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021A -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 - Google Patents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021A
KR20080065021A KR1020070001856A KR20070001856A KR20080065021A KR 20080065021 A KR20080065021 A KR 20080065021A KR 1020070001856 A KR1020070001856 A KR 1020070001856A KR 20070001856 A KR20070001856 A KR 20070001856A KR 20080065021 A KR20080065021 A KR 20080065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water
user
valve
manual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030B1 (ko
Inventor
강장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임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임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임창산업
Priority to KR102007000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030B1/ko
Publication of KR2008006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02Self-closing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에 관한 것으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에서 수동조작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근접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어 사용자가 자리를 떠난 후 자동으로 출수가 되기 전에 사용자가 수동조작버튼(레버)을 조작하게 되면, 수동조작버튼(레버)에 의한 수동출수동작과 센서 감지에 의한 솔레노이드의 개방에 의한 자동출수동작이 중복되어 물이 낭비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근접센서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후 용변을 보고 자리를 떠나기 전에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를 조작할 경우, 내부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출수대기상태가 해제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자리를 떠나더라도 자동출수가 방지됨으로써 중복 출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동조작버튼(레버)의 조작 여부는 수동조작버튼의 움직임이나 수동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내부 피스톤이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는 스위치 또는 센서의 감지신호 또는 변기 측으로 연결된 출수구에 설치된 수류센서에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판정된다.
중복 출수, 방지, 프레시밸브, 절수, 센서, 감지, 해제

Description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 {A sensor type flush-valve with preventing function from double flush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의 상부 커버를 일부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의 단면도,
도 2b는 수동조작버튼을 누른 경우 수동출수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의 회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프레시밸브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프레시밸브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시밸브 몸체 2 : 피스톤
2a : 작동봉 3 : 입수라인
4 : 출수라인 5 : 캡
6 : 상부 커버 7 : 하부 커버
10 : 근접센서 20 : 마이컴
30 : 솔레노이드밸브 40 : 수동조작버튼(레버)
50 : 감지수단(스위치 또는 센서)
C : 상부공간
본 고안은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에 관한 것으로, 근접센서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후 용변을 보고 자리를 떠나기 전에 사용자가 자동으로 출수되는 것을 모르고 무심결에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를 조작할 경우, 이 수동조작을 스위치 또는 센서 등의 감지수단이 감지하여 마이컴에 설정되어 있는 자동출수대기상태가 해제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자리를 떠나더라도 자동출수가 방지됨으로써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공중화장실에는 대변기 또는 소변기에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가 설치되어 자동으로 출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데, 이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에는 전원이 나가거나 제어회로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변기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수동조작버튼 또는 레버가 부착된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가 부착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는 사 용자가 무심결에 또는 자동출수방식이 아닌 것으로 착각하여 프레시밸브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출수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허다하며, 사용자가 자리를 떠난 후 마이컴 내부의 프로그램에 의해 한 번 더 자동으로 출수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는 세척수가 두 번이나 출수 됨으로써 물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에서 수동조작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어 사용자가 자리를 떠난 후 자동으로 출수가 되기 전에 사용자가 수동조작버튼 또는 레버를 조작하면 수동출수동작이 이루어지되, 근접센서의 감지에 의한 솔레노이드의 개방으로 인한 자동출수동작이 중복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근접센서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후 용변을 보고 자리를 떠나면 솔레노이브밸브가 개방되어 자동출수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에 있어서,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를 조작할 경우 내부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출수대기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수동조작버튼(레버)의 조작 여부는 수동조작버튼의 움직임이나 수동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내부 피스톤이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는 스위치 또는 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판정되거나 변기 측으로 연결된 출수구에 설치된 수류센서에서의 출수 감지신호에 의해 판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의 회로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는 근접센서(10)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자동출수대기상태가 유지되고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자리를 떠나는 것을 감지하면 이 신호에 의해 마이컴(20)이 솔레노이브밸브(30)를 개방하여 자동출수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에 있어서,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40)를 조작할 경우 이를 감지수단(50)이 감지하여 마이컴(20)에 감지신호를 보내면 상기 마이컴(20)에서의 자동출수대기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감지수단(50)은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40) 측에 설치된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의 센서 또는 스위치로서,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40)의 눌림 동작 또는 꺾임 동작을 감지하고 여기서 감지된 신호는 마이컴(20)으로 전송된다.
도면 중 부호 1은 프레시밸브 몸체이고, 2는 프레시밸브 몸체(1)의 내측에 설치되어 승강 작동하는 피스톤이며, 부호 3은 수도관 측으로 연결된 입수라인이고, 부호 4는 변기 측으로 연결된 출수라인이다.
또, 부호 5는 상기 프레시밸브 몸체(1)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이며, 이 캡(5) 위에 센서(10), 마이컴(20) 및 솔레노이드밸브(30)가 설치되어 있고, 부호 6 및 부호 7은 이들 센서, 마이컴(20) 및 솔레노이드밸브(30)를 보호하기 위한 한 쌍의 상,하부 커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프레시밸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0)는 항시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대기상태(S11)에 있으며,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접근을 하게 되면 센서(10)가 이를 감지하여(S2) 마이컴(20)에 감지신호를 보내고, 마이컴(20)에서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출수대기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은 자동출수대기상태에서 감지수단(40)은 사용자가 수동조작버튼(40;또는 레버)을 조작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게 되며(S13), 사용자가 수동조작버튼(40)을 조작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출수대기상태가 계속 유지되면서 근접센서(10)에 의해 사용자가 용변을 마치고 자리를 떠났는지의 여부를 판단(S14)하여 자리를 떠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밸브(30)에 구동신호를 송출함으로써 프레시밸브 몸체(1) 내부의 피스톤(2)을 누르고 있던 상부 공간(C)의 작동수가 개방된 솔레노이브밸브(30)를 경유하여 출수라인(4)측으로 배출됨으로써 피스톤(2)이 상승하여 입수라인(3) 측의 물이 출수라인(4)측으로 배출되어 변기의 내부를 세척하게 된다.
한편, 위 자동출수대기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심코 또는 실수로 수동레버(40)를 조작한 경우(S13)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 하부의 작동봉(2a)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면서 상부 공간의 작동수가 작동봉(2a) 상단과 피스톤(2) 사이의 개방된 유로를 통해서 출수라인(4)측으로 배출됨으로써 피스톤(2)이 상승하여 입수라인(3) 측의 물이 출수라인(4)측으로 배출되어 변기의 내부를 세척하게 되며, 이때 감지수단(50)에서 감지된 신호는 마이컴(20)으로 전송됨으로써 자동출수대기상태가 해제되어 다시 원래의 감지대기상태(S11)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동조작에 의한 피스톤의 상승 및 출수동작과 솔레노이드밸브의 개방에 의한 피스톤의 상승 및 출수동작은 기존의 센서감지식 및 수동조작식 프레시밸브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프레시밸브의 단면도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수동조작버튼(40) 측에 감지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캡(5)의 중앙 부근에 감지수단(50)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수동조작버튼(40)을 조작하게 되면 작동봉(2a) 이 기울어지면서 피스톤(2)이 상승하게 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동 출수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첫 번째 실시 예에서보다 전기적인 배선 등을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프레시밸브의 단면도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수동조작버튼(40)의 조작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50)으로 도시 안 된 변기 측으로 연결된 출수구 측에 설치된 수류(水流)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동조작버튼이 설치된 감지식 프레시밸브에서 센서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후 용변을 보고 자리를 떠나기 전에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를 조작할 경우, 내부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출수대기 상태가 해제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자리를 떠나더라도 자동출수가 방지됨으로써 중복 출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본 발명은 물의 낭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센서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후 용변을 보고 자리를 떠나면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브밸브가 개방되어 자동출수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된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에 있어서;
    센서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상태(자동출수대기 상태)에서 상기 수동조작버튼이나 레버를 조작할 경우, 마이컴의 내부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출수대기 상태가 해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작버튼(레버)의 조작 여부는 수동조작버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스위치나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작버튼(레버)의 조작 여부는 내부 피스톤이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는 스위치나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작버튼(레버)의 조작 여부는 변기 측으로 연결된 출수구에 설치된 수류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
KR1020070001856A 2007-01-08 2007-01-08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 KR100864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856A KR100864030B1 (ko) 2007-01-08 2007-01-08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856A KR100864030B1 (ko) 2007-01-08 2007-01-08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021A true KR20080065021A (ko) 2008-07-11
KR100864030B1 KR100864030B1 (ko) 2008-10-16

Family

ID=3981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856A KR100864030B1 (ko) 2007-01-08 2007-01-08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0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5221A (zh) * 2011-12-22 2012-04-25 厦门立业卫浴工业有限公司 一种轻触式双排水阀
KR101418571B1 (ko) * 2012-12-18 2014-07-14 광주광역시 광산구 커버 연동형 물내림핸들이 구비된 좌변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156A (ja) * 1998-05-26 1999-12-07 Is:Kk 水洗便所制御装置
KR20010000758U (ko) * 1999-06-18 2001-01-15 김규수 좌변기용 자동 배수장치
KR200320587Y1 (ko) 2003-04-22 2003-07-25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비데의 자동물내림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5221A (zh) * 2011-12-22 2012-04-25 厦门立业卫浴工业有限公司 一种轻触式双排水阀
KR101418571B1 (ko) * 2012-12-18 2014-07-14 광주광역시 광산구 커버 연동형 물내림핸들이 구비된 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030B1 (ko)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881B1 (ko) 비데로의 물공급을 안내하는 물공급장치가 구비된후레쉬밸브 직수형 변기의 자동 물내림 시스템
KR100457640B1 (ko) 지능형 수세식 변기 배수장치
US7028975B2 (en) Flush valve structure
KR100864030B1 (ko) 중복 출수 방지기능을 갖는 센서감지식 프레시밸브
KR20050015001A (ko) 비데와 연계된 변기 절수장치 및 방법
KR20100011360U (ko) 절수형 전자변기
KR100980398B1 (ko) 수압 및 인체하중을 이용하여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에무전원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로제어장치
KR20120095545A (ko) 누수감지장치를 갖는 수세변기 및 누수감지방법
EP1426502A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lavatory flush tank
JP5331013B2 (ja) 水洗便器及び水洗便器におけるオーバーフロー防止方法
KR101207635B1 (ko) 양변기의 물내림 장치
CN108411984A (zh) 一种水箱的自动补水装置
KR102328090B1 (ko) 수세 겸용 소변기
EP3064664A1 (en) Automatic system and method for flushing a sanitary bowl
KR101221835B1 (ko) 자동물내림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JP2006112092A (ja) フラッシュバルブの駆動装置
KR200405763Y1 (ko) 자동 물내림 및 절수 기능이 구비된 비데 장치
KR20060058060A (ko) 직수와 저장수를 동시에 사용하는 양변기
US11230832B2 (en) Toilet system
KR101359727B1 (ko) 리모콘 방식의 절수형 변기기구
KR20100007498U (ko) 양변기탱크 자동급수장치.
RU2739216C1 (ru) Конструкция смарт-унитаза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смывом
KR930000726Y1 (ko) 양변기의 물방출 자동 알림장치
KR200389176Y1 (ko) 수세식 변기의 절수 장치
KR200290870Y1 (ko) 분뇨자동배출제어장치가 구비된 자연배출식 수세변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