5-fluorouracil based chemotherapy
EP3305318A1 (en) * 2016-10-05 2018-04-11 Isofol Medical AB [6r]-5,10-methylenetetrahydrofolate in 5-fluorouracil based chemotherapy
WO2018065446A1 (en) * 2016-10-05 2018-04-12 Isofol Medical Ab [6r]-mthf - an efficient folate alternative in 5-fluorouracil based chemotherapy
EP3446703A1 (en) 2017-08-24 2019-02-27 Isofol Medical AB 6r]-mthf multiple bolus administration in 5-fluorouracil based chemotherapy
EP3446704A1 (en) * 2017-08-24 2019-02-27 Isofol Medical AB [6r]-mthf - an efficient folate alternative in 5-fluorouracil based chemotherapy
WO2018150264A1 (en) 2017-02-14 2018-08-23 Isofol Medical Ab METHODS FOR INCREASING BLOOD PLASMA 2'-DEOXYURIDINE (dUrd) AND THYMIDYLATE SYNTHASE INHIBITION
DK3668516T3 (da) * 2017-08-16 2021-12-13 Merck Patent Gmbh Stabile lyofilisater omfattende 5,10-methylen-(6r)-tetrahydrofolsyre og en dicarboxylsyre
CA3087514A1 (en) * 2018-01-05 2019-07-11 Isofol Medical Ab Methods for treating colorectal and metastatic colorectal cancers
WO2023237485A1 (en) 2022-06-08 2023-12-14 Merck Patent Gmbh Stable lyophilisates comprising 5,10-methylene-(6r)-tetrahydrofolic acid
WO2023237482A1 (en) 2022-06-08 2023-12-14 Merck Patent Gmbh Concentrated solutions comprising sodium 5,10-methylene-(6r)- tetrahydrofolate
WO2023237484A1 (en) 2022-06-08 2023-12-14 Merck Patent Gmbh Compositions comprising disodium 5,10-methylene-(6r)-tetrahydrofolate
WO2023237483A1 (en) 2022-06-08 2023-12-14 Merck Patent Gmbh Concentrated solutions comprising 5,10-methylene-(6r)-tetrahydrofolic aci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97021A5 (de) * 2003-06-26 2008-03-31 Merck Eprova Ag Stabil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von 5, 10-Methylentetrahydrofol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21518A (zh) 2008-12-10
TW200727903A (en) 2007-08-01
AU2006320388A1 (en) 2007-06-07
EP1968551A2 (en) 2008-09-17
WO2007064968A3 (en) 2007-12-27
JP2009518305A (ja) 2009-05-07
CA2631755A1 (en) 2007-06-07
WO2007064968A2 (en) 2007-06-07
US20090221594A1 (en) 200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4201A (ko) 5,10 메틸렌테트라히드로폴레이트의 안정한 약학 조성물
EP1453517B1 (en) Platinum derivative pharmaceutical formulations
EP2991619B1 (en)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olates
ES2384451T3 (es) Aplicación de levo-ornidazol en la preparación de un medicamento contra la infección de bacterias anaeróbicas .
EP2991618B1 (en) Stable high strength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levoleucovorin
US20160030573A1 (en)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5,10-methylenetetrahydrofolate
KR101693675B1 (ko) 페메트렉시드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안정화된 약학조성물
EP4309656A2 (en) Oral solution formulation
EP2120934B1 (en) Freeze-dried injectable pharmaceutical combination of semisynthetic vinca alkaloids and carbohydrate stable at room temperature
CN1352944A (zh) 吉西他滨溶液制剂
WO2007022105A2 (en)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and methods of their use
US20030109460A1 (en) Medicinal composition containing camptothecin derivative and ph regulating agent
EP4309642A1 (en) Liquid preparation of l-serin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WO2023237483A1 (en) Concentrated solutions comprising 5,10-methylene-(6r)-tetrahydrofolic acid
EP0369714A1 (en) Cisplatin hypertonic so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