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8562A -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의 원격제어를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의 원격제어를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562A
KR20080068562A KR1020080004944A KR20080004944A KR20080068562A KR 20080068562 A KR20080068562 A KR 20080068562A KR 1020080004944 A KR1020080004944 A KR 1020080004944A KR 20080004944 A KR20080004944 A KR 20080004944A KR 20080068562 A KR20080068562 A KR 20080068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network node
network
message
wra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6107B1 (ko
Inventor
리차드 조지
브라이언 올리버
잔 존럭 베커
아드리안 버컬리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68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04M3/4234Remote access to features of PBX or home telephone systems-teleworking in a PB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82Text-based messaging services in telephone networks such as PSTN/ISDN, e.g. User-to-User Signalling or Short Message Service for fix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6WPBX [Wireless Private Branch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102A)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122)의 원격 제어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서비스 특징에 관한 메시지가 구성되고 래퍼로 포장된 다음, 요청된 서비스 특징을 기동시키기 위해 대역외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122)에 전송된다. 실시예에서, 래퍼는, SMS(Short Message Service)-기반의 메시지,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기반의 메시지, 및 UUS(User-to-User Signaling)-기반의 메시지로 구성된다.
원격 제어, 네트워크 노드, 사용자 장비, 메시지, 래퍼

Description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의 원격 제어를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FFECTUATING REMOTE CONTROL OF A NETWORK NODE BY A USER EQUIPMENT(UE) DEVICE}
본 발명은 대체로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제한적 의미가 아니라,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네크워크 노드가 비-디지털적으로 어드레싱가능한 상태에 있는 동안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원격 제어를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와 같은 셀룰러 전화망은, 상이한 능력을 갖는 다양한 모바일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일부 UE 디바이스들은 음성 콜에만 관여하는 능력을 갖는다. 반면, 음성 및 데이터의 동시 접속을 지원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 뿐만 아니라, 비록 동시적인 것은 아니지만, 음성 및 데이터 능력을 갖는 디바이스들도 있다. 그러나, 소정의 고유한 설계 고려사항 때문에, 동시적 음성 및 데이터 능력을 갖는 디바이스들보다 비동시적 음성 및 데이터 능력을 갖는 UE 디바이스들이 더 일반적이다. 이러한 상황은 회선-교환형 접속을 통한 음성 콜에서 디바이스가 데이 터를 송신할 수 없다는 점에서 결점을 야기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의 제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표준은 UE 디바이스에 관하여 의사-동시 음성 및 데이터 능력을 모방한 해결책을 제공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해결책은 널리 실행되지 못하여 왔는데, 이것은 네트워크 기반구조뿐만 아니라 UE 디바이스에서 추가적인 값비싼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콜 제어를 달성하기 위해) 엔터프라이즈-관련 데이터 접속을 음성 콜에 관여하고 있는 UE 디바이스에 제공하기를 원하는 시스템의 경우, 그 시스템 엔터프라이즈 서버는 더 이상 디지털적으로 어드레싱가능하지 않은 네트워크 노드이고, 그에 따라, 종래의 선택은 듀얼 톤 다중주파수(DTMF; Dual Tone Multi-Frequency) 시그널링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이 시그널링은, (사용자에게 들리는) 대역내 모드 또는 (사용자에게 들리지 않는) 대역외 모드의 명령 신호를 사용한다. 이러한 접근법이 부수적인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예를 들어, DTMF 시그널링은 대개 일방향으로만 신뢰성있고, 엔터프라이즈 서버가 그 톤들을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해 값비싼 오디오 처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복수의 시스템이 동일한 톤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른 시스템으로 향하는 톤을 엉뚱한 시스템이 수신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TDD(Telecommunications Device for the Deaf) 기술에 대해 사용된 바와 같은 대안적인 음성/데이터의 구현을 포함하는 또 다른 종래의 선택사항도 역시 불완전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공개는 넓게는, 몇가지 이유로 인해, 비-디지털적으로 어드레싱가능한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엔터프라이즈 서버의 원격 제어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회선-교환형 콜 또는 기타의 콜에 관여하는 동안 UE 디바이스에 의해 원격 제어가 달성된다.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특징에 관한 메시지가 구성되고 래퍼(wrapper)로 포장된 다음, 요청된 서비스 특징을 기동시키기 위해 대역외 제어 채널을 통해 엔터프라이저 서버에 전송된다. 구현예에서, 래퍼는 SMS(Short Message Service)-기반의 메시지,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기반의 메시지, 및 UUS(User-to-User Signaling)-기반의 메시지 등으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양태에서, UE 디바이스와의 동작시에 네트워크 노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공개된다. UE 디바이스는, 제1 접속 및 제2 접속 중 적어도 하나에서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속은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나 기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허청구되고 있는 실시예는, 네트워크 노드가 제1 접속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를 액세스할 수 없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서 실행될 서비스 특징에 관한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 및 메시지를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 래퍼로 포장하여 상기 래퍼를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보내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네트워크 노드를 제어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UE 디바이스의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공개된다. 이 UE 디바이스는 제1 및 제2 접속 중 적어 도 하나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제1 접속 및 제2 접속은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나 기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허청구되고 있는 실시예는, 네트워크 노드가 제1 접속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를 액세스할 수 없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서 실행될 서비스 특징에 관한 메시지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 및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 래퍼로 상기 메시지를 포장하여 상기 래퍼를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보내기 위한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역시 또 다른 양태에서, UE 디바이스에 의해 원격제어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네트워크 노드의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공개된다. 특허청구되고 있는 실시예는, 활성화될 서비스 특징에 관한 메시지를 UE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서비스 특징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서 실행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제1 접속 및 제2 접속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액세스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접속은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나 기술을 통해 달성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접속을 거쳐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할 수 없을 때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 래퍼 내에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상기 수신 수단; 및 상기 메시지를 서비스하고 상기 UE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위한 확인 응답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추가적으로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인용하는 다양한 수단들은, 매체상의 적절한 컴퓨터-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여,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된 도면들과 연계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더욱 완전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102A)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122)의 원격 제어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어떻게 최상으로 실시 및 이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다양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이 기술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 및 몇개의 도면에 걸쳐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유사한 참조번호가 사용된다. 여기서, 다양한 요소들은 반드시 축적비율에 맞게 도시된 것은 아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로서의 네트워크 환경(100)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엔터프라이즈 서버의 원격 제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환경(100)은, 복수의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들에 관하여, 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과 같은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회선-교환형 통신을 달성하기 위해 코어 셀룰러 기반구조 네트워크(108)를 포함한다. 예로서, 참조번호(102A 및 102B)는, 공지된 요소들을 거쳐 네트워크(108)를 통하여 회선교환형 콜에 관여할 수 있는 2개의 UE 장치(즉, 엔드 포인트)를 가리킨다. 상기 공지된 요소들로는, 모바일 스위칭 센터(MSC, 115, 116);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MSC(GMSC, 112); 하나 이상의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LR) 또는 댁내 가입자 시스템(HSS)(114), 하나 이상의 방문자 로케이션 레 지스터(VLR, 118); 및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기반구조 요소(120)가 포함된다. 이하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록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들이 MSC/VLR, HLR/HSS 등과 같은 공지된 요소들로 예시될 수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콜 제어, 서비스 제어, 및 매체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는 MSC/VLR 실체와 같은 특정한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노드들로서 일반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특정 구현예에 관계없이, 예시적인 기능들은, 별개의 더 일반화된 플랫폼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 일반화를 위한 목적을 위해, UE 디바이스는, 적절한 무선 모뎀을 장착한 (예를 들어, 데스크탑, 랩탑, 팜탑, 또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들과 같은) 임의의 개인용 컴퓨터, 또는 (예를 들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웹 브라우징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IP 데이터그램을 송수신할 수 있는 셀룰러 전화 또는 데이터-인에이블형 휴대용 장치와 같은) 듀얼-모드 모바일 UE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셀룰러 전화 또는 모바일 스테이션일 수도 있다. 따라서, 요구 사항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UE 디바이스는, 패킷-교환형(PS) 통신 뿐만 아니라 회선-교환형(CS) 통신으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CS 및 PS 도메인 사이에서 상이한 기술간 핸드오프(inter-technology handoff)를 달성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엔터프라이즈 서버(122)는, 예를 들어, UE 디바이스(102A)와 같은 UE 디바이스가 엔드포인트와의 CS 접속에 관여하면서 그 UE 디바이스로부터 원격 제어될 수 있는 복수의 서비스들 및/또는 서비스 특징들을 호스팅하기 위해 네트워크(108)와 연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 추가로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엔 터프라이즈 서버 노드(들)(122)에는, 진행중인 CS 접속에 관하여 대역외 제어 채널에서 전송되는 UE 디바이스로부터의 적절한 메시지들을 수신하기 위한 적절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엔터프라이즈 서버(들)(122)은, 몇가지 이유로 인해 비-디지털적으로 어드레싱가능한 네트워크 노드인 것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으로서, 도 1의 실시예는 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이 구조에서, UE 디바이스(102A)는, 임의의 방식으로(예를 들어, 저장 및 포워드 메커니즘) 단문 메시지의 전달을 달성하도록 구현된 SMS 메시징을 이용하여 서버(122)에서의 서비스들/특징들을 제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엔터프라이즈 서버(들)(122)은, 세션-지향형 메커니즘의 제어 채널을 통해 달성되는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메시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역시 또 다른 실시예에서, UUS(User-to-User) 시그널링이 사용되어, 중계 노드가 UUS 메시지 흐름을 포착하고 이를 엔터프라이즈 서버에 보낸다. 이와 같은 노드는, 엔터프라이즈 서버가 (호스팅되는 PBX 또는 기타의 PBX일 수 있는) 수정된 PBX(Private branch Exchange) 또는 또다른 노드로서 배치되는 네트워크 내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SMS 구현에 관하여, UE 디바이스(102A)에는 단문을 송수신하고 구성하기 위해 SME(Short Message Entity, 104)가 제공된다. UE 디바이스(102A) 상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로직 클라이언트(105)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서비스 특징 요청에 관한 메시지를 발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엔터프라이즈 서버(122)로 향하는 SMS 메시지로 포장될 수 있다. SMSC(Shrot Message Service Center, 110)는, 필요하다면 다른 게이트웨이들을 통해 엔터프라이즈 서버(112)와 통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중계 노드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는 외부 SME(111)에게, (예를 들어, 저장 및 포워드 메커니즘을 통해) SMS 래퍼를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정규의 SMS 메일 박스(예를 들어, SMS 엔드 유저 컨택에 관해 텍스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메일 박스)가 가득차서 엔터프라이즈 서버로부터의 메시지들이 전달되지 못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원격 제어의 달성에 관하여 (도 1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전용 SMS 메일 박스가 UE 디바이스(102A)에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 1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UE 디바이스(102A) 및 노드(들)(122) 사이에 배치된 PS 네트워크를 통해 달성되도록 동작가능한 별개의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환경(100)은, UE 디바이스(102A) 및 노드(들)(122) 사이에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 접속을 갖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한 타입의 네트워크 접속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래퍼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부(108)를 통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공개 목적을 위해, 엔터프라이즈 서버(112) 상에서 제어되고 있는 서비스들은 가상적으로 무제한이다. 예시의 목적으로, 진행중인 CS 콜에 관련된 복수의 전화 서비스 특징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들의 예로는, 내선가입자 직접 착신 서비스(direct inward calling service), 호 전환 서비스(call transfer service), 맞춤형 단축 다이얼 서비스(customized abbreviated dialing service), 음성 메일 서비스(voice mail service), 사용자 추종 서비스(follow me service), 착신 전환 서비스(call forwarding service), 대기중 음악 서비스(music on hold service), 자동 링백 서비스(automatic ring back service), 자동 콜 분산 서비스(automatic call distribution service), 통화중 대기 서비스(call waiting service), 대리 응답 서비스(call pick up service), 회의 서비스(conference service), 콜 어카운팅 서비스(call accounting service),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voice paging service), 맞춤형 응대 서비스(customized greeting service), 공유 메시지 박스 서비스(shared message box service), 및 자동 디렉토리 서비스(automated directory service)가 포함된다.
당업자라면, 전술한 설명들이 메시징-기반의 원격 콜 제어의 상황 내에서 일반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여기서, 중계 메시징-기반의 네트워크 노드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채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중계 네트워크 노드는 SMSC 또는 USSD/UUS 게이트웨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계 노드의 목적지 어드레스는 한 실시예에서 E.164 넘버의 형태를 취할 것이다. 나아가, 목적지 어드레스는, UE 디바이스의 집적 메모리 회로 내에, 또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RUIM(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컴팩트 플래시,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모듈에 저장될 수 있다. 한 구현에서, 착탈가능한 모듈에 저장된 목적지 어드레스의 포맷은, 적용가능한 3GPP 명세에서 제공되는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이하에 개시된 형태를 취할 것이다.
테이블 1
중계 노드 목적지 어드레스 넘버
목적지 어드레스 콘텐츠의 길이
1 ext 넘버의 유형 넘버링 플랜 식별
넘버 자릿수 2 넘버 자릿수 1
넘머 자릿수 4 넘버 자릿수 3
. . . . . .
테이블 2
식별자: 구조: 선형 고정됨
레코드 길이: X 바이트 업데이트 활동: 로우
액세스 조건 : READ PIN UPDATE ADM DEACTIVATE ADM ACTIVATE ADM
바이트 설명 M/O 길이
1 내지 X URI TLV 데이터 오브젝트 M X 바이트
게다가, 서빙 메시징 네트워크 노드의 목적지 어드레스는, 공지된 OTA DM(Over-The-Air Device Management) 기술에 추가하여 또는 이와 연계하여, SMS, USSD 또는 IP 어드레싱을 통해, 특정한 엔드 포인트 디바이스에 대해 준비될 수 있다. 어드레스가 디바이스 상에서 준비되면, 예를 들어, TP-프로토콜 식별자(TP-Protocol Identifier)를 무선 UE 디바이스 데이터 다운로드를 가리키는 값에 설정함으로써, SMS에서의 적절한 코드 포인트가 설정될 것이 요구된다.
원격 제어를 달성하기 위해 USSD 메시징이 구현되는 경우, 데이터 래퍼를 올바른 USSD 서버에 보내기 위해 고유의 "*#" 시퀀스가 사용될 필요가 있다. 다시 한번, 이 시퀀스는 오퍼레이터-특정적이고, UE 디바이스 상에서 준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 시퀀스는, 디바이스 제조자측에서, 특정한 오퍼레이터에 대해, 한 그룹의 오퍼레이터에 대해, 또는 모든 오퍼레이터에 대해 준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 시퀀스는 캐리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UE 디바이스는 모든 캐리어에 대해 모든 "*#" 시퀀스로 구성되거나, 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캐리어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UE 디바이스는 적절한 수단을 통해 캐리어 신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의 테이블은 예로서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테이블 3
오퍼레이터 ID *# 시퀀스
[MCC:MNC] *#a1a2a3#
NAI *#a6a4a9#
SID *#a7a22a33#
SSID *#a11a21a31#
여기서, 오퍼레이터 ID는 네트워크 기술에 기초하여 오퍼레이터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예를 들어, 3GPP/GSM 네트워크는 MCC(Mobile Country Code) 및 MNC(Mobile Network Code) 조합으로 식별되고; SIP 네트워크는 NAI(Network Access Identifiers)를 사용하며; CDMA 네트워크는 SID(System Identification) 파라미터를 사용하며; WLAN 네트워크는 SSID(Service Set ID)를 사용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USIM상의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또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또는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또는 PUI(Public User Identity, 예를 들어 E.164 넘버), 또는 기타의 SIP-기반의 ID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새로운 세트의 크리덴셜(Private User Identity)을 사용자가 입력할 때 준비(Provisioning)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새로운 크리덴셜의 제시는 UE 디바이스로 하여금 사용할 "*#" 시퀀스를 포함하는 오퍼레이터-특정적 준비 정보(provisioning information)를 요청하게끔 한다. 당업자라면 이해하겠지만, SMSC 노드의 목적지 어드레스를 검색하기 위해 유사한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도 있다.
추가로, SMSC 어드레싱 정보가 이용되는 경우, 이와 같은 정보는 사용자, 및/또는 오퍼레이터, 및/또는 엔터프라이즈에 의해 교환가능할 것이다. 만일, 사용자, 오퍼레이터, 또는 엔터프라이즈가 변경을 이룰 수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구성 필드가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SSD 시퀀스 정보는, 변경가능성 특징을 가리키는 적절한 구성 필드의 설정과 더불어, 오퍼레이터 및/또는 엔터프라이즈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개 목적을 위해, 용어 "어드레스 정보"는, 저장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준비될 수 있는, USSD 시퀀스 정보 뿐만 아니라 중계 노드(예를 들어, SMSC 노드) 목적지 어드레스 정보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예를 들어, 엔터프라이즈 서버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의 원격 제어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 메시지 흐름도(200)이다. UE 디바이스(102A)는, 사용자가 엔터프라이즈/네트워크 서비스 특징이 활성화될 것을 요구할 때, CS 콜에 관여하고 있다. 요청 메시지(202)는, 엔터프라이즈 서버(122)가 이해할 수 있는 포맷으로 UE 디바이스(102A) 상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발생되어, 메시지-기반의 래퍼, USSD-기반의 래퍼, 또는 UUS- 기반의 래퍼와 같은 래퍼에 놓인다. 한 구현예에서, 요청 메시지 발생과 연관하여, 개시된 후 응답의 수신시에 종료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층 타이머 메커니즘(예를 들어, 타이머 205)이 있을 수 있다. 타이머가 만료되면 UE 디바이스는 다시 한번 메시지의 재전송을 시도할 것이다. 이하에, UE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고 엔터프라이즈 노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 요소들의 예시적인 리스트가 나열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개인 사용자 신원(Private User Identity)(IMSI, MIN, PIN)
b) 공개 사용자 신원(Public User Identity)(A party - UE의 E.164 넘버, 엔터프라이즈 라인의 E.164 넘버, 확장 ID)
i. 네트워크 노드(엔터프라이즈 서버)는 누가 서비스를 요청하고 있
는지를 알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노트워크 노드는 엔터프라이즈가
소유하고 있는 Public User ID만을 이해할 수 있다. Instance ID와
조합하여 특정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오고 있다는 것을 보장받을 필
요가 있다면 UE 디바이스의 E.164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통신의 양 당사자만이 이해하고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케하는 키로
통신이 암호화되기 때문에 이것은 필요없을 수도 있다는 것에 주목
해야 한다.
c) 인스턴스 식별자(Instance Identifier)(IMEI, ESN, MAC 어드레스, PIN)
i. 예를 들어, UE 디바이스가 지원하지 않는 서비스를 활성화하기를
원하지 않기 때문에 이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ID는 서비
스가 기동될 수 있는지, 활성화될 수 있는지, 비활성될 수 있는지,
또는 질의될 수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서 질의될 수
있다.
d) 가입자의 위치(CGI 또는 그 일부, GPS, 웨이포인트 등)
i. 가입자가 비용 문제에 민감한 경우 서비스의 제어는 제한될 수
있다.
e) 통신하기를 원하는 서비스의 코드
f)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단일 메시지(예를 들어, SMS 메시지)에 대한 길이에 제약이 있긴 하지만, 보다 큰 요청 메시지를 더 작은 래퍼들 속으로 분할(segment)하는 것이 가능하다. 래퍼 또는 래퍼 세그먼트들은, 래퍼 메시지들을 처리하여 처리된 메시지(204)를 엔터프라이즈 서버(122)에 포워딩하는 하나 이상의 중계 노드(203)들에 전송된다. 한 실시예에서, 중계 노드(203)는 캐리어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SMSC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SMSC 노드는 제3자 서비스에 의해 호스팅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중계 노드(203)는 USSD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GSM에서 CS 콜에 있는 동안,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보다 짧은 턴어라운드 응답 시간을 제공하는 세션-지향형 메커니즘으로 UE 디바이스로부터 USSD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USSD 메시지들은 UE 디바이스의 홈 프로비저닝 서버(예를 들어, HLR 또는 HSS)에 라우팅되고, 그 다음, 적절한 게이트웨이 노드를 경유해 엔터프라이즈 서버(122)에 라우팅된다. 역 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중계 노드는, UUS-기반의 콜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이를 송출하는 엔터프라이즈측의 기능-기반일수도 있다. 이 기능의 1차 목적은, USS 메시지들을 탐색하는 것으로서, 그 다음, 추출하여 이를 엔터프라이즈 서버에 포워딩하는 것이다. 또한, 임의의 응답을 발신 UE에 되주입할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구현에 관계없이, 간결성을 위해 생략되었지만, 도 2의 메시지 흐름 실시예(200)에 관하여 SMS/USS/USSD 경로를 달성함에 있어서 기타의 네트워크 요소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예를 들어, USSD 게이트웨이가 홈 프로비저닝 서버를 경유해 통신할 필요가 없는 경우와 같이, 더 작은 갯수의 네트워크 요소들이 포함되는 구현예도 있을 수 있다.
중계 노드(203)로부터 엔터프라이즈 서버(122)로의 메시지 라우팅은 전화 번호(예를 들어, E.164 넘버링), IP 어드레싱 등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포장된(wrapped) 서비스 특징 메시지를 수신할 때, (블럭 206으로서 예시된 바와 같이) 엔터프라이즈 서버(122)와 연관된 서비스 로직이 실행되어 메시지에 작용하여, 요청된 서비스 특징을 수행한다. 그 후, 확인 또는 접수확인이 응답 경로(208, 210)를 통해 UE 디바이스(102A)에 되전송될 수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만일 UE 디바이스에서 타이머가 개시되었다면, 확인 메시지의 수신시에 타이머가 종료될 것이다. 당업자라면, 타이머는 제조시에 하드-코딩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엔터프라이즈나 오퍼레이터에 의해 준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메시징 흐름의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은 보안 목적을 위해 암호화될 수도 있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흐름도(300)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원격 제어를 달성하기 위해 UE 디바이스 및/또는 그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다양한 프로세스들이 발생한다. 블럭(302)에서, UE 디바이스, 예를 들어, 도 1의 UE 디바이스(102A)는, 엔드포인트, 예를 들어, 도 1의 UE 디바이스(102B)와 CS 통신중에 있다. UE 디바이스가 회선 교환형 접속에 관여하고 있는 한편, 즉, 서버가 패킷교환형 접속을 통해 액세스할 수 없는 한편, 엔터프라이즈 서버측에서는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특징이 활성화될 예정인 것으로 사용자가 판단하면(블럭 304), UE 디바이스상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요청된 엔터프라이즈 서비스에 관한 명령 메시지를 구성하고, 그 메시지를 전술한 바와 같이 SMS나 USSD 래퍼와 같은 또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래퍼로 포장한다(블럭 306). 한 구현에서, 메시지의 내용은 더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하도록 인코딩될 수도 있다. 중계 네트워크 기반구조(예를 들어, SMSC 노드 또는 USSD 게이트웨이(들))는 수신시에 그 포장된 메시지를 처리하고, 이를 엔터프라이즈 서버에 포워딩한다(블럭 308). 전술한 바와 같이, 엔터프라이즈 서버는 요청된 서비스 특징을 수행하고, UE 디바이스로의 되전송을 위한 응답으로서 접수확인 또는 확인을 발생한다(블럭 310). 이 응답은, CS 콜에 관하여 대역외 제어 채널을 통해, 또는 (예를 들어, CS 콜이 종료되어서) 직접적인 데이터 접속이 이용가능하다면 UE 디바이스와 엔터프라이즈 서버 사이의 패킷교환형 데이터 접속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UE 디바이스로부터 엔터프라이즈 서버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응답을 되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과 반드시 동 일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전술한 내용들에 기초하여, 실시예들은 UE 디바이스와 함께 동작하는 네트워크 노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여기서, UE 디바이스는 제1 접속 및 제2 접속에서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할 수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속은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나 기술(예를 들어, CS 접속 및 비-CS 접속)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는, 네트워크 노드가 제1 접속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할 수 없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서 실행될 서비스 특징에 관한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 래퍼로 포장하여 그 래퍼를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보내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동작들을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로직 블럭 또는 모듈들이 UE 디바이스에 제공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UE(102A)와 같은, UE 디바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의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당업자라면, 비록 UE(102A)의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구조를 포함하고 있지만, 도시된 다양한 모듈들에 관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에 있어서 많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UE 디바이스는 착탈가능한 저장 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모바일 장비(ME) 및/또는 이와 같은 저장 모듈과 결합된 모바일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4의 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라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UE(102A)의 실시예의 전반적 제어를 제공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402)는 양호하게는 멀티-모드 통신 능력(예를 들어, CS 도메인 및 PS 도메인)이 있는 통신 서브시스템(404)에 연동된다. 통신 서브시스템(404)은 대체로 하나 이상의 수신기(408) 및 하나 이상의 송신기(414)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국부 발진기(LO) 모듈(410)과 같은 연관된 컴포넌트 및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412)와 같은 처리 모듈도 포함한다. 통신 분야의 당업자라면 이해하겠지만, 통신 모듈(404)의 특정한 설계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동작하게 될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CDMA 네트워크, GSM 네트워크, WLAN 등)에 의존한다. 그러나, 특정한 설계에 관계없이, 적절한 액세스 기반구조(405)(예를 들어, 셀룰러 기지국 타워, WLAN 핫 스폿 등)를 통해 안테나(406)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은 수신기(408)에 제공되고, 이 수신기는, 신호 증폭, 주파수 하향 변환, 필터링, 채널 선택, 아날로그-대-디지털(A/D) 변환 등과 같은 통상의 수신기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전송될 신호들은 예를 들어 DSP(412)에 의한 변조 및 인코딩을 포함한 처리를 거친 다음, 디지털-대-아날로그 변환(D/A) 변환, 주파수 상향 변환, 필터링, 증폭, 및 안테나(416)를 경유한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기 위해 전송기(414)에 제공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402)는, 보조 입력/출력(I/O, 418), 직렬 포트(420), 디스플레이(422), 키보드/키패드(424), 스피커(426), 마이크로폰(428),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430),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432), 및 참조번호 433이 꼬리표로서 붙은 타이머 메커니즘과 같은 기타 임의의 장치 서브시스템과 같은 추가의 장치 서브시스템과도 인터페이싱한다.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402)와의 통신에서 USIM/RUIM 인터페이스(434)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서, USIM/RUIM 인터페이스(434)는, 복수의 키 구성(444)와, 전술한 바와 같은 SMSC/중계 노드 목적지 어드레스 정보 및 USSD 시퀀스 정보 뿐만 아니라 신원 및 가입자-관련 데이터와 같은 기타의 정보(446)을 갖는 USIM/RUIM 카드와 더불어 동작가능하다.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및 적용가능한 서비스 로직 소프트웨어는 플래시 메모리(435)와 같은 영구 저장 모듈(즉,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구현된다. 한 실시예에서, 플래시 메모리(435)는,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서비스 처리 로직)용 영역(436)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상태(437), 어드레스북(439), 기타 개인 정보 매니저(PIM) 데이터(441), 및 참조번호(443)로 꼬리표붙은 기타 데이터 저장 영역과 같은 데이터 저장 영역들과 같은, 상이한 영역들로 분리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적절한 무선-패킷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을 달성하기 위해 트랜스포트 스택(445)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엔터프라이즈 서버에서의 서비스 및/또는 특징들의 원격 제어를 달성하기 위해, 영구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저장소를 포함하여, 적절한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요청 로직 및 SMS/UUS/USSD 메시징 로직(448)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 및 구성은 전술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들이 바람직한 예로서 특화되었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회선-교환형 네트워크 기반구조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엔터프라이즈 서버의 원격 제어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도.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동작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의 실시예의 블럭도.

Claims (23)

  1.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102A)와 함께 동작하는 네트워크 노드(122)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UE 디바이스(102A)는 제1 접속 및 제2 접속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22)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접속은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들을 통해 달성가능한 것인,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22)가 상기 제1 접속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할 수 없다는 것을 판정하는 단계(302, 304);
    상기 네트워크 노드(122)에서 실행될 서비스 특징에 관한 메시지를 구성하는 단계(306); 및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 래퍼로 상기 메시지를 포장하여(306) 상기 래퍼를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122)에 보내는 단계(308)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퍼를 상기 네트워크 노드(122)에 보낼 때 타이머 메커니즘(205)이 개시되는 것인, 네트워크 노드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퍼는 SMS(Short Message Service)-기반의 메시지,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기반의 메시지, 및 UUS(User-to-User Signaling)-기반의 메시지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노드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특징은 전화 서비스 특징인 것인, 네트워크 노드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서비스 특징은, 내선가입자 직접 착신 서비스(direct inward calling service), 호 전환 서비스(call transfer service), 맞춤형 단축 다이얼 서비스(customized abbreviated dialing service), 음성 메일 서비스(voice mail service), 사용자 추종 서비스(follow me service), 착신 전환 서비스(call forwarding service), 대기중 음악 서비스(music on hold service), 자동 링백 서비스(automatic ring back service), 자동 콜 분산 서비스(automatic call distribution service), 통화중 대기 서비스(call waiting service), 대리 응답 서비스(call pick up service), 회의 서비스(conference service), 콜 어카운팅 서비스(call accounting service), 음성 무선호출 서비스(voice paging service), 맞춤형 응대 서비스(customized greeting service), 공유 메시지 박스 서비스(shared message box service), 및 자동 디렉토리 서비스(automated directory service) 중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네트워크 노드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서비스시(206)에 상기 네트워크 노드(122)로부터의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310)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응답의 수신시에 타이머 메커니즘(205)이 종료되는 것인, 네트워크 노드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응답은,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회선교환형 콜에 관하여 대역외 제어 채널을 경유하여 수신되는 것인, 네트워크 노드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응답은, 상기 UE 디바이스(102A)와 상기 네트워크 노드(122) 사이의 패킷교환형 데이터 접속을 경유해 수신되는 것인, 네트워크 노드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퍼는 목적지 어드레스를 갖는 중계 노드(203)를 경유하여 보내지고, 상기 중계 노드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USSD 게이트웨이 및 UUS 기능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노드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어드레스는 상기 UE 디바이스(102A) 내부에 통합된 메모리 회로, 및 상기 UE 디바이스(102A)와 더불어 동작할 수 있는 착탈가능한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는 것인, 네트워크 노드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한 모듈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RUIM(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컴팩트 플래시 모듈(Compact Flash Module), 및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노드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어드레스는, 상기 UE 디바이스(102A)에 의해 인터페이스(434)를 경유해 상기 착탈가능한 모듈로부터 판독되는 것인, 네트워크 노드 제어 방법.
  14. 네트워크 노드(122)를 제어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102A)로서, 상기 UE 디바이스(102A)는 제1 접속 및 제2 접속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22)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접속은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들을 통해 달성가능한 것인, 상기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22)가 상기 제1 접속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할 수 없다는 것을 판정하기 위한 수단(402, 436, 448);
    상기 네트워크 노드(122)에서 실행될 서비스 특징에 관한 메시지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402, 436, 448); 및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 래퍼로 상기 메시지를 포장하여 상기 래퍼를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122)에 보내기 위한 수단(402, 436, 448)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래퍼를 상기 네트워크 노드(122)에 보낼 때 개시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타이머 메커니즘(205, 433)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래퍼는 SMS(Short Message Service)-기반의 메시지,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기반의 메시지, 및 UUS(User-to-User Signaling)-기반의 메시지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22)로부터의 확인 응답의 수신시에 종료되는 타이머 메커니즘(205, 433)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래퍼는 목적지 어드레스를 갖는 중계 노드(203)를 경유하여 보내지고, 상기 중계 노드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USSD 게이트웨이 및 UUS 기능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어드레스는 상기 UE 디바이스(102A) 내부에 통합된 메모리 회로, 및 상기 UE 디바이스(102A)와 더불어 동작할 수 있는 착탈가 능한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한 모듈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RUIM(Removable User Identity Module), 컴팩트 플래시 모듈(Compact Flash Module), 및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
  21.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102A)에 의해 원격 제어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네트워크 노드(122)에 있어서,
    활성화될 서비스 특징에 관한 메시지를 상기 UE 디바이스(102A)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서비스 특징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122) 상에서 실행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제1 접속 및 제2 접속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액세스가능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접속은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를 통해 달성가능하며, 상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122)가 상기 제1 접속을 거쳐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할 수 없을 때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속하는 래퍼에 포함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것인, 상기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메시지를 서비스하고(206) 상기 UE 디바이스(102A)로의 전송을 위한 확인 응답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래퍼는 SMS(Short Message Service)-기반의 메시지,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기반의 메시지, 및 UUS(User-to-User Signaling)-기반의 메시지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노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응답은 상기 UE 디바이스(102A)와 상기 네트워크 노드(122) 사이의 패킷교환형 데이터 접속을 통해 전송되도독 동작할 수 있는 것인, 네트워크 노드.
KR1020080004944A 2007-01-18 2008-01-16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의 원격제어를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986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00774.4 2007-01-18
EP07100774A EP1947868A1 (en) 2007-01-18 2007-01-18 System and method for efectuating remote control of a network node by a user equipment (U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562A true KR20080068562A (ko) 2008-07-23
KR100986107B1 KR100986107B1 (ko) 2010-10-08

Family

ID=38169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944A KR100986107B1 (ko) 2007-01-18 2008-01-16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의 원격제어를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947868A1 (ko)
JP (2) JP2008178103A (ko)
KR (1) KR100986107B1 (ko)
CN (1) CN101242579A (ko)
AU (1) AU2008200212B2 (ko)
BR (1) BRPI0800244A (ko)
CA (1) CA2618805C (ko)
MX (1) MX2008000762A (ko)
TW (1) TWI36423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669A1 (ko) * 2010-11-05 2012-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Sms를 통해 원격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4879A1 (en) * 2008-09-29 2010-04-01 Nokia Corporation Hiding a device identity
US8855054B2 (en) * 2009-07-06 2014-10-07 Teldio Corporation Two-way radio based unified communications system
EP2355475B1 (en) * 2010-02-02 2019-01-16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lternating between in-band and out-of-band communication path
CN102362513B (zh) * 2010-05-10 2014-03-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短消息的处理方法、装置和系统
TWI416936B (zh) * 2010-09-27 2013-11-21 Tecom Co Ltd 遠端電話話機的忙線提示系統及其方法
US9565624B2 (en) * 2014-10-27 2017-02-07 T-Mobile Usa, Inc. Selective scanning for legacy radio coverage in idle mod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8685A (en) * 1997-12-15 1999-11-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Digital cellular telecommunications with short message service over the packet channel
US6819945B1 (en) * 1998-12-31 2004-11-16 At&T Corp. Wireless centrex feature activation/deactivation
FR2799595B1 (fr) * 1999-10-12 2001-12-28 Gemplus Card Int Communication entre un terminal radiotelephonique et une entite de services
FI109389B (fi) * 1999-12-29 2002-07-15 Elisa Comm Oyj Menetelmä suorayhteyspalveluiden tarjoamiseksi puhelinliittymälle
KR100369803B1 (ko) * 2001-03-10 2003-0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패킷 음성 호 서비스 방법 및네트워크 구조
CN101194521A (zh) * 2002-04-22 2008-06-04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不同的蜂窝系统的sms格式映射
US20040122965A1 (en) * 2002-12-18 2004-06-24 Apfel Darren Alexander Mechanisms for supporting a virtual on-line mobile environment
US7359373B2 (en) * 2003-10-17 2008-04-15 Nokia Corpor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ircuit-switched communications via packet-switched network signaling
EP1749411A1 (en) * 2004-05-11 2007-02-07 Kodiak Networks, Inc. Architecture, client specification and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for supporting advanced voice services (avs) including push to talk on wireless handsets and networks
US8099078B2 (en) * 2004-11-29 2012-01-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activation in mobile network billing
JP4634135B2 (ja) * 2004-12-24 2011-02-16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457638B2 (en) * 2005-05-11 2008-11-25 Lucent Technologies Inc. Short message service encapsulation of supplementary service requests for IMS
US8391873B2 (en) * 2006-07-21 2013-03-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supplementary services for voice telephone calls in a centralized fash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669A1 (ko) * 2010-11-05 2012-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Sms를 통해 원격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47868A1 (en) 2008-07-23
AU2008200212B2 (en) 2009-10-01
KR100986107B1 (ko) 2010-10-08
MX2008000762A (es) 2009-02-23
JP2011244477A (ja) 2011-12-01
TWI364230B (en) 2012-05-11
BRPI0800244A (pt) 2008-09-02
CA2618805A1 (en) 2008-07-18
CA2618805C (en) 2014-04-22
CN101242579A (zh) 2008-08-13
TW200845776A (en) 2008-11-16
JP2008178103A (ja) 2008-07-31
AU2008200212A1 (en)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65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uating remote control of a network node by a user equipment (UE) device
US20070105531A1 (en) Dynamic Processing of Virtual Identities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EP21406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integration and management of service capabilities in a network environment
US7949328B2 (en) System for delivering user-generated short-text notified multimedia messages between operator networks
KR100986107B1 (ko)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의 원격제어를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2200002A (ja) Imsを含むネットワーク環境内で適切なドメインに入力コールをルーティ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AU20102006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reliable data connectivity with a network node by a user equipment (UE) device
US10243844B2 (en) Mobile telecommunications routing
US200801751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reliable data connectivity with a network node by a user equipment (UE) device
KR101054081B1 (ko) 해외 로밍 단말을 위한 사서함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EP3035627A1 (en) Method of providing coverage extension to an existing mobile network, and corresponding system.
KR20110023563A (ko)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메시지 서버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