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8992A -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갖는 텔레비전 및 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갖는 텔레비전 및 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992A
KR20080068992A KR1020070006518A KR20070006518A KR20080068992A KR 20080068992 A KR20080068992 A KR 20080068992A KR 1020070006518 A KR1020070006518 A KR 1020070006518A KR 20070006518 A KR20070006518 A KR 20070006518A KR 20080068992 A KR20080068992 A KR 20080068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unit
television
dat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6832B1 (ko
Inventor
심규만
고재영
Original Assignee
심규만
고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규만, 고재영 filed Critical 심규만
Priority to KR1020070006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832B1/ko
Publication of KR20080068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영상표시부와 스피커를 갖고, 리모콘에 의해 동작되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영상표시부(22)를 통해 수면유도 영상을 표시하고, 스피커(24)를 통해 수면유도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수면유도부(150); 수면유도부(15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소정시간동안 리모콘의 입력이 없는 경우 수면상태라고 판단하여 텔레비전의 전원을 차단하는 수면탐지부(162); 및 수면유도 영상의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고, 수면유도부(150)에 의해 판독 가능한 데이터 저장부(200);가 제공된다.
Figure P1020070006518
텔레비전, 수면, 유도, 유지, 평가, 동작센서, 리모콘, 인터넷, 서버

Description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및 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Television with a sleep inducing device, television with the sleep inducing device for network and control method of the televis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의 개략적인 전체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텔레비전(20)의 내부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저장부(200)의 내부 트리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뇌파동조 수면유도부(159)에서 표시하는 화면의 일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프 표시부(177)에서 표시하는 그래프의 일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적외선,
10 : 리모콘,
20 : 텔레비전,
21 : 무선통신 안테나,
22 : 영상표시부,
24 : 스피커,
26 : 백색 정사각형,
28 : 리모콘 수신부,
30 : 동작센서,
32 : 통신선,
40 : 인터넷,
50 : 원격수면센터 서버장치,
100 : 제어부,
110 : (무선)모뎀,
120 : 수면유도 데이터 전송부,
130 : MP3 재생부,
140 : 동영상 재생부,
150 : 수면유도부,
152 : 수면친화 설정부,
153 : 수면유도 영상표시부,
155 : 낭독부,
157 : 독서기능부,
159 : 뇌파동조 수면유도부,
160 : 수면유지부,
162 : 수면탐지부,
164 : 동작감지부,
170 : 수면질 평가부,
171 : 항목표시부,
173 : 입력부,
175 : 평가부,
177 : 그래프 표시부,
180 : 각성 유도부,
182 : 각성영상 재생부,
184 : 각성음향 재생부,
190 : 환경설정부,
192 : 수면유도부용 환경설정부,
194 : 수면유지부용 환경설정부,
196 : 수면질 평가부용 환경설정부,
198 : 각성유도부용 환경설정부,
200 : 데이터 저장부(하드디스크).
본 발명은 텔레비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및 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 특정 자극을 전달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뇌파 동조를 통한 수면유도용 물리치료기가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면유도 기기들은 별도로 구입해야 했을 뿐만 아니라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들이었다.
또한,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기 위한 각종 DVD, CD 타이틀 들이 판매되고 있으나, 이는 콘텐츠 또는 소프트웨어에 그치기 때문에 별도의 영상장비나 음향시설을 갖추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주면유도기기들은 사용자들로부터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접근성이 떨어지고, 사용빈도가 낮아져서 결국 사용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텔레비전과 같은 일반 가전제품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네트워크를 통해 항상 최신 정보로 갱신되고, 자신의 수면 형태를 전문가로부터 평가받을 수 있는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및 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 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수면 유도로 접어드는 과정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 등을 재생할 수 있고, 이들을 인터넷을 통해 손쉽게 갱신할 수 있는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및 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되어 설명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표시부와 스피커를 갖고, 리모콘에 의해 동작되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영상표시부(22)를 통해 수면유도 영상을 표시하고, 스피커(24)를 통해 수면유도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수면유도부(150);
수면유도부(15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소정시간동안 리모콘의 입력이 없는 경우 수면상태라고 판단하여 텔레비전의 전원을 차단하는 수면탐지부(162); 및
수면유도 영상의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고, 수면유도부(150)에 의해 판독 가능한 데이터 저장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면유도부(150)는, 영상표시부(22)의 조도를 소정 조도 이하로 조정하는 조도 조정수단; 음향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제거하는 주파수 필터수단; 및 음향을 소정 데시벨 이하로 조정하는 음향 조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면유도부(150)는, 문장을 낭독한 MP3 파일을 재생하는 낭독부(155); 및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독서기능부(157)를 더 포함하고,
MP3 파일과 텍스트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200)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수면유도부(150)는, 스피커(24)를 통해 뇌파에 동조하는 일정 주파수를 반복적으로 출력하면서, 영상표시부(22)를 통해 일정한 영상을 점멸 표시하는 뇌파동조 수면유도부(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텔레비전(20)에 설치된 동작센서(30); 및 수면유도부(15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동작센서(30)로부터 소정시간동안 동작감지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면상태라고 판단하여 텔레비전의 전원을 차단하는 동작감지부(164)를 더 포함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아울러, 예정 기상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환경설정부(190);
예정 기상시간으로부터 소정시간 전부터 각성영상을 재생하면서 조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각성영상 재생부(182); 및
각성영상의 재생과 대응하여 각성음향을 재생하면서 출력강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각성음향 재생부(184)를 더 포함하고,
각성영상의 데이터와 각성음향의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200)로 저장되어 있는 것이 더욱 적합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뎀수단(110)을 더 포함 하고, 데이터 저장부(200)내에 저장된 데이터는 모뎀수단(110)을 통해 갱신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20)에 설치된 동작센서(30); 수면탐지부(162)에 의해 수면상태라고 판단되었을 때, 동작센서(30)를 통해 동작의 빈도와 동작의 지속시간을 감지하는 평가부(175); 및 평가부(175)가 감지한 동작의 빈도와 지속시간을 영상표시부(22)에 그래프로 표시하는 그래프 표시부(1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의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뎀수단(110); 및
수면탐지부(162) 또는 동작감지부(164)에 의해 수면상태라고 판단되었을 때, 동작센서(30)를 통해 동작의 빈도와 동작의 지속시간을 감지하는 평가부(175);를 더 포함하고,
동작의 빈도와 지속시간은 데이터 저장수단(200)에 저장되며,
동작의 빈도와 지속시간은 모뎀수단(110)을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면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항목들을 영상표시부(22)에 표시하는 항목표시부(171); 및 항목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누른 리모콘(10)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173)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입력부(173)에 의해 입력된 입력데이터는 데이터 저장수단(200)에 저장되며, 입력데이터는 모뎀수단(110)을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영상표시부와 스피커를 갖고, 리모콘에 의해 동작되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영상표시부(22)를 통해 수면유도 영상을 표시하고, 스피커(24)를 통해 수면유도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수면유도부(150);
수면유도부(15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소정시간동안 리모콘의 입력이 없는 경우 수면상태라고 판단하여 텔레비전의 전원을 차단하는 수면탐지부(162);
텔레비전(20)에 설치된 동작센서(30); 및
수면유도부(15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동작센서(30)로부터 소정시간동안 동작감지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면상태라고 판단하여 텔레비전(20)의 전원을 차단하는 동작감지부(164);
수면탐지부(162) 또는 동작감지부(164)에 의해 수면상태라고 판단되었을 때, 동작센서(30)를 통해 동작의 빈도와 동작의 지속시간을 감지하는 평가부(175);
수면유도 영상의 데이터, 음향 데이터, 동작의 빈도와 지속시간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00);
외부의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뎀수단(110);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저장부(200) 내의 데이터를 수신받고, 데이터 저장부(200)내의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는 원격수면센터 서버장치(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는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CDMA 통신망, PSTN, LAN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들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텔레비전(20) 의 영상표시부(22)를 통해 수면유도 영상을 표시하고, 스피커(24)를 통해 수면유도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수면유도 활성단계(S100);
수면유도 활성단계(S100)중 소정시간동안 리모콘의 입력이 없는 경우 또는 텔레비전(20)에 설치된 동작센서(30)로부터 소정시간동안 동작감지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S200) 수면상태라고 판단하여 텔레비전(20)의 전원을 차단하는 수면유지단계(S210);
수면유지단계(S210)중 동작센서(30)를 통해 동작의 빈도와 동작의 지속시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단계(S300);
동작의 빈도와 지속시간 데이터를 모뎀수단(110)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수면센터 서버장치(50)로 전송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고,
원격수면센터 서버장치(50)는 일정시간마다 데이터 저장부(200)내의 수면유도 영상 및 대응 음향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의 구성)
이하에서는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의 개략적인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텔레비전(20)이 구비된다. 텔레비전(20)은 LCD, PDP, CRT 뿐만 아니라 프로젝션 등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텔레비전(20)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표시부(22)와 스피커(24)로 구성된다.
텔레비전(20)의 상부 중앙에는 동작센서(30)가 구비되어 5 m 이내의 사용자 움직임을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무선통신 안테나(21)는 텔레비전(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무선 인터넷 또는 CDMA 통신망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유선의 통신선(32)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선(32)을 통해 인터넷(40)과 연결되고, 인터넷(40) 상의 원격수면센터 서버장치(50)와 통신이 가능하다.
텔레비전(20)은 리모콘(10)에 의해서도 동작가능하고, 이를 위해 텔레비전(20)에는 리모콘 수신부(28)가 구비되어 있다. 리모콘(10)은 적외선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각종 텔레비전 동작 버튼 뿐만 아니라 수면유도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텔레비전(20)의 내부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저장부(200)의 내부 트리 구조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전(20)의 내부에는 통상의 텔레비전 기능외에 수면유도기능을 위해 수면유도부(150), 수면유지부(160), 수면질 평가부(170), 각성유도부(180) 및 환경설정부(19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중앙에는 각종 제어와 연산 및 판단을 수행하는 제어부(100)가 위치하고, 이를 중심으로 리모콘 수신부(28), 데이터 저장부(200), (무선)모뎀(110), 수면유도 데이터 전송부(120) 등이 연결되어 있다.
(수면유도부의 구성)
수면유도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리모콘(10) 신호에 의해 활성화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서서히 수면상태에 진입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활을 한다. 이를 위해, 수면유도부(150)의 내부는 다시 수면친화 설정부(152), 수면유도 영상부(153), 낭독부(155), 독서기능부(157) 및 뇌파동조 수면유도부(159)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면친화 설정부(152)는 수면으로 접어들기 쉽도록 영상과 음향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통상적으로 밝은 빛은 인체중 송과체의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하여 수면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수면친화 설정부(152)는 영상표시부(22)의 조도를 50 룩스 이하로 조정하여 멜라토닌 분비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시끄러운 음향 역시 교감신경계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쳐 수면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스피커(24)의 출력 음향을 50 데시벨 이하로 조정하고, 신경을 거슬리는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하여 주파수 필터수단(예를 들어, 로우패스 필터 또는 밴드패스 필터 등)을 사용한다.
수면유도 영상부(153)는 데이터 저장부(200)중 수면유도 영상데이터(213) 및 수면유도 음향데이터(211)를 판독하여 재생하게 된다. 이러한 수면유도 영상데이터(213) 및 수면유도 음향데이터(211)는 교감신경계를 흥분시키지 않는 부드럽고 온화한 영상 및 음악이 될 수 있다.
낭독부(155)는 데이터 저장부(200)중 낭독 음향 데이터(215)를 판독하여 재생한다. 이러한 낭독 음향 데이터(215)는 소설, 수필, 시, 동화 등을 낭독하여 코딩한 MP3 파일이다.
독서기능부(157)는 데이터 저장부(200)중 독서 텍스트 데이터(217)를 판독하 여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독서기능부(157)는 글자나 단어를 음성으로 합성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독서기능부(157)는 영상표시부(22)에 분당 200자 정도를 표시하면서 동시에 이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사용자가 리모콘(10)의 상하방향 버튼의 누름을 통해 스크롤 속도나 독서 속도를 증감할 수 있다.
뇌파동조 수면유도부(159)는 사용자를 시청각적으로 자극하여 뇌파 주파수의 동조를 일으키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수면뇌파를 유도하여 수면에 접어들도록 구성된다. 시청각을 통해 특정 주파수의 의미없는 자극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뇌는 해당 주파수에 동조되며 뇌파의 주파수가 이를 닮아가는 현상을 뇌파동조라 한다. 이를 위해, 청각 자극의 기본음향은 50 데시벨이며, 이용자가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청각자극은 배경음과 목표음으로 나눌 수 있는데, 배경음은 50 Hz의 노이즈이며, 목표음은 뇌파동조를 위한 수면 뇌파의 주파수를 갖는다. 시각 자극을 위해 도 5와 같은 화면을 사용한다. 즉,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뇌파동조 수면유도부(159)에서 표시하는 화면의 일예이다. 도 5와 같이, 영상표시부(22)의 중심에 전체 화면 크기의 약 30%에 해당하는 백색의 정사각형(26)이 목표음의 주파수에 동조되어 점멸표시된다.
(수면유지부의 구성)
수면유지부(160)는 이미 수면상태로 접어든 사용자를 판단하여 수면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내부에는 수면탐지부(162)와 동작 감지부(164)가 구성되고, 동작센서(30)와 연계하여 동작한다.
수면탐지부(162)는 리모콘 수신부(28)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콘(10) 신호의 시간간격을 검출한다. 즉, 수면탐지부(162)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상태에서 20분 이상 리모콘(10)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수면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20분이라는 시간간격은 사용자가 리모콘(10)을 통해 조정 가능하다. 만약 20분 이상 리모콘(10)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수면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텔레비전(20)의 전원을 차단한다.
동작 감지부(164)는 동작센서(30)를 통해 5 m 이내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만약 20분 동안 동작센서(30)에 의해 동작이 검출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수면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텔레비전(20)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수면탐지부(162)와 동작 감지부(164)는 병행하거나 단독 사용이 가능하다.
(수면질 평가부의 구성)
수면질 평가부(170)는 입력부(173)를 통해 입력한 사용자의 수치 및 동작센서(30)의 출력신호 등을 저장하고, 이를 원격수면센터 서버장치(50)로 전송하여 전문가에 의한 체계적인 관리나 진료, 상담의 자료로 사용하고, 그 결과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항목표시부(171)는 영상표시부(2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질의항목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관한 개략적인 예는 [표 1]과 같다.
번호 질의내용 입력
1 숙면을 잘 하는 편인가? 1 : 예, 2 : 아니오, 3 : 보통
2 작은 소리에도 깰 때가 있다. 1 : 예, 2 : 아니오, 3 : 보통
3 수면제를 습관적으로 복용한다 1 : 예, 2 : 아니오, 3 : 가끔
즉, [표 1]과 같이 사용자는 해당 항목의 질문을 읽고 리모콘(10)의 번호 키이를 눌려 답변하게 된다. 입력부(173)는 이러한 사용자의 답변과 해당 항목을 연계하여 데이터 저장부(200)의 수면질 입력 데이터(221)에 저장한다.
평가부(175)는 동작센서(30)를 사용하여 수면중 사용자의 동작 빈도와 동작 지속시간을 측정하게 된다. 측정된 동작의 빈도와 지속시간은 데이터 저장부(200)의 수면질 평가 데이터(223)에 저장된다.
그래프 표시부(177)는 동작센서(30)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 수면중 동작의 빈도와 지속시간을 도식적으로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프 표시부(177)에서 표시하는 그래프의 일예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축(수평축)을 따라 동작의 빈도와 동작 사이의 지속시간이 표시된다. 이를 통해 수면중 사용자 자신이 얼마나 몸을 움직이고, 얼마나 자주 몸을 움직이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그래프와 수면질 입력 데이터(221) 및 수면질 평가 데이터(223)는 인터넷(40)을 통해 원격수면센터 서버장치(50)로 전송된다. 그리고, 원격수면센터 서버장치(50)에서 의료진과 같은 전문가에 의해 진단, 처방되고, 그 진단, 처방 데이터는 다시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어 의료진의 평가 데이터(225)내에 저장된다.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의료진의 평가 데이터(225)를 열람할 수 있다.
(각성 유도부의 구성)
각성 유도부(180)는 사용자가 지정한 시간에 깨워주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각성 유도부(180)의 내부에는 각성영상 재생부(182)와 각성음향 재생부(184)가 구비되어 있다.
각성영상 재생부(182)는 데이터 저장부(200)의 각성영상 데이터(234)를 판독한 뒤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예정 기상시간의 30분 전부터 각성영상을 재생하면서 조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각성음향 재생부(184)는 데이터 저장부(200)의 각성음향 데이터(232)를 판독한 뒤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예정 기상시간의 30분 전부터 각성음향을 재생하면서 출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환경 설정부의 구성)
환경설정부(190)는 앞서 설명한 각 구성부재의 초기화 및 동작을 위한 파라미터 값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환경설정부(190)의 내부에는 수면유도부용 환경설정부(192), 수면유지부용 환경설정부(194), 수면질 평가부용 환경설정부(196), 및 각성유도부용 환경설정부(198)이 구분되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설정값들은 환경설정 폴더(240) 내의 각 영역(242, 244, 246, 248) 내에 구분되어 저장된다.
그 밖의 구성으로서, 데이터 저장부(200)는 약 200 기가바이트 정도의 하드 디스크로 구현될 수 있다.
모뎀(110)은 유선 모뎀 또는 무선 모뎀이 될 수 있고, 안테나(21)와 통신선(32)을 모두 채택하거나 하나만 채택할 수 있다.
MP3 재생부(130)는 MP3 포맷의 음향 데이터를 재생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동영상 재생부(140)는 각종 코덱을 내장하여 avi 파일과 같은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수면유도 데이터 전송부(120)는 인터넷(40)을 통해 원격수면센터 서버장치(5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이에 따라, 매번 텔레비전(20)을 껼 때마다 기본 설정에 따라 자동 업데이트를 받게 된다.
(실시예의 동작)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의 동작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전(20)의 영상표시부(22)를 통해 수면유도 영상을 표시하고, 스피커(24)를 통해 수면유도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한다(S100). 이 때의 영상은 수면유도 영상 데이터(213)를 재생한 것이고, 음향은 수면유도 음향 데이터(211)를 재생한 것이다.
그 밖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낭독부(155)를 선택하여 낭독을 청취하거나 독서기능부(157)를 선택하여 내용을 청취할 수 있고, 뇌파동조 수면유도부(159)를 선택하여 도 5와 같은 화면과 함께 뇌파 동조 음향을 청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면유도 활성단계(S100)중 20분 동안 리모콘(10)의 입력이 없는 경우 또는 텔레비전(20)에 설치된 동작센서(30)로부터 20분 동안 동작감지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S200), 수면상태라고 판단하여 텔레비전(20)의 전원을 차단한다(S210).
그 다음, 평가부(175)는 수면유지단계(S210)중 동작센서(30)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 빈도와 동작의 지속시간을 감지한다(S300). 감지된 동작의 빈도와 지속시간 데이터는 수면질 평가 데이터(223)로서 저장된다. 이와 별도로 사용자는 항목표시부(171)에 의해 [표 1]과 같이 나타나는 질의에 리모콘(10)을 이용하여 답변할 수 있고, 입력된 내용은 입력부(173)를 통해 수면질 입력 데이터(221)에 저장된다.
그 다음, 동작의 빈도와 지속시간 데이터를 모뎀수단(110)과 인터넷(40)을 통해 원격수면센터 서버장치(50)로 전송하게 된다(S400). 이 때, 원격수면센터 서버장치(50)에서는 별도의 데이터 베이스에 따른 판단 또는 미리 정해진 진단, 처방 데이터를 생성하여 텔레비전(20)으로 전송하게 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의사와 같은 의료진에 의해 판단하게 하고 그 결과를 입력받아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면질 데이터는 그래프 표시부(177)에 의해 도 6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수면센터 서버장치(50)는 일정시간마다 또는 텔레비전(20)이 켜졌을 때마다 데이터 저장부(200)내의 수면유도 영상 및 대응 음향을 갱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의 제어방법은 C-언어와 같은 고급 프로그램언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일련의 명령어로 컴파일된 후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어질 수 있고, 일예로는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자기 릴테이프, 광 디스크(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 포함), 반도체 메모리(RAM, ROM, EEPROM, USB 메모리, CF 메모리, SD 메모리 등 포함)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열거된 매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자적인 데이터를 기록하여 보존하고 판독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도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텔레비전과 같은 일반 가전제품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즉, 별도의 설치와 설치후 정리가 필요없고 거치된 텔레비전 상에도 이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네트워크를 통해 항상 최신 정보로 갱신되고, 자신의 수면 형태를 전문가로부터 평가받을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유지를 위해 신경쓰거나 노력할 필요가 없으면서도 항상 최신의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면 유도로 접어드는 과정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 등을 재생할 수 있고, 이들을 인터넷을 통해 손쉽게 갱신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데이터의 선택을 통해 맞춤형 수면유도장치가 가능해진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13)

  1. 영상표시부와 스피커를 갖고, 리모콘에 의해 동작되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부(22)를 통해 수면유도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스피커(24)를 통해 상기 수면유도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수면유도부(150);
    상기 수면유도부(15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소정시간동안 상기 리모콘의 입력이 없는 경우 수면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텔레비전의 전원을 차단하는 수면탐지부(162); 및
    상기 수면유도 영상의 데이터와 상기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수면유도부(150)에 의해 판독 가능한 데이터 저장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유도부(150)는,
    상기 영상표시부(22)의 조도를 소정 조도 이하로 조정하는 조도 조정수단;
    상기 음향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제거하는 주파수 필터수단; 및
    상기 음향을 소정 데시벨 이하로 조정하는 음향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유도부(150)는,
    문장을 낭독한 MP3 파일을 재생하는 낭독부(155); 및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독서기능부(157)를 더 포함하고,
    상기 MP3 파일과 텍스트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200)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유도부(150)는,
    상기 스피커(24)를 통해 뇌파에 동조하는 일정 주파수를 반복적으로 출력하면서, 상기 영상표시부(22)를 통해 일정한 영상을 점멸 표시하는 뇌파동조 수면유도부(15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20)에 설치된 동작센서(30); 및
    상기 수면유도부(15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동작센서(30)로부터 소정시간동안 동작감지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면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텔레비전의 전원을 차단하는 동작감지부(16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6. 제 1 항에 있어서,
    예정 기상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환경설정부(190);
    상기 예정 기상시간으로부터 소정시간 전부터 각성영상을 재생하면서 조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각성영상 재생부(182); 및
    상기 각성영상의 재생과 대응하여 각성음향을 재생하면서 출력강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각성음향 재생부(184)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성영상의 데이터와 상기 각성음향의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200)로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7.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의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뎀수단(1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200)내에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모뎀수단(110)을 통해 갱신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20)에 설치된 동작센서(30);
    상기 수면탐지부(162)에 의해 수면상태라고 판단되었을 때, 상기 동작센서(30)를 통해 동작의 빈도와 동작의 지속시간을 감지하는 평가부(175); 및
    상기 평가부(175)가 감지한 동작의 빈도와 지속시간을 상기 영상표시부(22)에 그래프로 표시하는 그래프 표시부(17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9. 제 5 항에 있어서,
    외부의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뎀수단(110); 및
    상기 수면탐지부(162) 또는 동작감지부(164)에 의해 수면상태라고 판단되었을 때, 상기 동작센서(30)를 통해 동작의 빈도와 동작의 지속시간을 감지하는 평가부(17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의 빈도와 지속시간은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200)에 저장되며,
    상기 동작의 빈도와 지속시간은 상기 모뎀수단(110)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10. 제 9 항에 있어서,
    수면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항목들을 상기 영상표시부(22)에 표시하는 항목표시부(171); 및
    상기 항목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누른 상기 리모콘(10)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173)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입력부(173)에 의해 입력된 입력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200)에 저장되며,
    상기 입력데이터는 상기 모뎀수단(110)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로 전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11. 영상표시부와 스피커를 갖고, 리모콘에 의해 동작되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부(22)를 통해 수면유도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스피커(24)를 통해 상기 수면유도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수면유도부(150);
    상기 수면유도부(15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소정시간동안 상기 리모콘의 입력이 없는 경우 수면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텔레비전의 전원을 차단하는 수면탐지부(162);
    상기 텔레비전(20)에 설치된 동작센서(30); 및
    상기 수면유도부(15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동작센서(30)로부터 소정시간동안 동작감지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면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텔레비전(20)의 전원을 차단하는 동작감지부(164);
    상기 수면탐지부(162) 또는 동작감지부(164)에 의해 수면상태라고 판단되었을 때, 상기 동작센서(30)를 통해 동작의 빈도와 동작의 지속시간을 감지하는 평가부(175);
    상기 수면유도 영상의 데이터, 상기 음향 데이터, 상기 동작의 빈도와 지속시간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00);
    외부의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뎀수단(110);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저장부(200) 내의 데이터를 수신받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200)내의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는 원격수면센터 서버장치(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CDMA 통신망, PSTN, LAN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13. 텔레비전(20)의 영상표시부(22)를 통해 수면유도 영상을 표시하고, 스피커(24)를 통해 상기 수면유도 영상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수면유도 활성단계(S100);
    상기 수면유도 활성단계(S100)중 소정시간동안 리모콘의 입력이 없는 경우 또는 상기 텔레비전(20)에 설치된 동작센서(30)로부터 소정시간동안 동작감지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S200) 수면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텔레비전(20)의 전원을 차단하는 수면유지단계(S210);
    상기 수면유지단계(S210)중 상기 동작센서(30)를 통해 동작의 빈도와 동작의 지속시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단계(S300);
    상기 동작의 빈도와 지속시간 데이터를 모뎀수단(110)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수면센터 서버장치(50)로 전송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수면센터 서버장치(50)는 일정시간마다 데이터 저장부(200)내의 수면유도 영상 및 대응 음향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KR1020070006518A 2007-01-22 2007-01-22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갖는 텔레비전 및 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KR100886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518A KR100886832B1 (ko) 2007-01-22 2007-01-22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갖는 텔레비전 및 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518A KR100886832B1 (ko) 2007-01-22 2007-01-22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갖는 텔레비전 및 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992A true KR20080068992A (ko) 2008-07-25
KR100886832B1 KR100886832B1 (ko) 2009-03-04

Family

ID=3982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518A KR100886832B1 (ko) 2007-01-22 2007-01-22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갖는 텔레비전 및 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8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237B1 (ko) * 2018-10-31 2019-03-08 유근영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KR102099084B1 (ko) 2019-04-23 2020-04-09 (주)케이아이오티 수면 유도기능을 갖는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
KR20200082487A (ko) *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이노퍼스트 Vr용 컨텐츠를 활용한 수면유도장치
KR102131557B1 (ko) 2019-04-23 2020-07-08 (주)케이아이오티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을 이용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
KR20220084467A (ko) 2020-12-14 2022-06-21 이선의 영아용 수면유도 캡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392A (ko) 2021-10-20 2023-04-27 이선의 가상현실 명상 기능을 제공하는 필로우 마운트 디스플레이 PMD(Pillow Mount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566A (ko) * 1995-03-10 1996-10-28 배순훈 자동 오프 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237B1 (ko) * 2018-10-31 2019-03-08 유근영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KR20200082487A (ko) *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이노퍼스트 Vr용 컨텐츠를 활용한 수면유도장치
KR102099084B1 (ko) 2019-04-23 2020-04-09 (주)케이아이오티 수면 유도기능을 갖는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
KR102131557B1 (ko) 2019-04-23 2020-07-08 (주)케이아이오티 초저주파 스피커 모듈을 이용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
KR20220084467A (ko) 2020-12-14 2022-06-21 이선의 영아용 수면유도 캡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832B1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7854B2 (en) Sleep system
US11420011B2 (en) Sleep assistance device
US10478590B2 (en) Sleep assistance device for multiple users
US20210225488A1 (en) Optimal Sleep Phase Selection System
KR100886832B1 (ko)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갖는 텔레비전 및 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AU20143021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and presenting tinnitus therapy data
TWI551267B (zh) 睡眠輔助系統及其作業方法
US20070057775A1 (en) Unpredictable alarm clock
KR20090084625A (ko) 개인 맞춤형 전자 가구 및 그것의 구현 방법
CN107085511B (zh) 控制方法、控制装置以及设备
CN105430568A (zh) 通过音箱降低环境干扰噪声的方法、装置以及音箱
WO2014165021A1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ll-night sleep management
CN108853679A (zh) 智能助睡设备及其方法、服务器及系统
CN117715675A (zh) 提供外部刺激以帮助睡眠
US20070269057A1 (en) Sound 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gain control
TW201617104A (zh) 助眠系統及其助眠方法
US11950874B2 (en) Communication of parent physiological data to infant
JP2005261792A (ja) 刺激提示システム
KR20050108258A (ko) 수면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M528005U (zh) 鼓掌裝置
TWI610293B (zh) 鼓掌裝置及鼓掌方法
KR19990026307A (ko) 브이시알의 수면음악/최면화면 시스템 및 이의제어방법
KR19990026308A (ko) 브이시알 등의 수면음악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9990026309A (ko) 브이시알의 수면음악 녹음/재생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