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339A - A sink using air bubble with easy to wash - Google Patents
A sink using air bubble with easy to was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70339A KR20080070339A KR1020070008298A KR20070008298A KR20080070339A KR 20080070339 A KR20080070339 A KR 20080070339A KR 1020070008298 A KR1020070008298 A KR 1020070008298A KR 20070008298 A KR20070008298 A KR 20070008298A KR 20080070339 A KR20080070339 A KR 200800703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nk
- air
- drain pipe
- hole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introduc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into the liqui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us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nk easy to wash by air 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nk is easy to wash by air 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전동밸브가 구비된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ink easy to wash by air bubbles equipped with an electric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전동밸브가 구비된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의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nk is easy to wash by air bubbles provided with an electric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개수대 11: 이격부10: Sink 11: Spacer
12: 공기유통공 13: 보조개수대12: air distributor 13: auxiliary sink
14: 호스관 15: 송풍기14: hose pipe 15: blower
16: 배수관 17: 배출구멍16: drain pipe 17: discharge hole
18: 경사부 19: 타공홀18: slope 19: perforation hole
20: 개폐마개 21: 돌출부20: opening and closing stopper 21: protrusion
22: 전동밸브22: electric valve
본 발명은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에 송풍기를 장착하여 식기나 과일, 채소 등을 세척하는 경우 송풍기에 의해 발생한 공기방울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 후 배출되는 세척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that is easy to wash by air bubbles, and more particularly, when washing dishes, fruits, vegetables, etc. by mounting a blower on the sink, it can be easily washed using air bubbles generated by the blow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that is easy to wash by air bubbles that can more effectively discharge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after washing by air bubbles.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식사 후 식기를 세척하거나 과일 및 야채 등을 세척하는 경우에 사용되도록 주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 상측에 수돗물이 배출되는 수도꼭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정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있다.In general, the sink is installed in the kitchen to be used when washing dishes after a meal at home or in a restaurant or washing fruits and vegetables, and a faucet for discharging tap water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pace. have.
종래의 싱크대는 단순하게 형성된 내장공간에 상기한 세척 대상물을 투입하여 세척하는 것에 불과함에 따라 상기 세척대상물의 세척이 용이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원활한 세척이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sink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clean the cleaning object as well as it is difficult to clean the foreign matter simply by putting the cleaning object in the interior space simply formed.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세척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세척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상기 싱크대의 상부에 별도의 세척망을 착탈되게 구비하거나 거품발생기에 의한 거품의 발생과 아울러 송풍기의 사용으로 상기 싱크대로 공급되는 물에 공기방울을 일으킴으로써 세척효율을 증가시키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various techniques for facilitating washing and increasing washing efficiency have been disclos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a separate washing network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top of the sink or foamed by a bubble generator. In addition to the occurrence of the blower by using a blower to increase the cleaning efficiency by causing air bubbles in the water supplied to the sink.
또한, 식기나 과일 등이 자동으로 세척되는 세척기가 개발되어 세척으로 인한 주방에서의 가사노동량과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a washing machine that automatically washes dishes or fruits is developed to reduce the amount of household work and time due to the washing.
상기 세척기의 종류는 세척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하나는 세척수를 노즐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하는 노즐분사식 세척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세척기 내측에 식기를 물에 불리는 세척조를 가지고, 세척조에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발생기를 구비하여 식기 표면에 부착된 찌꺼기 등을 제거하는 세척조방식으로써, 두 종류 모두 주방생활의 편리성을 제공하고자 개발되었다.The washing machine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washing method, one of which is a nozzle spray washing method for spraying washing water at a high pressure through a nozzle, and the other has a washing tank called water inside the washing machine. In addition, a washing tank method having an ultrasonic generator for generating ultrasonic waves in the washing tank to remove debris, etc.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ish, both types were developed to provide convenience for kitchen life.
그러나, 상기 노즐분사식 세척방식의 경우 세척수 분사노즐이 식기의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세척수를 분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과일이나 야채 등을 세척할 경우 껍질이 얇거나 단단하지 못한 야채나 과일 등은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부서지거나 표면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세척조방식 또한 초음파가 식기에 골고루 전달되지 못하고, 세척후 발생되는 부유물이 식기에 다시 달라붙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nozzle spray cleaning method, the washing water jetting nozzle may not spray the washing water evenly to every corner of the tableware, and when the fruits or vegetables are washed, the vegetables or fruits, which are thin or hard, may be washed with high pressure washing water. There was a problem such as broken or the surface is damaged, the washing tank method also has a problem that the ultrasonic wave is not evenly transmitted to the tableware, the float generated after the cleaning is often stuck to the tableware again.
또한, 상기 세척기는 공간이 협소한 주방에 일정 부피의 세척기를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주방에서의 활동공간을 비좁게 할 뿐만 아니라 식품조리를 위한 싱크대와 별도로 구매해야함으로 주방용품에 대한 구매비용을 증가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washing machine should be provided with a certain volume of the washing machine in the kitchen with a small space not only narrows the activity space in the kitchen but also needs to be purchased separately from the sink for cooking to increase the purchase cost for kitchen utensils. There was a problem.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번호 제10-2006-0073705호(2006.08.04, 발명의 명칭:싱크대용 세척기)에서와 같이 공기방울과 초음파에 의한 세척으로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고, 싱크대에 안착시켜 사용함에 따라 사 용자로 하여금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척기를 개시한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applicant improves the cleaning efficiency by cleaning with air bubbles and ultrasonic waves, as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73705 (2006.08.04, Name of the invention: sink for washing machine), and sink It has been disclosed that a washing machine that can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in use as seated on.
그러나, 상기 세척기는 배수구에 구비된 개폐마개에 의해 배수관계가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누름핀에 의해 상기 개폐마개가 작동되도록 하는 배수밸브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washing machine has a problem that the drainage relationship is not smooth due to the opening and closing stopper provided in the drainage port, and the structure of the drain valve for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stopper by the push pin is very complicat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싱크대를 이용하여 식기 및 야채 등을 세척할 경우 거품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작업에 의한 세척시 손상되기 쉬운 과일이나 야채 등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설거지 등에 의한 가사노동과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고, 싱크대를 겸하여 사용될 수 있으므로 세척기 등을 구비하는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주방면적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등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washing dishes and vegetables using a sink can be cleaned using foam as well as being damaged when washing by hand Easy to wash fruits and vegetables easily, to reduce household labor and time wasted by washing dishes, and can also be used as a sink, so you do not need a separate space equipped with a washing machine can use a large kitchen area It is to provide a sink that is easy to wash by air bubbles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 후 배출되는 세척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잔존하는 세척수에 따른 악취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nk that can be more easily discharged washing water discharged after washing by air bubbles can be easily washed by the air bubbles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odor due to the remaining washing water in advance. There i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측에 세척대상물을 투입하여 세척수에 의해 세척시키도록 일정 공간을 갖는 개수대와, 상기 개수대의 저부에 구비된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을 개폐하여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구비된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개수대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공기가 이동되도록 일정 거리로 이격부가 형성되게 결합되고, 저면에 다수의 공기유통공이 형성된 보조개수대와; 상기 보조개수대의 공기유통공을 통해 공기가 분출되도록 상기 이격부에 연통되게 상기 개수대의 측면에 호스관으로 연결되어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보조개수대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멍에 연결되게 상기 개수대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상기 개수대의 결합부위는 하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경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내측 하단에 연통되게 상기 배수관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타공홀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배출구멍에 구비되되, 상기 타공홀을 개폐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개폐마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ink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o put the object to be washed on the upper side to be washed by the wash water, a drain pip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ink and the drain pipe to open and close the wash water A sink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sink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ink and coupled to form a spaced 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move the air, and an auxiliary water tank having a plurality of air distribution holes formed at a bottom thereof; The blower further comprises a blower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ink by a hose pipe to blow air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hole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hole to blow air, the drain pipe is discharged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sink It is provided through the sink to be connected to the hole,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ink coupled to the drain pipe is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ain pipe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low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A plurality of perforation holes are form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h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lug is formed into a predetermined length to open and close the perforation hole is inserted into the drain pip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의 구성은, 상측에 세척대상물을 투입하여 세척수에 의해 세척시키도록 일정 공간을 갖는 개수대와, 상기 개수대의 저부에 구비된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을 개폐하여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개폐수단이 구비된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개수대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공기가 이동되도록 일정 거리로 이격부가 형성되게 결합되고, 저면에 다수의 공기유통공이 형성된 보조개수대와; 상기 보조개수대의 공기유통공을 통해 공기가 분출되도록 상기 이격부에 연통되게 상기 개수대의 저부에 연결되어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보조개수대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멍에 연결되게 상기 개수대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상기 개수대의 결합부위는 하측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측면에 상기 송풍기의 호스관이 결합되고 하단부가 일정 각도로 경사 지게 경사부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내측 하단에 연통되게 상기 배수관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타공홀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돌출부의 하측에 이격되게 상기 배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멍과 상기 타공홀을 통한 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전동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sink is easy to wash by air bubb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k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o be washed by the washing water to put the object to the upper side, and the bottom of the sink is provided In the sink provided with a drain pipe and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by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pipe, the sink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ink but coupled to form a spaced por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move the air, An auxiliary tank formed with an air distribution hole; A blower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ink to blow air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hole of the auxiliary sink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unit, and including a blower to blow air, and the drain pipe is connected to a discharge hol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auxiliary sink. Protruding portion provided through the sink,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ink to be penetrated through the drain pipe is projec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hose pipe of the blower is coupled to the side and the lower end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a plurality of perforation hol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ain pipe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bottom of the inclined por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drain pip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protrusion through the discharge hole and the perforated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valv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wash water.
여기서, 상기 타공홀의 갯수는 상기 송풍기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타공홀을 통해 상기 보조개수대의 내부로 분출되는 경우 분출압력에 의해 세척수가 솟구치지 않도록 2~16개로 형성되고, 상기 타공홀은 상기 공기유통공을 통해 유입된 미세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유통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Herein, the number of the perforation holes is formed in 2 to 16 so that the washing water does not rise by the ejection pressure when the air blown by the blower is ejected into the auxiliary channel through the perforation hole, the perforation hole is It is preferable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air distribution hole so that fine foreign matter introduced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hole is easily discharg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easy to wash the sink by the air bubb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전동밸브가 구비된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전동밸브가 구비된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nk easy to wash by air 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nk easy to wash by air 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ink is easy to wash by the air bubble equipped with an electric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easy to wash by air bubbles with a mo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is a cross section of a sink.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는 상측에 세척대상물을 투입하여 세척수에 의해 세척시 키도록 일정 공간을 갖는 개수대(10)와, 상기 개수대(10)의 저부에 구비된 배수관(16)과, 상기 배수관(16)을 개폐하여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sink is easy to wash by air bub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여기서, 상기 개수대(1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공기가 이동되도록 일정 거리로 이격부(11)가 형성되게 결합되고, 저면에 다수의 공기유통공(12)이 형성된 보조개수대(13)와; 상기 보조개수대(13)의 공기유통공(12)을 통해 공기가 분출되도록 상기 이격부(11)에 연통되게 상기 개수대(10)의 측면에 호스관(14)으로 연결되어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16)은 상기 보조개수대(13)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멍(17)에 연결되게 상기 개수대(10)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16)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상기 개수대(10)의 결합부위는 하측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경사부(18)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8)의 내측 하단에 연통되게 상기 배수관(16)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타공홀(19)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배출구멍(17)에 구비되되, 상기 타공홀(19)을 개폐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16)의 내부로 삽입되는 개폐마개(20)로 구성된다.Here, th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이 용이한 싱크대는 상측에 세척대상물을 투입하여 세척수에 의해 세척시키도록 일정 공간을 갖는 개수대(10)와, 상기 개수대(10)의 저부에 구비된 배수관(16)과, 상기 배수관(16)을 개폐하여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개폐수단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sink is easy to wash by air bubbl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상기 개수대(1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공기가 이동되도록 일정 거리로 이격부(11)가 형성되게 결합되고, 저면에 다수의 공기유통공(12)이 형성된 보조개수대(13)와; 상기 보조개수대(13)의 공기유통공(12)을 통해 공기가 분출되도록 상기 이격부(11)에 연통되게 상기 개수대(10)의 저부에 연결되어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15)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16)은 상기 보조개수대(13)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멍(17)에 연결되게 상기 개수대(10)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16)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상기 개수대(10)의 결합부위는 하측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측면에 상기 송풍기(15)의 호스관(14)이 결합되고 하단부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경사부(18)를 갖는 돌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8)의 내측 하단에 연통되게 상기 배수관(16)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타공홀(19)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돌출부(31)의 하측에 이격되게 상기 배수관(16)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멍(17)과 상기 타공홀(19)을 통한 세척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전동밸브(22)로 구성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타공홀(19)의 갯수는 상기 송풍기(15)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타공홀(19)을 통해 상기 보조개수대(13)의 내부로 분출되는 경우 분출압력에 의해 세척수가 솟구치지 않도록 2~16개로 형성되고, 상기 타공홀(19)은 상기 공기유통공(12)을 통해 유입된 미세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유통공(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umber of the
따라서, 공기의 주입방식은 상기 호스관(14)이 상기 개수대(10)에 연결되어 공기를 주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부(21)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공기방울이 형성되는 곳은 상기 배출구멍(17)을 상기 개폐마개(20)로 막아 공기유통공(12)에서만 공기방울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배수관(16)에 형성된 상기 타공홀(19)보다 저부에 상기 전동밸브(22)를 설치하여 배출구멍(17)에서도 공기방울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injection method of the air is not only the
여기서, 상기 보조개수대(13)는 상기 이격부(11)에 이물질이 형성될 경우 청소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개수대(10)에서 상기 보조개수대(13)가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또한, 상기 보조개수대(13)와 개수대(10)의 탈착부에서 공기가 외부로 빠지거나 공기압에 의해 상기 보조개수대(13)가 임의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탈착부에는 패킹 등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air from leaking out from the detachable parts of the
한편, 상기 돌출부(2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송풍기(15)의 전원차단시 상기 호스관(14)을 따라 세척수가 상기 송풍기(1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호스관(14)이 상부로 일정한 굴곡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flows through the protrud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세척하고자 하는 세척대상물을 보조개수대(13)의 내부로 수용시킨 다음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서 송풍기(15)를 동작시켜 호스관(14)을 통해 공기를 송풍시킨다.Looking at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object to be washed into the interior of the
상기 호스관(14)을 통해 주입된 공기는 개수대(10)의 측면 또는 개수대의 저부에 형성된 돌출부(21)에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공기유통공(12)과 배수관(16)에 전동밸브(22)가 설치될 경우 타공홀(19)을 통해 분출되어 진다.The air injected through the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동밸브(22)가 상기 타공홀 보다 저부에 설치된 경우 상기 타공홀(19)은 상기 공기유통공(12)의 갯수보다 현저하게 적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송풍기(15)로부터 송풍 된 공기는 대부분이 상기 공기유통공(13)을 통해 분출되어 지면서 상기 보조개수대(13) 내부에 수용된 세척대상물을 공기방울로 세척시키게 된다.3 and 4, when the
즉, 상기 송풍기(15)에서 발생 된 공기를 상기 호스관(14)을 통해 싱크대에 유입시키는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수대(10)의 측면에 연통 되도록 할 수 있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수대(10)의 저부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2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a method of introducing the air generated in the
한편, 상기 배수관(16)을 개폐하는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16)의 일측에 배출구멍(17)과 상기 타공홀(19)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개폐마개(20)를 삽입하여 상기 타공홀(19)에 공기방울이 형성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16)의 상기 타공홀(19)이 형성된 부분보다 저부에 설치되는 상기 전동밸브(22)를 통해 상기 배출구멍(17)을 개폐하고, 상기 타공홀(19)을 통해 상기 배수관(16)에서도 공기방울이 발생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여기서, 상기 개수대(10)의 저부에 세척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돌출부(21) 및 돌출부(21)에는 단면형상이 경사진 경사부(18)을 형성하여 세척수가 상기 타공홀(19)을 통해 상기 배수관(16)으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된다.Here, the
따라서, 하나의 배수관(16)으로 보조개수대(13) 및 경사부(18)에 수용되는 세척수를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세척수의 수용공간과 동일하게 밸브를 구비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보조개수대(13)와 개수대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어 청소가 용이하고, 호스관(14)의 연결방법 및 배수관(16)의 개폐방법을 다양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맞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discharge the wash water accommodated i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싱크대를 이용하여 식기 및 야채 등을 세척할 경우 거품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작업에 의한 세척시 손상되기 쉬운 과일이나 야채 등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설거지 및 과일세척 등에 의한 가사노동과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고, 싱크대를 겸하여 사용될 수 있으므로 세척기 등을 구비하는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주방면적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등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washing dishes and vegetables using a sink, not only can be cleaned using foam, but also easily wash fruit or vegetables, etc., which are prone to damage during manual cleaning. It can reduce housework and time wasted by washing dishes and fruits, and can be used as a sink, so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pace equipped with a washing machine. There are advantages to it.
또한, 공기방울에 의한 세척 후 배출되는 세척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잔존하는 세척수에 따른 악취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discharge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after washing by air bubbles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odor due to the remaining washing water in advanc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8298A KR20080070339A (en) | 2007-01-26 | 2007-01-26 | A sink using air bubble with easy to was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8298A KR20080070339A (en) | 2007-01-26 | 2007-01-26 | A sink using air bubble with easy to was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0339A true KR20080070339A (en) | 2008-07-30 |
Family
ID=3982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8298A KR20080070339A (en) | 2007-01-26 | 2007-01-26 | A sink using air bubble with easy to was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70339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1510B1 (en) * | 2017-11-24 | 2018-04-24 | 엄덕근 | Air bubble ejection type Dishwasher for companies |
CN109914540A (en) * | 2019-01-04 | 2019-06-21 | 杭州丽博家居有限公司 | One kind concealed basin with drain function and application method |
KR102020733B1 (en) * | 2018-08-30 | 2019-09-10 | 최현우 | A washing machine for fruits and vegetables using spiral bubbles and waves |
KR102545019B1 (en) * | 2022-11-29 | 2023-06-20 | 성진하이쿨(주) | Sink having pre-washer function |
-
2007
- 2007-01-26 KR KR1020070008298A patent/KR20080070339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1510B1 (en) * | 2017-11-24 | 2018-04-24 | 엄덕근 | Air bubble ejection type Dishwasher for companies |
KR102020733B1 (en) * | 2018-08-30 | 2019-09-10 | 최현우 | A washing machine for fruits and vegetables using spiral bubbles and waves |
CN109914540A (en) * | 2019-01-04 | 2019-06-21 | 杭州丽博家居有限公司 | One kind concealed basin with drain function and application method |
KR102545019B1 (en) * | 2022-11-29 | 2023-06-20 | 성진하이쿨(주) | Sink having pre-washer fun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1069B1 (en) | Sink | |
JP2010516423A (en) | Dishwasher-integrated sink base and washing water jetting device therefor | |
CN105496332B (en) | A kind of dish-washing machine | |
KR101570844B1 (en) | Dish washing apparatus of sink attachment type | |
CN108078526B (en) | Spraying device and dish washer with same | |
KR20120052524A (en) | The washing machine using of beads of air | |
KR101941411B1 (en) | A first dishwasher having a complex cleaning structure | |
CN109394110B (en) | Cleaning machine | |
KR20080070339A (en) | A sink using air bubble with easy to wash | |
KR20100037461A (en) | Dish washer | |
KR100991817B1 (en) | Mixed mode washing apparatus for corn and vegetable | |
CN109394115B (en) | Cleaning machine | |
CN109394109B (en) | Cleaning machine | |
KR102160603B1 (en) | Sink table with dishwashing device | |
KR20110112990A (en) | Tableware washing structure | |
CN102578979A (en) | Machine capable of washing dishes separately | |
KR20090012379U (en) | Rice washing machine | |
CN208582346U (en) | A kind of cleaning machine | |
CN109394113A (en) | A kind of cleaning machine | |
KR101135851B1 (en) | A sump mounting structure of a dish washer | |
CN208259665U (en) | A kind of spray equipment and application have the dish-washing machine of the spray equipment | |
CN202458260U (en) | Water channel of dishwasher | |
KR101507350B1 (en) | singkeubol | |
KR100700198B1 (en) | A auto handwasher | |
CN218922366U (en) | Food material washs bas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