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920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920A
KR20080063920A KR1020070000525A KR20070000525A KR20080063920A KR 20080063920 A KR20080063920 A KR 20080063920A KR 1020070000525 A KR1020070000525 A KR 1020070000525A KR 20070000525 A KR20070000525 A KR 20070000525A KR 20080063920 A KR20080063920 A KR 20080063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creen
sub
key
sel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남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3920A/ko
Publication of KR2008006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된 영상신호를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표시하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주화면 및 부화면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선택부와; 주화면과 부화면 중 채널을 변경할 화면을 선택하는 화면선택부와; 채널선택부로부터 채널이 선택되면 화면선택부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화면선택부가 선택된 경우 채널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여 부화면의 채널을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주화면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키를 부화면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키로 사용하므로, IP 기능을 위해 필요한 키를 간략화할 수 있으며, 숫자키를 이용하여 부화면의 채널을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바로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록도이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입력부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신호입력부 20: 신호처리부
30: 디스플레이부 40: 사용자입력부
50: 제어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PIP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각각 처리하여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주화면을 통해 시청하는 도중 PIP 기능을 실행시키면 주화면의 일정영역에 부화면이 오버랩되어 표시되며, 부화면을 통해 다른 채널을 시청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 예컨대, 주화면에 방송신호가 표시되고, 부화면에 DVD Player, VTR, 게임기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디스플레이장치는 부화면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키는 따로 마련되지 않거나, 또는 방향키만이 마련되어 있어, 주화면의 채널을 전환하는데 비해 부화면의 채널을 전환하는데 많은 조작을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따랐다. 예컨대, 현재 부화면의 채널이 CH 3인 경우, CH 27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방향키를 여러번 입력해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부화면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키가 별도로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PIP 기능을 실행시키는 키와, 주화면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키와, 부화면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키가 마련되어야 하므로, 수많은 키가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화면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키를 부화면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키로 사용하므로, PIP 기능을 위해 필요한 키를 간략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주화면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 마련된 방향키와 숫자키로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숫자키를 이용하여 부화면의 채널을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바로 전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입력된 영상신호를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표시하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 및 부화면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선택부와;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 중 채널을 변경할 화면을 선택하는 화면선택부와; 상기 채널선택부로부터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화면선택부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화면선택부가 선택된 경우 상기 채널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여 상기 부화면의 채널을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선택부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채널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여 상기 주화면의 채널을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채널선택부는 숫자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선택부가 선택되고 상기 숫자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숫자키에 대응하여 상기 부화면의 채널을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입력된 영상신호를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표시하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 및 부화면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선택부가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 중 채널을 변경할 화면을 선택하는 화면선택부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선택부가 선택된 경우, 상기 채널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여 상기 부화면의 채널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면선택부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채널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여 상기 주화면의 채널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용자입력부(40)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입력부(10), 신호처리부(20), 디스플레이부(30), 사용자입력부(40),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신호입력부(10)를 통해 복수의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신호입력부(10)는 주화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와, 부화면에 대응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튜너가 복수개의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신호입력부(10)는 외부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접속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미도시)는 다양한 포맷의 영상신호가 입력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접속부(15)는 영상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D-Sub 커넥터, CVBS(Composite Video Broadcast Signal) 커넥터, S-비디오 커넥터나 컴포넌트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20)는 신호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30)가 출력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신호입력부(10)는 주화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주화면신호처리부(미도시)와, 부화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부화면신호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처리부(20)는 입력된 데이터의 포맷(format)에 대응하여 다양한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예컨대, 다양한 포맷의 영상데이터를 일정 포맷의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팅 기능, 디지털 영상신호 또는/및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30)의 출력 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을 조절하는 스케일링 기능 및 소정의 포맷 변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는 신호처리부(20)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으로,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PDP(Plasma Display Penal)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30)에는 PIP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주화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표시되며, PIP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 주화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와 부화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40)는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키 등을 구비하며, 리모콘 또는 케이싱에 마련된 메뉴 키와, 키 조작에 대응하여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 신호발생 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입력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화면 또는 부화면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숫자키(41)와 방향키(42)를 갖는 채널선택부(41, 42)와, 주화면과 부화면 중 채널을 변경할 화면을 선택하는 화면선택부(45)(45)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면선택부(45)는 선택여부에 따라 주화면과 부화면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이 변경된다. 즉, 화면선택부(45)가 선택되지 않으면 주화면의 채널을 변경되며, 화면선택부(45)가 선택되면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된다.
또한, 사용자입력부(40)는 PIP 기능의 활성화여부를 선택하는 PIP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사용자입력부(40)로부터 키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마이컴, CPU 등의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를 설명함에 있어, PIP 기능이 활성화되어 부화면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채널선택부(41, 42)로부터 채널이 선택되면, 화면선택부(45)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화면선택부(45)가 선택되면 채널선택부(41, 42)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여 부화면의 채널을 전환하고, 화면선택부(45)가 선택되지 않으면 채널선택부(41, 42)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주화면의 채널을 전환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50)는 화면선택부(45)가 선택되고, 채널선택부(41, 42)를 통해 채널이 선택되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여 부화면의 채널을 전환한다. 그리고, 화면선택부(45)가 선택되지 않고, 채널선택부(41, 42)를 통해 채널이 선택되면, 제어부(50)는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여 주화면의 채널을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현재 주화면의 채널이 5이고, 부화면의 채널이 10이라고 하자. 이때, 채널선택부(41, 42)에 포함된 숫자키(41)를 통해 20이 선택되면, 제어부(50)는 화면선택키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화면선택키가 선택되었으면 부화면의 채널을 10에서 20으로 전환하고, 화면선택키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주화면의 채널을 5에서 20으로 전환한다.
여기서, 제어부(50)는 사용자입력부(40)로부터 키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입력부(40)의 각 키는 고유의 코드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입력된 키 신호의 코드(code)를 확인하여 선택된 키를 알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화면선택부(45)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채널선택부(41, 42)를 통해 부화면의 채널을 전환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메시지 또는 부화면의 일측에 현재 표시중인 채널의 번호가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50)는 화면선택부(45)가 선택된 경우에, 사용자입력부(40)에 마련된 음성조절키의 선택여부에 따라 주화면과 부화면의 음성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화면선택부(45)가 선택되면 부화면의 음성이 조절되며, 화면선택부(45)가 선택되지 않으면 주화면의 음성이 조절된다.
만약, PIP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면, 제어부(50)는 화면선택키의 선택 여부에 관계없이 채널선택부(41, 42)를 통해 선택된 채널로 주화면의 채널을 전환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입력부(40)에 마련된 채널변경키를 이용하여 주화면과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PIP 기능을 위해 필요한 키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주화면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 마련된 방향키(42)와 숫자키(41)로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숫자키(41)를 이용하여 부화면의 채널을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바로 전환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3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부(40)의 채널선택키를 통해 채널이 선택되면, 제어부(50)는 PIP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
단계 S1에서의 판단 결과, PIP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여 주화면의 채널을 전환한다(S3).
단계 S1에서의 판단 결과, PIP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으면, 채널이 선택되기 전에 화면선택키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
단계 S5에서의 판단 결과, 화면선택키가 선택되었으면, 부화면의 채널을 선택된 채널로 전환한다(S7).
단계 S5에서의 판단 결과, 화면선택키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주화면의 채널을 선택된 채널로 전환한다(S9).
이를 통해, 주화면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키를 부화면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키로 사용하므로, PIP 기능을 위해 필요한 키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주화면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 마련된 방향키(42)와 숫자키(41)로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숫자키(41)를 이용하여 부화면의 채널을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바로 전환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화면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키를 부화면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채널선택키로 사용하므로, PIP 기능을 위해 필요한 키를 간략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주화면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 마련된 방향키와 숫자키로 부화면의 채널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숫자키를 이용하여 부화면의 채널을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바로 전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5)

  1. 입력된 영상신호를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표시하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 및 부화면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선택부와;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 중 채널을 변경할 화면을 선택하는 화면선택부와;
    상기 채널선택부로부터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화면선택부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화면선택부가 선택된 경우 상기 채널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여 상기 부화면의 채널을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선택부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채널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여 상기 주화면의 채널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선택부는 숫자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선택부가 선택되고 상기 숫자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숫자키에 대응하여 상기 부화면의 채널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 스플레이장치.
  4. 입력된 영상신호를 주화면과 부화면으로 표시하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화면 및 부화면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선택부가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주화면과 부화면 중 채널을 변경할 화면을 선택하는 화면선택부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선택부가 선택된 경우, 상기 채널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여 상기 부화면의 채널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선택부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채널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여 상기 주화면의 채널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70000525A 2007-01-03 2007-01-0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63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525A KR20080063920A (ko) 2007-01-03 2007-01-0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525A KR20080063920A (ko) 2007-01-03 2007-01-0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920A true KR20080063920A (ko) 2008-07-08

Family

ID=39815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525A KR20080063920A (ko) 2007-01-03 2007-01-03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39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6546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having a bypass mode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069909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58093A (ko) 입력 신호의 검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방송 수신기
JPH1173290A (ja) メニュー表示装置
EP1988709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JP4123182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状態設定変更装置
KR10076394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0012382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70048388A (ko) 화면 선택 가능한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043896A (ja) 補助画面の主画面転換装置および方法
JP2007235794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KR2008006392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698332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複数画面操作方法
KR101315415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360576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7003789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78586A (ko) 셋톱박스의 출력포맷 설정방법
KR10071322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74491B1 (ko) 텔레텍스트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93481A (ko) 디지털 영상기기에서의 외부입력 표시 및 전환방법
KR10066257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1308495A (ja) 画像表示装置
JP2005333195A (ja) 映像表示装置
JP2006261906A (ja) 2画面テレビジョン装置
JP2006014004A (ja) 2画面テレビ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