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684A - 크림핑된 센터 컨덕터 - Google Patents

크림핑된 센터 컨덕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684A
KR20080067684A KR1020087012593A KR20087012593A KR20080067684A KR 20080067684 A KR20080067684 A KR 20080067684A KR 1020087012593 A KR1020087012593 A KR 1020087012593A KR 20087012593 A KR20087012593 A KR 20087012593A KR 20080067684 A KR20080067684 A KR 20080067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enter conductor
center
crimped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랜달 웬드랜드
제프리 케스
데이비드 존센
Original Assignee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67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2Terminal blocks for distribution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6Coaxial cable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Ropes Or Cabl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예를 들어, 동축 잭 모듈 어셈블리 (60) 용 센터 컨덕터 (30) 이다. 센터 컨덕터는 크림핑된 영역 (50) 과 단절되지 않은 영역을 갖는 도체 (32) 를 포함한다. 크림핑된 영역은 도체의 제 1 본체 절반부 (40) 와 제 2 본체 절반부 (42) 중 하나에만 위치된다. 도체의 중심축 (A-A) 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 의해 도체의 제 1 본체 절반부와 제 2 본체 절반부가 형성된다.
Figure P1020087012593
동축 잭 모듈 어셈블리, 센터 컨덕터, 크림핑.

Description

크림핑된 센터 컨덕터{CRIMPED CENTER CONDUCT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산업에 이용되는 장치와, 그러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동축 잭 모듈에 사용되는 센터 컨덕터에 관한 것이다.
통신 산업은 다수의 동축 잭 모듈을 이용하는 중앙 오피스 (전화국) 또는 중앙 지점을 갖는다. 동축 잭 모듈은 교차 연결 기능 (cross-connect function) 과 라인 모니터링과 동축 케이블로 전달되는 고속 신호의 라인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축 잭 모듈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내부 스위칭 어셈블리를 지닌 하우징을 포함한다. 각 스위칭 어셈블리는 하우징에 형성된 잭 포트를 통해 잭 플러그를 수용한다. 내부 스위칭 어셈블리는 잭 포트의 반대편에서 하우징에 위치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에 상호연결되어 있다. 동축 커넥터는 고속 신호를 전달하는 동축 케이블에 부착된다. 교차 연결 및 라인 모니터링 및 라인 접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시 잭 플러그를 잭 포트에 삽입한다. 각 잭 플러그는 스위칭 어셈블리의 센터 커넥터에 의해 수용되는 핀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참조로 관련되어 있는 미국 특허 No. 5,467,062 에서 동축 잭 모듈의 실시예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3 은 동축 잭 모듈의 스위칭 어셈블리에서 사용될 수 있는 종래 센터 컨덕터 (10) 를 도시한다. 이용시, 센터 컨덕터 (10) 의 단부 (16) 내에 잭 플러그 (12) 의 핀 요소가 수용될 수 있도록 잭 플러그 (12) (도 3 에 부분적으로 도시) 는 동축 잭 모듈의 잭 포트로 삽입된다.
센터 컨덕터 (10) 의 단부 (16) 는 일반적으로 잭 플러그 (12) 의 핀 요소 (14) 를 수용하는 관형 구조부 (18) 를 갖는다. 이 관형 구조부 (18) 는 센터 컨덕터 (10) 와 잭 플러그 (12) 의 핀 요소 (14) 사이에 적합한 접촉을 보장하는 크림핑된 접촉 부분 (20) (도 3) 를 포함한다. 도 1 과 도 2 는 크림핑된 접촉 부분 (20) 이 형성되기 전의 센터 컨덕터 (10) 를 도시한다. 크림핑된 접촉 부분 (20) 은 영역 (22) 에 위치되고, 이 영역에서 마주보는 두 개의 슬롯 (24, 26) 이 위치되어 있다. 이 마주보는 슬롯 (24, 26) 들은 서로에 대해 180 °로 위치되어 있다. 이 슬롯 (24, 26) 들은 관형 구조부 (18) 의 크림핑 (즉, 재료의 내측 변위) 을 수용하고 , 핀 요소가 센터 컨덕터로 삽입될 때 크림핑된 접촉 부분 (20) 을 허용한다. 즉, 크림핑된 접촉 부분 (20) 은 잭 플러그 (12) 의 핀 요소 (14) 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스프링 빔으로 기능한다. 접촉 부분 (20) 은 관형 구조부 (18) 의 전체 원주 (360°) 주위에서 크림핑된다.
종래의 센터 컨덕터 정렬은 컨덕터의 크림핑된 접촉 부분에서 시기상조의 피로와 문제가 있는 기계적 결함을 겪었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컨덕터 설계에 관하여 잭 플러그의 핀 요소로 적합한 전기적 접촉을 보장하면서 센터 컨덕터의 연 장된 사용 수명과 구성 요소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점을 모색해왔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은 크림핑된 영역을 갖는 센터 컨덕터에 관한것이다. 이 크림핑된 영역은 센터 컨덕터와 이 센터 컨덕터에 삽입되는 핀 요소사이의 접촉을 보장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크림핑된 영역은 도체의 두 절반부 중 하나에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개시된 센터 컨덕터를 포함하는 동축 잭 요소과, 개시된 센터 컨덕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것이다.
희망하는 제품의 특징과 제조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하의 설명에 부분적으로 설명되며, 이 설명을 통해 부분적으로 명백해질 것이며 개시의 다양한 태양을 실시함으로써 습득될 수 있다. 개시된 태양은 개별적인 특징과 더불어 조합된 특징에도 관련될 수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이하의 자세한 설명은 예시적일 뿐이며, 청구하는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크림핑된 접촉부를 형성하기 전에 두 반대편에 180 °를 이루는 슬롯을 갖는 종래기술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서의 종래 기술의 센터 컨덕터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크림핑된 접촉부를 구성한 후의 도 1 의 종래 기술의 센터 컨덕터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개시된 원리에 따라 구성된 크링핑된 영역을 갖는 센터 컨덕터의 일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센터 컨덕터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선 6-6 을 따라 취한, 도 5 의 센터 컨덕터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4 의 센터 컨덕터의 측면도이다.
도 8 은 선 8-8 을 따라 취한, 도 7 의 센터 컨덕터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개시된 원리에 따라 구성된 크림핑된 영역을 갖는 센터 컨덕터의 대안적인 실시예이다.
도 10 은 개시된 원리에 따라 구성된 크림핑된 영역을 갖는 센터 컨덕터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이다.
도 11 은 도 10 의 센터 컨덕터의 측면도이다.
도 12 는 개시된 원리에 따라 센터 컨덕터를 갖는 동축 잭 모듈 어셈블리의 일 실시형태의 분해도이다.
도 13 은 도 10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컨덕터를 갖는, 도 12 의 동축 잭 모듈 어셈블리의 전방 모듈 구성요소의 일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전방 모듈 구성요소의 분해도이다.
도 15 는 도 9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컨덕터를 갖는, 도 12 의 동축 잭 모듈 어셈블리의 후방 모듈 구성요소의 일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후방 모듈 구성요소의 분해도이다.
도 17 은 개시된 원리에 따라 구성된 크림핑된 영역을 갖는 센터 컨덕터의 다른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8 은 도 17 의 센터 컨덕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제 첨부 도면에서 도시되어 본 발명이 개시하는 다양한 특징에 대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가능하면,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관해서는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이 개시하는 원리를 따르는 독창적인 태양이 어떻게 실시되는지에 대한 예인 특징을 갖는, 크림핑된 영역 (50) 을 갖춘 센터 컨덕터 (30) 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바람직한 특징은 잭 플러그의 핀 요소와의 적합한 전기적 접촉을 보장하면서, 센터 컨덕터의 구조적인 신뢰성과 사용수명을 개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 와 도 5 에 따르면, 센터 컨덕터 (30) 는 제 1 단부 (34) 와 제 2 단부 (36) 를 갖는 도체 (32) 를 포함한다. 이 도체 (32) 는 제 1 단부 (34) 에 위치한 관형 구조부 (38) 를 포함한다. 이 관형 구조부 (38) 는 잭 플러그의 핀 요소 (예를 들어 도 3 의 "14") 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내경 (D1) 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관형 구조부 (38) 의 내경 (D1) 은 일반적으로 약 0.030 ~ 0.034 인치,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32 인치이다.
센터 컨덕터 (30) 의 도체 (32) 는 길이방향 중심 축선 (A-A) 을 갖는다. 길이방향 축선 (A-A) 은 일반적으로 관형 구조부 (38) 의 내경 (D1) 과 동심이다. 도 6 과 도 8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축선 (A-A) 은 도체 (32) 를 이등분하여, 제 1 본체 절반부 (40) 와 제 2 본체 절반부 (42) 를 형성하는 평면 (P) 을 규정한다.
센터 컨덕터 (30) 의 크림핑된 영역 (50) 은 제 1 본체 절반부 (40) 또는 제 2 본체 절반부 (42) 중 어느 하나에만 위치되어 있다. 크림핑된 영역이란, 재료가 일반적으로 센터 컨덕터의 중심 또는 길이방향 축선 (A-A) 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변위되어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크림핑된 영역 (50) 은 센터 컨덕터 (30) 의 제 1 본체 절반부 (40) 에만 위치되어 있다.
다시 도 4 와 도 5 를 참고하면, 크림핑된 영역은 센터 컨덕터 (30) 의 관형 구조부 (38) 에 형성되어 있는 기다란 제 1 슬롯 (44) 과 제 2 슬롯 (46) 을 포함한다. 개시된 원리에 따라 다른 갯수의 슬롯 (44, 46) 이 제공될 수 있다. 기다란 슬롯 (44, 46) 은 센터 컨덕터 (30) 의 길이방향 축선 (A-A) 과 평행하게 뻗어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다란 슬롯 (44, 46) 은 센터 컨덕터 (30) 의 제 1 절반부 (40) 에만 제공되어 있다. 특히, 기다란 슬롯 (44, 46) 은 센터 컨덕터 (30) 를 이등분하는 평면 (P) 에서부터 거리 "S" (도 8) 를 두고 위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슬롯 (44, 46) 은 대략 270 °의 단절되지 않은 관형 영역 (90) (관형 구조부 (38) 의 직경의 대략 75 % 에 상당하는 영역) 이 제공되도록 위치되어 있다. 이 단절되지 않은 관형 영역 (90) 은 관형 구조부 (38) 의 구조적 안정성과 강도를 향상시키며, 이로써 센터 컨덕터 (30) 의 기계적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 4 와 도 5 에 있어서, 기다란 제 1 슬롯 (44) 과 기다란 제 2 슬롯 (46) 은 접촉 부재 또는 접촉부 (48) 를 한정한다. 이 접촉 부재 (48) 는 도체 (38) 의 제 1 절반부 (40) 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슬롯 (44) 및 제 2 슬롯 (46) 사이에 있는 도체 (38) 의 일부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접촉 부재 (48) 의 중심부 (52) 가 센터 컨덕터 (30) 의 관형 구조부 (38) 의 내경 (D1) 안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접촉 부재 (48) 가 크림핑된다. 이 크림핑된 접촉 부재 (48) 는 센터 컨덕터와 잭 플러그의 핀 요소 사이에 적절한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는 스프링 부재로 기능한다.
다시 도 5 에 있어서, 센터 컨덕터의 크림핑된 영역 (50) 에 있는 접촉 부재 (48) 는 센터 컨덕터 (30) 의 도체 (32) 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단부 (54) 및 제 2 단부 (56) 를 포함한다. 제 1 단부 (54) 와 제 2 단부 (56) 는 접촉 부재 (48) 의 중심부 (52) 보다 더 넓다. 특히,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는 접촉 부재 (48) 의 중심부 (52) 를 향해 좁아지거나 점감한다. 더 넓은 제 1 단부 (54) 와 제 2 단부 (56) 는, 상기 단부 (54, 56) 에서 접촉 부재 (48) 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켜서 핀 요소를 삽입하는 동안 이 접촉 부재 (48) 가 부서지거나 파열되는 것을 막는다.
기다란 제 1 슬롯 (44) 과 제 2 슬롯 (46) 의 제조를 통해 도 5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시계 형태나 점감된 형태의 접촉 부재 (48) 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기다란 제 1 슬롯 (44) 과 제 2 슬롯 (46) 은 톱 절삭부로 형성된다. 도 5 ~ 도 8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 (32) 를 이등분하는 평면 (P) 에 평행한 각으로 배향된 톱 날 (58) 에 의해 톱 절삭부가 제공된다. 따라서, 도 8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톱 절삭부 또는 슬롯 (44, 46) 은 센터 컨덕터의 길이방향 축선 (A-A) 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또는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평면 (P) 에 평행한 각으로 형성된다. 도 5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평면 (P) 에 평행하게 톱 날 (58) 을 배향시키면 점감 또는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접촉 부재 (48) 가 제공된다.
상기 접촉 부재 (48) 가 형성된 후에, 이 접촉 부재는 중심부 (52) 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센터 컨덕터의 내경 (D1) 안으로 돌출하도록 크림핑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접촉 부재 (48) 만이 크림핑되어 있다. 접촉 부재 (48) 만을 크림핑하면 단절되지 않은 관형 영역 (90) 이 얻어진다.
도 8 에 있어서, 센터 컨덕터 (30) 의 관형 영역 (90) 과 크림핑된 영역 (50) 은 도체 (32) 의 원주 (C) 를 한정한다. 크림핑된 영역 (50) 은 도체 (32) 의 원주 (C) 일부의 주위에 위치되며, 원주 (C) 의 잔여부 (예를 들면 "90") 는 단절되지 않은 부분이다. 이 단절되지 않은 영역 (90) 은 슬롯이 없으며, 크림핑도 되어 있지 않다. 이 영역 (90) (이 영역 (90) 은 바람직하게는 관형 구조부 (38) 의 직경의 50 %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75 % 이상에 상당한다) 의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함으로써, 종래 컨덕터와 비교하여 센터 컨덕터의 전체적인 강성 및 강도가 증가한다. 개시된 설계의 센터 컨덕터 (30) 는 도 1 ~ 도 3 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 센터 컨덕터에 비해 25 ~ 30 % 의 증가된 강도를 제공한다.
이제 도 9 에 있어서, 제 1 단부 (134) 와 제 2 단부 (136) 를 갖는 센터 컨덕터 (130) 의 대안적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전의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이 센터 컨덕터 (130) 는 제 1 단부 (134) 에 있는 크림핑된 영역 (150) 을 포함한다. 크림핑된 영역 (150) 은 기다란 제 1 슬롯 (144) 및 제 2 슬롯 (146) 을 포함하고, 이 슬롯들은 도체 (132) 의 제 1 본체 절반부 (140) 에만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센터 컨덕터 (130) 의 제 2 단부 (136) 는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른 모듈에 이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 더 상세히 기술한다.
도 10 에 있어서, 제 1 단부 (234) 와 제 2 단부 (236) 를 갖는 다른 대안 실시형태의 센터 컨덕터 (230) 가 도시되어 있다. 이전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센터 컨덕터 (230) 는 제 1 단부 (234) 에 있는 크림핑된 영역 (250) 을 포함한다. 크림핑된 영역 (250) 은 기다란 제 1 슬롯 (244) 과 제 2 슬롯 (246) 을 포함하고 이 슬롯들은 도체 (232) 의 제 1 본체 절반부 (240) 에만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센터 컨덕터 (230) 의 제 2 단부 (236) 는 이전 실시형태의 경우와는 다른 모듈에 이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 에 있어서, 센터 컨덕터 (230) 의 제 1 단부 (234) 는 나팔형 단부 (235) 이다. 이 나팔형 단부 (235) 는 잭 플러그의 핀 요소를 센터 컨덕터 (230) 의 내경 (예를 들어 도 6 의 D1) 으로 안내하는데 있어서 사용자를 돕는다.
이제 도 17 및 도 18 에 있어서, 제 1 단부 (334) 와 제 2 단부 (336) 를 갖는 다른 대안적인 센터 컨덕터 (330) 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전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센터 컨덕터 (330) 는 센터 컨덕터 (330) 의 제 1 단부 (334) 에 위치되어 있는 크림핑된 영역 (350) 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는 크림핑된 영역 (350) 은 도체 (332) 에 형성되는 기다란 슬롯을 포함하지 않는다. 오히려, 본질적으로 도체 (332) 의 재료를 센터 컨덕터 (330) 의 길이방향 축선쪽 으로 변위시키는 랜싱 (lancing) 또는 펀칭 작업에 의해 상기 크림핑된 영역 (350) 이 형성된다. 크림핑된 영역 (350) 은 랜싱 작업에 의해 형성된 접촉 부재 (348) 를 갖는다. 이전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접촉 부재 (348) 는 도체 (332) 의 제 1 본체 절반부 (340) (도 18) 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제 도 12 에 있어서, 본 발명의 센터 컨덕터는 동축 잭 모듈 어셈블리 (60) 를 포함하는 다양한 적용에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동축 모듈 어셈블리 (60) 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모듈 요소 (62) (도시되어 있는 것은 두 개) 와 후방 모듈 요소 (64) 를 포함한다. 전방 모듈 요소 (62) 와 후방 모듈 요소 (64) 는 중간 동축 케이블 (76) 을 갖는 중간 연결 모듈 (66) 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중간 동축 케이블은 각 전방 모듈 요소 (62) 및 후방 모듈 요소 (64) 에 근접해서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음). 전방 모듈 요소 (62) 및 후방 모듈 요소 (64) 와 중간 연결 모듈 (66) 은 동축 잭 모듈 어셈블리 (60) 가 희망하는 대로 교차 연결 기능, 라인 모니터링 그리고 고속 신호의 라인 접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12 내지 도 14 를 참고하면, 동축 잭 모듈 어셈블리 (60) 의 전방 모듈 요소 (62) 는 다수의 스위칭 어셈블리 (92) (도 14) 를 갖는 하우징 (68) 을 포함한다. 하우징 (68) 은 전방부 (70) 와 후방부 (80) 를 갖는다. 이 하우징의 전방부 (70) 는 포트 (72) 를 갖는다. 잭 플러그 (12) 의 핀 요소 (예를 들어 도 3 의 "14") 가 전방 모듈 요소 (62) 의 센터 컨덕터 (230) (도 13) 안에 수용될 수 있도록 포트 (72) 내에 잭 플러그가 삽입된다. 도 14 에서 도시 된 바와 같이, 전방 모듈 요소 (62) 는 세 개의 센터 컨덕터 (230) 를 포함하고, 각각의 센터 컨덕터는 스위칭 어셈블리와 관련되어 있고, 하우징 (68) 의 포트 (72) 내에 위치된다. 도시된 전방 모듈 요소 (62) 에 이용되는 센터 컨덕터 (230) 는 도 10 과 도 11 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유사하다. 센터 컨덕터 (230) 는 하우징 (68) 의 후방부 (80) 에 있는 동축 커넥터 (74) 와 상호연결한다. 동축 커넥터 (74) 는 중간 연결 모듈 (66) (도 12) 의 중간 동축 케이블 (76) 에 연결되어 있다.
도 12 를 다시 참고하면, 중간 연결 모듈 (66) 의 중간 동축 케이블 (76) 은 전방 모듈 요소 (62) 와 후방 모듈 요소 (64) 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호연결한다. 특히, 중간 연결 모듈 (66) 의 중간 동축 케이블 (76) 은 전방 모듈 요소 (62) 의 동축 커넥터 (76) 와 후방 모듈 요소 (64) 의 동축 커넥터 (78) 사이를 상호연결한다. 중간 연결 모듈 (66) 도 장치의 일부분과 상호연결하는 동축 커넥터 (96) 를 포함한다. 동축 커넥터 (96) 는 개시한 원리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센터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제 도 12 와 도 15 및 도 16 에 있어서, 후방 모듈 요소 (64) 도 다수의 스위칭 어셈블리 (94) (도 16) 를 갖는 하우징 (82) 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전방부 (84) 와 후방부 (86) 을 갖는다. 동축 커넥터 (78) 는 후방 모듈 요소 (64) 의 하우징 (82) 의 전방부 (84) 에 위치되어 있다. 하우징 (82) 의 후방부 (86) 은 포트 (88) (도 16) 를 갖는다. 잭 플러그 (12) 의 핀 요소 (예를 들면, 도 3 의 "14") 가 후방 모듈 요소 (64) 의 센터 컨덕터 (130) 안에 수용되도 록 잭 플러그를 포트 (88) 안에 삽입한다. 도 16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방 모듈 요소 (64) 는 두 개의 센터 컨덕터 (130) 를 포함하고, 각각의 센터 커넥터는 스위칭 어셈블리와 관련되고, 하우징 (82) 의 포트 (88) 내에 위치된다. 도시되어 있는 후방 모듈 요소 (64) 에 사용되는 센터 컨덕터 (130) 는 도 9 에 도시된 센터 컨덕터와 유사하다. 센터 컨덕터 (230) 는 하우징 (82) 의 전방부 (84) 에 위치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 (78) 와 상호연결된다.
전방 모듈 요소 (62) 와 후방 모듈 요소 (64) 는 다수의 동축 잭 모듈 어셈블리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 의 동축 잭 모듈 어셈블리 (60) 는 4 포트 모듈 어셈블리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4 포트 모듈 어셈블리는 입력 및 출력 신호에 대한 직접적인 모니터링 접근을 제공한다. 전방 모듈 요소 (62) 와 후방 모듈 요소 (64) 는 예를 들면, 6 포트 모듈 어셈블리 또는 상호연결 모듈 어셈블리, 루프형 모듈 어셈블리 또는 비루프형 모듈 어셈블리, 또는 75 옴 (ohm) 자동 종료 모듈 어셈블리와 같은 다르게 구성된 또는 다른 종류의 동축 잭 모듈 어셈블리에 이용될 수 있다. 6 포트 모듈 어셈블리는 4 포트 모듈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이, 신호의 직접적인 모니터링을 제공하며, 보조 입력 교차 연결 신호의 모니터링도 제공한다. 상호연결 모듈 어셈블리는 장치의 두 부분 사이의 교차 연결을 위해 하나 이상의 모듈 요소를 사용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장치의 두 부분을 직접 서로 연결하는데 이용된다. 다양한 루프형, 비루프형 구성 및 말단 구성은, 장치의 부분에 의해 발생되는 알람 신호와 장치의 부분에 대한 관련 피드백의 처리에 관한 선택사항에 관한것이다.
통신 시스템은 종종 빠르게 변하는 네트워크 연결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조된다. 연결을 개조하고 모니터링하고 시험하는 것은 기술자가 다양한 전방 모듈과 후방 모듈에서 잭 플러그를 반복하여 삽입하고 제거할 것을 요구한다. 동축 잭 모듈 어셈블리 (60) 의 각 전방 모듈 및 후방 모듈 (예를 들어, 62, 64) 은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크림핑된 영역을 갖는 센터 컨덕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터 컨덕터 실시형태의 개시된 크림핑된 영역은 문제가 있는 기계적 결함과 시기상조의 피로가 있었던 종래의 센터 컨덕터와 비교하여 센터 컨덕터의 구조적 신뢰성과 사용수명을 향상시킨다.
전술한 부분은 본 발명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범위와 의도를 벗어나지 않는 다수의 실시형태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정 태양이 이하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Claims (28)

  1. a) 내경과 길이방향 축선을 갖는 도체로서, 상기 길이방향 축선은 그 도체를 이등분하여 제 1 본체 절반부와 제 2 본체 절반부를 규정하는 평면을 규정하는 상기 도체와,
    b) 상기 제 1 본체 절반부와 제 2 본체 절반부 중 하나에만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체의 길이방향 축선 쪽으로 상기 내경안으로 돌출한 부분을 갖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크림핑된 영역을 포함하는 센터 컨덕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도체에 형성된 기다란 슬롯에 의해 한정되는 센터 컨덕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슬롯은 톱 절삭부이며, 각각의 톱 절삭부는 상기 도체를 이등분하는 평면에 평행한 각도로 도체에 제공되어 있는 센터 컨덕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슬롯은 도체를 이등분하는 평면에서부터 거리를 두고 도체에 형성되어 있는 센터 컨덕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중심부 및 이 중심부보다 더 넓은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센터 컨덕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중심부를 향하여 점감하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센터 컨덕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의 각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는 도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센터 컨덕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된 영역은 도체의 원주의 일부 주변에 위치되어 있고, 원주의 잔여 부분은 단절되지 않은 영역인 센터 컨덕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절되지 않은 영역은 도체 원주의 대략 75 % 인 센터 컨덕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도체의 제 1 단부에만 도체의 내경이 있고, 이 내경은 대략 0.032 인치인 센터 컨덕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랜싱 (lancing) 작업에 의해 형성되는 센터 컨덕터.
  12. 동축 잭 모듈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모듈 요소로서,
    a) 잭 플러그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포트를 갖는 하우징과,
    b) 상기 포트에 근접해서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센터 컨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 컨덕터는,
    ⅰ) 중심축선을 가지며 제 1 본체 절반부와 제 2 본체 절반부를 포함하는 도체와,
    ⅱ) 도체의 제 1 본체 절반부와 제 2 본체 절반부 중 하나에만 형성되어 있고, 센터 컨덕터의 중심축선쪽으로 돌출해 있는 크림핑된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모듈 요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된 접촉 부재는 도체의 제 1 본체 절반부와 제 2 본체 절반부 중 하나에만 형성되어 있는 기다란 슬롯에 의해 한정되는 모듈 요소.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핑된 접촉 부재는 중심부를 향하여 점감하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모듈 요소.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슬롯은 도체를 이등분하는 평면에서부터 거리를 두고 도체에 형성되어 있는 모듈 요소.
  16. 제 12 항에 있어서, 크림핑된 접촉 부재는 센터 컨덕터의 크림핑된 영역에 위치되어 있으며, 이 크림핑된 영역은 도체의 원주의 일부 주변에 위치되어 있으며, 원주의 잔여 부분은 단절되지 않은 영역을 형성하는 모듈 요소.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방부과 후방부을 가지며, 상기 포트는 하우징의 전방부에 위치되어 있는 모듈 요소.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방부과 후방부을 갖으며, 상기 포트는 하우징의 후방부에 위치되어 있는 모듈 요소.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하우징의 전방부과 후방부 중 하나에 위치되고, 하우징의 전방부과 후방부 중 다른 하나는 동축 커넥터를 갖는 모듈 요소.
  20. 센터 컨덕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길이방향 축선을 갖는 도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b) 도체의 제 1 절반부 내에 제 1 슬롯과 제 2 슬롯을 형성하는 단계와,
    c) 도체의 제 1 절반부 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슬롯과 제 2 슬롯 사이에서 도체의 접촉부를 크림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터 컨덕터를 제조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제 1 슬롯과 제 2 슬롯을 형성하는 단계는 도체에서 슬롯을 톱 절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터 컨덕터를 제조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슬롯을 톱 절삭하는 단계는 도체의 제 1 절단부내에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체의 제 1 절반부를 규정하는 평면에 평행하게 톱날의 각을 맞추는 것을 포함하는 센터 컨덕터를 제조하는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접촉부를 크림핑하는 단계는 도체의 원주의 일부를 따라 위치되어 있는 접촉부만을 크림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원주의 잔여부는 단절되지 않은 영역을 형성하는 센터 컨덕터를 제조하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접촉부만을 크림핑하는 단계는 도체의 원주의 대략 75 % 인 단절되지 않은 영역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센터 컨덕터를 제조하는 방법.
  25. 제 20 항에 있어서,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을 형성하는 단계는 중심부를 향하여 점감하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접촉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센터 컨덕터를 제조하는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접촉부를 제공하는 단계는 도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갖는 접촉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센터 컨덕터를 제조하는 방법.
  27. 제 20 항에 있어서, 도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도체의 제 1 단부에서 대략 0.032 인치의 내부직경을 갖는 도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센터 컨덕터를 제조하는 방법.
  28. 센터 컨덕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제 1 본체 절반부와 제 2 본체 절반부를 갖는 도체를 제공하는 단계와,
    b) 도체의 일부에 크림핑된 접촉 부재를 랜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크림핑된 접촉부는 도체의 제 1 본체 절반부 내에만 위치되어 있는 센터 컨덕터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87012593A 2005-10-27 2006-10-11 크림핑된 센터 컨덕터 KR200800676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60,502 US7252560B2 (en) 2005-10-27 2005-10-27 Crimped center conductor
US11/260,502 2005-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684A true KR20080067684A (ko) 2008-07-21

Family

ID=3767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593A KR20080067684A (ko) 2005-10-27 2006-10-11 크림핑된 센터 컨덕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252560B2 (ko)
EP (1) EP1949708B9 (ko)
JP (1) JP5044729B2 (ko)
KR (1) KR20080067684A (ko)
CN (1) CN101347004B (ko)
AT (1) ATE470314T1 (ko)
BR (1) BRPI0617958A2 (ko)
DE (1) DE602006014719D1 (ko)
PL (1) PL1949708T3 (ko)
WO (1) WO2007050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7809B2 (en) * 2006-04-14 2008-05-27 Extreme Broadband Engineering, Llc Coaxial connector with maximized surface contact and method
GB0913863D0 (en) * 2009-08-08 2009-09-16 Jones David J Animal collar-guard
US7931509B2 (en) * 2009-09-25 2011-04-26 Glen David Shaw Coaxial fitting contact tube construction
US8888527B2 (en) 2011-10-25 2014-11-18 Perfectvision Manufacturing, Inc. Coaxial barrel fittings and couplings with ground establishing traveling sleeves
JP5897625B2 (ja) 2014-03-14 2016-03-30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すべり軸受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0288A (en) * 1958-02-27 1962-06-19 Phelps Dodge Copper Prod Means for connecting metal jacketed coaxial cable
US3099510A (en) * 1960-04-25 1963-07-30 Gorn Electric Company Inc Connector
FR1274578A (fr) 1960-09-12 1961-10-27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systèmes connecteurs du type broche et douille
GB1113923A (en) * 1964-09-03 1968-05-15 Sealectro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socket contacts
US3786558A (en) * 1971-11-16 1974-01-22 L Mccarthy Method of making a hollow electrical contact
US4304457A (en) * 1977-12-27 1981-12-08 Sloan Valve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GB2054281B (en) 1979-07-23 1983-03-02 Smiths Industries Ltd Resilient sockets
DE3267086D1 (en) * 1981-03-16 1985-12-05 Connei Spa A socket memb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method for making same
US4550972A (en) * 1984-04-09 1985-11-05 Amp Incorporated Cylindrical socket contact
US5116266A (en) * 1987-10-19 1992-05-26 Gte Product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5254022A (en) * 1989-07-28 1993-10-19 Edward W. Burger Electrical conne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r thereof
ES2101856T3 (es) * 1992-04-02 1997-07-16 Adc Telecommunications Inc Modulo de jack coaxial miniaturizado.
WO1994008429A1 (en) * 1992-10-05 1994-04-14 Adc Telecommunications, Inc. Jack module assembly
US5417588A (en) * 1993-11-15 1995-05-23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ax connector with center pin locking
DE19734524C2 (de) * 1997-08-08 1999-07-29 Framatome Connectors Int Zylinderförmiger Buchsenkontakt
CN1141761C (zh) * 2001-03-30 2004-03-10 翁胜嘉 同轴微电缆的免焊接连接器
US6551136B2 (en) * 2001-09-20 2003-04-22 Adc Telecommunications, Inc. Closed end coaxi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17958A2 (pt) 2011-08-09
DE602006014719D1 (de) 2010-07-15
EP1949708A1 (en) 2008-07-30
CN101347004B (zh) 2012-02-29
EP1949708B1 (en) 2010-06-02
JP2009514168A (ja) 2009-04-02
CN101347004A (zh) 2009-01-14
JP5044729B2 (ja) 2012-10-10
ATE470314T1 (de) 2010-06-15
US7252560B2 (en) 2007-08-07
WO2007050260A1 (en) 2007-05-03
EP1949708B9 (en) 2010-10-06
US20070099521A1 (en) 2007-05-03
PL1949708T3 (pl) 201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970B1 (ko) 접속요소에 납땜, 나사체결, 절연재 제거를 요하지 않고 다중접점을 형성하는 접속용구
US7830154B2 (en) Continuity tester adaptors
KR102294506B1 (ko) 회전 부하를 저지하는 변형 완화 유닛을 갖는 페어가-감소된 이더넷 응용을 위한 패치 코드 및 관련 변형 완화 유닛 및 커넥터
US8591268B2 (e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and electrical plug-in connection
US6050842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aired terminals
US4477132A (en) Connector for twin axial cable
EP1540771B1 (en) High-speed axial connector
US7341459B1 (en) Multi-signal single pin connector
US7134911B2 (en) Key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ealing boot
CA2175072A1 (en) Jack module
KR20080067684A (ko) 크림핑된 센터 컨덕터
JP2006513543A (ja) ケーブル差込み接続器
US6238246B1 (en) Grounding bracket for a shielded cable connector
US4795356A (en) Electrical tap connector assembly
US682114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rosstalk reduction and control
RU2105397C1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высокоскоростных сетей передачи речи и данных (соединитель сдд1)
US7997928B2 (en) Multi-position coaxial connector system
CN110208914B (zh) 光电转换接触件及光电转换连接器
EP1191642B1 (en) Coaxial-like connector
EP1804330B1 (en) Resistor board and attenuator having the same
KR100425833B1 (ko) 다기능 단자블록의 구조
CN114762199A (zh) 隔离对四轴互连
KR20060045241A (ko) 소형 케이블 코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