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867A - 증발기 - Google Patents

증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867A
KR20080071867A KR1020070010315A KR20070010315A KR20080071867A KR 20080071867 A KR20080071867 A KR 20080071867A KR 1020070010315 A KR1020070010315 A KR 1020070010315A KR 20070010315 A KR20070010315 A KR 20070010315A KR 20080071867 A KR20080071867 A KR 20080071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tank
evaporator
partition
cau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3513B1 (ko
Inventor
임홍영
오광헌
지용준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0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513B1/ko
Publication of KR20080071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1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02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 F28F9/0204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 F28F9/0214Header boxes having their inner space divided by partitions for elongated header box, e.g. with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partitions having only longitudinal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12Fastening; Joining by methods involving deformation of the elements
    • F28F2275/122Fastening; Joining by methods involving deformation of the elements by crimping, caulking or clin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누설(leak)을 방지하며 더불어 방열 성능이 최대가 될 수 있게 하면서도 컴팩트화된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누설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며 더불어 방열 성능이 최대가 될 수 있게 하며 더불어 코어의 폭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방열 성능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증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증발기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튜브삽입홀(15)이 형성된 헤더(11)와, 상기 헤더(11)와 연결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탱크(12)와,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격벽(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높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상기 튜브삽입홀(15)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20); 및 상기 튜브(2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핀(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100)에 있어서, 상기 격벽(13)에는 상기 헤더탱크(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코킹되도록 하는 코킹부(16)가 구비되며, 상기 탱크(12)에만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격벽(13)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증발기, 누설, leak, 코킹, 가이드, 폴딩

Description

증발기 {An Evaporator}
도 1은 선행기술1의 구성에 의한 헤더탱크의 단면도.
도 2는 선행기술2의 구성에 의한 헤더탱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증발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헤더탱크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헤더탱크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헤더탱크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증발기 10, 10', 10'': 헤더탱크
11, 11', 11'': 헤더 12, 12', 12'': 탱크
13, 13', 13'': 격벽 14, 14', 14'': 가이드부
15: 튜브삽입홀 16: 코킹부
20, 20', 20'': 튜브 30: 핀
본 발명은 증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누설(leak)을 방지하며 더불어 방열 성능이 최대가 될 수 있게 하면서도 컴팩트화된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에너지 및 환경 문제에 관한 관심사가 커져 감에 따라, 최근 자동차 생산 산업에 있어서 연비를 포함한 각 파트의 효율 개선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자동차 외관의 형태 역시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차량의 각 부품들은 점차로 경량화ㆍ소형화 및 고기능화를 위한 꾸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차량용 냉각장치에 있어서, 대개 엔진룸 내부에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에 작은 크기를 가지면서도 높은 효율을 가지는 열교환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다.
한편, 통상적으로 열교환 시스템은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냉매(冷媒) 혹은 열매(熱媒)를 압축하는 압축기,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 냉매(冷媒) 혹은 열매(熱媒)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로 구성된다. 냉각 시스템에서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는 압축기에서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며, 상기 액화된 냉매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과함으로써 저온 및 저압의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 하게 되어 사이클을 이루게 되며, 실질적인 냉각 작용은 액체 상태의 냉매가 주변에서 기화열만큼의 열량을 흡수하여 기화되는 증발기에 의해 일어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팽창밸브를 통과한 저온 및 저압의 냉매는 연결 파이프를 지나 증발기로 유입되고, 증발기에서 냉매는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고온 및 고압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증발기는 내부에 수용된 냉매의 빠른 상변화와 더불어 고온 및 고압을 견딜 수 있는 재질과 구조로 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특히 증발기의 내부에서 손상이 생겨서 냉매의 누설(leak)이 발생하면, 증발기 내부의 냉매가 설계된 유동경로를 따라 흐르지 못하게 되고, 최적의 열교환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유동경로에서 벗어난 냉매의 흐름에 의해 열교환효율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증발기의 열교환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열교환이 일어나는 튜브나 핀의 표면적을 넓혀야 함은 당연하다. 그런데, 표면적을 넓히기 위한 가장 용이한 수단은 부피를 크게 하는 것인데, 튜브의 부피가 커지게 되면 증발기 코어 자체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 엔진룸 내부 공간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증발기의 전체 부피가 늘어나는 것은 매우 불리하다. 따라서 증발기 전체의 부피는 유지하면서도 튜브의 표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많은 연구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5-265356호(이하 선행기술1)에서는, 이와 같이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더불어 열교환성능 저하를 회피하면서도 튜브와의 조립성이 높은 헤더탱크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선행기술1의 구성에 의한 헤더탱크의 단면도 이다. 선행기술1에서, 헤더탱크(10')는 헤더(11')와 탱크(12')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헤더탱크(10')의 내부에는 상기 헤더탱크(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13')은 냉매유로를 형성하는데, 상기 격벽(13')의 조립 시 위치가 어긋나서 미세한 틈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격벽(13')과 상기 헤더탱크(10') 사이의 틈새로 냉매의 누설이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매의 누설은 열교환기의 성능 저하와 직접적으로 관련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선행기술1에서는 헤더(11')에 가이드부(14')를 형성하여 조립 시 상기 격벽(13')의 위치를 안내하고 조립 후에는 상기 격벽(13')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부(14')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더(11') 중간에 형성되는 굴곡부로서 형성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4')에 의해 상기 격벽(13')이 지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부(14')의 굴곡 내부는 최소한 상기 격벽(13')의 두께(t')만큼의 폭을 가져야 한다. 여기에 상기 가이드부(14')의 재질 두께 두 배만큼의 두께가 더해진 값이 상기 가이드부(14')의 외곽 너비(T')가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14') 외곽 너비(T')의 최소값은 (상기 격벽 판재의 두께와 상기 헤더, 즉 가이드부 판재의 두께가 같으며, 가이드부가 완벽하게 격벽과 밀착하여 평행을 이룬다고 가정할 때) 상기 격벽(13') 두께의 세 배(3t')가 된다.
상기 튜브(20')는 상기 외곽 너비(T') 이하로 가까이 배치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튜브(20') 사이의 최소 간격은 상기 가이드부(14') 외곽 너비(T')와 동일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가이드부(14')에 의해 발생되는 쓸모없는 공간 때문 에 증발기 코어의 폭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증발기 부피를 증가시켜 증발기 컴팩트화를 실패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증발기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증발기 튜브(20')의 폭이 좁아져야만 하는데, 이 경우에는 증발기 튜브(20')의 표면적을 넓힐 수 없게 되어 열교환효율의 하락을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제1993-079790호(이하 선행기술2)에서는, 납접부위를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냉매의 누설을 최대한 방지하는 헤더탱크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도 2는 선행기술2의 구성에 의한 헤더탱크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2의 구성에 의한 헤더탱크(10'')는 하나의 판재를 폴딩(folding) 공정으로써 가공하여 헤더탱크(10'') 및 격벽(13'')을 일체형으로 형성한다. 상기 격벽(13'')은, 접혀져서 조립될 때 가이드부(14'')로 수용되어 요구되는 자리로 안내되고 또한 조립 후에도 위치가 굳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납접부위가 최소화되어 냉매의 누설 방지 효과가 커진다는 장점은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시 선행기술1과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부(14'')의 외곽 너비(T''), 즉 튜브(20'') 사이의 최소 간격이 필연적으로 넓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을 피할 수 없다. 특히 선행기술2의 경우에는 상기 튜브(20'') 사이의 최소 간격(T'')이 최소화되어도 상기 격벽(13'') 두께의 네 배(4t'')나 되어, 선행기술1의 경우보다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누설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며 더불어 방열 성능이 최대가 될 수 있게 하는 증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어의 폭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방열 성능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증발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발기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튜브삽입홀(15)이 형성된 헤더(11)와, 상기 헤더(11)와 연결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탱크(12)와,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격벽(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높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상기 튜브삽입홀(15)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20); 및 상기 튜브(2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핀(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100)에 있어서, 상기 격벽(13)에는 상기 헤더탱크(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코킹되도록 하는 코킹부(16)가 구비되며, 상기 탱크(12)에만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격벽(13)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헤더탱크(10)는 폭 방향 단면이 w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분리된 헤더(11)와 탱크(12)가 결합 조립되어 형성되며, 상기 코킹부(16)는 상기 격벽(13)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헤더(11) 및 탱크(12)에 형성된 코킹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코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더탱크(10)는 하나의 판재로 연속적인 폴딩 공정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14)가 중앙에 구비된 수평부(10a), 상기 수평부(10a)의 양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더탱크(10)의 폭 방향 외면을 형성하는 제1수직부(10b), 상기 제1수직부(10b)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부(10c) 및 상기 연결부(10c)가 서로 만나는 부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향 연장 형성된 제2수직부(10d)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 헤더(11), 탱크(12) 및 격벽(13)이 형성되며, 상기 코킹부(16)는 상기 격벽(13)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탱크(12)에 형성된 코킹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코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증발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증발기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증발기(100)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튜브삽입홀(15)이 형성된 헤더(11)와, 상기 헤더(11)와 연결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탱크(12)와,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격벽(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높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 (10); 상기 튜브삽입홀(15)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20); 및 상기 튜브(2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헤더탱크(10)에는 물론 냉매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헤더탱크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헤더탱크(10)에서의 헤더(11)와 탱크(12)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헤더(11)의 상부와 상기 탱크(12)의 하부가 결합되어 헤더탱크(10)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3)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상기 헤더(11) 또는 상기 탱크(12)의 외부로 돌출되어 코킹되는 구조로 된 코킹부(16)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헤더(11) 또는 상기 탱크(12)에서 상기 코킹부(16)에 상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코킹부(16)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코킹구멍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더탱크(10)가 조립되면 상기 격벽(13)의 코킹부(16)는 상기 헤더(11) 및 상기 탱크(12)의 코킹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코킹 공정에 의해 상기 격벽(13)은 위치를 이탈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증발기(100) 내부의 냉매는 상기 격벽(13)에 의해 내부에서 설계된 유동경로 이외로 누설되지 않게 된다.
이 때, 상기 탱크(12)에만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격벽(13)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4)가 구비된다. 상기 탱크(12)에만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부(14)는 폴딩(folding)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헤더(11)에는 상기 가이드부(14)가 구비되지 않는다. 상기 가이드부(14)는 조립 시에 상기 격벽(13)이 올바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완료된 후에도 상기 가이드부(14)는 상기 코킹부(16)와 함께 상기 격벽(13)이 올바른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헤더탱크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의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탱크(12)에는 가이드부(14)가 구비되어 격벽(13)을 견고하게 지탱해주는 반면, 헤더(11)에는 상기 가이드부(14) 또는 상기 가이드부(14)에 해당하는 구성이 구비되지 않는다. 헤더(11)에는 상기 격벽(13)의 코킹부(16)가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코킹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헤더(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가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형태의 단면을 갖는다. 이와 같이 헤더(11)에 가이드부(14)가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튜브(20) 사이의 최소 간격은 상기 격벽(13)의 두께(t)와 동일해지게 된다. 선행기술1에서는 튜브 사이의 최소 간격(T')이 격벽 두께의 세 배(3t')였으며 선행기술2에서는 튜브 사이의 최소 간격(T'')이 격벽 두께의 네 배(4t'')였다는 것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의 설계에 의하면 튜브 사이의 최소 간격이 획기적으로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튜브 사이의 최소 간격이 줄어듦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첫째, 동일한 크기의 증발기에 있어서 튜브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된다. 튜브의 폭이 넓어지면 튜브의 표면적 역시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열교환성능이 높아지게 되는 커다란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둘째, 튜브의 폭을 넓히지 않을 경우, 증발기의 폭을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튜브의 폭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열교환성능은 동일하며, 이와 같이 증발기의 폭이 줄어듦으로써 증발기의 컴팩트화를 실현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증발기 헤더탱크에서는 이와 같은 가이드부를 헤더 쪽에 위치시킴으로써 격벽에 대하여 조립 시 안내 및 조립 후 지지 역할을 하도록 하였으며, 가이드부에 의하여 냉매의 내부 누설이 방지되는 효과는 거둘 수 있었던 반면 튜브 사이의 최소 간격을 증가하게 되는 불리한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가이드부를 탱크 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모두 얻을 뿐만 아니라 튜브 사이의 최소 간격이 전혀 증가되지 않아 열교환성능이나 증발기의 콤팩트화에 어떤 악영향도 끼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헤더탱크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헤더탱크(10)는 도 5의 실시예에서 헤더에 해당하는 부분(이하 헤더), 도 5의 실시예에서 탱크에 해당하는 부분(이하 탱크) 및 격벽(13)이 일체로 되어 있으며, 하나의 판재에 폴딩 공정을 거쳐 헤더탱크(10)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과 격벽(13)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헤더 쪽의 격벽(13) 부분에는 코킹부가 근본적으로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탱크 쪽의 격벽(13) 단부에는 역시 헤더탱크(10)와 격벽(13)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코킹부(16)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헤더탱크(10) 및 격벽(13)이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면, 격벽(13)과 헤더탱크(10) 사이의 틈새 자체가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냉매 누설 방지에 좀더 효 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채택할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 사이의 최소 간격(T)은 상기 격벽(13) 두께의 두 배(2t)로서, 동일한 구조의 선행기술2에서 튜브 사이의 최소 간격(T)이 격벽(13) 두께의 네 배(4t)였던 것과 비교할 때 훨씬 튜브 사이의 최소 간격(T)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면, 냉매의 누설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사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더라도 헤더탱크(10)에서 볼 때 튜브(20)가 구비되는 쪽의 반대쪽에 접합부가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쉽게 용접에 의해 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간단한 작업에 의한 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더라도 열교환기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져 비용 절감 및 자원 절약의 효과가 매우 크게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탱크 쪽 및 헤더 쪽 모두에 코킹부가 형성되므로 내부 누설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브레이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탱크 쪽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헤더탱 크 내부의 격벽을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조립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생산성이 높아지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탱크 쪽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되 헤더 쪽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증발기 코어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튜브의 폭을 최대화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렇게 튜브의 폭을 최대화함으로써 증발기 코어의 표면적을 넓혀 방열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커다란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방열 성능을 높이면서도 증발기 코어의 크기를 증대시키지 않을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증발기의 컴팩트화를 이룰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튜브삽입홀(15)이 형성된 헤더(11)와, 상기 헤더(11)와 연결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탱크(12)와, 상기 냉매유로 공간을 길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격벽(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높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상기 튜브삽입홀(15)에 양단이 삽입 고정되어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20); 및 상기 튜브(2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개의 핀(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증발기(100)에 있어서,
    상기 격벽(13)에는 상기 헤더탱크(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코킹되도록 하는 코킹부(16)가 구비되며,
    상기 탱크(12)에만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격벽(13)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탱크(10)는 폭 방향 단면이 w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분리된 헤더(11)와 탱크(12)가 결합 조립되어 형성되며, 상기 코킹부(16)는 상기 격벽(13)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헤더(11) 및 탱크(12)에 형성된 코킹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코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탱크(10)는 하나의 판재로 연속적인 폴딩 공정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14)가 중앙에 구비된 수평부(10a), 상기 수평부(10a)의 양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더탱크(10)의 폭 방향 외면을 형성하는 제1수직부(10b), 상기 제1수직부(10b)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부(10c) 및 상기 연결부(10c)가 서로 만나는 부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향 연장 형성된 제2수직부(10d)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 헤더(11), 탱크(12) 및 격벽(13)이 형성되며,
    상기 코킹부(16)는 상기 격벽(13)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탱크(12)에 형성된 코킹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코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KR1020070010315A 2007-01-31 2007-01-31 증발기 KR101353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315A KR101353513B1 (ko) 2007-01-31 2007-01-31 증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315A KR101353513B1 (ko) 2007-01-31 2007-01-31 증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867A true KR20080071867A (ko) 2008-08-05
KR101353513B1 KR101353513B1 (ko) 2014-01-22

Family

ID=3988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315A KR101353513B1 (ko) 2007-01-31 2007-01-31 증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5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33652A1 (en) * 2012-10-17 2015-08-20 Denso Corporation Heat exchang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2494B2 (ja) * 2001-09-27 2011-05-11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JP2003185380A (ja) * 2001-12-17 2003-07-03 Mitsubishi Heavy Ind Ltd 熱交換器用ヘッダ及び熱交換器
JP4217469B2 (ja) * 2002-12-04 2009-02-04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熱交換器
JP4713211B2 (ja) * 2005-04-26 2011-06-29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熱交換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33652A1 (en) * 2012-10-17 2015-08-20 Denso Corporation Heat exchanger
US10401095B2 (en) * 2012-10-17 2019-09-03 Denso Corporation Heat excha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3513B1 (ko)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169B1 (ko) 열교환기 모듈
US20070169512A1 (e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nt cycle device using the same
KR100784611B1 (ko) 냉방장치의 내부열교환기 일체형 기액분리기
CN113227703B (zh) 换热器
US7096930B2 (en) Heat exchanger for refrigerant cycle
KR20120086763A (ko) 응축기
CN113227702B (zh) 换热器
KR20040086241A (ko) 냉동 시스템 및 그의 응축 장치
KR101353513B1 (ko) 증발기
KR101280622B1 (ko) 응축기
JP2001174103A (ja) 冷媒凝縮器
KR20130143343A (ko) 응축기
US11885569B2 (en) Heat exchanger
KR20120031634A (ko) 과냉각 응축기
KR101461077B1 (ko) 열교환기
KR101771152B1 (ko) 응축기
KR101870776B1 (ko) 응축기
KR101497368B1 (ko) 열교환기의 헤더탱크 구조
KR101422696B1 (ko) 일체형 열교환기
JPH11211277A (ja) サブクールシステムコンデンサ
KR101371525B1 (ko) 응축기
KR101462887B1 (ko) 응축기
JP4043577B2 (ja) サブクールシステムコンデンサ
KR101773014B1 (ko) 응축기
KR101389310B1 (ko) 응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