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638A -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638A
KR20080063638A KR1020070000283A KR20070000283A KR20080063638A KR 20080063638 A KR20080063638 A KR 20080063638A KR 1020070000283 A KR1020070000283 A KR 1020070000283A KR 20070000283 A KR20070000283 A KR 20070000283A KR 20080063638 A KR20080063638 A KR 20080063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unit
air conditioner
angle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심지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3638A/ko
Publication of KR2008006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공기 조화기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유닛의 시청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영상 출력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 개시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디스플레이 유닛과 공기 조화 유닛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이 개시되는 단계; 작동이 개시되는 유닛에 따라 설정된 각도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회동되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각도가 변경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여, LCD 또는 PDP와 같은 박형 영상 출력 장치와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 가능하게 되어, 실내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과 공기 조화 유닛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온/오프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될 뿐 아니라,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공기 조화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영상 출력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상기 공기 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각도 조절 구조를 보여주는 제 1 실시예.
도 5는 도 4의 Ⅰ-Ⅰ'를 따라 절개되는 공기 조화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각도 조절 구조를 보여주는 제 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각도 조절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공기 조화 유닛 200 : 디스플레이 유닛
300 : 전원부 400 : 조작부
500 : 제어부 700 : 회동 장치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공기 조화기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유닛의 시청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영상 출력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에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이 포함되며,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실내 벽면에 액자 형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두께가 얇은 터보팬을 내장하여, 실내기 자체 두께를 최소화한 공기조화기가 개발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액정 패널과 같은 두께가 얇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반 브라운관 표시장치를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실내 공간에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별도의 물품으로 별도의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 실내 공간을 다수 점유하여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액자 타입의 실내기 전면부를 다양하게 활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공기 조화기에 결합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에 맞게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만족시켜주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기 조화 장치가 하나의 제품으로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 조화 장치와는 별도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을 자유로이 조절 가능하게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 개시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디스플레이 유닛과 공기 조화 유닛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이 개시되는 단계; 작동이 개시되는 유닛에 따라 설정된 각도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회동되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각도가 변경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공기 조화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이 개시되면,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의 전방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소정 각도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영상 출력 장치가 공기 조화기 실내기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영상 출력 장치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 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영상 출력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이 가능한 공기 조화기에는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화유닛(100)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에 일체로 설치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전방에 제공되어,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공중파 TV영상, 위성/지상파 DMB 영상 또는 영화 등의 동영상이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유닛(100)은 본 실시예에서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성되고, 실내 공기의 냉/난방, 제습, 공기청정 등의 공기조화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유닛(100)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와, 실외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열교환기(12)와, 상기 실외열교환기(12)에 공기를 송풍시키는 실외송풍기(13)와, 액체상태로 응축된 냉매를 분무상태의 액체로 분사시키는 팽창밸브(14)와, 실내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50)와, 상기 실내열교환기(50)에 공기를 송풍함과 아울러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실내송풍기(30)와, 상기 압축기(11)의 토출압력 및 온도, 실내열교환기(50) 또는 실외열 교환기(12)의 온도, 실내의 온도 또는 실외의 온도 등을 감지하는 센서부(15)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200)에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패널(250)과, 음향이 출력되는 오디오출력부(260)와, 신호가 수신되는 신호수신부(210)와, 상기 영상패널(250)에 또는 상기 오디오출력부(260)에 적합한 신호로 상기 수신 신호를 변환하는 신호변환부(220) 및 각종 정보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7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신호수신부(210)는 TV 튜너, DMB 등의 주파수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신호변환부(220)는 수신된 신호가 상기 영상패널(2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 및 증폭하는 것으로서,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260)는 상기 신호변환부(220)를 통해 변환된 신호 중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Flat display Panel로 구성된 영상표시장치로서, 액정표시화면(liquid crystal display : 이하 'LCD'라 한다) TV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한다) TV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상기 캐비닛(20)과 연결유닛(600 : 도 5 참조)을 통해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00)와, 상기 공기조 화유닛(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작동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400)와, 상기 조작부(400)를 통해 입력된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전원부(300)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상기 공기조화유닛(100)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사용되는 전압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기 전원부(300)에서는 인가되는 전류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적합하게 승압 또는 감압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영상패널(250)이 PDP 패널인 경우, 상기 전원부(300)는 상기 PDP 패널에서 이루어지는 방전의 과정에 필요한 리셋전압, 스캔전압, 서스테인 전압을 각각 상기 제어부(500)를 구성하는 구동 보드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구동에 필요한 압축기(11)의 전압, 실내/외 송풍기(13, 30)의 모터(32) 전압, 토출유닛(90)의 작동에 필요한 전압 및 상기 센서부(15), 상기 팽창밸브(14)등의 작동에 필요한 각각의 전압을 제어한다.
상기 조작부(400)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400)는 디스플레이 유닛(200) 본체에 제공되는 조작패널(410)과, 별도의 물품으로 제공되어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리모콘(420)과, 상기 무선리모콘(420)의 무선신호를 상기 제어부(500)에 전달하는 수신부(430)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공기 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200)과 공기 조화 유닛(100)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공기 조화 유닛(100), 즉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22) 및 베이스(24)로 구성된 캐비닛(20)과, 상기 캐비닛(20)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 송풍기(30)와,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실내 송풍팬(30)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오리피스(40)와, 상기 오리피스(40)의 전방에 제공되어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실내 열교환기(50)와, 상기 공기 조화 유닛(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70)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50) 표면에 응축된 응축수가 포집되도록 하는 드레인팬(80) 및 상기 캐비닛(20)의 전면에 제공되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6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20)의 내부에는 흡입구(25)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60)는 상기 흡입구(25)를 덮는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22)은 상기 베이스(24)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24)에는 복수개의 토출구(2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4)에는 상기 토출구(26)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토출유닛(90)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유닛(90)은 상기 토출구(26)를 개폐하는 베인(92)과, 상기 베인(92)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실내 송풍기(30)는 상기 베이스(24)에 설치되며, 공기가 축방향으로 흡입되어 반경 방향으로 토출되는 원심팬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24)에 복수 개의 송풍기가 장착되는 경우 토출되는 공기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24) 내부는 격벽(24a)에 의하여 이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4)의 내부 상측에는 에어 가이드(24b)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실내송풍기(24)에서 상측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선회하여 측방의 토출구(26)로 안내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50)의 전면에는 플라즈마 필터(110)가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2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포집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20)의 모서리에는 배관커버(21)가 설치되며, 상기 배관커버(21)는 상기 베이스(24)의 모서리에 조립되어, 상기 공기 조화유닛(100)의 외형 중 일부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배관커버(21)는 상기 캐비닛(20)의 4 모서리 중 복수 개소에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모서리 2 개소에 설치된다. 그리고, 외부 냉매 배관이 상기 배관커버(21)를 관통하여 상기 캐비닛(20) 내부로 안내된다.
한편, 상기 공기 조화 유닛(100)의 전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에는 영상이 출력되는 영상 패널(250)과, 상기 영상 패널(250)이 안착되는 케이스(61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610)의 적어도 어느 일측, 즉 상기 영상 패널(250)의 외측 테두리부에 스피커(616)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10)의 다른 일측에는 조작 패널(410)과 무선 리모콘(420)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부(430)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 패널(410)과, 무선 리모콘(420) 및 수신부(430)는 상기 도 1의 조작부(400)에 포함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조작 패널(410)에는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각각 온/오프 시키기 위한 조작버튼(411)(412)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작동상태를 상기 영상패널(250)에 온/오프하기 위한 팝업버튼(414) 등이 제공된다. 물론, 상기 무선 리모콘(420)에도 조작 버튼(421,422) 및 팝업버튼(424)등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무선 리모콘(42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이 별도로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의 실시예로서, 화살표 형상의 버튼이 제공되어 디스플레이 유닛이 전후방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특정 각도를 표시하는 버튼이 별도로 제공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설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도, 20도 등이 표시된 버튼이 별도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10도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전방으로 10도 만큼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단이 제공 가능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610)의 또다른 일측에는 외장 메모리가 연결되는 메모리슬롯(612)이 설치 가능하며, 상기 케이스(610) 내부에는 내장 메모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 슬롯(612)에는 MMC/SD, CF, XD, MS 등이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작동과정 및 공기조화유닛의 작동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무선리모콘(420) 또는 조작패널(410)을 통해 조작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500)에서는 입력된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구동을 위한 조작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입력된 조작명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을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내 냉방을 위한 조작명령을 입력한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센서부(15)를 통해 실내공기의 온도, 실외공기의 온도, 실내열교환기(50)의 배관온도 등을 감지한 뒤, 공기조화유닛(100)의 희망온도와 비교하여 공기조화유닛(100)을 작동시킨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압축기(11)를 작동시켜 냉매를 압축시키고, 압축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12)에서 응축되며, 상기 응축된 냉매는 상기 팽창밸브(14)를 통과면서 저온 저압으로 팽창된다. 그리고, 상기 팽창 밸브(14)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실내열교환기(50)에서 실내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되고, 증발된 냉매는 다시 상기 압축기(11)로 이동된다. 여기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통하여 냉매로 열을 빼앗기므로,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로 낮아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작동되는 경우, 제어부(500)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작동시킨다. 여기서, 사용자는 조작부(400)에 조작명령을 입력함으로서, 상기 화면 속 화면 방식으로 실내의 온도 및 습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실내 온도 및 습도 등은 상기 제어부(500)에서 상기 공기조화유닛(100)의 센서부(15)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패널(250)에 표시한다.
또한, 공기 조화 유닛(100)과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동시에 작동되는 경우, 상기 영상 패널(250)에는 공기 조화 유닛(100)의 작동 상황과 신호 수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이 화면속 화면 방식으로 출력 가능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온되면 이전에 저장된 회동 각도만큼 자동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오프되기 직전에 회동 각도가 제어부(500)에 저장된다. 이후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온되면 오프 직전에 저장된 회동 각도만큼 자동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무선 리모콘(420)을 이용하여 회동 각도를 변경하는 경우, 변경된 회동 각도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회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회동 각도 조절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플로차트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각도 조절 구조를 보여주는 제 1 실시예이고, 도 5는 도 4의 Ⅰ-Ⅰ'를 따라 절개되는 공기 조화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제공되는 디스플레 이 유닛(200)은 회동 장치(700)에 의하여 전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회동을 유발하기 위하여 제안 가능한 회동 장치(700)에는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배면에 결합되는 랙기어(730)와, 상기 베이스(24)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피니언(720)과 기어 결합되는 피니언(720)과, 상기 피니언(720)에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는 구동 모터(710)가 포함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2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회동 장치(700)에 의하여 상기 공기 조화 유닛(100)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24)에 직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24)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회동 장치(7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프런트 패널(22)에 형성된 흡입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세히, 상기 구동 모터(710)가 정회전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상단부가 전방으로 회동하고, 역회전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공기 조화 유닛(100)의 전면에 밀착된다.
또한, 사용자가 무선 리모콘(420)을 통하여 입력되는 회동 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710)의 작동이 제어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회동 정도가 제 어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각도 조절 구조를 보여주는 제 2 실시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동 장치(700)는 상기 도 4 및 도 5에서 제시된 구성과 동일하여도 무방하다. 즉, 구동 모터(710)와, 피니언(720) 및 랙기어(73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회동 장치(700)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공기 조화 유닛(100)으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모든 수단에 적용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각도 조절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200) 또는 공기 조화 유닛(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온되면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회동 각도가 자동으로 결정되고, 그 후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회동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세히, 공기 조화기가 파워 온되면(S110) 제어부(500)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200)과 공기 조화 유닛(100) 중 어느 기기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먼저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온되었는지를 판단(S111)하고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오프 상태이면 공기 조화 유닛(100)이 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20). 그리 고, 공기 조화 유닛(100)이 온되었다고 판단되면, 공기 조화만을 위한 기본 설정 각도(θ2)로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회동한다(S121). 반면, 공기 조화 유닛(100)도 오프 상태이면 상기 공기 조화기는 대기 모드로 유지된다(S123).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이 온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공기 조화 유닛의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22). 그리고, 공기 조화 유닛의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원위치로 복귀(S118)되고, 공기 조화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작동이 종료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은 공기 조화 유닛(100)의 전면에 밀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공기 조화 유닛도 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12).
상세히,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은 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만의 작동을 위한 기본 설정 각도(θ1)로 회동하게 된다(S130).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각도 조절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31). 여기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각도 조절 명령은 무선 리모콘(420)에 구비된 각도 조절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신호가 송출되어 상기 제어부(500)로 수신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각도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 각도로 디스플레이 유닛이 회동하게 된다(S132). 반면, 각도 조절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기본 조절 각도(θ1)로 회동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θ1≥θ2가 되도록 설정 각도가 결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게 된다(S133).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원위치로 복귀(118)된 다음 공기 조화기의 작동이 종료하게 된다.
반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오프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부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각도 조절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와, 디스플레이 유닛의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유닛과 공기 조화 유닛 모두가 온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또다른 기본 설정 각도(θ3)로 회동하게 된다(S113). 여기서, 상기 기본 설정 각도(θ3)는 공기 조화 유닛(100) 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고, 동시에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원활한 시청이 가능하게 하는 각도이다. 그리고, 상기 설정 각도(θ3)는 θ1 또는 θ2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기본 설정 각도(θ3)로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사용자에 의하여 각도 조절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114)하게 된다. 그리고, 각도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각도로 디스플레이 유닛이 회동하게 된다(S115).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116)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의 오프 명령이 없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상태가 유지된다(140). 여기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온 상태를 유지하고 공기 조화 유닛만 오프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의 각도 조절 명령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이 상기 제어부에서 반복 수행된다.
반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공기 조화 유닛의 오프 명령도 함께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17). 그리고, 공기 조화 유닛과 디스플레이 유닛 모두가 오프되도록 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원위치로 복귀(S118)하고 공기 조화기의 작동이 종료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유닛의 오프 명령만 입력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공기 조화 유닛만 작동하는 경우의 기본 설정 각도(θ2)로 변경되어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공기 조화 유닛의 오프 명령 입력 여부를 계속하여 판단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한 각도 조절 명령 과정에서 사용자는 공기 조화를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각도보다 더 작은 각도로 디스플레이 유닛이 회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 방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작동 모드에 따라 적절한 각도로 자동으로 회동하게 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여, LCD 또는 PDP와 같은 박형 영상 출력 장치와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 가능하게 되어, 실내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의하여, 공기조화기와 영상 출력 장치가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설치 과정이 한번에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영상 출력 장치가 공기 조화기 실내기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영상 출력 장치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 출력 장치가 꺼질 때 영상 출력 장치의 경사 각도가 자동으로 저장됨으로써, 차후에 영상 출력 장치를 켠 후 영상 출력 장치의 각도 조절 행위가 별도로 이루어질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과 공기 조화 유닛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온/오프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될 뿐 아니라,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 개시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디스플레이 유닛과 공기 조화 유닛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이 개시되는 단계;
    작동이 개시되는 유닛에 따라 설정된 각도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회동되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각도가 변경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온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각도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공기 조화 유닛이 모두 온되거나, 어느 하나만 온되는 경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각도가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공기 조화 유닛 모두가 오프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공기 조화 유닛이 모두 온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만 오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공기 조화를 위한 회동 각도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비된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공기 조화 유닛이 모두 온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조화 유닛만 오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만 온된 상태의 회동 각도는 적어도 상기 공기 조화 유닛만 온된 상태의 회동 각도와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의 운전을 위한 회동 각도 보다 작은 각도로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동 각도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9. 디스플레이 유닛과 공기 조화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작동이 개시되면, 상기 공기 조화 유닛의 전방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소정 각도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각도 또는 기본 설정각도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만 온되는 경우에는 설정 각도가 θ1이고,
    공기 조화 유닛만 온되는 경우에는 설정 각도가 θ2이고,
    디스플레이 유닛과 공기 조화 유닛 모두가 온되는 경우 설정 각도가 θ3이고,
    적어도 θ1≥θ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0070000283A 2007-01-02 2007-01-02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080063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283A KR20080063638A (ko) 2007-01-02 2007-01-02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283A KR20080063638A (ko) 2007-01-02 2007-01-02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638A true KR20080063638A (ko) 2008-07-07

Family

ID=3981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283A KR20080063638A (ko) 2007-01-02 2007-01-02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36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2288B2 (ja) 空気調和機の湿度制御装置
KR101411027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천장 설치형 실내 유닛
KR20080006757A (ko)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KR10120249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6242309B2 (ja) 空気調和機
GB2513694A (en)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011080653A (ja) 空気調和機
JP2807449B2 (ja) 空気調和機の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723734B2 (ja) 空気調和機
JP5459151B2 (ja) 空気調和機
JP2006162215A (ja) 空気調和機
KR20080063638A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080063637A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US11933507B2 (en) Air conditioner
JP5156708B2 (ja) 空気調和機
KR20080006758A (ko)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EP1878977A2 (en) Air conditioner having image display function
WO2008007843A2 (en)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having image display function
JP7383055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22169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020027962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모터 회전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12082B1 (ko) 공기 조화기
KR20080065035A (ko) 공기조화기
KR20070080292A (ko) 터치스크린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20080065034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