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733B1 - A washing machine for fruits and vegetables using spiral bubbles and waves - Google Patents
A washing machine for fruits and vegetables using spiral bubbles and wav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0733B1 KR102020733B1 KR1020180102459A KR20180102459A KR102020733B1 KR 102020733 B1 KR102020733 B1 KR 102020733B1 KR 1020180102459 A KR1020180102459 A KR 1020180102459A KR 20180102459 A KR20180102459 A KR 20180102459A KR 102020733 B1 KR102020733 B1 KR 1020207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tank
- washing
- air
- plate
- support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방울과 물결을 이용한 주방용 세척기에 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과일이나 야채와 같은 세척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해 경사분출공이 형성된 공기방울분출판에 의해 발생된 나선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미세한 공기방울과 물결생성기에 의해 좌우측으로 유동하는 주기적인 물결을 이용해 식재료를 세척하고, 가벼운 이물질은 측면으로 흘려보내고, 무거운 이물질은 이물질퇴적 장치로 걸러낼 수 있는 주방용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 washer using air bubbles and ripples, and more specifically, fine air rising while rotating in the spiral generated by the air bubble jet plate formed with the inclined jet hole to wash the object to be washed, such as fruits and vegetables It is a kitchen dishwasher that uses regular waves flowing from side to side by drops and ripple generators to wash ingredients, shed light debris to the side, and filter heavy debris into the debris deposition device.
가정이나 식당 등의 주방에서 음식물 조리를 위해 야채나 과일 등을 깨끗하게 세척하는 작업은 식품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식재료를 일일이 세척할 경우 세척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고, 식재료의 세척정도를 균일하게 할 수가 없어 세척 품질이 낮아지는 경우가 많고, 세척 품질의 저하는 음식물 품질의 저하로 연결됨과 동시에, 비위생적인 음식물 조리로 인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도 있다. In kitchens such as homes and restaurants, washing vegetables and fruits for cooking food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ood, but if the worker washes the food manually by hand, it takes a very long time. In many cases, the quality of washing may not be uniform, so the quality of washing may be reduced, and the quality of washing may be reduced, and at the same time, it may have a detrimental effect due to unsanitary food cooking.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식재료를 보다 신속히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자동세척장치를 통해 조리자의 불편을 해소하도록 하는 세척기에 관한 기술이 다수 제시되고 있다. 실용신안공개 제20-2011-0000769호에서는, 산소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하여 야채, 그릇 등에 마이크로버블을 공급시켜 미세한 기포형태의 기포로 세척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모터와 일체로 구성되는 펌프와 고압통, 그리고 세척통을 장착하기 위한 판상의 프레임과, 구성물을 감싸기 위한 일체형 케이스와 세척통을 프레임에 체결하고, 프레임에 장착되어 케이스에 수납되는 한쌍의 체결 프레임에 입기관, 배기관 및 버블헤드를 결합하고 버블헤드로 케이스와 세척통를 기밀하게 체결시킨 구성이 개발되었다. 상기 고안은 세척통에 단순히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만 구비되어 공기방울을 배출하지만 공기방울을 이용해 세척통에 회전하는 수류를 만드는 구성이 없어 세척력이 불충분하고, 또한 세척 작업시 세척대상물에서 분리 이탈되는 각종 오물이나 이물질을 분리하는 기능이 없어 작업자가 일일이 걷어 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분리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세척대상물에 다시 부착되거나 달라붙을 수 있어 세척 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improve such a problem, a number of technologies related to a washing machin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cooker through an automatic washing device capable of cleaning foods more quickly have been proposed. In th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0769, by using the oxygen microbubble to supply the microbubble to vegetables, dishes, etc. to obtain a cleaning effect by bubbles in the form of fine bubbles, the pump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tor The plate-shaped frame for mounting the high pressure container and the washing container, the integrated case and the cleaning container for wrapping the components, are fastened to the frame, and a pair of fastening frames mounted on the frame and stored in the case are placed in the inlet pipe, the exhaust pipe, and the bubble head. The combination was developed to tightly fasten the case and the wash tub with a bubblehead. The above invention is provided with only a micro bubble generating device in the washing tank to discharge the air bubbles, but there is no configuration to create a water flow to rotate in the washing tank using the air bubbles, the washing power is insufficient, and also separated from the washing object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separate the dirt or foreign matter, the worker has to unwind each day, and if the separation is not carried out continuousl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reattached or cling to the object to be cleaned, the cleaning state is poor.
또 다른 종래 기술로써, 등록특허 제10-1441017호는, 굴곡지거나 표면이 거친 야채, 채소 식기 등의 세척대상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 살균하기 위하여 상부덮개가 구비되고, 세척수가 담기는 세척조, 세척조의 하면에서 세척수에 버블을 공급하기 위한 버블 형성수단 및 세척수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출시켜 세척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 분출수단을 포함하고, 세척수 분출수단은 세척조에 담긴 세척수면 상부에서 세척 대상체를 향하여 물을 분출하는 상부 분출노즐과, 세척수에 잠기도록 상기 세척조의 하면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유동시키는 하부 분출 노즐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분출 노즐은 세척조의 바디 하면 둘레를 따라 다수의 세척수 분출공을 갖는 관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버블 형성수단은 세척조 바디의 하면에 구비되는 버블 노즐과, 상기 버블 노즐과 연결된 가압펌프로 구성되고, 세척조의 세척수를 흡입하여 가압펌프로 공급하는 흡입배관과, 가압펌프에 구비된 밸브부재로 세척수를 흡입배관 또는 수도배관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밸브부재가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하고 있으나, 상기 등록특허는 세척조 하면에 관의 형태로 하부 분출 노즐을 두고, 세척조의 상부에도 상부 분출 노즐을 구비하여 세척수와 버블을 상하부에서 혼합 배출하여 식재료를 세척한다는 구성이나, 세척조의 내부에 일정한 와류가 생성되지 않고, 세척수를 흔들어주는 기능이 없어 세척효율이 떨어지고, 부유하는 이물질을 별도로 걷어 내야하며, 하부에도 무거운 이물질을 모으는 기능이 없어 이물질을 제거를 위해 작업자가 세척기 옆에서 지속적으로 분리작업을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As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Korean Patent No. 10-1441017 is provided with a top cover to more effectively wash and sterilize a washing object such as a curved or rough surface of a vegetable or vegetable dish, and includes a washing tank containing a washing water and a washing tank. Bubble forming means for supplying the bubble to the wash water at the lower surface and the washing water spraying means for washing the washing object by eject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shing water source, the washing water spraying means toward the washing objec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tank An upper jet nozzle for discharging water and a lower jet nozzl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shing tank to be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to flow the washing water, wherein the lower jet nozzle has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jet hol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of the washing tank; It is made in the form of a tubular body, the bubble forming means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shing tank body Is composed of a bubble nozzle, a pressurized pump connected to the bubble nozzle, a suction pipe for sucking and supplying the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tank to the pressure pump, and selectively introduc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suction pipe or the water pipe to the valve member provided in the pressure pump.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ve member further comprises, but the registered patent has a lower jet nozzle in the form of a tub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shing tank, the upper spray nozzle is also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tank to mix the washing water and bubbles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It does not have the function of discharging the food by discharging it, or it does not generate a constant vortex inside the washing tank, and it does not have the function of shaking the washing water, which lowers the washing efficiency and separates the floating foreign matter, and does not have the function of collecting heavy foreign matter at the bottom. To remove debris, the operator continuous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paration operation must be perform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척조의 하부에 미세한 공기방울을 분출하되 세척조 전체에 걸쳐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와류가 발생되도록 하고, 와류와 함께 좌우측으로 물결이 생성되도록 하여 세척대상물과 공기방울의 접촉을 촉진하여 세척효율을 높이고, 세척조의 상부로 부유하는 이물질이 넘쳐 분리되고, 하부에 무거운 이물질이 한군데로 모여 세척대상물과 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세척수에 적절한 크기의 물결이 형성되도록 하며, 세척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과일과 야채의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주요과제로 하였다.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ejects fine air bubbles in the lower part of the washing tank, so that vortices are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roughout the washing tank, and waves are gener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ogether with the vortices to wash objects and air. Enhances the cleaning efficiency by promoting the contact of the drops, the foreign matter floating in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tank is separated and separated, heavy foreign matter gathered in one place at the bottom and mixed with the object to be washed, to form a wave of the appropriate size in the washing water, The main task was to allow automatic cleaning of fruits and vegetables by setting the cleaning tim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은, 세척수가 저장되도록 바닥과 측판으로 이루어진 통의 형상으로, 바닥에 배수구와 바닥 측면에 에어공급구(250)가 형성되고, 상부의 외측으로 연장된 테두리가 형성되며, 테두리의 일부에 오목하게 파인 월류부(270)가 형성된 세척조(200); 상기 세척조(200)의 하부와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바닥에 배수구가 형성된 커버(400); 상기 세척조(200)의 내부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가운데를 중심으로 일률적인 방향으로 기울어져 회전하는 수류가 생성되도록 전면에 다수의 경사분출공(320)이 형성된 공기방울분출판(300); 상기 세척조(200)의 외측에 형성된 펌프지지판(550)에 고정되는 펌프모터(500)와 에어펌프(520); 상기 에어펌프(520)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부로 상승한 후 다시 하강하여 상기 에어공급구(250)에 연결되는 에어공급관(570); 상기 세척조(200)의 외측 측면과 상기 테두리로부터 연장된 제1 지지판(610) 사이에 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봉(630); 상기 회전봉(630)의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2가닥의 그루브 형태로 형성되어 중간에서는 겹쳐지다가 양측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요홈(640)과 제2 요홈(650); 상기 제1 지지판(610)과 테두리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 지지판(6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봉(630)을 회전시키는 이송구모터(680); 상기 회전봉(630)의 외부에 삽입되는 고리부(663)와 상기 고리부(663)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대(667) 및 상기 고리부(663)의 일측에 삽입된 가이드핀(665)을 포함하는 이송구(660); 상기 연결대(667)의 상부에 고정되어 세척조(200)의 측판과 상기 제1 지지판(610)을 관통하여 왕복가능하게 결합된 이동축(670); 세척조(200)의 내부에 돌출된 상기 이동축(670)의 단부에 고정된 물결생성판(690); 및 상기 공기방울분출판(300)을 관통하여 세척조(200)의 배수구에 삽입되는 마개(380);로 구성되어, 공기방울분출판(300)으로부터 나선방향으로 분출되는 공기방울과 상기 물결생성판(690)에 의해 생성된 물결에 의해 세척대상물이 세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hape of a tub consisting of a bottom and side plates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stored,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세척조의 하부에 미세한 공기방울이 회전하면서 분출되어 세척조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회전하는 와류가 발생되고, 와류와 함께 좌우측으로 흔들리는 물결이 생성되어 세척대상물과 공기방울의 접촉이 촉진되어 세척효율이 높아지고, 세척조의 상부로 부유하는 이물질이 넘쳐흘러 분리되고, 하부에 무거운 이물질이 한군데로 모여 세척대상물과 섞이지 않으며, 세척수에 세척대상물에 맞는 적절한 크기의 물결이 형성되어 세척효율이 증가되고, 타이머를 통해 세척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작업인력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ne air bubbles are ejected while the lower part of the washing tank is rotated to generate a vortex that rotates constantly throughout the washing tank. It is promoted to increase the washing efficiency, and the foreign matter floating in the upper part of the washing tank is separated and overflowed, and the heavy foreign matters are gathered in one place and do not mix with the washing object, and the washing water forms the appropriate size wave suitable for the washing object. Increasing and controlling the cleaning time through the timer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labor force is made automatically clea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조를 하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에어펌프와 물결생성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물결생성기의 구조를 단면을 통해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공기방울분출판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below;
4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air pump and the wave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wave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cross section
6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n air bubble ejecting plate;
이하, 첨부된 도면과 사진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hoto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조를 하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에어펌프와 물결생성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물결생성기의 구조를 단면을 통해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6은 공기방울분출판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shing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the bottom side. 4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air pump and the wave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wave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cross section, and FIG. It is explanatory drawing explaining a structure.
본 발명은 채소나 과일과 같은 식재료를 물과 공기방울을 이용해 세척하도록 구성된 세척기로, 물이 채워진 세척조(200)와 세척조를 지지하면서 세척조의 측면에 설치된 여러가지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세척조를 아래쪽에서 감싸는 형태의 커버(400), 세척조의 측면에 설치되어 세척조 내부에 미세한 공기방울을 생성하는 에어펌프와 세척조 내부에 채워진 물에 파동을 일으켜 세척효과를 높이기 위한 물결생성기(600)로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shing machine configured to wash the ingredients, such as vegetables or fruits using water and air bubbles, while supporting th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200)는 세척수가 저장되도록 바닥판과 측판으로 이루어진 통의 형상으로, 바닥에 세척조배수구(230)와 바닥 측면에 에어공급구(250)가 형성되고, 상부의 외측으로 연장된 테두리가 형성되며, 테두리의 일부 또는 양측에 오목하게 파인 월류부(270)가 형성된다. 1 to 3, the
본 발명의 세척기는 세척조 내부에 수도물이 연속적으로 흘러들어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월류부를 통해 물위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수도물과 함께 흘러 넘쳐 분리되도록 한다. In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 water continuously flows into the washing tank, and the foreign matter floating on the water flows through the overflow portion and separates with the tap water.
세척조(200)는 원통형이나 다각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ㄱ"자 형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하향되어 측면을 가리는 세척조 테두리(220)가 형성되고, 바닥에는 세척조배수구(230)가 형성되며, 바닥으로 내려가는 측판은 후술하는 공기방울분출판(300)을 수용하기 위해 다단으로 형성되어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되고, 특히, 공기방울분출판(300)이 결합되는 단은 수직을 이루어 공기방울분출판(300)이 꼭맞게 결합될 수 있어야 한다. 공기방울분출판 아래 바닥판 사이의 공간에는 일측 측면부에 에어공급구(250)가 형성되어 세척조의 측면에 설치된 후술하는 에어펌프(520)에서 발생된 고압의 에어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The
세척조의 하부에는 세척조를 지지하고, 세척조의 측면에 설치되는 장치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측면을 감싸는 커버(400)가 설치된다. 커버(400)는 세척조(200)의 테두리 내부에 결합되도록 커버 테두리(420)가 형성되며, 커버 테두리의 상부에 다수의 리브와 세척조의 테두리 하부에 미리 매립되어 설치된 너트에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지지부(430)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세척조의 배수구와 연통되는 커버배수구(450)가 형성되며, 외측 하단에 다수의 받침대(470)가 세척기를 지지하고 커버배수구의 하부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tank is supported by the washing tank, the
상기 공기방울분출판(300)에 대해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공기방울분출판은 스테인리스 등의 녹이 슬지 않는 무거운 재질로 형성되어 하부에 고압의 에어에 의해 들썩이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구멍이 전면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한쪽 방향으로 45도 내외로 일제히 기울어져 공기방울이 분출하면서 회전하는 수류가 만들어지도록 다수의 경사분출공(320)이 옆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경사분출공은 레이저를 이용해 지름이 100㎛ 이하가 되도록 미세하게 천공하여 미세한 기포가 세척대상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키고 음이온이 발생되어 살균효과까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air
아울러 공기방울분출판(300)의 중앙부에는 이물질이 모이는 이물질퇴적홈(350)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퇴적홈(350)의 상부에는 세척대상물의 진입을 막고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복수의 다리부(370)를 구비한 덮개(360)가 형성된다. 이물질퇴적홈(350)은 필요시 공기방울분출판(300)의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주머니 형태로 더 크게 제작될 수도 있다. 세척대상물과 함께 세척기에 투입된 이물질 중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모래, 흙, 유리조각이나 사금파리 등이 회전하는 수류로 인해 공기방울분출판(300)의 상부에서 구르다가 사이클론 작용으로 가운데로 모여 이물질퇴적홈(350)에 모이게 된다. In addition, a foreign
세척조의 외측에는 도 3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모터(500)와 에어펌프(520)가 테두리에서 연장된 펌프지지판(550) 등에 의해 세척조(200)의 외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에어펌프는 공지된 에어펌프가 사용된다. 에어펌프의 배출구에 연결된 에어공급관(570)을 통해 압축공기가 상부로 상승한 후 다시 하강하여 세척조의 바닥에 형성된 에어공급구(250)에 연결된다. 에어공급관(570)이 상승한 다음 하강하도록 구성된 것은 세척조에 담긴 물이 넘어오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에어펌프(520)로 진입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3 to 4, the
채소를 씻을 때 채소를 손에 잡고 물속에서 휘젖거나 물속에 넣었다 꺼내는 동작을 반복하여 세척대상물에서 이물질이 신속히 분리되도록 하는데, 본원 발명에서는 손 대신에 물결생성기(600)를 이용해 세척수에 파동이 일어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원 발명에서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이 형성된 회전봉(630), 이송구(660), 물결생성판(690)과 회전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이송구모터(680)가 설치된다. 세척조(200)의 외측 측면과 테두리로부터 연장된 제1 지지판(610) 사이에 축에 의해 회전봉(630)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봉(630)의 표면에는 원주방향으로 2가닥으로 진행되는 그루브 형태로 형성되어 중간에서는 겹쳐지다가 양측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제1 요홈(640)과 제2 요홈(650)으로 이루어진 무한궤도홈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봉(630)의 외부에는 상기 제1, 2요홈을 따라 왕복운동을 하는 이송구(660)가 설치된다. 이송구(660)는 고리부(663)와 고리부(663)의 일측에 삽입된 가이드핀(665), 고리부(663)의 상부와 이송구(660)를 연결하는 연결대(667), 상기 연결대(667)의 상부에 고정되어 세척조(200)의 측판과 상기 제1 지지판(610)을 관통하여 왕복가능하게 결합된 이동축(670)과 이동축(670)의 단부에 결합된 물결생성판(69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봉(630)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지지판(610)과 테두리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 지지판(620) 사이에 이송구모터(680)가 설치된다. When washing the vegetables by holding the vegetables in the hand whipping in the water or put in the water repeatedly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from the object to be washed quickly, in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wave occurs in the wash water using the
이송구(660)의 왕복동작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송구모터(68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봉(630)의 외부에 이송구의 고리부(663)가 끼워지고, 고리부에 설치된 가이드핀(665)이 무한궤도홈에 삽입되어 회전봉(630)이 회전하면 이송구가 좌 또는 우측으로 연속 이동하게 된다. 무한궤도홈은 회전봉의 양쪽 외측에서는 이송구의 방향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제1 요홈(640)과 제2 요홈(650)이 합해지는 원에 가까운 형상을 이루며, 제1 요홈과 제2 요홈은 중간에 여러번 겹치나 관성에 의해 이송구의 방향을 급격히 바꿀 수 없는 성질에 의해 이송구가 중간에 방향을 선회할 수 없어 회전봉의 양단에서 방향전환하면서 이송구가 회전봉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 왕복하게 된다. 이송구의 상부에 이동축(670)이 이송구의 연결대(667) 상단에 의해 수평으로 고정되어 이송구와 함께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the reciprocating operation of the
세척조의 내부에 돌출된 상기 이동축(670)의 단부에 물결생성판(690)이 부착되어 이송구(660)의 왕복동작에 의해 물결이 생성된다. 세척조(200)에 생성되는 물결은 정현파를 이루는 것이 에너지 대비 세척효과가 우수하므로 세척조의 폭에 따라 정현파가 생성되도록 이송구(660)의 왕복속도를 맞추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송구의 왕복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이송구모터(68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거나 회전봉(630)에 형성된 무한궤도홈의 길이를 조절하면 된다. The
상용 교류모터의 회전속도 제어방식은 컨버터로 교류전기를 직류로 바꾸고 인버터를 이용해 다시 교류로 바꾸어 출력하면서 변조를 하여 교류모터의 회전속도를 변경하는 것들로, 출력진폭을 변조(變調)하는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방식과 출력 시간폭(時間幅)을 변조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방식이 있는데, PAM방식은 전기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회전속도를 변경하는 방식이고, PWM방식은 전기의 펄스폭을 변조하는 방식이라고 하며, PAM방식은 일반적으로 모터의 회전속도를 낮추어도 출력전압이 변경되지 않아 모터의 과열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PWM 방식은 컨버터부에서 전압을 제어하여 회전수가 줄어든 만큼 전압이 줄어들어 모터의 과열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고 한다. The rotational speed control method of the commercial AC motor chang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AC motor by modulating the output amplitude by converting AC electric current into a DC and converting it back into AC using an inverter, and modulating the output amplitude. There are pulse amplitude modulation (PWM) method and PWM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to modulate the output time width. PAM method is to change the rotation speed by changing the frequency of electricity, and PWM method is to change the pulse width of electricity. The PAM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overheating of the motor occurs because the output voltage does not change even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s lowered, whereas the PWM method reduces the rotation speed by controlling the voltage in the converter unit. As the voltage is reduced,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overheating of the motor.
본원 발명에서는 테두리의 일측 상부에 전원버튼을 포함한 조작부(700)를 구비하고, 조작부 내부에 PWM콘트롤러와 가변저항을 설치하여 가변저항의 조작에 의해 이송구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물결의 속도가 제어되도록 하였으며, 전원버튼에서 PWM콘트롤러를 거쳐 가변저항을 연결한 다음 이송구모터(680)에 전선을 연결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회전봉을 이용한 물결생성장치의 도입으로 여타 왕복 작동장치에 비해 수용공간이 적게 소요되고, 작동시 소음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으며, PWM콘트롤러와 가변저항을 이용해 파동의 주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introduction of the wave generating device using the rotating rod takes less space than other reciprocating actuators,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noise during operation, and has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period of the wave using a PWM controller and a variable resistor.
세척조(200)에는 세척용수를 개폐하기 위해 공기방울분출판(300)을 관통하여 배수구에 삽입되는 마개(380)가 설치된다. 마개(38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공기방울분출판(300), 세척조배수구(230) 및 커버배수구(450)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에어펌프(520)의 압력이 고압인 반면에 공기방울분출판(300)에 형성된 경사분출공(320)은 미세하여 공기압력에 의해 공기방울분출판(300)이 들썩일 수 있으므로 비교적 크기가 큰 형태로 제작되어 공기방울분출판(300)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한편, 조작부(700)에 타이머와 스피커를 설치하고, 상기 타이머에 경보기를 연결하면 세척기의 작동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제어할 수 있고, 작동상황을 스피커를 통해 음향으로 미리 알려주게 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과일이나 야채를 세척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y installing a timer and a speaker 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발명은 세척조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회전하는 와류가 발생되고, 와류와 함께 좌우측으로 흔들리는 물결이 생성되어 세척대상물과 공기방울의 접촉이 촉진되어 세척효율이 높아지고, 이물질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적절한 크기의 물결이 형성되어 세척효율이 증가되고, 타이머를 통해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작업인력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generates a vortex that rotates constantly throughout the washing tank, and the wave to the left and right along with the vortex is generated to facilitate the contact between the object and the air bubbles to increase the cleaning efficiency, the separation of foreign matters smoothly It is made, the wave of the appropriate size is formed, the washing efficiency is increased, the wash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through the timer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workforce.
100 : 세척기 200 : 세척조
220 : 세척조 테두리 230 : 세척조배수구
250 : 에어공급구 270 : 월류부
300 : 공기방울분출판 320 : 경사분출공
350 : 이물질퇴적홈 360 : 덮개
370 : 다리부 380 : 마개
400 : 커버 420 : 커버 테두리
430 : 볼트지지부 450 : 커버배수구
470 : 받침대 500 : 펌프모터
520 : 에어펌프 550 : 펌프지지판
570 : 에어공급관 600 : 물결생성기
610 : 제1 지지판 620 : 제2 지지판
630 : 회전봉 640 : 제1 요홈
650 : 제2 요홈 660 : 이송구
663 : 고리부 665 : 가이드핀
667 : 연결대 670 : 이동축
680 : 이송구모터 690 : 물결생성판
700 : 조작부 100: washing machine 200: washing tank
220: washing tank border 230: washing tank drain
250: air supply port 270: overflow part
300: air bubble jet 320: inclined jet
350: foreign material deposition groove 360: cover
370: leg 380: stopper
400: cover 420: cover border
430: bolt support 450: cover drain
470: pedestal 500: pump motor
520: air pump 550: pump support plate
570: air supply pipe 600: wave generator
610: first support plate 620: second support plate
630: rotary rod 640: first groove
650: second groove 660: feed hole
663: ring portion 665: guide pin
667: connecting rod 670: moving axis
680: feed port motor 690: wave generation plate
700: control panel
Claims (4)
상기 세척조(200)의 하부와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바닥에 배수구가 형성된 커버(400);
상기 세척조(200)의 내부에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가운데를 중심으로 일률적인 방향으로 기울어져 회전하는 수류가 생성되도록 전면에 다수의 경사분출공(320)이 형성된 공기방울분출판(300);
상기 세척조(200)의 외측에 형성된 펌프지지판(550)에 고정되는 펌프모터(500)와 에어펌프(520);
상기 에어펌프(520)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부로 상승한 후 다시 하강하여 상기 에어공급구(250)에 연결되는 에어공급관(570);
상기 세척조(200)의 외측 측면과 상기 테두리로부터 연장된 제1 지지판(610) 사이에 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봉(630);
상기 회전봉(630)의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2가닥의 그루브 형태로 형성되어 중간에서는 겹쳐지다가 양측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요홈(640)과 제2 요홈(650);
상기 제1 지지판(610)과 테두리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2 지지판(6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봉(630)을 회전시키는 이송구모터(680);
상기 회전봉(630)의 외부에 삽입되는 고리부(663)와 상기 고리부(663)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대(667) 및 상기 고리부(663)의 일측에 삽입된 가이드핀(665)을 포함하는 이송구(660);
상기 연결대(667)의 상부에 고정되어 세척조(200)의 측판과 상기 제1 지지판(610)을 관통하여 왕복가능하게 결합된 이동축(670);
세척조(200)의 내부에 돌출된 상기 이동축(670)의 단부에 고정된 물결생성판(690); 및 상기 공기방울분출판(300)을 관통하여 세척조(200)의 배수구에 삽입되는 마개(380);로 구성되어 상기 공기방울분출판(300)으로부터 나선방향으로 분출되는 공기방울과 상기 물결생성판(690)에 의해 생성된 물결에 의해 세척대상물이 세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과 물결을 이용한 세척기.In the shape of a tub consisting of a bottom and a side plate so that the wash water is stored, an air supply port 250 is formed at the bottom and a drain hole on the bottom, and an edge extending outward of the upper portion is formed, and a wall recessed in a part of the edge. A washing tank 200 in which the flow portion 270 is formed;
A cover 400 configured to surround the lower side and the side of the washing tank 200 and having a drain hole formed at a bottom thereof;
The air bubble ejection plate is installed in the washing tank 20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s a plurality of inclined ejection holes 32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so as to generate a stream of water inclined in a uniform direction about the center. 300);
A pump motor 500 and an air pump 520 fixed to the pump support plate 550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washing tank 200;
An air supply pipe 570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air pump 520 and then upwardly descending and then lowered again to b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ort 250;
A rotating rod 630 rotatably installed by an axis betwee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washing tank 200 and the first support plate 610 extending from the edge;
A first groove 640 and a second groove 650 formed in the shape of two groov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rotating rod 630 so as to overlap each other an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both sides;
A transfer tool motor 680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late 610 and a second support plate 620 extending from an edge to rotate the rotary rod 630;
It includes a ring portion 663 inserted into the outside of the rotating rod 630 and a connecting table 667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ing portion 663 and a guide pin 665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ring portion 663. Transfer port 660;
A moving shaft 670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table 667 and reciprocally coupled to the side plate of the washing tub 200 and the first support plate 610;
A wave generating plate 690 fixed to an end of the moving shaft 670 protruding inside the washing tank 200; And a stopper 380 penetrating through the air bubble ejection plate 300 and inserted into a drain hole of the washing tank 200; air bubbles ejected in a spiral direction from the air bubble ejection plate 300 and the wave generating plate. Washer using air bubbles and wav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eaning object is configured to be washed by the wave generated by the (690).
상기 공기방울분출판(300)의 중앙부에는 이물질이 모이는 이물질퇴적홈(350)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퇴적홈(350)의 상부에는 복수의 다리를 구비한 덮개(360)가 형성되어 세척대상물의 진입을 막고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과 물결을 이용한 세척기.The method of claim 1,
In the center of the air bubble jet plate 300, a foreign matter deposition groove 350 is formed in which foreign matters are collected, and a cover 360 having a plurality of legs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oreign matter deposition groove 350 to clean the object. Washing machine using air bubbles and wave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event entry and act as a handle.
상기 테두리의 일측 상부에는 조작부(700)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구모터(680)에 연결된 PWM콘트롤러와 상기 조작부(700)에 설치된 가변저항이 더 포함되어, 상기 가변저항의 조작에 의해 물결생성의 속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과 물결을 이용한 세척기.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unit 7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dge,
A PWM controller connected to the feeder motor 680 and a variable resistor installed in the operation unit 700 are further included, and the speed of wave generation is controlled by the manipulation of the variable resistor. syringe.
상기 조작부(700)에는 타이머가 설치되고, 상기 타이머에 연결된 경보기가 더 포함되어 세척기의 작동시간이 제어되고, 작동상황을 알려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울과 물결을 이용한 세척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operation unit 700 is provided with a timer, the alarm is connected to the timer further includes a washing machine using air bubbles and wave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ng time of the washing machine, and to inform the operating statu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2459A KR102020733B1 (en) | 2018-08-30 | 2018-08-30 | A washing machine for fruits and vegetables using spiral bubbles and wav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2459A KR102020733B1 (en) | 2018-08-30 | 2018-08-30 | A washing machine for fruits and vegetables using spiral bubbles and wav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20733B1 true KR102020733B1 (en) | 2019-09-10 |
Family
ID=67950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2459A KR102020733B1 (en) | 2018-08-30 | 2018-08-30 | A washing machine for fruits and vegetables using spiral bubbles and wav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073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80213A (en) * | 2019-11-13 | 2020-01-14 | 中山市瑞驰泰克电子有限公司 | Fruit and vegetable cleaning devic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3830B1 (en) * | 2004-09-14 | 2005-07-22 | 정성도 | The washing machine using of beads of air |
KR20080012617A (en) * | 2006-08-04 | 2008-02-12 | 정성도 | A washing apparatus for a sink |
KR20080002971U (en) * | 2007-01-26 | 2008-07-30 | 정성도 | Washing machine using beads of air improved drain efficiency |
KR20080070339A (en) * | 2007-01-26 | 2008-07-30 | 정성도 | A sink using air bubble with easy to wash |
KR20110000769U (en) | 2009-07-16 | 2011-01-24 | 박재영 | Washing device Using Oxygen Microbubble |
KR101441017B1 (en) | 2013-01-15 | 2014-09-17 | 김찬주 | Cleansing apparatus by flowing water and micro bubble |
-
2018
- 2018-08-30 KR KR1020180102459A patent/KR10202073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3830B1 (en) * | 2004-09-14 | 2005-07-22 | 정성도 | The washing machine using of beads of air |
KR20080012617A (en) * | 2006-08-04 | 2008-02-12 | 정성도 | A washing apparatus for a sink |
KR20080002971U (en) * | 2007-01-26 | 2008-07-30 | 정성도 | Washing machine using beads of air improved drain efficiency |
KR20080070339A (en) * | 2007-01-26 | 2008-07-30 | 정성도 | A sink using air bubble with easy to wash |
KR20110000769U (en) | 2009-07-16 | 2011-01-24 | 박재영 | Washing device Using Oxygen Microbubble |
KR101441017B1 (en) | 2013-01-15 | 2014-09-17 | 김찬주 | Cleansing apparatus by flowing water and micro bubbl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80213A (en) * | 2019-11-13 | 2020-01-14 | 中山市瑞驰泰克电子有限公司 | Fruit and vegetable clean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073553B (en) | A kind of spray arm and fruit-vegetable cleaner for fruits and vegetables cleaning | |
US774839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drying and sanitizing produce | |
EP0282239B1 (en) | Pot and pan washing machines | |
CN106073551B (en) | A kind of fruit-vegetable cleaner | |
CA2749950C (en) | Silverware, flatware or parts washer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CN106073552B (en) | A kind of fruit-vegetable cleaner with spray arm | |
KR102158301B1 (en) | Ultrasonic dishwasher using micro bubble | |
KR102020733B1 (en) | A washing machine for fruits and vegetables using spiral bubbles and waves | |
CN103251115A (en) | Horizontal type mixed flow spray flushing cleaning machine | |
CN202086339U (en) | Vegetable washer | |
CN206120145U (en) | Be used for fruit abluent spray arm of vegetables and fruit vegetables cleaning machine | |
JP4567808B1 (en) | Food cleaning equipment | |
KR200492397Y1 (en) | Washing device for cauldron | |
KR101189628B1 (en) | Soaking apparatus for dish-washing | |
CN219437878U (en) | But self-cleaning's fodder dish | |
CN206381104U (en) | A kind of fruit-vegetable cleaner | |
CN217338339U (en) | Hand-washing-simulated fruit and vegetable cleaning machine | |
CN210931254U (en) | High-efficient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 |
CN206576246U (en) | A kind of vegetables depth cleaning machine | |
KR102052251B1 (en) | Bubble cleaning device for bSmall fruit | |
CN109965741A (en) | Sink type fruit vegetable cleaner | |
CN207324677U (en) | A kind of mixing plant and the sink with the equipment | |
KR200276506Y1 (en) | A movable type washer using supersonic waves and ozone | |
CN216723042U (en) | Vibrating device for cleaning vegetables | |
CN212139237U (en) | Freeze-dried food belt clean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