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237B1 -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237B1
KR101956237B1 KR1020180132277A KR20180132277A KR101956237B1 KR 101956237 B1 KR101956237 B1 KR 101956237B1 KR 1020180132277 A KR1020180132277 A KR 1020180132277A KR 20180132277 A KR20180132277 A KR 20180132277A KR 101956237 B1 KR101956237 B1 KR 101956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leep
visual
sleep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근영
Original Assignee
유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근영 filed Critical 유근영
Priority to KR1020180132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237B1/ko
Priority to PCT/KR2019/013793 priority patent/WO2020091282A1/ko
Priority to US16/658,940 priority patent/US10796598B2/en
Priority to US17/004,800 priority patent/US2020039493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53Range remote, e.g. between patient's home and doctor's off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92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telemetric means, e.g. radio or optical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5Touch-screens; Virtual keyboard or keypads; Virtual buttons; Soft keys; Mouse tou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2Mounting brackets, arm supports for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esthe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 잠자는 기능과 별개의 독립된, 그리고, 잠이 오지 않는 현상 아래에서도 이를 극복하고 빨리 잠을 잘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기능적 학습/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매일 밤 시각작용을 적극적으로 일으켜 새로운 잠자는 조건을 갖추면 잠이 오지 않는 현상이 해결되어 빨리 잠을 잘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본 발명의 이용 없이도, 형성된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이용해, 마치 일반적 상황에서 일반적 잠자는 기능으로 잠을 자는 것 같이, 쉽게 잠이 오지 않는 현상을 해결하고 잠을 자게 된다.

Description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forming new sleeping function against the phenomenon of being unable to sleep}
본 발명은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밤에 잠이 오지 않는 현상의 두뇌기능적 원인 현상을 규명하고 이를 극복하여 잠을 잘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기능적 훈련 또는 기능적 학습을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밤새도록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괴로운 일이다. 그리고 밤에 잠을 자지 못하면 낮에 하는 사회활동에 지장을 받기 마련이고, 전체적으로 삶의 질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려고 종래에는 주로 수면제를 사용해 왔다. 그러나 수면제를 사용하다 보면 어느 순간부터는 내성이 생겨 수면제를 먹어도 잠이 오지 않게 되며, 또한, 수면제(화학물질)를 먹게 됨에 따른 부작용도 수반된다. 수면제가 잠이 오지 않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한편, 인식작용과 관련해서 살펴보면, 노래나 음악 또는 음향을 들려주어 잠을 유도하는 주지관용 기술이 있었다. 이것은 청각작용을 발생시켜 잠이 오지 않는 현상을 해결하려는 시도이다.
한국실용신안출원 제20-2000-0007191호(2000. 3. 14)는 베게 속에 한약재를 넣어 냄새를 발생시켜서 곧 후각작용을 발생시켜 잠이 오지 않는 현상을 해결하려는 시도이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 제20-2001-0005507호(2001. 3. 2)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안대에서 빛을 주사하여 눈을 피곤하게 하여 잠들게 하는 것이 있었다. 이는 시각작용 중 빛의 존재에 관한 시각작용만을 발생시켜 잠이 오지 않는 현상을 해결하려는 시도이다.
밤에 잠이 오지 않는 원인 및 현상은 매우 다양하며 광범위하다. 위 종래기술들은 모든 잠이 오지 않는 원인 및 현상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것과 같이 모든 잠이 오지 않는 원인 및 현상을 다루지 않으며, 그 중 일부분을 다루는 것이다. 위 종래기술들 역시 본 발명이 다루는 부분만을 다룬다고 가정하여 살펴봐도, 위와 같이 청각작용, 후각작용, 그리고 시각작용 중 빛의 존재에 관한 시각작용만을 일으켜서 잠이 오지 않는 현상을 해결하려는 시도는 두뇌기능적 관점에서는 나름대로 의미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들이 위 현상을 해결했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위 현상의 원인을 두뇌기능적 관점에서 조금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 원인을 두뇌기능적으로 그리고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국실용신안출원 제20-2000-0007191호(2000. 3. 14) 한국실용신안출원 제20-2001-0005507호(2001. 3. 2)
사람이 살아가는 과정에서, 어떤 아는 사람의 사망, 이혼(또는, 배우자의 바람피움), 법원 소송에서의 패소, 돈 문제, 실직 등과 같은 일이 발생하게 된 것을 원인으로, 또한, 잠자리의 변경 등과 같은 환경의 변화, 3교대 또는 2교대 등과 같은 직업적 성격, 또는, 긴장감을 느끼는 업무의 성격, 등과 같은 것을 원인으로 관련된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계속 일어나게 된다. 이 같은 ‘생각의 흐름’이 밤에 자려고 할 때도 계속적으로 일어나면 잠을 자지 못하게 된다.

위의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는 원인은 다양하고 각 사람마다 다를 것이지만, 결국, "생각이 계속 일어나는 것을 정지시키거나 끊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두뇌 전체가 작동하는 상태가 되어 각성상태가 되므로 일반적 잠자는 기능으로는 잠을 잘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잠이 오지 않는 현상”이란 바로 이 현상을 말하며, 일반적으로는 “불면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 현상만을 다룬다.

따라서, 밤에 잠을 자려고 할 때, 생각(사고작용)이 계속 일어나는 것을 정지시키거나 끊어주어야 한다는 "해결하여야 할 과제"가 생겨난다.

또한 근심 및 걱정이든가 불안감 또는 두려움(또는 공포)과 같은 감정 자체가 계속적으로 발동되는 현상 아래에서도 밤에 잠을 자지 못하든가 잠을 자다가 깨어나서는 다시 잠을 못자는 경우도 있는 바, 이와 같은 감정 자체가 계속적으로 발동되는 현상도 생각이 계속적으로 일어나는 것과 같은 성격의 것으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감정 자체가 발동되는 것도 생각이 계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에 포함하여 논의한다.

더 나아가서 살펴보면, 인식작용은 신호와 경험의 통합작용이다. 즉, 시각작용인 경우, 시각 신호가 두뇌 속으로 들어오면 해당 시각 경험이 발동되며 이 신호와 경험이 통합되는 것이 시각작용이다. 그래서 잠을 자려고 할 때는 누구나 눈을 감고 잠을 청하게 된다. 시각 신호의 유입을 막고 시각 경험의 발동을 막아 두뇌 속에 아무런 작용이 일어나지 않게 하여 잠을 청하고 잠을 자게 된다. 이것이 "일반적인 잠자는 기능 또는 기능적 능력"이다.

그런데 잠이 오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눈을 감았는데도 사고작용이 계속 일어나는 것은 두뇌기능적 측면에서는 경험발동이 일어난다는 의미로 경험발동 기능이 오기능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위 해결하여야 할 과제란, 다른 표현으로는, "경험발동 기능의 오기능"을 말한다. 이와 같은 오기능 자체도 발달을 하여 점점 시간의 경과와 함께 경험발동의 흐름이 점점 강해지게 된다.
인간의 두뇌에서, "생각(사고작용)을 하는 지역"과 "시각작용을 최종적으로 일으키는 지역"은 동일한 지역이라는 것이 발명자에 의하여 규명되었다. 이 의미는 사고작용과 시각작용은 동시에 할 수 없고, 한 가지를 선택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은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각작용을 일으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여 시각작용을 발생시켜 사고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막아주고 위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먼저, 생각(사고작용)은 무엇인지 두뇌기능적 측면에서 살펴본다:

전두엽 상부에는 시각스크린(지역)이 있다. 시각스크린이란 발명자의 용어이며, 종래의 두뇌기능분야의 용어로는 “Brodmann area 9"을 말한다(인터넷상에서 이를 검색하면 관련 그림을 볼 수 있다).

사고작용이란 언어작용을 이용해 이야기를 시각스크린(지역)에 짓는 것으로 이것은 마치 시각스크린에 그림을 그리는 것과 같다. ‘언어작용을 이용한다’는 의미는 음성경험을 발동시켜 마치 말하는 것 같은 상태를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위 해결하여야 할 과제에서 언급한 경험발동의 오기능이란 음성경험 발동의 오기능을 말한다.

또한, 시각스크린은 시각적인 여러 신호처리과정과 여러 경험발동과정을 거쳐 최종적 통합이 일어나 시각적 상(像; shape)이 최종적으로 나타나는 지역이다. 여기에 나타난 시각적 상을 보고 인식의 주체가 시각적 이해 및 판단을 하게 된다.

즉, 시각시크린은 사고작용이 일어나는 곳이며, 역시, 시각적 상이 최종적으로 나타나는 곳이기도 하다. 시각작용과 사고작용은 1층과 2층의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는 바, 이는 두 기능이 서로 대부분의 기능을 공통적으로 이용한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시각스크린에서 사고작용과 시각작용을 동시에 할 수는 없다.

따라서 시각스크린에 사고(생각)의 그림이 그려지고 있을 때, 시각작용에 따른 시각적 상을 시각스크린에 나타나게 하고 이를 잠시라도 유지하면, 사고작용이 정지되며 동시에 음성경험발동이 정지되며 곧바로 잠에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사고작용이 정지되는 것과 잠이 드는 것은 하나의 현상이다: 사고작용이 정지되는 것이 곧 잠이 드는 현상이고, 잠이 드는 현상이 곧 사고작용이 정지되는 현상이다. 이 상황에서 곧바로 잠에 떨어지는 것은 자연의 법칙에 의하여 잠에 떨어지는 것이다.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발명자가 규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은 위 같은 현상을 유도하기 위하여 시각작용을 일으키고 그 시각작용을 유지시키는 수단 및 그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복수 개의 시각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초기화면, 사용설명서, 시작버튼 및 도구바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화면은, 사용설명서 버튼(1), 본 장치가 작동을 시작하다가 자동으로 끝나는 시간을 결정하는 선택창(2), 그리고 START 버튼(3)으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설명서는, 상기 초기화면과 연결된 이전화면가기 버튼(4), 홈가기 버튼(5), 다음화면가기 버튼(6), 6 챕터로 나뉘어 있는 사용설명서를 나타내는 각 챕터로 가는 문자버튼(7) 그리고 사용설명서가 나타나는 지역(8점선 아래)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화면과 연결된 시각이미지 선택버튼(10, 11)을 포함한 시각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음성출력부는, 상기 초기화면과 연결된 "눈을 뜨십시오(Open the Eyes)"(9)라는 한 문장의 음성을 START 버튼(3)을 누른 순간부터 매 20초 마다 장치의 동작이 끝날 때까지 반복 재생하며, 상기 도구바는, 홈가기 버튼(12), 음성 끄고-킴 버튼(13), 음량조정기(17)를 포함한 음량 버튼(14), 조명조정기(18)를 포함한 조명도 버튼(15), 그리고, 화면자동변환 버튼(16)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START 버튼(3)을 누르면 첫 화면으로 '중앙점이 있는 원 도형'을 포함하는 시각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어부는, START 버튼(3)을 누른 후 매 5분마다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의 눈알의 각도를 보여주는 이미지가 15초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게 해 주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 기능을 포함하는 이유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의하면, 일반적 잠자는 기능과 별개의 독립된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창조 및 성장시켜 형성함으로써, 잠이 오지 않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매일 밤,) 시각작용을 일으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면, 시각작용이 일어나게 되고, 시각작용이 일어나면 사고작용이 정지되고 위의 과제가 해결되어 잠들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것은 일반적인 잠자는 기능과 다른 “새로운 잠자는 기능에 의한 조건”을 갖춰 잠을 자는 것을 말한다.

더 나아가서, 위의 새로운 잠자는 조건을 갖추는 것을 매일 하게 되면 그 자체가 기능적 훈련 또는 기능적 학습이 되어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창조하고 성장시켜 완성하여(형성하여) 보유하게 된다. 즉, 실질적으로, 사용자는 두 가지 잠자는 기능을 갖추게 된다: 하나는, 일반적인 것으로, 눈을 감고 잠을 청하여 잠을 자는 기능적 능력이고, 다른 하나는, 눈을 뜨고 시각적 이미지(대상)를 보고 시각작용을 일으켜서 사고작용을 정지시키고 잠을 자는 기능적 능력이다. 전자는 신호유입을 막고 경험발동을 막아서 두뇌에 아무런 작용이 일어나지 않게 한 후에 잠에 들어서는 것을 말하고, 후자는 시각작용을 적극적으로 일으켜서 사고작용을 정지시키고 잠에 들어서는 것을 말한다.

후자의 경우, 경험의 발동에 있어서 오기능이 일어나는 것을 고치는 것은 아니고, 경험의 발동에 있어서 오기능이 일어나는 상황 아래에서, 사고작용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사고작용을 회피하고 잠을 자는 새로운 기능적 능력이다. 잠이 오지 않는 현상 아래에서, 매일 밤 잠이 오지 않는 현상을 회피하고 잠을 자는 것은 물론, 위 같은 "새로운(둘째; 두 번째)" 기능적 능력을 형성하여 보유하는 것이 본 발명의 궁극적 목적이며 효과이다.

즉, 위에서 언급된 “생각이 계속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 발생하면, 일반적 잠자는 기능(적 능력)으로는 잠을 잘 수 없는 것을 말하므로, 일반적 잠자는 기능(적 능력)과 별개의 새로운 잠자는 기능(적 능력)을 창조 및 성장시켜 형성하는 것이 본 발명의 궁극적 목적이며 효과이다.

이 궁극적 효과를 얻게 되면,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고도, 잠을 자려고 할 때 사고작용이 계속 일어난다고 해도, 형성된 새로운 잠자는 기능으로 침실 내의 시각적 대상을 이용해 시각작용을 일으켜서 사고작용을 정지시키고 2분 내지 3분이면 잠을 잘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일반적 상황에서 일반적 잠자는 기능으로 잠을 자는 것과 거의 동등한 상태의 잠자기가 된다. 물론 처음부터 끝까지 아무런 부작용도 없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는 스마트폰에 실시된 발명의 첫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b의 사용설명서(1)를 눌렀을 때 나타나는 사용설명서에 관련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음량조절기가 팝업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조명조절기가 팝업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구성요소의 하나인 시각이미지가 여러 장 준비되어 있는 형상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a는 스마트폰을 붙잡고 있는 홀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b는 태블릿피씨를 붙잡고 있는 홀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일반적인 시각작용을 할 때의 행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앞으로 사용자가 해야 할 시각작용을 위한 눈알의 각도 및 행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침대에 누웠을 때, 눈알만을 약간 위로 돌렸을 때의 범위(기호 O)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시각이미지가 도 10의 기호 O 범위 내에 둔 상태의 눈알의 각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옆으로 누웠을 때의 바른 눈알의 각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a는 홀더가 없는 경우 스마트폰의 이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b는 홀더가 없는 경우 태블릿피씨의 이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주된 의도는 사용자에게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한 효과적으로 시작작용을 발생시키고 또한 그 효과적인 시각작용을 유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 점을 이해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하, 스마트폰에 실시된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는 시각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110),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30),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50),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설명서, 시작버튼, 도구바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b는 스마트폰에 실시된 발명의 첫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b의 사용설명서(1)를 눌렀을 때 나타나는 사용설명서에 관련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음량조절기가 팝업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조명조절기가 팝업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구성요소의 하나인 시각이미지가 여러 장 준비되어 있는 형상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b는 스마트폰에 실시된 장치의 첫 화면이다. 사용설명서(1)을 누르면 도 2와 같이 전자책으로 된 본 발명의 사용설명서가 나타난다. 사용설명서의 내용은 본 명세서와 거의 유사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처음 본 발명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반드시 사용설명서를 읽어야 한다는 안내를 받게 된다.

도 2의 4는 이전화면가기 버튼, 5는 홈가기 버튼, 6은 다음화면가기 버튼이다. 도 2의 7은 사용설명서가 6챕터로 나뉘어 있는 것을 나타내며 각 챕터로 가는 문자버튼이다. 도 2의 8(점선) 아래는 사용설명서가 나타나는 지역을 보여준다. 이 사용설명서는 도 2와 같이 본 장치 내에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홈페이지 같은 곳에 전자책으로 있을 수도 있고, 종이에 인쇄되어 배포될 수도 있다. 이 같은 경우, 본 장치 내에는 사용설명서 없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사용설명서의 구성이란 본 발명이 사용되기 전에 그 사용설명서가 읽혀지게끔 준비된 것을 말한다.

도 1b의 2는 본 장치가 작동을 시작하다가 자동으로 끝나는 시간을 결정하는 선택창이다. 5분, 15분, 25분의 세 가지가 있다. 따라서 15분을 선택하여 START 버튼(3)을 누르면, 장치가 15분 작동하다가 자동으로 끝나게 된다. 사용자가 만약에 15분을 선택한 후 작동이 자동으로 중지됐는데도, 아직 잠이 들지 않았다면, 도 1b(홈)로 돌아와 다시 작동시간을 결정하고 START 버튼(3)을 누르면 된다. 위 세 가지 시간은 사용자가 '얼마의 시간 내에 잠을 자겠다'는 가정의 목표시간이 된다. 예를 들면, 15분을 선택했다면, 15분 내에 잠을 자겠다는 뜻이 될 수 있다.

도 1b의 3은 START 버튼으로, 이를 누르면 장치가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이 실제적으로 동작하는 한 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를 몇 측면에서 살펴본다.

도 3은 디스플레이부에 '중앙점이 있는 원 도형'이 나타나 있는 것을 보여준다. 먼저, 시각작용을 발생시키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전제로써 시각대상이 있어야 한다. 도 6은 시각대상으로 시각이미지가 저장된 것을 보여주는 바, 본 발명에서 시각대상으로의 시각이미지는 도형, 무늬, 사진 등 2차원적인(2D) 이미지 및 3차원적인(3D) 이미지(예를 들면, 입체사진)를 말한다. 다만, '중앙점이 있는 원' 도형을 제외한 다른 시각이미지는 특별히 특정된 것은 없다. 보통, 사용자는 저장된 시각이미지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하룻밤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시각이미지는 한 장짜리 사진과 같은 정지된 상태의 것 또는 "정지화면(still cut)"을 말한다.

전체 시각 이미지는 4 ~ 6장 정도이면 충분하나 10장 정도로 구성한다. 여기서, 4 ~ 6장이면 충분하므로 그 이상 즉, 8장이든 10장이든 20장으로 하든 그 시각이미지의 매 수에 따라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이 명세서에서 시각이미지를 구성한다 함은 중앙점이 있는 원 도형을 포함해 여러 장(10장)의 시각이미지를 저장하여 도 3의 이전화면가기 버튼(10)과 다음화면가기 버튼(11)으로 화면변환(화면선택)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말한다.

사용자가 도 1b의 START 버튼(3)을 누르면 디스플래이부에는 첫 화면으로 무조건적으로 '중앙점이 있는 원도형'이 나타나며, 그 이후부터는 두 버튼(10과 11)으로 화면을 선택하게 된다. 그런데, 위 시각이미지들은 반드시 도 3과 같이 밑변이 더 긴 눕힌 상태로만 고정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3에서 도 1b와 같이 스마트폰이 90도로 변환되어도 시각이미지는 고정되어 같이 변환되지 않게 구성한다.

그리고, 도 3은 START 버튼(3)을 누르면, 동작이 시작되면서 "눈을 뜨십시오(Open the Eyes)"(9)라는 음성이 재생되는 것도 묘사하고 있다. 음성출력부에서 "눈을 뜨십시오(Open the Eyes)"(9)라는 한 문장의 음성을 START 버튼을 누른 순간부터 매 20초마다 장치의 동작이 끝날 때까지 반복 재생되게 구성한다. 시각작용을 하려면 눈을 떠야하는 데, 실제 사용에서는 사용자의 눈이 거의 저절로 감기는 상황이 전개되므로, 눈을 뜨라고 계속 반복적으로 알리는 것이다. 이 점에 대하여는 더 후술한다. 여기서 "매 20초"란 그 정도의 시간을 두고 잦게 반복 재생시킨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15초 ~ 25초 정도의 간격을 두면, 즉, 매 15초이든, 매 18초이든, 매 22초이든, 매 25초이든 마찬가지가 된다. 프로그램할 때는 어쩔 수 없이 시간을 선택하여야 하는 바, "매 20초"가 가장 바람직하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도 3에는 도구바(tool bar) 역시 나타나고 있다. 도구바(12, 13, 14, 15, 그리고 16)는 손가락으로 올리면 화면에 나타나고 손가락으로 내리면 화면 밖으로 숨겨지게 구성한다. 도 3은 도구바가 화면에 나타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의 12는 홈가기 버튼, 13은 음성의 끄고-킴 버튼이고, 14는 음량 버튼이다. 음량 버튼(14)을 누르면, 도 4와 같이 음량조절기(17)가 팝업되어 나타난다. 음량조절 후, 이 팝업창(17)을 없애려면 음량 버튼(14)를 다시 누르면 된다. 도 3의 15는 조명도 버튼이다. 이를 누르면 도 5와 같이 조명조절기(18)가 팝업되어 나타난다. 조명도 조절 후, 이 팝업창(18)을 없애려면 조명도 버튼(15)를 다시 누르면 된다. 밝은 곳에서 이 시각이미지들을 보는 것이 아니라 어두운 곳에서 이 시각이미지들을 보게 되므로 조명도 조절이 중요하다. 도 3의 16은 화면자동변환 버튼이다. 이 버튼을 누르면 준비된 10장의 시각이미지가 약10초 간격을 두고 자동으로 계속 변환되게 구성한다.

위는 스마트폰에 구현되는 수단(장치)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 같은 방식으로 태블릿피씨에 구현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피씨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므로, 별개의 독립된 장치에 오직 위 같은 구성만을 재생 또는 재현시킬 수 있게 만들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본 장치의 사용방법과 토론

사용자는 무엇을 하는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 사고작용을 하는 것과 눈을 뜬 상태에서 시각작용을 하는 것의 두 가지 기능이 서로 줄다리기 또는 싸움이 벌어지게 된다.

밤에 잠을 자려고 할 때 장치의 한 이미지를 보게 되면, 금세 눈이 감기고 생각이 일어나게 된다. 다시 눈을 떠서 이미지를 보면, 금세 또다시 눈이 감기고 생각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면 다시 눈을 떠서 이미지를 보게 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간략히 말하면, 사용자는 눈이 감기는 것과 눈을 뜨는 것의 줄다리기를 계속하는 것이다.




20여 년 전에, 발명자가 생각이 계속됨으로 잠을 잘 수 없음을 깨닫고는 사고작용과 시각작용은 동일한 곳에서 일어나므로 사고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시각작용으로 제압할 수 있다는 가설을 만들고 처음으로 시각작용을 일으키면서 약 한 시간 정도의 시간 만에 잠에 든 것을 기억하고 있다. 이 첫날의 기억은 아직도 생생하다. 한 번 눈이 감기면 눈을 감고 있는 것이 매우 편하므로 눈을 뜨는 것이 매우 힘들고 짜증이 일어나게 되는 것을 기억한다. 또한 사고작용의 흐름이 매우 강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강한 흐름 속에서 스스로 눈을 뜨는 것이 어려우므로, "누가 옆에서 '눈을 떠라'라고 해 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었다. 이 장치에서 '눈을 뜨십시오'라는 음성이 계속 나오는 것은 스스로 눈을 뜨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주요 구성요소로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음성이 짜증을 발생시킨다고 해서 꺼서는 안 된다. 이 음성이 짜증을 발생시킨다고 해도, 시간이 경과됨으로써 짜증의 발생이 점점 사라지게 되어 있다. 음량 키고-끔 버튼(도 3의 13)은 여러 사람이 잠을 자게 되는 상황과 같이 음성이 재생되는 것이 불편한 경우 등 특별한 경우에 음성을 끄라는 의미로 둔 것이며, 짜증이 발생된다고 해서 그것을 막으려고 음성을 끄라는 의미는 없다.

눈이 한 번 감기면 아차!하면 5분 내지 15분 이상의 시간이 휙 지나기도 한다. 사용자는 점점 이 음성이 훌륭한 지원군임을 깨닫게 될 것으로 이해된다.

이 순간부터 사용자는 눈을 감고 있는 한, 사고작용을 중단시킬 수 없고, 그래서 잠을 잘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계속 눈을 뜨고 이미지를 보면서 시각작용을 일으켜야 한다. 이 사고작용과 시각작용의 두 기능의 줄다리기 또는 싸움에서 승리는 언제나 시각작용이 하게 된다는 것도 깨달아야 한다. 언제나 매일 시각작용이 승리해 잠을 자게 된다.

시각작용과 관련해서. (a) 시각작용은 두뇌의 여러 가지 부분이 통합된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것이 있고, 그 중 일부분이 작용하여 일어나는 것이 있다. 이 두 가지 작용은 각각 의식적으로 선택하여 작용하는 것이 아니고 시각작용이 발생하면서 무의식적으로 선택하여 작용한다. 전자가 사고작용을 정지시키고 잠들게 하는 시각작용이다. 여기서, 전자와 같은 시각작용이 일어난 것을 이하에서는 '사진찍기'라 하자. 사진찍기가 일어나면 사고작용은 정지되고 잠들게 되는 데, 이것은 자연의 법칙에 따라 발생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우리가 영화 한편을 본다면, 대부분의 시간은 후자에 의한 시각작용이다.

(b) 실제사용은 도 7a 및 도 7b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홀더를 사용한다. 이 홀더는 스마트폰(도 7a)과 태블릿피씨(도 7b) 둘 모두를 붙들 수 있다.

(c) 시각대상(시각이미지)을 보고 시각작용을 일으킬 때는 일반적으로 영상이나 사진을 볼 때의 행태(눈알의 각도나 방향)로 보면 사고작용의 흐름을 벗어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눈알을 약간 위로 돌려서 (그 각도로) 시각대상을 본다.

도 8a는 일반적인 시각작용을 할 때 약간 내려다보는 행태를 보여주고 있고, 도 8b는 수평적으로 보는 행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같은 일반적 행태는 피한다.

도 9는 수평적으로 보는 행태에서 턱을 고정시키고 눈알만을 약간 돌려 위를 보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앞으로는 이 같은 행태로 시각작용을 하게 된다. 안경을 쓰는 사람은 눈의 시선이 안경의 윗부분을 약간 넘어가는 정도이다. 이같이 눈알을 약간 위로 돌려서 시각작용을 하는 목적은 (강력한) 사고작용의 흐름을 피하고 또한 정지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도 10은 침대에 누웠을 때, 눈 바로 위의 가상의 수직선 또는 눈 바로 앞의 가상의 수평선(기호 V: 이하 도면에서의 기호 V는 눈알이 향하는 가상의 수직선 또는 수평선을 말한다.)과 턱을 고정하고 눈알만을 약간 위로 돌렸을 때의 범위(기호 O)를 나타낸다. 시각이미지를 기호 O 범위 내에 놓고 시각작용을 한다. 도 11은 시각이미지를 도 10의 기호 O 범위 내에 둔 상태와 그 눈알의 각도를 보여준다. 여기서 "기호 O 범위 내"란, 자기 자신의 입장에서, 눈알을 약간 돌려 올려서도 자연스런 상태의 범위를 말하며 너무 돌려 올려서 어색하지 않는 정도의 범위를 말하며, 물리적인 "몇 도"라는 식의 수치는 없다. 다만, 시각대상이 가상의 수직선 또는 수평선(도 10의 기호 V)보다 위에 있어야 한다.

위에는 특별히 어려운 점은 없다. 일반적인 시각작용 때의 행태와 약간 달리, 눈알을 약간 위로 돌린다는 생각만 있으면 족하다. 나중에 경험이 많이 축적되면, 아무런 시각행태 및 그 작용도 무방하지만, 초기과정에서는 도 8과 같은 일반적 시각작용을 할 때의 눈(알)의 각도로는 '사진찍기'가 아주 늦게 발생되거나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거꾸로 살피면, 시각작용을 많이 해도 잠이 오지 않는다고 생각이 된다면, 그것은 도 8a 및 도 8b와 같은 행태의 시각작용을 하고 있어서 일 것이다. 얼른, 눈알을 위로 돌려주고 자기 자신의 얼굴이나 몸통의 위치를 다시 해 주어야 한다.

이에 관하여는 들려줄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일반적 행태를 피하고 눈알을 약간 올려야 한다'는 것은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깨달아야 하는 것이다. 실제적으로, 본 발명자를 살펴보면 100일 중 99일은 15분 내지 25분 이상은 언제나 일반적 행태로 시각대상(시각이미지)를 보다가 잠이 오지 않는 것을 깨닫는 순간 비로소 눈알을 올려주고 시각이미지를 보고는 했다. 보통은 언제나 15분 내지 25분 이상의 시간을 의미 없이 손해를 본다는 뜻이다.

따라서 위 장치에서 START 버튼(3)을 누른 후 매 5분마다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의 눈알의 각도를 보여주는 이미지(예를 들면, 후술되는 도 12)”가 15초동안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게 하고, 또한, 그 나타나는 의미가 눈알의 각도가 바른가 여부를 확인하라는 신호라고 사용설명서에서 안내하면, 위 매일 15분 내지 25분 이상의 시간이 괜히 손해 보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 이해된다.

(d) 도 12는 옆으로 누웠을 때의 바른 눈알의 각도를 보여준다. 수평선 위에 시각이미지를 두고 있다. 바로 누웠을 때보다 옆으로 누웠을 때에 더 잠이 잘 올 수 있다. 그 이유는 옆으로 누운 경우가 바로 누운 경우보다 눈알의 각도를 올리는 것이 행태적으로 더 자연스럽고 쉬워서이다. 따라서 바로 누워서 잠이 잘 안 든다고 느낄 때는, 눈알의 각도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고, 옆으로 누워서 시각작용을 한다.

안경을 쓰는 사람은 안경을 벗고, 맨눈으로 시각이미지가 잘 보이도록 거리를 조정한 후, '각도'로써 시각이미지의 위치를 결정한다.

(e) 홀더가 없는 경우, 누워서는 시각작용을 할 수 없고, 옆으로 누워서만 시각작용을 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홀더가 없는 경우 스마트폰(도 13a)이나 태블릿피씨(도 13b)의 이용을 보여준다. 벽이나 쿠션 같은 것에 기대서 사용한다.

(f) 실질적으로, 사람에 홀더를 맞추는 것이 아니라 홀더에 사람을 맞추는 것이 옳다고 이해된다. 홀더를 2개 사서 하나는 바로 누운 경우에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옆으로 누운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이해된다.

이미지 사용안내. 장치에 내장된 이미지는 10장이다. 그리고 첫 이미지는 '중앙점이 있는 원 도형'이다. 초기과정에서, 사용자는 이 원 도형만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초기과정에는 주로 중앙점만 계속 보는 행태를 유지한다. 즉, 중앙점만 붙들고 계속 이를 유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초기과정이란 사고작용의 흐름은 강력하고, 새로운 잠자는 기능적 능력은 없거나 작은 경우를 의미한다.

원 도형만 이용하다가 15분 내지 25분 미만 내에 잠이 드는 것이 관찰된다면, 원 도형만으로는 궁극적 목적에 도달하기 어려우므로, 다른 이미지를 선택한다(여러 가지 다른 이미지로도 훈련을 한다). 원 도형 다음 이미지를 순서대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기간은 두 번째 이미지를 선택하여 '사진찍기'를 시도하고, 두 번째 이미지 역시 15분 내지 25분 미만 내에 잠이 드는 것이 관찰된다면, 다음은 세 번째 이미지를 선택하는 식으로 이미지를 선택한다. 즉, 궁극적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이미지를 이용하여 훈련을 하는 것이 좋다.

좁게는, 어젯밤에 사진찍기가 잘되었다면, 다음날은 어젯밤에 했던 모든 것을 그대로 재현하는 과정으로 하는 것이 좋다.

각 하나의 이미지를 이용할 때는 이미지 전체를 하나의 시각으로 편하게 보며 분석 및 판단하는 것과 부분을 섬세하게 분석 및 판단하는 식으로 시각작용을 일으킨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시각작용에는 분석 및 판단하는 작용이 포함된 것이다. 분석 및 판단이란 색이나 모양, 거리감, 부피감, 개수 등 여러 가지를 살펴보는 것을 말한다.

단순히 눈의 방향만 시각이미지를 향하고 있어서는 '사진찍기'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반드시 분석 및 판단을 하여야 한다. '사진찍기'는 전체적 이미지를 분석 및 판단하는 것에서 30% 정도, 부분을 분석 및 판단하는 것에서 70% 정도 발생한다고 관찰된다.

이상하게 잠이 잘 오지 않는다고 생각되는 특별한 날이 있다면, 도 3의 16(화면자동변환) 버튼을 누르면, 준비된 10장의 시각이미지가 각 10초간 멈춰 있다가 변환하게 되므로, 차분한 마음상태에서 각 이미지 마다 전체로 분석 판단을 해보고 다시 부분을 분석 판단해보는 식으로 시각작용을 해 본다.

잠을 자다가 깨는 경우. 밤에 잠을 자다가 전화가 와서 전화를 받고는 다시 잠이 오지 않는 경우, 근심 및 걱정이 생겨나 잠을 자다가 깬 경우 등이 있다. 이때는 빨리 다시 자야 한다는 조급한 마음이 일어나든가, 아니면, '지금부터 아침까지 잠이 오지 않으면 큰일인데' 하는 걱정이 일어날 수 있다. '시각작용을 일으키면 곧 잠을 잘 수 있다"는 지혜를 가지고 자신만만하게 이 같은 마음을 버리고 편안한 마음 또는 평화스러운 마음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그 같은 편안한 마음을 만들고 시각이미지를 보아야 한다.

또한, 자다가 깬 상태에서 온몸에 졸음기가 있는 경우는 졸음기를 털어내야만 잠을 잘 수 있다. 졸음기가 있는 상태에서 잠을 잘 수 있는 상태로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졸음기가 없어지고 정신이 맑게 돌아온 상태에서 잠을 잘 수 있는 상태로 전개되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일반적 잠자는 기능의 범주에서는 졸음기가 있으면 그것이 곧 잠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제는 일반적 잠자는 기능으로는 잠을 잘 수 없는 것을 의미하므로, 졸음기가 있는 상태에서 잠을 자는 상태로 갈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에 새벽 2시쯤에 자다가 깨어났다면, 그래서 졸음기가 있다면 그 졸음기를 직접 잠으로 연결하려고 조급한 마음으로 빨리 자려고 서두르지 말고, 편안한 마음을 졸음기가 없어질 때까지 유지하고 졸음기가 없어지면(보통 30분에서 한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 다시 시각적 이미지를 준비하고, 시각작용을 일으키고 잠을 자려고 해야 한다.

졸음기와 관계에서 더 살펴보면, 이 발명을 최초로 사용하여 시각작용을 처음 할 때도, 처음에는 정신이 맑아지고 졸음기가 없어지는 것을 체험하면, 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 것이나, 졸음기가 없어지고 정신이 맑게 들어와야만 잠이 들게 되는 것을 알아야 한다.

기능적 학습. 이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창조하고 성장시켜 형성하는 것은 기능적 학습과정을 전개하는 것이다. 이것은 마치 자동차운전을 배우는 기능적 학습과 같다. 각각의 매일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성장시키는 것으로, 매일 경험을 축적해 나아가게 된다.

시간이 경과함에 경험이 축적되고, 그에 따라 침대에 누어서부터 잠이 들기까지 시간은 점점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오랜 기간, 예를 들면, 10년 또는 20년 또는 30년이상의 기간 동안, 밤새도록 잠을 자지 못하고 아침에서야 겨우 1 ~ 2시간 정도 잠을 자는 조건의 사람도, 이 발명을 통해 잠자리에 든 후 15분미만의 시간내에 잠들 수도 있는데, 1시간 미만 잠을 잔 후 다시 잠이 깨어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시 깨어났다는 것은 별문제이고, 15분 시간내에 한 시간 미만이라도 잠을 잤다는 것이 중요하며, 이 한 시간 미만의 잠이 경험 축적과 함께 양적으로 질적으로 좋은 방향으로 변하게 된다.

잠을 자다가 잠을 깨서는 다시 잠을 못 자는 경우라 해도 학습을 매일 깰 때마다 전개하면 점점 아침까지 깨지 않고 잠을 자게 된다. 그리고 경험축적에 따라 시간과 공간에 대한 여유가 생겨나게 되면, '사진찍기'가 됐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진찍기'가 된 것도 알고 곧 잠을 자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사진찍기' 후, 정확히, 5 ~ 6초 후에 잠에 떨어지게 된다.

결국 본 발명 없이도 방의 시각대상(눈에 비치는 것은 모두 시각대상이다)을 이용해 2 ~ 3분 정도에 잠들게 된다. 즉, 일반적 잠자는 기능과는 달리 별개의 새로운 잠자는 기능이 형성되어 보유하게 된다. 실질적으로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각 기능을 이용하여 잠을 자게 된다. 처음에는 눈을 감고 일반적 기능으로 잠을 자기도 하며, 생각이 일어나 잠이 오지 않는 것을 깨닫는 순간은 눈을 떠서 시각작용을 일으키다가 잠을 자게 되는 식이다.

궁극적 학습목표에 걸리는 기간. 오랜 기간 밤에 잠을 못 잔 경우, 예를 들면, 10년 또는 20년 또는 30년이상의 기간 동안, 밤새도록 잠을 자지 못하고 아침에서야 겨우 1 ~ 2시간 정도 잠을 자는 조건의 경우를 가정해서 살펴보면, 새로운 잠자는 기능이 어느 정도 완성됐다고 볼 수 있는 소요기간은 약 6 ~ 9개월에서 33개월 사이라고 추론하고 있다. 이 추론은 본 발명자가 잠이 오지 않는 현상을 헤쳐나온 과정, 아기의 언어발달과정 및 두뇌기능의 발달과정을 참고하여 추론 한 것이다.

정리와 토론

발명자는 한국에서 TV나 라디오에서 나오는 둘째언어음성(영어음성)을 듣는 것을 위주로 하는 둘째언어습득(외국어습득)을 통해 두뇌기능을 연구해 왔다. 또한 발명자는 학습자를 모집하여 외국어습득(영어습득)을 가르쳤다.

성인이 되어 둘째언어습득을 하는 것은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이것은, 둘째언어습득을 위하여 둘째언어음성을 듣게 되면, 둘째언어음성이 둘째언어기능발달을 위한 반응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둘째언어음성이 첫째언어기능의 사고작용에 의하여 판단이 되고 마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둘째언어음성을 많이 들어도 그 대부분은 의미 없는 낭비가 된다. 따라서 첫째언어기능의 사고작용을 정지시키거나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학습실에서는 두 가지 수단을 통해 그 사고작용을 제한하거나 억제한다.

첫째는, 학습자가 학습실에 오면 먼저 칠판에 그려진 중앙점이 있는 원(지름이 약 1 ~ 1.2미터 정도)을 15 ~ 25분간 보는 과정을 언제나 먼저 하며, 둘째는, 이어폰을 사용할 때나 스피커에서 나오는 영어음성(둘째언어음성)을 들을 때, 눈알을 약간 위로 돌려서 천정에 있는 점을 보고 있게 된다. 위 두 가지는 사고작용을 억제하거나 제한하기 위하여 하는 것이다.

원 보기를 하면 차분해지며 사고작용(전두엽작용)이 점점 약해진다. 이유는 모른다. 그리고 눈알을 약간 위로 돌려서 보게 되면 사고작용이 제한되고 억제된다. 이것은 시각작용 또는 사고작용이 일어나는 지역의 변두리로 시각의 방향을 두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고작용과 시각작용은 동일한 지역에서 하므로, 사고작용이 사고작용지역의 변두리에서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에는 (자연의 법칙에 따라) 사고작용이 점점 약해지거나 제한되게 된다.

발명자는 과거 발명자의 학습실에서 언제나 학습자에게 사용했던 사고작용을 약하게 하거나 제한하는 두 가지 수단을 이 명세서에 전진 배치시키고 있다. 이것은 이 발명이 하고 있는 논의는 마침점을 찍을 수 있는 논의라는 의미이며, 이 발명에 의하여 마침점을 찍겠다는 의미이다.

발명자는 20년 전에 잠이 오지 않았다. 사고작용이 계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원인으로 보고 시각작용을 계속 일으켜 제압시키고 잠을 자곤 했다. 두뇌기능을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언제나 머릿속에서 벌어지는 일에 대하여 관찰은 하고 있었다. 매일은 아니지만 약 1년 정도의 기간 동안 생각이 일어나 잠이 오지 않아서 시각작용을 이용해 잠을 자곤 했다.

그 후에도 잠을 못 자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했으며, 잠을 자다가 깨기도 했으며 그때마다 시각작용을 일으켜 잠자게 되는 것을 관찰하고 있었다.

어느 날, 잠을 자려는 데 생각이 일어나 잠을 잘 수 없게 되자, '생각이 일어나서 잠이 안오는 구나!'라는 판단이 한 번 일어나자, 갑자기 눈을 뜨고 고개를 들고 두리번거리며 시각대상을 찾다가 시각대상을 찾아서 그를 보며 시각작용을 하다가 잠이 드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때에는 의식적인 행위는 전혀 없었고 자동적으로 위 같은 행태가 발생되었다. 신기함을 느꼈다.

그래서 발명자는 스스로의 잠자는 행태에 있어서 일정기간 관찰을 했다:

일반적 잠자는 기능으로 눈을 감고 잠을 청하고 그대로 잠이 드는 것이 관찰됐다. 그리고 일반적 잠자는 기능으로 눈을 감고 잠을 청하다가 생각이 일어나서 잠들 수 없다는 판단이 한 번 있게 되자, 위에서 알아본 것과 같이, 즉시 눈을 뜨고 두리번거리며 시각대상을 찾아서는 계속 시각적인 작용을 몇분 정도 하다가 잠이 드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최초에 느꼈던 그 생각의 흐름의 정도가 그 관찰시점에는 1/20 정도로 약해졌음(작아졌음)을 관찰했다.

위 관찰은 일반적 잠자는 기능은 잠이 오지 않는 현상 아래에서는 잠자는 기능으로의 역할을 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며, 그 흐름이 약하다고 해도 그것을 제압시키지 못하는 한, 잠을 잘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일반적 잠자는 기능과 전혀 별개의 새로운(둘째) 시각작용을 일으켜서 잠자는 기능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잠이 오지 않는 현상 아래에서는 이 새로운 잠자는 기능이 완성되어 형성되어 있으면 일반적 잠자는 기능과 별개로 잠이 오지 않는 현상을 극복하고 일반적인 잠자는 기능으로 잠자는 것과 마찬가지로 잠을 자게 해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 생각의 흐름의 강도도 사람마다 다르다는 점도 이해되어야 한다. 잠이 오지 않는 현상을 다룰 때, 기본 원리적인 논의는 동일하다고 해도, 각 구체적인 결과 등을 다룰 때는 그 흐름의 강도에 따라 그 구체적 사항이 다르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모든 사람을 일률적으로 전제하거나 다룰 수 없음도 이해되어야 한다. 처음으로 본 장치를 사용하는 학습자는 첫 날 생각의 흐름의 세기 정도를 기억하고 차후 긍극적 목적에 도달할 때까지 그 세기의 변화를 관찰해 나간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

잠이 오지 않는 현상을 극복하는 위 새로운 잠자는 기능이 두 번째 잠자는 기능으로 형성되어 기능하며 존재한다는 것, 또는, 훈련/학습에 따라 존재 가능하다는 것에 대한 규명(발견)은 잠이 오지 않는 현상(불면 현상)에 대한 논의에서 "방향"이 생겨나는 것을 의미하므로 중요하다.

위 잠이 오지 않는 현상을 극복하게 해 주는 새로운 잠자는 기능의 존재에 대한 규명 이전에는, 본 발명자는 두뇌기능에 대한 책을 저술할 때 "생각이 계속 일어나는 것을 원인으로 한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관하여 1 ~ 2 페이지 정도 언급만을 하려고 했었으나, 위 규명 이후에는 잠이 오지 않는 현상을 독립하여 다루는 것이 '맞다'고 판단되어 본 저술 및 본 발명의 창작에 이르게 되었다.

위에서 언급했든 청각작용 또는 후각작용 등을 이용하는 종래기술은 눈을 감고 하는 것들로, 눈을 뜨고 하는 것으로 시각작용에 관한 구성을 갖추고 있는 본 발명과 발명의 전제가 정반대의 것이며, 그 발명의 목적이나 효과가 본 발명의 목적이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또한 예견할 수 없다. 즉, 위의 것들은 발명의 구성, 목적 및 효과에 있어서 본 발명과 다르다. 여기서 "발명의 전제가 정반대"라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생각이 계속적으로 일어나고 또한 기간(큰 관점의 시간의 흐름)의 경과에 따라 그 흐름이 점점 강해지는 것은 눈을 감고 있는 것을 원인으로 한다. 그런데 이 같은 인과관계를 이해하지 못하고 일반적 잠자는 기능의 범주내에서 눈을 감고 잠자기를 시도 하는 것과 그 인과관계를 이해하고 또한 새로운 잠자는 기능의 존재함을 확인하고 눈을 뜨게 하여 시각작용을 적극적으로 일으키게 하는 것은 전혀 다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및 일부 구성요소의 제거, 대체, 부가, 우회 등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것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저장부, 130: 음성출력부,
150: 디스플레이부, 170: 제어부

Claims (5)

  1. 저장부,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각종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복수 개의 시각이미지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초기화면, 사용설명서, 시작버튼 및 도구바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초기화면은, 사용설명서 버튼(1), 본 장치가 작동을 시작하다가 자동으로 끝나는 시간을 결정하는 선택창(2), 그리고 START 버튼(3)으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설명서는, 상기 초기화면과 연결된 이전화면가기 버튼(4), 홈가기 버튼(5), 다음화면가기 버튼(6), 6 챕터로 나뉘어 있는 사용설명서를 나타내는 각 챕터로 가는 문자버튼(7) 그리고 사용설명서가 나타나는 지역(8점선 아래)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화면과 연결된 시각이미지 선택버튼(10, 11)을 포함한 시각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음성출력부는, 상기 초기화면과 연결된 "눈을 뜨십시오(Open the Eyes)"(9)라는 한 문장의 음성을 START 버튼(3)을 누른 순간부터 매 20초 마다 장치의 동작이 끝날 때까지 반복 재생하며,

    상기 도구바는, 홈가기 버튼(12), 음성 끄고-킴 버튼(13), 음량조정기(17)를 포함한 음량 버튼(14), 조명조정기(18)를 포함한 조명도 버튼(15), 그리고, 화면자동변환 버튼(16)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START 버튼(3)을 누르면 첫 화면으로 '중앙점이 있는 원 도형'을 포함하는 시각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START 버튼(3)을 누른 후 매 5분 마다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의 눈알의 각도를 보여주는 이미지를 15초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게 해주는,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32277A 2018-10-31 2018-10-31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KR101956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277A KR101956237B1 (ko) 2018-10-31 2018-10-31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PCT/KR2019/013793 WO2020091282A1 (ko) 2018-10-31 2019-10-21 불면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
US16/658,940 US10796598B2 (en) 2018-10-31 2019-10-21 Device and methods for forming new sleeping function against insomnia
US17/004,800 US20200394934A1 (en) 2018-10-31 2020-08-27 Method for forming new sleeping function against insomn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277A KR101956237B1 (ko) 2018-10-31 2018-10-31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237B1 true KR101956237B1 (ko) 2019-03-08

Family

ID=65801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277A KR101956237B1 (ko) 2018-10-31 2018-10-31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796598B2 (ko)
KR (1) KR101956237B1 (ko)
WO (1) WO202009128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191U (ko) 1998-09-29 2000-04-25 전주범 브이씨알용 프런트 패널의 일체형 노브 결합구조
KR20080068992A (ko) * 2007-01-22 2008-07-25 심규만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갖는 텔레비전 및 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KR20120131264A (ko) * 2011-05-25 2012-12-05 김유신 수면 유도용 영상 카운터장치
KR20140128018A (ko) * 2013-04-26 2014-11-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뉴로 피드백을 이용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
KR20170013867A (ko) * 2014-05-30 2017-02-07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미시건 선다형 답변들의 직접적인 선택 및 상태 변화들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두뇌-컴퓨터 인터페이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344Y1 (ko) 2001-08-17 2001-11-24 주식회사 다음미디어 디스크 수납 케이스
KR100902610B1 (ko) * 2008-05-19 2009-06-11 이인태 정신치료장치
WO2012135822A2 (en) * 2011-03-31 2012-10-04 University Of South Florida Device and method for stimulating eye movement
US20130245485A1 (en) * 2012-03-19 2013-09-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System and method to assess causal signaling in the brain during states of consciousness
KR101775999B1 (ko) * 2016-04-07 2017-09-07 포스인주식회사 멘탈 힐링 디바이스
WO2017222997A1 (en) * 2016-06-20 2017-12-28 Magic Leap, Inc.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 for evaluation and modification of neurological conditions, including visual processing and perception condit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191U (ko) 1998-09-29 2000-04-25 전주범 브이씨알용 프런트 패널의 일체형 노브 결합구조
KR20080068992A (ko) * 2007-01-22 2008-07-25 심규만 수면유도장치를 갖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용 수면유도장치를갖는 텔레비전 및 그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KR20120131264A (ko) * 2011-05-25 2012-12-05 김유신 수면 유도용 영상 카운터장치
KR20140128018A (ko) * 2013-04-26 2014-11-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뉴로 피드백을 이용한 수면 유도 장치 및 방법
KR20170013867A (ko) * 2014-05-30 2017-02-07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미시건 선다형 답변들의 직접적인 선택 및 상태 변화들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두뇌-컴퓨터 인터페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1282A1 (ko) 2020-05-07
US10796598B2 (en) 2020-10-06
US20200135047A1 (en) 2020-04-30
US20200394934A1 (en)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ung Symbols and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Bauer Gender in Bakhtin's Carnival
Karacaoglan Tattoo and taboo: On the meaning of tattoos in the analytic process
Johnson et al. Introduction: cripistemologies and the masturbating girl
Murchadha A phenomenology of Christian life: Glory and night
Lapointe et al. How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prompts in assistive technologies according to the particular cognitive profile of people with alzheimer
Malet et al. Clinical perspectives on the notion of presence
KR101956237B1 (ko) 잠이 오지 않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잠자는 기능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Schachtel On attention, selective inattention and experience
Marres In defense of mentalism: a critical review of the philosophy of mind
Warren Time, space, and semiotic discourse in the feminization/disintegration of Quentin Compson
Miyahara Body schema and pain
Alexy The analyst's Rorschach: gateway to opening the dialectical field
Healey Eyeing the pedagogy of trouble: The cultural documentation of the problem-subject
WO2006125257A1 (en) A method of preventing or reducing the occurrence of psychosis and related symptoms using knowledge of actual mental processes in schizophrenia and other illness involving psychotic symptoms
Brouillette The Pathology of Flexibility in Monica Ali's In the Kitchen
Williams Disability Studies
Williams The therapist as outsider: The truth of the stranger
Folescu 16 Reid on Powers and Abilities
Mantle In a glass darkly? Writing as blurred reflection
Viik Experiencing Boredom: A Phenomenological Analysis
Folescu Reid on Powers and Abilities
Fišerová Portrait and Mugshot: Metonymical Foundation of Photographic Genres
Tiongson Jr Throwing the Babu Out
Heard RHETORIC IN DIM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