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621A -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621A
KR20080063621A KR1020070000253A KR20070000253A KR20080063621A KR 20080063621 A KR20080063621 A KR 20080063621A KR 1020070000253 A KR1020070000253 A KR 1020070000253A KR 20070000253 A KR20070000253 A KR 20070000253A KR 20080063621 A KR20080063621 A KR 20080063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lamp
male connector
connecto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3621A/ko
Priority to US11/778,147 priority patent/US7794106B2/en
Publication of KR2008006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02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되는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복수의 램프를 구비한 램프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램프부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 상에 마련되며, 기판본체와, 상기 기판본체의 일측에 실장된 커넥터조립체를 포함하는 인버터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조립체는 상기 복수 램프로 전원의 공급을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소켓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된 수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간단히 하여 부품수를 줄이며, 결합 내지 삽입 불량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인버터기판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인버터기판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를 확대한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커넥터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에서 본 부분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4의 커넥터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액정표시패널
150 : 전원공급부 155 : 제어기판
160 : 백라이트유닛 170 : 램프부
171 : 램프 172 : 램프본체
173 : 핫단자 175 : 콜드단자
181 : 케이블 210 : 인버터기판
215 : 변압기 216 : 변압기본체
217 : 코일부재 219 : 격벽
220 : 커넥터조립체 230 : 수커넥터
231 : 소켓수용부 233 : 제1이격부
235 : 핫핀 237 : 콜드핀
250 : 암커넥터 251 : 소켓결합부
253 : 핫소켓결합부 255 : 콜드소켓결합부
257 : 제2이격부 270 : 전자부품
본 발명은,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결합 구조를 개선한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TV, PC 등의 표시 장치 분야에서 대화면화로 되는 한편, 경량화, 박형화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음극선관 대신에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플랫(Flat)형 디스플레이장치가 개발되어 TV 등에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액정표시패널은 매트릭스 형태로 패턴이 형성된 기판과 그에 대향하는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 기판 사이에는 이방성 유전율을 갖는 액정 물질이 주입된다. 상기 두 기판 사이에는 전계가 인가된다. 이에, 이 전계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기판을 투과하는 빛의 양이 제어되어 원하는 화상에 대한 표시가 액정표시장치에 나타난다.
여기에 사용되는 액정표시패널은 자체 발광형 표시 장치가 아니므로, 액정 패널의 배면에 램프 등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가 TV와 같은 대형 화면에 적용된 경우에는, 고휘도와 대화면의 성능이 요구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직하형과 에지형으로 구분된다. 에지형은 도광판의 측면에 광원이 설치되는 구조로, 주로 랩탑형 및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이 비교적 크기가 작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다. 이러한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내구 수명이 길고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에 유리하며,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 비해 빛의 균일성이 좋다.
백라이트 유닛의 램프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램프에 공급되는 전압을 변환시켜 주는 램프용 인버터기판이 필요하다. 그리고, 대형 화면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램프용 인버터기판이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램프를 구동하며, 이러한 인버터기판이 다수 구비됨으로써 램프와 램프 인버터기판이 확장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램프용 인버터기판은 각 램프와 연결되는 커넥터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램프와 연결되는 하나의 커넥터라도 삽입 내지 결합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램프가 작동하지 않아 액정표시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조립체의 결합되는 구조를 간단히 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백라이트유닛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조립체의 결합 내지 삽입 불량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버터기판에서 램프부로 고전압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공급 경로를 단축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원공급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되는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복수의 램프를 구비한 램프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램프부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 상에 마련되며, 기판본체와, 상기 기판본체의 일측에 실장된 커넥터조립체를 포함하는 인버터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조립체는 상기 복수 램프로 전원의 공급을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소켓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된 수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커넥터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소켓수용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소켓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암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는 2ⁿ(n:자연수) 개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 램프는 핫단자와, 콜드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각 소켓결합부는 상기 각 램프의 상기 핫단자와 상기 콜드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핫소켓결합부와 콜드소켓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커넥터의 각 소켓수용부에는 상기 각 램프의 상기 핫단자와 상기 콜드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핫핀과 콜드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버터기판의 수커넥터는 상기 콜드단자에 근접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버기판은 상기 기판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기판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변환하는 변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압기는 일체로 형성된 상기 수커넥터에 대응하여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압기는 상기 인버터기판 상에 상기 수커넥터와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소정 거리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압기는 상기 각 램프에 대응하여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커넥터에는 상기 소켓수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소켓수용부를 이격시키는 제1이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커넥터에는 상기 제1이격부에 대응한 위치에 제2이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수용부는 네 개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결합부는 네 개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전원공급부와; 복수의 램프를 구비한 램프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램프부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 상에 마련되며, 기판본체와, 상기 기판본체의 일측에 실장된 커넥터조립체를 포함하는 인버터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조립체는 상기 복수 램프로 전원의 공급을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소켓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된 수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커넥터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소켓수용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소켓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암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는 2ⁿ(n:자연수) 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는 핫단자와, 콜드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각 소켓결합부는 상기 각 램프의 상기 핫단자와 상기 콜드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핫소켓결합부와 콜드소켓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버기판은 상기 기판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기판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변환하는 변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압기는 일체로 형성된 상기 수커넥터에 대응하여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압기는 상기 인버터기판 상에 상기 수커넥터와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소정 거리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압기는 상기 각 램프에 대응하여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커넥터에는 상기 소켓수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소켓수용부를 이격시키는 제1이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수용부는 네 개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TV, 프로젝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평판형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전원공급부(150)와, 백라이트 유닛(16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액정표시패널(110)을 더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신호가 인가되어 화상을 표시한다. 액정표시패널(110)은 패널(111)과, 데이터측 인쇄회로기판(117)과,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119), 데이터측 테이프 캐리지 패키지(TCP: Tape Carriage Package, 127)와, 게이트측 TCP(129)를 포함한다.
패널(111)은 박막 트랜지스터기판(113)과 컬러 필터기판(115)과 액정(미도시)를 포함하며 화상을 형성한다.
박막 트랜지스터기판(113)은 매트릭스상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유리 기판이다. 박막 트랜지스터기판(113)들의 소오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라인이 연결된다. 또한, 드레인 단자에는 투명한 도전성 재질인 인듐 틴 옥사이드(ITO)로 이루어진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이에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면 각각의 박막 트랜지스터 의 소오스 단자와 게이트 단자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된다. 이들 전기적인 신호의 입력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는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드레인 단자로는 화소 형성에 필요한 전기적인 신호가 출력된다.
컬러 필터기판(115)은 액정을 사이에 두고 박막 트랜지스터기판(113)에 대향되게 마련된다. 컬러 필터기판(115)은 광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이 발현되는 색화소인 RGB 화소가 박막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판이다. 컬러 필터기판(115)의 전면에는 TIO로 이루어진 공통전극이 도포되어 있다.
전술한 박막 트랜지스터기판(113)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와 소오스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화소 전극과 컬러 필터기판(115)의 공통 전극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계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기판(113)과 컬러 필터기판(115) 사이에 주입된 액정의 배열각이 변화되고 변화된 배열각에 따라서 광투과도가 변경되어 원하는 화상을 얻게 된다.
여기서, 데이터측 인쇄회로기판(117) 및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119)은 액정표시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인 게이트 구동신호, 데이터 신호 및 이들 신호들을 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밍신호들을 발생시킨다. 또한, 게이트 구동신호는 게이트측 TCP(129)를 통하여 액정표시패널(110)의 게이트 라인에 인가하고, 데이터 신호는 데이터 TCP(127)를 통해 액정표시패널(110)의 데이터 라인에 인가한다.
도광판(141)은 액정표시패널(110)의 패널(111)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패널(111) 하부에 위치하여 램프부(170)에서 발생되는 광을 패널(111)로 안내하면 서 광 경로를 변경한다. 도광판(141)은 일실시예에서 두께가 동일한 에지형이고, 램프부(170)는 광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광판(141)의 양단에 설치된다. 램프부(170)의 램프(171)의 개수는 액정표시패널(110)의 크기, 표시되는 화상의 휘도, 전체적인 균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배열될 수 있다.
광학시트(143)는 도광판(141)의 상부에 마련되어 도광판(141)으로부터 출사되어 액정표시패널(110)로 향하는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며, 복수로 마련된다.
반사판(145)은 도광판(141)의 하부에 마련되어 도광판(141)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도광판(141)으로 반사시켜 광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몰드 프레임(147)은 액정표시패널(110)과 백라이트 유닛(160)을 수용하여 고정 지지된다. 여기서, 백라이트 유닛(160) 과 액정표시패널(110)이 각각 별도로 지지될 수 있다. 몰드 프레임(147)은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을 가지고 상면은 개구되어 있다.
섀시(149)는 액정표시패널(110)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측벽부는 내측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액정표시패널(110)의 상면 주변부를 보호한다.
전원공급부(1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액정표시패널(110) 및 백라이트 유닛(160) 등에 공급한다.
백라이트 유닛(160)은 액정표시패널(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액정표시패널(110)에 균일한 광을 제공한다. 백라이트 유닛(160)은 광을 발생시키는 램프부(170)와, 인버터기판(210)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160)은 변압기(215)를 더 포함한다.
램프부(170)는 램프(171)와, 핫단자(173)와, 콜드단자(175)를 포함한다.
램프부(170)의 전압 인가 방식이 그라운드 방식일 경우에는 인버터기판(210)이 램프부(170)의 콜드단자(175)측보다 핫단자(173)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인버터기판(210)에서 램프부(170)의 각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은 매우 높다. 그라운드 방식의 경우에는 핫단자(173)에 인가되는 전압은 매우 높고, 콜드단자(175)에 인가되는 전압은 그라운드 전압 또는 이와 유사한 일정한 전압이다.
따라서, 인버터기판(210)의 수커넥터(230)에서 램프부(170)의 핫단자(173)로 높은 전압이 전달되어야 하므로 인버터기판(210)의 수커넥터(230)와 램프부(170)의 핫단자(173) 사이의 거리는 가까운 것이 유리하다.
램프(171)는 상호 평행하게 병렬로 배열되어 광을 발생시킨다. 램프(171)는 선 광원 인 외부전극 형광램프(EEFL) 또는 냉음극 형광램프(CCFL) 등을 포함한다. 램프(171)는 필요에 따라 점광원인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광원은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빛을 방출 하는 외에도 열을 방출한다.
램프(171)는 2ⁿ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를 의미하며, 즉, 램프(171)은 2개, 4개, 8개, 16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가 4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8개 , 16개, 32개 등으로 될 수 있다.
램프(171)는, 램프본체(172)와, 램프본체(172)에 결합되어 램프의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된 핫단자(173)와 콜드단자(175)를 갖는다. 핫단자(173)와 콜드단자(175)는 인가되는 전압의 차이에 의해 전계차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전계차는 핫단 자(173)와 연결된 램프(171)의 전극과 콜드단자(175)와 연결된 전극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면, 핫단자에는 650~950 Vrms (Root Mean Square Voltage), 콜드단자에는 5 Vrms 이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이에, 핫단자(173)와 콜드단자(175)에 전압이 인가되면, 각 단자에 결합된 램프본체(172)의 전극의 전계차에 의해 방전이 일어나 램프본체(172)에서 광이 발생된다.
핫단자(17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본체(172)의 우측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암커넥터(250)와 케이블(18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핫단자(173)에는 콜드단자(175)보다 고압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콜드단자(17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본체(172)의 좌측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암커넥터(250)와 케이블(18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램프부(170)에는 복수의 램프(171)가 마련되어 하나의 핫단자(173) 및 콜드단자(175)에서 분기되어 램프(171)의 각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램프부(170)에는 하나의 핫단자(173) 및 콜드단자(175)에 각각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램프(171)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케이블(181)은 암커넥터(230)와 핫단자(173) 및 콜드단자(175)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케이블(181)은 필요에 따라 연성인쇄회로기판(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기판(210)은, 기판본체(미도시)와, 커넥터조립체(220)를 포함한다. 인버터기판(210)은 변압기(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기판(210)에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전자부품(270)이 실장될 수 있다.
변압기(215)는, 변압기본체(216)와, 코일부재(217)와 격벽(219)을 포함한다.
변압기본체(216)는 코일부재(217)를 일체로 수용하며, 코일부재(217)를 구분하는 격벽(219)을 갖는다.
코일부재(217)는 변압기본체(216)에 수용되며, 전원공급부(150)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핫단자(173) 및 콜드단자(175)에 공급되도록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코일부재(217)에서 변환된 전압은 신호선(213)에 의해 핫핀(235) 및 콜드핀(237)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수커넥터(230)와 변압기(215)는 근접되게 인버터기판(21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커넥터(230)와 변압기(215) 사이로 연결되는 신호선(213) 의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신호선(213)이 길어져서 발생될 수 있는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수커넥터(230)와 변압기(215)는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근접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수커넥터(230)와 변압기(215) 사이의 간격(도 4의 "D"참조)이 5mm 가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일체로 형성된 수커넥터(230)와 변압기(215)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하여 인버터기판(210)에 형성되는 신호선의 길이도 짧아져 인버터기판(210)의 신호선 설계에도 유리하다. 또한, 램프부(170)로 공급되는 경로를 최대한 단축시켜 고전압을 포함한 신호가 전달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커넥터조립체(220)는 수커넥터(230)를 포함한다. 커넥터조립체(220)는 암커넥터(250)를 더 포함한다.
수커넥터(230)는 소켓수용부(231)를 포함한다. 수커넥터(230)는 제1이격부(233)를 포함한다. 수커넥터(230)는 핫핀(235)과 콜드핀(237)을 포함한다.
수커넥터(230)는 핫핀(235) 및 콜드핀(237)을 이용하여 납땜과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인버터기판(210)에 결합된다. 수커넥터(230)은 핫핀(235) 및 콜드핀(237) 이외의 다른 부재를 이용하여 인버터기판(210)에 실장될 수 있다.
수커넥터(230)는 복수의 소켓수용부(231)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도 4,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소켓수용부(231)가 형성된 것을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와 달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커넥터(230)에 소켓수용부(231)가 8개 형성되며, 4개의 소켓결합부(251)를 갖는 암커넥터(250)가 두 개 결합될 수 있다.
소켓수용부(231)는 수커넥터(230)에 함몰되어 암커넥터(250)의 소켓결합부(251)를 수용하여 지지한다. 소켓수용부(231)의 전단에는 소켓결합부(251)가 수용되도록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켓수용부(231)의 후단에는 핫핀(235)과 콜드핀(237)이 각각 결합되도록 마련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이격부(233)는 핫핀(235)에 공급되는 고전압으로 인해 콜드핀(237) 등에 발생할 수 있는 전자파 발생과 같은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소켓수용부(231)와 소켓수용부(231) 사이에 마련된다. 이에, 고전압 등으로 발생될 수 있는 전자파 방해 등을 최소화하면서 커넥터 구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핫핀(235)과 콜드핀(237) 사이의 거리는 3.5mm 이나, 소켓수용부(231)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14mm로 설계하여 제1이격부(233)를 소켓수용부(231)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핫핀(235)은 소켓수용부(231)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변압기(215)에서 핫단자(173)로 전압을 공급한다.
콜드핀(237)은 소켓수용부(231)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변압기(215)에서 콜드단자(175)로 전압을 공급한다.
여기서, 핫핀(235)과 콜드핀(237) 사이의 전압 차이가 크고 핫핀(235)에 공급되는 전압이 높으므로 핫핀(235)과 콜드핀(237) 사이에는 격벽으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커넥터(250)는 소켓결합부(251)를 포함한다. 암커넥터(250)는 제2이격부(257)를 포함한다. 암커넥터(250)의 전단에는 복수의 소켓결합부(251)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단에는 각 소켓결합부(2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181)이 장착되어 램프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커넥터(250)는 하나의 수커넥터(230)에 두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소켓결합부(251)는 핫핀(235) 및 콜드핀(23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259)을 수용한다. 소켓결합부(251)는 길게 연장되어 분리되어 하나는 핫핀(235)과 결합되는 핫소켓결합부(251)와, 다른 하나는 콜드핀(237)과 결합되는 콜드소켓결합부(251)를 포함한다.
소켓(259)은 핫핀(235) 및 콜드핀(237)과 각각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 도록 도전체로 되어 있다.
이에, 램프(17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커넥터(230) 및 암커넥터(25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커넥터를 조립 및 분해하는 과정에서 경제적인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를 한 번에 결합하여 삽입이 안되거나 완전하게 삽입이 안 되는 경우를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자부품(270)은 콘덴서(Condenser), 커패시터(Capacitor)와 같은 부품을 포함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인 263은 수커넥터(230) 및 암커넥터(250)를 결합 유지시키는 결합부재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작동 과정 및 조립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 내지 8을 참조하여 수커넥터(230)와 암커넥터(250)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버터기판(210)에 실장된 수커넥터(230)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커넥터(250)를 위치시킨다. 이에 수커넥터(230)에 대해 암커넥터(250)를 가압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커넥터(230)에 암커넥터(250)가 결합되어 핫핀(235) 및 콜드핀(237)에 소켓(259)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암커넥터(250)와 수커넥터(230)가 완전하게 결합되었는지를 결합부재(263)의 딱 소리나 결합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커넥터조립체(220)에서 어느 하나의 핀 및 소켓이 결합되지 않는 경우, 백라이트유닛(160)이나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마련되어 결합되지 않는 핀 및 소켓 부분에서 전압이 상승하여 전체 램프(171)에서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부(미도시)에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조립체(220)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조립 등의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조립체(220)의 삽입이나 불완전삽입 등에 대한 점검을 한 번만 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고 삽입불량 등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작동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전원을 인가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전원공급부(150)로 공급된다. 전원공급부(150)에 공급된 전원은 인버터기판(210)으로 전달되어 전자부품(270)과 변압기(215)를 작동시킨다. 이에, 변압기(215)의 코일부재(217)에서 각각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수커넥터(230)의 핫핀(235)과 콜드핀(237)에 소정 전압을 공급한다. 이에, 각 수커넥터(230)의 소켓수용부(231)와 결합된 소켓결합부(251)에 의해 코일부재(217)에서 각각 변환된 전압은 핫단자(173) 및 콜드단자(175)로 공급된다. 이에, 램프본체(172)의 전극에서 공급되는 전압의 차이로 인해 램프본체(172) 내부에서 방전을 일으켜 광을 발생시킨다.
이 과정에서 제어기판(155)에서 전자부품(270)과 변압기(215) 등의 작동이나 변환하는 전압의 량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시에, 전원공급부(150)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제어기판(155)을 거쳐 액정표 시패널(110)로 공급되어 백라이트 유닛(160)에서 출사되는 광에 의해 패널(111)에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인버터기판(210)과 램프부(170)의 배치를 최적화하고, 인버터기판(210)과 변압기(215)의 배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인버터기판(210)에서 공급되는 전압의 경로가 짧아져 신호 전달에 따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전술한 일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 내지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에지형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에지형이 아닌 직하형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램프부의 전압 인가 방식이 그라운드 방식인 경우에만 설명하였지만, 플로팅 방식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플로팅(floating) 방식일 경우에는 핫단자와 콜드단자에 크기가 같고 극성이 반대인 정극성 및 부극성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에, 인버터기판의 램프커넥터는 램프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램프부와 인터버기판이 평면적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액정표시패널의 배면에 입체적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인버터기판을 램프부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커넥터의 결합되는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부품수를 줄여 조립작업 등에 따른 경제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 내지 삽입 불량에 따른 오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조립체, 변압기 및 램프의 배치를 효율적으로 하여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는 동시에 전압 공급에 따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Claims (22)

  1. 전원공급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되는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복수의 램프를 구비한 램프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램프부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 상에 마련되며, 기판본체와, 상기 기판본체의 일측에 실장된 커넥터조립체를 포함하는 인버터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조립체는 상기 복수 램프로 전원의 공급을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소켓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된 수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소켓수용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소켓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암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2ⁿ(n:자연수) 개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핫단자와, 콜드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각 소켓결합부는 상기 각 램프의 상기 핫단자와 상기 콜드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핫소켓결합부와 콜드소켓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의 각 소켓수용부에는 상기 각 램프의 상기 핫단자와 상기 콜드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핫핀과 콜드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기판의 수커넥터는 상기 콜드단자에 근접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버기판은 상기 기판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기판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변환하는 변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압기는 일체로 형성된 상기 수커넥터에 대응하여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상기 인버터기판 상에 상기 수커넥터와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소정 거리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상기 각 램프에 대응하여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에는 상기 소켓수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소켓수용부를 이격시키는 제1이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에는 상기 제1이격부에 대응한 위치에 제2이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수용부는 네 개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결합부는 네 개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
  14.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전원공급부와;
    복수의 램프를 구비한 램프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램프부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 상에 마련되며, 기판본체와, 상기 기판본체의 일측에 실장된 커넥터조립체를 포함하는 인버터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조립체는 상기 복수 램프로 전원의 공급을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소켓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된 수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소켓수용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소켓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암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2ⁿ(n:자연수) 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핫단자와, 콜드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각 소켓결합부는 상기 각 램프의 상기 핫단자와 상기 콜드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핫소켓결합부와 콜드소켓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8.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버기판은 상기 기판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기판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변환하는 변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압기는 일체로 형성된 상기 수커넥터에 대응하여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상기 인버터기판 상에 상기 수커넥터와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소정 거리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는 상기 각 램프에 대응하여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에는 상기 소켓수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소켓수용부를 이격시키는 제1이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수용부는 네 개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70000253A 2007-01-02 2007-01-02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08006362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253A KR20080063621A (ko) 2007-01-02 2007-01-02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US11/778,147 US7794106B2 (en) 2007-01-02 2007-07-16 Back 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253A KR20080063621A (ko) 2007-01-02 2007-01-02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621A true KR20080063621A (ko) 2008-07-07

Family

ID=3958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253A KR20080063621A (ko) 2007-01-02 2007-01-02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94106B2 (ko)
KR (1) KR200800636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307B1 (ko) * 2013-08-08 2015-02-09 주식회사 한광 연성평면케이블을 이용한 직렬연결구조를 갖는 백라이트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5297A (zh) * 2021-03-19 2021-06-15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灯条组件和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6689A (en) * 1983-02-18 1984-12-04 George W. Plumly Emergency lighting apparatus and systems
JP3254188B2 (ja) * 1998-11-30 2002-02-0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高電圧用コネクタ
KR20030088646A (ko) 2002-05-14 200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백 라이트 어셈블리
KR100840257B1 (ko) 2002-05-15 2008-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백 라이트 어셈블리
KR100892585B1 (ko) 2002-08-09 2009-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어셈블리, 이를 이용한 광공급 모듈 및 이를 구비한3 단 분리형 액정표시장치
US6949890B2 (en) * 2003-02-06 2005-09-27 Zippy Technology Corp. LCD back light panel lamp connecting structure
KR101301954B1 (ko) * 2006-06-30 2013-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307B1 (ko) * 2013-08-08 2015-02-09 주식회사 한광 연성평면케이블을 이용한 직렬연결구조를 갖는 백라이트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94106B2 (en) 2010-09-14
US20080157700A1 (en)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990B1 (ko) 디스플레이를 직접 백라이팅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US6854856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854541B2 (en) Backlight unit with socket connector,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using the same
CN1920625B (zh) 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US7670019B2 (en) Backlight assembly,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101265372B1 (ko) 백라이트 유닛
JP4361770B2 (ja) インバータ駆動装置及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KR10128698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50006352A (ko) 백 라이트 구동회로
US7880715B2 (en) Inver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6010789A (ja) 画像表示装置
KR20080063621A (ko)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060013148A (ko) 램프 와이어 소켓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08034387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有する表示装置
KR20050051913A (ko) 액정표시장치
KR101152114B1 (ko) 백라이트와 인버터 어셈블리와의 연결 구조를 개선한액정표시장치
KR10123215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78870A (ko) Emi 차폐를 위한 평판표시장치
KR20080064482A (ko) 표시 장치
KR20070078113A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00968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모듈
KR2008003228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80002259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12673A (ko) 백라이트 유닛
KR2007005818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