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014A - 문짝 위치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문짝 위치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014A
KR20080065014A KR1020070001835A KR20070001835A KR20080065014A KR 20080065014 A KR20080065014 A KR 20080065014A KR 1020070001835 A KR1020070001835 A KR 1020070001835A KR 20070001835 A KR20070001835 A KR 20070001835A KR 20080065014 A KR20080065014 A KR 20080065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hinge
heigh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식
박상철
Original Assignee
(주)좋은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좋은문 filed Critical (주)좋은문
Priority to KR1020070001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5014A/ko
Publication of KR20080065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문짝 위치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문짝 위치 조절 장치는, 문틀 힌지축을 지지하는 수평방향의 지지면 및 수직방향의 조절면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조절홈을 포함하는 힌지 홀더부; 상기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고, 그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하운동함으로써 지지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문틀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수나사가 체결되도록 내부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운동하는 지지면이 상기 문틀 힌지축을 상하운동시킴으로써 문짝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틀의 설치중 혹은 설치후에도 문의 해체없이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문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짝 위치 조절 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position of door}
도 1은 문과 문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짝 위치 조절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문짝 위치 조절 장치가 설치된 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짝 위치 조절 장치가 설치된 문틀의 문측 일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짝 힌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가로 체결홈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에 따른 문짝 위치 조절 장치가 장착된 문의 실제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문짝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틀의 설치 중 혹은 설치후에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문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문과 문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문짝(101)은 문짝 힌지(103)와 문틀 힌지(104)를 통해 문틀(102)과 체결된다. 방온, 방음 등의 이유로 문틀과 문짝의 틈은 매우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제 제조상의 오차로 인해 그 틈이 일정하지 않다. 특히, 문짝과 문틀은 완성품의 형태로 시장에 출시되고, 건물의 시공 시에 벽면에 문짝과 문틀이 동시에 혹은 문틀->문짝의 순서로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문틀 및 문짝의 제조후 문틀과 문짝의 간격을 조절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틀의 설치시 혹은 설치후에도 문틀과 문짝의 간격 특히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문짝 위치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보다 작은 힘으로 무거운 문짝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문짝의 위치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보다 정교하게 문짝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문틀의 설치중 혹은 설치후에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높이 조절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문짝 위치 조절 장치는, 문틀 힌지축을 지지하는 수평방향의 지지면 및 수직방향의 조절면을 포함하고, 상기 조 절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조절홈을 포함하는 힌지 홀더부; 상기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고, 그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하운동함으로써 지지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문틀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수나사가 체결되도록 내부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지지면이 상기 문틀 힌지축을 상하운동시킴으로써 문짝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에는 상기 높이 조절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막대부재가 삽입되는 회전부재 삽입공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그 가로 단면이 렌치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홈에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변형된 높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일 말단이 문틀에 접합되고, 다른 말단에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문틀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 문틀 힌지; 및
상기 문틀 힌지와 체결되는 문짝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짝 힌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상인 가로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체결홈을 통과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문틀 힌지와 문짝 힌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로 체결홈은 2개 이상의 가로체결홈이 수직방향에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로 체결홈은 2개 이상의 가로체결홈이 가로방향으로 서로 중첩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틀은, 문틀 힌지, 문짝 힌지 및 상기 문틀 힌지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문짝 상하 이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 이동 장치는, 문틀 힌지축을 지지하는 수평방향의 지지면 및 수직방향의 조절면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조절홈을 포함하는 힌지 홀더부; 상기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고, 그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하운동함으로써 지지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및 문틀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수나사가 체결되도록 내부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운동하는 지지면이 상기 문틀 힌지축을 상하운동시킴으로써 문짝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문틀의 일면에는 힌지의 이동 유격을 제공하기 위한 공간인 힌지 삽입공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문틀의 일면에는 작업자가 막대부재 혹은 렌치를 포함하는 작업기구를 상기 문틀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공간인 작업공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짝 위치 조절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문짝 위치 조절 장치가 설치된 문의 단면도이다.
문짝 위치 조절 장치(200)는 문틀(102)의 힌지가 설치되는 기둥 내부에 설치되며, 힌지 홀더부(210), 높이 조절부(220) 및 하부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A 방향은 문틀이 위치하는 방향이고, B 방향은 벽면이 위치하는 방향이다.
힌지 홀더부(210)는 문틀 힌지축(105)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한다. 힌지 홀더부(210)는 수평방향의 지지면(214) 및 수직방향의 조절면(216)을 포함한다. 문틀 힌지축(105)은 수평방향의 지지면(214)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조절면(216)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홈의 형상인 조절홈(217)을 포함한다. 조절홈(217)은 체결부재(242)에 의해 문틀(102)에 체결된다. 문틀 힌지(104)는 힌지공(109)을 통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힌지축(105)에 체결된다. 문틀 힌지(104)는 문짝 힌지(미도시)와 체결됨으로써 문과 문틀이 체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도 2와 같이, 지지면(214)은 상부 및 하부 지지면으로 구성되고, 문틀 힌지축은 상부 및 하부 지지면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한다. 도 2에서 조절면(216)은 상부 및 하부 모두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둘 중 하나 만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높이 조절부(220)는 기둥형상으로서 힌지 홀더부(210)의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면(214)을 지지하며 나사회전에 의해 상하운동함으로써 지지면의 높이를 조절한다. 높이 조절부(220)는 하부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하부 지지부(230)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와 나사원리로 체결된다.
높이 조절부(220)는 몸체(222), 및 나사부(226)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 및 나사부는 서로 동심축을 가지는 기둥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이하게 회 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서, 높이 조절부(220)는 높이 조절부(2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재 삽입공(224)을 포함한다. 회전을 위한 토크를 용이하게 가하기 위함이다. 회전부재(미도시)는 회전부재 삽입공(220)에 삽입된 후 작업자에 의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토크가 가해지며, 이에 따라 작은 힘으로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부재 삽입공(224)은 몸체(222) 및 나사부(226) 어느 쪽에도 모두 구현가능하다.
하부 지지부(230)는 높이 조절부(220)의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가 체결되도록 높이 조절부(220)와 동심축상의 내부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삽입공(232)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높이 조절부(220)를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지지한다. 하부 지지부(230)는 접합면(234)이 문틀(102)의 내부면에 접합됨으로써 문틀에 고정된다. 접합방법은 용접 등이며, 용접이 용이하도록 접합면(234)은 편평한 형상이다.
체결부재(242)는 문틀(102)의 관통공(243)->조절홈(217)을 차례로 관통하고 별도의 너트 등을 이용해 고정됨으로써 힌지 홀더부(210)를 문틀(102)에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문짝 위치 조절 장치(200)는 고정부(24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고정부(240)는 내부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공(241)을 포함하고, 그 일 말단이 문틀에 접합된다. 고정부(240)의 추가에 의해, 체결부재(242)는 문틀(102)의 관통공(243)->조절홈(217)을 통과한 후 별도의 체결부재(너트)에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공(241)에 체결된다. 이에 의해 별도의 체결부재 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이 용이해진다. 고정부(240)는 문틀(102)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일 말단이 문틀(102)에 접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문틀(102)에는 힌지의 이동 유격을 제공하기 위한 공간인 힌지 삽입공(112)이 형성된다. 특히 힌지 삽입공(112)은 문틀 힌지(104)가 문틀(102)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상일 때, 즉 문틀 힌지축(105)이 문틀(102)내부에 위치할 때 문틀 힌지(104)가 문틀 내부로부터 문틀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해준다. 이 공간을 통해 문틀 힌지(104)는 좀더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며, 문틀 힌지의 다양한 형상의 구현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문틀(102)에는 문틀의 문측 일면(A 방향) 에 작업공(114)이 형성된다. 작업공(114)은 작업자가 높이 조절부(220)를 회전시키기 위해 작업부재를 사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작업자는 높이 조절부(220)를 회전시키기 위해 막대를 회전부재 삽입공(224)에 삽입할 수 있고 이 공간을 통해 막대( 도 4의 도면부호 40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증가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짝 위치 조절 장치가 설치된 문틀의 문측 일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02)의 문측 일면(A 방향의 면)에는 힌지 삽입공(112)과 작업공(114)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삽입공(112)을 통해 작업공(114)을 통해 문틀 힌지(104)는 힌지 홀더부(210)로부터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문 힌지(미도시)와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접합 가능할 수 있다. 힌지 삽입 공(112)의 길이는 문틀 힌지(104)가 상하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문틀 힌지(104)의 세로길이보다 상하 유격 u 만큼 더 길어야 한다.
도 2,3,4 에 따라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조절 장치(200)는 문틀의 기둥의 내부공간(107) 에 위치하며, 특히 문틀(102)의 문측 일면에 부착된다. 사용자는 막대부재(401)를 회전부재 삽입공(224)에 삽입후 막대부재를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높이 조절부(220)를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높이 조절부(2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높이 조절부(220)는 상부로 이동한다. 상부로 이동하는 높이 조절부(220)는 힌지 홀더부(210)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부로 이동시킨다. 힌지 홀더부(210)는 그 내부에 힌지축(105)을 포함 및 지지하고 있고, 힌지축(105)은 문틀 힌지(104)에 체결되어 있으며, 문틀 힌지(104)는 문짝(미도시)에 체결된 문 힌지(미도시)에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문짝(104)은 상부로 이동한다. 높이를 하강시킬 때는 상기 동작의 반대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문짝의 설치시 혹은 설치 후에도 문짝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문의 제조 시에, 문짝과 문틀은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힌지는 사용에 의해 유격이 발생하거나 최초부터 잘못 결합되어 제대로 결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러한 완성품을 작업자가 건물에 설치할 때 문짝의 높이를 다시 조정하는 것은 힌지를 분리하여 재조립하는 등 작업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거나제조품에 따라 아예 불가능한 경우도 허다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문틀(102)내부에 포함된 높이 조절부(220)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 자가 보다 용이하게 문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문짝의 재료가 철등의 금속일 경우 문짝의 하중은 매우 큰데, 본 발명은 높이 조절 원리를 나사회전 원리를 채용했으므로, 이러한 무거운 하중을 버틸 수 있음과 동시에 정교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짝 힌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문짝 힌지에도 변형을 가함으로써 문짝을 상하방향(수직방향)뿐 아니라 좌우방향(수평방향)으로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문짝 힌지(500)는 문틀 힌지(104)와 체결된다. 문짝 힌지(500)는 문짝 측에 접합되는 힌지이고, 문틀 힌지(104)는 문틀에 접합되는 힌지이다(도 1참고).
문짝 힌지(500)는 문짝 힌지(500)를 문짝에 접합하기 위한 문짝 접합면(510)과 문짝 힌지(500)를 문틀 힌지(104)와 체결하기 위한 힌지 체결면(520)을 포함한다. 힌지 체결면(520)에는 가로 체결홈(522)을 포함한다. 가로 체결홈(522)은 수평방향, 즉 x 방향으로 연장된 홈의 형상이며, 체결부재(524)가 통과한다. 체결부재(524)는 가로 체결홈(522)을 통과하여 문틀 힌지(104)의 문틀 체결공(104)에 체결된다. 체결부재(524)와 문틀 체결공(104)의 체결 위치는 변할 수 없지만, 가로 체결홈(522)의 체결위치는 고정되지 않고 가로방향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체결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결국 문짝의 가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의 문짝힌지가 부착된 위치 조절 장치에 의하면, 작업자는 문짝의 수직 방향 뿐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용이하게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는 문짝의 설치 후에도 마찬가지이다.
가로 체결홈(522)은 복수개가 구현가능하며, 다양한 위치에 형성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가로 체결홈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문짝 힌지(610)에서는 가로 체결홈(611,612,613)이 수직축에서 길이 t 만큼 서로 어긋난 위치에 위치한다. 물론 체결부재(도 5의 524) 및 체결공(도 5의 108)도 또한 서로 어긋난 위치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체결위치가 가로방향으로 변형 가능할 뿐 아니라, 세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복수개의 가로 체결홈의 체결위치가 서로 상이하므로, 문짝의 뒤틀림 등 문틀과 문짝의 위치를 x 방향 및 y 방향이 아닌 불규칙한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힘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다.
제 2 문짝 힌지(620)에서는 가로 체결홈(621,622,623,624)이 가로 방향으로 중첩되어 형성된다. 즉 가로체결홈(621,622)이 수직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여 1군을 이루고, 수직방향에서 1군과 상이한 위치에 가로체결홈(623,624)이 2군을 형성하여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점이 가로 및 세로 방향에 대해 모두 중첩되므로, 역시 불규칙한 방향의 변형력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다.
홈의 길이 a 는 체결부재가 체결가능한 가변 위치를 나타내며, 결국 변형가능한 문짝의 가로방향 위치의 범위를 나타낸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높이 조절부(701)는 몸체(711)에 회전부재 삽입공(7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회전부재를 이용하여 제1높이 조절부(701)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높이 조절부(702)는 몸체(712)에 회전부재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몸체(711)의 단면이 육각 혹은 팔각의 다각형 형상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렌치 등을 이용하여 제2높이 조절부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제3 높이 조절부(703)는 제1 및 제2 높이 조절부가 조합된 형상이다. 작업자는 작업 시에 적절한 부재, 즉 막대 혹은 렌치 등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높이 조절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에 따른 문짝 위치 조절 장치가 장착된 문의 실제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조절 장치는 문틀의 내부면에 숨어 있어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작업 시에는 작업공을 통해 작업자가 용이하게 높이 조절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짝 위치 조절 장치에 의하면, 문틀의 설 치시에 혹은 문틀의 설치 후에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문틀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이 조절 장치가 나사회전에 의해 구동되므로, 하중이 큰 문짝도 적은 힘으로 쉽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나사회전에 의해 높이 조절이 정교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짝 힌지에 의해 문짝의 가로방향의 위치 조절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문틀의 설치중 혹은 설치 후에도 작업자는 문틀의 해체 없이 간편하게 문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Claims (11)

  1. 문틀 힌지축을 지지하는 수평방향의 지지면 및 수직방향의 조절면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조절홈을 포함하는 힌지 홀더부;
    상기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고, 그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하운동함으로써 지지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문틀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수나사가 체결되도록 내부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지지면이 상기 문틀 힌지축을 상하운동시킴으로써 문짝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위치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에는 상기 높이 조절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막대부재가 삽입되는 회전부재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위치 조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그 가로 단면이 렌치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위치 조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홈에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변형된 높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위치 조절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일 말단이 문틀에 접합되고, 다른 말단에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위치 조절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 문틀 힌지; 및
    상기 문틀 힌지와 체결되는 문짝 힌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짝 힌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상인 가로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체결홈을 통과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문틀 힌지와 문짝 힌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위치 조절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체결홈은 2개 이상의 가로체결홈이 수직방향에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위치 조절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체결홈은 2개 이상의 가로체결홈이 가로방향으로 서로 중첩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위치 조절 장치.
  9. 문틀 힌지, 문짝 힌지 및 상기 문틀 힌지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문짝 상하 이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 이동 장치는,
    문틀 힌지축을 지지하는 수평방향의 지지면 및 수직방향의 조절면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조절홈을 포함하는 힌지 홀더부;
    상기 지지면의 하부에 위치하고, 그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하운동함으로써 지지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 및
    문틀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수나사가 체결되도록 내부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회전에 의해 상하운동하는 지지면이 상기 문틀 힌지축을 상하운동시킴으로써 문짝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일면에는 힌지의 이동 유격을 제공하기 위한 공간인 힌지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일면에는 작업자가 막대부재 혹은 렌치를 포함하는 작업기구를 상기 문틀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공간인 작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KR1020070001835A 2007-01-08 2007-01-08 문짝 위치 조절 장치 KR20080065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835A KR20080065014A (ko) 2007-01-08 2007-01-08 문짝 위치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835A KR20080065014A (ko) 2007-01-08 2007-01-08 문짝 위치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014A true KR20080065014A (ko) 2008-07-11

Family

ID=3981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835A KR20080065014A (ko) 2007-01-08 2007-01-08 문짝 위치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50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5498A (en) Door and window hinge which is adjustable during and after installation
RU2431029C2 (ru) Шарниры и их составные элементы
CN103512298B (zh) 具有门铰链组件的制冷器具
DE10044213C2 (de) Vorrichtung für eine hängende Befestigung von Projektoren
US9549643B2 (en) Adjustable curved door assembly
KR200462076Y1 (ko) 창호지지용 브라켓
ITBZ20080025A1 (it) Sistema consistente in profilati ed elementi di giunzione per la realizzazione di strutture portanti
CN105350848B (zh) 一种三维可调暗铰链
WO2006112799A1 (en) The hanger for adjustable wall-mounting of furniture, particularly hanging one, and procedure of hanging furniture onto it
KR20080065014A (ko) 문짝 위치 조절 장치
KR100970845B1 (ko) 창호 설치용 고정구
EP3064112B1 (en) Locking device and shower room assembly
RU2362950C1 (ru) Холодильник
KR101011267B1 (ko) 레일용 슬라이더 장치
KR200402042Y1 (ko) 스프링클러설비의 신축배관 설치높이장치
US20160177595A1 (en) Leaf of a Sliding Window or Sliding Door and Sliding Window or Sliding Door Provided with Such a Leaf
JP5452728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及びエレベータのかご
JP5681499B2 (ja) 建具枠調整具及びこれを用いた建具枠調整構造
KR101753462B1 (ko)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KR102458010B1 (ko) 슬라이딩 요소를 위한 조절 가능한 안내 장치
JP2014169573A (ja) 天井吊り金具及び天井下地材支持構造
CN213898573U (zh) 一种可多向调节的合页
JP5188929B2 (ja) 吊り戸装置
KR100267818B1 (ko) 벽 구성 조립체의 이동용 장치
KR200352618Y1 (ko) 장식대용 지주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