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181A -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181A
KR20080073181A KR1020070011871A KR20070011871A KR20080073181A KR 20080073181 A KR20080073181 A KR 20080073181A KR 1020070011871 A KR1020070011871 A KR 1020070011871A KR 20070011871 A KR20070011871 A KR 20070011871A KR 20080073181 A KR20080073181 A KR 20080073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ptical point
background image
display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8138B1 (ko
Inventor
이칠우
김민욱
김장운
김송국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11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138B1/ko
Publication of KR20080073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06F3/0321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by optically sensing the absolute position with respect to a regularly patterned surface forming a passive digitiser, e.g. pen optically detecting position indicative tags printed on a paper she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6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for light 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 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레이저 포인터가 가리키는 포인트에 제어신호를 부여하여 상기 레이저 포인터를 마우스나 키보드와 같이 컴퓨터 입력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은 입력된 배경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광 포인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배경 영상 및 상기 광 포인트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레이저 포인터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는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배경 영상과 상기 광 포인트를 분리하고, 상기 광 포인트의 위치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영상 인식 수단 및 상기 영상 인식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레이저 포인터, 세그멘테이션, 영상 캡쳐, 프레젠테이션, 빔 프로젝터

Description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Using Remote Poin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을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트/ 배경 영상 분리기에 의해 광 포인트와 배경 영상이 분리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의 페이지 업/다운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의 펜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의 영상 개체 이동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빔 프로젝터 200:레이저 포인터
200a:카메라 400:컴퓨터
500:스크린 420:영상 인식 수단
430:디스플레이 제어 수단 424:배경 영상 인식기
433:비디오 메모리
본 발명은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 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레이저 포인터가 가리키는 포인트에 제어신호를 부여하여 상기 레이저 포인터를 마우스나 키보드와 같이 컴퓨터 입력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란 표시장치라고도 하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빔 프로젝트와 스크린, LCD/PDP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영화관의 스크린, 가정에서 사용하는 텔레비전 더 나아가 비디오 게임장의 모니터 등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프리젠테이션 분야나 원격조정 분야에서 발표자 등이 발표시에 보조자의 도움이 없으면 진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빔 프로젝트와 스크린, LCD/PDP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영화관의 스크린, 가정에서 사용하는 텔레비전 더 나아가 비디오 게임장의 모니터의 제어 분야에서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조작할 수 있는 입력수단의 요구가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를 레이저 포인터로 간편히 조작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조사되는 다양한 컬러 광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과 상기 기능을 선택하는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배경 영상뿐만 아니라 컴퓨터의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배경 영상을 이용하여 배경 영상을 인식함으로써, 배경 영상의 신속하고 정확한 인식을 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은 입력된 배경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광 포인트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포인터, 상기 배경 영상 및 상기 광 포인트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처리된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는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배경 영상과 상기 광 포인트를 분리하고, 상기 광 포인트의 위치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영상 인식 수단 및 상기 영상 인식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은 입력된 배경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광 포인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배경 영상 및 상기 광 포인트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레이저 포인터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처리된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는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배경 영상과 상기 광 포인트를 분리하고, 상기 광 포인트의 위치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영상 인식 수단 및 상기 영상 인식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 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은 상기 배경 영상을 저장하는 비디오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경 영상을 상기 영상 인식 수단에 전송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인식 수단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배경 영상을 인식하거나 상기 비디오 메모리로부터 저장된 배경 영상을 인식하는 배경 영상 인식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인식 수단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외부영상 캡처기, 상기 캡처된 영상정보를 상기 배경 영상과 상기 광 포인트로 분리하는 광 포인트/배경 영상 분리기, 상기 분리된 광 포인트를 인식하는 광 포인트 동작 인식기, 상기 인식된 광 포인트의 위치를 상기 배경 영상에 정합하는 광 포인트 정합기, 상기 정합된 광 포인트의 위치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발생기 및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으로 전송하는 제어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은 상기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된 배경 영상을 캡처하는 상기 배경 영상 인식기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영상 캡처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포인트 정합기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광 포인트의 위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에 정합되도록 상기 카메라의 해상도에 일정한 값을 곱셈 또는 나눗셈하여 정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포인트/배경 영상 분리기는 상기 영상 정보 중 특정 위치의 이미지 화소값(R,G,B)이 상기 광 포인트의 예상되는 이미지 화소값(R',G',B') 이상이고 상기 배경 영상의 이미지 화소값(R",G",B") 이하인 제 1 구역과 상기 분할된 영상정보에서 제 1 구역을 제외한 나머지 구역인 제 2 구역으로 분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발생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일정부분에 상기 광 포인트가 한번 발생한 후, 일정시간 내에 다시 한번 발생할 경우 사용자 프로그램의 문서 슬라이드 페이지 업/다운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발생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일정부분에 상기 광 포인트가 일정시간동안 계속하여 발생할 경우 사용자 프로그램의 문서 슬라이드 페이지 업/다운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포인트는 다수개의 컬러 광을 포함하며, 상기 컬러 광들은 마우스나 키보드와 같이 입력수단의 기능을 하는 입력 광 및 상기 입력 광의 기능들을 선택하는 모드 광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광의 기능은 문서 슬라이드의 페이지 업/다운 기능, 밑줄을 긋거나 글자를 쓰는 펜 기능, 상기 밑줄이나 글자를 지우는 지우개 기능 및 사용자 프로그램상의 영상 개체를 이동하게 하는 영상 개체 이동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들은 상기 모드 광의 광 포인트 발생에 의해 선택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은 빔 프로젝터(100), 레이저 포인터(200), 컴퓨터(400) 및 스크린(50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란 표시장치라고도 하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화면을 뜻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빔 프로젝터와 스크린, LCD/PDP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영화관의 스크린, 가정에서 사용하는 텔레비전 더 나아가 비디오 게임장의 모니터 등 다양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빔 프로젝터(100)와 상기 스크린(500)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정하였지만 상기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빔 프로젝터(100)는 컴퓨터(400)로부터 영상 정보를 입력받아 렌즈를 통해 확대된 영상을 스크린(500)에 투영한다.
상기 레이저 포인터(200)는 내부에 카메라(200b)를 구비하며, 상기 컴퓨터(40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내부에는 레이저 발생 모듈(미도시)이 구비되고 외부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은 무선랜, 와이파이, RF통신 및 블루투스 군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된다. 그러나, 상기 레이저 포인터(200)는 상기 컴퓨터(400)와 유선으로도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레이저 포인터(200)는 발표자가 상기 스크린(500)상에 투영된 영상을 쉽게 포인팅할 수 있도록 직선 광을 조사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200b)는 상기 스크린(500)에 투영된 영상 및 상기 레이저 포인터(200)에서 조사된 광 포인트를 초당 30프레임의 속도로 촬영을 하여 상기 컴퓨터(400)로 전송한다.
상기 컴퓨터(400)는 영상 인식 수단 및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을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은 상기 컴퓨터(400)에 영상인식 수단(420) 및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43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영상인식 수단(420)은 외부 영상 캡처기(421), 광 포인트/배경 영상 분리기(422), 포인팅 동작인식기(423), 배경 영상 인식기(424), 광 포인트 정합기(425), 제어명령 발생기(420) 및 제어 출력 인터페이스(427)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430)은 디스플레이 제어기(431), 디스플레이 영상 캡처기(432), 비디오 메모리(433) 및 제어 입력 인터페이스(434)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영상 캡처기(421)는 상기 카메라(200b)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캡처하여 광 포인트/배경 영상분리기(422)로 광 포인트 영상과 배경 영상을 전송한다.
상기 광 포인트/배경 영상 분리기(422)는 상기 카메라(200b)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중 배경 영상과 광 포인트를 분리한다. 이 분리하는 과정은 세그멘테이션 과정이라고도 하며 영상의 밝기, 색상, 텍스처 또는 모션 등과 같은 유사한 특성을 찾아 영역 단위로 분할하는 작업이다. 즉, 배경 영상에서 관심 있는 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말한다.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하기로 한다.
상기 포인팅 동작 인식기(423)는 상기 분리된 광 포인트의 위치나 움직임을 인식하며, 상기 위치나 움직임 등의 동작은 입력된 포인팅 동작 DB(423a)를 바탕으로 인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포인팅 동작 DB(423a)에 포인터의 펜 기능, 이동, 클릭, 영상 개체 이동 등 다양한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광 포인트의 위치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배경 영상 인식기(424)는 상기 광 포인트/ 배경 영상 분리기(422)에 분리된 배경 영상을 인식한다. 또한 상기 배경 영상 인식기(424)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상 캡처기에 (432)에서 전송되는 배경 영상을 인식할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카메라(200b)부터 촬영되어 캡처된 배경 영상의 경우 환경이 열악하여 화면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을 경우, 상기 카메라(200b)에서 촬영된 영상으로 영상인식을 적용하기란 쉽지않다. 따라서, 상기 비디오 메모리(433)에 저장되어 있는 배경 영상을 이용하여 배경 영상을 인식한다. 상기 비디오 메모리(433)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될 배경 영상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정확한 디지털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경 영상의 오브젝트(영상 개체)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광 포인트 정합기(425)는 상기 인식된 광 포인트의 위치나 동작을 상기 인식된 배경 영상에 정합한다.
또한, 상기 정합과정은 상기 카메라(200b)의해 촬영된 영상 프레임의 해상도를 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에 맞추는 과정이다. 상기 광 포인트 정합기(425)는 상기 카메라(200b)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의 해상도가 상기 컴퓨터(400)의 모니터 해상도와 매칭이 되도록 일정한 값을 곱셈하거나 나눗셈하는 방법으로 상기 영상 정보를 처리한다.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200b)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의 해상도가 320×240이고 상기 컴퓨터(400)의 모니터 해상도 1024×768이라면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의 해상도의 x값(320)에 3.2(1024/320) 값을 곱해주고 y값(240)에 3.2(768/240) 를 곱해주면 스크린에서의 위치 값(x',y')을 얻을 수 있다. 즉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10856854-PAT00001
따라서 정확한 상기 광 포인트의 정확한 위치에서 제어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 발생기(426)는 광 포인트 정합기(424)에서 상기 광 포인트의 위치나 동작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프로그램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 출력 인터페이스(424) 상기 제어명령 발생기(427)에서 출력되는 제어신소를 상기 제어 입력 인터페이스(434)와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기(431)로 전송해준다.
상기 제어 입력 인터페이스(434)는 상기 제어 명령 발생기(427)에서 전송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메모리(433)에 저장된 배경 영상 정보를 상기 상기 빔 프로젝터(100)나 상기 모니터(410)로 출력하게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기(431)는 상기 제어출력 인터페이스(427)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 영상 캡처기(432)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상 캡처기(432)는 상기 비디오 메모리(433)에 있는 배경 영상 정보를 캡처하여 상기 배경 영상 인식기(424)로 전송해준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200b)에 의해 촬영된 배경 영상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을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 영상 캡처기(432)에서 캡처된 배경 영상을 이용함으로써, 배경 영상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포인트/ 배경 영상 분리기에 의해 광 포인트와 배경 영상이 분리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광 포인트/배경 영상 분리기(422)는 상기 광 포인트와 상기 배경 영상을 분리한다. 이 과정은 세그멘테이션 과정이라고도 하며, 상기 카 메라(200b)에 촬영된 영상 화소 중 프로그램에서 정의된 특정 컬러 값을 가지는 화소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특정 컬러 값을 RGB(255,0,0) 이상 RGB(255,255,255)이하로 설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포인터(200)의 광 포인트 컬러는 붉은색(RGB(255,0,0)) 이지만 그 밝기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크린(500)의 컬러값(RGB(255,255,255)) 과의 범위에서 설정하였다.
그러나 상기 레이저 포인터(200)의 광 포인트 색깔에 따라 상기 특정 컬러 값을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특정 컬러 값이 RGB(255,0,0)보다 크고 RGB(255,255,255)보다 작은 구역을 제 1 구역(510)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 1 구역 이외의 구역인 제 2 구역(520)으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 1 구역(510)은 수학식 2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10856854-PAT00002
즉, 상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화소의 컬러 값(R,G,B)이 상기 레이저 포인터(200)가 광 포인트를 발생시키는 위치를 뜻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수학식 2을 만족하는 화소들은 검은 색으로 처리되고(제 1 구역(510)) 만족하지않는 화소들(제 2 구역(520))은 흰색으로 처리된다.
따라서, 상기 광 포인트를 정확하고 쉽게 인식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400)에 상기 제 1 구역(510)이 인식된다.
이렇게 인식된 제 1 구역(510)은 상기 광 포인트 정합기(425)에 의해 정합되어 배경 영상의 특정 위치에 제어 신호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마우스가 클릭 되었다는 신호나 키보드 상의 특정키가 눌러 졌다는 신호등을 부여하여 현재 컴퓨터(400)에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실행 메시지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비주얼C++의 비쥬얼 키 함수(Virtual Key Function)와 마우스 이벤트 함수(Mouse Event Function)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의 페이지 업/다운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레이저 포인터(200)에 의해 사용자의 프로그램 슬라이드 페이지가 업/다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레이저 포인터(200)의 광 포인트은 컴퓨터의 입력수단인 마우스나 키보드와 같은 기능을 하는 입력 광(210)과 상기 입력 광(210)의 기능을 선택하는 모드광(2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력 광(210)은 붉은색 레이저로 구비되고 상기 모드 광(220)은 녹색 레이저로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직선 광들은 상기 레이저 포인터(200)로 발생시킬 수 있는 컬러라면 어떠한 컬러도 가능하다.
상기 입력 광(210)이 스크린(500)의 중앙에서 왼쪽부분을 클릭하면 상기 프 로그램 슬라이드가 현재 슬라이드(600a)의 이전 슬라이드(600)로 넘어간다. 또한 상기 입력 광(210)이 상기 스크린(500)의 중앙에서 오른쪽부분을 클릭하면 상기 프로그램 슬라이드가 현재 슬라이드(600c)의 다음 슬라이드(600d)로 넘어가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릭은 상기 입력 광(210)의 점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릭 기능이 상기 스크린(500)에 입력 광(210)의 포인트가 한번 입력되고(500a) 일정한 시간 내에(500b) 다시 상기 입력 광(210)의 포인트가 인식(500c)되면 마우스의 클릭 기능을 하도록 구현되었다. 또한 상기 일정한 시간은 0.5초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처음 입력 광(210)의 포인트 인식(500a) 후 0.5초 이내(500b)에 다시 상기 입력 광(210)의 포인트가 인식되지 않으면 처음 인식된 포인트는 초기화 된다. 그러나 상기 일정한 시간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의 클릭 기능 구현 방법 이외에 타이머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광(210)의 포인트가 일정한 시간 동안 포인팅되면 상기 클릭기능을 하게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의 펜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스크린(500)에 모드 광(220)을 한번 포인팅(500a)한 후에 입력 광(210)을 포인팅하여 일정한 위치로 드레그하면(500b) 프로그램 슬라이드(700,700a) 상에 밑줄(710a)이 그려진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드 광(220)을 한번 포인팅하면 상기 입 력 광(210)이 펜기능을 하도록 하였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의 영상 개체 이동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스크린(500)에 모드 광(220)을 두번 포인팅(500a)시킨 후 입력 광(210)을 프로그램 슬라이드 상의 영상 개체(810)에 포인팅하여 일정한 위치로 드레그하면(500b) 상기 영상 개체(810)가 상기 입력 광(210)이 드레그 한 위치(210b)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드 광(220)을 두 번 포인팅하면 상기 입력 광(210)이 영상 개체 이동기능을 하도록 하였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을 참조하면 레이저 포인터(200a)와 카메라(200b)가 따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카메라가 구비된 레이저 포인터가 없더라도 프리젠테이션 시에 상기 카메라(200b)를 별도로 준비하여 프리젠테이션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하여 디 스플레이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프리젠테이션시에는 보조자의 도움이 없이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텔레비전의 영상 조작기능이나 비디오게임의 조이스틱,버튼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포인터에서 조사되는 다수개의 컬러 광을 이용하여 문서 슬라이드의 페이지 업/다운 기능, 밑줄을 긋거나 글자를 쓰는 펜 기능 및 상기 컴퓨터 화면 내에서 영상 개체를 이동하게 하는 영상 개체 이동기능 제공하므로 발표자가 상기 컴퓨터 조작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경 영상 인식기에서 상기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된 배경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배경 영상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로부터 양질의 배경 영상을 입력받기 어려운 환경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상기 배경 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입력된 배경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광 포인트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포인터;
    상기 배경 영상 및 상기 광 포인트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처리된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는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배경 영상과 상기 광 포인트를 분리하고, 상기 광 포인트의 위치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영상 인식 수단 및
    상기 영상 인식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2. 입력된 배경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광 포인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배경 영상 및 상기 광 포인트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레이저 포인터;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처리된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는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배경 영상과 상기 광 포인트를 분리하고, 상기 광 포인트의 위치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영상 인식 수단; 및
    상기 영상 인식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은 상기 배경 영상을 저장하는 비디오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경 영상을 상기 영상 인식 수단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인식 수단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배경 영상을 인식하거나 상기 비디오 메모리로부터 저장된 배경 영상을 인식하는 배경 영상 인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인식 수단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외부영상 캡처기;
    상기 캡처된 영상정보를 상기 배경 영상과 상기 광 포인트로 분리하는 광 포인트/배경 영상 분리기;
    상기 분리된 광 포인트를 인식하는 광 포인트 동작 인식기;
    상기 인식된 광 포인트의 위치를 상기 배경 영상에 정합하는 광 포인트 정합기;
    상기 정합된 광 포인트의 위치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발생기; 및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으로 전송하는 제어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은 상기 비디오 메모리에 저장된 배경 영상을 캡처하는 상기 배경 영상 인식기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영상 캡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포인트 정합기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광 포인트의 위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에 정합되도록 상기 카메라의 해상도에 일정한 값을 곱셈 또는 나눗셈하여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포인트/배경 영상 분리기는 상기 영상 정보 중 특정 위치의 이미지 화소값(R,G,B)이 상기 광 포인트의 예상되는 이미지 화소값(R',G',B') 이상이고 상기 배경 영상의 이미지 화소값(R",G",B") 이하인 제 1 구역과 상기 분할된 영상정보에서 제 1 구역을 제외한 나머지 구역인 제 2 구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발생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일정부분에 상기 광 포인트가 한번 발생한 후, 일정시간 내에 다시 한번 발생할 경우 사용자 프로그램의 문서 슬라이드 페이지 업/다운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포인팅 장치 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발생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일정부분에 상기 광 포인트가 일정시간동안 계속하여 발생할 경우 사용자 프로그램의 문서 슬라이드 페이지 업/다운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포인트는 다수개의 컬러 광을 포함하며, 상기 컬러 광들은 마우스나 키보드와 같이 입력수단의 기능을 하는 입력 광 및 상기 입력 광의 기능들을 선택하는 모드 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광의 기능은:
    문서 슬라이드의 페이지 업/다운 기능;
    밑줄을 긋거나 글자를 쓰는 펜 기능;
    상기 밑줄이나 글자를 지우는 지우개 기능; 및
    사용자 프로그램상의 영상 개체를 이동하게 하는 영상 개체 이동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들은 상기 모드 광의 광 포인트 발생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KR1020070011871A 2007-02-05 2007-02-05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KR100858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871A KR100858138B1 (ko) 2007-02-05 2007-02-05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871A KR100858138B1 (ko) 2007-02-05 2007-02-05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181A true KR20080073181A (ko) 2008-08-08
KR100858138B1 KR100858138B1 (ko) 2008-09-10

Family

ID=3988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871A KR100858138B1 (ko) 2007-02-05 2007-02-05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1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8815A2 (ko) * 2010-03-02 2011-09-09 (주)실리콘화일 포인팅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065771B1 (ko) * 2009-05-07 2011-09-19 (주)초이스테크놀로지 터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280840B1 (ko) * 2013-04-23 2013-07-02 (주)유한프리젠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스크린상에서 레이저 포인트 위치 좌표 인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391B1 (ko) * 2008-11-18 2011-11-21 주식회사 코아로직 영상 지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058A (ko) * 2002-08-14 200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포인팅 시스템
KR100598939B1 (ko) 2004-02-25 2006-07-12 김성필 영상인식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0660137B1 (ko) 2005-11-16 2006-12-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입력 장치와 그를 이용한프리젠테이션 제공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771B1 (ko) * 2009-05-07 2011-09-19 (주)초이스테크놀로지 터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WO2011108815A2 (ko) * 2010-03-02 2011-09-09 (주)실리콘화일 포인팅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11108815A3 (ko) * 2010-03-02 2012-01-12 (주)실리콘화일 포인팅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280840B1 (ko) * 2013-04-23 2013-07-02 (주)유한프리젠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의 스크린상에서 레이저 포인트 위치 좌표 인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8138B1 (ko)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86293B (zh) 显示装置、显示系统以及显示装置的数据供给方法
CN103197778B (zh) 显示装置、投影仪、显示系统以及设备的切换方法
JP3909554B2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3419050B2 (ja) 入力装置
JP7270661B2 (ja) ビデオ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電子機器、記憶媒体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939943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WO2014208168A1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10666853B2 (en) Virtual makeup device, and virtual makeup method
CN103092432A (zh) 人机交互操作指令的触发控制方法和系统及激光发射装置
US20120236180A1 (en) Image adjustment method and electronics system using the same
CN102194136A (zh) 信息识别系统及其控制方法
WO2018133275A1 (zh) 一种物体识别及投影互动装置
US20150261385A1 (en) Picture signal output apparatus, picture signal output method, program, and display system
KR100858138B1 (ko) 원격 포인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US20100066865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system
KR100660137B1 (ko) 레이저 포인터를 이용한 입력 장치와 그를 이용한프리젠테이션 제공 시스템
US10410323B2 (e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displaying a second image that includes options for manipulating a first image
JP2017169086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28849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2085137A (ja) 画像入力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入力装置の制御方法
JP2009276507A (ja) 投写型表示装置、投写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709529B1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영상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598939B1 (ko) 영상인식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및 방법
US10712841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system,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display control program
KR20040088159A (ko) 공간상 움직임에 기반한 입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