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103A - 오존공급설비 - Google Patents

오존공급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103A
KR20080071103A KR1020080052235A KR20080052235A KR20080071103A KR 20080071103 A KR20080071103 A KR 20080071103A KR 1020080052235 A KR1020080052235 A KR 1020080052235A KR 20080052235 A KR20080052235 A KR 20080052235A KR 20080071103 A KR20080071103 A KR 20080071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electrode tube
supply
tube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6548B1 (ko
Inventor
송용도
Original Assignee
송용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용도 filed Critical 송용도
Priority to KR1020080052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548B1/ko
Publication of KR20080071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3Ozone dissolved in a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공간 전역으로 오존을 고르게 공급할 수 있고, 오존액의 누설이 생기는 경우에도 전장부품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고장수리 및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오존공급설비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오존공급설비는 오존을 생성시키는 오존공급유닛과, 오존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을 저장공간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관과, 저장공간 내부로 진입한 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며 각각 다수의 오존분사공을 갖춘 복수의 분사관을 포함하고, 복수의 분사관은 저장공간 내부 천장 쪽에 설치되며 상호 이격상태로 천장 쪽 전역에 분산 배치된 것이다. 오존발생기는 오존공급유닛의 본체 외부에 설치되고 자체의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오존공급설비{OZONE SUPPLY FACILITIES}
본 발명은 오존공급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공간 전역으로 오존을 고르게 공급할 수 있고 설비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오존공급설비에 관한 것이다.
오존(Ozone)은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오존의 특성은 살균, 탈취, 해독, 표백 등의 작용을 하기 때문에 각종 산업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농산물의 표면 살균에도 최근 활발하게 응용되고 있다.
농산물의 살균처리를 위한 종래의 오존공급설비는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유닛과, 오존발생유닛에서 생성된 오존을 농산물이 보관된 저온창고나 살균처리조와 같은 저장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관을 포함하는 형태이다. 통상의 오존발생유닛은 캐비닛 형태의 본체와, 본체 내에 설치되는 오존발생기, 오존발생기로 원료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원료공기를 제습하는 제습기, 오존발생기로 전원공급을 위한 고압트랜스 및 전압조정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오존공급설비는 저장공간으로 오존을 공급하여 농산물 표면에 부착된 각종세균이나 곰팡이 등을 살균함으로써 농산물의 선도가 장기간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오존공급설비는 저장공간으로 오존을 공급되는 배관이 저장공간의 한쪽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공간 전역으로 오존을 고르게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오존은 공기보다 무거워 가라앉기 때문에 공급위치가 편중되거나 저장공간 내의 공급위치가 낮을 경우 저장공간에 고르게 분포하기 어렵다. 이처럼 오존이 편중되어 공급될 경우에는 오존이 공급되는 곳과 먼 쪽에 위치하는 저장물의 보관상태가 나빠질 수 있었다.
또 종래의 오존발생유닛은 오존발생기가 고압트랜스나 전압조정기와 같은 전장부품들과 함께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존발생기의 고장 등으로 액화된 오존이 흘러 내릴 경우 전장부품들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 오존발생유닛 내에 설치된 오존발생기는 장기간 사용할 경우 내부에 스케일이 생겨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분해하여 청소하거나 부품을 교체하는 사후관리가 필요한데, 종래 오존발생기는 본체 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본체로부터 분리하기가 번거롭고 그 자체의 분해조립도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공간 전역으로 오존을 고르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오존공급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존액의 누설이 생기는 경우에도 전장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오존발생기의 고장수리 및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 도록 하는 오존공급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존공급설비는 오존을 생성시키는 오존공급유닛과, 상기 오존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을 저장공간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관과, 상기 저장공간 내부로 진입한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며 각각 다수의 오존분사공을 갖춘 복수의 분사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관은 상기 저장공간 내부 천장 쪽에 설치되되 상호 이격상태로 천장 쪽 전역에 분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관은 상기 오존공급유닛과 연결되며 분기헤더를 갖춘 메인공급관과,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오존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공급관의 분기헤더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각 저장공간 내부의 분사관들과 연결된 복수의 분기공급관들을 포함한다.
상기 오존공급설비는 상기 각 저장공간으로 오존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분기공급관에 각각 설치된 개폐밸브들을 포함한다.
상기 분기헤더는 액화오존 및 응축수의 배출을 위해 그 하부에 마련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오존공급설비는 상기 저장공간으로 공급되는 오존의 농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공급관에 설치된 오존램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오존공급유닛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 상부에 설치된 오존발생기와, 상기 오존발생기로 전원공급을 위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고압트랜스 및 전 압조정기와, 상기 오존발생기로 원료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에어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오존발생기는 양단이 개방된 금속재질의 외부전극관과, 상기 외부전극관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료공기 유입구를 갖춘 제1캡과, 상기 외부전극관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오존토출구를 갖춘 제2캡과, 상기 외부전극관 내에 설치되며 고압의 전원이 인가되는 금속재질의 내부전극관과, 상기 내부전극관과 상기 외부전극관 사이에 이격 상태로 설치되며 양단이 개방된 절연관과, 상기 절연관과 상기 내부전극관의 지지를 위해 상기 절연관과 상기 외부전극관 사이 및 상기 내부전극관과 상기 절연관 사이에 삽입되며 절연재질로 된 복수의 이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오존발생기는 상기 외부전극관과 상기 제1 및 제2캡의 결합을 위해 이들의 결합부분에 각각 마련된 플랜지들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전극관은 상기 제1캡 쪽의 단부가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존발생유닛은 상기 오존발생기로 인가되는 전원의 제어를 위한 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는 전원을 인가하는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동작시간설정부와, 전원을 인가하지 않는 미동작시간을 설정하는 미동작시간설정부를 구비하며, 설정한 동작시간과 미동작시간에 따라 동작과 동작중단을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오존공급장치는 오존을 생성시키는 오존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오존공급유닛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 상부에 설치된 오존발생기와, 상기 오존발생기로 전원공급을 위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고압트랜스 및 전압조정기와, 상기 오존발생기로 원료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에어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존공급설비는 저장공간으로 오존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관들이 저장공간 천장 쪽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오존을 분사하고, 복수의 분사관들이 천장 쪽 전역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기 때문에 오존을 저장공간 전역으로 고르게 분사하여 저장공간에 존재하는 각종세균이나 곰팡이균 등을 대부분 살균할 수 있다. 또 저장공간 전역으로 공급된 오존이 저장물에서 발생하는 에틸렌가스 등을 산화 분해하기 때문에 저장공간 전역에 걸쳐 우수한 저장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오존공급설비는 필요에 따라 분기공급관에 설치된 오존램프를 동작시킴으로써 저장공간으로 공급되는 오존의 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오존공급설비는 오존발생기가 오존공급유닛의 본체 외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존발생기로부터 오존액의 누설이 생기는 경우에도 오존공급유닛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전장부품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오존공급설비의 오존발생기는 내부전극관과 절연관이 외부전극관 내에 진입된 상태에서 이격부재들의 삽입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양측의 캡들을 분리한 상태에서 이들을 쉽게 분해할 수 있고 역으로 다시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전극관 및 절연관을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내부의 스케일을 제거하는 작업 등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오존공급설비는 오존공급유닛의 타이머 조작을 통해 오존발생기의 동작시간과 미동작시간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공간으로 공급되는 오존의 공급량을 사용자가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설정한 미동작시간 동안 오존발생기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오존발생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공급설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오존공급설비는 오존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오존공급유닛(10), 오존공급유닛(10)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을 복수의 저장공간(71,72,73)으로 공급하는 공급관들(50), 각 저장공간(71,72,73) 내에 설치된 복수의 분사관들(60)을 구비한다. 저장공간(71,72,73)은 과일, 채소 등의 농산물을 보관하는 농산물보관창고, 저장물의 멸균보관이 요구되는 저장창고, 돼지, 소, 오리, 닭 등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일 수 있다.
공급관들(50)은 오존공급유닛(10)의 오존발생기(30)와 연결되며 분기헤더(52)를 갖춘 메인공급관(51)과, 각 저장공간(71,72,73)으로 오존을 공급할 수 있도록 메인공급관(51)의 분기헤더(52)로부터 분기되며 각 저장공간(71,72,73)의 분 사관들(60)과 연결된 복수의 분기공급관들(53,54,55)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공간(71) 내부의 분사관들(60)은 저장공간(71) 내부로 진입한 분기공급관(53)에 각각 연결되며, 그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오존분사공들(61)을 구비한다. 분사관들(60)은 저장공간(71) 내부의 천장 쪽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며, 저장공간(71) 전역으로 오존을 고르게 분사할 수 있도록 상호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분산 배치된다. 다른 저장공간들(72,73) 내부의 분사관들(60)도 마찬가지이다. 도 2의 예는 분사관들(60)이 저장공간(71) 상부의 한쪽 구석을 따라 길게 연장된 분기공급관(53)으로부터 저장공간(71) 상부의 반대편 구석 쪽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이고, 복수개가 상호 등 간격으로 이격된 형태이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사관들(60)은 천장과 인접하도록 설치되되 저장공간(71) 상부 전역에 고르게 배치되면 될 것이다.
이러한 분사관들(60)의 배치구조는 공기보다 무거운 오존이 각 저장공간(71,72,73)의 천장 쪽으로부터 하방으로 분사되도록 하고, 천장 쪽 전역으로부터 고르게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오존이 저장공간(71,72,73) 전역에 고르게 분포하여 저장공간(71,72,73)의 각종세균이나 곰팡이균 등의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저장공간 전역으로 공급되는 오존에 의해 저장물이 고르게 살균되도록 하고, 저장물, 특히 사과, 배, 양파 등의 과채류에서 생기는 에틸렌가스가 산화 분해되도록 함으로써 저장물의 부패를 줄이고 신선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축사처럼 악취가 생기는 공간의 경우 탈취효과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 다. 또 이처럼 분사관들(60)이 천장 쪽에 설치되면 통상 저장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적재하는 저장물의 적재도 용이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별도의 저장공간들(71,72,73)로 오존을 공급할 수 있도록 분기헤더(52)로 부터 분기된 분기공급관들(53,54,55)에는 각각 개폐밸브들(53a,54a,55a)이 설치된다. 개폐밸브들(53a,54a,55a)을 열거나 닫음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각 저장공간(71,72,73)으로 오존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분기헤더(52)의 하부에는 메인공급관(51) 및 각 분기공급관(53,54,55)으로부터 흘러내려 분기헤더(52) 내에 고인 액화오존이나 응축수를 배출시기기 위한 배출구(52a) 및 이 배출구(52a)의 개폐를 위한 배출구 개폐밸브(56)가 마련된다.
복수의 분기공급관(53,54,55)에는 필요에 따라 오존램프(58)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분기공급관을 통하여 오존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오존의 농도가 묽어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오존이 저장공간(71,72,73)으로 공급되기 전에 오존램프(58)가 빛을 조사하여 농도를 높여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 원리는 분기공급관(53) 내부를 통과하는 산소(O2)에 파장 130~242nm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화학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오존을 발생시켜 농도를 높이는 방식이다. 이러한 오존램프(58)는 분기공급관(53)을 통하여 흐르는 오존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분기공급관(53)이 저장공간(71)으로 진입되기 직전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예는 오존램프(58)가 하나의 분기공급관(53)에 설치된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오존램프(58)는 필요에 따라 각 저장공간(71,72,73)으로 진입하는 모든 분기공급관(53,54,55)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공급유닛(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형의 본체(11), 본체(11)의 외측 상부에 설치된 오존발생기(30), 오존발생기(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본체(11) 내부에 설치된 고압트랜스(12) 및 전압조정기(13), 오존발생기(30)로 원료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본체(11) 내에 설치된 에어펌프(14), 본체(10)의 외측에 설치된 제습기(15)를 포함한다.
오존공급유닛(10)의 본체(10) 내에는 오존발생기(30)로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시간을 제어하는 전자식 타이머(16)와, 오존발생기(30)의 이상으로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 전원을 차단하여 고압트랜스(12)를 보호하기 위한 휴즈(17)가 설치된다.
고압트랜스(12)는 기계식으로 구성되며, 1개의 트랜스에 두 가지의 고전압(10,000볼트와 12,000볼트)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선택적으로 필요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전압조정기(13)는 고압트랜스(12)로부터 입력된 교류전압을 원하는 크기로 변환시켜 새로운 교류 전원을 만든 후 오존발생기(30)로 공급한다. 이러한 전압조정기(13)의 전압을 올리거나 낮춤으로써 오존발생기(30)의 오존생성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체(11)의 외부에는 전압조정기(13)에 의해 조정된 전압(오존발생기로 인가되는 전압)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오존의 발생량(농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전압표시계(18)가 설치된다.
전자식 타이머(16)는 전원을 인가하는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동작시간설정부(16a)와, 전원을 인가하지 않는 미동작시간을 설정하는 미동작시간 설정부(16b)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시간과 미동작시간에 따라 오존발생기(30)의 동 작과 동작중단이 반복될 수 있도록 전원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동작시간을 6분 설정하고 미동작시간을 4분 설정한 경우라면, 오존발생기(30)가 6분 동작한 후 4분 동안 동작하지 않고 다시 6분 동작하고 4분 쉬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전자식 타이머(16)는 오존발생기(30)의 동작시간과 미동작시간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저장공간(71,72,73)으로 공급되는 오존의 공급량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설정한 미동작시간 동안 오존발생기(30)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오존발생기(30)의 과열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11) 내부의 에어펌프(14)는 낮은 압력으로 다량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블로워로 구성된다. 에어펌프(14)로 유입되는 공기는 전처리 에어필터(19)에 의해 여과됨으로써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에어펌프(14)에 의해 공급된 공기는 본체(11) 외부에 설치된 제습기(15)를 통과함으로써 제습된다. 제습기(15)는 내장된 제습필터(15a)가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한다. 이러한 제습기(15)는 사용자가 제습필터(15a)의 변색을 확인하여 제습필터(15a)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도록 그 케이스 일부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제습기(15)를 거친 원료공기는 마이크로필터(20)에 의해 재차 여과된 후 원료공기 공급관(21)을 통하여 오존발생기(30)로 공급된다. 따라서 오존발생기(30)로 공급되는 원료공기는 전처리 에어필터(19), 제습기(15), 마이크로필터(20)에 의해 정화된 상태이다.
오존발생기(30)는 다량의 오존을 생성할 수 있는 무성방전식이다. 오존발생기(30)는 장기간 사용할 경우 내부에 스케일이 생겨 성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분해하여 청소하거나 부품을 교체하는 등의 유지관리가 필요한데, 본 발명은 오존발생기(30)가 오존공급유닛(10)의 본체(11) 외측 상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오존발생기(30)의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다. 또 오존발생기(30)가 본체(11)의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오존발생기(30)의 고장 등으로 액화된 오존이 흘러 내리는 경우가 생기더라도 본체(11) 내에 설치된 고압트랜스(12), 전압조정기(13) 등의 전장부품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오존발생기(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이 개방된 금속재질의 외부전극관(31), 외부전극관(31)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료공기 유입구(34)를 갖춘 제1캡(32), 외부전극관(31)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오존토출구(35)를 갖춘 제2캡(33), 외부전극관(31) 내에 설치된 금속재질의 내부전극관(36), 내부전극관(36)과 외부전극관(31) 사이에 이격 상태로 설치되며 양단이 개방된 절연관(37)을 구비한다. 또 절연관(37)과 내부전극관(36)의 안정된 지지를 위해 절연관(37)과 외부전극관(31) 사이 및 내부전극관(36)과 절연관(37) 사이에 삽입된 복수의 이격부재들(38,39)을 포함한다.
외부전극관(31)과 내부전극관(36)은 오존에 강한 스테인레스재질로 이루어지고, 외부전극관(31) 양단을 폐쇄하는 제1 및 제2캡(32,33)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외부전극관(31)의 양단과 제1 및 제2캡(32,33)에는 이들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들(31a,31b,32a,33a)이 마련되며, 플랜지들(31a,31b,32a,33a)에는 결합볼트(40)가 체결됨으로써 이들이 상호 밀봉상태로 결합된다.
절연관(37)은 석영유리관으로 이루어지고, 외부전극관(31)과 절연관(37) 사 이 및 절연관(37)과 내부전극관(36) 사이에 개재되는 이격부재들(38,39)은 실리콘이나 테프론과 같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이격부재들(38,39)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전극관(31)과 절연관(37) 사이 및 절연관(37)과 내부전극관(36) 사이에 둘레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외부전극관(31)과 절연관(37) 사이의 공간(41) 및 절연관(37)과 내부전극관(36) 사이의 공간(42)으로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상태이다. 또 이격부재들(38,39)은 둘레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고, 각 공간(41,42)에 약간 압입되는 방식으로 개재됨으로써 절연관(37)이 외부전극관(31) 내에 이격 상태로 안정되게 지지되고, 내부전극관(36)이 절연관(37) 내에 이격 상태로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외부전극관(31)의 외면 양측에는 각각 클램프형태의 지지부재(45)가 설치됨으로써 외부전극관(31)이 본체(11) 상면에 이격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오존발생기(30)는 내부전극관(36)과 절연관(37)이 외부전극관(31) 내에 진입된 상태에서 이격부재들(38,39)의 삽입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양측의 캡들(32,33)을 분리한 상태에서 이들을 쉽게 분해할 수 있고 역으로 다시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전극관(36) 및 절연관(37)을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내부의 스케일을 제거하는 작업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내부전극관(36)은 제1캡(32) 쪽의 단부가 반구형 폐쇄부(36a)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제1캡(32)의 원료공기 유입구(34)로부터 절연관(37)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반구형 폐쇄부(36a)의 안내에 의해 내부전극관(36)과 절연관(37) 사이의 공 간(42)으로 흐르도록 유도될 수 있다. 또 내부전극관(36)에는 고압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선(44)이 연결되고, 외부전극관(31)은 접지된다.
이러한 오존발생기(30)는 고압의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내부전극관(36)과 절연관(37) 사이의 공간(42) 및 절연관(37)과 외부전극관(36)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면, 각 공간(41,42)에서 +와 -전기 사이에 방전(무성방전)이 생기면서 수없이 많은 전기적 에너지의 충돌이 발생한다. 따라서 각 공간을 통과하는 공기 중의 산소(O2)는 전기적 에너지와 충돌에 의해 O2에서 O+O로 일부가 해리되고, 해리된 산소 O와 해리되지 않은 산소 O2의 결합(O2+O)에 의해 오존(O3)이 생성된다. 생성된 오존은 오존토출구(35) 및 공급관(50)을 통하여 각 저장공간(71,72,73)으로 공급될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오존공급설비의 전체적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존발생기(30)에서 생성된 오존은 메인공급관(51)을 통해 분기헤더(52)로 흐르고, 분기헤더(52)에서 각 분기공급관(53,54,55)으로 분기된 후 각 저장공간(71,72,73)으로 흐른다. 각 저장공간(71,72,73)으로 유입된 오존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공간(71) 천장 쪽에 마련된 분사관들(60)을 통하여 저장공간(71)으로 고르게 분사된다. 따라서 각 저장공간(71,72,73) 내부의 저장물에 존재하는 각종세균이나 곰팡이균 등은 천장 쪽으로부터 분사되는 오존에 의해 살균됨으로써 저장공간 내부의 저장물(농산물 등) 선도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분사관들(60)이 천장 전역에 고르게 분포하기 때문에 오존을 저장공간(71) 전역으로 고르게 분사하여 저장공간(71)에 존재하는 각종세균이나 곰팡이균 등을 대부분 살균할 수 있다. 또 저장물에서 생기는 에틸렌가스를 산화 분해하기 때문에 저장공간 전역에 걸쳐 우수한 저장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분기공급관(53)에 설치된 오존램프(58)를 동작시키면, 저장공간(71)으로 공급되는 오존의 농도도 높일 수 있다.
일부 저장공간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분기헤더(52) 쪽에 위치하는 개폐밸브들(53a,54a,55a)을 조작하여 해당 저장공간의 오존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분기헤더(52)의 배출수 개폐밸브(56)를 개방하여 분기헤더(52) 내에 모인 액화오존이나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공급설비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공급설비의 분사관들이 저장공간 내에 배치되는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공급설비의 오존발생기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오존공급유닛, 11: 본체,
12: 고압트랜스, 13: 전압조정기,
14: 에어펌프, 15: 제습기,
16: 타이머, 17: 휴즈,
18: 전압표시계, 19: 전처리 에어필터,
20: 마이크로필터, 30: 오존발생기,
31: 외부전극관, 36: 내부전극관,
37: 절연관, 38,39: 이격부재,
50: 공급관, 51: 메인공급관,
52: 분기헤더, 53,54,55: 분기공급관,
58: 오존램프, 60: 분사관,
61: 오존분사공, 71,72,73: 저장공간들.

Claims (15)

  1. 저장공간의 살균을 위한 오존공급설비에 있어서,
    오존을 생성시키는 오존공급유닛과, 상기 오존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을 상기 저장공간으로 안내하는 공급관과, 상기 저장공간 내부로 진입한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며 각각 다수의 오존분사공을 갖춘 복수의 분사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관은 상기 저장공간 내부 천장 쪽에 설치되되 상호 이격상태로 천장 쪽 전역에 분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공급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오존공급유닛과 연결되며 분기헤더를 갖춘 메인공급관과,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오존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공급관의 분기헤더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각 저장공간 내부의 분사관들과 연결된 복수의 분기공급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공급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공급설비는 상기 각 저장공간으로 오존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분기공급관에 각각 설치된 개폐밸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공급설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헤더는 액화오존 및 응축수의 배출을 위해 그 하부에 마련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공급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으로 공급되는 오존의 농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공급관에 설치된 오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공급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공급유닛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 상부에 설치된 오존발생기와, 상기 오존발생기로 전원공급을 위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고압트랜스 및 전압조정기와, 상기 오존발생기로 원료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공급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기는 양단이 개방된 금속재질의 외부전극관과, 상기 외부전극관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료공기 유입구를 갖춘 제1캡과, 상기 외부전극관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오존토출구를 갖춘 제2캡과, 상기 외부전극관 내에 설치되며 고압의 전원이 인가되는 금속재질의 내부전극관과, 상기 내부 전극관과 상기 외부전극관 사이에 이격 상태로 설치되며 양단이 개방된 절연관과, 상기 절연관과 상기 내부전극관의 지지를 위해 상기 절연관과 상기 외부전극관 사이 및 상기 내부전극관과 상기 절연관 사이에 삽입되며 절연재질로 된 복수의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오존공급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극관과 상기 제1 및 제2캡의 결합을 위해 이들의 결합부분에 각각 마련된 플랜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공급설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극관은 상기 제1캡 쪽의 단부가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공급설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유닛은 상기 오존발생기로 인가되는 전원의 제어를 위한 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는 전원을 인가하는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동작시간설정부와, 전원을 인가하지 않는 미동작시간을 설정하는 미동작시간설정부를 구비하며, 설정한 동작시간과 미동작시간에 따라 동작과 동작중단을 반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공급설비.
  11. 오존을 생성시키는 오존공급유닛을 포함하는 오존공급설비에 있어서,
    상기 오존공급유닛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측 상부에 설치된 오존발생기와, 상기 오존발생기로 전원공급을 위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된 고압트랜스 및 전압조정기와, 상기 오존발생기로 원료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공급설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기는 양단이 개방된 금속재질의 외부전극관과, 상기 외부전극관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료공기 유입구를 갖춘 제1캡과, 상기 외부전극관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오존토출구를 갖춘 제2캡과, 상기 외부전극관 내에 설치되며 고압의 전원이 인가되는 금속재질의 내부전극관과, 상기 내부전극관과 상기 외부전극관 사이에 이격 상태로 설치되며 양단이 개방된 절연관과, 상기 절연관과 상기 내부전극관의 지지를 위해 상기 절연관과 상기 외부전극관 사이 및 상기 내부전극관과 상기 절연관 사이에 삽입되며 절연재질로 된 복수의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오존공급설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극관과 상기 제1 및 제2캡의 결합을 위해 이들의 결합부분에 각각 마련된 플랜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공급설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극관은 상기 제1캡 쪽의 단부가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공급설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유닛은 상기 오존발생기로 인가되는 전원의 제어를 위한 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는 전원을 인가하는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동작시간설정부와, 전원을 인가하지 않는 미동작시간을 설정하는 미동작시간설정부를 구비하며, 설정한 동작시간과 미동작시간에 따라 동작과 동작중단을 반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공급설비.
KR1020080052235A 2008-06-03 2008-06-03 농산물 저장고용 오존공급설비 KR100916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235A KR100916548B1 (ko) 2008-06-03 2008-06-03 농산물 저장고용 오존공급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235A KR100916548B1 (ko) 2008-06-03 2008-06-03 농산물 저장고용 오존공급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103A true KR20080071103A (ko) 2008-08-01
KR100916548B1 KR100916548B1 (ko) 2009-09-14

Family

ID=3988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235A KR100916548B1 (ko) 2008-06-03 2008-06-03 농산물 저장고용 오존공급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5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5642A (zh) * 2020-09-28 2021-01-22 广州科通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制药车间的智能臭氧空气消毒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373B1 (ko) * 1996-08-22 2003-11-28 주식회사 코오롱 2,6디히드록시벤조산의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5739A (ja) * 1996-02-14 1997-08-19 Shimoda Amenity Service:Kk 家屋内のオゾン散気方法
JPH10201833A (ja) * 1997-01-20 1998-08-0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オゾン脱臭殺菌装置
JPH1179711A (ja) * 1997-09-04 1999-03-23 Fuji Electric Co Ltd オゾン発生装置とその運転方法
KR200335726Y1 (ko) * 2003-09-16 2003-12-11 한국전기연구원 오존무 분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5642A (zh) * 2020-09-28 2021-01-22 广州科通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制药车间的智能臭氧空气消毒机
CN112245642B (zh) * 2020-09-28 2021-11-30 商丘市龙兴制药有限公司 一种医疗制药车间的智能臭氧空气消毒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548B1 (ko) 2009-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355B1 (ko) 축사의 대기처리장치
KR102479176B1 (ko) 플라스마 주입 공기 여과 및 멸균 시스템
CN216022311U (zh) 地下高污染建筑空间排风曝气加热紫外消杀装置
US7767167B2 (e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cell with hermetically sealed electrodes,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taminants in air emissions, and for purifying gases and sterilizing surfaces
KR101785093B1 (ko) 살균 장치
US20120063959A1 (en) Reactor clamp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air and spaces including reactor clamp
US8475723B2 (e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cell with hermetically sealed electrodes and automatic washing of electrodes during operation of the cell
KR101111388B1 (ko) 과산화수소 증기를 이용한 이동식 멸균장치
US20170276381A1 (en)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It
KR101800379B1 (ko) 물과 공기 겸용 플라즈마 처리장치
KR2010002116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악취 제거장치
KR100916548B1 (ko) 농산물 저장고용 오존공급설비
KR102395459B1 (ko) 농산물 살균 처리 플라즈마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8379A (ko)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CN211835500U (zh) 一种家用衣物消毒柜
US20040265193A1 (en) In-line, automated, duct-washing apparatus
KR20060071691A (ko) 플라즈마 공기정화 살균 탈취기
KR20070036763A (ko) 피에이치아이 모듈을 적용한 조립식 환기유니트
KR101196737B1 (ko) 수직 수로형 자외선 살균기
KR100647228B1 (ko) 양돈용 급수장치
CN215983092U (zh) 一种废气杀菌除臭处理设备
CN205054947U (zh) 一种医疗外科手术专用消毒器
KR200173525Y1 (ko) 물탱크를 위한 살균 정수장치
KR101448828B1 (ko) 수로형 자외선 살균장치
KR101433335B1 (ko) 농산물 차압 저장 큐어링 및 광촉매 플라스마 무덕트 저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