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516A -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및 이를지원하는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및 이를지원하는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516A
KR20080066516A KR1020070027585A KR20070027585A KR20080066516A KR 20080066516 A KR20080066516 A KR 20080066516A KR 1020070027585 A KR1020070027585 A KR 1020070027585A KR 20070027585 A KR20070027585 A KR 20070027585A KR 20080066516 A KR20080066516 A KR 20080066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ing
control signal
terminal
scheduling scheme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7480B1 (ko
Inventor
박성준
이영대
이승준
천성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09542662A priority Critical patent/JP5054785B2/ja
Priority to EP08704682.7A priority patent/EP2103028B1/en
Priority to US12/448,860 priority patent/US8495446B2/en
Priority to ES08704682T priority patent/ES2431567T3/es
Priority to CN2008800021566A priority patent/CN101627570B/zh
Priority to PCT/KR2008/000142 priority patent/WO2008084989A2/en
Priority to TW097101255A priority patent/TWI462516B/zh
Publication of KR20080066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2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involving configuration of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with parall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3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상황에 따라 적절한 스케줄링 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망은 UE의 채널 상태 또는 해당 UE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 등의 통신 상황을 파악하고, 파악된 통신 상황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결정한 후, 결정된 스케줄링 방식을 알리기 위한 제어신호를 해당 UE에 전송한다. 이때, 스케줄링 방식을 판별하기 위해 HARQ 프로세스 식별자를 이용하는 제1방법, 단말 식별자를 이용하는 제2방법, DL 스케줄링 정보에 추가 필드를 삽입하는 제3방법 및 그룹 DL 스케줄링 정보에 추가 필드를 삽입하는 제4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황에 적절한 스케줄링 방식 채택으로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불필요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scheduling mechanism, DL scheduling information, RRC signaling

Description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송수신 장치 {method for applying scheduling mechanism based on the communication condition and tranceiver supporting the same}
도 1은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하는 UE와 UTRAN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1 선행정보의 전송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서비스 종류에 따른 논리 채널 구분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제2 선행정보의 전송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동기 HARQ 재전송 방식에 따라 초기 전송 및 재전송이 수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가변(dynamic)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초기 전송 및 재전송이 수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제2 선행정보의 전송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실시예 2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결정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실시예 3에 따른 제2 선행정보의 전송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 및 도 14는 실시예 3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결정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실시예 4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결정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이동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통신 상황에 따라 적절한 스케줄링 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이동통신 표준으로 각광받고 있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각종 전송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스케줄링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 중에서 대표적인 스케줄링 방식 4가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가변(Dynamic) 스케줄링 방식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전송 구간(TTI)에 전송되는 데이터마다 DL 스케줄링 정보 또는 UL 스케줄링 정보가 요구되는 방식이다.
만약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해서 비동기 HARQ 방식으로 단말과 기 지국이 동작한다면, 가변(Dynamic) 스케줄링 방식에서는 데이터의 초기 전송뿐만 아니라 재전송 시에도 DL 스케줄링 정보 또는 UL 스케줄링 정보가 요구된다. 이에 비해, 단말과 기지국이 동기 HARQ 방식으로 동작한다면 초기 데이터 전송 시에만 데이터마다 DL 스케줄링 정보 또는 UL 스케줄링 정보가 요구될 뿐 재전송시에는 별도의 스케줄링 정보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때, 가변(Dynamic) 스케줄링에서의 DL 스케줄링 정보 또는 UL 스케줄링 정보는 단일 단말에 유효하다는 특징이 있다.
둘째로, 영구(Persistent) 스케줄링 방식은 전술한 가변(dynamic) 스케줄링 방식처럼 매 전송구간마다 DL 스케줄링 정보 또는 UL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기지국에서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설정 때 등과 같이 RRC 신호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 처리 방법을 정적(Static)으로 단말에 미리 알린다. 이에 따라 단말은 데이터 송수신시, DL 스케줄링 정보 또는 UL 스케줄링 정보 없이, RRC 신호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정보를 이용한다.
일례로, 기지국은 RRC 신호를 통하여 A라는 무선자원에, B라는 전송 형식으로 C라는 주기에 따라 데이터를 하향링크로 수신할 것을 단말에 미리 설정했다면, 단말은 상기 A, B, C값을 이용하여 별도의 DL 스케줄링 정보 없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에도 상기 정보에 따라 별도의 UL 스케줄링 정보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셋째로, 그룹(Grouping) 스케줄링 방식은 가변(Dynamic) 스케줄링 방식과 유사하나, 가변(Dynamic) 스케줄링이 하나의 단말에만 유효한 방식인데 비해 그룹(grouping) 스케줄링은 복수 개의 단말들에 유효하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일례로, A라는 그룹에 1번부터 10번까지의 단말들이 있다고 가정하고, 1번 2번 3번 단말이 DL 스케줄링 정보를 요구하면, 기지국은 그룹 DL 스케줄링 정보에 A라는 그룹 식별자, 1번, 2번 3번 단말의 식별자 그리고 상기 단말들의 DL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여 한 번에 전송한다.
넷째로, 동기 HARQ 재전송 방식(Synchronous retransmission 또는 Semi-static scheduling)은 단말과 기지국이 비동기 HARQ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데이터의 초기 전송 시에는 비동기 HARQ 방식으로 동작하고 재전송 시에는 동기 HARQ처럼 동작하는 방법이다.
일례로, 단말에 HARQ 재전송 방식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DL 스케줄링 정보에 비동기 HARQ 정보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재전송이 발생하게 되면 동기 HARQ 방식처럼 동작한다. 즉, RRC 신호를 통해 재전송 주기 등의 정보를 단말에 미리 설정하고, 재전송시 상기 설정 정보와 초기 데이터 수신 시에 획득한 DL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재전송을 수행한다.
그러나, 단말이 통신 상황의 특성을 무시한 채 모든 통신 상황에 대하여 상기에서 기술한 스케줄링 방식 중 어느 한 가지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경우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 상황에 상관없이 데이터의 송수신에 일률적으로 가변(Dynamic)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초기 전송이나 재전송에 상관없이 기지국은 항상 DL-SCH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마다 DL L1/L2 제어 채널로 DL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제한된 DL L1/L2 제어채널의 용량에 비해 불필요한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통신 상황에 상관없이 데이터의 송수신에 일률적으로 영구(persistent)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에서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설정 시에 무선자원과 전송 형식 등이 미리 결정되기 때문에, 전송 시점에서의 채널 상황이 전혀 고려되지 않아 데이터 전송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채널 상태 또는 제공 서비스의 종류 등과 같은 통신 상황의 변화에 따라 적절한 스케줄링 방식을 유연하게 적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기지국이 특정 단말과의 통신 상황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상황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알리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특정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어신호 전송 단계는 상기 파악된 통신 상황에 따라 논리 채널들을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구분된 각 논리 채널에 HARQ 프로세스 식별자를 맵핑하는 단계 및 상기 HARQ 프로세스 식별자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상기 특정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 논리 채널의 종류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상기 특정 단말에 미리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 전송 단계는 상기 파악된 통신 상황에 따라 단말 식별 자를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구분된 단말 식별자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상기 특정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 단말 식별자의 종류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상기 특정 단말에 미리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 전송 단계는 상기 제어신호의 추가 필드에 상기 파악된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을 지정하는 단계와, 스케줄링 방식이 지정된 제어신호를 상기 특정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 상기 제어신호의 포맷 정보 및 추가 필드 값의 종류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상기 특정 단말에 미리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 전송 단계는 상기 제어신호의 추가 필드에 그룹 식별자, 단말 식별자 및 각 단말에 적용될 스케줄링 방식을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특정 단말 그룹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 상기 제어신호의 포맷 정보 및 추가 필드 값의 종류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상기 특정 단말에 미리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기지국으로부터 특정 스케줄링 방식이 지정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지정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수신 또는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동 단말은 통신 상황에 따라 구분된 논리 채널들을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에 포함된 HARQ 프로세스 식별자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수신 또는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는 통신 상황에 따라 구분된 단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단말 식별자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수신 또는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는 통신 상황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지정하는 추가 필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추가 필드에 지정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수신 또는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는 그룹 식별자, 단말 식별자 및 각 단말에 적용될 스케줄링 방식을 지정하는 추가 필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추가 필드에 지정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수신 또는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상기 두 가지 양태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방식은 가변(dynamic) 스케줄링 방식, 영구(persistent) 스케줄링 방식, 그룹(grouping) 스케줄링 방식 및 동기 HARQ 재전송 방식 중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기 설명하되, 우선 본 발명의 적용 배경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주요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E-UMTS 시스템은 기존 UMTS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 현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E-UMTS 시스템은 크게 E-UTRAN(100)과 CN(200)으로 구분할 수 있다.
E-UTRAN(100)은 망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망과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이하 'AG'라 함)(110), 기지국(이하 'eNode B'라 함)(120) 및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라 함)(130)로 구성된다. AG(110)는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담당하는 부분과 제어용 트래픽을 처리하는 부분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새로운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위한 AG와 제어용 트래픽을 처리하는 AG 사이에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정의하여 서로 통신을 주고받을 수도 있다. 하나의 eNode B(120)에는 하나 이상의 셀(Cell)이 존재할 수 있으며, eNode B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혹은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CN(200)은 AG(110)와 기타 UE(130)의 사용자 등록을 위한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E-UTRAN(100)과 CN(200)을 구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UE(130)와 망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 간 상호 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기준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제1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하고, 제3계층에 위치하는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함) 계층은 UE(130)와 망 간에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UE(130)와 망 간에 RRC 메시지를 서로 교환한다. RRC 계층은 eNode B(120)와 AG(110) 등 망의 각 노드들에 분산되어 위치할 수도 있고, eNode B(120) 또는 AG(110)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UE(130)의 채널 상황이나 UE(130)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는 수시로 변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 상황의 변화에 따라 무선 자원 할당 및 각종 전송 파라미터 설정 등을 위한 스케줄링 방식 또한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UE(130)의 통신 상황이 변함에 따라 망이 소정의 제어신호를 해당 UE(130)에게 전송하며 통신 상황에 적절한 스케줄링 방식으로 변경할 것을 지시 또는 통지할 것을 제안한다.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통신 상황에 따라 UE의 스케줄링 방식을 변경하여 적용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망은 UE의 채널 상태 또는 해당 UE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 등의 통신 상황을 파악하고, 파악된 통신 상황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결정한 후, 결정된 스케줄링 방식을 알리기 위한 제어신호를 해당 UE에 전송한다.
이때, 스케줄링 방식으로는 전술한 가변(dynamic) 스케줄링 방식, 영구(persistent) 스케줄링 방식, 그룹(grouping) 스케줄링 방식, 및 동기 HARQ 재전송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망은 UE(130)에게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이라 함) 계층,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함) 계층 등의 무선 자원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 기 제어신호로는 DL L1/L2 제어신호, MAC 신호, RRC 신호가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DL L1/L2 제어신호는 DL 스케줄링 정보 또는 UL 스케줄링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대해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3GPP 무선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하는 UE와 UTRAN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를 나타낸다.
UE와 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계층(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제어신호(Signaling) 전달을 위한 제어 평면(Control Plane)(도 2)과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 평면(User Plane)(도 3)으로 구분된다. 도 2 및 도 3의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시스템간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의 무선 프로토콜 제어 평면과 도 3의 무선 프로토콜 사용자 평면의 각 계층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계층인 물리계층(10)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10)은 상위에 있는 MAC 계층(20)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송채널을 통해 MAC 계층(20)과 물리계층(10)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에는 물리 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제2계층인 MAC 계층 (Medium Access Control)(20)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 함)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RLC 계층(30)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한다. 한편, RLC 계층(30)의 기능이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RLC 계층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계층의 PDCP 계층(50)은 IPv4나 IPv6 등의 IP 패킷 전송시에 대역폭이 작은 무선 구간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담고 있는 IP 패킷 헤더 사이즈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 (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3계층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RRC 계층(40)은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 베어러 (Radio Bearer; 이하 'RB'라 함)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하여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RB는 단말과 UTRAN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망에서 UE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전송채널로는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와,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SCH(Shared Channel)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하향 SCH는 사용자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DL-SCH와, DL-SCH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트래픽을 처리하는 방법 등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DL L1/L2 제어 채널로 구분할 수 있다. 후자의 제어 정보를 특히 DL 스케줄링 정보(DL Scheduling Information)라 한다.
DL 스케줄링 정보에는 그룹 식별자 및/또는 단말 식별자 등의 식별자 정보, 시간/주파수 등의 무선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무선자원 할당(Resource assignment) 정보, 할당된 무선 자원의 유효 구간을 지정하는 할당 구간(Duration of assignment) 정보, 다중 송수신 안테나(MIMO) 또는 빔 포밍(Beamforming) 방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정보, 모듈레이션 정보, 페이로드(Payload)의 크기, 비동기 HARQ 정보, 동기 HARQ 정보 등과 같은 제어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비동기 HARQ 정보는 HARQ 프로세스 식별자(HARQ process number), 리던던시 버젼(Redundancy version; RV), 신 데이터 지시자(New Data Indicator) 등을 포함하고, 동기 HARQ 정보는 재전송 순차 번호(Retransmission sequence number)를 포함한다.
한편, UE에서 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와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여기서, 상향 SCH 역시 실제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UL-SCH와, UL-SCH를 통해 수신한 트래픽을 처리하는 방법 등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UL L1/L2 제어 채널로 구분할 수 있다. 후자의 제어 정보를 특히 UL 스케줄링 정보(DL Scheduling Information)라 하며, UL 스케줄링 정보에는 식별자 정보, 무선자원 할당(Resource assignment) 정보, 할당 구간(Duration of assignment) 정보, 및 다중 안테나 정보, 모듈레이션 정보, 페이로드(Payload)의 크기 등의 전송 파라미터(Transmission paramet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망이 소정의 제어신호를 통해 UE에게 특정 스케줄링 방식을 통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실시예 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실시예들에 공통적으로, 망은 통신 상황에 따라 적절한 스케줄링 방식이 적용되는 데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제1 선행정보)을 미리 UE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 선행정보에는 최대 재전송 횟수(Number of Retransmission), 리던던시 버전(Redundancy version; RV), 재전송 주기(Retransmission cycle), 및 변경 가능한 스케줄링 방식의 종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일례로 RRC 신호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제1 선행정보의 전송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며 상기 정보들은 별도의 RRC 신호 전송 없이 미리 양단 간에 고정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HARQ 프로세스 식별자를 이용하여 망으로부터 통지받은 스케줄링 방식을 판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망은 UE의 채널 상태 또는 해당 UE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 등의 통신 상황을 파악하고, 파악된 통신 상황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결정한다. 여기서, 스케줄링 방식 결정의 기준인 통신 상황으로서 해당 UE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일례 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망은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들을 구분하고, 구분된 각 논리 채널에 HARQ 프로세스 식별자를 맵핑한 후, 상기 HARQ 프로세스 식별자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UE에 전송한다.
일례로, UE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실시간 데이터(Real Time Traffic, RT Traffic) 서비스와, 비실시간 데이터(Non-Real Time Traffic, NRT Traffic)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고, 0번부터 3번까지의 논리 채널이 존재하며, 0번부터 5번까지의 HARQ 프로세스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0번과 1번 논리 채널은 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고, 2번과 3번 논리 채널은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망이 0번과 1번의 논리 채널에 0번과 1번의 HARQ 프로세스를 각각 맵핑하고, 2번과 3번의 논리 채널에 2~5번의 HARQ 프로세스를 각각 맵핑할 때, 결국 0번과 1번의 HARQ 프로세스는 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에 이용되고, 2~5번의 HARQ 프로세스는 비실시간 데이터의 전송에 이용된다. 도 5는 이와 같은 경우의 서비스 종류에 따른 논리 채널 구분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망은 제공 서비스의 종류, 논리 채널의 구분, 구분된 논리 채널에 맵핑된 HARQ 프로세스 정보, 및 각 HARQ 프로세스에 대한 스케줄링 방식을 포함하는 제2 선행정보를 UE에 전송한다. 이때, 제2 선행정보는 RRC 신호로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제2 선행정보의 전송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UE는 망으로부터 제2 선행정보를 수신한 후, 하향링크의 데이터 수신을 위해 DL L1/L2 제어채널로 전송되는 DL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DL 스케줄링 정보에는 HARQ 프로세스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UE는 DL 스케줄링 정보에 0번 또는 1번 HARQ 프로세스 식별자가 포함된 것을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는 스케줄링 방식 B(일례로, 동기 HARQ 재전송 방식)으로 수신할 것을 결정한다. 동기 HARQ 재전송 방식에 대해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UE는 특정 데이터의 재전송이 아닌 초기 전송을 수신하기 위해 DL L1/L2 제어 채널로 전송되는 DL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DL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DL-SCH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만약, UE가 상기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UE는 이를 알리는 상황 정보(NACK)를 망으로 전송하고, 망은 상기 상황 정보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데이터 재전송 시, 망은 초기 전송에 사용된 무선 자원의 정보 및 전송 형식을 그대로 이용하여 전송하고, UE와 미리 약속한 특정 시간 간격에 맞추어 재전송을 수행한다. 상기 시간 간격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망과 UE 간에 RRC 신호를 통해 미리 약속될 수 있다.
도 7은 동기 HARQ 재전송 방식에 따라 초기 전송 및 재전송이 수행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즉, 데이터의 초기 전송시와는 달리 재전송 상황에서 UE는 DL L1/L2 제어 채널로 전송되는 DL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재전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따라서, 재전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초기 전송시에 획득한 DL 스케줄링 정보와, RRC 신호를 통해 미리 획득한 제1 선행정보 및/또는 제2 선행정보를 통해 관련 파라미터 정보들을 이용한다.
만약, HARQ 프로세스가 2~5번 중 어느 하나라면 UE는 재전송 데이터에 별도로 포함된 DL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재전송을 수행한다. 도 8은 가변(dynamic)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초기 전송 및 재전송이 수행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단말 식별자를 이용하여 망으로부터 통지받은 스케줄링 방식을 판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망은 UE의 채널 상태 또는 해당 UE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 등의 통신 상황을 파악하고, 파악된 통신 상황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결정한다.
UE가 복수 개의 단말 식별자를 가진다고 가정할 때, 망은 각 단말 식별자에 대한 스케줄링 방식을 포함하는 제2 선행정보를 UE에 전송한다. 이때, 제2 선행정보는 RRC 신호로 전송될 수 있다.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제2 선행정보의 전송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UE는 망으로부터 제2 선행정보를 수신한 후, 하향링크의 데이터 수신을 위해 DL L1/L2 제어채널로 전송되는 DL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도 9의 일례에 의할 때, 만약 DL 스케줄링 정보가 단말 식별자 1을 이용하여 전송되었다면 UE는 상기 데이터를 스케줄링 방식 A로 수신할 것을 결정하고, DL 스케줄링 정보가 단말 식별자 2를 이용하여 전송되었다면 UE는 상기 데이터를 스케줄링 방식 B로 수신할 것을 결정한다. 이와 같은 스케줄링 방식 결정 과정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DL 스케줄링 정보에 스케줄링 방식 지정을 위한 특정 필드를 추 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망은 UE의 채널 상태 또는 해당 UE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 등의 통신 상황을 파악하고, 파악된 통신 상황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결정한다. 그리고, DL 스케줄링 정보의 추가 필드에 상기 결정된 스케줄링 방식을 지정한다.
이때,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스케줄링 방식이 2개 이하라면 상기 추가 필드는 1 비트로 족하나, 2개 이상이라면 해당 종류 수를 충분히 지정할 수 있도록 추가 필드의 비트 수를 늘릴 수 있다.
망은 특정 필드가 추가된 DL 스케줄링 정보의 포맷 정보와, 제공 가능한 스케줄링 방식을 포함하는 제2 선행정보를 UE에 전송한다. 이때, 제2 선행정보는 RRC 신호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2는 실시예 3에 따른 제2 선행정보의 전송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UE는 망으로부터 제2 선행정보를 수신하여 변경된 DL 스케줄링 정보의 포맷을 확인한 후, 하향링크의 데이터 수신을 위해 DL L1/L2 제어채널로 전송되는 DL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일례로, 추가 필드는 1 비트로 이루어지고 '0'은 가변(dynamic) 스케줄링 방식에, 그리고 '1'은 동기 HARQ 재전송 방식에 맵핑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수신된 DL 스케줄링 정보의 추가 필드가 '0'인 경우, UE는 상기 데이터를 가변(dynamic) 스케줄링 방식으로 수신할 것을 결정하고, 수신된 DL 스케줄링 정보의 추가 필드가 '1'인 경우, UE는 상기 데이터를 동기 HARQ 재전송 방식으로 수신할 것을 결정한다. 이와 같은 스케줄링 방식 결정 과정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하나의 단말이 아닌 그룹 단위의 단말에 전송되는 DL 스케줄링 정보에 스케줄링 방식 지정을 위한 특정 필드를 추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망은 특정 그룹에 포함된 UE의 채널 상태 또는 해당 UE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 등의 통신 상황을 파악하고, 파악된 통신 상황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결정한다.
망은 DL L1/L2 제어신호의 정보량을 줄이기 위해 그룹으로 묶인 특정 단말들에게 한 번의 DL 스케줄링 정보를 전달한다. 이와 같은 스케줄링 방법을 그룹(grouping) 스케줄링 방식이라 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그룹 DL 스케줄링 정보라 한다. 그룹 스케줄링 방식을 도 15를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례로, 특정 그룹에 UE1, UE2, UE3 와 같이 3개의 UE가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 그룹 DL 스케줄링 정보에는 하나의 그룹 식별자와, 각 UE에 대한 단말 식별자들과, 각 UE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및 각 UE에 대한 스케줄링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5에서 보듯, 통신 시스템이 가변 스케줄링 방식(스케줄링 방식 A)과 동기 HARQ 재전송 방식(스케줄링 방식 B) 2가지를 지원하는 경우, 그룹 DL 스케줄링 정보에는 각 UE에 대한 스케줄링 방식을 지정하기 위한 1비트 크기의 추가 필드가 구비된다.
각 UE는 망으로부터 그룹 DL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자신의 단말 식별자 에 해당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확인한 후, 해당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5의 예에서는, UE 1에게 가변 스케줄링 방식(스케줄링 방식 A)이 적용되고, UE 2와 UE 3에게는 동기 HARQ 재전송 방식(스케줄링 방식 B)이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UE 1은 망으로부터 특정 데이터(Data 1)를 수신한 후 재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재차 DL L1/L2 제어채널을 확인하여 새로운 그룹 DL 스케줄링 정보 또는 자신에게만 전송되는 DL 스케줄링 정보를 통해 재전송을 수행한다. 이에 비해, UE 2와 UE 3은 특정 데이터(Data 1)에 대한 재전송을 수행할 경우, 별도의 DL 스케줄링 정보 없이도 이전 전송에서 사용된 그룹 DL 스케줄링 정보 또는 RRC 신호를 통해 미리 수신한 선행 정보의 파라미터 값들을 이용하여 재전송을 수행한다.
이상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는 하향링크의 데이터 수신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아니며, 상향링크의 데이터 송신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
도 16은 본 발명의 이동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동 단말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510)와, 이동 단말을 운용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표시부(520)과, 이동 단말이 동작하는 데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수신측에 전송할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530)와,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측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540)와,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 커(SP)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처리부(550)와, 이동 단말의 전체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제어부(560)는 무선통신부(540)을 통하여 망으로부터 특정 스케줄링 방식이 지정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지정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수신 또는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여기서, 망으로부터 전송받은 제어신호로부터 특정 스케줄링 방식을 판별하고, 그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어부(560) 및 기타 관련 구성 요소들의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이미 설명한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 단말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채널 상태 또는 제공 서비스의 종류 등과 같은 통신 상황의 변화에 따라 적절한 스케줄링 방식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불필요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Claims (20)

  1. 기지국이 특정 단말과의 통신 상황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상황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알리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특정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전송 단계는
    상기 파악된 통신 상황에 따라 논리 채널들을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구분된 각 논리 채널에 HARQ 프로세스 식별자를 맵핑하는 단계 및
    상기 HARQ 프로세스 식별자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상기 특정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논리 채널의 종류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상기 특정 단말에 미리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전송 단계는
    상기 파악된 통신 상황에 따라 단말 식별자를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구분된 단말 식별자가 포함된 제어신호를 상기 특정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단말 식별자의 종류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상기 특정 단말에 미리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전송 단계는
    상기 제어신호의 추가 필드에 상기 파악된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을 지정하는 단계와,
    스케줄링 방식이 지정된 제어신호를 상기 특정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의 포맷 정보 및 추가 필드 값의 종류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상기 특정 단말에 미리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전송 단계는
    상기 제어신호의 추가 필드에 그룹 식별자, 단말 식별자 및 각 단말에 적용될 스케줄링 방식을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특정 단말 그룹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의 포맷 정보 및 추가 필드 값의 종류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상기 특정 단말에 미리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황은 상기 특정 단말의 채널 상황 및 상기 특정 단말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DL L1/L2 제어신호, MAC 제어신호 및 RRC 제어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방식은 가변(dynamic) 스케줄링 방식, 영구(persistent) 스케줄링 방식, 그룹(grouping) 스케줄링 방식 및 동기 HARQ 재전송 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13. 기지국으로부터 특정 스케줄링 방식이 지정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지정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수신 또는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통신 상황에 따라 구분된 논리 채널들을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에 포함된 HARQ 프로세스 식별자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수신 또는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통신 상황에 따라 구분된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 식별자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수신 또는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통신 상황에 상응하는 스케줄링 방식을 지정하는 추가 필드를 구비하며,
    상기 추가 필드에 지정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수신 또는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그룹 식별자, 단말 식별자 및 각 단말에 적용될 스케줄링 방식을 지정하는 추가 필드를 구비하며,
    상기 추가 필드에 지정된 스케줄링 방식에 따라 데이터 수신 또는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상황은 상기 단말의 채널 상황 및 상기 단말에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9.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DL L1/L2 제어신호, MAC 제어신호 및 RRC 제어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20.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방식은 가변(dynamic) 스케줄링 방식, 영구(persistent) 스케줄링 방식, 그룹(grouping) 스케줄링 방식 및 동기 HARQ 재전송 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KR1020070027585A 2007-01-11 2007-03-21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및 이를지원하는 송수신 장치 KR101387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542662A JP5054785B2 (ja) 2007-01-11 2008-01-09 Harqプロセスによるデータ送受信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
EP08704682.7A EP2103028B1 (en) 2007-01-11 2008-01-09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harq proces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US12/448,860 US8495446B2 (en) 2007-01-11 2008-01-09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HARQ proces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ES08704682T ES2431567T3 (es) 2007-01-11 2008-01-09 Método para transmitir y recibir datos según un proceso HARQ y terminal de comunicación móvil del mismo
CN2008800021566A CN101627570B (zh) 2007-01-11 2008-01-09 用于根据harq进程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和其移动通信终端
PCT/KR2008/000142 WO2008084989A2 (en) 2007-01-11 2008-01-09 Method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the harq process
TW097101255A TWI462516B (zh) 2007-01-11 2008-01-11 根據harq處理以傳輸並接收資料的方法及其行動通訊終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458307P 2007-01-11 2007-01-11
US60/884,583 2007-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516A true KR20080066516A (ko) 2008-07-16
KR101387480B1 KR101387480B1 (ko) 2014-04-22

Family

ID=39821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585A KR101387480B1 (ko) 2007-01-11 2007-03-21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및 이를지원하는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95446B2 (ko)
EP (1) EP2103028B1 (ko)
JP (1) JP5054785B2 (ko)
KR (1) KR101387480B1 (ko)
CN (1) CN101627570B (ko)
ES (1) ES2431567T3 (ko)
TW (1) TWI462516B (ko)
WO (1) WO200808498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96165B (zh) * 2007-04-27 2011-09-21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控制信令的方法和装置
EP2234308A1 (en) * 2009-03-23 2010-09-29 Panasonic Corporation Retransmission mode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54661B2 (en) * 2009-05-04 2014-02-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ast and broadcast re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3503348B (zh) * 2011-05-03 2016-06-22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终端从基站接收下行链路信号的方法及其装置
CN102255712B (zh) * 2011-07-18 2013-07-10 东南大学 长期演进系统混合自动要求重传过程软量存储分配方法
CN102355341B (zh) * 2011-10-12 2013-11-27 东南大学 一种长期演进系统用混合自动重传请求的网络编码方法
KR101815429B1 (ko) 2012-05-29 2018-01-0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및 기지국
US9918315B2 (en) * 2013-08-16 2018-03-13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10225810B2 (en) 2014-08-06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KR102304089B1 (ko) 2014-09-25 2021-09-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간 통신의 harq 처리 방법 및 장치
US9930684B2 (en) 2014-09-25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HARQ process management
US10805891B2 (en) 2014-09-25 202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nchronization procedure and resour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in D2D system
CN111865513B (zh) * 2015-02-17 2021-11-19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处理的方法及装置
CN113678531B (zh) * 2019-09-26 2024-03-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上行逻辑信道复用的方法和终端设备
CN113497682A (zh) * 2020-04-07 2021-10-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下行数据接收方法、下行数据发送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3005B2 (en) * 1998-09-02 2007-02-06 Antyra Inc. Insulin and IGF-1 receptor agonists and antagonists
KR100516686B1 (ko) * 2000-07-08 2005-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복합 재전송방법
SE0101846D0 (sv) 2001-05-22 2001-05-22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system of retransmission
US7746841B2 (en) * 2001-08-22 2010-06-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Transmission of data packets in a radiocommunication system using a common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process
KR100754552B1 (ko) * 2001-12-28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고속 공통 제어 채널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E60236377D1 (de) * 2002-08-13 2010-06-24 Panasonic Corp Hybrides automatisches Wiederholungsaufforderungsprotokoll
CN100336330C (zh) * 2003-01-27 2007-09-05 西南交通大学 基于均匀与非均匀调制星座图的混合自动重传请求方法
KR100964669B1 (ko) * 2003-05-10 2010-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속 패킷 데이터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이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CN100355231C (zh) * 2003-12-19 2007-12-12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多载波系统中具有混合自动重传请求的数据传输方法
CA2563696A1 (en) * 2004-04-19 2005-10-27 Zteit Usa, Inc. Trunking and push-to-talk mechanisms for wcdma wireless communications
BRPI0510227B1 (pt) * 2004-05-07 2019-01-02 Interdigital Tech Corp método e dispositivo para alocar processos de requisição repetitiva híbrido-automática
GB0506539D0 (en) 2005-03-31 2005-05-0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and a communication system
US7526304B2 (en) * 2005-09-29 2009-04-28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of increasing the capacity of enhanced data channel on up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1034962A (zh) * 2006-03-08 2007-09-12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讯系统启动调度信息重传的方法及其相关装置
TW200803270A (en) * 2006-06-19 2008-01-01 Innovative Sonic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and recovery of HARQ DTX to NACK error
EP2618517B1 (en) * 2006-06-21 2023-08-0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supporting data re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8021182A2 (en) * 2006-08-09 2008-02-2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iated quality of service for packets in a particular flow
WO2008024282A2 (en) * 2006-08-21 2008-02-2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rq and harq transmissions and retran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Y150919A (en) * 2006-11-30 2014-03-14 Qualcomm Inc Reverse link traffic power control for lbc fd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27570B (zh) 2012-12-19
EP2103028A4 (en) 2010-09-01
TW200838207A (en) 2008-09-16
JP5054785B2 (ja) 2012-10-24
JP2010514329A (ja) 2010-04-30
EP2103028B1 (en) 2013-08-21
US8495446B2 (en) 2013-07-23
WO2008084989A3 (en) 2009-09-11
ES2431567T3 (es) 2013-11-27
WO2008084989A2 (en) 2008-07-17
TWI462516B (zh) 2014-11-21
CN101627570A (zh) 2010-01-13
EP2103028A2 (en) 2009-09-23
US20100050036A1 (en) 2010-02-25
KR101387480B1 (ko) 201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480B1 (ko) 통신 상황에 따른 스케줄링 방식 적용 방법 및 이를지원하는 송수신 장치
US10484997B2 (en)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82289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protocol data unit in a radio access network
KR10126820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할당방법
US8243697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lock on uplink frequencies
KR101059913B1 (ko) 공유 전송 채널을 가지는 무선 시스템들에서의 사용자 장비를 위한 개별 및 그룹 식별자들
US8521209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power increase/decrease request of a user equipment using a plurality of frequenci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086142A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a sequence of data units between a wireless device and a network
US20150098332A1 (en) Transmitting Radio Node, a Receiving Radio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Handling Data Packets Within a Radio Bearer
JP201051984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
KR2010011612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서비스의 품질(QoS)을 보장하는 방법
GB2474960A (en) HSPA system using a plurality of uplink frequencies
CN113170342B (zh) 下一代移动通信系统中动态地配置信道损耗测量的方法和装置
KR2010011345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단말의 mac 계층에 의해 무선 자원을 구성하는 방법
WO2008095115A2 (en) Frame protocols and signalling for use in high speed transmission
WO2023131607A2 (en) Method for concatenated transmission for 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