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9826A -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826A
KR20080069826A KR1020070007536A KR20070007536A KR20080069826A KR 20080069826 A KR20080069826 A KR 20080069826A KR 1020070007536 A KR1020070007536 A KR 1020070007536A KR 20070007536 A KR20070007536 A KR 20070007536A KR 20080069826 A KR20080069826 A KR 20080069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er
channel
signal
dmb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석
전정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9826A/ko
Publication of KR20080069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10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instruments, e.g. mic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2050/005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with a lid or co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주파수네트워크(Multiple Frequency Network) 환경에서 지역망간의 이동시에 메인 튜너를 통해 현재 수신되는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의 다른 채널을 보조 튜너를 통해 검색하여 보다 양호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함에 따라 서비스의 끊김없이 원활한 핸드오버를 지원할 수 있는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제 1튜너와 제 2튜너를 통해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검출하여 수신신호의 품질을 각각 측정하는 수신신호감시부와, 상기 제 2튜너를 제 1튜너의 선국 채널과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채널을 선국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수신신호감시부를 통해 측정한 제 2튜너의 수신신호의 품질이 제 1튜너보다 더 양호할 경우 상기 제 2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DMB신호가 표시화면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제공한다.
Figure P1020070007536
DMB, 지상파, 튜너, 서비스채널, 핸드오버

Description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SOFT HAND-OVER IN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일반적인 지상파 DMB방송에서의 전송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상파 DMB수신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를 나타낸 회로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의 제반 작동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지역별 방송채널테이블을 도시한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역망간 소프트 핸드오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DMB수신기 110: 제 1 튜너
112: 제 1 스위치수단 114: 제 1 OFDM복호화기
116: 제 1 MSC 디멀티플렉서 120: 제 2 튜너
122: 제 2 스위치수단 124: 제 2 OFDM복호화기
126: 제 2 MSC 디멀티플렉서 130: 수신신호감시부
140: A/V복호화기 170: 제어부
본 발명은 지상파 DMB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주파수네트워크(Multiple Frequency Network) 환경에서 지역망간의 이동시에 서비스의 끊김없이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에서 채택된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는 유럽의 지상파 라디오 표준으로 채택된 Eureka-147 디지털오디오방송(DAB)에 기반하고 있다. 멀티미디어 방송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된 것은, 전송 채널상 발생할 수 있는 연집 에러(Burst Error)에 강인한 RS 코드(Reed-Solomon Code)와 길쌈 인터리버(Convolutional Interleaver)이다.
따라서, DMB 서비스는 전송 채널상의 잡음과 왜곡에 강인하고, 전송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DMB 전송채널은 무선 이동수신 채널로서, 수신신호의 크기(Amplitude) 가 시변(Time-Varying)할 뿐만 아니라 이동수신기의 영향으로 수신신호 스펙트럼(Spectrum)의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ing)이 발생한다.
이러한 채널 환경에서의 송수신을 고려하여, DMB 송신 방식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에 기반하고 있다. 상기 OFDM 방식은 복수의 다중 캐리어를 사용하므로 다중 경로 채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고스트에 대하여 내성이 아주 강하고, 파일럿신호를 기초로 한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Eureka-147은 디지털오디오방송(DAB)을 위하여 창안되었으나, 2MHz의 좁은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여 작은 화면 크기의 동영상을 서비스하는 지상파 DMB의 기반 기술로도 사용되고 있다. 즉 Eureka-147 시스템은 패킷 또는 스트림 모드가 있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확장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 지상파 DAB시스템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변경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Eureka-147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방송 서비스를 복수개의 서비스 요소(Service Component)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다수개의 방송을 다중화하여 약 2MHz 주파수 대역을 통해 보낼 수 있다.
즉, 상기 Eureka-147 시스템은 프레임이라는 단위 구조의 반복적인 전송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전송 프레임은 도 1과 신호 동기를 위한 동기화채널(Synchronization Channel; Sync), 실제 서비스 데이터가 전송되는 주서비스채널(Main Service Channel; MSC), 및 상기 MSC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채널의 구성 정보가 전송되는 고속정보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 FIC)로 이루어진 앙상블신호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기화채널에는 DMB수신기가 프레임의 초기임을 인식하도록 정해진 일정한 형태를 갖으며, 디지털통신 상의 디코드를 위한 정보를 전달한다. 즉, 상기 동기화채널은 아무런 신호도 전송되지 않는 널(Null) 심벌과 DQPSK 변복조를 위한 위상 기준 심벌(Phase Reference Symbol; PRS)로 구성된다.
상기 MSC는 하나 이상의 CIF(Common Interleaved Frame)로 구성되며, 실제 방송될 방송 서비스(즉, 비디오 서비스, 오디오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를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 채널에서는 데이터가 오류없이 전송되어야 하므로 실제 데이터 외의 에러 보정 데이터가 같이 전송된다. 즉, MSC로 비디오 서비스, 오디오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가 전송되는데, FIC에서는 이런 실제의 데이터들이 MSC 내부의 어떤 채널에 전송되는지와 그외 필요한 정보를 전송한다.
현재, 서비스 중인 지상파 DMB는 하나의 채널을 3개의 주파수 블록으로 나누어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으므로, 1개의 주파수 블록을 다시 1개의 TV방송 채널과, 3개의 라디오방송 채널, 1개의 데이터방송 채널로 분할하여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 안에서 서로 다른 복수의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시간적으로 중복되지 않도록 분할하고, 할당된 시간 슬롯 내에 복수의 콘텐츠를 다중화하여 송출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시분할되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에서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콘텐츠 중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콘텐츠를 분리 해내고, 분리된 특정 콘텐츠를 일정량 누적한 후 수신품질을 판단하며, 수신품질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출력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지상파 DMB수신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블록도로서, DMB수신기(10)는 튜너(11), OFDM복호화기(13), MSC 디멀티플렉서(15), A/V복호화기(17), 및 A/V터미널(19)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튜너(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주파수의 신호만을 출력하고, OFDM복호화기(13)는 튜너(11)를 통해 출력된 신호의 OFDM 복호화 과정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복원하게 되고, MSC 디멀티플렉서(15)는 OFDM 복호화기(13)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스트림 중에서 A/V복호화기(17)로 넘겨줄 A/V데이터를 추출하고, A/V복호화기(17)는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 채널에 대해서 데이터 복호화 과정을 수행하고, A/V터미널(19)은 A/V복호화기(17)를 통해 출력된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 출력하는 표시화면과 스피커로 이루어져 있다.
디지털오디오방송의 전송기술로 사용되는 OFDM 방식은 시간 영역내 보호구간을 두어 전국이 단일망(SFN)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주지만, 국내 방송환경에서는 지역마다 주파수가 달리 사용되는 MFN(Mult-Frequency Network)의 구성이 사용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멀티주파수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동일한 서비스가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로 전송되기 때문에, 지역망 간의 이동 중에는 서비스의 끊김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고품질의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없고, 또 한 사용자가 그 지역망에 할당된 서비스 채널로 직접 채널을 전환해야하는 등의 여러가지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주파수네트워크(Multiple Frequency Network) 환경에서 지역망간의 이동시에 메인 튜너를 통해 현재 수신되는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의 다른 채널을 보조 튜너를 통해 검색하여 보다 양호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함에 따라 서비스의 끊김없이 원활한 핸드오버를 지원할 수 있는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튜너를 사용하되 핸드오버가 필요한 시점에만 보조 튜너를 작동시킴에 따라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선택된 채널을 선국한 후 수신된 DMB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제 1튜너; 상기 제 1튜너에서 선국된 채널과 동일한 서비스의 다른 채널을 선국한 후 수신된 DMB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제 2튜너; 상기 제 1튜너와 제 2튜너를 통해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검출하여 수신신호의 품질을 각각 측정하는 수신신호감시부; 및 상기 제 2튜너를 제 1튜너의 선국 채널과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채널을 선국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수신신 호감시부를 통해 측정한 제 2튜너의 수신신호의 품질이 제 1튜너보다 더 양호할 경우 상기 제 2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DMB신호가 표시화면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제 1튜너의 수신신호의 품질이 일정기준 이하일 경우 제 1튜너에서 수신되는 채널과 동일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지역별 채널로 제 2튜너의 선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튜너와 제 2튜너를 통해 출력되는 DMB신호를 각각 제공받아 신호처리하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튜너와 제 2튜너를 통해 출력된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A/V복호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A/V복호화기는 제 1튜너와 제 2튜너를 통해 출력되는 동기신호를 참조하여 두 채널간의 소프트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튜너의 출력측과 제 2튜너의 출력측에 각각 스위치수단을 부가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튜너를 통해 수신된 DMB신호의 출력여부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방법은, 수신신호감시부를 통해 제 1튜너에서 출력되는 DMB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제 1단계; 제어부는 상기 제 1튜너에서 선국된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의 다른 채널을 선국하도록 제 2튜너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신호감시부를 통해 상기 제 2튜너에서 출력되는 DMB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수신신호감시부를 통해 측정한 DMB신호의 품질결과에 따라 수신되는 DMB신호의 품질이 양호한 측의 제 1튜너 또는 제 2튜너의 DMB 신호가 표시화면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단계에서 제어부는 제 1튜너에서 출력된 DMB신호의 품질이 일정기준 이하일 경우 제 2튜너의 선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 1튜너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DMB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튜너로 작동될 경우 제 2튜너를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과 동일한 서비스의 다른 채널을 선국하는 보조 튜너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단계에서 제어부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선택 채널에 대한 지역별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제 2튜너의 선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에서 사용자의 선택 채널에 대한 지역별 채널이 복수개일 경우 제어부는 지역별 채널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선국하도록 제 2튜너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를 나타낸 회로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파 DMB수신기(100)는, 제 1 튜너(110), 제 1 OFDM복호화기(114), 제 1 MSC 디멀티플렉서(116), 제 2 튜너(120), 제 2 OFDM복호화기(124), 제 2 MSC 디멀티플렉서(126), 수신신호감시부(130), A/V복호화기(140), 비디오처리부(151), 오디오처리부(161),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1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DMB용 고주파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선국한 후 DMB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OFDM복호화기(114)는 제 1 튜너(110)로부터 출력되는 DMB신호를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복호화하여 비디오와 오디오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서비스채널(MSC)과 고속정보채널(FIC) 및 동기화채널(Sync)로 이루어진 앙상블신호를 복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MSC 디멀티플렉서(116)는 상기 제 1 OFDM복호화기(114)를 통해 출력되는 앙상블신호를 파싱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를 추출하여 전송스트림(TS; Transport Stream) 형태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튜너(120)는 제 1 튜너(110)에 의해 선택된 채널과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동일한 서비스의 채널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순차 선국한 후 복조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OFDM복호화기(124)는 제 2 튜너(120)로부터 출력되는 DMB신호를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복호화하여 비디오와 오디오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서비스채널(MSC)과 고속정보채널(FIC) 및 동기화채널(Sync)로 이루어진 앙상블신호를 복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MSC 디멀티플렉서(126)는 상기 제 2 OFDM복호화기(124)를 통해 출 력되는 앙상블신호를 파싱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를 추출하여 전송스트림(TS; Transport Stream) 형태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신신호감시부(130)는 제 1 및 제 2 튜너(110, 120)로부터 출력되는 서로다른 채널의 동일 서비스에 대한 DMB신호를 제공받아 수신신호의 전력세기와 수신신호의 상태 등과 같은 신호의 품질을 각각 측정한 후 그 결과 정보를 제어부(170)로 제공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A/V복호화기(140)는 제 1 또는 제 2 MSC 디멀티플렉서(126)로부터 출력되는 전송스트림을 제공받아 비디오스트림 및 오디오스트림으로 각각 분리함과 아울러 비디오스트림을 비디오디코더(141)를 통해 디코딩하여 비디오처리부(151)로 출력하고, 오디오스트림을 오디오디코더(145)를 통해 디코딩하여 오디오처리부(161)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비디오디코더(141)는 비디오스트림으로부터 키 프레임(Key Frame)을 검출하고, 검출한 키 프레임을 기초로 비디오스트림을 디코딩한다. 통상, 동영상은 MPEG(Motion Pictures Experts Group) 표준에 의해 압축방식을 이용하는 데, MPEG 표준에 의한 압축방식은 장면마다 키 프레임을 선택하고, 선택한 키 프레임을 기준으로 영상을 압축하는 방식이다. 영상 압축시 키 프레임으로 선택된 프레임의 영상은 전체를 저장하고, 키 프레임 사이의 프레임들은 키 프레임과 비교하여 변화된 정보만을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압축된 비디오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위해서는 키 프레임을 검출하여야 한다.
상기 비디오디코더(141)는 이전에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여 하나의 화면 구성을 위한 비디오스트림 디코딩이 완료될 때마다 제어부(170)로 비디오스트림 디코딩이 완료됨을 알리는 이벤트 신호를 발생한다.
아울러, 상기 비디오처리부(151)는 비디오디코더(141)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표시화면(155)의 포맷에 맞게 변환한다. 비디오처리부(151)는 포맷변환이 완료되어 표시화면(155)으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할 때마다 제어부(170)로 포맷변환이 완료됨을 알리는 이벤트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161)는 오디오디코더(145)에 의해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65)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키입력부(190)로부터 입력되는 키 코드에 대응하여 지상파 DMB수신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 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로 제 1 튜너(110)의 선국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선국된 채널과 동일한 서비스의 다른 채널들을 메모리(180)의 방송채널테이블(181)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채널로 제 2 튜너(120)를 순차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 튜너(12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제 1 튜너(110)에서 선국된 채널과는 다른 채널의 동일한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수신 복조하게 되며, 복조된 신호를 수신신호감시부(130)로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수신신호감시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제 1 및 제 2 튜너(110, 120)의 수신신호의 품질에 대한 정보에 따라 신호품질이 양호한 제 1 튜너(110) 또는 제 2 튜너(120)를 결정한 후 A/V복호화기(140)의 입출력라인을 제어 하여 소프트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 1 튜너(110)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선국하는 메인 튜너로 작동될 경우에는 제 2 튜너(120)는 제 1 튜너(110)와 동일한 서비스의 다른 채널을 선국하는 보조 튜너로 작동하게 되고, 제 2 튜너(120)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선국하는 메인 튜너로 작동될 경우에는 제 1 튜너(110)는 제 2 튜너(120)와 동일한 서비스의 다른 채널을 선국하는 보조 튜너로 작동하게 된다.
아울러, A/V복호화기(14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제 1 MSC 디멀티플렉서(116)의 출력신호와 제 2 MSC 디멀티플렉서(126)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 A/V복호화기(140)의 측면에서 보았을 경우 제 1 MSC 디멀티플렉서(116)의 출력신호와 제 2 MSC 디멀티플렉서(126)의 출력신호 중 어느 하나는 불필요한 입력신호가 된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수신신호감시부(130)를 통해 검출한 메인 튜너의 수신신호의 품질이 일정기준 이하일 경우에만 보조 튜너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전력소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OFDM복호화기(114)의 입력측과 제 2 OFDM복호화기(124)의 입력측에 각각 제 1 및 제 2 스위치수단(112, 114)을 부가하고, 핸드오버가 필요한 시점부터 상기 보조 튜너의 출력측에 설치된 스위치수단을 턴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어부(170)는 메인 튜너의 수신신호의 품질이 일정기준 이하로 떨어지면 보조 튜너를 작동시키게 되고, 상기 메인 튜너와 보조 튜너의 수신신호의 품질을 통해 핸드오버가 필요한 시점이 되면 제어부(170)는 보조 튜너의 출력측에 설치된 스위 치수단을 턴온시킴에 따라 해당 보조 튜너 측에 설치된 OFDM복호화기나 MSC 디멀티플렉서가 불필요한 시점에서는 동작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의 제반 작동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메모리(180)에는 동일 서비스에 대한 지역별 서로 다른 채널이 매칭되어 도 5와 같은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도 5와 같이 MBC의 경우에는 A지역에서는 11번 채널로, C지역에서는 7번 채널로, E지역에서는 9번 채널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170)는 키입력부(190)를 통해 특정 채널을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고, 특정 채널을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었으면 제 1 튜너(110)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채널을 선국하도록 제어하게 된다(S1).
이에 따라 제 1 튜너(1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채널을 선국하여 DMB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DMB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면, 제 1 OFDM복호화기(114)는 제 1 튜너(110)로부터 출력된 DMB신호를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복호화하여 비디오와 오디오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주서비스채널(MSC; Main Service Channel)과 고속정보채널(FIC; Fast Information Channel)를 포함하는 앙상블신호를 복원하게 된다(S2).
이어, 상기 제 1 MSC 디멀티플렉서(116)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OFDM복호화기(114)를 통해 출력되는 앙상블신호를 파싱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를 추출하여 전송스트림(TS; Transport Stream) 형태로 출력한다. A/V복호화기(140)는 제 1 MSC 디멀티플렉서(116)로부터 출력되는 전송스트림을 제공받아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으로 각각 분리함과 아울러 비디오 스트림을 비디오디코더(141)를 통해 디코딩하여 비디오처리부(151)로 출력하고, 오디오 스트림을 오디오디코더(145)를 통해 디코딩하여 오디오처리부(161)로 출력하여 표시화면(155)과 스피커(165)를 통해 비디오와 오디오를 각각 출력하게 된다(S3).
한편, 수신신호감시부(130)는 제 1 튜너(110)로부터 출력되는 DMB신호를 검출하여 수신신호의 전력세기 및 상태와 같은 품질을 측정한 후 이에 상응하는 품질데이터를 제어부(170)로 출력하게 되고(S4), 제어부(170)는 수신신호감시부(130)로부터 출력된 품질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기준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일정기준 이하일 경우에는 메모리(180)에 저장된 방송채널테이블(181)을 검색하여 제 1 튜너(110)에서 수신되고 있는 서비스와 동일한 다른 채널들을 추출하게 된다(S5, S6).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제 1 튜너(110)와 동일한 서비스의 다른 채널들을 이용하여 제 2 튜너(120)가 일정시간 간격으로 순차 선국하도록 제어하게 된다(S7). 물론, 상기에서 수신신호감시부(130)로부터 출력된 품질데이터가 일정기준 이상일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제 2 튜너(12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예컨대, 도 6에서와 같이 DMB수신기(100)가 A지역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수신신호의 품질이 양호하지만, A지역에서 B지역으로 근접할수록 송신기 또는 갭필러에서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므로 수신신호의 품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이때 제어부(170)는 도 5와 같은 방송채널테이블(181)을 이용하여 제 2 튜너(120)의 선국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수신신호감시부(130)는 제 1 및 제 2 튜너(110, 120)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서로다른 채널의 동일 서비스에 대한 DMB신호를 제공받아 수신신호의 세기와 같은 신호의 품질을 각각 측정한 후 그 결과 데이터를 제어부(170)로 제공하게 된다(S8).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수신신호감시부(130)로부터 출력된 제 1 튜너(110)의 품질데이터와 제 2 튜너(120)를 통해 선국된 또는 순차 선국된 수신신호의 품질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동일 내지 유사한 품질을 가지게 되면(S9, S10), 제어부(170)는 제 2 OFDM복호화기(124)의 입력측에 설치된 제 2 스위치수단(122)을 턴온시킴에 따라 제 2 튜너(120)에서 출력된 DMB신호가 제 2 OFDM복호화기(124)로 공급되도록 한다(S11). 물론, 상기에서 제 1 튜너(110)의 품질데이터가 제 2 튜너(120)를 통해 선국된 품질데이터보다 양호하면 제어부(170)는 미리 추출된 다른 채널을 선국하도록 제 2 튜너(120)를 제어하게 된다(S12).
예컨대, 도 6에서 DMB수신기(100)가 A지역에서 B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A지역의 송신기와 C지역의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품질이 유사한 것이다. 이 경우에 제어부(170)는 제 2 튜너(120)의 출력측에 설치된 제 2 스위치수단(122)을 제어하여 턴온시키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수신신호감시부(130)로부터 출력된 제 1 튜너(110)의 품질데이터와 제 2 튜너(120)를 통해 선국된 또는 순차 선국된 수신신호의 품질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제 2 튜너(120)가 제 1 튜너(110)보다 양호한 신호품질을 가지게 되면(S9), 제어부(170)는 제 2 OFDM복호화기(124)의 입력측에 설치된 제 2 스위치수단(122)을 턴온시킴에 따라 제 2 튜너(120)에서 출력된 DMB신호가 제 2 OFDM복호화기(124)로 공급되도록 한다(S13).
이어, 제어부(170)는 제 2 OFDM복호화기(124)와 제 2 MSC 디멀티플렉서(126)를 통해 출력되는 전송스트림이 A/V복호화기(140)를 통해 처리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A/V복호화기(140)의 출력라인을 제어하게 된다(S14).
이때, A/V복호화기(140)는 제 1 및 제 2 MSC 디멀티플렉서(116, 126)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전송스트림에 포함된 동기화채널(Sync)을 참조하여 서비스가 끊김없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적절한 시점에 두 채널간의 스위칭을 함에 따라 서비스의 끈김없는 고품질의 소프트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 1 튜너(110)의 출력측에 설치된 제 1 스위치수단(112)을 턴오프시키게 되어 제 1 OFDM복호화기(114)와 제 1 MSC 디멀티플렉서(116)가 불필요하게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S15). 즉, 제 2 튜너(120)가 메인 튜너로 동작하게 되면, 제어부(170)는 제 1 튜너(110)의 출력단에 설치된 제 1 스위치수단(112)은 턴오프시켜 제 1 튜너(110)가 보조 튜너로 작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도 6에서 DMB수신기(100)가 B지역에서 C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A 지역에 위치한 송신기의 채널을 선국한 제 1 튜너(110)의 수신신호 품질보다 C지역에 위치한 송신기의 채널을 선국한 제 2 튜너(120)의 수신신호의 품질이 더 양호하게 되므로, 이때 제어부(170)는 제 2 튜너(120)를 통해 출력되는 DMB신호가 A/V복호화기(1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지상파 DMB수신기 뿐만 아니라 멀티주파수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되는 모든 방송수신기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주파수네트워크(Multiple Frequency Network) 환경에서 지역망간의 이동시에 메인 튜너를 통해 현재 수신되는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의 다른 채널을 보조 튜너를 통해 검색하여 보다 양호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소프트 스위칭하여 출력함에 따라 서비스의 끊김없이 원활한 핸드오버를 지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메인 튜너와 보조 튜너를 사용하되, 핸드오버가 필요한 시점에만 보조 튜너와 그 후단의 앙상블신호를 처리하는 블록을 작동시킴에 따라 DMB수신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선택된 채널을 선국한 후 수신된 DMB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제 1튜너;
    상기 제 1튜너에서 선국된 채널과 동일한 서비스의 다른 채널을 선국한 후 수신된 DMB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제 2튜너;
    상기 제 1튜너와 제 2튜너를 통해 출력되는 수신신호를 검출하여 수신신호의 품질을 각각 측정하는 수신신호감시부; 및
    상기 제 2튜너를 제 1튜너의 선국 채널과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채널을 선국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수신신호감시부를 통해 측정한 제 2튜너의 수신신호의 품질이 제 1튜너보다 더 양호할 경우 상기 제 2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DMB신호가 표시화면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튜너의 수신신호의 품질이 일정기준 이하일 경우 제 1튜너에서 수신되는 채널과 동일한 서비스에 해당하는 지역별 채널로 제 2튜너의 선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튜너와 제 2튜너를 통해 출력되는 DMB신호를 각각 제공받아 신호처 리하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튜너와 제 2튜너를 통해 출력된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A/V복호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A/V복호화기는 제 1튜너와 제 2튜너를 통해 출력되는 동기신호를 참조하여 두 채널간의 소프트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튜너의 출력측과 제 2튜너의 출력측에 각각 스위치수단을 부가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튜너를 통해 수신된 DMB신호의 출력여부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
  6. 수신신호감시부를 통해 제 1튜너에서 출력되는 DMB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제 1단계;
    제어부는 상기 제 1튜너에서 선국된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의 다른 채널을 선국하도록 제 2튜너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신호감시부를 통해 상기 제 2튜너에서 출력되는 DMB신호의 품질을 측정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수신신호감시부를 통해 측정한 DMB신호의 품질결과에 따라 수신되는 DMB신호의 품질이 양호한 측의 제 1튜너 또는 제 2튜너의 DMB신호가 표시화면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제어부는 제 1튜너에서 출력된 DMB신호의 품질이 일정기준 이하일 경우 제 2튜너의 선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튜너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DMB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튜너로 작동될 경우 제 2튜너를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과 동일한 서비스의 다른 채널을 선국하는 보조 튜너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방법.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제어부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선택 채널에 대한 지역별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제 2튜너의 선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에서 사용자의 선택 채널에 대한 지역별 채널이 복수개일 경우 제어부는 지역별 채널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선국하도록 제 2튜너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방법.
KR1020070007536A 2007-01-24 2007-01-24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69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536A KR20080069826A (ko) 2007-01-24 2007-01-24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536A KR20080069826A (ko) 2007-01-24 2007-01-24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826A true KR20080069826A (ko) 2008-07-29

Family

ID=3982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536A KR20080069826A (ko) 2007-01-24 2007-01-24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9826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522B1 (ko) * 2012-02-03 2013-11-20 주식회사 텔레칩스 싱글튜너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시점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964298B1 (ko) * 2018-02-06 2019-04-01 주식회사 리트빅 다중주파수망 방송수신 환경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의 계층적 운용 방법
US11546650B1 (en) 2021-08-06 2023-01-03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with different numbers of antennae
US11553245B1 (en) 2021-08-06 2023-01-10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receiving non-real time (NRT) data whilst traversing a multi-frequency network boundary
US11601707B2 (en) 2021-08-06 2023-03-07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US11611790B2 (en) 2021-08-06 2023-03-21 Sony Group Corporation RF channel description for multiple frequency networks
US11611792B2 (en) 2021-08-06 2023-03-21 Sony Group Corporation ATSC 3 reception across boundary conditions using location data
US11611799B2 (en) 2021-08-06 2023-03-21 Sony Group Corporation ATSC 3 application context switching and sharing
US11711568B2 (en) 2021-08-06 2023-07-25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handing off between presentation and scanning
US11838680B2 (en) 2021-08-06 2023-12-05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complete service reception during scan to determine signal quality of frequencies carrying the duplicate service
US11848716B2 (en) 2021-08-06 2023-12-19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signal quality and packet errors to differentiate between duplicated services on different frequencies during sca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522B1 (ko) * 2012-02-03 2013-11-20 주식회사 텔레칩스 싱글튜너 dab 시스템에서 서비스링크 시점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964298B1 (ko) * 2018-02-06 2019-04-01 주식회사 리트빅 다중주파수망 방송수신 환경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의 계층적 운용 방법
US11546650B1 (en) 2021-08-06 2023-01-03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with different numbers of antennae
US11553245B1 (en) 2021-08-06 2023-01-10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receiving non-real time (NRT) data whilst traversing a multi-frequency network boundary
US11601707B2 (en) 2021-08-06 2023-03-07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US11611790B2 (en) 2021-08-06 2023-03-21 Sony Group Corporation RF channel description for multiple frequency networks
US11611792B2 (en) 2021-08-06 2023-03-21 Sony Group Corporation ATSC 3 reception across boundary conditions using location data
US11611799B2 (en) 2021-08-06 2023-03-21 Sony Group Corporation ATSC 3 application context switching and sharing
US11711568B2 (en) 2021-08-06 2023-07-25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plural tuners handing off between presentation and scanning
US11838680B2 (en) 2021-08-06 2023-12-05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complete service reception during scan to determine signal quality of frequencies carrying the duplicate service
US11848716B2 (en) 2021-08-06 2023-12-19 Sony Group Corporation Techniques for ATSC 3.0 broadcast boundary area management using signal quality and packet errors to differentiate between duplicated services on different frequencies during sca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9826A (ko) 지상파 dmb수신기의 소프트 핸드오버 장치 및 그 방법
EP2051523B1 (en) Receiver with means for switching without discontinuity between the audio-video signals from two transport streams
US7916809B2 (en) Digital receiver apparatus
JP4392424B2 (ja) 伝送パラメータ情報
US7778276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20070089148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supplementary function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method of the same
JP2008523682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796864B1 (ko) 지상파 dmb 수신기에 있어서 채널 전환 제어방법
US8345166B2 (en) Broadcast receiving circuit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JP2004179718A (ja) 放送受信装置
US8035743B2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a terminal with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JP4329551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WO2004034599A1 (ja) Dab放送受信装置
KR100739108B1 (ko) 고속채널전환 디지털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JP4902937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AU20092032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broadcasting communication system
JP2004282350A (ja) 携帯型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WO2007037424A1 (ja) 受信装置
JP2002354360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2228599B1 (ko) Isdb 전송 스트림의 심리스 전환을 제공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KR100975712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JP4703755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消費電力の低減方法
JPWO2009057639A1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EP2837116B1 (en) Receiver
EP1150469A2 (en) Retuning in a DAB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