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946A -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 - Google Patents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946A
KR20080067946A KR1020070095735A KR20070095735A KR20080067946A KR 20080067946 A KR20080067946 A KR 20080067946A KR 1020070095735 A KR1020070095735 A KR 1020070095735A KR 20070095735 A KR20070095735 A KR 20070095735A KR 20080067946 A KR20080067946 A KR 20080067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pedestal
boss
hand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9816B1 (ko
Inventor
이쿠야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05B15/1614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of hard materials, to prevent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05B15/1635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of plastics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2009/004Shape of the lock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비스의 과잉 체결을 방지하는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를 제공한다.
도어(6)의 한쪽의 외측면(61)에 배치되어 비스 결합용 나사 구멍을 가지는 보스(4)를 구비한 제1 대좌(1)와, 제1 대좌(1)와 대응하여 도어(6)의 다른 쪽의 외측면(62)에 배치되어 보스(4)에 대치한 위치에 비스 삽통 구멍(22)을 구비한 제2 대좌(2)와, 제2 대좌(2)의 비스 삽통 구멍(22)을 거쳐 보스(4)의 나사 결합용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제1 대좌(1)와 제2 대좌(2)를 일체로 연결하는 비스(3)와, 한쪽이 제1 대좌(1)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다른 쪽이 제2 대좌(2)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제1 대좌(1) 및 제2 대좌(2)의 각 핸들 설치 구멍을 거쳐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도어용 핸들을 구비한 설치 구조체(10)로서, 보스(4)는, 비스 삽입 측의 보스 단부(44)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비스 결합용 나사를 넘는 길이의 슬릿(43)이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INSTALLATION STRUCTURE OF HANDLE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의 소정의 위치에, 예를 들면 레버 핸들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는, 그 일례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106)의 한쪽의 외측면(161)에 배치되는, 비스 결합용 나사 구멍(도 8에 도시안됨)을 가지는 보스 머리(141)가 있는 보스(104)와, 제1 핸들 설치 구멍(112)과, 2개의 머리가 있는 보스(104) 설치 구멍(113)을 구비한 원판상의 대좌 본체(101)(제1 대좌)와, 대좌 본체(101)와 대응하여 도어(106)의 다른 쪽의 외측면(162)에 배치되어 보스(104) 및 제1 핸들 설치 구멍(112)에 대치한 위치에 각각 2개의 비스 삽통 구멍(122)과 제2 핸들 설치 구멍(121)을 마련한 제2 대좌(102)와, 제2 대좌(102)의 비스 삽통 구멍(122)을 거쳐 보스(104)의 비스 결합용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대좌 본체(101)와, 제2 대좌(102)를 일체로 연결하는 2개의 비스(103)와, 한쪽이 대좌 본체(101)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다른 쪽이 제2 대좌(102)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대좌 본체(101) 및 제2 대좌(102)의 각 핸들 설치 구멍(112, 121)을 거쳐 서로 연결된 도시하지 않는 한 쌍의 도어용 핸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100)에 대하여, 머리가 있는 보스(104), 대좌 본체(101) 및 제2 대좌(102)는, 도어용 핸들의 도어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과 도어용 핸들을 설치하기 위한 결합 부재로서의 기능을 한다. 머리가 있는 보스(104), 대좌 본체(101) 및 제2 대좌(102)의 도어(106)로의 설치는, 비스(103)를 보스(104)의 나사 결합용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고정 나사는 드라이버(A)를 체결 방향으로 회동시켜 행하지만, 드라이버(A)를 체결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시킬수록, 대좌 본체(101)는 도어면(161)으로, 제2 대좌(102)는 도어면(162)으로 끌어당김으로써 강하게 고정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2002-129796호 공보 (청구항 1)]
그러나,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100)에 있어서의 체결 강도는, 작업자의 감으로 의지하였다. 따라서, 작업자에 따라서는, 확실한 고정을 하기 위하여, 강하게 체결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보스(104)의 파손을 일으키게 하는 일이 있었다. 이러한 보스(104)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스(104)의 소재로서 굽힘 탄성율이 높은 수지 또는 기계적 강도가 높은 금속을 사용할 때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소재를 사용하더라도, 작업자는 확실한 고정을 하기 위하여, 더욱 강하게 체결할 때가 있고, 이 경우에는, 도어가 패이는 등의 변형을 일으키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스의 과잉 체결을 방지하는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실정에 있어서, 본 발명자는 열심히 검토를 실시한 결과, 보스 비스 삽입 측의 보스 단부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비스 결합용 나사를 넘는 길이의 슬릿을 형성하면, 비스의 과잉 체결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찾아냈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도어의 한쪽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비스 결합용 나사 구멍을 가지는 보스 및 제1 핸들 설치 구멍을 각각 구비한 제1 대좌와, 상기 제1 대좌와 대응하여 도어의 다른 쪽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보스 및 제1 핸들 설치 구멍에 대치한 위치에 각각 나사 삽통 구멍과, 제2 핸들 설치 구멍을 구비한 제2 대좌와, 상기 제2 대좌의 나사 삽통 구멍을 거쳐, 상기 보스의 비스 결합용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대좌와 상기 제2 대좌를 일체로 연결하는 비스와, 한쪽이 상기 제1 대좌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다른 쪽이 상기 제2 대좌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대좌 및 상기 제2 대좌의 각 핸들 설치 구멍을 거쳐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도어용 핸들을 구비한 설치 구조체로서, 상기 보스에, 비스 삽입 측의 보스 단부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비스 결합용 나사의 길이를 넘는 길이의 슬릿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1 대좌가, 나사 결합용 나사 구멍을 가지는 머리가 있는 보스와, 제1 핸들 설치 구멍과, 머리가 있는 보스 설치 구멍을 구비한 대좌 본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머리가 있는 보스와, 상기 대좌 본체는, 각각 별도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보스가, 금속제 또는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보스가, 굽힘 탄성율이 1.8 ㎬ 이상의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슬릿의 길이가, 상기 나사 결합용 나사 길이의 1.5 ~ 2.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나사 결합용 나사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또한 상기 길이의 전체 길이에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보스에게 끼워 맞춰지게 되는 슬리 브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에 대한 설치 작업에 있어서, 비스를 과잉 체결하면, 체결력으로 보스 측이 견디지 못하여, 슬릿이 직경 방향으로 순간 열림으로써, 나사의 맞물림이 벗어나고, 그 다음으로 슬릿의 스프링 힘으로 나사의 맞물림이 한 산이 돌아온 위치에서 고정된다. 더욱 체결하면, 상기와 같이 체결력에 보스 측이 견디지 못하여, 슬릿이 직경 방향으로 순간 열림으로써, 나사의 맞물림이 벗어나고 그 다음에 슬릿의 스프링 힘으로 나사의 맞물림이 한 산 돌아온 위치로 고정된다. 즉, 체결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슬릿이 열리고, 필요 이상의 토크가 빠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는 나사의 맞물림이 벗어나는 「딸깍」하는 소리나 진동으로 체감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신중한 체결을 하지 않아도, 과잉 체결의 신호를 받을 수 있게 되고, 체결 동작을 멈추며, 적당하게 체결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어용 핸들 설치 구조체(이하, 단지 「설치 구조체」라고도 한다)를 도 1 ~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설치 구조체를 도어에 조립하는 상황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2는 비스가 보스의 비스 결합용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비스가 보스의 비스 결합용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하는 초기 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고, 도 4는 비스의 체결이 진행되어 슬릿이 열린 상태에 있어서 나사의 맞물림 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고, 도 5는 도 4 상태로부터 나사의 한 산이 돌아와 서로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각략도이며, 도 6은 설치 구조체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종래의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를 조립하는 상황을 설명한 도면이다.
설치 구조체(10)는, 도어(6)의 한쪽의 외측면(61)에 배치되어 비스 결합용 나사 구멍(44)(도 1에서는 보이지 않음)을 가지는 2개의 보스(4) 및 제1 핸들 설치 구멍(12)을 각각 마련한 원판상의 제1 대좌(1)와, 제1 대좌(1)와 대응하여 도어(6)의 다른 쪽의 외측면(62)에 배치되어 2개의 보스(4) 및 제1 핸들 설치 구멍(12)에 대치한 위치에 각각 2개의 비스 삽통 구멍(22)과, 제2 핸들 설치 구멍(21)을 구비한 원판상의 제2 대좌(2)와, 제2 대좌(2)의 비스 삽통 구멍(22)을 거쳐 보스(4)의 비스 결합용 나사 구멍(44)에 나사 결합되어 제1 대좌(1)와 제2 대좌(2)를 일체로 연결하는 비스(3)와, 한쪽이 제1 대좌(1)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다른 쪽이 제2 대좌(2)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제1 대좌(1) 및 제2 대좌(2)의 각 핸들 설치 구멍(12, 21)을 거쳐 서로 연장되어 나오도록 한 쌍의 도어용 핸들(8)(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 설치 구조체로서, 보스(4)에 있어서, 비스 삽입 측의 보스 단부(44)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나사 결합용 나사의 길이를 넘는 길이의 슬릿(43)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제1 대좌(1)는, 도 1에서는, 나사 결합용 나사 구멍(44)을 가지는 2개의 머리(42) 부착 보스(41)와, 제1 핸들 설치 구멍(12)과, 2개의 머리가 있는 보스 설치 구멍(13)을 양측으로 대비한 원판상의 대좌 본체(11)로 구성되어, 머리가 있 는 보스(41)와 대좌 본체(11)가, 각각 별도의 부재로서, 원통형의 보스가 대좌 본체(11)의 양측에서 안쪽(도어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것이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고, 머리가 있는 보스(41)와, 대좌 본체(11)는 성형의 단계에서 일체화된 것도 좋다. 이 경우, 보스 머리(42)는 없어도 좋다.
제1 대좌(1)는, 제2 대좌(2)와 연결되고, 도어용 핸들의 도어에 있어서 위치 결정과 도어용 핸들을 설치하기 위한 결합 부재로서의 기능을 한다. 제1 대좌(1)의 형상은, 원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타원형 등도 좋다. 또, 제1 대좌(1)로 형성된 제1 핸들 설치 구멍(12)의 위치는, 본 예와 같이 중심 위치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사각형 모양 틀이면, 그 중앙보다 약간 위쪽 위치가 되어도 좋다. 또, 나사 결합용 나사 구멍(44)의 형성수는, 상기 2개로 한정되지 않고, 비스(3)의 사용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제1 대좌(1)의 형상이 시각형 모양 틀의 경우, 비스 결합용 나사 구멍의 형성 위치는, 틀의 네 귀퉁이가 되어도 좋다. 이 경우, 사용하는 비스(3)는 4개가 된다.
제2 대좌(2)는, 제1 대좌(1)와 연결되고, 도어용 핸들의 도어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과 도어용 핸들을 설치하기 위한 결합 부재로서의 기능을 한다. 제2 대좌(2)의 형상은, 통상적으로 제1 대좌(1)의 형상과 같다. 또, 제2 대좌(2)에 형성되는 제2 핸들 설치 구멍(22)의 위치는, 본 예와 같이 중심 위치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사각형 모양 틀이면, 그 중앙보다 약간 위쪽 위치에 있어도 좋다. 또, 나사 결합용 나사 구멍(44)의 형성수는, 상기 2개로 한정되지 않고, 비스(3)의 사용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제2 대좌(2)의 형상이 사각형 모양 틀의 경우에, 나사 결합용 나사 구멍의 형성 위치는, 틀의 네 귀퉁이가 되어도 좋다. 이 경우, 사용하는 비스(3)는 4개가 된다.
보스(4)는, 본 예로서는 2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스(3)의 사용 개수와 같이,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 사용된다. 보스(4)의 소재로는, 종래의 설치 구조체로 사용되어 있는 것과 같으면 되고, 금속제, 수지제 또는 수지와 금속의 복합재를 들 수 있다. 즉, 보스(4)의 경도는, 탭으로 나사가공 할 수 있는 정도의 경도라면 된다. 또, 보스의 소재가 수지의 경우, 굽힘 탄성율이 1.8 ㎬ 이상, 더욱 적합하기에는 2.0 ㎬ 이상인 것이, 충분한 체결 강도와 슬릿 형성에 의한 스프링 힘을 얻을 수 있다는 점으로 바람직하다. 수지로서는, 폴리아세탈 및 나일론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서는, 듀라콘 「M90-44」;굽힘 탄성율 2.6 ㎬ (폴리플라스틱스 사제), 유피탈 「F20」;굽힘 탄성율 2.6 ㎬ (미쯔비시 엔지니아링 프라스틱스 사제), 타나진 「TN500」;굽힘 탄성율 2.5 ㎬ (타카야스 사제), 타나진 「TN710」;굽힘 탄성률 2.9 ㎬ (타카야스 사제)을 들 수 있다.
보스(4)로 형성되는 비스 결합용 나사의 유효 길이(l1)는, 설치 강도나 설치 구조체의 크기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결정되지만, 통상적으로는 5~15 ㎜이며, 적합한 것은 8 ~ 12 ㎜, 특히 10㎜가 있다. 비스 결합용 나사의 유효 길이(l1)가 상기 범위라면, 비스(3)가 그 범위에서 나사 결합이 되면, 충분한 체결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보스(4)에 형성되는 슬릿(43)은, 비스 삽입 측의 보스 단부 (431)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비스 결합용 나사의 길이(l1)를 넘는 길이(l2)를 가진 것이다. 슬릿의 길이(l2)가 비스 결합용 나사의 길이(l1)와 같거나 또는 그 이하라면, 비스(3)에 의한 체결을 방지할 수 없다. 슬릿(43)의 길이(l2)의 바람직한 범위는, 비스 결합용 나사의 길이(유효 나사 길이)(l1)의 1.5 ~ 2.5배이다. 또, 슬릿(43)의 폭(w)은, 성형할 수 있는 정도의 치수라면 좋고, 통상적으로는 0.2 ~ 0.7 ㎜ 정도가 충분하다. 또, 하나의 보스(4)에 형성되는 슬릿(43)의 수는, 본 예의 1개로 한정되지 않고, 2개 또는 그 이상도 좋다. 하나의 보스(4)에 복수의 슬릿을 형성할 경우, 원주 방향으로 같은 피치로 형성되는 것이, 충분한 체결 강도를 얻을 수 있는 점으로 바람직하다.
비스(3)는 비스 머리(31)가 있는 것으로서, 나사 본체부의 첨단으로부터 기단을 향하여 적어도 비스 결합용 나사의 길이(l1)에 상당하는 길이의 수나사 가공이 되어 있는 것이고, 적합하기로는, 본 예와 같이, 전체 길이에 걸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비스(3)의 사용 개수는, 설치 강도나 설치 구조체의 크기 등에 의하여 적절히 결정되지만, 본 예의 2개로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설치 구조체(10)에 대하여, 도어용 핸들로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미닫이용 핸들, 레버 핸들, 푸시풀 핸들 등을 들 수 있다. 레버 핸들로서는, 예를 들면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설치 구멍을 자물쇠 본체(71)의 장착용 공 간 안쪽과 대향하는 도어(6) 부분에 도어(6)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하여(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음), 자물쇠(7)의 삽착용 공간에 레버 핸들형 래치 자물쇠(72)에 대응하는 개정용 레버 핸들(8)을 핸들 설치 구멍에 제1 대좌(1) 및 제2 대좌(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자물쇠 본체(71)로서는, 2개의 보스 삽통용 구멍(74)과 레버 핸들 연결봉(9)의 삽통 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설치 구조체(10)에 있어서의 비스(3)의 체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어(6)에, 자물쇠 본체(71)를 설치하여, 제1 대좌(1) 및 제2 대좌(2)를 도어(6)의 양측에 대고, 머리가 있는 보스(4)를 머리가 있는 보스 설치 구멍(13)에 삽입한다. 그 다음으로, 제2 대좌(2)의 비스 삽통 구멍(22)을 거쳐 머리가 있는 보스(4)의 나사 결합용 나사 구멍(44)에, 비스(3)를 나사 결합시키고, 드라이버(A)로 체결한다(도 3). 비스(3)의 첨단이 나사 결합용 나사의 길이(l1)를 넘어 체결되면, 그 결합력으로 보스(4)측이 견디지 못하여, 슬릿(43)이 직경 방향으로 순간 열림으로써, 나사의 맞물림이 벗어간다(도 4). 그 다음으로 슬릿(43)의 스프링 힘으로 나사의 맞물림이 한 산 돌아온 위치에서 고정되어, 제1 대좌(1)와 제2 대좌(2)가 일체로 연결된다(도 5). 또한 체결하면, 이와 같이 체결력에 보스(4)측이 견디지 못하여, 슬릿(43)이 직경 방향으로 순간 열림으로써, 나사의 맞물림이 벗어나고, 그 다음으로 슬릿(43)의 스프링 힘으로 나사의 맞물림이 한 산 돌아온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체결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슬릿(43)이 열리고, 필요 이상의 토 크가 빠지게 된다. 슬릿(43)의 스프링 힘으로 나사의 맞물림이 한 산 돌아온 위치에서 고정될 때, 작업자는 「딸깍」하는 소리나 진동을 체감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신중한 체결을 행하지 않아도, 과잉 체결 신호를 듣게 된다. 또한, 적당한 체결력은, 비스(3)의 수나사가 비스 결합용 나사의 길이(l1)에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충분하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비스(103)가 보스(4)의 나사 결합용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즉, 도 7에 있어서, 도 2와 다른 점은,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10a)가, 나사 결합용 나사 길이(l1)이상의 길이를 가지고 또한 상기 길이의 전체 길이에 슬릿(471)이 형성되어 보스(4)에 끼워 맞추어지게 되는 슬리브 부재(47)를, 더 설치한 것이다. 슬리브 부재(47)의 소재로서는, 금속 또는 수지제의 것이 사용될 수 있고, 슬리브 부재(47)의 소재와 보스(4)의 소재가 모두, 수지제일 경우, 양자 수지의 각각 굽힘 탄성율의 합계가 1.8 ㎬ 이상이라면 좋다. 슬리브 부재(47)의 설치에 의하여, 보스(4)는, 예를 들면 굽힘 탄성율 1.8 ㎬ 미만의 수지제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치 구조체는, 각종 도어용 핸들을 도어에 설치할 때, 나사의 과 도한 체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식을 하지 않아도, 적당한 체결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스를 파손하는 일 없이, 또 도어면을 변형시키는 일 없이, 설치 공사 또한 편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치 구조체를 도어에 설치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나사가 보스의 비스 나사 결합용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나사가 보스의 비스 나사 결합용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하는 초기 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4는 나사의 체결이 진행되어 슬릿이 열린 상태에서 나사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5는 도 4 상태에서 나사의 한 산이 돌아오고 서로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6은 설치 구조체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비스가 보스의 나사 결합용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하는 상태 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를 조립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제1 대좌
2 제2 대좌
3 비스
4 보스
6 도어
8 레버 핸들
10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
12 제1 핸들 설치 구멍
13 머리가 있는 보스 설치 구멍
21 제1 핸들 설치 구멍
22 비스 삽통 구멍
31 비스 머리
41 보스 본체
42 보스 머리
43 슬릿
44 나사 결합용 나사 구멍
47 슬리브 부재
61 도어의 한쪽의 외측면
62 도어의 다른 쪽의 외측면
71 자물쇠 본체
471 슬릿
A 드라이버
l1 비스 결합용 나사의 길이
l2 슬릿의 길이
W 슬릿의 폭

Claims (6)

  1. 도어 한쪽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비스 결합용 나사 구멍을 가지는 보스 및 제1 핸들 설치 구멍이 각각 설치된 제1 대좌와, 상기 제1 대좌와 대응하여 도어의 다른쪽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보스 및 제1 핸들 설치 구멍에 대치한 위치에 각각 비스 삽통 구멍과 제2 핸들 설치 구멍을 구비한 제2 대좌와, 상기 제2 대좌의 비스 삽통 구멍을 거쳐 상기 보스의 비스 결합용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대좌와 상기 제2 대좌를 일체로 연결하는 비스와, 한쪽이 상기 제1 대좌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다른 쪽이 상기 제2 대좌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대좌 및 상기 제2 대좌의 각 핸들 설치 구멍을 거쳐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도어용 핸들을 구비한 설치 구조체로서, 상기 보스에, 비스 삽입측의 보스 단부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비스 결합용 나사의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의 슬릿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좌는, 비스 결합용 나사 구멍을 가지는 머리가 있는 보스와, 제1 핸들 설치 구멍과, 머리가 있는 보스 설치 구멍을 구비한 대좌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머리가 있는 보스와 상기 대좌 본체는, 각각 별도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금속제 또는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굽힘 탄성율이 1.8 ㎬ 이상의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길이는, 상기 비스 결합용 나사 길이의 1.5 ~ 2.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스 결합용 나사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가지고, 또한 상기 길이의 전체 에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보스에 끼워 맞춰지는 슬리브 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
KR1020070095735A 2007-01-17 2007-09-20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 KR100999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07738 2007-01-17
JP2007007738A JP4463829B2 (ja) 2007-01-17 2007-01-17 ドア用ハンドルの取り付け構造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946A true KR20080067946A (ko) 2008-07-22
KR100999816B1 KR100999816B1 (ko) 2010-12-08

Family

ID=3970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735A KR100999816B1 (ko) 2007-01-17 2007-09-20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63829B2 (ko)
KR (1) KR100999816B1 (ko)
CN (1) CN101225719B (ko)
TW (1) TWI3325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6893B2 (ja) * 2014-09-02 2018-09-05 リョービ株式会社 ドア用のハンドル座
JP6431739B2 (ja) * 2014-10-14 2018-11-28 株式会社シブタニ ドア用ハンドルの取付構造体
JP5763855B1 (ja) * 2015-01-29 2015-08-12 株式会社日中製作所 ドア器具取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22910D0 (en) * 1986-09-23 1986-10-29 Kavanagh H Interior door & window slide bolts
JP3231022B2 (ja) * 1998-10-29 2001-11-19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ハンドル施錠装置
CN2529958Y (zh) * 2002-03-18 2003-01-08 万云林 门锁执手与方键装配结构
CN2594405Y (zh) * 2002-07-29 2003-12-24 黎钜庆 球形门锁
US6893059B2 (en) * 2002-11-25 2005-05-17 Shen Mu-Lin Cylindrical lock with improved resistance to torque
CN2697227Y (zh) * 2004-04-16 2005-05-04 曾淑敏 门锁把手的改良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25719B (zh) 2012-02-22
TWI332540B (en) 2010-11-01
TW200831759A (en) 2008-08-01
JP4463829B2 (ja) 2010-05-19
JP2008174928A (ja) 2008-07-31
CN101225719A (zh) 2008-07-23
KR100999816B1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0673B2 (en) Lock nut system
US7625164B2 (en) Lock nut system
CA2537611C (en) Lock nut system
GB2435499A (en) Lock nut system
KR100999816B1 (ko) 도어용 핸들의 설치 구조체
AU2011204889B2 (en) Lock nut system
JP4507214B2 (ja) ドア用ハンドルの取り付け構造体
JP2008038947A (ja) ネジのロック機構
KR100803427B1 (ko) 트림 장착 구조
JPH1162739A (ja) 樹脂製パイプ部材
JP4283136B2 (ja) 固定構造、プロテクタおよび電気接続箱
CZ409599A3 (cs) Krycí růžice
US20080048459A1 (en) Keybolt assembly
JP2005195149A (ja) ナット埋設体およびダブルナット装置
JP4651349B2 (ja) 車両用ペダルカバー
JP2006112468A (ja) 取付構造
JP6431358B2 (ja) ドアハンドル取付用の固定具
CN106090044A (zh) 用于将传动轴法兰装配到变速器法兰的方法和装置
US20240058932A1 (en) Hammer Structure
JP2574204Y2 (ja) 変速操作レバーのノブ取付構造
JP2003217751A (ja) 遊嵌コネクタ
KR20110096367A (ko) 캡티브 스크류
US6719338B2 (en) Dummy trim with an improved resistance to pull
KR20080019449A (ko) 너트 이탈 방지 구조를 가지는 볼트
JPH0633928A (ja) 緩み止めおねじ部品とめねじ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