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2696A - 반투명 또는 투명 커버 및 그 커버를 구비한 장치 - Google Patents

반투명 또는 투명 커버 및 그 커버를 구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2696A
KR20080072696A KR1020087013106A KR20087013106A KR20080072696A KR 20080072696 A KR20080072696 A KR 20080072696A KR 1020087013106 A KR1020087013106 A KR 1020087013106A KR 20087013106 A KR20087013106 A KR 20087013106A KR 20080072696 A KR20080072696 A KR 20080072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ength
wire
electronic device
form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 수
밍 이웅 첸
닝 우
광 핑 쩌우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72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600)는 투명한 커버(100)를 구비한다. 변환기 조립체(115)는 커버 몸체(100) 내에 존재한다. 와이어(150)는 변환기 조립체(115)로부터 나오며, 커버 몸체 내에서 커버(100)의 중심 종방향 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위치한다. 커버(100)는 힌지 조립체(610)에 의해 전자 장치(600)의 몸체(605)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투명 커버, 전자 장치 커버, 전자 장치 투명 커버, 개인 휴대 통신 장치 커버, 휴대용 전자 장치 투명 커버

Description

반투명 또는 투명 커버 및 그 커버를 구비한 장치 {TRANSLUCENT OR TRANSPARENT COVER AND DEVICE WITH SUCH A COVER}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반투명 또는 투명 가동 커버(movable cover)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치의 몸체에 가동식으로 장착된 반투명 또는 투명 가동 커버를 구비한 투파트(two-part) 라디오 통신 장치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 특히 유용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가동 커버는 전자 장치상의 사용자 접촉 영역을 덮는데 종종 사용된다. 이러한 커버(종종 문, 플랩 또는 플립이라 불림)는 휴대폰, 또는 이동식 라디오 전화, 양방향 라디오 등과 같은 개인 휴대 통신 장치상에 점점 더 배치되어, 장치가 우연히 작동되지 않도록 장치의 사용자 접촉 영역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커버는, 종종 장치의 본체(main body)에 접는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더 작고, 더 소형화 되며, 더 매력적인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몇몇 장치에서, 가동 커버는 장치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개방될 수 있으며, 그 가동 커버에 변환기(스피커 또는 마이크)를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송화기 또는 수화기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환기를 힌지를 통하여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와이어 또는 가요성 회로 전도체가 통상적으로 필요 하다. 이러한 와이어는 통상적으로 커버의 불투명한 영역 내에 숨겨진다. 또한 변환기 연결부와 장착부도 통상적으로 커버의 불투명한 영역에 의해 숨겨진다. 커버가 화면을 가리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비록 작은 창이 커버 내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본체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상적으로 볼 수 있지만, 변환기 와이어와 변환기 연결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커버를 허용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청구항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의미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구성 요소의 목록을 포함하는 방법 또는 장치가 이들 구성 요소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열거되지 않은 다른 요소들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투명 또는 반투명 커버 몸체와, 커버 몸체 내의 변환기 조립체와, 변환기 조립체로부터 나오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와이어가 커버의 중심 종방향 축에 대하여 커버 몸체에서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전자 장치용 커버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변환기 조립체에 인접한 와이어의 제1 길이부는 커버의 제1 단부 에지를 향해 뻗어 있다. 와이어의 각각의 제1 길이부는 서로에 대해 평행할 수 있다. 와이어의 제1 길이부로부터 커버의 종방향 에지를 향해 측방으로 뻗어 있는 와이어의 제2 길이부가 각각 있을 수 있다. 와이어의 제2 길이부는 두 개 있을 수 있으며, 와이어의 제2 길이부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의 제2 길이부는 커버의 제1 단부 에지와 인접한 영역을 지난다. 와이어의 제2 길이부로부터 커버의 제2 단부 에지를 향해 측방으로 뻗어 있는 와이어의 제3 길이부가 각각 있을 수 있다. 와이어의 제3 길이부는 커버의 개별적으로 대향하는 종방향 에지와 인접한 영역을 지날 수 있다.
커버는 내측 형성부와, 내측 형성부의 에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외측 수납부를 더 구비하고, 복수의 와이어가 변환기 조립체로부터 내측 형성부의 하나 이상의 에지를 따라 나온다. 또한, 와이어의 적어도 일 길이부는 형성부 내부에 인서트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하우징 내부에 전자 회로를 구비한 하우징과, 커버의 고정단 에지에서 하우징에 가동식으로 장착된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는 투명 또는 반투명 커버 몸체와, 커버 몸체 내에 있으며 와이어에 의해 전자 회로 조합체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변환기 조립체를 포함하고, 와이어가 커버 몸체 내에서 커버의 중심 종방향 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는 힌지 조립체에 의하여 고정단 에지에서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고, 힌지 조립체는 하우징에 대한 커버의 상대적인 피봇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변환기 조립체와 인접한 와이어의 제1 길이부는 커버의 자유단 에지를 향해 뻗어있을 수 있고, 와이어의 제1 길이부는 서로 평행하다.
와이어의 제2 길이부는 와이어의 제1 길이부로부터 커버의 종방향 에지를 향해 측방으로 뻗어 있다. 와이어의 제2 길이부는 통상 두 개 있으며, 와이어의 제2 길이부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와이어의 제2 길이부는 커버의 자유단 에지와 인접한 영역을 지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의 제2 길이부로부터 커버의 고정단 에지를 향해 측방으로 뻗어 있는 와이어의 제3 길이부가 각각 있다. 와이어의 제3 길이부는 커버의 각각 대향하는 종방향 에지와 인접한 영역을 지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커버는 내측 형성부와, 내측 형성부의 에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외측 수납부를 포함하고, 와이어는 변환기 조립체로부터 내측 형성부의 하나 이상의 에지를 따라 나온다. 와이어의 하나 이상의 길이부는 내측 형성부 내부에 인서트 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의 길이부는 자유단으로부터 힌지 조립체를 향하여 내측 형성부의 대향 에지를 따라 뻗어 있다. 와이어의 길이부는 통상적으로 내측 형성부와 외측 수납부 사이에 개재된다.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하고 효과를 알기 위하여, 도면 부호가 첨부 도면에 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 실시예에 사용될 것이고, 동일한 도면 부호는 전 도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구체화되고, 명세서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원리와 이점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용 투명 커버의 분해도이다.
도2는, 변환기 조립체(115)가 내측 형성부에 인서트 성형된 후의 도1의 커버의 분해도이다.
도3은, 도1의 커버의 내측 형성부 상으로 와이어가 구부러졌을 때, 와이어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4는, 내측 형성부(105)가 외측 수납부(110) 내부로 인서트 성형된 후의 도1의 커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5는, 조립시 도1의 커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6은, 도1의 커버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7은, 도1의 커버를 제조하고 이를 도6의 전자 장치에 장착하는 방법(700)을 도시한다.
간단성과 명확성을 위하여 도면의 구성 요소들이 도시되었으며, 반드시 축척에 맞게 도시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작업자는 잘 알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몇몇 요소들의 치수는 다른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자세히 기술하기 전에, 본 실시예가 주로 방법, 장치 그리고 커버의 조합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방법, 장치 그리고 커버는 도면에서 통상적인 기호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그리고 본 기재의 이익을 갖는 당해 기술의 평균적인 기술을 갖는 자들이 상세한 설명의 기재를 쉽게 이해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관련된 특정한 부재들만을 도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상부 및 하부등과 같은 상관적인 용어는 개체 또는 작용 간의 어떤 실질적 상관 관계나 순서를 필수적으로 요구하거나 의미하지 않고, 하나의 개체 또는 작용을 다른 개체 또는 작용으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또는 이들의 다른 표현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의미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구성 요소의 목록을 포함하는 방법, 장치 또는 커버가 이들 구성 요소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명확히 열거되지 않거나 이들 방법, 장치 또는 커버에 내재하는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을 포함한다"로 표현되는 구성 요소는 그 이상의 제한없이 방법, 장치 또는 커버 내에 추가적인 동일 구성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면에서, 상이한 도면에서의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를 위한 실질적으로 투명한 커버(100; 또한 커버 몸체로 지칭됨)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커버(100)는 전체적으로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도 있다. 커버(100)는 내측 형성부(105)와, 외측 수납부(110)와, 변환기 조립체(115)와, 와이어(150)를 포함한다. 또한 커버(100)에는, 장착 구멍(182)을 구비한 내측 힌지 장착부(180)와 나사식 블라인드 구멍(186)을 구비한 힌지 커버(185)와 장착 나사(190)가 결합된다. 장착 나사 수용 구멍(198)이 커버에 위치한 함몰부(197)가 외측 수납부(110) 상에 위치하며, 힌지 장착 구멍(196)을 구비한 돌기(195)가 내측 형성부(105) 상에 위치한다.
내측 형성부(105)는 대향하는 종방향 에지(160)를 따라서 뻗어 있는 오목홈(155; recessed groove)을 구비하고, 오목홈(155)은 내측 형성부(105)의 측방향 에지(165)를 따라서도 뻗어 있으며, 측방향 에지(165)는 종방향 에지(160)에 대하여 측방이다.
변환기 조립체(115)는 기저부(120)와, 통상적으로 스피커 또는 마이크를 지칭하는 변환기(130)를 둘러싸는 스냅 끼움식 뚜껑(125)의 투파트 수납부(two part enclosure)를 포함한다. 변환기(130)는 기저부(120)의 함몰부(135) 내부에 끼워지고, 와이어(150)는 변환기(130)의 전기적 연결부에 납땜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장착된다. 스피커 구멍(136)은 함몰부(135) 내에 위치하여 변환기(130)가 투파트 수납부 외부와 연통할 수 있도록 한다. 변환기(130)가 투파트 수납부 내에 둘러싸일 때, 와이어(150)는 개별 통로(140)를 통과하여 수납부 외부로 나간다.
도2에는 변환기 조립체(115)와 각각의 와이어(150)의 제1 길이부(250)가 내측 형성부(105)와 일체화되거나 인서트 성형된 후의 실질적으로 투명한 커버(100)의 또 다른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내측 형성부(105)는 스피커 구멍(136)을 덮지 않는 방식으로, 변환기 조립체(115)를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사출 성형 투명 플라스틱을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일체형으로 성형되면, 각각의 와이어(150)의 제1 길이부(250)는 내측 형성부(105) 내에 전부 둘러싸이게 되고, 와이어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직선으로 뻗게 된다.
사출 성형으로 내측 형성부(105)를 생성한 뒤, 와이어(150)는 통상적으로 수동으로 구부러져서, (변환기 조립체로부터 제1 길이부(250)를 경유하여) 내측 형성부(105)의 측방향 에지(165)를 따라 나아가는 오목홈(155) 내에서 제1 길이부(250)로부터 측방으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대향 연장 제2 길이부(255)를 구비한다. 제2 길이부(255)는 제1 길이부(250)로부터 커버의 종방향 에지를 향해 측방으로 뻗어 있다. 와이어(150)는 더 구부러져, 내측 형성부(105)의 대향 종방향 에 지(160)를 따라 오목홈(155) 내에서 뻗어 있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3 길이부(260)를 구비하고, 이에따라 제3 길이부(260)는 내측 형성부(105) 상에 대칭적으로 지지된다.
도3을 참조하면, 와이어가 내측 형성부(105) 상에서 구부러졌을 때, 와이어(150)의 상세 사시도가 도시되었다. 통상적으로, 와이어는 에지(160, 165) 둘레를 따라 수동으로 구부러져서, 내측 형성부(105)의 오목홈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내측 형성부(105)의 힌지 에지(330)와 인접하여 와이어(150)가 외측 수납부의 정합면(305)을 지나는 제4 길이부(350)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진다. 와이어는 힌지 에지(330)로부터 뻗어 나가는 제5 길이부(355)도 구비한다.
내측 형성부(105)가, 내측 형성부(105)의 에지(160, 165)를 수납하고 외측 정합면(303) 및 스냅 끼움 뚜껑(125)의 대부분을 덮는 외측 수납부(110) 내로 인서트 성형된 후의 실질적으로 투명한 커버(100; 힌지 커버(185) 및 내측 힌지 장착부 제외)의 사시도가 도4에 도시된다. 외측 수납부(110)는 통상적으로 투명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며, 이는 당업자에게 당연하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는 커버의 중심 종방향 축 "C"에 대해 커버(커버 몸체) 내에서 대칭적으로 위치한다.
도5를 참조하면, 조립된 실질적으로 투명한 커버(100)가 도시된다. 조립시, 나사(190)는 정렬된 구멍(182, 196, 198, 186)과 결합하고, 이는 당업자에게 당연하다.
도6에는 커버(100)를 구비한 전자 장치(600)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 장 치(600)는 내부에 장착된 회로 조합체를 갖추고 디스플레이(630)을 구동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와 정렬된 키패드 키(640)와 결합되어 작동가능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몸체(605)를 구비한다. 투명 또는 반투명 커버(100)는 내측 힌지 장착부(180)와 두 개의 외측 장착 돌기(615)를 포함하는 힌지 조립체(610)에 의해 몸체에 가동식으로 장착된다. 힌지 조립체는 도시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까지 피봇 축 X 둘레로 몸체에 대한 커버(100)의 상대적인 피봇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변환기 조립체(115)는 제5 길이부(355)의 단부가 전자 회로 조합체와 결합된 터미널에 부착되어, 와이어(150)에 의하여 전자 회로 조합체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형성부(105)의 측방향 에지(165) 및 종방향 에지(160)는 대응하게 인접하는 커버(105)의 외측 에지를 형성하는 외측 수납부(110) 에지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또한, 변환기 조립체에 인접한 각각의 와이어의 제1 길이부(250)는 힌지 조립체(610)로부터 커버(100)의 자유단으로 뻗어 있고, 반면에 제3 길이부(260)는 자유단으로부터 힌지 조립체(610)를 향해 형성부(110)의 대향하는 에지를 따라 뻗어 있다.
도7과 필요시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면, 커버(100)를 제조하고 이를 전자 장치(600)에 장착하는 방법(700)이 도시된다. 먼저 블럭(710)에서, 방법(700)은 변환기 조립체(115)와 와이어(150)의 제1 길이부(250)를 내측 형성부(105) 내부로 인서트 성형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따라서 일체형으로 성형된 변환기 조립체(115)와, 와이어(150)의 제1 길이부(250)와, 투명 또는 반투명 내측 형성부(105)는 변환기 조립체(115)가 내측 형성부(105)에 근본적으로 장착되도록 생산된다.
다음으로, 블럭(720)에서 내측 형성부(105) 상에 와이어(150)의 길이부를 구부리는 단계가 실행된다. 통상적으로 와이어(150)는 에지(160, 165) 둘레를 따라 수동으로 구부러지고, 오목홈(155)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제2 및 제3 길이부(255, 260)가 각각 에지(160, 165)에 위치하여 지지된다. 또한, 와이어(15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길이부(350) 및 제5 길이부(355)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진다. 그리고 나서, 방법(700)은 블럭(730)에서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형성부(105)를 외측 수납부(110)와 인서트 성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따라서, 와이어(150)의 실질적 길이부, 구체적으로는 모든 길이부(255, 260, 350)및 제5 길이부(355)의 일부는 내측 형성부(105)와 외측 수납부(110) 사이에 개재된다.
다음으로, 방법(700)은 블럭(740)에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힌지 장착부(180)와 힌지 커버(185)를 나사(190)로 결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방법(700)은 블럭(750)에서 커버(100)를 전자 장치(600)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유리하게, 본 발명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전자 장치(600)의 몸체(605)를 덮는 반투명 또는 투명 가동 커버를 제공한다. 그러나 커버(100)는 예컨대 디스플레이(630) 또는 키(640)를 은폐시키지 않는다. 와이어(150)는 통상적으로 절연되지 않으며, 적당하게는 은이며 특히나 외측 수납부(110) 에지에 대응하게 인접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측방향 에지(165)와 종방향 에지(160)의 덕분에 일반적으로 커버(100)의 에지 윤곽을 따르므로,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앞서 말한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기재되었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인 기술을 가진 자는 아래 청구항에 기술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과 변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명세서와 도면은 제한 보다는 도시를 위한 것이고, 이러한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익, 이점, 문제의 해결책, 그리고 어떠한 이익, 이점, 또는 해결책을 실행하거나 더욱 명백하게하는 어떠한 요소들은, 중요하고 필요적이거나 필수적인 특징 또는 어떤 또는 모든 청구항의 요소로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출원기간 동안 행해진 어떠한 보정을 포함하는 첨부된 청구항과 이들 청구항의 모든 균등물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Claims (24)

  1. 전자 장치용 커버이며,
    투명 또는 반투명 커버 몸체와,
    상기 커버 몸체 내의 변환기 조립체와,
    상기 변환기 조립체로부터 나오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가 커버 몸체 내에서 상기 커버의 중심 종방향 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전자 장치용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 조립체에 인접한 상기 와이어의 제1 길이부가 상기 커버의 제1 단부 에지를 향해 뻗어 있는 전자 장치용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각각의 상기 제1 길이부가 서로 평행한 전자 장치용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각각의 제2 길이부가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1 길이부로부터 상기 커버의 종방향 에지를 향해 측방으로 뻗어 있는 전자 장치용 커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2 길이부가 두 개 있으며, 상기 와이 어의 상기 제2 길이부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전자 장치용 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2 길이부가 상기 커버의 상기 제1 단부 에지와 인접한 영역을 지나는 전자 장치용 커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각각의 상기 제3 길이부가 상기 와이어의 제2 길이부로부터 상기 커버의 제2 단부 에지를 향해 측방으로 뻗어 있는 전자 장치용 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3 길이부가 상기 커버의 개별적으로 대향하는 종방향 에지와 인접한 영역을 지나는 전자 장치용 커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내측 형성부와, 상기 내측 형성부의 에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외측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와이어가 상기 변환기 조립체로부터 내측 형성부의 하나 이상의 에지를 따라 나오는 전자 장치용 커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하나 이상의 길이부가 상기 내측 형성부 내부에 인서트 성형되는 전자 장치용 커버.
  11.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전자 회로를 구비한 하우징과,
    커버의 고정단 에지에서 상기 하우징에 가동식으로 장착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투명 또는 반투명 커버 몸체와,
    상기 커버 몸체 내에 있으며, 상기 커버 몸체 내에서 커버의 중심 종방향 축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와이어에 의해 전자 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변환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힌지 조립체에 의하여 상기 고정단 에지에서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힌지 조립체는 하우징에 대한 커버의 상대적인 피봇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기 조립체와 인접한 상기 와이어의 제1 길이부가 상기 커버의 자유단 에지를 향해 뻗어 있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각각의 상기 제1 길이부가 서로 평행한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각각의 제2 길이부가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1 길이부로부터 상기 커버의 종방향 에지를 향해 측방으로 뻗어 있는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2 길이부는 두 개이며,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2 길이부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전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2 길이부가 상기 커버의 상기 자유단 에지와 인접한 영역을 지나는 전자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각각의 제3 길이부가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2 길이부로부터 상기 커버의 고정단 에지를 향해 측방으로 뻗어 있는 전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상기 제3 길이부가 상기 커버의 각각 대향하는 종방향 에지와 인접한 영역을 지나는 전자 장치.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내측 형성부와, 상기 내측 형성부의 에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외측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변환기 조립체로부터 상기 내측 형성부의 하나 이상의 에지를 따라 나오는 전자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하나 이상의 길이부가 상기 내측 형성부 내부에 인서트 성형되는 전자 장치.
  2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길이부가 상기 자유단으로부터 상기 힌지 조립체를 향하여 상기 내측 형성부의 대향 에지를 따라 뻗어 있는 전자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길이부는 상기 내측 형성부와 외측 수납부 사이에 개재되는 전자 장치.
  24. 전자 장치이며,
    몸체 내부에 장착되는 전자 회로를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가동식으로 장착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내측 형성부와,
    상기 내측 형성부의 에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외측 수납부와,
    상기 커버 내에 있으며, 상기 내측 형성부의 하나 이상의 에지를 따라 위치하는 와이어에 의하여 상기 전자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변환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087013106A 2005-11-01 2006-10-24 반투명 또는 투명 커버 및 그 커버를 구비한 장치 KR200800726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510118669.1 2005-11-01
CN200510118669A CN1893786B (zh) 2005-11-01 2005-11-01 半透明或透明盖及具有这种盖的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696A true KR20080072696A (ko) 2008-08-06

Family

ID=3759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106A KR20080072696A (ko) 2005-11-01 2006-10-24 반투명 또는 투명 커버 및 그 커버를 구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946416B1 (ko)
KR (1) KR20080072696A (ko)
CN (1) CN1893786B (ko)
BR (1) BRPI0618095A8 (ko)
ES (1) ES2438974T3 (ko)
HK (2) HK1092651A2 (ko)
WO (1) WO20070533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06875B (zh) * 2006-07-12 2010-05-12 英华达(南京)科技有限公司 行动装置翻盖的制造方法
WO2011082230A1 (en) * 2009-12-31 2011-07-07 Motorola Mobility,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non-visually interfering ducting through a transparent housing portion
CN102804942B (zh) * 2010-03-18 2015-12-16 诺基亚公司 用于便携电子设备的壳
US9110580B2 (en) 2011-08-05 2015-08-18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and a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204131572U (zh) * 2014-09-24 2015-0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音频外放装置
WO2016106582A1 (zh) * 2014-12-30 2016-07-07 孙冬梅 具有扩音系统的手机及手机保护壳
CN106506757A (zh) * 2016-11-21 2017-03-15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手持式信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315B1 (ko) * 1997-03-04 1999-11-01 윤종용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 장치
US6256481B1 (en) * 1997-04-26 2001-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SE9800373L (sv) * 1998-02-10 1999-08-11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vid en mobiltelefon
US6088240A (en) * 1998-06-15 2000-07-11 Motorola, Inc. Hinged flip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7054441B2 (en) * 2000-12-12 2006-05-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device having a protective user interface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46416B1 (en) 2013-09-11
BRPI0618095A8 (pt) 2016-12-13
WO2007053368A3 (en) 2009-04-30
EP1946416A2 (en) 2008-07-23
HK1092651A2 (en) 2007-02-09
EP1946416A4 (en) 2011-04-06
CN1893786A (zh) 2007-01-10
CN1893786B (zh) 2010-05-12
ES2438974T3 (es) 2014-01-21
BRPI0618095A2 (pt) 2011-08-16
WO2007053368A2 (en) 2007-05-10
HK1092650A2 (en) 200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2696A (ko) 반투명 또는 투명 커버 및 그 커버를 구비한 장치
KR100417248B1 (ko)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KR100304520B1 (ko) 고밀도 가요성 회로 요소 및 이를 사용한 통신 장치
EP1583332B1 (en) Mobile station with sound speaker
US20100205777A1 (en) Rout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hinge of electronic device
US20050049016A1 (en) Port cover unit for electronic equipment
US6654464B2 (e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and equipment which includes it
EP1715661B1 (en) Slide module for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and cover apparatus therefor
EP1460836A2 (en) Camera lens unit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345534B1 (ko) 플립업타입휴대폰에서플립커버에설치된안테나장치
CN109561369B (zh) 扬声器单元以及电子设备
JP2008135248A (ja) ヒンジ構造
JP4605590B2 (ja) 無線端末装置
JP2009193798A (ja) 電子機器のカバー部品及び電子機器
CA2316717C (en)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vibration generator
US20030095656A1 (en) Rugged design and method for housing an electronic device
JPH11232965A (ja) 回転型コネクタ付スイッチ
KR10053188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부 개방 감지 장치의 설치 구조체
EP1521336B1 (en) Port cover unit for electronic equipment
KR100754600B1 (ko) 휴대 단말기의 표시 장치용 결합장치
KR100406346B1 (ko) 슬라이드 모듈
KR20060004224A (ko) 이어잭 보호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7043503A (ja) 折畳み型携帯端末
KR101134042B1 (ko) 이동단말기
KR20060062667A (ko) 무한회전이 가능한 스위블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