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765A - 합성 매체 기록 요소 및 이를 이용하는 이미징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합성 매체 기록 요소 및 이를 이용하는 이미징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0765A
KR20080070765A KR1020087015089A KR20087015089A KR20080070765A KR 20080070765 A KR20080070765 A KR 20080070765A KR 1020087015089 A KR1020087015089 A KR 1020087015089A KR 20087015089 A KR20087015089 A KR 20087015089A KR 20080070765 A KR20080070765 A KR 20080070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film
final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레이그 피. 모우리
Original Assignee
미디어팟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디어팟 엘엘씨 filed Critical 미디어팟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80070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separately producing marks on the film, e.g. title, time of exposure
    • G03B17/245Optica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3Position information, e.g. geographical position at time of capture, GPS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4Orientation, e.g. landscape or portrait; Location or order of the image data, e.g. in memo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Holo Graphy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 매체 기록 요소가 제공된다. 합성 매체 기록 요소를 이용하는 이미징 시스템 및 방법이 최종 이미지들에 관련된 비주얼 정보 및 위치 정보의 연계 캡처를 위해 제공된다.
Figure P1020087015089
합성 매체 기록 요소, 이미징 시스템, 정보 저장 구성 요소, 이미지 캡처

Description

합성 매체 기록 요소 및 이를 이용하는 이미징 시스템 및 방법{COMPOSITE MEDIA RECORDING ELEMENT AND IMAGING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관련 출원들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DUAL FOCUS"라는 제목으로 2005년 11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0/739,142, "SYSTEM AND METHOD FOR VARIABLE KEY FRAME FILM GATE ASSEMBLAGE WITHIN HYBRID CAMERA ENHANCING RESOLUTION WHILE EXPANDING MEDIA EFFICIENCY"라는 제목으로 2005년 11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0/739,881, "A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QUALITY AND EFFICIENCY OF (DIGITAL) FILM CAPTURE"라는 제목으로 2005년 12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0/750,912에 기초하고, 이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반영된다.
본 출원은 또한,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QUALITY OF DIGITAL IMAGE CAPTURE"라는 제목으로 2006년 10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1/549,937 - 이 정식 출원은 "A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QUALITY OF DIGITAL IMAGE CAPTURE"라는 제목으로 2005년 10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0/727,538, "A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QUALITY AND EFFICIENCY OF FILM CAPTURE WITHOUT CHANGE OF FILM MAGAZINE POSITION"라는 제목으로 2005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0/732,347의 이익을 주장함-,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AND SCREENING VISUALS FOR MULTI-DIMENSIONAL DISPLAY (ADDITIONAL DISCLOSURE)"라는 제목으로 2006년 8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1/510,091 - 이 정식 출원은 2005년 8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0/711,345, 2005년 8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0/710,868, 2005년 8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0/712,189의 이익을 주장함-,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SCREENING VISUAL IMAGES FOR MULTI-DIMENSIONAL DISPLAY"라는 제목으로 2006년 7월 2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11/495,933 - 이 정식 출원은 2005년 7월 2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0/702,910의 이익을 주장함-,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MEDIA STORAGE CAPACITY"라는 제목으로 2006년 7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1/492,397 - 이 정식 출원은 2005년 7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0/701,424의 이익을 주장함-, 및 "A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EXPOSING IMAGES ON BOTH SIDES OF CELLULOID OR OTHER PHOTO SENSITIVE BEARING MATERIAL"라는 제목으로 2006년 6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1/472,728 - 이 정식 출원은 2005년 6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0/692,502의 이익을 주장함-의 전체 내용을 참조로 포함하며, 이들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다. 본 출원은 또한,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VISUAL DATA AND NON-VISUAL DATA FOR MULTIDIMENSIONAL IMAGE DISPLAY"라는 제목으로 2006년 7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1/481,526,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FILM SIMULATION"이 라는 제목으로 2006년 6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1/473,570,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EFFICIENCY AND QUALITY FOR EXPOSING IMAGES ON CELLULOID OR OTHER PHOTO SENSITIVE MATERIAL"라는 제목으로 2006년 6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1/472,728, "MULTI-DIMENSIONAL IMAGING SYSTEM AND METHOD"라는 제목으로 2006년 6월 5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1/447,406, 및 "SYSTEM AND METHOD TO SIMULATE FILM OR OTHER IMAGING MEDIA"라는 제목으로 2006년 4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1/408,389의 전체 내용을 참조로 포함하며, 이들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이미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합성 매체 기록 요소, 및 최종 이미지들에 관련된 비주얼 정보 및 위치 정보의 연계 캡처를 위해 합성 매체 기록 요소를 이용하는 이미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시대 및 그 이전에 이미징의 중요한 목표는 캡처, 저장 및/또는 전송된 이미지들에 관련된 전체적인 데이터 로드를 변경하는 것이었다. 디지털 압축은, 통상적으로 여러 인자 중에서, 의도된 표시 하드웨어, 예상되는 평균적인 인간의 시각적 인상의 조합에 기초하여, 이미징 결과를 수용 가능한 범위 외로 변경하지 않고, 데이터 볼륨을 조정하는 것에 대해 전용화된 그 자신의 산업이다. 표시 및 이미징 기술이 모든 더 높은 레벨들로의 데이터 관리 잠재력 및 요구 조건으로 진보함에 따라, 영화관, TV 또는 다른 의도된 표시 장소용으로 전자적으로 캡쳐되 는 프로젝트들의 한계는 이들의 불가피한 해상도 및 이용 가능 데이터 제한 축소(obsolescence)이다. 물류 및 비용의 이유로, 엔터테인먼트 이미징을 위한 사진 이멀션 캡처는 많은 프로젝트에서 풀 디지털 캡처 기원(all digital capture origination)으로 대체되고 있다. 따라서, 적절한 이멀션 기록의 커다란 이점들을 잃게 되었고, 절충안으로서 이멀션 캡처의 선택된 장점들이 종종 디지털 방식으로 모방되고 있다. 캡처 프로세스에서 이멀션을 수반하는 효율을 크게 증가시키면서 디지털 또는 필름 이미지들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개량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이 분야에 필요하다. 현재, 기존 기술에 의해 허용되는 해상도의 한계를 넘는, 예를 들어 픽셀 레벨 또는 더 미세한 해상도의 최종 이미지 해상도를 제공하기 위해 카메라 또는 전자 카메라 캡처 모듈로부터 심미적으로 우수한 비주얼들을 제공하는 어떠한 시스템, 장치 또는 방법도 존재하지 않는다. 다가올 시대에, 모방이 아니라 실제 필름 기록을 제공하여, 선택된 이멀션 상의 실제적이고 중요한 캡처 기록의 신중한 칼라 및 다른 비주얼 품질 양태들을 허가하면서, 이러한 이익을 모든 캡처 이미지에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충분한 이미지들의 충분히 분해된 기록을 제공하는 옵션을 허가하는 이미징에 대해 캡처 및 제작후 프로세스에서 이멀션을 적용하고, 필름 모방 소프트웨어를 개량하고, 이멀션이 임의의 디지털 제작 옵션을 넘는 이미지별 데이터 결과들을 제공하는 것을 허가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
본 발명은 합성 매체 기록 요소, 및 최종 이미지들에 관련된 정보의 연계 캡처를 위해 합성 매체 기록 요소를 이용하는 이미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합성 매체 기록 요소는 기존 기술에 의해 허용되는 해상도의 한계를 넘는, 예를 들어 픽셀 레벨 또는 더 미세한 해상도의 최종 이미지 해상도를 제공하기 위해 카메라 또는 전자 카메라 캡처 모듈로부터 심미적으로 우수한 비주얼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의 선택된 부분들에 관련된 상호 종속하는 정보를 저장한 후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기록 가능 정보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를 재생성하는 데 필요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된 부분들에 관련되고, 비주얼에 관련된 초기 광 자극의 양태들에 응답하여 저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기록 가능 정보 구성 요소로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최종 이미지는 상기 비주얼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의 표현인, 제1 기록 가능 정보 구성 요소와, 상기 제1 정보 구성 요소에 링크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관련된 비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기록 가능 정보 구성 요소로서, 상기 비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특정 최종 이미지 내의 배치에 관련되는, 제2 기록 가능 정보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초기 광 자극의 양태들에 대한 응답 동안에 적어도 상기 제1 이미지 정보 기록 구성 요소의 물리적 위치의 선택된 양태들을 인코딩하고, 상기 요소 내에 제공되는 상기 상호 종속하는 정보는 적어도 상이한 최종 이미지들에 관련된 요소들이 상기 상이한 최종 이미지들을 구별하도록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때, 상기 요소 내에 저장된 상기 정보의 모두에 관련된 최종 이미지를 추가로 식별하는 합성 매체 기록 요소가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요소는 최종 이미지 전체에 관련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요소 중 하나이고, 복수의 요소는 초기 광 자극에 대한 반응의 함수로서의 이미지 데이터의 초기 저장 동안에 서로에 대해 정지 상태로 제공되고, 요소들은 외부적으로 영향을 받을 때 서로에 대해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선택된 크기의 고정되지 않은 입자들이고, 요소들은 적어도 이미지 캡처 동안에 비고정 상태로 유지되고, 광 자극에 반응한 노출 및 데이터 저장을 위해 요소들이 제공된 후, 상기 노출에 후속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요소들의 후속 재배치가 후속된다.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의 선택된 부분들에 관련된 상호 종속 정보를 저장한 후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정보 저장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를 재생성하는 데 필요한 이미지 정보에 관련되고,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 중 하나는 상기 최종 이미지에 관련된 비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비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시스템의 이미지 정보 기록 구성 요소 내에 기록된 이미지 정보의 배치에 관련되고,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은 상기 최종 이미지에 관련된 상기 상호 종속 정보를 제공하도록 링크되고, 상기 비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기록 구성 요소 내의 초기 이미지 정보 기록 동안에 상기 이미지 정보 기록 구성 요소의 물리적 위치의 선택된 양태들을 인코딩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이 복수의 최종 이미지에 관련된 복수의 구성 요소 내에 발생할 때,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관련되는 대응하는 최종 이미지를 추가로 식별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 내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최종 이미지들을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상호 종속 정보를 적용하는 컴퓨터 구동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는 합성 매체 이미징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사진 이멀션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은 전자 기록 재료를 포함하거나,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은 자기 기록 재료를 포함한다. 상세한 양태에서,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은 선택된 크기의 개별 입자들이고, 입자들은 노출 전후에 비고정 상태에서 발생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정보 기록 구성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의 선택된 부분들을 캡처하도록 광에 노출되고, 카메라가 이미지 정보 기록 구성 요소의 이송 및 노출을 관리하고, 카메라는 캡처되는 상호 종속 정보에 관련된 비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정보 저장 구성 요소에 영향을 준다. 선택 가능한 크기의 카메라 내의 노출 영역이 노출 영역에 대해 그리고 노출 영역으로부의 카메라에 의한 구성 요소들의 볼륨 및 분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구성 요소들은 요소의 양태들로서 제공되고, 각각의 요소는 이미지 및 비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 후 별개의 이미지 데이터 관리 소프트웨어를 작동시키는 컴퓨터에, 이미지 정보의 적어도 일 픽셀의 등가를 구별하고, 선택된 최종 이미지, 및 최종 이미지 내에서 픽셀이 배치되어야 하는 최종 이미지 내의 배치를 추가로 구별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합성 매체 이미징 시스템은 개별 데이터 생성 어셈블리와 연계하여 작동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어셈블리에 영향을 주는 자극이 적어도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 요소들 중 하나에 의해 기록되는 상호 종속 정보 내에 나타나는 선택적으로 구별되는 이미지 존들의 위치 및 형상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고, 위치 및 형상에 관련된 정보는 상호 종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성 요소들 중 어느 것도 카메라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지 않을 때 발생하는 노출 기간들과 관련되고, 어셈블리는 구성 요소들 내에 저장되지 않은 이미지 정보를 외삽하기 위해 요소의 이미지 데이터 내에서 이용 가능하지 않은 존들의 중간 배치를 제공하며, 외삽은 적어도 이미지 정보가 캡처되고 있지 않을 때 어셈블리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컴퓨터 변경을 수반하고,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에 관련된 풀 비주얼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를 샘플링하고, 샘플링은 비주얼의 각각의 부분에 관하여, 구성 요소들 내에 기록된 정보보다 비주얼의 각각의 부분에 대해 선택적으로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의 선택된 부분들에 관련된 상호 종속 정보를 저장한 후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정보 저장 구성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복수의 상기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최종 이미지를 재생성하는 데 필요한 이미지 정보와 관련되는, 정보 저장 구성 요소 제공 단계와,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 중 하나에 상기 최종 이미지에 관련된 비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로서, 상기 비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시스템의 이미지 정보 기록 구성 요소 내에 기록된 이미지 정보의 배치에 관련되는, 비 이미지 데이터 저장 단계와, 상기 최종 이미지에 관련된 상기 상호 종속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을 링크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 구성 요소 내의 초기 이미지 정보 기록 동안에 상기 비 이미지 데이터 내의 상기 이미지 정보 기록 구성 요소의 물리적 위치의 선택된 양태들을 인코딩하고, 적어도 상기 구성 요소들이 복수의 최종 이미지에 관련된 복수의 구성 요소 내에 발생할 때,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관련된 대응하는 최종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 요소들 내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최종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해 컴퓨터 구동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에서 상기 상호 종속 정보를 적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비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관련된 대응하는 최종 이미지들 및 최종 이미지 양태들에 대해 이미지 데이터를 구별하는 상호 종속 정보 적용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징 방법이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최종 이미지에 관련된 정보의 연계 캡처를 위한 이미징 시스템이며, 제1 매체 캡처 모듈에 비주얼에 관련된 자극들을 제공하는 이미지 정보 수집 및 기록 장치로서, 상기 모듈은 상기 자극들의 양태들을 이미지 정보로서 캡처하는 이미지 정보 수집 및 기록 장치와, 상기 비주얼의 양태들에 관련된 추가 정보를 캡처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매체 캡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모듈은 상기 비주얼에 관련된 최종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컴퓨터 구동 이미지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에 통지하도록 상기 모듈들에 의해 수집된 개별 정보를 선택적으로 링크하는 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징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추가 정보의 일부는 제1 매체 캡처 모듈이 정보를 캡쳐하도록 작동하지 않는 기간들 동안에 캡쳐된다. 다른 양태에서, 제2 모듈은 제1 모듈과 무관하게 배치되고, 제1 모듈의 위치로부터 캡처에 이용할 수 없는 정보를 수집하고, 제1 모듈에 의해 캡처된 정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비주얼의 양태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정보는 최종 이미지들과 제1 모듈에 의해 캡처된 정보에 의해 표현되는 이미지들 간의 선택된 차이들에 영향을 주는 양태들에 관련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적어도 제2 모듈은 복수의 장치 중 하나의 장치이고, 복수의 장치는 적어도 제1 모듈에 의해 캡처된 정보 내에 나타나는 비주얼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를 나타내는 장치들에 의해 수신된 자극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작동하고, 장치들은 제1 모듈에 의해 캡처된 비주얼 내에 나타나는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장치들이 제1 모듈에 의해 캡처된 비주얼 정보 내에 장치들을 시각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최종 이미지들에 영향을 주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허가하는 비주얼 양태들에 의해 의도적으로 시각적으로 차단되는 위치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본 발명은 도시된 정확한 배열들 및 수단들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는 본 발명의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1은 이미지 기록 매체 구성 요소 및 비 이미지 데이터 기록 재료 구성 요소로 구성되는 여러 기록 입자 "요소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다수의 요소들의 처리되고 디지털화된 이미지 데이터 구성 요소들의 세 그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합성 매체 기록 요소, 및 최종 이미지들에 관련된 정보의 연계 캡처를 위해 합성 매체 기록 요소를 이용하는 이미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의 연계 캡처는 비주얼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합성 매체 기록 요소이며,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의 선택된 부분들에 관련된 상호 종속하는 정보를 저장한 후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기록 가능 정보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를 재생성하는 데 필요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된 부분들에 관련되고, 비주얼에 관련된 초기 광 자극의 양태들에 응답하여 저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기록 가능 정보 구성 요소로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최종 이미지는 상기 비주얼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의 표현인, 제1 기록 가능 정보 구성 요소와, 상기 제1 정보 구성 요소에 링크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관련된 비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기록 가능 정보 구성 요소로서, 상기 비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특정 최종 이미지 내의 배치에 관련되는, 제2 기록 가능 정보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초기 광 자극의 양태들에 대한 응답 동안에 적어도 상기 제1 이미지 정보 기록 구성 요소의 물리적 위치의 선택된 양태들을 인코딩하고, 상기 요소 내에 제공되는 상기 상호 종속하는 정보는 적어도 상이한 최종 이미지들에 관련된 요소들이 상기 상이한 최종 이미지들을 구별하도록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때, 상기 요소 내에 저장된 상기 정보의 모두에 관련된 최종 이미지를 추가로 식별하는 합성 매체 기록 요소가 제공된다. 합성 매체 기록 요소를 이용하는 합성 매체 이미징 시스템 및 이미징 방법이 제공된다.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의 선택된 부분들에 관련된 상호 종속 정보를 저장한 후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정보 저장 구성 요소, 및 구성 요소들 내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최종 이미지들을 생성함에 있어서 상호 종속 정보를 적용하는 컴퓨터 구동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합성 매체 이미징 시스템 및 이미징 방법이 제공된 다.
본 발명은 특정 방법들, 장치 또는 시스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연히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될 때, 단수 및 "상기"는 내용이 명확히 다르게 지시되지 않은 한 다수의 참조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나의 컨테이너"의 지칭은 둘 이상의 컨테이너의 조합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량, 시간 등과 같은 측정 가능 값을 지칭할 때 사용되는 "약"이라는 용어는 지정 값으로부터 ±20% 또는 ±10%, 바람직하게는 ±5%, 더 바람직하게는 ±1%, 더 바람직하게는 ±0.1%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이러한 편차들이 개시되는 방법들을 수행하는 데 적절하기 때문이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전문가들이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여기에 설명되는 것들과 유사 또는 동등한 임의의 방법들 또는 재료들이 본 발명의 실시에 이용될 수 있지만, 이 방법들 및 재료들은 여기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고 청구함에 있어서, 아래의 용어들이 사용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될 때, "모듈"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효과에 기여하는 하나 이상의 개별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모듈들은 작동할 수 있거나, 대안으로 그 기능을 위해 하나 이상의 다른 모듈에 의존할 수 있다.
"기록 가능 정보 구성 요소"는 특정 타입의 정보에 관련된 보다 큰 시스템의 일 양태이고 동일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정보 구성 요소와 상호 종속하는 정보 수신, 저장 및 판독 가능 매체를 지칭한다.
"상호 종속 정보"는 최종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해 이미지 데이터 관리 컴퓨터 구동 프로그램에 의한 이미지 데이터의 적절한 관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주도록 링크되는 이미지 및 비 이미지 정보를 지칭한다.
"최종 이미지"는 링크된 시스템 기록 가능 매체 구성 요소들에 기록된 후 판독된 저장 정보에 기초하여 캡처되고 할당된 이미지 데이터에 의해 개시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출력 이미지(들)를 지칭한다.
"이미지 정보"는 비주얼, 전자 또는 다르게 캡처되고 판독 가능한 정보, 예를 들어 가시 매체의 재생성을 위한 픽셀별, 특수 제공 칼라 및 다른 관련 비주얼 데이터를 지칭한다.
"컨테인먼트"는 여기서 특정 매체 구성 요소들로 구성된 기록 가능 매체 요소들에 관련된 비노출 매체를 제공하고, 또한 이미지 캡처와 같은 정보 기록에 이어서 이러한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밀봉된 차광 컨테이너를 지칭한다.
"사진 잠재 이미지 기록 이멀션"은 광 형태로 제공되는 비주얼 자극에 노출된 후에 추가적인 제작후 프로세스를 위해 광화학적으로 처리되고 통상적으로 디지털 데이터로 "스캐닝"되는 필름 이멀션의 공지된 광화학 기록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전자 기록 재료"는 예를 들어 오디오 및 비주얼 정보를 보유하기 위한 자기 테이프 및 관련 매체에서와 같이, 자기 기록 가능 재료와 같은 정보 보유 매체를 지칭한다.
"비고정"은, 예를 들어 사진 이멀션이 서로에 대해 재배치되고 이미징 자극에 대한 노출 및 컨테인먼트에 대해 선택된 공간들로 이동될 수 있는 많은 독립 입자들에 제공될 수 있는 입자들/과립들로서 제공되는 요소들을 지칭한다.
"상기 상호 종속 정보의 하나의 협동 양태"는 이미징 시스템에 의한 최종 이미지 생성에 관련된 상호 종속 저장 정보 내를 지칭하며, 여기서 협동 양태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 내에 특정 결과를 명시하기 위해 이 협동 정보 양태에 영향을 주거나 받기 위해 특별히 링크되고 캡처되는 이미지 또는 비 이미지 데이터이다.
"물리적 영향 수단"은 방출 압축 가스에 노출되는 것과 같은 물리적 수단, 또는 요소들 또는 기록 가능 과립들의 위치를 서로에 대해 변경하기 위해 위치를 자기적으로 변경하는 것과 같은 전자적 수단을 통한 카메라의 기능을 지칭한다.
"전자적으로 영향을 받는 재배치 수단"은 서로에 대해 기록 가능 요소들 또는 입자들, 사진 셀룰로이드 또는 다른 위치 고정(이미지들 및 이미지들의 부분들에 대해) 위치 상에 통상적으로 고정되는 기록 가능 양태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자기 또는 다른 전자적으로 영향을 받는 수단을 지칭한다.
"자기 재배치 수단"은 자기적으로 부과된 힘에 응답하는 자기 감지 재료를 지칭하며, 이는 그러한 재료, 및 다른 잠재적으로 비자기적이고 기록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그러한 재료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그리고/또는 영향을 준다.
"컴퓨터 구동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은 이미지 정보만이 아니라 관련된 비 이미지 정보를 인수 분해하여, 비 이미지 정보가 형태를 취하는 것을 포괄적으로 허가하는 최종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는 컴퓨터 변환 프로그램을 지칭한다.
"기록 가능 정보 구성 요소 상호 종속 정보"는 이미지 정보의 각 비트가 독립 기록 가능 입자에 관련될 때 독립적으로는 쓸모 없는 이미지 및 비 이미지 데이터를 지칭하며, 비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 캡처 및 노출에 이어서, 제거 및 저장 프로세스에서 그러한 구성 요소들의 재배치 후에 아마도 무작위화하는 것에 이어서, 그러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제공되고 적용되어 올바른 이미지 및 이미지 위치에 적절히 할당되어야 한다.
"최종 이미지"는, 카메라 조작자에 의해 선택되고, 따라서 카메라 조작자가 볼 수 있는 카메라 캡처 이미지에 관련되며, 또한 본 발명의 요소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노출(및 기록)하는 데 사용되는 비주얼에 관련된 의도된 최종 비주얼 결과를 지칭한다.
"개별 데이터 생성 어셈블리"는 이멀션 기반 캡처 시스템과 연계하여 작동하고, 이멀션 내에 캡처된 이미지들의 양태들에 관한 일관된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고, 초기에 캡처된 이미지들을 이용하는 원래의 이멀션보다 많은 이멀션 기반 최종 이미지들의 결과를 얻기 위해 보다 적은 이멀션 기반 이미지들이 캡처되는 것을 허가하는 개별 이미지 캡처 시스템을 지칭한다.
"이미지 존"은 캡처를 위해 제공되고 최종 이미지들 내에 존재하는 이미지 내의 영역을 지칭하며, 이미지 존들은 이미지들의 객체들 및 일치 부분들과 같은 적어도 식별 가능한 이미지 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람 얼굴의 이미지가 파란 눈을 특징화할 때, 본 발명의 이미지 존은 얼굴의 일치하는 청색 홍채 칼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후속 제작후 사용 및 효과를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이 그러한 홍채 칼라를 격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합성 매체 이미징 시스템
본 발명은 캡처될 수 있는 데이터의 각각의 양태의 값을 최대화하여, 아마도 그들 전체의 일부에 대해 사용되는 불필요한 큰 데이터 저장소를 줄이고, 기존의 보조 기록 시스템 또는 카메라 시스템에 관련된 옵션을 확장하여 이미지 기록 및 이미지 저장에 대한 새로운 기능 범위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래의 사례들 및 실시예들은 이미지 정보의 기록 및 저장, 캡처 장치들 및 보조 기술에 기초하는 현재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이미지 기록 매체 구성 요소(108) 및 비 이미지 데이터 기록 재료 구성 요소(104)로 구성된 여러 기록 입자 "요소들"을 나타낸다. 여기서, 이들 구성 요소는 각각의 독립적인 비고정 요소 내에서 서로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요소는 독립적이며(과립들 또는 입자들은 이러한 작은 기록 가능 비트들에 관련된 적절한 용어들이다), 물리적 재배치 영향 수단이 선택된 밀도 및 일반적인 분산 방식으로 노출 가스 내에 이들 요소를 무작위로 배치한다. 여기서, 이들 요소는 노출 게이트(106) 내에 정지해 있지만, 이러한 정지 상태 전에는 예를 들어 이 위치로 날아왔거나, 이 노출 게이트 정지 상태로 자기적으로 이동되었으며, 광 자 극(102)에 대한 노출에 이어서, 요소들은 다시 유사하게 이 게이트 영역 밖으로 이동되어, 새로운 요소들의 그룹이 후속 이미지 노출을 위해 게이트에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린터들의 토너 카트리지들과 다르지 않은 컨테인먼트들은 비노출 요소들을 게이트로, 그리고 노출 및 기록된 구성 요소 보유 요소들을 게이트로부터 다른 컨테인먼트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요소들은 어느 하나의 컨테인먼트 내에 무작위화된다. 자석(106)과 같은 게이트 전자 기록 양태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노출 동안 게이트의 전체 표면 영역 내의 정지 위치에 관련된 특정 참조 데이터로 비 이미지 데이터 기록 요소(104)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이미지가 이미지 정보, 이 구성에서는 사진 이멀션(108)을 노출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광 자극에 제공되고 있을 때, 이러한 "노출 동안 내가 게이트 내의 어디에 있었는가"에 관한 데이터는 요소들에 제공되는 "이미지" 및 따라서 또한 최종 이미지 내의 위치에 직접 대응한다.
비 이미지 데이터 기록 재료(104), 예를 들어 자기 기록 매체는 광 자극들에 대한 개별적인 상이한 노출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요소가 관련되는 이미지에 관련된 게이트 전자 기록 양태(106)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더 저장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게이트로부터 제거된 요소들이 전송되고 유지되는 노출 요소들의 컨테인먼트는 나중에 컴퓨팅 수단 및 개별 이미지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전체 이미지 내의 정확한 최종 이미지 및 정확한 포인트(이 구성에서는 픽셀 위치)에 할당될 다수의 무작위 요소들을 유지할 것이다.
도2는, 보다 큰 요소 구성 요소 크기들은 원하는 시스템의 심미적 판단에 기 초하여 실로 미세하지만, 잠재적으로 하나의 요소가 픽셀 또는 등가물에 대응하는 것만큼 적은 데이터를 보유할 수 있는 경우, 다수의 요소들의 처리되고 디지털화된 이미지 데이터 구성 요소들의 세 그룹(202, 204, 206)을 나타낸다.
본 구성에서(옵션만은 아님) 이들 그룹은 컨테인먼트 표면 상의 1 요소 두께의 얇은 층에 확산된 요소들이다. 여기서, 이 컨테인먼트는 보다 통상적인 이멀션 처리 및 디지털화를 허가한다. 이 컨테인먼트는 또한 요소들의 비 이미지 데이터 구성 요소들의 연속된 후속 판독을 허가한다.
이미지 양태 대응 참조(208)는 최종 이미지 생성 전에 그의 무작위 프리젠테이션에서 지시되는 요소(208)에 관련된 비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는 컴퓨터 및 특정 프로그램 작동을 설명하며, 이후 비 이미지 데이터는 이 요소가 어느 최종 이미지와 관련 있는지, 그리고 이 요소가 그 최종 이미지 내의 어떤 양태/위치를 나타내는지를 지시한다. 즉, 요소들(210, 212) 및 이들의 비 이미지 데이터에 의해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현되는 컴퓨터로서의 기록 또한 요소(208)와 동일한 최종 이미지에서 발생한다. 이것은 노출에 이은 벌크 컨테인먼트로 인한 광범위하게 무작위화된 요소들을 설명하며, 다시 이 컨테인먼트는 프린터 토너 카트리지 내에서 발생하는 칼라 입자들과 유사한 많은 요소들을 보유하는 박스이다. 중요한 차이는, 토너 카트리지가 컴퓨터가 인쇄 이미지의 생성시 어느 곳에 배치할지를 지시해야 하는 입자들을 제공하며, 토너 자체는 임의의 특정 이미지에 대한 그러한 참조를 갖지 않는다는 점이다. 여기서, 요소들은 그들의 입자 형태에서 사실상, 요소들이 노출 게이트 내에 정지하고 있는 동안 저장을 위해 그러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적절 한 구성 요소(착색되는 이멀션 측 아래) 내에 기록된 비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그들이 일련의 최종 이미지들 내의 어디에 속하는지를 "안다".
최대의 적절한 구성 요소를 적소에, 예를 들어 상하에 유지하기 위한 옵션들은 자기 수단에 의해 잠재적으로 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비 이미지 데이터 측은 게이트를 향해 아래로 당겨지도록 영향을 받는다. 충분한 다수의 이미지 정보 보유 요소가 이러한 과다한 단계들 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적절한 양의 요소들이 게이트 내의 선택적으로 유효한 분산에 제공될 수 있다.
노출 게이트는 임의의 선택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셀룰로이드 양태를 제거하고 파우더-과립-더스트 형태로 비노출 이멀션을 제공하여, 원자재, 예를 들어 필름 스톡의 중량, 부피 및 표면적을 크게 줄임으로써 최종 이미지 해상도 결과가 충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는 65 mm로 알려지고 70 mm 동영상 시스템들과 충분히 관련된 것들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비주얼 제공 카메라 렌즈를 통해 24개마다 단일 이멀션 이미지를 캡처하는 키 프레임 시스템 구성 내에 구성되는 경우, 예를 들어 압축 가스에 의해 노출 과립들에 대한 컨테인먼트로 노출 및 날아가는 이멀션 요소들 또는 과립들은 모든 최종 이미지에 대해, 예를 들어 20k 이상의 이미지들에 상당하는 데이터 임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그 전체 내용이 참고로 반영된 미국 특허 제5,687,011호, 및 2006년 10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11/549,937을 참조한다.
일 양태에서, 하이브리드 이멀션 및 디지털 기반 카메라는 필름에 대한 구형 수퍼-8 카트리지와 같이 그러한 이멀션 요소들 및 과립들의 카트리지의 전체의 노 출에 이어서 팝온 및 팝오프될 수 있는, 대형 프린터-토너 플라스틱 카트리지와 유사한 분별있는 카트리지들을 특징화하며, 이러한 잠재적으로 놀랍도록 작고 가벼운 카트리지들 각각은 무겁고 크고 성가신 1000 피트의 34 mm 필름 스톡보다 여러 배 높은 해상도를 갖는 최종 이미지들을 제공할 수 있고, 과립들의 단일 카트리지는 카트리지당 10분을 훨씬 초과하는 총 기록 시간을 더 제공하여, 이멀션 이미징의 여러 양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멀션 기반 카메라는 대형 셀룰로이드 이멀션 필름 매거진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전체 카메라 구성 내에서 단지 10분의 캡처 시간을 허가한다. 자신의 이미지 데이터가 어느 최종 이미지에, 그리고 그 최종 이미지 내의 정확히 어느 곳에 속하는지와 관련하여 "자신들이 어디에 속하는지"의 개별 기록을 포함하는 이러한 기록 가능 이멀션의 요소들 또는 과립들은 그들의 기능을 간단히 나타내기 위해 "스마트 더스트" 이멀션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이들 요소는 하이브리드 매체 시나리오로서 개시되지만, 실제로 각 요소에 대해, 다른 실시예는 양 기록 가능 매체 양태들로서 이멀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는 요소들의 일측 또는 일부에 기록된다. 요소의 타측 또는 다른 부분 상의 기록 가능 이멀션은 비주얼 기록 및 후속 판독을 위해 정보를 인코딩하는 비주얼 또는 다른 적절한 자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배치 정보에 이용 가능한 코드는 마이크로 바 코드 또는 다른 타입의 스캔 가능 판독 가능 데이터 인코딩 접근법일 수 있다. 문제는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 보유 매체의 위치를 통지하는 데 충분한 비 이미지 데이터 기록 매체, 예를 들어 이멀션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요소, 또는 "스마트 더스트"의 과립이 충분히 큰 크기를 가져야 하지만, 작고, 이미지 정보가 가질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적거나 많다는 것일 것이다.
이멀션만을 기록 가능 요소로 갖는 실시예에서, 제3 요소가 잠재적으로 기록 불가능하거나, 아마도 기록 가능한 과립 또는 요소의 코어에서, 그의 전체 3차원 표면 상의 기록 가능 이멀션만을 특징화하는 볼 또는 입자로서 잠재적으로, 코팅할 이멀션에 대한 코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의 하나의 이점은 이미지 캡처를 위해 카메라 노출 게이트에 그러한 입자들을 제공함에 있어서 기록 가능 매체가 게이트 영역, 각각의 요소 과립이 발생하는 곳을 적어도 완전히 덮고 있는 문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어느 쪽이 위인가"하는 문제는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으며, 비 이미지 데이터는 최초의 비주얼-광에 대한 노출 동안 과립들이 정지해 있는 투명한 게이트 플로어를 통해 잠재적으로 제공된다.
태양에 노출되고 있는 동안 한쪽이 어둡게 유지되는 달과 같이 - 달은 달의 암석을 유지하는 구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부를 갖는, 이멀션으로 코팅된 확대된 요소 과립의 일례임 - , 달의 어두운 쪽은 일측 상에 기록된 태양의 일부만의 이미지 및 예를 들어 반대 쪽 상의 바 코드를 갖는 과립을 유발하는 후속 판독을 위해 바 코드 또는 다른 정보 인코딩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해 이멀션 기록 자극을 또한 수신할 수 있다. 이멀션 처리에 이어서, 이미지 정보는 잠재적으로 디지털화되거나 이미지 표시를 위해 준비될 수 있다. 달의 어두운 쪽에 기록된 정보는 후속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및 최종 이미지 생성시에 그 요소의 태양 비주얼 정보가 전체 태양의 특정 최종 이미지 내의 어느 곳에 제공될 것인지에 대한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필름 스톡의 효율 향상
비스타비전 기술과 같이, 필름은 필름 게이트에 수평으로 제공될 것이며, 이는 이미지 크기가 16 mm 또는 35 mm와 같은 필름의 폭(게이지 크기)에 의해 "수직"으로만 제한되게 한다. 다른 구성에서, 필름 스톡(35 mm도 동일하게 전형적이지만, 이 예에서는 16 mm) 자체는 스프로킷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오늘날의 레지스트레이션 기술 옵션 및 이송 옵션들과 함께, 스프로킷은 성가시며 잠재적인 이미지 저장 매체의 낭비이다. 본 발명은 35 mm 구성에서 기존의 임의의 디지털 기반 정보 캡처 수단을 능가하는 해상도 및 품질(최초)의 이미지를 제공하며, 이미지 캡처 동안, "미래의" 디지털 또는 다른 기술만이 접근할 수 있는 오늘날의 유일한 비주얼 캡처 옵션을 제공한다.
필름은 통상적으로 배치되는 필름 매거진(제조자에 의해서만 로딩 및 언로딩되는 재사용 가능 매거진들을 포함하는, 여기에 개시되는 정상 또는 "일회용" 구성에서)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필름은 수평으로 배치되는 매거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필름 매거진의 정상 직립 위치에 90도 수직함을 의미한다. 이것은 필름을 필름 게이트에 대해 수평이 되도록 90도 돌린 후, 수직 필름 매거진 내에서 교체하기 위해 노출 후 다시 90도 반대로 돌리는 롤러들과 같은 추가적인 필름 관리 및 배치 요구를 배제한다. 이러한 필름 스톡의 배치는 본 발명을 위해 설명되는 바와 같은 본 구성에서 유용하다.
여기서, 1.66 또는 1.85와 같은 직사각 영화 표시 스크린에 대해 치수가 선택적으로 유사하고, 선택적으로 가변적인 필름 게이트에 필름 스톡이 제공된다(또는 본 구성에 대해, 폭은 2 내지 1이다). 그 이점은 16 mm 필름의 사례에서, 일측 상에 구멍이 유지되는 경우에 이멀션 표면 상에 16 mm "높이"로 또는 14 mm로 더 가깝게, 그리고 필요에 따라 넓게, 이 사례에서는 예를 들어 33 mm 이상으로 넓게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폭은 잠재적으로 사실상 제한되지 않는 비주얼당 좌우 매체 공간으로 인해 완전히 선택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16 mm 필름 스톡 상에, 예를 들어 35 mm 폭의 비주얼들, 및 영화 및 HD 스크린 치수에 매우 가까운 치수의 비주얼들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며, 이러한 스크린에 최종 이미지를 제공하는 프로세스에서 조정 또는 왜곡을 거의 요구하지 않는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35 mm 필름 스톡은 잠재적으로 예측 가능한 미래를 위해 임의의 디지털 시스템의 정보 캡처/저장 수단을 능가하는 재료를 생성하는 중요한 수단을 제공한다. 이멀션 표면 영역은 필름 스톡에 저장된 이미지당 비주얼 정보의 거의 4배이다. 사실상, 35 mm 양면 이멀션 필름 스톡 및 개조된 35 mm 필름 카메라의 사용은 필름 매거진이, 예를 들어 10분에서 선택적으로 줄여질 수 있는 전체 기록 시간의 양에 따라 35 mm 필름 캡처에 통상적인 것보다 2 내지 4배 또는 그 이상의 비주얼당 이멀션 영역의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일 구성에서, 필름 기록면 및 비주얼을 캡처하는 렌즈에 대해 수평선에 평행하게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필름 스톡 상에 수평하게 단일 비주얼이 기록된다. 기 록된 단일 비주얼은 예를 들어 35 mm 이미지들의 3 프레임에 한번 할당되는 공간을 점유할 것이다. 이러한 기록 이미지의 치수는 영화관 비주얼들에 대해 요구되는 수평 치수에 선택적으로 매우 가깝고, 향상된 이멀션의 이용을 상당히 가능하게 하며, 1:85 내지 1, 또는 심지어 더 직사각인 형상 등과 같은 동영상 스크린 치수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낭비 및 "마스킹"을 최소화한다.
여기서, 3개의 통상적인 필름 프레임의 이멀션 영역의 공간의 사용은 또한 기록을 위해 필름 스톡의 반대쪽의 사용에 의해 보상되며, 훨씬 더 크지 않은 기록 표면적의 경우에, 이미지당 총 이멀션 표면적이 35 mm 상에서 통상적인 것의 약 4배로 증가하지만, 35 mm 필름의 통상적인 1000 피트 롤의 총 기록 시간이 대략 초당 24 프레임에서 10분에서 7분 바로 아래로 된다. 24 fps에서 10분의 재료로서 유지하면서, 통상적인 35 mm 수직, 단면 스톡 표준에 대한 이멀션 표면적은 필름 "롤"의 표준 기록 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여전히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오늘날의 필름들은 통상적으로 "디지털 중간" 단계에 도달하므로, 노출된 필름이 기억 내의 "투영"과 함께 생성되지 못한다는 사실은 논리적이고 본 발명에 고유하다. 실제로, 선택된 진행 거리에 기초하는 필름 이송 수단에서 스프로킷 홀들은 필요하지 않으며, 디지털 제작후 수단이 필름의 "일측" 또는 스트립 또는 타측으로부터 최종 이미지들의 완전한 레지스트레이션(및 코드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한 이미지들의 매칭)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로킷 홀 및 다른 필름 영역은 이멀션에 또는 자기 기록 재료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스톡 내에 제공되는 선택된 다른 수단 내에 비주얼 및 다른 데이터를 기록함에 있어서 선택적 으로 완전히 이용될 수 있다.
양면 필름 스톡의 노출 후, 필름의 처리 후에 2개의 스트립으로 "분할" 및 분리되기 전 또는 선택적으로 그 후에, 보다 큰 수평 필름 비주얼의 길이는 보다 큰 필름 프레임들을 스캔할 수 있는 적응성 "데이터-시네" 또는 "텔레시네" 장치에 의해 디지털화될 것이며, 디지털화에 이어서, 통상의 35 mm 필름에 비해 더 얇은 스트립들 상의 이러한 "네거티브들"은 현재의 기술이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넘어 향상된 스캐닝 및 데이터 저장 수단이 존재할 때 가능한 미래의 "리스캔"을 위해 저장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보다 큰 필름 프레임들은 오늘 날 이용 가능한 통상의 35 mm 제작물, 또는 통상의 디지털 영화, 예를 들어 디지털 생성에 비해 미래의 응용을 위한 추가적인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미러링을 제공하거나, 관련된 광학계/이미지 전환 수단이 기록을 위해 필름 스톡의 일측 상의 하나의 필름 게이트에 렌즈 이미지를 중계한 후, 필름 스톡이 비노출 이멀션의 다음 수평 프레임으로 진행하기 전에 스태거 전달 방식으로 다른 게이트에 중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서, 따라서 필름 스톡은 양면을 이용하는 24 fps의 전체 기록을 달성하기 위해 초당 12 프레임으로 진행하기만 하면 될 것이다. 이미지 전환 수단은 모든 회전 미러링 또는 다른 수단, 또는 빔 분할 수단에 의한 렌즈 이미지의 일부를 각각의 보다 큰 필름 게이트들의 각각에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렌즈 및 하드웨어는 필드의 크기(기록된 비주얼들은 실제 기록된 이미지에서 50 mm에 더 가까움), 폭, 깊이에서 구형 "70 mm" 필름 게이트들에 크기가 현재 더 가까운 선택적 폭 가변 필 름 게이트들을 수용하도록 자연스럽게 적응할 것이며, 관련 사진 양태들은 광학계 및 하드웨어가 동일 필름 게이트들을 수용하는 데 필요한 정도로 "게이지 크기" 또는 게이트 크기의 변화에 의해 선택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35 mm 필름을 이용하여, 선택된 게이지 크기의 필름의 양측을 노출시키는 수단을 제공하여, 통상적인 35 mm 필름 기록보다 훨씬 우수한 해상도의 필름 비주얼을 제공한다. 이러한 필름 기록 비주얼들은 통상의 디지털 시스템들이 현재 전달할 수 있는 것보다 비주얼당 많은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것이며, 따라서 보다 큰 이멀션 영역이 심지어 가장 최근의 디지털 영화 옵션들에 통상적인 이미지 생성 데이터를 능가하는 많은 양의 비주얼 정보를 유지하므로, 미래의 디지털(및 다른 이미징 시스템들)과 잠재적으로 더 호환 가능한 필름 비주얼들을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 하에 생성을 위해 16 mm 포맷이 사용되는 경우, 통상의 방향 및 포맷에서 "수평 노출" 이미지들로부터 통상의 35 mm 필름 스톡으로의 최종 "인쇄"는 비주얼들이 "인터네거티브" 스톡과 같은 다른 필름 스톡 상에 "인쇄"될 때 노출 레벨 및/또는 칼라 양태들을 변경하도록 인쇄 수단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목표는 "보다 큰" 게이지 크기의 고품질 네거티브를 얻기 위해 디지털 도메인에서 선택된 심미적 조정을 구현하고, 또한 통상적으로 보다 큰 게이지 크기로 기록된 것들의 또는 그에 가까운 비주얼들을 얻기 위해 보다 작은 게이지 포맷, 예를 들어 16 mm의 통상적이 아닌 이용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것이다.
총체적으로, 본 발명은 "보다 작은", 보다 가벼운 장비를 이용하여 필름을 생성하면서 보다 큰 필름 게이지 베이스들에 필적하는 "최초 네거티브" 표면 영역, 및 해상도 및 품질을 얻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산업에 잘 알려진 렌즈 및 하우징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35 mm 시스템들을 이용하여 생성을 하면서, "70 mm"로 생성된 비주얼들에 필적하는 품질 및 해상도를 갖는 비주얼들을 얻을 수 있게 하며, 따라서 미래의 기술이 훨씬 더 많은 비주얼 정보, 예를 들어 20k를 추출할 수 있는 최초 "네거티브"의 "존재"가 "미래를 준비하는" 그리고 어떠한 기존의 디지털 생성 수단이 제공할 수 있는 것보다 실제로 더 미래의 디지털 영화 및 텔레비전과 협력하는 프로젝트를 렌더링할 때, 초기 사용 및 스크린 수단이 2k 또는 4k와 같이 기존의 디지털 기술보다 많이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현재 이용 가능한 임의의 디지털 시스템의 최초 사진 촬영 동안 캡처되고 저장되는 비주얼 정보의 양을 능가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필름을 제작하고 릴리스하는 막대한 비용과 함께, 미래의 캡처 장치들과 협력하는 미래의 응용들을 제공할 수 있는 최초 네거티브의 가용성은 필름 상에 생성하는 캡처, 중량 및 비용 양태들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시스템들이 보다 큰 정보 관리/표시 수단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에 프로젝트가 미래에 더 많이 표시될 수 있는 잠재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렌즈 이미지의 필름 이멀션의 일측, 이어서 타측으로의 스태거 중계는 카메라가 스톡의 일측을 완전히 노출한 후 타측을 완전히 노출하는 것을 허가하기 위해 필름의 방향을 바꾸는 다른 옵션들을 이용하거나 연속 "루프" 및 측면 반전 또는 트위스트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양면 필름 이멀션이 그의 전체 길이에 대해 한번 진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양면에서 필름 스톡의 수평 노출에 사용되고 있는 다른 옵션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서, 임의 게이지 크기의 통상의 필름 스톡이 수평으로 노출된다. 종종 카메라의 메카니즘 및 필름 게이트의 뒤에 또는 위에 배치되는 필름 저장 수단인 "매거진"은 Arrifelx 및 Aaton의 카메라들에서 일반적인 와 같이 카메라의 뒤에 선택적으로 배치되지만, 이러한 배치는 필수는 아니다.
이러한 저장 수단, 예를 들어 매거진 내의 필름은 통상적인 수직 위치가 아니라 수평이며, 따라서 캡처되는 샷이 예를 들어 석양/수평선일 경우 수평선과 평행할 것이다. 따라서, 필름은 Arriflex 카메라에서와 같이 수평 위치에서 카메라 메카니즘 또는 필름 게이트 영역에 들어갈 것이다. 16 mm 필름의 경우, 단일 구멍 스톡 상의 스프로킷 홀들은 스톡이 노출을 위해 카메라 필름 게이트에 제공될 때 스톡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것이며, 필수적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스프로킷 홀들을 하부에 배치한다.
통상적인 35 mm 스톡의 경우, 스프로킷들은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며, 본 발명은 일 구성에서 일측만이 스프로킷 홀들을 보유하는 필름 스톡을 포함하거나, 다른 구성에서는 디지털 도메인이 레지스트레이션의 문제를 제거하므로 스프로킷 홀들이 없는 필름 스톡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후속 픽처 매칭은 필름 카메라의 메카니즘 및 필름 게이트를 통해 필름 스톡의 엄격한 위치에 관한 문제를 줄이는 디지털 제작후 프로세스에서 선택적으로 발생한다.
필름 카메라(들)의 광학계는 본 발명이 게이지 크기의 "다음 증가"에 통상적 인 이멀션 영역의 노출을 제공하므로 보다 큰 게이지 카메라의 광학계와 유사하게 변경되는데, 16 mm 카메라는 35 mm 노출 이멀션 영역과 같이 더 많은 영역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35 mm 카메라는 공지된 70 mm 필름 카메라(및 65 mm, 및 이러한 큰 게이지 크기에 관련된 카메라들)에 의한 통상의 70 mm 스톡 노출의 그것을 잠재적으로 능가하는 상당한 게이트 및 이멀션 노출 영역을 제공한다.
필름 면에 대한 광학계의 거리 또한, 제공되는 보다 큰 이멀션 표면 영역의 적절한 노출을 허가하도록 조정된다.
노출 영역은 폭은 선택적으로 변할 수 있고 고화질 텔레비전 표시에 대해 통상적이며, 따라서 폭 대 높이의 비는 최종 의도한 표시 시스템/유닛의 비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중요한 구성이 이러한 중요한 치수에 대한 것이지만(고화질 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라즈마 TV 모니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게이트 크기의 폭은 가변적일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영역을 통해 간헐적으로 이동되는 필름의 실제 양은 잠재적으로 재료에 대한 의도된 표시 시스템 또는 설정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변경될 것이다. 예를 들어, 재료가 통상의 TV 표시를 위해 정해진 경우, 16 mm 카메라 구성에서 본 발명의 잠재력이 약 14 mm X 18.6 mm의 네거티브 이미지를 노출시키도록 1:33 내지 1 비율의 필름이 노출된다. 의도된 표시가 고화질 TV인 경우, 노출되는 네거티브 및 게이트 영역으로 이동되는 필름의 양은 약 14 mm X 23 mm으로 변경되며, 최종 표시가 영화 스크린인 경우에는 약 14 mm 높이 X 33 mm 폭이 된다. 이러한 치수들은 영화 스크린 슈팅 의도에서와 같이 중요한데, 본 16 mm 구성은, 와이드 스크린에 대해 약 14 mm 높이 X 21 mm 폭의 " 라이브" 재료를 위한 이멀션 치수들을 캡처하도록 종종 제한되는 현재의 통상적인 35 mm 카메라들보다, 실제로 재료를 스크린에 형성하는 훨씬 더 큰 재료를 위한 이멀션 영역을 제공한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구성에서, 필름 게이트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필름 카메라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보충 버전에서, 필름 게이트는 수평으로, 또는 스톡의 양측이 노출되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들의 제2 필름 게이트를 고려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양 버전, 즉 단이 및 이중 게이트 버전에서, 노출된 프레임 폭의 선택적 가변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이며, 선택된 네거티브의 원하는 폭에 기초하여 필름 게이트 내로 진행되는 필름의 길이를 사실상 변경한다. 이와 같이, 필름 네거티브는 35 mm 사진 촬영에서 종종 발생하는 바와 같이 "크로핑"되거나 낭비되지 않는데, 크로핑은 네거티브 치수가 소정의 필름 스크린들의 바로 직사각 형상에 매칭되는 것을 허가하고, 따라서 본 발명은 35 mm가 현재 구성되는 카메라 시스템들을 통해 렌더링할 수 있는 것보다 예를 들어 16 mm 상의 스크린에 대해 우수한 이미지 품질을 가능하게 한다.
필름 스톡 및 인-카메라 구성
하나의 특정 구성에 있을 필요가 없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양면 이멀션 필름 스톡 및 양면 노출 필름 카메라를 포함한다.
본 발명 및 출원들의 이중 필름 게이트 명세는 렌즈 표면 영역에 대해 선택 적으로 수직이 아닐 수 있지만, 2개의 게이트가 스태거되어(위 아래로, 또는 카메라 내의 상이한 포인트들에서), 광학계, 및 선택적으로 미러링 및/또는 다른 렌즈 이미지 전환 수단이 렌즈 이미지의 전부를, 또는 빔 분할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그 일부를 하나의 게이트에 그후 다른 게이트에 중계하는 것을 허가할 수 있더라도, 통상적인 필름 게이트들이 배치되는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하나가 나머지들 바로 다음에, 또는 동시에, 또는 나중에 노출되는지에 관계없이 순차 캡처 비주얼들을 나타내는 필름의 프레임들을 선택적으로 허가하기 위하여, 참조 정보가 시각적으로 또는 데이터 트랙 또는 다른 기록 수단을 통해 임프린트될 수 있다. 따라서, 필름 스톡은 노출을 위해 필름 스톡의 동일 길이의 반대 측을 제공하기 위해 필름 카메라에 일반적인 롤러들 및 관련 구성 요소들을 통해 루핑 또는 다른 관련 인-카메라 관리를 받을 수 있다.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5,687,011호를 참조한다.
양면 필름의 길이, 예를 들어 필름이 카메라 내로 이동할 때 양면 상에 발생하는 이멀션은 스태거 프레임별 방식으로, 예를 들어 일면에 이어 다른 면에 이미지가 노출된 후, 필름은 스톡의 다음 비노출 부분으로 진행되거나, 이미지 캡처 렌즈에 평행하거나 수직하거나, 또는 달리 배치되는지에 관계없이, 필름의 전체 길이가 단일 게이트 시스템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동일 길이의 반대 면이 필름 방향 반전 수단, 또는 제1 면의 노출 후에 제2 면을 제공하기 위한 필름 스톡의 연속 루프 및 기계적 회전, 또는 동일한 것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그러한 물리적 방법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양면 필름 스톡은 품질에 관해서가 아니라 기록 "시간 증대용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필름 스톡의 양면이 통상의 필름 카메라에 통상적인 "게이트" 및 노출 치수로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될 수 있게 한다. 그 이점은 기록 시간이 정확히 2배가 되고, 통상의 디지타이징 및 필름 인쇄 및 처리 기계들이 이러한 특정 노출 크기, 이미지의 수직 위치 및 비주얼당 "구멍"(또는 스프로킷 홀) 수를 처리하도록 설정되어, 디지타이징 및/또는 처리 및/또는 필름 인쇄 등의 전에 양면 필름이 2개의 스트립으로 "분할"되는 경우, 잠재적으로(선택적으로) 더 얇은 필름 스트립들의 문제만을 요구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질적이거나 제한적인 양태는 아니지만, 오늘날 카메라들이 통상적으로 관리하는 스톡에 대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중량 및 두께인 필름 스톡(단일 또는 양면이 이멀션 처리되는지에 관계없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필름 스톡과 관련하여, 수평으로 제공되는 필름 스톡의 단면 구성들에서, 하나의 구성은 스프로킷 홀들/구멍들을 제거하여, 필름이 (스톡을 유지하고 그리고/또는 카메라 내에 있는) 롤러들의 운동을 통해 게이트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허가함으로써 스프로킷 홀들로 인해 잃었던 여분의 이멀션 공간이 매체/이미지 기록 공간이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스프로킷 홀들이 발생하는 통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필름을 이용하는 구성에서도 작동한다. 미래에 양 옵션이 제공될 수 있을 때, 폭 및 높이 양자와 관련하여 노출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옵션은 일 구성에서 예를 들어 구멍들이 있거나 없는 주어진 스톡의 구성에 의해 제공되는 이멀션 영역의 최적 사용을 허가하도록 선택적으로 제공될 것이 다.
여기서, 스프로킷 홀들이 없는 본 발명의 필름 스톡이 카메라의 기계들에 의해 대략적으로 이송될 수 있는 것은 선택적이며, 서로에 대한 픽처들의 "레지스트레이션"의 후속 완결은 디지털 도메인에서 발생하거나, 또는 필름 스톡의 양태가 레이저 또는 달리 안내되는 레지스트레이션 및 필름 이송을 허가할 수 있을 때, 선택적으로 마커들이 광학적으로 또는 다른 데이터 저장 수단 상에 발생하며, 이러한 가이드라인 또는 마커는 또한 본 발명의 가변 이송 카메라를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이들은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한 필름 길이를 선택적으로 넓은 게이트 영역으로 이동시켜, 노출당 필름의 양의 이송을 정확히 정량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카메라들은 통상의 카메라들에서 만큼의 가변 속도로 작동할 수 있지만, 24 fps가 예상되는 최종 "디지타이징" 또는 표시 목표 기준인 양면 구성에서, 디지털 표시를 위해 비디오/디지털 현실에서 변경되는 경우에도, 노출들이 스태거되는 구성에서(면 1, 면 2, 면 1, 면 2 등) 목표가 통상의 초당 24 비주얼을 달성하는 것이라면 필름은 초당 12번 이동되기만 하면 된다.
양면, 이면 어멀션 코팅된 필름 스톡은 다양한 구성으로 생성될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구성에서, "보다 얇은" 필름 스톡의 두 길이는 이멀션이 양면에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인 카메라의 중량 및 두께인 필름 스톡의 길이를 생성하도록 결합된다. 양면, 이면 이멀션 코팅된 필름 스톡의 다른 구성들도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화이트 셀룰로이드, 및/또는 플라스틱, 또는 다른 반사 재료와 같은 각각의 면 상의 이멀션들 간의 불투명한 파티션이 양면 이멀션의 디지타이징 단계에서 필름 스톡이 통상의 필름 스톡과 같이 단일 스트립으로서 유지 또는 생성될 수 있는 것을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디지타이징에서 광이 불투명에 기초하여 필름 이멀션으로부터 다시 반사되며, 이후 이러한 반사를 허용하여, 필름 스톡을 통해 통상적으로 투사되는 광이 아니라 반사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타이징을 허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의 디지타이징이 투사 방식에 비해 충분한 품질을 갖는 경우, 각각의 개별 스트립의 개별 디지타이징, 또는 인쇄 또는 다른 사용을 위해 필름을 "분할"할 필요가 제거된다. 필름은 해당 목적을 위해 구성된 디지타이징 유닛에 의해 양면이 하나씩 또는 동시에 디지타이징되고, 통상의 스톡과 선택적으로 동일한 두께 및 중량의 단일 스트립으로 유지 및 저장될 수 있는데, 유일한 차이는 이러한 양면 스톡이 이미지 기록 영역 수단의 2배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양면" 구성에 촬영된 비주얼들의 관리에 있어서, 데이터 참조, 예를 들어 필름 자체의 각 면 상의 비주얼 또는 다른 자기적 또는 달리 기록된 데이터는 모든 스톡이 스캔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허용할 것이며, "분할" 스톡 양면 구성에서 "제2 스트립"은 제1 스트립보다 소정 시간 후에 디지털화될 수 있지만, 시간 코드 또는 비주얼 참조 정보("데이터")는 비주얼들이 캡처될 때 컴퓨팅 수단이 디지털 형태의 비주얼들을 이들의 적절한 시퀀스로 자동 어셈블하는 것을 허가할 것이다. 따라서, 이것으로 제한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은 표시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결국 필름으로 반환될지라도 디지털 도메인에서 소정 포인트에서 디지털화되고 그리고/또는 관리되도록 정해지는 비주얼들의 필름 캡처에 맞게 조정된다.
필름 캡처의 품질 및 효율
키 파일드 프레임들(key filed frames)은 후에 디지털 기반 재료의 디지털 "리칼라링"에 사용되는 비디오/디지털 재료와 동일한 렌즈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디지털 생성이 예를 들어 "고화질" 재료에 대해 이용된 경우에 디지털 비주얼들 및 디지털 비주얼 데이터가 사실상 적용될 수 있으므로 비디오라는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테이프 상에 저장된 고화질 이미지들은 디지털(및/또는 비디오) 이미지들이 테이프 상에, "드라이브"에 또는 디스크 상에 저장되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을 배제하거나 그 발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문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주얼들의 비디오 및/또는 디지털 재료 및 필름 비주얼들의 선택적으로 동시적인 노출이다(유사한 재료를 캡처하도록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동일 렌즈 또는 렌즈들을 통해).
필름 캡처의 품질 및 효율에 영향을 주는 새로운 옵션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일 렌즈를 통해 또는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사용하기 위해 분리 배치되는 렌즈들에 의해 캡처되는 비디오 및/또는 디지털 기반 이미지들과 함께 임의의 게이지 크기 상에서 필름 비주얼들을 노출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의 선택적인 추가 양태가 개시된다.
일 양태에서, 필름 게이지는 16 mm 필름이고, 비디오 매체는 디지털 고화질, 예를 들어 디지털 데이터, 및/또는 CCD 또는 다른 전자 캡처 수단에 의해 캡처된 비디오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35 mm 구성에서, 필름이 통상적으로, 수평으로, 또는 필름 스톡의 일측에서, 또는 양면 필름 스톡 상의 양면 이멀션의 양면 상에서 노출되는지에 관계없이, 현재의 표준을 능가하는, 심지어 구형 70 mm 필름 캡처 시스템들을 능가하는 막대한 양의 비주얼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초 비주얼들을 선택적으로 캡처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20k" 이상을 관리할 수 있는 미래의 시스템들과 같이 큰 네거티브 영역의 여분의 비주얼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잠재적인 미래의 디지털 또는 다른 비주얼 수단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들은 35 mm의 통상적인 이미지 품질을 능가하는 16 mm 상의 비주얼들, 및 통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영화 수단의 임의의 디지털 캡처를 능가하는 35 mm 이미지들을 캡처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여기서, 24 fps보다 적은 필름 기반 이미지들을 캡처하는 선택적 옵션이 제공된다. 또한, "비디오 탭"은 사실상 고화질 비디오(및/또는 디지털) 캡처 및 저장 수단이다. 이것은 디지털 캡처되는 비주얼들을 통해 캡처 동안 온-셋(on set) 프리뷰를 향상시키고, 24 fps, 또는 29.97, 또는 30 또는 디지털 생성에 사용되는 다른 공지된 옵션들과 같은 통상의 디지털 레이트들로 재료를 제공하는 이중 목표를 달성한다. 또한, 디지털 기반 비주얼들은 필름 비주얼들과 관련된, 예를 들어 디지털 기반(및 저장) 비주얼들과 필름 기반 비주얼들 간의 후속 상호 참조를 위해 미러들 및 공지된 광학계와 같은 빔 분할 및/또는 이미지 전환 수단에 의해 동일 렌즈를 통해 선택적으로 캡처된 상호 참조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할 것이다. 자기 스트립핑 또는 비주얼 참조, 또는 필름 상의 다른 데이터 기록 수단은 두 타입의 개시 비주얼 재료 간의 쉽고 선택적으로 자동적인 상호 참조를 허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온 라인" 캡처 재료와 관련하여 필름 카메라가 중요하고, 디지털 유닛은 상대적으로 동일하거나 부수적이다.
이 접근법의 추가 이용은 디지털 기반 재료의 "리칼라링"에서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는 필름 비주얼들을 확인하는 것으로 확장된다. 통상의 수단에 의해 통상의 주의로 노출되는 고 해상도 필름 비주얼들의 조합은 동일 또는 유사한 시점에 동일 장면들 및/또는 비주얼들의 디지털 캡처 재료의 2차 캡처 및 저장을 이용하여 사진 촬영 감독에 의해 통상적으로 처리된다.
여기서, 확장된 목적은 리칼러링된 디지털 기반 재료와 잠재적으로 다른 필름 기반 재료의 바람직한 심미적 및 제작후 사용을 포함한다. 또한, "모핑(morphing)" 및 관련 이미지 외삽, 예를 들어 추론 기술은 다음을 허가하는 독점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다.
12 fps 또는 심지어 더 적은 초당 프레임과 같이, 통상적인 것보다 적은 프레임 레이트로 그렇게 되도록 캡처된 필름 재료.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이용되는 본 기술은 일단 디지털화된 이용 가능 "필름 기반" 프레임들 간의 디지털 데이터의 위치 및 시프팅의 추론에 기초하여 디지털 근사화를 통해 발생하도록, 필름에 의해 캡처되지 않은 "중간 프레임들"의 외삽을 허가한다.
또한, 고화질 디지털 기반 재료를 통해, 이용 가능 필름 비주얼들 간의 추론된 비주얼들의 "모핑" 및 생성을 제공하는 엄격한 수단. 여기서, 비주얼들은 필름화되지 않고 그럼에도 필름 비주얼 요소들로부터 생성되는 추론 및/또는 모핑된 비 주얼들의 생성을 잠재적으로 돕기 위해 사실상 고 해상도로 존재한다. 필름 비주얼들의 양태들의 배치는 온-셋 프리뷰 및 초기 편집에 사용되는 비주얼들로서 또한 배가되는 디지털 캡처 비주얼들 내에서 완전히 참조 가능할 것이다.
사실상, 프로젝트의 모든 편집은 필름 비주얼들을 수신하기 전에, 처리 후에, 디지털 형태로 디지털 기반 재료들을 이용하여 시작되고 심지어 완료될 수 있다. "최종 편집", 또는 디지털 마스터 및/또는 관련 중간물들의 생성시에, 디지털화된 필름 재료는 외형 관리자 시스템 또는 관련 디지털 "외형" 정제 수단에 의한 비주얼들의 선택적 추가 조정 전에 제작후 최종 단계로서 선택적으로, 디지털 기반 재료를 "대체"할 것이다.
고화질 기반 재료에 대해, 필름 네거티브에서 그의 디지털 버전까지 일관되는 비주얼 코드 상호 참조 데이터는 각각의 프레임에 대해 정확한 즉석 비주얼 상호 참조를 선택적으로 허가한다.
따라서, 여러 목표가 달성된다.
16 mm 필름은 선택적으로 필름 스톡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수직으로 노출되는 통상의 16 mm 및 수퍼 16 mm 비주얼들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필름 스톡의 단일 롤로부터 더 긴 기록 시간을 허가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보다 느린 프레임 레이트, 예를 들어 12 fps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수평으로 노출된 비주얼들은 통상적인 35 mm 필름 생성 품질을 능가하는 약 14 mm X 33 mm 정도로 큰 비주얼당 이멀션 영역들을, 선택적으로 변경 없이, 심지어 16 mm의 단일 롤이 제공하는 전체 기록 시간을 증가시키면서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적은 필름 프레임들은 디지털 기반 재료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디지털 추론에 충분한 양의 필름 이미지 데이터를 실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이미지를 먼저 하나의 게이트에, 이어서 다른 게이트에 중계하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2면 이멀션 필름 스톡의 양면의 노출을 허가하는 이중 필름 게이트들의 개시는 그 안에 제공되는 이용 가능 비주얼 데이터 기록 영역을 선택적으로 배가할 것이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은 약 10과 같이 16 mm 필름의 롤에 의해 제공되는 통상적인 기록 시간을 완전히 유지하거나 심지어 증가시키면서, 35 mm의 통상적인 필름 품질 및/또는 해상도를 능가하는 필름 비주얼들의 최종 필름을 포함하는 디지털 형태 또는 다른 비주얼 형태의 최종 결과를 선택적으로 허가할 것이다. 일 구성에서, 기록 시간은 적어도 롤당 20분으로 배가되면서, 16 mm 스톡으로부터 약 35 mm 필름 품질 이멀션 영역을 얻게 되는데, 디지털 외삽 수단 및/또는 양면 필름 스톡이 이러한 노력을 돕는다.
수평 노출 가변 필름 게이트 및 필름 진행량의 추가 이익은 선택적으로 이용되어, 임의의 게이지 크기의 필름 비주얼들을 허가함으로써, 35 mm의 스프로킷 없는 필름이 제공되는 경우에 35 mm와 같은 필름 스톡의 완전 수직 이용 가능 기록 영역을 유지하면서, 비주얼당 노출을 위한 선택적으로 더 큰(넓은) 양의 필름 스톡을 제공함으로써 표시 비율(1:33, 1:65, 1:66, 1:85, 2:35, 모두 내지 1)을 조정할 것이다. 표시 비율에 고유한 필름 스톡 비율을 제공함에 있어서 낭비가 거의 또는 전혀 발생하지 않거나 마스킹이 발생하지 않으며, 모든 직사각 표시 시스템은 얼마나 좁거나 넓은지에 관계없이 동일 스크린 비율에 기초하여 노출되는 비주얼들에 의해 잠재적으로 서비스된다.
35 mm 필름 스톡에 대해, 일 구성은 16 mm 카메라 구성에서와 같이 더 이상 구멍들/스프로킷 홀들을 포함하지 않는 필름 스톡을 포함한다. 그러나, 현재 이를 해결하고, 이용 가능할 때 일 구성의 향상된 이미지 기록 영역을 여전히 요구하는 경우, 본 발명 및 위에 설명된 수단은 35 mm 필름의 1,000 또는 다른 크기 또는 길이로 제공되는 총 기록 시간을 줄이지 않고, 사실상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면서, 35 mm 필름으로부터 구형 70 mm 필름 생성보다 우수한 비주얼들의 필름 캡처를 허가할 것이다. 따라서, 24 fps 이하의 필름 네거티브는 저장되어, 미래에 이 네거티브가 20k 이상과 같은 이미지 데이터를 보다 높은 정보 관리 시스템들에 대해 제공할 수 있을 때 참조될 수 있는데, 현재의 디지털 정보는 미래의 표준 시스템들 및 옵션들의 능력을 이용하는 비주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디지털 기반 재료는 최종 디지털 재료, 그의 외형 또는 다른 양태들에 선택적으로 영향을 주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디지털 기반 재료는 디지털 기반 및 필름 기반 재료 양자를 참조하여 생성된 디지털 비주얼들에 선택적으로 기여될 수 있는, 전자 캡처에 고유한, 필름 이미지들에 대해 향상된 해상도 또는 양태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시스템 구성에서, 필름(들)은 본 발명의 구성들의 여러 필요한 양태들 중에서, 통상적인지 또는 통상적인 것으로부터 적응된 것인지에 관계 없이 시스템에 대한 필름 스톡, 디지털 "외형 관리" 및 프레임 "추론" 또는 모핑 소프트웨어, 동일 또는 유사한 시간에 선택적으로 동일 렌즈를 통해 선택적으로 노출된 디지털 및 필름 기반 비주얼들 간의 디지털 상호 참조, 잠재적으로 상이한 폭의 선택적으로 수평으로 노출된 필름 프레임들을 처리하고 스캔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현저히 효율적인 필름 카메라는 소정의 양태들에서 필름과 동일한 렌즈를 통해 캡처된 고화질 디지털 재료 형태의 이상적인 "비디오 지원"과 함께 최상의 현재 및 미래 해상도 옵션들을 위한 필름 재료를 제공할 것이다. 최종 결과는 최소로 변경된 슈팅 시나리오 및 장비 시나리오 온-셋, 향상되거나 적어도 최소로 영향을 받는 필름 스톡량당 슈팅 시간, 및 다음으로 "더 큰" 게이지 크기의 통상적인 필름 시스템들로부터의 결과와 선택적으로 같거나 그보다 우수한, 저하되지 않거나 향상된 최종 "필름 기반 및 필름 외형" 디지털 결과(35 mm 품질을 제공하는 16 mm, 70 mm 품질을 제공하는 35 mm 등)이다.
하지만, 현재의 사용들은 고품질 필름 및 디지털 기반 재료가 동일 장면들 및 제작에 대해 존재한다는 사실을 제한하지 않으며, 설명된 것을 넘는 옵션들이 동일 샷들 또는 렌즈 비주얼들에 대한 우수한 필름 네거티브 및 고화질 디지털 재료의 존재에 대해 존재하고 존재할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필름 스톡 및 통상적인 수직 노출 및 프레임 크기들에 적용되는지, 또는 적응된 스톡 및 노출 방법들에 적용되는지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필름 캡처의 비주얼 품질 및/또는 효율을 향상시킨다.
수평 배치 필름 게이트
필름 스톡에 카메라 렌즈 이미지를 제공함에 있어서, 수평 배치 게이트 또는 게이트들이 이미지 캡처 품질 옵션들을 증가시키기 위한 옵션들의 생성시에 개시되었다. 다른 양태에서, 광학계(및/또는 미러링 수단)는 현재의 통상의 필름 카메라에서와 같이 렌즈 이미지를 수직 배치된 필름 스톡에 제공하기 전에 이를 90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필름 스톡 상의 노출 영역의 폭이 선택 가능한 고정 또는 가변 필름 게이트는 렌즈 및 캡처되고 있는 장면에 대해 통상의 수평 위치에 있지 않고, 90도 오프셋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에 대해 수평 필름면을 달성하기 위해, 카메라들의 필름 매거진(들)이 재배치될 필요가 없고, 필름 스톡이 트위스트 또는 재배치될 필요가 없게 된다. 여기서, 렌즈 이미지 비주얼(광)은 평반형 필름 편집 테이블들과 함께 발생할 때 90도 오프셋으로 중계되도록 회전 및/또는 바운드되며, 필름 스톡 이미지는 프로젝션 모니터 상의 표시를 위해 회전된다. 또한, 16 mm 시스템의 광학계는 35 mm 카메라의 광학계, 또는 필름 스톡에 대한 보다 큰 이미지 영역 중계를 허가하기 위한 고객 제작 옵션을 포함하는 다른 옵션일 것이다. 또한, 필름 스톡 상의 노출을 위한 이미지 영역은, 이미지 높이를 게이지 크기에 의해서만 제한되도록 하고, 이미지 폭을 선택된 최종 표시에 기초하여 선택된 이미지 비율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가변적이 되도록 하기 위해, 필름이 그의 길이에 대해 스톡 상에 수평으로 노출될 때 "넥스트 업" 필름 게이지의 이미지 영역을 초과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한다. 본질적으로, 필름 게이트는 90도 회전되며, 여기에 개 시되는 바와 같이, 옵션으로 가변 타입이고, 또한 90도 회전된 렌즈 이미지를 제공받아, 비주얼들이 수직으로 노출되는 오늘날의 통상적인 필름 시스템들과 달리, 필름 스톡 상에서 수평이지만 원하는 비율/치수의 렌즈 이미지의 적절한 노출을 허가한다. 비주얼들의 폭은 필름 스톡의 게이지 폭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하이브리드 디지털 및 필름 카메라
본 발명에 관련된 또 다른 실시예는 통상의 16 mm 네거티브 동영상 필름 스톡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디지털 및 필름 카메라이다. 이것은 게이지 크기에 관하여 다음의 응용을 전혀 제한하지 않으며, 임의의 필름 게이지 크기의 스프로킷 없는 버전들(또는 단일 구멍 스톡들에서와 같이 일면 상에만 스프로킷들을 갖는 버전들)은 본 옵션(들)의 적절한 응용을 허가할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16 mm 동영상 카메라와 연관된 통상의 필름 게이트(수직)는 개조된 "양면 게이트"로 대체되는데, 이는 16 mm 스톡의 2개의 스트립을 수용하고, 이멀션 아웃되고, 렌즈 이미지에 대면하고, 스톡의 스프로킷 홀들이 양 스트립의 "외측" 상에, 따라서 양면 게이트의 좌측 및 우측 상에도 있는 것을 허가한다.
개별적인, 링크되는 필름 이송 수단은 선택적으로 필름의 일면이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허가하고, 다른 면 또는 스트립은 위로 이동한다. 간헐적으로, 필름 스톡의 비노출 부분들은 렌즈 이미지의 캡처를 방해하는 개별 스톡들 사이의 매우 작은 스트립 또는 선과만 함께 "병행"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이멀션의 병행 스트립들에 전달되는 렌즈 이미지는 4개의 통상 적인 16 mm 또는 수퍼 16 mm 프레임 영역을 점유할 것이다. 따라서, 통상의 3 구멍 35 mm(3 perf 35 mm) 이미지 기록 수단/영역보다 많은, 2개의 개별 스트립을 포함하는, (선택적으로) 대략 이멀션의 영역에 단일 비주얼이 전달되며, 사실상 본 발명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실제 영역은 364 제곱 밀리미터의 전체 면적을 제공하고 병행하는 스트립당 2개의 수직 프레임/구멍을 갖는 15 mm 높이 X 26 mm 폭이다. 이것은 35 mm 3 구멍(1:85 내지 1의 이미지 비율)에 의해 제공되는 이멀션보다 선택적으로 5% 이상의 향상이다.
디지털 캡처 재료의 해상도 및/또는 미학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일 이미지로서 캡처되는지 또는 개별 캡처들의 합성으로서 캡처되는지에 관계없이, 필름 프레임들의 이용에 대한 "키 프레임" 접근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은 선택된 개조들을 갖는 16 mm 필름 카메라가 디지털 캡처된 비주얼들을 6k 이상의 이미지당 데이터로 주입하는 데 필요한 이미지 데이터를 캡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독점 소프트웨어는 키 프레임들이 캡처된 시간에 또는 그 안에 그리고 그 주위에 동일 렌즈를 통해 선택적으로 캡처된 각각의 선택된 디지털 기반 비주얼들에 대한 응용을 위해 이멀션의 두 스트립 상의 이러한 이미지 캡처들이 시간 코드 또는 다른 이미지 코딩 참조 수단에 의해 참조되는 것을 허가할 것이다. 이러한 디지털 기반 재료는 선택적으로 초당 24 프레임과 같은 정상적인 프레임 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흔들림이 없고 선택적으로 고화질인 디지털 기반 재료는 둘 이상의 디지털 기반 비주얼에 대한 키 프레임 데이터의 적용의 결과로서 비주얼 이미지 데이터당 6k의 초과를 구현하는 최종 비주얼들(예를 들어, 초당 24)의 생성 시에 필름 키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의 적절한 할당을 위해 이미지 존(양태들의) 배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톡의 구멍 형성 측의 얇은 측 또는 에지까지의 필름 영역으로, 또는 이미지 기록을 위한 이멀션 영역을 제한하지 않는 다른 영역들로 선택적으로 제한되는 필름 스톡 상의 자기 및/또는 비주얼 코딩 수단은 제작후 응용들을 위해 디지털 기반 비주얼들과 필름 키 프레임 비주얼들 간의 용이한 그리고/또는 자동 참조를 위한 상호 참조 데이터를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일 구성에서, 필름 스톡은 통상의 필름 카메라에서와 같이 비노출 스톡의 단일 롤로부터 유래되고, 렌즈 이미지는 디지털 캡처 및 기록 수단에 의한 풀 렌즈 이미지의 기록을 허가하도록 선택적으로 전환되며, 동일 렌즈 이미지는 예를 들어 영화를 위한 통상의 35 mm 캡처보다 큰 이멀션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필름 스톡 상에 가변, 예를 들어 1:33, 1:85, 2:35 비율의 이미지로서의 선택적 노출을 위한 풀 렌즈 이미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필름 스톡은 게이트의 좌측에 의한 초기 노출 후에 예를 들어 다른 수단의 롤러들에 의해 재배치되어, "플립된(flipped)" 스톡이 게이트 타측에 의한 노출을 위해 회전되는 것을 허가하며, "이멀션 영역"은 여전히 렌즈 이미지를 향해 대면(face out)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양면 필름 스톡"은 필름이 어느 한 쪽으로 반환되는 것을 허가하며, 양면은 필름 이멀션을 포함하고, 필름 스톡의 단일 롤의 최종 결과는 양면을 완전 노출시켜, 단일 셀룰로이드 스트립의 양면 상의 이멀션 내에 잠재 이미지들을 구현한다. 간단한 구성에서, 통상의 단면 16 mm 스톡이 기술된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게이트 "측"은 예를 들어 2개의 통상의 "프레임" 영역 또는 스톡의 두 구멍과 관련된 이멀션을 노출시키며, 타측이 간헐적으로 진행하는 렌즈 이미지의 "타측"을 노출시키기 위해 스톡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다음 2개의 스킵을 진행할 것이다. 각각 및 모든 구멍 또는 이미지 부분에 대한 시간 코드 참조는, 프로젝트가 디지털 기반 비주얼들로부터 편집된 후에, 제작 후에 자동으로 선택적으로 비주얼 부분들의 이러한 혼잡을 쉽게 분류하고, 할당하며, 최종 비주얼들은 향상된 해상도 및/또는 심미적 외형을 갖는 디지털화된 필름 키 프레임 비주얼들로 영향을 받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은 비주얼 품질의 증가 및 또한 효율 향상을 제공한다. 초당 단일 키 프레임이 적절한 제작후 소프트웨어와 함께 24와 같은 디지털 기반 비주얼들의 적어도 전체 "초"에 영향을 주는 데 사용될 수 있으므로, 단지 약 10분의 기록 시간을 통상적으로 제공하는 16 mm 필름의 단일 롤은 사실상 이제 선택적으로 60분을 제공하면서, 또한 통상적인 수퍼 16 mm 시스템들에 의해 제공되는 정상 해상도의 4배의 최종 필름 기반 "외형"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초당 더 많은 키 프레임이 노출되고, 그리고/또는 상이한 전체 이멀션 표면 영역의 프레임들이 필름 롤당 더 많거나 적은 기록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롤이 초당 6 키 프레임, 또는 4개의 디지털 기반 대응 이미지마다 하나를 제공하는 경우, 단일 필름 롤의 기록 시간은 여전히 24 fps에서 통상의 16 mm 카메라 및 기록 시스템보다 적지 않다.
본 발명은 통상의 "테이크 업" 스풀에 필름 스톡을 제공하여, 가능한 한 또는 선택적으로 필요한 만큼 적게 필름 카메라의 역학을 변경할 수 있는데, 스톡은 양면 게이트를 통해 두 번 이동하며, 이는 중요한 개조 및 기계적 개조이다. 또한, 개조된 필름 카메라에서, 필름의 2개의 롤 또는 2개의 개별 스트립은 양면 게이트로 전달되어, 개별 롤들이 양면 필름 게이트를 통해 사실상 동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이점은 기록 시간을 훨씬 더 증가시키는 전체 필름 스톡의 양, 즉 보다 작은 스톡, 예를 들어 35 mm와 대조적인 16 mm가 35 mm 스톡에 의한 통상의 캡처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는 이미지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일 것이며, 추가 이점은 스톡이 노출되고, 노출된 스톡의 테이크 업 릴로의 복귀 전에 선택적으로 전과 동일한 방향으로(위에서 아래로), 또는 반대 방향으로(아래에서 위로) 재노출을 위해 양면 필름 게이트의 타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재배치 수단을 통해 스톡을 "트위스트"해야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본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하이브리드 카메라와 관련되는데, 여기서 디지털 이미지 캡처 수단은 동일 또는 인접 렌즈를 통해 24 fps와 같은 선택적으로 정상적인 프레임 레이트로 완전한 통상의 이미지 캡처들을 캡처하며, 양면 게이트는 동일 또는 매우 유사한 렌즈 이미지/비주얼의 선택적으로 매우 높은 품질의 필름 "참조" 또는 키 프레임들을 제공한다.
필름 게이트 및 필름 이멀션 기록의 수평 양태들의 응용은 수반되는 필름 게이지 크기와 관계없이 큰 해상도 이득을 제공한다는 것을 부언하는 것이 매우 중요 하다. 이는 16 mm 스톡, 1:85 비율로 의도된 표시 치수 및 따라서 이미지 캡처 치수에 대한 이러한 향상을 설명하며, 셀룰로이드/스톡의 동일 길이의 2개의 스트립으로부터 하나의 키 프레임이 초당 생성된다.
이멀션이 노출되고, 이제 좌우 대신에 "상하"로 배치된 2개의 스트립과 함께, 선택적으로 24 mm 높이 X 45 mm 폭으로 증가되며, 선택적으로 동일한 길이로부터 16 mm 스톡의 각 스트립은 선택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풀 비주얼 캡처 존의 수직 기록/이멀션 영역의 12 mm 또는 절반을 제공한다. 이것은 16 mm 캡처로부터의 18k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최종 디지털 키 프레임을 나타낸다. 또한, 초당 하나의 키만이 필름 상에 생성되는 경우, 통상적인 16 mm 필름 스톡의 단일 400 피트 롤의 전체 기록 영역은 여전히 "2k" 캡처 이하인 통상의 24 fps보다 20분까지 증가하여 전체 필름 기록 시간을 배가시키면서 이미지 품질을 약 12배 증가시킨다. 이것은, 영화 제작 물류들 및 방법들이 절충되지 않고, 장비가 중량 면에서 그리고 선택적으로 구성 면에서 크게 개조되지 않고, 비주얼 품질의 커다란 증가를 제공함에 있어서 보다 많은 매체에 대한 요구도, 보다 적은, 예를 들어 이 응용 사례에서는 절반에 대한 요구도 없을 때, 실로 중요하다.
또한, 수평 게이트 구성은 이멀션의 스트립들을 선택적으로 서로 접촉하게 또는 서로 매우 가깝게 포개어 배치할 것이다. 수평 게이트 영역의 선택적으로 가변적인 기록 영역은 2:35(와이드 스크린) 비율의 이미지들을 제공하기 위해 4 구멍 폭(TV 비율)에서 6 구멍 폭(1:85 영화)으로 그리고 최대 8 구멍 폭으로 선택적으로 이미지들을 노출시키는데, 이는 현저히, 거의 16분간의 여전히 향상된 롤당 기록 시간을 갖는 16 mm 스톡으로부터의 약 23k의 비주얼 결과당 최종 이미지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독점 소프트웨어의 중요 양태는 2개의 필름 스트립 사이에 발생하는 작은 갭의 겹치거나 "누락된" 데이터를 제거하는 디지털 수단일 것이다. 디지털 기반 이미지들은 훨씬 더 높은 해상도의 절반들을 결합하는 "2k" 이미지 해상도의 작은 라인이 부조화 또는 현저하지 않을 때 예를 들어 필름 스톡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의 "절반들"의 무결함 할당을 위해 (2k 해상도에서)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의 양태는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부터의 무결함 최종 비주얼들을 위해 필름 스톡의 개별 절반들, 예를 들어 캡처들 사이에 수용 가능한 "전이" 이미지를 외삽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것이다.
향상된 양태는 이멀션의 양 스트립이 동시에 노출되므로, 여기에 상술되는 이멀션 영역들을 노출시키기 위해 이동 광학계 또는 이동 "게이트"가 사용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16 mm 양면 스트립은 단일 스트립 35 mm 수평 8 구멍의 해상도를 제공한다.
디지털 이미지 캡처의 품질 및 기록 시간 향상
하이브리드 카메라들에 관련된 다양한 구성 및 옵션이 영화 및 텔레비전 및 다른 동영상 매체와 같은 엔터테인먼트 이미징을 위한 향상된 품질, 기록 시간 및 다른 이로운 양태들을 허가하는 이미징을 위해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다른 매체 캡처의 양태들과 선택적으로 동시에 캡처된 하나의 매체가 후자에 영향을 주기 위해 사용된다.
정지 사진 및 동영상 매체 양자를 위해 해상도, 및 캡처 가능한 비주얼당 전체 데이터의 양을 확장하는 목적으로 모든 디지털 하이브리드 구성이 여기에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고화질 디지털 카메라는 선택적으로 렌즈 이미지의 풀 비주얼 캡처를, 그리고 선택적으로 동일 렌즈를 통해 보다 높은 해상도로 렌즈 이미지의 부분들을 캡처하는데, 이 부분들은 선택적으로 보다 낮은 초기 해상도를 가졌던 풀 비주얼 캡처에 영향을 주거나 그에 의해 영향을 받는 목적으로 캡처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하나의 구성은 카메라 렌즈를 통해 전달되고 있는 이미지의 표준 또는 "정상 고화질" 비디오(디지털) 캡처를 포함한다. 이것은 렌즈 이미지의 일부만으로부터 이미지 캡처를 도출하는 "비디오 탭" 구성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또한 이러한 풀 비주얼은 다수의 렌즈를 가진 단일 카메라의 일부로서, 또는 풀 비주얼 캡처와 함께/에 의해 후속 응용들을 위해 비주얼의 보다 높은 화질 부분들을 캡처하는 유닛과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된 개별 카메라로서 그 자신의 독립 렌즈를 통해 캡처될 수 있다.
모든 비주얼이 단일 렌즈를 통해 전달되는 다른 구성에서, 풀 비주얼 캡처는 렌즈 이미지의 선택적으로 최소 부분으로부터 수집되며, 이는 선택된 종횡비(1:66 내지 1, 또는 1:85 내지 1 등)에서 렌즈 비주얼의 적절한 렌더링을 위해 그 렌즈에 의해 수집된 "광" 또는 전체 비주얼 정보의 적은 부분만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초기 풀 비주얼 캡처는 잘 알려진 CCD 또는 다른 "칩" 또는 디지털 이미지 캡처와 관련된 다른 단일 또는 다수 전자 캡처 수단을 통해 발생할 수 있으며, 테이프 상에, 드라이브 상에 기록되고, 전자 전송 또는 캡처된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중계하기 위한 임의의 선택된 수단을 위해 중계될 수 있다.
관련된 시간 코드 또는 다른 비주얼 라벨링/트랙킹 수단이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의 후속 사용, 및 통상적으로 가능한 것을 넘는 전체 해상도 및/또는 비주얼당 전체 이미지 데이터로 캡처된 풀 비주얼들을 나타내는 변경된 디지털 비주얼들로 마감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풀 비주얼 캡처들의 각각의 비주얼에 대해 제공되고 유지/기록된다.
렌즈 이미지, 선택적으로 전술한 풀 비주얼 캡처들을 제공한 동일 렌즈로부터의 "후속" 이미지 캡처 수단은 4k 디지타이징 칩(들) 장치(들)와 같은 선택적으로 고화질 캡처 수단, 또는 인식 가능할 정도로 높은 사진 또는 영화-그래픽 해상도의 비주얼들을 캡처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여기서 이는 1초와 같은 선택적인 기간 동안 초기(또는 본 발명의 다른 이미지 캡처 수단)에 의해 캡처된 풀 비주얼이 아니라 렌즈 이미지의 일부만을 칩(들)/디지타이징 수단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고, 렌즈 이미지의 일부를 제공하기 위한 이러한 수단은 렌즈 이미지의 개별적인, 선택적으로 겹쳐지거나 겹쳐지지 않은 부분을 후속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성에서, "칩(들)" 또는 디지타이징 면/수단은 편평한 것이 아니라, 원통형 또는 원형 또는 둥근 형태를 가져, 렌즈에 대해 이동하는 것이 가 능하다. 또한, 둘 이상의 "칩" 또는 이미징 면/수단이 이 "원통" 또는 통상적이지 않은 디지털 캡처 표면/수단 내에 포함되어, 렌즈 이미지의 제2 "캡처" 또는 다른 부분이 이전 이미지 부분 캡처 이후에 결함 없이 빠르게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예를 들어 1초의 과정에서 하나 이상의 이동 칩 또는 이미지 캡처 수단이 렌즈 이미지의 새로운 부분들을 제공받아, 예를 들어 4k 캡처 수단에, 예를 들어 단일 비주얼로 어셈블될 때 선택적으로 비주얼당 및/또는 선택적으로 디지털 비디오의 초당 예를 들어 20k, 40k 또는 심지어 120k의 디지털 데이터를 갖는 단일 비주얼을 나타낼 수 있는 단일 렌즈 이미지의 이미지 부분 캡처들의 합성을 연계하여 나타낼 수 있는 일련의 비주얼들을 유발하는 복수의 새로운 렌즈 이미지 부분들(비주얼 데이터의)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풀 비주얼 캡처 자체, 예를 들어 4k, 또는 심지어 2k, 또는 심지어 비주얼당 더 적은 데이터 양이 제작 후에 그리고 시간 코드 참조를 통해 복수의 "4k", 예를 들어 풀 렌즈 이미지의 부분들의 캡처들의 어셈블을 위한 "템플릿"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초당 24, 29.97 또는 다른 통상적인 디지털 비디오 비주얼 캡처 레이트로 선택적으로 캡처된 풀 비주얼 캡처에 의해 제공되는 이러한 템플릿은 디지털 동영상 비주얼 데이터의 전체 초 동안, 적용될 복수의 매우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 부분 캡처에 대해 유용한 이미지 위치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호적으로, 이 프로세스는 고화질 이미지 부분들이 풀 비주얼 캡처들에 의해 위치와 같이 통보되는 이미지 양태들을 갖는 무결함 모자이크로 어셈블되는 것으로 시작될 수 있으며, 따라서 풀 비주얼 캡처들이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 부분 캡처 들이 영향을 받게 된다. 본질적으로, 이러한 비주얼 데이터의 상호 의존성이 기술되는 방법은, 이미지 부분 캡처들이 그 자체 중에서 예를 들어 24 fps에서 통상의 풀 비주얼 캡처들에 의해 캡처되거나 잠재적으로 캡처된 전체 이미지 양태 배치 정보의 적절한 캡처를 아마도 배제한 때, 이미지 부분 캡처들의 위치 및 그 안의 비주얼 양태들을 배치하기 위해 모핑 기술, 선택적으로 및/또는 풀 비주얼 캡처들을 이용하는 12k, 20k, 120k와 같은 매우 높은 레벨의 전체 디지털 데이터를 갖는 최종 디지털 비주얼들을, 예를 들어 정지 사진, 단일 비주얼, 또는 24 fps 프레임 레이트의 동영상 비디오를 위해 생성하도록 비주얼 데이터가 연계하여 사용되는 양태를 변경하지 않는다.
렌즈 이미지는 전체 렌즈 이미지의 선택적으로 보다 작은 부분들을 전술한 4k 옵션과 같은 2차 기록 수단에 포커스, 확대 및/또는 전달하기 위한 광학 또는 다른 수단 전에, 그리고 또한 후속 캡처를 위해 풀 렌즈 이미지의 새로운 부분을 전달하도록 교정 및/또는 이동하는 수단과 함께 캡처를 위해 풀 비주얼들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부분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타임 코드는 주어진 캡처가 나타내는 렌즈 이미지의 "존들"에 대응하는 참조 데이터의 "이미지 존"과 함께 예를 들어 초기 풀 비주얼 캡처들로부터의 24 디지털 비주얼들, 및 선택적으로 그들의 이미지 존 데이터에 따라 캡처되고 참조되는 24 "이미지 부분들"을 포함하는 1초의 이미지 데이터를 발생시켜, 예를 들어 24 X 4k 또는 96k의 "단일" 합성 비주얼을 발생시키며, 1초의 과정 동안 캡처된 이러한 데이터의 "단일 비주얼"이 모핑 및/또는 다른 디지털 혼합 기술을 선택적으 로 이용하여, 그리고 이미지 존들을 구별하기 위한 칼라 변화 또는 다른 수단과 같은 선택된 기준에 따라 구별된 객체들 및/또는 이미지 부분들을 나타내는 선택적으로 식별 가능한 이미지 존들과 같은 매우 고화질인 비주얼들의 양태들의 위치를 수정하기 위해 풀 비주얼 캡처들에 의존하여, 풀 비주얼 캡처 데이터의 24 프레임에 적용될 때, 결과는 각기 96k인 24 비주얼을 나타내는 결함 없는 1초의 수정된 디지털 비주얼 데이터이며, 이들 모두 또는 대부분은 매우 고화질인 이미지 존들의 데이터의 합성이, 이미지 부분들이 개별적으로 디지털화된 동일 1초 동안 캡처된 풀 비주얼 데이터의 24 프레임에 의해 표현되는 동일 1초를 통한 진정한 이미지 존의 위치 캡처에 선택적으로 매칭되는 것을 허가하기 위해 이미지 존들의 위치에 따라 수정된다. 최고 정보 디지타이징 수단, 및 대응하는 풀 비주얼 캡처들과 같은 주변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재배치하는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여기서의 새로운 옵션들과 조합되는 이용 가능 기술들의 합성은 크게 향상된 해상도의 캡처 수단을 생성한다.
풀 렌즈 이미지의 정적 전달과 달리 렌즈 이미지를 4k CCD(들)와 같은 선택적 이동 및/또는 선택적으로 상이한 캡처 수단으로 선택적으로 "이동" 전달하는 광 복사 시스템, 및 다른 이미징 시스템들에서의 회전 드럼들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독점 소프트웨어가 캡처 수단이 얼마나 많은 개별 이미지 존 캡처들 및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에 기초하여 해상도 및/또는 캡처된 전체 데이터가 선택적 양태인 새로운 올-디지털(all-digital)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을 때, 단일 렌즈가 단일 렌즈 이미지-디지털 재배치 및 수정 수단에 관련된 극 단 레벨의 비주얼 정보를 캡처하는 데 필요한 모든 비주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이미지 존만이 매초 개별 기록되는 2k 이미지 캡처 수단은 2k 이미지 부분 캡처들에 영향을 주기 위해 풀 비주얼 캡처 옵션을 이용하는 6k 이미징 시스템을 산출하는데, 여기서는 최대 2k의 이미지 캡처 기술만이 필요하다.
단일 렌즈 이미지의 부분들의 선택적 변경에 최대 이미지 캡처 수단/기술을 포커스함으로써, "내일 날"의 이미지 관리 및/또는 스크린 시스템과의 호환에 필요한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96k가 지난 10년간의 영화관의 "프로젝션" 능력이라면, 오늘날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96k 데이터 수단을 각각 포함하고 이용하는 디지털 비주얼들의 최종 시퀀스, 및 프로젝트들이 미래에 사용될 수 있게 하는 해상도를 허용하도록 이미지 데이터를 캡처하는 수단이 존재하며, 물론 "필름"이 4k로서 존재하고, 수년 내의 스크린 능력이 96k인 경우, 필름이 48k 또는 96k와 같이 4k보다 많이 포함하도록 아마도 어셈블 또는 개조되는 경우에, 기술적으로 이 필름 또는 프로젝트의 사용 및 그의 어필은 미래에 향상되어, 그의 장기적 가치 및 가능한 응용 및 관람 수명을 향상시킬 것이다.
예시적인 응용은 캡처 렌즈와 정렬 배치된 정적 편평 칩(들) 또는 다른 이미지 디지타이징 수단, 또는 선택적으로 렌즈 이미지에 대해 선택적인 양을 좌우로 "틸팅"하는 것과 같은 제한된 재배치 수단을 갖는 디지타이징 수단처럼 간단한 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이미지가 칩(들)과 같은 이미지 디지타이징 수단에 제공될 때, 광학 요소, 미러링, 프리즘 수단 또는 다른 이미지 전환/전달 영향 수단은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좌에서 우로 렌즈 이미지의 1/3을, 이어서 다음 1/3을, 이어서 다음 1/3을 제공한다. 이어서,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역방향으로, 즉 우에서 좌로 다음 초의 비주얼 데이터에 대해 1/3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미지 부분 선택 또는 전환/전달 수단은 예를 들어 프리즘이 360도 회전한 후에 그의 최초 위치로 돌아가는 것과 같은 그의 반복 운동 및 위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미지의 첫 번째 1/3로 복귀되는 회전 미러 또는 프리즘일 수 있다.
따라서, 렌즈 이미지 전환 수단 및 캡처 수단 양자가 이동하는 경우, 동일 렌즈 이미지의 상이한 후속 양태들의 선택적으로 유동적인 캡처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지의 새로운 부분이 예를 들어 CCD와 같은 정적 이미지 디지타이저에 전달될 때, 이미지 전환 수단이 예를 들어 3번 정지하는 간헐적인 움직임을 갖는 경우, 4k 디지타이징 수단은 비주얼 데이터의 24 풀 프레임에 영향을 주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완전한 합성 비주얼인, 예를 들어 초당 렌즈 이미지와 관련된 12k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통상적인, 예를 들어 "비디오 지원" 또는 주요 캡처 단계의 풀 비주얼 데이터, 즉 캡처된 디지털 이미지들 내에 보다 낮은 해상도로 모두 발생하는 렌즈 이미지의 상이한 부분들을 나타내는 4k 이미지 데이터의 단일 합성/모자이크를 이용하여 24 "2k" 이하의 해상도 비주얼을 24 "12k" 비주얼로 본질적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초당 렌즈 이미지의 얼마나 많은 개별 이미지 부분들이 디지털화되는지, 이들이 얼마나 많이 서로 겹치는지, 초당 얼마나 많은 통상의 풀 비주얼 디지털 이미지가 캡처되는지, 렌즈, 2차 광학계 및/또는 디지타이징 수단, 칩들 또는 다른 수단, 이동이 모두 선택적인 옵션인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옵션들 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주요 문제는 해상도, 종횡비 및 프레임 레이트에 관련된 최종 표시 시스템(들)이다.
그 목적은 이용 가능한 "풀 비주얼" 디지타이징 수단의 캡처 해상도를 능가하는 해상도의 디지털 비주얼들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옵션들은 시간 코드, 및 다른 데이터 옵션들, 상호 참조를 통해 그리고 상관되도록 식별되는 이미지 양태들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이미지들의 비주얼들에 영향을 주는 수단을 포함하며, 캡처된 연속 풀 비주얼 이미지들에서 1초의 과정 동안 이동하는 립들, 예를 들어 이들 중 24개는 모두 24 비주얼의 해상도로 향상될 수 있으며, 따라서 비주얼의 각 부분은 하나의 매우 높은 해상도의 참조만을 갖지만, 이동하는 립들이, 이들이 "열릴 때", 통상의 풀 비주얼 디지털 이미지들에 기록된 비주얼 양태들의 실제 위치 시프트에 의해 통지되는 약간 교정된 위치들에서만 매우 높은 해상도의 합성 비주얼 또는 모자이크 내에 추가 디지털 데이터를 유지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초당 단일 프레임의 비주얼 데이터를 생성하는 매우 높은 화질 데이터의 모자이크는 매우 높은 화질 정보의 "단일 프레임"이 캡처된 초 동안 캡처된 대응 비디오의 모든 24 프레임, 즉 풀 비주얼들을 업그레이드하여, 비주얼 데이터의 단일 참조 또는 "키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24 fps의 2k 디지털 비주얼들의 데이터와 같은 보다 통상적인 디지털 데이터를 캡처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부분으로부터 전환된 렌즈 이미지의 일부로부터 비주얼 데이터의 키 프레임의 선택적 캡처는 비주얼들의 양태들/존들을 동일 이미지 존 양태들의 "필름 칼라 렌더링"에 대응하도록 "리칼라링"하기 위하여 특정 목적/이유로 캡처된 보다 통상적인 디지털 재료에 영향을 주고 수정하는 데 사용되는 명확한 목적을 위해 초당 1개의 전체 총 비주얼과 같은 선택적으로 보다 적은 캡처 레이트로 생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보다 통상적인 풀 비주얼 캡처들을 보다 높은 해상도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하여, 심지어 기존의 임의의 풀 비주얼 캡처 수단보다 높은 해상도가, 보다 통상적인 풀 비주얼 수단에 의해 다수의 비주얼이 캡처된 시간 동안 캡처된 단일 비주얼을 나타내는 어셈블된 키 프레임 "모자이크"의 디지털 응용을 통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이미지 존 상관 및 수정 수단, 및 심지어 공지된 모핑 기술은 본 발명을 시기 적절하고, 실행 가능하고, 논리적이게 하며, 하이브리드 기술은 선택된 필름 스톡이 전반적으로 최초 기록 매체이었던 것처럼 작용하는 바람직한 "외형들"의 시뮬레이션에서, 그리고 매우 높은 해상도의 디지타이저가 풀 비주얼들, 심지어 현재 존재하는 것들을 훨씬 능가하는 비주얼을 캡처하는 데 사용된 것처럼 작용하는 향상된 해상도의 시뮬레이션에서 수정된 디지털 비주얼들에 대한 방향을 지시한다.
하이브리드 필름 및 디지털 카메라의 품질 및 해상도
다른 실시예에서, 필름의 비주얼 품질로, 그리고 현재 사용되는 통상의 이미지 캡처를 능가하는 비주얼 정보의 해상도 양으로 비주얼들을 캡처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체들이 연계하여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필름 및 디지털 카메라가 제공된다.
다른 렌즈-광 전환/분할 수단의 빔 스플리터에 의해 시각적으로 분해되는, "분할된", 단일 렌즈를 통해 비주얼을 캡처하는 필름 카메라는 필름 스톡 및 매거진 컨테인먼트의 통상적인 필름 구성으로 유지된다. 파나비전 유닛과 같은 35 mm 동영상 카메라와 관련하여, 이것은 매거진이 카메라의 상부에 배치되고, 필름이 노출을 위해 게이트에 수직으로 전달되고 필름 매거진 컨테인먼트의 "테이크 업" 릴로 반환됨을 의미한다.
본 구성에서 변경되는 것은 필름 카메라의 광학계 및/또는 게이트, 또는 노출 영역과 선택적으로 관련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카메라의 디지털 또는 전자 픽처 캡처 양태는 소니의 시네알타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시네마 유닛과 유사한 이미지 품질을 갖는 고화질 디지털이다.
여기서, 렌즈 이미지가 디지털 캡처 유닛으로 부분적으로 전환된 후에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광학계의 선택적으로 가변적인 양태들, 또는 렌즈 이미지의 전자 캡처를 허가하는 다른 흔들림 없는 "비디오 지원" 양태는 필름 게이트 내의 간헐적인 필름 이멀션 기록을 위해 렌즈 이미지의 일부만을 필름면으로 포커스한다. 선택적으로 디지털 비주얼 캡처는 개별 렌즈, 또는 단일 렌즈 캡처 프로세스의 다른 단계를 통해 발생할 수 있지만, 이 구성에서 렌즈 이미지의 일부는 본 시스템 방법의 광학계의 2차 양태/프로세스 전에 디지타이징을 위해 전환된다. 그러나, 필름 면이 렌즈 이미지를 수신하고 있지 않을 때 필름의 간헐적인 움직임 동안의 렌즈 이미지의 중계와 같은 통상의 "비디오 지원" 옵션들이 선택적으로 이용되어, 통상의 흔들림 없는 디지털 캡처가 선택적으로 통상의 필름 캡처 프로세스와 결합되는 것을 허가할 수 있다.
여기서 향상된 캡처 해상도의 목적을 향한 차이는 통상적인 바와 같이 필름 면에, 게이트 내로 간헐적으로 이동되는 이멀션의 후속 비노출 부분들에 렌즈 이미지의 선택적으로 상이하나 부분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포커스 변경들이 선택적으로 통상적인 24 fps, 또는 보다 느린 레이트, 예를 들어 심지어 2 fps로 필름 면에 전체적인 가능한 렌즈 이미지 또는 장면의 선택적으로 상이한 부분을 전달하는 "줌 렌즈"에서와 같이, 전체 렌즈 이미지의 선택적으로 상이한 부분들이 기록을 위해 한 프레임씩 필름에 자동으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간단한 구성에서, 주어진 포커스 설정으로 최초 캡처되고 있는 이미지는 기록을 위해 렌즈 광학계에 의해 필름 면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가변적인 그리고/또는 이동하는 광학 요소들은 필름 면을 향하는 정상 비주얼이었을 것의 증폭을 제공하여, 선택적으로 풀 렌즈 이미지의 절반을 35 mm 필름 면에 제공한 후, 필름의 비노출 동영상 필름의 다음 부분으로의 간헐적 이송 후에, 선택적으로 렌즈 이미지의 다른 절반이 기록을 위해 게이트 및 필름 면에 제공된다.
이러한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단일 렌즈 비주얼이 일 순간에 이멀션의 선택된 부분에 기록되는 대신에, 렌즈 이미지는 단계적으로 이 예에서는 2 단계로 개별 이멀션 부분으로 전달되어, 명확히 상이한 기록된 비주얼들이 필름 이멀션의 2개의 순차적인 프레임들 내에서 발생하는 것을 허가하여 비주얼 콘텐츠에 겹치게 된다. 여기서, 디지털 수단 또는 다른 수단은 순차적인 필름 프레임들로부터 (가변 광학 양태들, 또는 다른 전자 이미지 전달 및 가변 수단으로 전달되는) 풀 렌즈 이미지 를 나타내는 단일 비주얼을 생성하도록 제작 후에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얻어지는 것은 비주얼 품질이다. 와이드 스크린 영화 비주얼이 초기에 예를 들어 35 mm 카메라에 의해 기록되는 경우, 비주얼에 이용 가능한 이멀션은 필름 스톡의 폭에 의해 제한된다. 통상적으로, 캡처된 장면을 왜곡 변경하지 않는 카메라에서, 와이드 비주얼은 심지어 통상적인 필름 텔레비전 쇼 캡처 수단보다 적은 필름 이멀션을 점유하는데, 이는 텔레비전 쇼를 위한 표시 수단의 비율이 더 "정사각"이어서 "4 구멍" 이상의 이멀션 영역이 단일 비주얼을 캡처하는 데 이용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어적으로, 1:85 내지 1 시네마 스크린과 같은 대형 스크린 표시 수단을 위한 비주얼을 캡처할 때, 최초 장면/이미지 영역마다, 소형 스크린(1:33 내지 1) 텔레비전 표시 목적으로 비주얼을 캡처할 때 사용되는 것보다 상당히 적은 이멀션이 사용된다.
35 mm 필름의 4 구멍(수직) 내에서 발견되는 전체 이멀션 표면 영역은 그의 전체가 단일 필름 프레임에 전달되었을 렌즈 비주얼의 선택된 부분을 기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례에서, 가변 광학계는 단일 필름 프레임에 기록되었을 렌즈 이미지의 "좌측"의 12 이하의 표현들, 및 렌즈 이미지의 "우측"의 12 이하의 표현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 시네마 스크린 비율 2:35 내지 1 만큼 넓거나 더 넓은 비주얼은 35 mm 동영상 필름의 2개의 순차 프레임 내에 캡처되어, 통상적으로 렌즈 이미지를 캡처하는 데 사용되었을 것의 여러 배인 전체 이멀션 표면 영역 내에 초기 저장된 와이드 스크린 표시 수단에 대해, "측들"이 디지털 제작 후에 결합되는 경우, 최종 비주얼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이미지 품 질에 영향을 준다.
또한, 수평, 또는 좌우, 렌즈 이미지들의 파티션들로 제한되지 않고, 정교한 가변 광학 수단이 렌즈 이미지의 12개의 개별 부분, 또는 적거나 많은 부분을, 최초 렌즈 이미지 내에서 수평 및 수직으로 상이한 영역들로부터 나오는 렌즈 이미지의 부분들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이러한 캡처 시스템은 예를 들어 기록의 단일 초로부터 고화질 또는 정규 화질의 24 프레임, 공지된 "비디오 지원" 양태와 같은 하이브리드 카메라의 전자 캡처 양태에 의해 캡처된 디지털 비주얼들, 및 35 mm 픽처 필름의 24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선택적으로 구성은 각각의 전체 프레임 장면 비주얼에 대한 4 구멍 비주얼들의 2 프레임을 캡처하며, 이는 70 mm 필름 캡처 이상의 비주얼 품질, 예를 들어 이멀션으로 귀착된다. 필름의 12 프레임에서 12 fps로 실행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고유한 렌즈 이미지 부분이 각각의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시나리오에서, 이미징 결과는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이미지 캡처에 대한 임의의 현재 공지된 접근법을 능가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전체 이미지의 부분들로부터의 캡처들의 모자이크는 비주얼당 막대한, 본질적으로 함께 붙여진 모두 12 프레임의 기록 영역만큼 큰, 정지 사진의 2와 1/4인치 네거티브들 이상의 최종 이멀션 표면 영역을 제공한다.
제작 후에, 기존의 모핑 기술 및 선택적인 디지털 대체 수단을 통해, 캡처된 디지털 이미지들 또는 비디오는 초당 예를 들어 디지털 방식으로 하나로 이전에 어셈블된 필름 이미지를 생성된 디지털 재료의 24 프레임에 적용하는 데 필요한 모든 이미지 요소들의 배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미래의 표시를 위해, 그리고 현재의 매우 높은 해상도의 표시 수단을 위해, 사진 촬영되는 단일 "장면"을 연계하여 나타내는 필름의 상이한 순차 프레임들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의 큰 "키 프레임들"은 예를 들어 심지어 30k를 초과할 수 있는 미래의 표시 시스템들에 필요한 최초 비주얼 데이터 모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필름 스톡 상의 후속 기록을 위해 렌즈를 통해 장면의 상이한 부분들을 격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광학계를 갖춘 비교적 변경되지 않은 카메라 구성이 개시된다. 디지털 어셈블되고, 프레임화된 전체 장면으로부터 생성된 통상의 디지털 비주얼들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때, 필름 상에 기록된 이미지 "부분들"은 디지털 기반 재료와 연관하여, 또는 그와 연관하지 않고 선택적인 디지타이징 및 어셈블을 위해 선택된 양의 향상된 이멀션 기록 크기를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캡처된 디지털 재료의 24 프레임은 영사 기사에 의해 프레임화된 단일 "장면"을 나타내는 (심지어 24개의) 상이한 35 mm 프레임들로부터 생성되는 극히 고해상도인 전체 비주얼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다소 불합리하고, 미래에는 아마도 덜 불합리하겠지만, 모핑 및 이미지 양태 재배치 수단은 단일 장면으로부터의 24개의 상이한 캡처들이 풀 프레임 최초 디지털 캡처들에 의해 제공되는 24 프레임의 전체 장면이 되는 것을 허가하는 제작후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여기서 필름 프레임당 잠재적으로 6k 이상의 데이터는 동영상 매체의 24개의 전체 프레임이 되며, 이러한 24 프레임의 각각 및 모두는 잠재적으로 140k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140k 이미지의 사용이 현재 제한될 수 있지만, 오늘날 엔터테인먼트 프로젝 트 샷으로부터 이러한 이미지 품질을 추출하는 능력의 가용성은 그러한 프로젝트의 호환성 및 미래의 사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k로 제한된 프로젝트들은 훨씬 더 높은 품질의 미래의 관람 시스템들에 맞추어진 시스템들 및 관객들에게 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가장 간단한 구성에서, 예를 들어 단일 2:35 내지 1 비율의 비주얼이 35 mm 이멀션의 24 프레임 내에 프레임 장면의 12개의 "좌측" 부분들 및 12개의 "우측" 부분들(선택적으로 좌우 좌우의 스태거 순서로 기록됨)로서 캡처될 수 있다.
필름 이미지들과 연계하여 캡처된 비디오 재료의 24 프레임, 심지어 "비디오 지원 재료"는 선택적으로 4 구멍 이멀션 영역의 효율적인 사용을 고려하여 12k를 초과하고 가능하게는 20k에 접근하는 이미지 품질로 24개의 최종 디지털 이미지를 어셈블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이전에 디지털화된 필름 비주얼 데이터의 "측들"을 할당하는 데 참조 또는 사용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현재의 35 mm 카메라는 65 mm 또는 70 mm "장비" 및 필름 스톡으로 캡처된 것들과 유사한 이미지들을 의미하는 약 70 mm 생성 영화 이미지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 설명된 하이브리드 구성, 목적 및 수단을 갖춘 16 mm 카메라는 오늘날의 통상의 35 mm 카메라를 충분히 능가하는 최종 비주얼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임의의 게이지 크기에서, 필름 매체의 기록 시간을 선택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이미지 또는 스크린이 필름 상에 6개의 상이한 영역 또는 부분으로서 캡처되는 경우, 이는 6 fps인 전체 장면을 이룬다. 따라서, 최종 효과로, 통상의 16 mm 캡처보다 적어도 6배만큼 이미지 품질이 향상되고, 필름이 정상 프레임 레이트의 1/4로 실행될 때 필름의 단일 롤의 기록 시간은 4배가 되며, 필름이 참조 프레임들을 캡처하고 있는 동안, 하이브리드 유닛의 디지털 양태는 필름 프레임들에 의해 "누락"되었을 수 있는, 단일 초 동안 기록된 요소들의 시프팅 또는 변경 또는 재배치에 관한 임계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풀 프레임 비주얼 데이터를 캡처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기술은 단일 어셈블된 필름 프레임의 해상도가 디지털 기반 비주얼들 내의 그들의 대응 부분들에 대한 보다 높은 해상도의 "요소들"의 재배치시에 저하되지 않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어떤 것도 손상되지 않고 필름의 "외형" 및 실제로 제한되지 않는 해상도를 갖는 디지털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동시에 필름 기록 시간이 크게 연장된다.
전술한 발명은 이해의 명료화를 위해 설명과 예시를 통해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가르침에 비추어,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그에 대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 분야의 전문가에게 자명할 것이다.

Claims (44)

  1. 합성 매체 기록 요소이며,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의 선택된 부분들에 관련된 상호 종속하는 정보를 저장한 후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기록 가능 정보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를 재생성하는 데 필요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된 부분들에 관련되고,
    비주얼에 관련된 초기 광 자극의 양태들에 응답하여 저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기록 가능 정보 구성 요소로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최종 이미지는 상기 비주얼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의 표현인, 제1 기록 가능 정보 구성 요소와,
    상기 제1 정보 구성 요소에 링크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관련된 비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기록 가능 정보 구성 요소로서, 상기 비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특정 최종 이미지 내의 배치에 관련되는, 제2 기록 가능 정보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초기 광 자극의 양태들에 대한 응답 동안에 적어도 상기 제1 이미지 정보 기록 구성 요소의 물리적 위치의 선택된 양태들을 인코딩하고,
    상기 요소 내에 제공되는 상기 상호 종속하는 정보는 적어도 상이한 최종 이 미지들에 관련된 요소들이 상기 상이한 최종 이미지들을 구별하도록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때, 상기 요소 내에 저장된 상기 정보의 모두에 관련된 최종 이미지를 추가로 식별하는 합성 매체 기록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최종 이미지 전체에 관련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요소 중 하나이고, 상기 복수의 요소는 초기 광 자극에 대한 반응의 함수로서의 이미지 데이터의 초기 저장 동안에 서로에 대해 정지 상태로 제공되고, 상기 요소들은 외부적으로 영향을 받을 때 서로에 대해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선택된 크기의 고정되지 않은 입자들이고, 상기 요소들은 적어도 이미지 캡처 동안에 비고정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광 자극에 반응한 노출 및 데이터 저장을 위해 요소들이 제공된 후, 상기 노출에 후속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요소들의 후속 재배치가 후속되는 합성 매체 기록 요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치는 서로에 대한 상기 요소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합성 매체 기록 요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사진 잠재 이미지 기록 이멀션인 합성 매체 기록 요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기록 재료인 합성 매체 기록 요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자기 기록 재료인 합성 매체 기록 요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은 노출 전후에 비고정 상태에 있고, 상기 비 이미지 데이터는 최종 이미지 내의 이미지 데이터의 배치에 대한 후속 참조를 제공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요소에 관련되고, 상기 후속 참조는 상기 상호 종속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협동 양태를 나타내는 합성 매체 기록 요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 기록 구성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의 상기 선택된 부분들을 저장하도록 상기 광 자극에 노출되며, 노출 영역에 대해 그리고 노출 영역으로부터 복수의 상기 요소를 관리하도록 작동할 수 있고 상기 상호 종속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기 위해 각각의 요소에 개별적으로 영향을 주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합성 매체 기록 요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영역은 선택적으로 큰 크기 및 비율을 가지며, 상기 크기 및 비율은 상기 노출 영역에 제공되는 요소들의 볼륨에 영향을 주는 합성 매체 기록 요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들은 기록 가능 구성 요소들로서 사진 이멀션만을 포함하고, 상기 이멀션은 실질적으로 상기 요소의 전체 3차원 표면 상에 기록 가능하고, 상기 이미지 및 비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이멀션 내에 기록되는 합성 매체 기록 요소.
  11. 제10항에 있어서, 코팅을 위해 상기 이멀션에 대한 코어를 포함하는 제3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구성 요소는 요소 구조의 형상에 관련되는 합성 매체 기록 요소.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복수의 요소를 제공하기 위한 물리적 영향 수단을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합성 매체 기록 요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영향 수단은 압축 가스의 방출을 수반하는 합성 매체 기록 요소.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영향 수단은 실질적으로 각각의 요소의 전자적으로 영향을 받는 재배치 수단을 포함하는 합성 매체 기록 요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영향 수단은 자기 재배치 수단인 합성 매체 기록 요소.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광화학 처리를 위해 상기 요소에 관련된 상기 이멀션을 안정화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요소의 제거하고 컨테인먼트에 고정되는 합성 매체 기록 요소.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들 내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최종 이미지들을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상호 종속 정보를 적용하기 위한 컴퓨터 구동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관련된 대응하는 최종 이미지들 및 최종 이미지 양태들에 대해 이미지 데이터를 구별하는 합성 매체 기록 요소.
  18. 합성 매체 이미징 시스템이며,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의 선택된 부분들에 관련된 상호 종속 정보를 저장한 후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정보 저장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를 재생성하는 데 필요한 이미지 정보에 관련되고,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 중 하나는 상기 최종 이미지에 관련된 비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비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시스템의 이미지 정보 기록 구성 요소 내에 기록된 이미지 정보의 배치에 관련되고,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은 상기 최종 이미지에 관련된 상기 상호 종속 정보를 제공하도록 링크되고,
    상기 비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기록 구성 요소 내의 초기 이미지 정보 기록 동안에 상기 이미지 정보 기록 구성 요소의 물리적 위치의 선택된 양태들을 인코딩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이 복수의 최종 이미지에 관련된 복수의 구성 요소 내에 발생할 때,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관련되는 대응하는 최종 이미지를 추가로 식별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 내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최종 이미지들을 생성함에 있어서 상기 상호 종속 정보를 적용하는 컴퓨터 구동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는 합성 매체 이미징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사진 이멀션을 포함하는 합성 매체 이미징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은 전자 기록 재료를 포함하는 합성 매체 이미징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은 자기 기록 재료를 포함하는 합성 매체 이미징 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은 선택된 크기의 개별 입자들이고, 상기 입자들은 노출 전후에 비고정 상태에서 발생하는 합성 매체 이미징 시스템.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정보 기록 구성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의 상기 선택된 부분들을 캡처하도록 광에 노출되고, 카메라가 상기 이미지 정보 기록 구성 요소의 이송 및 노출을 관리하고, 상기 카메라는 캡처되는 상호 종속 정보에 관련된 비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정보 저장 구성 요소에 영향을 주는 합성 매체 이미징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선택 가능한 크기의 상기 카메라 내의 노출 영역이 상기 노출 영역에 대해 그리고 상기 노출 영역으로부터의 상기 카메라에 의한 상기 구성 요소들의 볼륨 및 분산에 영향을 주는 합성 매체 이미징 시스템.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은 초기 기록 전후에 비고정 상태에 있고, 상기 초기 기록은 비주얼을 나타내는 광 자극에 대한 노출을 포함하는 합성 매체 이미징 시스템.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들은 요소의 양태들로서 제공되고, 각각의 요소는 이미지 및 비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 후 별개의 이미지 데이터 관리 소프 트웨어를 작동시키는 컴퓨터에, 이미지 정보의 적어도 일 픽셀의 등가를 구별하고, 선택된 최종 이미지, 및 최종 이미지 내에서 상기 픽셀이 배치되어야 하는 상기 최종 이미지 내의 배치를 추가로 구별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합성 매체 이미징 시스템.
  27. 제18항에 있어서,
    개별 데이터 생성 어셈블리와 연계하여 작동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에 영향을 주는 자극이 적어도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상기 구성 요소들 중 하나에 의해 기록되는 상기 상호 종속 정보 내에 나타나는 선택적으로 구별되는 이미지 존들의 위치 및 형상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고, 위치 및 형상에 관련된 상기 정보는 상기 상호 종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구성 요소들 중 어느 것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지 않을 때 발생하는 노출 기간들과 관련되고,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구성 요소들 내에 저장되지 않은 이미지 정보를 외삽하기 위해 상기 요소의 이미지 데이터 내에서 이용 가능하지 않은 상기 존들의 중간 배치를 제공하며,
    상기 외삽은 적어도 이미지 정보가 캡처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어셈블리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컴퓨터 변경을 수반하고,
    상기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에 관련된 풀 비주얼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를 샘플링하고, 상기 샘플링은 상기 비주얼의 각각의 부분에 관하여, 상기 구성 요소들 내에 기록된 정보보다 상기 비주얼의 각각의 부분에 대해 선택적으로 더 빈번하게 발생하는 합성 매체 이미징 시스템.
  28. 이미징 방법이며,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의 선택된 부분들에 관련된 상호 종속 정보를 저장한 후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정보 저장 구성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복수의 상기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최종 이미지를 재생성하는 데 필요한 이미지 정보와 관련되는, 정보 저장 구성 요소 제공 단계와,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 중 하나에 상기 최종 이미지에 관련된 비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로서, 상기 비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시스템의 이미지 정보 기록 구성 요소 내에 기록된 이미지 정보의 배치에 관련되는, 비 이미지 데이터 저장 단계와,
    상기 최종 이미지에 관련된 상기 상호 종속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을 링크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 구성 요소 내의 초기 이미지 정보 기록 동안에 상기 비 이미지 데이터 내의 상기 이미지 정보 기록 구성 요소의 물리적 위치의 선택된 양태들을 인코딩하고, 적어도 상기 구성 요소들이 복수의 최종 이미지에 관련된 복수의 구성 요소 내에 발생할 때,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관련된 대응하는 최종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구성 요소들 내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최종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해 컴퓨터 구동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에서 상기 상호 종속 정보를 적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비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관련된 대응하는 최종 이미지들 및 최종 이미지 양태들에 대해 이미지 데이터를 구별하는 상호 종속 정보 적용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징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들의 링크는 상기 구성 요소들의 요소들로의 물리적 연결로서 발생하고, 상기 요소들은 선택된 크기 및 형상의 입자들인 이미징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들은 상기 요소들에 영향을 주도록 기능하는 카메라에 의해 재배치되도록 작동할 수 있는 비고정 입자들이고, 상기 입자들의 재배치에 영향을 주는 상기 카메라는 각각의 재배치 동안 상기 입자들의 위치를 서로에 대해 무작위화하는 이미징 방법.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은 이멀션 내에 있는 이미징 방법.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은 자기 기록 재료 또는 전자 기록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인 이미징 방법.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은 노출 전후에 비고정 상태에 있는 이미징 방법.
  34. 제2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최종 이미지의 상기 선택된 부분들을 캡처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정보 기록 구성 요소를 광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캡쳐되는 상호 종속 정보에 관련된 비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정보 저장 구성 요소에 영향을 주는 이미징 방법.
  3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는 사진 이멀션을 포함하는 이미징 방법.
  36.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은 전자 기록 재료를 포함하는 이미징 방법.
  37.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은 자기 기록 재료를 포함하는 이미징 방법.
  38.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 구성 요소들은 초기 기록 전후에 비고정 상태에 있고, 상기 초기 기록은 비주얼을 나타내는 광 자극에 대한 노출을 포함하는 이미징 방법.
  39. 하나 이상의 최종 이미지에 관련된 정보의 연계 캡처를 위한 이미징 시스템이며,
    제1 매체 캡처 모듈에 비주얼에 관련된 자극들을 제공하는 이미지 정보 수집 및 기록 장치로서, 상기 모듈은 상기 자극들의 양태들을 이미지 정보로서 캡처하는 이미지 정보 수집 및 기록 장치와,
    상기 비주얼의 양태들에 관련된 추가 정보를 캡처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매체 캡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모듈은 상기 비주얼에 관련된 최종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컴퓨터 구동 이미지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에 통지하도록 상기 모듈들에 의해 수집된 개별 정보를 선택적으로 링크하는 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징 시스템.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정보의 일부는 상기 제1 매체 캡처 모듈이 정보를 캡쳐하도록 작동하지 않는 기간들 동안에 캡쳐되는 이미징 시스템.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과 무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모듈의 위치로부터 캡처에 이용할 수 없는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1 모듈에 의해 캡처된 정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상기 비주얼의 양태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최종 이미지들과 상기 제1 모듈에 의해 캡처된 정보에 의해 표현되는 이미지들 간의 선택된 차이들에 영향을 주는 양태들에 관련된 이미징 시스템.
  42. 제39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2 모듈은 복수의 장치 중 하나의 장치이고, 상기 복수의 장치는 적어도 상기 제1 모듈에 의해 캡처된 정보 내에 나타나는 상기 비주얼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를 나타내는 상기 장치들에 의해 수신된 자극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장치들은 상기 제1 모듈에 의해 캡처된 상기 비주얼 내에 나타나는 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작동할 수 있고, 상기 장치들이 상기 제1 모듈에 의해 캡처된 비주얼 정보 내에 상기 장치들을 시각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최종 이미지들에 영향을 주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허가하는 비주얼 양태들에 의해 의도적으로 시각적으로 차단되는 위치들을 포함하는 이미징 시스템.
  43. 제39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모듈이 상기 제2 모듈의 위치에 고유하고 상기 제1 모듈에 의해 캡처된 대응 이미지 정보에 선택적으로 링크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허가하는 전송 신호들을 생성하고 수신할 수 있으며, 모든 링크된 모듈 정보는 컴퓨터 생성 최종 이미지들을 통지하는 이미징 시스템.
  44.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비주얼에 관련된 키 프레임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이고, 생성된 각각의 키 프레임 이미지는 복수의 최종 이미 지에 관련된 주요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들은 단일 키 프레임 이미지에 기초하는 상호 고유한 최종 이미지들의 생성에 관련된 적어도 일부 데이터를 캡처하는 이미징 시스템.
KR1020087015089A 2005-11-22 2006-11-22 합성 매체 기록 요소 및 이를 이용하는 이미징 시스템 및방법 KR200800707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3914205P 2005-11-22 2005-11-22
US60/739,142 2005-11-22
US73988105P 2005-11-25 2005-11-25
US60/739,881 2005-11-25
US75091205P 2005-12-15 2005-12-15
US60/750,912 2005-1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765A true KR20080070765A (ko) 2008-07-30

Family

ID=3806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089A KR20080070765A (ko) 2005-11-22 2006-11-22 합성 매체 기록 요소 및 이를 이용하는 이미징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77022A1 (ko)
EP (1) EP1952623A2 (ko)
JP (1) JP2009516992A (ko)
KR (1) KR20080070765A (ko)
WO (1) WO200706239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2396A (ja) * 2005-10-16 2009-03-19 メディアポッド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デジタル映像捕獲の質を高めるため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8559794B2 (en) 2010-05-21 2013-10-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collaborative information
CN112346614B (zh) 2020-10-28 2022-07-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2582A (en) * 1930-10-20 1933-06-06 William Wallace Kelley Composite photography
US4561745A (en) * 1983-12-28 1985-12-31 Polaroi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both sides of discrete sheets
US4689696A (en) * 1985-05-31 1987-08-25 Polaroid Corporation Hybrid image recording and reproduction system
US5687011A (en) * 1990-10-11 1997-11-11 Mowry; Craig P. System for originating film and video images simultaneously, for use in modification of video originated images toward simulating images originated on film
EP0594992B1 (en) * 1992-09-09 2000-01-26 Canon Kabushiki Kaisha Reproducing apparatus for still image data and audio data
US5815748A (en) * 1996-02-15 1998-09-29 Minolta Co., Ltd. Camera
US6014165A (en) * 1997-02-07 2000-01-11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digital image with improved performance characteristic
US5940641A (en) * 1997-07-10 1999-08-17 Eastman Kodak Company Extending panoramic images
US6879341B1 (en) * 1997-07-15 2005-04-1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igital camera system containing a VLIW vector processor
US6143459A (en) * 1999-12-20 2000-11-07 Eastman Kodak Company Photosensitive film assembly having reflective support
US20020018967A1 (en) * 2000-06-13 2002-02-14 Irving Mark E. Processing system for a color photothermographic film comprising dry thermal development and wet-chemical remediation
JP2002122919A (ja) * 2000-10-13 2002-04-26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のフイルム給送装置及びフイルム給送方法
US6553187B2 (en) * 2000-12-15 2003-04-22 Michael J Jones Analog/digital camera and method
US6929905B2 (en) * 2001-12-20 2005-08-1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processing a photographic element containing electron transfer agent releasing couplers
DE10218313B4 (de) * 2002-04-24 2018-02-15 Arnold & Richter Cine Technik Gmbh & Co. Betriebs Kg Digitale Laufbildkamera
KR100503890B1 (ko) * 2002-10-08 2005-07-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및 압축기체를 이용한 이의제조방법
JP3849645B2 (ja) * 2003-01-20 2006-11-22 ソニー株式会社 監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62396A2 (en) 2007-05-31
EP1952623A2 (en) 2008-08-06
US20070177022A1 (en) 2007-08-02
WO2007062396A3 (en) 2007-12-13
JP2009516992A (ja)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172B1 (ko) 필름 캡처의 품질 및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장치 및 그 사용법
US5841512A (en) Methods of previewing and editing motion pictures
US78014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film simulation
US7864211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quality of digital image capture
KR20080070765A (ko) 합성 매체 기록 요소 및 이를 이용하는 이미징 시스템 및방법
US20070037102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media storage capacity
WO2006041533A1 (en) Anamorphic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9511938A (ja) フィルム取り込みの品質及び効率を改善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lacsmann et al. Caring for Analog and Digital Film-Based Art
Clark et al. The Status of Cinematography Today
Kinder An all-digital pipeline: Toy Story 2 from disk to screen
Stumpf A film studio looks at HDTV
JP2008547321A (ja) セルロイド又は他の感光性材料上に画像を露出する効率及び品質を向上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ase Moulin Rouge: At the Lab
US20070146751A1 (en) Color timing processes
JP2009503569A (ja) 媒体記憶容量を増加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Gaffney Digital Dailies in the 21st Century
CN101501567A (zh) 用于提高使图像在赛璐珞或其它感光材料上曝光的效率和质量的系统和方法
CN101361363A (zh) 复合介质记录单元及使用其的成像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