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398A -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 Google Patents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398A
KR20080065398A KR1020070002493A KR20070002493A KR20080065398A KR 20080065398 A KR20080065398 A KR 20080065398A KR 1020070002493 A KR1020070002493 A KR 1020070002493A KR 20070002493 A KR20070002493 A KR 20070002493A KR 20080065398 A KR20080065398 A KR 20080065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keypad
elastic sheet
input button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4685B1 (ko
Inventor
박철
이연우
Original Assignee
(주)지엔씨
구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엔씨, 구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지엔씨
Priority to KR1020070002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685B1/ko
Publication of KR20080065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키 터치감이 향상되는 위한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가 제공된다.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는 탄성 시트, 버튼 영역, 수용 돌기 및 입력 버튼을 포함한다. 탄성 시트 표면에 버튼 영역이 형성되고 버튼 영역의 주변을 따라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수용 돌기가 제공된다. 제공된 수용 돌기에 입력 버튼이 장착되고 장착된 입력 버튼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버튼부로 제공된다. 이러한 탄성 시트에 수용 돌기가 형성되어 키 입력 버튼부의 버튼 장착이 용이할 수 있으며, 키 입력부의 입체감을 살릴 수 있다.
개인휴대단말기, 키패드

Description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KEYPAD OF PERSONAL PORTAB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의 수용 돌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을 B~B 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수용 돌기를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에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키패드 110:탄성 시트
113 : 버튼 영역 115, 115a : 수용 돌기
117 : 입력 버튼 121 : 지지층
120 : 탄성층 123 : 러버 시트
125 : 누름 돌출부 127 : 돔 스위치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버튼부의 버튼 장착이 용이하고, 키 터치감이 향상되며, 다양한 디자인의 변형이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개인휴대단말기는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 버튼부가 제공된다. 키 입력 버튼부는 문자 또는 숫자 등이 인쇄된 인쇄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쇄면은 개인휴대단말기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평판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키 입력 버튼부의 버튼들은 폴리 우레탄 필름이나 폴리 에틸렌 필름으로 이루어진 탄성 시트 상에 버튼들이 장착되고 탄성 시트는 이러한 버튼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탄성 시트와 버튼은 별개로 형성된다. 버튼은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사출에 의해 성형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시트 형상의 필름을 재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 이 중 재단에 의해 제공되는 버튼의 모서리는 날카롭거나 거칠게 되어 사용자가 버튼을 눌렀을 때 불쾌감이 생기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재단된 버튼을 상기 탄성 시트의 버튼 영역에 장착할 때, 버튼 영역의 크기 및 위치에 맞추어 버튼을 부착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버튼부의 버튼의 모서리가 날카롭거나 거칠지 않음으로써 키 터치감이 향상된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 입력 버튼부의 버튼이 버튼 영역에 장착될 때 버튼 영역의 크기 및 위치에 맞추어 부착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 입력부의 입체감을 살린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는 문자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버튼 영역이 정의되는 탄성 시트가 포함되며, 버튼 영역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수용 돌기를 포함하고, 수용 돌기 내에 수용되는 입력 버튼을 포함한다.
탄성 시트는 탄성 재질로 버튼 영역이 정의되는 영역을 포함하며 버튼 영역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시트는 버튼 영역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수용 돌기를 포함하고, 이때 수용 돌기는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버튼 영역이 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어 수용 돌기가 버튼 영역의 주변을 따라 링(ring)과 같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수용돌기가 연속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끊어지도록 형성되어 버튼 영역의 모서리 영역에 또는 일부에 대해서만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버튼 영역의 이격거리는 수용 돌기가 간섭을 받지 않는 만큼의 거리를 갖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 버튼 영역이 탄성 시트에 대해 사각형이 아닌 다른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수용 돌기의 형성 및 배치 상태도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버튼 영역과 수용 돌기는 탄성 시트의 표면에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탄성 시트를 구성하는 재질은 예를 들어 폴리 우레탄 필름 및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탄성을 가능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입력 버튼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버튼부에 사용 가능한 재질, 예를 들어 PET필름, 필름과 금속시트의 적층구조, 세라믹, 유리, 금속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형태, 종류, 및 구성 방식 등에 구애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시트는 탄성층 및 탄성층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10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100)는 탄성 시트(110), 버튼 영역(113), 수용 돌기(115) 및 입력 버튼(117)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시트(110)는 탄성 가능한 재질로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100)의 버튼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버튼부가 장착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 시트(110)는 버튼부가 정의되는 버튼 영역(113)과 버튼 영역(113)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수용 돌기(115)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 영역(113)은 탄성 시트(110)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버튼 영역(113)의 크기 및 면적은 장착되는 입력 버튼(117)의 크기 및 형태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며, 버튼 영역(113)의 크기 및 면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용 돌기(115)는 버튼 영역(113)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며, 수용 돌기(115)의 간격에 의해 버튼 영역(113)의 사이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 돌기(115)는 탄성 시트(110)의 표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버튼 영역(113)의 주변을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 영역(113)이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수용 돌기(115)는 버튼 영역(113)과 유사 또는 동일한 형태로 그 주변에 사각 링 구조로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 영역의 주변을 따라 하나로 이어지니 않고 모서리 영역에만 수용 돌기가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 버튼(117)은 탄성 시트(110)와 별개로 형성되어 탄성 시트(110) 표면에 제공되는 버튼 영역(113)에 장착된다. 이때, 입력 버튼(117)은 필름, 금속과 필름의 적측, 세라믹, 유리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버튼부에 사용되는 재질로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버튼 영역(113) 및 수용 돌기(115)가 탄성 시트(110)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버튼 영역(113)에 입력 버튼(117)을 수용하여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10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버튼 영역(113)과 수용 돌기(115)가 탄성 시트(110)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수용 돌기(115)가 입력 버튼(117)을 수용 가능한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 버튼(117)이 제작될 때 모서리 부분의 날카롭거나 거친 영역이 상기 수용 돌기(115)에 수용되면서 날카롭거나 거친 영역을 감싸게 되어 키패드(100)의 키 터치감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100)의 수용 돌기(115)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시트(110) 상에 수용 돌기(115)가 형성되어 있고, 수용 돌기는 버튼 영역(113)의 주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수용 돌기(115) 내에 각각의 입력 버튼(117)이 수용되고, 수용 돌기(115)는 각각의 입력 버튼이 탄성 시트(110)에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어 입력 버튼(117)을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수용 돌기(115)에 입력 버튼(117)이 수용되어 키 입력 버튼부가 키패드(10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버튼부가 입체감이 생긴 개인휴대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을 B~B 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시트(110) 표면에 수용 돌기(115)가 형성되고, 탄성 시트(110) 저면에는 누름 돌출부(125)를 포함하는 러버 시트(123)가 제공된다. 누름 돌출부(125)는 하부에 제공되는 돔 스위치(1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 버튼(117)이 눌러지게 되면 누름 돌출부(125)가 가압되어 이에 따라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돔 스위치(127) 등의 스위칭부에서 스위칭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탄성 시트(110) 표면에 형성되는 버튼 영역(113) 위로 입력 버튼(117)이 수용되게 되며, 수용된 입력 버튼(117)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100)의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수용 돌기(115)는 사각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수용 돌기(115)의 구조는 제품의 설치조건 및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예를 들어 삼각형, 부채꼴 등 입력 버튼(117)을 수용하는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는 수용 돌기(115)를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용 돌기(115a)는 직각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 돌기(115a)의 형성은 키 입력 버튼부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입력 버튼(117)으로 인하여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100)에 있어서 입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수용 돌기(115a)의 삼각형 형상에 따른 변형으로 사용자가 입력 버튼(117)을 누를 때, 사각형의 수용 돌기(115)보다 부드러운 키 터치감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형성된 수용 돌기(115a)는 입력 버튼(117)의 모서리 영역의 날카롭거나 거친 부분을 감싸게 되어 키패드(100)의 키 터치감을 향상할 수 있고, 버튼 영역(113)에 입력 버튼(117)이 삽입될 때 수용 돌기(115a)가 지지함으로써 입력 버튼(117) 삽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용 돌기(115)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 시트(110) 내부에 탄성 시트(110)를 지지해주는 지지층(121)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층(121)은 탄성 시트(110)의 탄성 현상을 유지하기 위해 포함하는 것으로써 상기 지지층(121)은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탄성 시트(110) 상에 장착되는 입력 버튼(117)은 각 버튼이 독립적으로 문자나 숫자 등이 입력되어야 한다. 이때 탄성 시트(110)에 포함되어 있는 지지층(121)이 입력 버튼(117)을 제한하거나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지지층(121)은 탄성 시트(110)보다 고경도 특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시트의 형상이나 프레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층(121)은 탄성 시트(110) 상에 형성되는 입력 버튼(117)의 크기 및 너비 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의 홀이 형성되는 시트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지층(121)은 탄성 시트(110)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탄성 시트(110)에 포함되도록 사각형 및 바둑판의 틀로 형성되는 프레임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의 지지층(121)은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지지층(121)이 적용될 수 있으며, 지지층(121)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지층(121)은 상기 탄성 시트(110)를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금속 및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층(121)의 재질로 인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층(121)이 포함되지 않았던 탄성 시트(110)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 영역(113)에 입력 버튼(117)을 장착하게 되면 탄성 시트(110)가 컬(curl)이 생기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러한 컬(curl)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 시트(110) 내에 지지층(121)을 포함하게 되면 탄성 시트(110) 상에 입력 버튼(117)이 부착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 시트(110)를 지지해주는 지지층(121)은 탄성 시트(110)가 사출될 때, 인서트 사출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키패드(100)의 키 터치감이 향상될 수 있으며, 키 입력 버튼부가 키패드(10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버튼부가 입체감이 생긴 개인휴대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버튼 영역(113)에 입력 버튼(117)이 수용될 때, 수용 돌기(115)가 지지함으로써 입력 버튼(117) 삽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나아가 탄성 시트(110)을 지지해 주는 지지층(121)으로 인하여 탄성 시트(110)의 형상을 유지하기가 용이해 질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버튼부의 버튼의 모서리가 날카롭거나 거칠지 않음으로써 키 터치감이 향상된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가 제공된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수용 돌기가 입력 버튼을 수용함으로써 입력 버튼 제작시 모서리의 날카롭거나 거친 부분을 감싸므로 사용자가 키 입력 버튼부의 버튼을 눌렀을 때 부드러운 질감을 받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 입력 버튼부의 버튼이 버튼 영역에 장착될 때 버튼 영역의 크기 및 위치에 맞추어 부착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 입력부의 입체감을 살릴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문자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복수개의 버튼 영역이 정의되는 탄성 시트;
    상기 버튼 영역을 독립적으로 구별하기 위해 상기 버튼 영역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수용 돌기; 및
    상기 수용 돌기 내에 수용되는 입력 버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튼은 필름, 금속 시트에 의해 지지되는 필름, 세라믹, 유리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돌기는 상기 입력 버튼의 주변을 따라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돌기는 사각형, 또는 삼각형, 또는 부채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시트는 탄성 재질로 형성된 탄성층 및 상기 탄성층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금속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상기 탄성 재질보다 고경도 특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시트 또는 프레임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시트의 저면에 포함되는 상기 금속 시트는 인서트 사출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시트는 폴리 우레탄 필름 및 폴리 에틸린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KR1020070002493A 2007-01-09 2007-01-09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KR100874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493A KR100874685B1 (ko) 2007-01-09 2007-01-09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493A KR100874685B1 (ko) 2007-01-09 2007-01-09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398A true KR20080065398A (ko) 2008-07-14
KR100874685B1 KR100874685B1 (ko) 2008-12-18

Family

ID=39816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493A KR100874685B1 (ko) 2007-01-09 2007-01-09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93567A (zh) * 2023-11-06 2023-12-08 康惠(惠州)半导体有限公司 一种具备按键功能的玻璃盖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288Y1 (ko) * 2005-09-26 2005-12-08 주식회사 케이비에프 단일공정에 의한 이엘 일체형 키패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93567A (zh) * 2023-11-06 2023-12-08 康惠(惠州)半导体有限公司 一种具备按键功能的玻璃盖板
CN117193567B (zh) * 2023-11-06 2024-03-22 康惠(惠州)半导体有限公司 一种具备按键功能的玻璃盖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685B1 (ko)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0221B2 (en) Protective cushion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9498032B2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hard tactile buttons
US6705787B2 (en) Protective keyboard cover
EP1018680A2 (en) Touch Screen overlay apparatus
US5193924A (en) Cap cover for keyboard keys
CN101238532A (zh) 具有显示功能的键输入装置和具有该装置的便携式电子设备
GB2079061A (en) Keyboard devices and switches thereof
US7375297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tactile feel for keyboards and button assemblies
EP2106102B1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housing with key buttons coupled thereto
KR100874685B1 (ko)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EP2591486B1 (en) Modular keyboard assembly
US20120189369A1 (en) Keyboard and protective cover thereof
KR100950886B1 (ko) 키 프레임 및 누름 버튼 스위치용 커버 부재
JP2009110778A (ja) キーシート
JP4615106B2 (ja) フラットキーボード
GB2353762A (en) Keypad with multi-directional key of greater rigidity than the keypad membrane
CA2772749C (en) Keypad having a curved shape
JP3060095U (ja) キーボードのフィルムスイッチ
EP2622435B1 (en) A keypad
US20120274485A1 (en) Keypad having a curved shape
JP4362361B2 (ja) キーシート
JP3063681U (ja) キ―ボ―ドのキ―スイッチ構造
US20190146666A1 (en) Display device
JP2000040436A (ja) クリックドームシート
KR200247563Y1 (ko) 휴대폰용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