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467A - 영아용 수면유도 캡슐 - Google Patents
영아용 수면유도 캡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4467A KR20220084467A KR1020200173951A KR20200173951A KR20220084467A KR 20220084467 A KR20220084467 A KR 20220084467A KR 1020200173951 A KR1020200173951 A KR 1020200173951A KR 20200173951 A KR20200173951 A KR 20200173951A KR 20220084467 A KR20220084467 A KR 202200844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source
- sleep
- source output
- infant
- do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094—Isolation chambers used therewith, i.e. for isolating individuals from external stimuli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3—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occurring during breathing
- A61B5/1135—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occurring during breathing by monitoring thoracic expans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4—Babies, e.g. for SIDS det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6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heating or cool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40/00—Specially adapted for neonatal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아용 수면유도 캡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 레이더를 이용해 영아의 호흡, 심박수, 움직임, HRV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영아의 수면 형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수면 형태에 따라 영아의 수면 유도자극을 적절히 조절해 각 수면 단계에 맞는 최적의 수면유도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영아를 심리적으로 안정시키고 수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수면 캡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아용 수면유도 캡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6개월 미만 영아의 양질의 수면을 효과적으로 유도함으로써 아이의 수면 상태 지속 시간을 연장해 충분한 수면으로 아이가 육체적, 정신적으로 보다 건강하게 성장 발달할 수 있도록 보조하고, 또한, 아이 주변으로 충분한 수면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아이가 부모와 함께 동침하더라도, 압사, 낙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유아용 수면유도 캡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아(아기)는 신체 근육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고 뼈가 충분히 굳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생활의 대부분을 누워서 보내거나 수면을 취하게 되므로 영아가 휴식이나 수면을 취하는 공간의 확보가 중요하다. 또한, 영아는 울음을 통해 다양한 의사표현이나 신호를 전달할 수밖에 없으므로 보호자의 보호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근래에는 영아의 수면 공간을 확보하면서 영아가 편안하게 수면이나 휴식을 취하도록 하거나 영아의 울음을 달래(진정) 주는 한편, 영아를 돌볼 때 보호자의 노동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다양한 아기돌봄 용품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아기돌봄 용품들로는 바운서나 아기침대(요람)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주로 아기침대(요람)나 바운서를 한자리에서 자동으로 흔들어 주는 진동기능에 국한된 것으로, 한자리에서 전해지는 진동의 단조로움으로 인해 아기가 이를 쉽게 싫증내거나 잠들지 못하고 보챌 수 있어 보호자의 손길 없이 아기를 재우고 우는 아기를 달래는데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10달 동안 엄마의 뱃속에서 규칙적인 심장박동소리를 들으면서 생명력을 키워온 신생아들은 단조로운 진동 내지 흔들림만으로는 쉽게 잠을 들지 못하고, 심리적인 안정감마저 느낄 수 없게 되므로, 이러한 바운서나 아기침대만으로는 영아의 수면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란 사실상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36개월 미만 영아의 양질의 수면을 효과적으로 유도함으로써 아이의 수면 상태 지속 시간을 연장해 충분한 수면으로 아이가 육체적, 정신적으로 보다 건강하게 성장 발달할 수 있도록 보조하고, 또한, 아이 주변으로 충분한 수면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아이가 부모와 함께 동침하더라도, 압사, 낙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유아용 수면유도 캡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아치형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되 전면이 개방 형성되는 구면의 지지돔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지지돔을 덮은 상태에서 지지돔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지지돔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면이 개방 형성되는 커버돔;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며 음원을 출력하는 음원출력부; 상기 프레임 내부로 정화공기와 수면유도향을 동시에 공급하는 공조부; 영아의 신체로 레이더 신호를 출력하고 반사 신호를 수신하여 수면 상태를 측정하는 레이더부; 및 상기 레이더부에 의해 측정된 영아의 수면 상태를 근거로 상기 음원출력부와 공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조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단이 개방되는 챔버; 상기 챔버로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개방된 상단에 장착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흡입공 주변으로 배치되는 정화필터; 상기 챔버에 내장되는 방향제; 및 일측은 상기 챔버와 연통되어 내부로 정화공기를 공급받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향해 배치되어, 내부로 공급된 정화공기를 본체의 내부로 토출하는 배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음원출력부는, 상기 배관부재 타측의 상부로 안착되며 제1 음원출력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볼 조인트 방식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져 타단 부위에 제2 음원출력구가 형성되는 한 쌍의 음원출력암; 및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제1 음원출력구와 제2 음원출력구로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더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설치되어 영아의 흉부를 향해 레이더 신호를 출력하는 흉부레이더; 및 상기 한 쌍의 음원출력암에 내장되며 영아의 안면을 향해 레이더 신호를 출력하는 안면레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지지돔과 커버돔의 상면에는 아치 형태의 보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36개월 미만 영아의 양질의 수면을 효과적으로 유도함으로써 아이의 수면 상태 지속 시간을 연장해 충분한 수면으로 아이가 육체적, 정신적으로 보다 건강하게 성장 발달할 수 있도록 보조하고, 또한, 아이 주변으로 충분한 수면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아이가 부모와 함께 동침하더라도, 압사, 낙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캡슐의 개방상태에 따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면 캡슐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각각 수면 캡슐의 측면과 평면을 기준으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수면 캡슐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수면 캡슐의 상단 일부분의 단면구성을 기준으로 회전축이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커튼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수면 캡슐의 폐쇄상태에 따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공조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조절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음원출력부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캡슐의 개방상태에 따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면 캡슐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각각 수면 캡슐의 측면과 평면을 기준으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수면 캡슐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수면 캡슐의 상단 일부분의 단면구성을 기준으로 회전축이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커튼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수면 캡슐의 폐쇄상태에 따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공조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조절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음원출력부의 개략적인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발명의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엄밀하지 않은 방향기준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2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y), 좌우(x), 전후(z)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방향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캡슐은 크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프레임(110) 및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되 전면이 개방 형성되는 구면의 지지돔(120)을 포함하는 본체(100), 상기 지지돔(120)을 덮은 상태에서 지지돔(120)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지지돔(12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면이 개방 형성되는 커버돔(200), 상기 프레임(110) 내부에 배치되며 음원을 출력하는 음원출력부(400), 상기 프레임(110) 내부로 정화공기와 수면유도향을 동시에 공급하는 공조부(300), 영아의 신체로 레이더 신호를 출력하고 반사 신호를 수신하여 수면 상태를 측정하는 레이더부(500) 및 상기 레이더부(500)에 의해 측정된 영아의 수면 상태를 근거로 상기 음원출력부(400)와 공조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돔(200)이 지지돔(120)의 후면으로 회전되어 지지돔(120)의 개방된 전면을 완전 개방한 상태를 개방상태라 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돔(200)이 지지돔(120)의 전면으로 회전되어 지지돔(120)의 개방된 전면을 완전 폐쇄한 상태를 수면 캡슐의 폐쇄상태라 한다.
먼저, 본체(100)는 프레임(110)과 지지돔(120)이 일체로 형성되며, 수면 캡슐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한다.
본체(100)는 전면이 개방된 상태일 수 있으며, 개방된 전면을 커버돔(200) 작동하여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로는 음원출력부(400) 및 공조부(300)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으며, 수면 캡슐의 사용상태시 사용자, 예컨대, 영아가 수용될 수 있다.
본체(100), 커버돔(200), 음원출력부(400) 및 공조부(300)는 본체(100) 내부로 수용된 영아의 신체에 일절 접점을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수면 캡슐을 사용하는 영아가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구성한다.
다시, 본체(100)의 지지돔(120) 상단에는 제1 회전결합구(121)가 상, 하 방향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돔(120)의 상면에는 제1 회전결합구(121) 주변으로 아치 형태의 보강부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22)는 지지돔(120)에 강도를 부여해 지지돔(120)이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지지돔(120) 내부로 영아가 수용되는 만큼, 지지돔(120)의 강도향상에 대한 부분은 재차 강조하여도 부족함이 없다.
프레임(110)과 지지돔(120)의 일체구성에 있어 프레임(110)과 지지돔(120)의 연결지점에는 수평으로 단턱(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130)은 커버돔(200)의 하단이 지지되는 부분으로, 커버돔(200)의 회전시 커버돔(200)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커버돔(200)의 하방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 역할을 한다.
커버돔(200)의 하단을 적절하게 지지하지 않게 되면 커버돔(200) 자체의 중량에 의해 커버돔(200)이 하부로 쳐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커버돔(200)은 상단부분만 지지돔(120) 상에 결합되어 있고 하단 둘레는 자유단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자유단인 하단을 적절히 지지하지 못하게 되면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단턱(130)이 커버돔(200)을 하방에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돔(200)이 지지돔(120)의 상부에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버돔(200)은 지지돔(120)과 상보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본체(100)의 내부에 암막을 형성하기 위해 지지돔(120)의 개방된 전면을 향해 회전작동한다.
커버돔(200)의 상면에는 지지돔(120)의 제1 회전결합구(121)와 연통되는 제2 회전결합구(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회전결합구(121)와 제2 회전결합구(210)를 상호 관통하도록 회전축(220)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20)은 커버돔(200)의 회전기준이 되며 일례로, 원판의 헤드부(221)의 하방으로 복수 개의 탄성편(222)이 원형으로 배열 형성되고, 인접한 탄성편(222) 사이에는 유격공간(223)을 가지며, 원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탄성편(222) 중심에는 중공홈(224)이 형성되며, 각각의 탄성편(222) 하단에는 외측으로 걸림턱(225)이 돌출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축(220)이 결합됨에 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20)을 개방된 제2 회전결합구(210) 내부로 삽입시키게 되면, 제2 회전결합구(210) 또는 제1 회전결합구(121) 내벽면에 걸림턱(225)이 접촉되면서 탄성편(222)들이 탄성변형되며 중공홈(224)으로 오므라들었다가 회전축(220)이 완전 삽입됨에 따라 걸림턱(225)이 제1 회전결합구(121)의 개방된 하단으로 노출되면, 탄성편(222)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복원되면서 걸림턱(225)이 제1 회전결합구(121)의 개방된 하단 주변에 걸림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이와 동시에, 중공홈(224)의 하단으로 잠금키(226)가 끼움 결합되면 탄성편(222)들이 중공홈(224)을 향해 오므라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회전축(220)의 분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회전축(220)과 잠금키(226)의 조합에 의해 커버돔(200)을 지지돔(12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선에서 커버돔(200)과 지지돔(120)의 강한 결속을 보장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커버돔(200)의 상면 제2 회전결합구(210) 주변에는 전술한 지지돔(120)의 보강부재(122)와 동일한 보강부재(2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돔(200)의 개방된 전면 하방에는 손잡이(230)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230)를 잡고 커버돔(200)을 회전조작할 수 있다.
커버돔(200)의 하단 둘레에는 커튼부재(26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걸침턱(2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턱(225)에 커튼부재(260)가 고정되어 수면 캡슐의 폐쇄상태시 커버돔(200) 하부로 개방된 프레임(110)의 개방부위를 완전히 차단시켜 본체(100) 내부를 완전한 암막 상태로 구성할 수 있다.
커튼부재(260)는 암막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공조부(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단이 개방되는 챔버(310), 상기 챔버(310)로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팬(320), 복수의 흡입공(331)이 형성되며 상기 챔버(310)의 개방된 상단에 장착되는 상부커버(330), 상기 상부커버(330)의 흡입공(331) 주변으로 배치되는 정화필터(340), 상기 챔버(310)에 내장되는 방향제(350) 및 일측은 상기 챔버(310)와 연통되어 내부로 정화공기를 공급받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를 향해 배치되어, 내부로 공급된 정화공기를 본체(100)의 내부로 토출하는 배관부재(36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챔버(310)는 본체(100)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챔버(310) 내부에서 구동되는 흡입팬(320)의 팬소음이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영아의 머리를 향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챔버(310)는 하부로 갈수록 내공간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흡입된 외기의 유속을 상승시키는 구조를 갖춘다. 이에, 챔버(310) 내부로 흡입된 외기는 유속이 상승된 채 배관부재(360)를 타고 배관부재(360)의 타단까지 전달되어 본체(100)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흡입팬(320)은 팬소음이 35dB 이하를 만족하는 선에서 마련되며, 제어부(600)의 제어 하에 작동 유무가 제어된다거나, 회전출력이 제어될 수 있다.
흡입팬(320)은 외기를 상기 챔버(310)로 흡입하고, 흡입된 외기는 배관부재(360)를 거쳐 본체(100) 내부로 토출된다.
예컨대, 흡입팬(320)은 저소음 팬이 본체(100) 밖의 외기를 본체(100) 내부로 순환시키고 저소음을 만족하는 BLDC 팬을 선정하고 자연풍과 같은 선선한 바람을 재현하여 은은한 내부 공기 순환을 만족해야 한다.
상부커버(330)는 개방된 챔버(310)의 상단을 폐쇄하되, 흡입공(331)을 통해 외기를 통과시킨다.
정화필터(340)와 방향제(350)는 교체사용이 가능한 선에서 챔버(310) 또는 상부커버(3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정화필터(340)는 공지의 부직포 필터, 헤파 필터, 카본 필터 등으로 이루어지며, 방향제(350)는 영아의 심리적 안정을 유도할 수 있는 선에서, 아로마, 피톤치드, 허브 등의 향을 가지는 방향제(350)가 이용될 수 있다.
챔버(310) 내부로 흡입된 외기는 정화필터(340)에 의해 정화되고, 이어서 방향제(350)를 통과해 방향제(350)의 향기와 혼합된 뒤 본체(100)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아래 설명에서 정화공기는 방향제(350)의 향기가 포함된 상태를 의미한다.
배관부재(360)는 내부로 정화공기가 이동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며 본체(100) 외부에 배치된 챔버(310)에서부터 본체(100) 내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부재(360)의 일측 상면에는 챔버(310)가 접속되는 접속구(36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 전면에는 정화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36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구(362)에는 정화공기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부재(36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363)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토출슬릿(363a)이 관통되고, 토출슬릿(363a)의 하단에는 조작돌기(363b)가 돌출되며 토출슬릿(363a)과 마주보는 후면은 개방 형성되고 좌, 우측면에는 조절부재(363)의 회전기준이 되며 토출구(362) 좌, 우측에 형성된 회전대(362a)에 축결합되는 축부재(363c)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362) 주변으로 이동된 정화공기는 조절부재(363)의 개방된 후면을 통과해 토출슬릿(363a)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돌기(363b)를 손으로 들어올리거나 아래로 내리는 조작을 통해 조절부재(363)를 회전시켜 토출슬릿(363a)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조절부재(363)를 상부로 회전시킬 경우 토출슬릿(363a) 상부가 배관부재(360)의 내부로 수용되면서 토출슬릿(363a)의 개도량이 줄어들 수 있다. 이에, 조절부재(363)의 회전조작만으로 정화공기의 토출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음원출력부(400)는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영아를 향해 비접촉 방식으로 입체 음향을 제공한다.
통상, 수면유도를 위해, 귀에 이어폰, 헤드셋 등을 장착하는 경우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영아와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 간접적으로 음원을 제공하여 이물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음원출력부(4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부재(360) 타측의 상부로 안착되며 제1 음원출력구(411)가 형성되는 케이스(410), 일단은 상기 케이스(410)의 양 측면에 볼 조인트 방식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져 타단 부위에 제2 음원출력구(421)가 형성되는 한 쌍의 음원출력암(420) 및 상기 케이스(410)에 내장되며 상기 제1 음원출력구(411)와 제2 음원출력구(421)로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영아가 본체(100)에 수용되면 영아 신체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제2 음원출력구(421)가 위치하게 되고, 정수리부근에 제1 음원출력구(411)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음원출력구(411)와 제2 음원출력구(421)에서 동시에 출력되는 음원을 통해 입체 음향 효과를 볼 수 있다.
제1 음원출력구(411)와 제2 음원출력구(421)는 스피커로 이해될 수 있으며, 스피커모듈은 음원신호를 출력하는 음원발생부. 상기 음원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음원출력구(411)와 제2 음원출력구(421)에서는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전기적 음원신호를 청취 가능한 음파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음원출력구(411)와 제2 음원출력구(421)는 각각 스피커모듈과 신호라인을 통해 연결구성될 수 있다.
스피커모듈을 통한 음원 종류, 음량 등은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영아마다 신체 사이즈가 각기 다르고, 선호하는 음향의 세기도 각기 다르기 때문에, 한 쌍의 음원출력암(420)을 케이스(410) 상에 볼 조인트 방식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마련하여 음원출력암(420)의 회전을 통해 상황에 맞게 신체에서 제2 음원출력구(421)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음원출력암(420)의 일단에는 볼 조인트(4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410)의 좌, 우 양 측면에는 상기 음원출력암(420)의 볼 조인트(422)와 상보적인 조인트결합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볼 조인트(422)와 조인트결합부(412)의 결합구조는 피벗, 틸트, 스위벨 등의 회전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케이스(410)의 상면에는 LED 무드등(4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빛에 의한 알람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LED 무드등(430)은 제어부(600)의 제어 하에 점등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레이더부(500)는 레이더 신호(radar signal)를 이용하여 영아의 호흡, 심박수, 움직임, HRV 등을 측정해 영아의 현재 수면 상태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레이더부(500)는 영아의 흉부 또는 안면에 레이더 신호를 주사하고, 흉부 또는 안면에서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 신호의 주기 내지는 주파수는 흉부 또는 안면이 호흡에 의해 움직임이 생길 때마다 변하게 된다. 이러한 주파수의 변화 추이에 의해 수면 형태를 파악 내지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레이더 신호는 본체(100)의 내공간에서 반사되거나 굴절될 수 있게 되므로 측정 정확도가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레이더부(500)에 의해 측정된 수면 데이터는 제어부(600)로 송신되며, 제어부(600)는 이를 근거로 공조부(300)의 흡입팬(320)과 음원출력부(400)의 스피커모듈을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레이더부(500)에 의해 영아의 수면 형태가 REM 수면이라 측정될 경우 제어부(600)는 스피커모듈에서 제공되는 음원의 음량을 그대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흡입팬(320)의 출력을 증가시켜 정화공기를 본체(100) 내부에 포화시키도록 흡입팬(320)과 스피커모듈을 각각 제어하게 된다.
흡입팬(320)의 출력을 증가시킬 경우엔 영아의 두부 온도를 직접적으로 낮춰줄 수 있기 때문에 수면 초기에 신체에 열이 오르는 것을 억제하여 NREM 수면이 효과적으로 유도된다.
레이더부(500)에 의해 영아의 수면 형태가 NREM 수면이라 측정될 경우 제어부(600)는 스피커모듈에서 제공되는 음원의 음량과 흡입팬(320)의 출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켜 본체(100) 내부를 정숙하게 구성하여 영아의 깊은 수면을 유도하게 된다.
레이더부(500)는 상기 케이스(410)에 내장되어 영아의 흉부를 향해 레이더 신호를 출력하는 흉부레이더(510) 및 상기 한 쌍의 음원출력암(420)에 내장되며 영아의 안면을 향해 레이더 신호를 출력하는 안면레이더(52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레이더부(500)는 영아의 흉부와 안면에서 각각 측정된 수면 데이터를 취합하여 보다 정확한 수면 형태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레이더부(500)의 구체적인 구조와 작동 원리는 호흡, 심박수, 움직임, HRV 등을 모니터링하여 수면 형태를 측정하는 공지의 레이더들로부터 참조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본체
200: 커버돔
300: 공조부
400: 음원출력부
500: 레이더부
600: 제어부
110: 프레임
120: 지지돔
310: 챔버
320: 흡입팬
330: 상부커버
340: 정화필터
350: 방향제
360: 배관부재
510: 흉부레이더
520: 안면레이더
200: 커버돔
300: 공조부
400: 음원출력부
500: 레이더부
600: 제어부
110: 프레임
120: 지지돔
310: 챔버
320: 흡입팬
330: 상부커버
340: 정화필터
350: 방향제
360: 배관부재
510: 흉부레이더
520: 안면레이더
Claims (5)
- 아치형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되 전면이 개방 형성되는 구면의 지지돔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지지돔을 덮은 상태에서 지지돔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지지돔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면이 개방 형성되는 커버돔;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며 음원을 출력하는 음원출력부;
상기 프레임 내부로 정화공기와 수면유도향을 동시에 공급하는 공조부;
영아의 신체로 레이더 신호를 출력하고 반사 신호를 수신하여 수면 상태를 측정하는 레이더부; 및
상기 레이더부에 의해 측정된 영아의 수면 상태를 근거로 상기 음원출력부와 공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용 수면유도 캡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조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단이 개방되는 챔버;
상기 챔버로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개방된 상단에 장착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흡입공 주변으로 배치되는 정화필터;
상기 챔버에 내장되는 방향제; 및
일측은 상기 챔버와 연통되어 내부로 정화공기를 공급받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향해 배치되어, 내부로 공급된 정화공기를 본체의 내부로 토출하는 배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용 수면유도 캡슐.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원출력부는,
상기 배관부재 타측의 상부로 안착되며 제1 음원출력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에 볼 조인트 방식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져 타단 부위에 제2 음원출력구가 형성되는 한 쌍의 음원출력암; 및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제1 음원출력구와 제2 음원출력구로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용 수면유도 캡슐.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부는,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영아의 흉부를 향해 레이더 신호를 출력하는 흉부레이더; 및
상기 한 쌍의 음원출력암에 내장되며 영아의 안면을 향해 레이더 신호를 출력하는 안면레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용 수면유도 캡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돔과 커버돔의 상면에는 아치 형태의 보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용 수면유도 캡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3951A KR102503977B1 (ko) | 2020-12-14 | 2020-12-14 | 영아용 수면유도 캡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3951A KR102503977B1 (ko) | 2020-12-14 | 2020-12-14 | 영아용 수면유도 캡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4467A true KR20220084467A (ko) | 2022-06-21 |
KR102503977B1 KR102503977B1 (ko) | 2023-02-24 |
Family
ID=8222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3951A KR102503977B1 (ko) | 2020-12-14 | 2020-12-14 | 영아용 수면유도 캡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3977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1371B1 (ko) * | 2005-10-07 | 2008-01-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숙면 및 기상 유도 장치 및 방법 |
KR20080068992A (ko) | 2007-01-22 | 2008-07-25 | 심규만 |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갖는 텔레비전 및 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
KR101376022B1 (ko) * | 2012-08-24 | 2014-03-21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영유아용 스마트 침대장치 |
KR101689235B1 (ko) * | 2015-04-07 | 2016-12-23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캡슐형 힐링 장치 |
KR20170003051U (ko) | 2016-02-22 | 2017-08-30 | 김혜경 | 숙면 유도 스피커를 포함하는 충전부재 교체식 베개 |
KR20200093127A (ko) * | 2019-01-27 | 2020-08-05 | 이선의 | 수면유도장치 |
KR20220040920A (ko) * | 2020-09-24 | 2022-03-31 | 이선의 | 수면유도형 수면 캡슐 |
-
2020
- 2020-12-14 KR KR1020200173951A patent/KR1025039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1371B1 (ko) * | 2005-10-07 | 2008-01-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숙면 및 기상 유도 장치 및 방법 |
KR20080068992A (ko) | 2007-01-22 | 2008-07-25 | 심규만 |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갖는 텔레비전 및 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
KR101376022B1 (ko) * | 2012-08-24 | 2014-03-21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영유아용 스마트 침대장치 |
KR101689235B1 (ko) * | 2015-04-07 | 2016-12-23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캡슐형 힐링 장치 |
KR20170003051U (ko) | 2016-02-22 | 2017-08-30 | 김혜경 | 숙면 유도 스피커를 포함하는 충전부재 교체식 베개 |
KR20200093127A (ko) * | 2019-01-27 | 2020-08-05 | 이선의 | 수면유도장치 |
KR20220040920A (ko) * | 2020-09-24 | 2022-03-31 | 이선의 | 수면유도형 수면 캡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3977B1 (ko) | 2023-0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23515B2 (en) | Infant calming/sleep-aid, SIDS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 |
AU2020205257B2 (en) | Infant calming/sleep-aid device | |
KR102252650B1 (ko) | 유아 진정/수면 보조 장치 | |
US10463168B2 (en) | Infant calming/sleep-aid and SIDS prevention device with drive system | |
US20170245555A1 (en) | Sleep sack for infant calming/sleep aid | |
US11497884B2 (en) | Sleep aid system including smart power hub | |
CN113597279A (zh) | 防止婴儿窒息发作的设备 | |
KR20220022217A (ko) | 수면유도장치 | |
KR102503977B1 (ko) | 영아용 수면유도 캡슐 | |
KR102435009B1 (ko) | 수면유도형 수면 캡슐 | |
KR20030008735A (ko) | 유아를 잠재우는 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